|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002395> | 아시아축구연맹 소속 국가대표팀 | 
| {{{#002395,#6b90ff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555555,#ABABAB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  |  | 
| 괌 | 네팔 | 대만 | 대한민국 | |
|  |  |  |  | |
| 동티모르 | 라오스 | 레바논 | 마카오 | |
|  |  |  |  | |
| 말레이시아 | 몰디브 | 몽골 | 미얀마 | |
|  |  |  |  | |
| 바레인 | 방글라데시 | 베트남 | 부탄 | |
|  |  |  |  | |
| 북마리아나 제도 | 북한 | 브루나이 | 사우디아라비아 | |
|  |  |  |  | |
| 스리랑카 | 시리아 | 싱가포르 | 아랍에미리트 | |
|  |  |  |  | |
| 아프가니스탄 | 예멘 | 오만 | 요르단 | |
|  |  |  |  | |
| 우즈베키스탄 | 이라크 | 이란 | 인도 | |
|  |  |  |  | |
| 인도네시아 | 일본 | 중국 | 카타르 | |
|  |  |  |  | |
| 캄보디아 | 쿠웨이트 | 키르기스스탄 | 타지키스탄 | |
|  |  |  |  | |
| 태국 | 투르크메니스탄 | 파키스탄 | 팔레스타인 | |
|  |  |  | ||
| 필리핀 | 호주 | 홍콩 | ||
|  | ||||
| 전 세계 리그 및 대표팀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width=320><table bordercolor=#fff> | 아세안축구연맹 소속 국가대표팀 | 
| {{{#!wiki style="color:#000;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000000; margin:-6px -1px -11px" |  |  |  |  | 
| 동티모르 | 라오스 | 말레이시아 | 미얀마 | |
|  |  |  |  | |
| 베트남 | 브루나이 | 싱가포르 | 인도네시아 | |
|  |  |  |  | |
| 캄보디아 | 태국 | 필리핀 | 호주 | }}}}}}}}} | 
|  | |
| 브루나이 축구 국가대표팀 | |
| Pasukan bola sepak kebangsaan Brunei | |
| <colbgcolor=#367588><colcolor=#fff> 정식명칭 | Pasukan bola sepak kebangsaan Brunei[1] Brunei national football team[2] | 
| FIFA 코드 | BRU | 
| FIFA 랭킹 | 185위 (2025년 10월 17일 기준 / #) | 
| Elo 랭킹 | 226위 (2025년 10월 15일 기준 / #) | 
| 협회 | 브루나이 국가 축구 협회 (NFABD) | 
| 연맹 | 아시아 축구 연맹 (AFC) | 
| 지역연맹 | 아세안 축구 연맹 (AFF) | 
| 감독 | 파비우 마그랑 (Fábio Magrão) | 
| 주장 | 파이크 볼키아 (Pike Volkia) | 
| 최다출전자 | 아즈완 살레 (Azwan Saleh) - 35경기 | 
| 최다득점자 | 샤 라젠 사이드 (Shah Razen Said) - 8골 아즈완 알리 라만 (Azwan Ali Rahman) - 8골 | 
| 홈 구장 | 술탄 하사날 볼키아 스타디움 (Sultan Hassanal Bolkiah Stadium, 28,000석) | 
| 첫 국제경기 출전 | VS | 
| 최다 점수차 승리 | VS VS | 
| 최다 점수차 패배 | VS | 
| 별칭 | Tebuan (꿀벌) | 
| 아세안 챔피언십 | 진출: 2회 최고 성적:조별리그 (1996, 2022) | 
| 유니폼 컬러 | 홈 | 어웨이 | 
| 상의 | 노랑 | 청색 | 
| 하의 | 노랑 | 하양 | 
| 양말 | 
1. 개요
브루나이의 축구 국가대표팀. 역대 FIFA 랭킹 최고 순위는 140위(1992년 12월 31일), 최저 순위는 203위(2012년 10월 3일)이다.2. 상세
홈구장은 술탄 하사날 볼키아 스타디움, 대표팀 별칭은 말벌들(Tebuan)이며 현재까지도 동남아시아는 물론 아시아 전체에서도 최약체로 평가받고 있는 팀들 가운데 하나이다.대한민국 출신 권오손 감독이 2008년부터 무려 4차례 감독으로 지휘한 국가대표팀이기도 하며 A대표팀 기준으로 AFC 솔리다리티컵 초대 대회이자 마지막 대회인 2016년 대회 4위가 현재까지도 브루나이가 국제 대회에서 거둔 역대 최고 성적에 해당되나 이외의 국제 대회에서는 모두 처참한 성적들을 거두면서 여전히 아시아 축구 변방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아직까지 월드컵과 아시안컵 본선에 진출한 기록은 없으며 그나마 2018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1차 예선에서 대만을 상대로 1차전 원정에서 1-0 승리를 거두며 사상 처음으로 1차 예선을 통과하는가 싶었지만 2차전 홈에서 0-2로 완패하며 탈락의 쓴 맛을 봐야 했다.
그리고 2022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1차 예선에서도 몽골을 상대로 1차전 원정에서 0-2로 패했고 2차전 홈 경기에서는 2-1로 이겼지만 1·2차전 합계 2-3으로 석패하며 또 한번 2차 예선과는 인연을 맺지 못했다.
대한민국과는 단 1차례 경기에서 만난 적이 있었는데 그 경기가 바로 1980년 하계 올림픽 아시아 1차 예선으로 그 당시 대한민국에 0-3으로 완패했다.
2010년 12월에서 2012년 9월까지 EPL 블랙번 로버스의 감독이었던 스티브 킨이 2014년에 잠시 브루나이의 감독을 맡기도 했지만 세계적인 약체인데다 브루나이 축구협회의 미숙한 행정처리로 인해 감독이 수시로 교체되고 있는 국가대표팀 중 하나다.
그래도 2027년 AFC 아시안컵 예선 플레이오프에서 마카오를 1차전에서 3-0으로 격파한 뒤 2차전에서도 1-0 승리를 거두며 브루나이 축구 역사상 첫 아시안컵 최종 예선 진출의 쾌거를 이뤄냈고 2027년 AFC 아시안컵 최종 예선 B조 2차전에서도 202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1차 예선 탈락팀 중 승률 1위팀인 부탄마저 2-1로 꺾고 아시안컵 최종 예선 첫 승을 올렸다.
주목할 만한 선수로는 하사날 볼키아 국왕의 조카이자 현재 태국 리그 1의 랏차부리 미트르 폴의 미드필더로 활동하고 있는 파이크 볼키아가 있으나 그 외의 브루나이 대표팀 선수들은 거의 대부분 자국 소속팀에서 뛰고 있다.
현재 유니폼 스폰서는 로또이다.
3. 역대전적
3.1. FIFA 월드컵
| 연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점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 영국의 보호국 | |||||||||
| 1930 우루과이 | 축구협회 창립 이전 (브루나이국) | ||||||||
| 1934 이탈리아 | |||||||||
| 1938 프랑스 | |||||||||
| 1950 브라질 | |||||||||
| 1954 스위스 | FIFA 비회원국 | ||||||||
| 1958 스웨덴 | |||||||||
| 1962 칠레 | |||||||||
| 1966 잉글랜드 | |||||||||
| 1970 멕시코 | 불참 | ||||||||
| 1974 서독 | |||||||||
| 1978 아르헨티나 | |||||||||
| 1982 스페인 | |||||||||
| ※ 브루나이 다루살람 | |||||||||
| 1986 멕시코 | 본선 진출 실패[24개국] | ||||||||
| 1990 이탈리아 | 불참 | ||||||||
| 1994 미국 | |||||||||
| 1998 프랑스 | |||||||||
| 2002 한일 | 본선 진출 실패[32개국] | ||||||||
| 2006 독일 | 불참 | ||||||||
| 2010 남아공 | |||||||||
| 2014 브라질 | 회원국 자격 정지 | ||||||||
| 2018 러시아 | 본선 진출 실패[32개국] | ||||||||
| 2022 카타르 | |||||||||
| 2026 캐나다/멕시코/미국 | 본선 진출 실패[48개국] | ||||||||
| 2030 스페인/포르투갈/모로코 | ? | ? | ? | ? | ? | ? | ? | ? | ? | 
| 2034 사우디 | ? | ? | ? | ? | ? | ? | ? | ? | ? | 
| 합계 | 본선진출 없음 | ||||||||
3.2. AFC 아시안컵
| 대회 | 결과 | 순위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 영국의 보호국 | |||||||||
| 1956 홍콩 | AFC 비회원국 | ||||||||
| 1960 대한민국 | |||||||||
| 1964 이스라엘 | |||||||||
| 1968 이란 | |||||||||
| 1972 태국 | 본선 진출 실패[6개팀] | ||||||||
| 1976 이란 | |||||||||
| 1980 쿠웨이트 | 기권 | ||||||||
| ※ 브루나이 다루살람 | |||||||||
| 1984 상가포르 | 기권 | ||||||||
| 1988 카타르 | 불참 | ||||||||
| 1992 일본 | |||||||||
| 1996 아랍에미리트 | |||||||||
| 2000 레바논 | 본선 진출 실패[12개팀] | ||||||||
| 2004 중국 | 본선 진출 실패[16개팀] | ||||||||
| 2007 아세안 | 불참 | ||||||||
| 2011 카타르 | 본선 진출 실패[16개팀] | ||||||||
| 2015 호주 | 기권 | ||||||||
| 2019 아랍에미리트 | 본선 진출 실패[24개팀] | ||||||||
| 2023 카타르 | |||||||||
| 2027 사우디 | |||||||||
| 합계 | 본선진출 없음 | ||||||||
3.3. 동남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
| 대회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싱가포르 1996 | 조별리그 | 8위 | 4 | 1 | 0 | 3 | 1 | 15 | 3 | 
| 베트남 1998 | 예선 탈락 | ||||||||
| 태국 2000 | 기권 | ||||||||
| 인도네시아&싱가포르 2002 | 불참 | ||||||||
| 말레이시아&베트남 2004 | |||||||||
| 싱가포르&태국 2007 | 예선 탈락 | ||||||||
| 인도네시아&태국 2008 | |||||||||
| 인도네시아&베트남 2010 | 회원국 자격 정지 | ||||||||
| 말레이시아&태국 2012 | 예선 탈락 | ||||||||
| 싱가포르&베트남 2014 | |||||||||
| 미얀마&필리핀 2016 | |||||||||
| 홈&어웨이 2018 | |||||||||
| 싱가포르 2020 | 기권 | ||||||||
| 홈&어웨이 2022 | 조별리그 | 10위 | 4 | 0 | 0 | 4 | 2 | 22 | 0 | 
| 홈&어웨이 2024 | 예선 탈락 | ||||||||
| 합계 | 본선진출 2회[12] | 8 | 1 | 0 | 7 | 3 | 37 | 3 | |
4. 연령별 대표팀
4.1. U-23 대표팀
4.1.1. AFC U-23 아시안컵
| 연도 | 결과 | 순위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 AFC U-23 챔피언십 대회 | |||||||||||
| 2014 오만 | 불참 | ||||||||||
| 2016 카타르 | 예선 탈락 | ||||||||||
| 2018 중국 | |||||||||||
| 2020 태국 | |||||||||||
| AFC U-23 아시안컵 [13] | |||||||||||
| 2022 우즈베키스탄 | 기권 | ||||||||||
| 2024 카타르 | 예선 탈락 | ||||||||||
| 2026 사우디아라비아 | |||||||||||
| 합계 | 본선진출 없음 | ||||||||||
4.2. U-20 대표팀
4.2.1. AFC U-20 아시안컵
| 연도 | 결과 | 순위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 AFC youth 챔피언십 | |||||||||||
|  | AFC 비회원국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조별리그 | 16위 | 0 | 3 | 0 | 0 | 3 | 1 | 19 | ||
|  | 불참 | ||||||||||
|  | 조별리그 | 17위 | 0 | 4 | 0 | 0 | 4 | 0 | 36 | ||
|  | 불참 | ||||||||||
|  | 조별리그 | 16위 | 0 | 3 | 0 | 0 | 3 | 1 | 17 | ||
|  | 조별리그 | 16위 | 0 | 3 | 0 | 0 | 3 | 1 | 22 | ||
|  | 기권 | ||||||||||
|  | 불참 | ||||||||||
|  | |||||||||||
|  | 예선 탈락 | ||||||||||
|  | 불참 | ||||||||||
|  | 기권 | ||||||||||
|  | 불참 | ||||||||||
|  | 기권 | ||||||||||
|  | 불참 | ||||||||||
|  | |||||||||||
|  | 예선 탈락 | ||||||||||
|  | |||||||||||
|  | |||||||||||
|  | |||||||||||
|  | |||||||||||
|  | |||||||||||
|  | 불참 | ||||||||||
| AFC U-19 챔피언십[14] | |||||||||||
|  | 불참 | ||||||||||
|  | |||||||||||
|  | 실격 | ||||||||||
|  | 예선 탈락 | ||||||||||
|  | |||||||||||
|  | |||||||||||
| AFC U-20 아시안컵 | |||||||||||
|  | 예선 탈락 | ||||||||||
|  | |||||||||||
|  | ? | ? | ? | ? | ? | ? | ? | ? | ? | ||
| 합계 | 본선진출 4회[15] | 0 | 13 | 0 | 0 | 13 | 3 | 94 | |||
4.3. U-17 대표팀
4.3.1. AFC U-17 아시안컵
| 연도 | 결과 | 순위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AFC U-16 Championship | |||||||||
|  | 불참 | ||||||||
|  | |||||||||
|  | 예선 탈락 | ||||||||
|  | 불참 | ||||||||
|  | |||||||||
|  | |||||||||
|  | 기권 | ||||||||
|  | 예선 탈락 | ||||||||
|  | |||||||||
| AFC U-17 Championship | |||||||||
|  | 예선 탈락 | ||||||||
|  | 기권 | ||||||||
|  | 불참 | ||||||||
| AFC U-16 Championship | |||||||||
|  | 불참 | ||||||||
|  | |||||||||
|  | |||||||||
|  | 예선 탈락 | ||||||||
|  | 기권 | ||||||||
|  | 예선 탈락 | ||||||||
| AFC U-17 아시안컵 | |||||||||
|  | 예선 탈락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합계 | 본선진출 없음 | ||||||||
5. 국가별 전적
5.1. 대한민국과 전적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E6002D> | 국가별 상대전적 | 
| {{{#002395,#6b90ff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555555,#ABABAB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
| <colcolor=#fff> 대표팀 | 국가 | 최다득점 | 최근 전적 | |||||
| <colcolor=#fff> M | <colcolor=#0f0> W | <colcolor=#ff0> D | <colcolor=#f00> L | <colcolor=#fff> + | <colcolor=#fff> - | <colcolor=#fff> ± | ||
| <rowcolor=#fff> |  | |||||||
| A매치 전적없음 | ||||||||
| <rowcolor=#fff> |  | 손흥민(5) | 5:0 승 (2015) | |||||
| 5 | 5 | 0 | 0 | 28 | 0 | +28 | ||
| <rowcolor=#fff> |  | 차범근(9) | 3:3 무 (2024) | |||||
| 47 | 26 | 13 | 8 | 81 | 45 | +36 | ||
| <rowcolor=#fff> |  | 차범근(6) | 4:0 승 (2015) | |||||
| 27 | 15 | 7 | 5 | 42 | 15 | +27 | ||
| <rowcolor=#fff> |  | 조윤옥(7) | 6:0 승 (2023) | |||||
| 25 | 17 | 6 | 2 | 66 | 21 | +45 | ||
| <rowcolor=#fff> |  | 정해원 등 3명(1) | 3:0 승 (1980) | |||||
| 1 | 1 | 0 | 0 | 3 | 0 | +3 | ||
| <rowcolor=#fff> |  | 이영무 등 3명(5) | 7:0 승 (2024) | |||||
| 28 | 23 | 3 | 2 | 97 | 19 | +78 | ||
| <rowcolor=#fff> |  | 차범근(6) | 1:0 승 (2007) | |||||
| 36 | 30 | 4 | 2 | 84 | 19 | +65 | ||
| <rowcolor=#fff> |  | 김진국 등 3명(4) | 2:1 승 (1974) | |||||
| 7 | 6 | 0 | 1 | 22 | 4 | +18 | ||
| <rowcolor=#fff> |  | 김재한(9) | 3:0 승 (2024) | |||||
| 47 | 31 | 8 | 8 | 90 | 37 | +53 | ||
| <rowcolor=#fff> |  | 신현호(4) | 1:0 승 (2019) | |||||
| 8 | 8 | 0 | 0 | 37 | 0 | +37 | ||
| <rowcolor=#fff> |  | 손흥민 등 5명(2) | 2:1 승 (2024) | |||||
| 29 | 9 | 11 | 9 | 30 | 29 | +1 | ||
| ■: 우세 | ■: 백중세 | ■: 열세 | ||||||||
|  | ||||||||
|  | <colcolor=#fff> 역대 전적 |  | 
|  | A매치 |  | 
| <nopad> 1 전[🏟️] | ||
| <colbgcolor=#000><colcolor=#fff> 0 승 | <nopad> 0 무 | <colbgcolor=#000><colcolor=#fff> 1 승 | 
| 0 득점 (-3) | <nopad> | 3 득점 (+3) | 
| <rowcolor=#fff> 없음 | 최다득점자 | 정해원 등 3명(1) | 
|  | 선수 기록 |  | 
| <nopad> 최근경기: 대한민국 승 (1980) | ||
브루나이의 한국전 성적은 1패.
1980년 모스크바 올림픽 예선이 처음이자 마지막 경기였으며 당시 경기에서 한국이 3-0으로 완승했다. 이후로는 현재까지 양 팀이 서로 마주친 적은 없다.
| <nopad> 1980-03-31 |  | ||||
| <nopad> 3:0 | |||||
|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1980 올림픽 예선 경기 상세내용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1980 모스크바 올림픽 남자축구 아시아예선 2조 1차예선 조별리그 12경기[1980OQ] | ||||
| 일시: 1980년 3월 31일 20:45[UTC+8] | 장소: | ||||
| 주심: | 경기장: 메르데카 스타디움 | ||||
| <colbgcolor=#fff><colcolor=#c69> 조광래 박상인 | 3:0 (2:0) | <colbgcolor=#fff><colcolor=#c69> - | |||
| 정해원 | - | ||||
| 감독: | 승 | 감독: | |||
| 2조 타팀 결과 | (10경기) (11경기) | ||||||||
| 올림픽 1차예선 조별리그 12경기 종료 후 2조 순위[20] | |||||||||
| <rowcolor=#fff> 국가 | R | <colcolor=#14f> P | M | <colcolor=#0f0> W | <colcolor=#ff0> D | <colcolor=#f00> L | + | - | ± | 
| <rowcolor=#fff> | • 1 | 7 | 4 | 3 | 1 | 0 | 13 | 3 | +10 | 
| <rowcolor=#fff> |  | 6 | 4 | 3 | 0 | 1 | 14 | 4 | +10 | 
| <rowcolor=#fff> |  | 5 | 4 | 2 | 1 | 1 | 14 | 4 | +10 | 
| <rowcolor=#fff> | • 4 | 4 | 4 | 2 | 0 | 2 | 6 | 8 | -2 | 
| <rowcolor=#fff> | • 5 | 2 | 4 | 1 | 0 | 3 | 7 | 11 | -4 | 
| <rowcolor=#fff> | • 6 | 0 | 4 | 0 | 0 | 4 | 0 | 22 | -24 | 
[1] 말레이어[2] 영어[24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32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32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48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6개팀] (6강) 본선 아시안컵에 진출 실패했다.[12개팀] (12강) 본선 아시안컵에 진출 실패했다.[16개팀] (16강) 본선 아시안컵에 진출 실패했다.[16개팀] (16강) 본선 아시안컵에 진출 실패했다.[24개팀] (24강) 본선 아시안컵에 진출 실패했다.[12] 최고순위 8위(1996 싱가포르)[13] 2028 대회 부터는 4년 주기로 변경 (올림픽 예선)[14] 이 대회부터 3.4위전 폐지[15] 최고순위 16위(1970, 1974, 1975)[🏟️] 중립 경기: 1
BRU 홈 경기: 0
KOR 홈 경기: 0[17]
1골, 조광래, 박상인, 정해원[1980OQ] 1980년 올림픽 남자축구 아시아예선 2조 1차예선은 총 6팀으로 편성되었다. 각 대표팀별 5경기씩 총 15경기가 진행되며, 한국은 2경기, 5경기, 7경기, 12경기, 15경기를 진행하였다. 배번은 각 경기 일정별 순서이다. 예선전은 모두 말레이시아에서 진행된다.[UTC+8] [20] 당시 승리팀 승점은 2점이었다. 조 1, 2위는 2차예선 단판 플레이오프에 진출한다. 8경기 종료 후 필리핀의 탈락이 확정되었다. 11경기 종료 후 인도네시아의 탈락 역시 확정되었다.
	
	
	
	
	
	
	BRU 홈 경기: 0
KOR 홈 경기: 0[17]
1골, 조광래, 박상인, 정해원[1980OQ] 1980년 올림픽 남자축구 아시아예선 2조 1차예선은 총 6팀으로 편성되었다. 각 대표팀별 5경기씩 총 15경기가 진행되며, 한국은 2경기, 5경기, 7경기, 12경기, 15경기를 진행하였다. 배번은 각 경기 일정별 순서이다. 예선전은 모두 말레이시아에서 진행된다.[UTC+8] [20] 당시 승리팀 승점은 2점이었다. 조 1, 2위는 2차예선 단판 플레이오프에 진출한다. 8경기 종료 후 필리핀의 탈락이 확정되었다. 11경기 종료 후 인도네시아의 탈락 역시 확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