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23 10:59:26
관련 문서: 카오스(유희왕) #!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1 . 개요2 . 설명3 . 수록 팩 일람4 . 관련 카드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의 최상급 효과 몬스터 카드.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특수 소환=, 한글판명칭=카오스 엠페러 드래곤 -종언-, 일어판명칭=<ruby>混沌帝龍<rp>(</rp><rt>カオス・エンペラー・ドラゴン</rt><rp>)</rp></ruby> -<ruby>終焉<rp>(</rp><rt>しゅうえん</rt><rp>)</rp></ruby>の<ruby>使者<rp>(</rp><rt>ししゃ</rt><rp>)</rp></ruby>-, 영어판명칭=Chaos Emperor Dragon - Envoy of the End, 속성=어둠, 레벨=8, 공격력=3000, 수비력=2500, 종족=드래곤족, 효과1=이 카드는 일반 소환 / 세트할 수 없다. 자신의 묘지의 빛 속성과 어둠 속성 몬스터를 1장씩 게임에서 제외하고 특수 소환한다. 1000 라이프 포인트를 지불하는 것으로\, 서로의 패와 필드 위에 존재하는 모든 카드를 묘지로 보낸다. 이 효과로 묘지로 보낸 카드 1장당 상대 라이프에 300 포인트 데미지를 준다.)]리미트 레귤레이션
[[리미트 레귤레이션(유희왕 러시 듀얼)|
러시 듀얼
]]
러시듀얼@ 혼돈의 지배 에서 등장한
카오스 3종 세트 중 하나.
카오스 솔저 의 리메이크인
카오스 솔저 -개벽- 의 대척점으로서 만들어진 OCG 오리지널 몬스터로, 개벽과 능력치가 동일하며 이름과 속성은 반대다.
일본명은 "카오스 엠페러 드래곤 -종언의 사자-"인데, 한글판에선 '사자' 부분이 빠지며 그냥 '종언'이 되었다.
코나미가 실수로 찍어냈다는 말이 돌 정도로 답이 없는 사기 카드. 빛 속성, 어둠 속성 몬스터에 범용성이 높은 카드들이 득실거리니 아무 생각 없이
굿 스터프 형식의 덱만 짜도 이 카드의 소환 조건은 간단히 채울 수 있었다. 심지어 공격력과 수비력이
드래곤 자각의 선율 의 범위 내에 들어가서 서치조차 비교적 간단하다.
그렇게 소환된 이 카드는 1000 LP만 지불하면 모든 걸 쓸어버리고 갈려나간 카드에 비례해 상대방에게만 데미지를 입히는 명백한 사기 효과를 지니고 있다. 거기다
파괴 가 아니라
묘지로 보낸다 라서 파괴 내성도 소용이 없고, 대상을 지정하지 않는 광역 효과라서 대상 지정 내성을 가진 카드들도 이 카드 앞에선 모조리 쓸려버린다.
보통 이렇게 강력한 데미지를 주는 카드는 자신도 같은 데미지를 받아야 상대에게도 데미지를 줄 수 있는데, 이놈은 그렇지도 않다. 1000 LP만 지불하면 바로 발동된다. 게다가 특수 소환 몬스터 주제에 그 소환 조건이 어이없을 정도로 간단한 데다 능력치는
푸른 눈의 백룡 급인지라 효과가 막혀도 어지간한 몬스터는 죄다 전투로 씹어먹는다. 이 카드가 나왔을 당시에
고통의 선택 으로 빛 속성 어둠 속성 몬스터를 2~3장씩 지정하고 나머지를 묘지로 보내고 패의 종언을 쉽게 소환해서 선턴에 서로의 패와 필드를 전부 클린하는 무서운 콤보도 존재할 정도다.
과거 이 놈이 날뛰던 당시에 똑같이 패와 필드가 날아가는데도 불구하고 종언의 효과를 쓴 쪽이 유리했던 까닭은 후술할 야타 까마귀와의 콤보 뿐만이 아니라 필드 클린과 동시에 굉장한 LP 차이를 만들어내기 때문이었다. 중반 쯤 해서 둘 다 LP가 적당히 떨어졌을 무렵 나와서 효과를 쓰면 그대로 게임이 끝날 정도.
굳이 나오자마자 효과를 안 써도 저 능력치로 잘 죽지도 않기에 길게 버텨가면서 상대를 두들겨 팬 후 상대 LP가 얼마 안 남았다 싶으면 메인 페이즈 2에 바로 효과를 질러서 마무리할 수도 있었다.
특히, 이 카드의 효과를 쓰기 전에
크리터 나
검은 숲의 마녀 를 세트해두고 효과 발동 후에 이 녀석들의 효과로
야타 까마귀 를 서치하는 흉악한 콤보가 악명이 높았다. 묘지에
네크로 가드너 같은 녀석을 미리 묻어놓지 못했다면 상대는
드로우도 못하고 계속 맞다가 패배 할 수밖에 없었다. 당연히 이 콤보를 구성하는 카드는 모두가 금지의 관짝에 던져졌다.
만약 이 카드가 에라타 없이 풀려 있다고 가정해 보면, 12기 시점에서도 엄청나게 위험한 효과다. 패털이 카드 대부분이 금지 카드로 지정된 것을 감안하면, 비록 밑준비가 좀 필요하다곤 해도 어떻게든 이 카드로 상대 패를 털기 위한 전용덱이 탄생할 것이다. 마침
카오스 테리토리 나
휘광룡 세이퍼트 등으로 서치도 가능하니,
드래곤 링크 같은 덱에서
혼원룡 레비오니아 를 대체하는 고점 카드로 활약할지도 모른다.
그렇게 2003년~2004년의 환경을 제대로 박살내놓은 이 카드는 발매 496일만에 금지 카드로 등극하며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는 듯 했다.
{{{#!wiki style="margin: -10px -10px; padding:5px 0"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CA001C>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V점프 동봉 카드(2015년)
}}} ||
}}}}}}}}} ||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특수 소환=,
한글판명칭=카오스 엠페러 드래곤 -종언-,
일어판명칭=<ruby>混沌帝龍<rp>(</rp><rt>カオス・エンペラー・ドラゴン</rt><rp>)</rp></ruby> -<ruby>終焉<rp>(</rp><rt>しゅうえん</rt><rp>)</rp></ruby>の<ruby>使者<rp>(</rp><rt>ししゃ</rt><rp>)</rp></ruby>-,
영어판명칭=Chaos Emperor Dragon - Envoy of the End,
속성=어둠, 레벨=8, 공격력=3000, 수비력=2500, 종족=드래곤족,
효과외1=이 카드는 통상 소환할 수 없다. 자신 묘지에서 빛 / 어둠 속성 몬스터를 1장씩 제외했을 경우에만 특수 소환할 수 있다. 이 카드의 효과를 발동하는 턴에\, 자신은 다른 효과를 발동할 수 없다.,
효과1=①: 1턴에 1번\, 1000 LP를 지불하고 발동할 수 있다. 서로의 패 / 필드의 카드를 전부 묘지로 보낸다. 그 후\, 이 효과로 상대 묘지로 보낸 카드의 수 × 300 데미지를 상대에게 준다.)]
이후 별다른 제제 완화 없이 금지의 자리를 유지하다가 다른 금지 카드들과 함께 에라타 되고 2015년 1월부터 제한 카드가 되었다.
효과에 많은 제약이 걸렸다. 우선 소환시 경우에
만 이라는 텍스트가 붙어 소생이 굉장히 어려워졌다. 번 데미지를
상대 카드에만 의존하도록 바꾸면서 자신의 카드를 잔뜩 늘려 데미지를 늘리는 꼼수가 불가능해졌으며, 필드 클린 후 묘지에서 몬스터들이 튀어나오는 일이 없도록
다른 카드의 효과 발동을 막아버린 데다, 1턴에 1번 제한을 뒀다. 물론
섀도르 처럼 묘지에 보내졌을 때나 경우에 발동하는 효과 역시 자신의 카드 효과는 발동되지 않고, 상대의 카드 효과만이 발동된다. 이 텍스트는
맹세 라서, 종언의 효과를 쓰기 전에 다른 효과를 쓰면 발동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이 카드를 서치하고 바로 소환할 경우 그 턴에 효과를 쓸 수 없다. 이 에라타 때문에 이 카드의 하위 호환으로 발매된
천마신 노레라스 는 가능한
팬텀 오브 카오스 로 복사해 효과를 쓰는 게 이 카드로는 이제 불가능해졌다.
하지만
발동 만 안 하면 되므로, 발동하지 않고
룰 효과 로 특수 소환되는
인페르노이드 는 나올 수 있다. 실제로 이를 이용해 종언을 집어넣은 인페르노이드 덱이
결승에 진출하기도 했다. 물론 효과를 발동하지 않아도 레벨 8/드래곤족/쉬운 특수 소환 조건이란 축복받은 스펙 덕분에
카오스 드래곤 덱의 새로운 희망이었다. 또한 버제스토마 함정 몬스터들은 몬스터의 효과를 받지 않으니 서로의 필드와 패를 털어도 여전히 필드위에 남으니 여차하면 싹쓸이와 번데미지 후 그걸로 직공을 날리거나 벽으로 써도 된다.
이 카드와 병용하기 좋은 카드로는
아크브레이브 드래곤 이 있다. 아크브레이브 드래곤의 효과는 묘지로 보내진 뒤의 상대 턴에 발동하는 것이기 때문에 종언의 디메리트에 걸리지 않고, 묘지에 조건이 맞는 드래곤족 몬스터가 있기만 하면 소생시킬 수 있으므로 다음 턴의 우위를 보장해줄 수 있다.
제라의 천사 또한 다음 턴에 효과를 발동하기 때문에 제라의 천사를 코스트로 해서 이 카드를 소환하면 디메리트에 걸리지 않는다.
2015년 4월
혼돈의 흑마술사 도 에라타되고 제한으로 내려오면서 과거
혼돈의 지배 에서 등장했던
카오스 솔저 -개벽- , 카오스 엠페러 드래곤 -종언-,
혼돈의 흑마술사 의 카오스 삼대장이 모두 금지에서 풀려났다.
2015년 10월 혼돈의 흑마술사와 함께 무제한으로 풀렸다. 효과 자체는 아직 나쁘다고는 볼 수 없지만 역시 1턴간 플레이가 제한되는 디메리트 때문에 채용률이 좋지 못했던 탓으로 보인다.
펜듈럼 소환 의 영향으로 필드 처리 효과도 애매해지기도 했다.
결국 너무나 많은 제약이 붙어 쓰기 어려워진 효과와 확실하게 보장이 되지 않는 번뎀 등의 문제로 인해 과거의 악명에 비하면 이제는 보이지 않는 카드가 되었다. 그래서
유희왕 마스터 듀얼 에서는 형제 카드인 개벽이 당당히 UR로 발매될 때 꼴랑 R등급 잡카드로 전락하는 수모를 겪었다.
TCG에선 2015년 4월 다른 에라타 카드들은 모조리 금지가 풀린 와중에 여전히 금지였다. 이후 SHONEN JUMP membership Promotional Card로 에라타 버전이 나오며 2019년 1월 28일에 제한, 2019년 7월 15일에 준제한, 2019년 10월 14일에 무제한이 됐다.
전술한 대로 원래
카오스 솔저 -개벽- 과는 달리 원작과는 티끌만큼의 관련도 없었던 OCG 오리지널 몬스터였지만,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에서는 정작 종언 쪽이 더 먼저 등장했다.
작중에서는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KC 그랑프리 편 에서
카이바 세토 가
지크 로이드 와의 듀얼 중 사용. 당시 카이바의 LP가 1000 이하라
비상 식량 효과로 LP를 채운 후 전체 매장 효과를 발동했으며, 당시까지만 해도 카이바에게 불리했던 전황을 단번에 뒤집고 지크 로이드에게 1500 데미지를 주고 자기도 전체 매장 효과에 의해 자멸. 후에
차원 융합 으로 에메랄드 드래곤,
푸른 눈의 백룡 3장과 함께 부활하지만, 정작 카오스 엠페러 드래곤은
지크 로이드 의
브륜힐데 와 공격력이 같은 상황에서 동귀어진하려 했으나, 브륜힐데가 효과로 파괴를 면해 혼자만 파괴됐다. 결국 카이바는 남은 백룡 3장으로 지크 로이드를 보내버렸다.
효과명은 '세머터리 오브 파이어(セメタリー・オブ・ファイヤー / Cemetery Of Fire)'.
왕의 기억 편 최후반부에는
어둠의 유우기 와의 싸움의 의식 전에 카이바가
무토우 유우기 에게 넘기려 했던 케이스에 들어있던 수많은 카드 중에도 이게 있었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 에서는
유우키 쥬다이 vs
카구라자카 의 듀얼 중 카구라자카가
카오스 솔저 -개벽- 을 불러내는 것을 보고
미사와 다이치 가 이 카드를 함께 언급한다. 너무 강력한 카드라
작중 세계관에서도 금지 카드라고 한다. 개벽은 금지는 아니지만 그에 필적하는 카드라고. 이후
만죠메 쥰 의 큰형 만죠메 쵸사쿠도 만죠메와 듀얼할 때 덱에 이 카드를 갖고 있었지만 등장하진 않았다.
빛의 결사 편 에서도
무토우 스고로쿠 가 거북 게임점에 전시 중인 카드로 등장.
유희왕 ZEXAL 에선 소환 조건이 좀 까다롭지만 훨씬 더 강한
카오스엔드 룰러 -개벽과 종언의 지배자- 가 나왔다. 작중에서
리쿠오&카이오 가 이게 들어있는 덱을 노리고 미술관을 털려는 계획을 세웠다. 다만 미술관에 보관된 카드 중 하나로 지나가듯이 나왔을 뿐, 카드가 실제로 듀얼에 쓰이진 않았다.
이 카드가 발매된 날짜가 2003년 4월 24일이었는데(3기 부스터 중 하나인 '혼돈을 지배하는 자(混沌を制す者)' 에서 나왔다), 그 후 2003년 7월 1일에 제한, 2004년 9월 1일에 비로소 금지가 됐는데 그 이전까지만 해도 이 카드는 플레이어들에게 말 그대로 카오스를 선사했다. 그 기간이 무려 496일.
다크 다이브 봄버 (290일)보다도 길었다. 특히 이 카드가
무제한 이었던 2003년 4월 24일~6월 30일은 OCG의 암흑기였다.
이 카드와 비슷하지만 좀 더 약화된 효과를 지닌 카드들로
천마신 노레라스 ,
종언의 왕 데미스 ,
해룡신-네오다이달로스 가 있다. 정확하겐 얘가 금지로 가버리면서 이 녀석의 효과를 약화시켜서 낸게 천마신과 데미스이고, 네오다이달로스는 필드+패 클린은 똑같지만 번 대미지가 없고, 코스트도 필드 마법이며, 무엇보다 네오다이달로스가 잔류한다는 차이점이 존재한다는 점에서 그냥 효과가 비슷한 별개의 카드라 보면 된다. 소환 조건 면에서도 별 연관이 없는데다가 종언이 압도적으로 내기 쉽다.
유희왕 태그 포스 6에선
잭 아틀라스 가 금제 무시 덱 홍련의 악마에서
3장 채워서 들고 나왔다. 유희왕 월드 챔피언십 2008 에선 혼돈의 세계 네오스페이스 맵에 살고 있는
이블 히어로 마리셔스 에지 를 이기면
이 카드가 너에게 가고 싶어한다 라며
이 카드를 선물로 줄 때가 있다. 발매 당시 기준으로 금지 카드였기 때문에 클리어 후 해금되는 금지 카드 1장 투입 허가 모드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
20th 레전더리 드래곤즈에서
트리슈라 (
융합 )/
저지먼트 (
싱크로 )/
다크 암드 (
엑시즈 ), V점프에서
암흑 메탈 드래곤 (
링크 )와 함께 리메이크 대상이 됐고, 펜듈럼 몬스터인
종언룡 카오스 엠페러 로 재탄생했다.
3. 수록 팩 일람 수록 시리즈 2003-04-2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306-056 | 混沌を制す者 2004-01-2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BPT-J02 | BOOSTER PACK COLLECTORS TIN 2004 2005-03-17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EE2-JP056 | EXPERT EDITION Volume 2 2015-01-2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VJMP-JP096 | Vジャンプ 2015年 3月号 付録カード 2015-12-19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MP01-JP005 | MILLENNIUM PACK 2016-12-17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0AP-JP028 | 20th ANNIVERSARY PACK 1st WAVE 2004-03-0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OC-000 | INVASION OF CHAOS 2005-06-1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TLM-ENSE2 | THE LOST MILLENNIUM SPECIAL EDITION 2005-10-2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R2-EN056 | DARK REVELATION Volume 2 2010-04-2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PKB-EN016 | DUELIST PACK - KAIBA - 2019-02-0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JUMP-EN086 | SHONEN JUMP membership Promotional Card - February 2019 - 2020-06-19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TOCH-EN030 | TOON CHAOS 2023-04-2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OC-EN000 | INVASION OF CHAOS (LC01 25th Anniversary Edition) 2005-06-28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OC-KR000 | 혼돈의 지배 2006-11-17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HGP2-KR056 | 하이 그레이드 팩 Vol.2 2008-12-0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ESP3-KR017 | 익스팬션 팩 Vol.3 2015-07-17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CP2-KR002 | 듀얼리스트 카드 플레이매트 - 결투왕의 기억 - 2016-09-0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MP01-KR005 | 밀레니엄 팩 2017-04-18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0AP-KR028 | 크로니클 팩 1st WAVE
4. 관련 카드전용 서포트 카드.
쌍을 이루는 관계의 카드.
펜듈럼 버전 리메이크 카드.
카오스 엠페러 드래곤 -종언-의 컨셉을 물려받은 카드.
카오스 엠페러 드래곤 -종언-의 디자인을 베이스로 디자인된 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