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26 13:05:43

조지 호수 전투


7년 전쟁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ABCDED,#0E0F37>전쟁교전세력
교전세력
네세시티 요새 전투
,1754년 7월 4일,
프랑스 식민지 군 영국 민병대
머농거힐라 전투
,1755년 7월 9일,
프랑스 영국
조지 호수 전투
,1755년 9월 8일,
영국 프랑스
메노르카 해전
,1756년 5월 20일,
프랑스 영국
로보지츠 전투
,1756년 10월 1일,
프로이센 오스트리아
캘커타 전투
,1757년 2월 4일,
영국 벵골
라이헨베르크 전투
,1757년 4월 21일,
프로이센 오스트리아
프라하 전투
,1757년 5월 6일,
프로이센 오스트리아
콜린 전투
,1757년 6월 18일,
오스트리아 프로이센
플라시 전투
,1757년 6월 23일,
영국-벵골국 프랑스
하스텐베크 전투
,1757년 7월 26일,
프랑스 영국-프로이센
그로스예거스도르프 전투
,1757년 8월 30일,
러시아 프로이센
모이 전투
,1757년 9월 30일,
오스트리아 프로이센
카프-프랑수아 해전
,1757년 10월 21일,
프랑스 (무승부) 영국 (무승부)
로스바흐 전투
,1757년 11월 5일,
프로이센 오스트리아
브레슬라우 전투
,1757년 11월 22일,
오스트리아 프로이센
로이텐 전투
,1757년 12월 5일,
프로이센 오스트리아
쿠달로르 해전
,1758년 4월 29일,
프랑스 영국
루이스버그 전투
,1758년 6월 8일,
영국 프랑스
크레펠트 전투
,1758년 6월 23일,
영국-하노버-헤센-브라운슈바이크 프랑스
돔슈테트 공습
,1758년 6월 30일,
오스트리아 프로이센
카리용 요새 전투
,1758년 7월 8일,
프랑스 영국
잔더스하우젠 전투
,1758년 7월 23일,
프랑스 헤센
네가파탐 해전
,1758년 8월 3일,
영국 프랑스
미어 전투
,1758년 8월 5일,
프랑스 영국-하노버-헤센-브라운슈바이크
조른도르프 전투
,1758년 8월 25일,
프로이센 (무승부) 러시아 (무승부)
생 카스 전투
,1758년 9월 11일,
프랑스 영국
토르노프 전투
,1758년 9월 26일,
프로이센 스웨덴
페흐벨린 전투
,1758년 9월 28일,
스웨덴 프로이센
1차 루텐베르크 전투
,1758년 10월 10일,
프랑스 영국-하노버
호크키르히 전투
,1758년 10월 14일,
오스트리아 프로이센
구스토우 전투
,1758년 11월 18일,
프로이센 스웨덴
베르겐 전투
,1759년 4월 13일,
프랑스 영국-하노버-헤센-브라운슈바이크
카이 전투
,1759년 7월 23일,
러시아 프로이센
보포르 전투
,1759년 7월 31일,
프랑스 영국
민덴 전투
,1759년 8월 1일,
프로이센-하노버 프랑스-작센
쿠너스도르프 전투
,1759년 8월 12일,
오스트리아-러시아 프로이센
라구스 해전
,1759년 8월 18일,
영국 프랑스
조라우 전투
,1759년 9월 2일,
프로이센 오스트리아
지나 전투
,1759년 9월 8일,
프로이센 오스트리아
프리셰스 하프 해전
,1759년 9월 10일,
스웨덴 프로이센
퐁디셰리 해전
,1759년 9월 10일,
영국 프랑스
아브라함 평원 전투
,1759년 9월 13일,
영국 프랑스
코르비츠 전투
,1759년 9월 21일,
프로이센 오스트리아
호이어스베르다 전투
,1759년 9월 25일,
프로이센 오스트리아
막센 전투
,1759년 11월 20일,
오스트리아 프로이센
키브롱 만 해전
,1759년 11월 20일,
프로이센 스웨덴
풀다 전투
,1759년 11월 30일,
영국-하노버-헤센-브라운슈바이크 뷔르템베르크
마이센 전투
,1759년 12월 3일,
오스트리아 프로이센
완디와슈 전투
,1760년 1월 22일,
영국 프랑스
생트푸아 전투
,1760년 4월 28일,
영국 프랑스
란트슈트 전투
,1760년 6월 23일,
오스트리아 프로이센
코르바흐 전투
,1760년 7월 10일,
프랑스 영국-하노버-헤센-브라운슈바이크
엠스도르프 전투
,1760년 7월 16일,
영국-하노버-헤센-브라운슈바이크 프랑스
바르부르크 전투
,1760년 7월 31일,
영국-하노버-헤센-브라운슈바이크 프랑스
리그니츠 전투
,1760년 8월 15일,
프로이센 오스트리아
스트레일라 전투
,1760년 8월 20일,
프로이센 오스트리아
클로스터 캄펜 전투
,1760년 10월 16일,
프랑스 영국-프로이센-하노버-헤센-브라운슈바이크
토르가우 전투
,1760년 11월 3일,
프로이센 오스트리아
랑엔잘차 전투
,1761년 2월 15일,
프로이센-하노버 프랑스-작센
그륀베르크 전투
,1761년 3월 21일,
프랑스 프로이센-하노버
빌링하우젠 전투
,1761년 7월 16일,
영국-프로이센-하노버 프랑스
되벨른 전투
,1762년 5월 12일,
프로이센 오스트리아
빌헴스타흘 전투
,1762년 6월 24일,
영국-프로이센-하노버-헤센-브라운슈바이크 프랑스
부르케르스도르프 전투
,1762년 7월 21일,
프로이센 오스트리아
2차 루텐베르크 전투
,1762년 7월 23일,
영국-하노버-헤센-브라운슈바이크 프랑스-작센
라이헨바흐 전투
,1762년 8월 16일,
프로이센 오스트리아
프라이베르크 전투
,1762년 10월 29일,
프로이센 오스트리아
}}}}}}}}} ||

<colcolor=#fff> 조지 호수 전투
Battle of Lake George
Schlacht bei Lake George
파일:stories-Battle-Lake-George.jpg
<colbgcolor=#ABCDED,#0E0F37> 시기 1755년 9월 8일
장소

조지 호수
교전국 <rowcolor=black> 영국
(공세)
프랑스
(수세)
주요 인물
지휘관

파일:그레이트브리튼 왕국 국기.svg 윌리엄 존슨
파일:그레이트브리튼 왕국 국기.svg 윌리엄 에어
파일:그레이트브리튼 왕국 국기.svg 헨드릭 테야노긴 †
파일:그레이트브리튼 왕국 국기.svg 에프라임 윌리엄스 †
파일:그레이트브리튼 왕국 국기.svg 피니어스 라이먼
지휘관

파일:프랑스 왕국 국기.svg 장 에르망 디스카우
파일:프랑스 왕국 국기.svg 생피에르 †
병력 연합군: 1,920명
- 영국군: 1,720명
- 모호크 전사: 200명
연합군: 1,500명
- 프랑스군: 200명
- 캐나다 민병대: 600명
- 인디언: 700명
피해 사상자: 402명
- 전사자: 190명
- 실종자: 62명
- 부상자: 150명
사상자: 약 316명
- 전사자: 132명
- 부상자: 184명
결과 영국의 승리
영향 영국과 프랑스의 대립 격화
1. 개요2. 배경3. 전투 경과4. 결과

[clearfix]

1. 개요

프랜치-인디언 전쟁 시기인 1755년 9월 8일 뉴욕 조지 호수 남단에서 영국군과 프랑스군이 맞붙은 전투. 영국군은 이 전투에서 고전했으나 가까스로 승리를 거뒀고, 이후 양국의 군사 대립은 한층 더 격화된다.

2. 배경

이로쿼이 족의 영국 에이전트로 지명된 윌리엄 존슨 경은 1755년 8월 28일 프랑스 측이 '상 사크르망 호수(Lac Saint Sacrement)'라는 명칭을 붙인 호수의 남단에 도착했다. 그는 이 호수를 당시 영국 국왕 조지 2세를 기리고자 '조지 호수'로 개명했다. 존슨은 이 호수와 챔플레인 호수를 거쳐 진군하여 프랑스령 생 프레드릭 요새를 공략하여 크라운 포인트를 장악하기로 했다. 이 크라운 포인트는 영국군이 캐나다를 석권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장악해야 할 요충지였다.

한편, 크라운 포인트의 수비를 맡고 있던 프랑스군 사령관 장 에르망 디스카우는 적의 동태가 심상치 않다는 정보를 입수하고 크라운 포인트를 떠나 조지 호수와 챔플레인 호수 사이의 둔지에 진을 쳤다. 그해 9월 4일, 디스카우는 존슨의 주력군이 조지 호수를 떠났다고 판단하고 적의 빈틈을 노려 리만 요새를 공격하기로 결정했다. 이후 디스카우의 병사들은 남쪽으로 남하해 9월 7일 저녁에 리먼 요새 근방으로 접근했다.

이때 존슨은 리먼 요새에서 북쪽으로 23km 떨어진 곳에 진을 치고 있었는데, 척후병으로부터 적이 남쪽으로 이동했다는 급보를 접하자 적이 리먼 요새를 노리고 있다는 걸 눈치챘다. 그는 급히 요새에 전령을 보내 이 사실을 알리려 했지만 전령은 요새에 도착하지 못하고 중도에서 프랑스군에게 붙들렸다. 디스카우는 적의 주력군이 요새에서 멀지 않은 곳에 있다는 걸 눈치채고 그들을 먼저 격파하기로 판단해 군대의 방향을 틀었다.

자신이 보낸 전령이 붙들렸다는 걸 눈치채지 못한 존슨은 9월 8일에 에피라임 윌리엄스 대령에게 500명을 이끌고 남쪽으로 가서 리먼 요새를 지원하라고 명령했고, 뒤이어 나단 휘팅 대령에게도 별동대를 이끌고 리먼 요새로 가라고 지시했다. 이리하여 양측의 교전이 임박했다.

3. 전투 경과

약 1,500명의 병력을 확보한 디스카우는 숲을 통해 빠르게 전진하여 곧 존슨의 진영으로 이어지는 험준한 계곡으로 들어갔다. 캐나다 민병대와 인디언들이 숲 속을 이동하는 동안 정규병들은 길을 따라 행진했다. 그들은 호수에서 5km 떨어진 곳에 있었는데, 그들의 척후병들이 영국군 파견대가 다가오고 있다고 알린 탈영병을 데리고 왔다. 이에 디스카우는 매복을 준비했고, 오전 10시 30분 쯤 윌리엄스 대령의 분견대가 매복에 걸려 삽시간에 박살나 본진을 향해 패주했다. 에피라임 윌리엄스 대령과 이로쿼이 동맹에 속한 모호크족 추장 헨드릭 테야노긴이 이 전투에서 살해되었다. 이후 디스커우는 11시경에 그의 병력을 재편성했다.

한편, 존슨은 전방에서 총소리가 은은하게 들려오고 뒤이어 위급을 알리는 나팔소리를 들었다. 그는 즉시 진영 앞에 통나무들과 마차, 나무배 등으로 만든 급조된 바리케이드를 세웠다. 바리케이드는 진영의 좌측 언덕에서 우측 습지까지 뻗어있었다. 또한 도로에 세 개의 포대를 배치했고 네번째 포대는 언덕 꼭대기에 배치했다. 곧 매복에 걸려 패퇴한 병사들이 진영에 도착했다. 그들로부터 상황을 들은 존슨은 약 500명의 병사들에게 진영의 측면을 지키게 했고 나머지는 바리케이드 뒤에 자리를 잡았다.

낮 12시 30분, 디스커우의 프랑스군이 영국군의 진지에서 150야드 이내로 접근해왔다. 프랑스 정규군은 도로로 진군했고 캐나다 민병대와 인디언들은 숲을 통해 접근했다. 프랑스 정규군은 대열을 갖추고 일제 사격을 가하기 시작했다. 그러자 세 개의 포대를 운용하고 있던 영국군들이 일제히 포도탄을 발사했다. 결국 프랑스 정규병들은 적의 이같은 반격에 못 버티고 후퇴했다. 한편, 프랑스 분견대는 영국군 우익을 공격했으나 실패했다. 그러던 중 존슨이 부상을 입자 피네아스 리먼 소령이 대신 군대를 지휘했다.

한편, 프랑스에 가담한 인디언들은 습지를 넘어 우측으로 간신히 올라가 측면 사격을 개시했다. 그러나 그들은 언덕 꼭대기에서 포격을 가해오는 영국 포병대에게 밀려 패주했다. 그러던 중 디스커우는 방광에 총탄이 박히는 중상을 입고 쓰러졌다. 이후 프랑스군이 지리멸렬해지자, 영국군은 바리케이드를 넘어 프랑스군을 공격하기 시작했다. 이에 프랑스군은 질서정연하게 후퇴했고 디스커우는 전장에서 부상을 입은 채 쓰러져 있다가 붙잡혔다.

파일:800px-Johnson_saving_Dieskau.jpg
모호크족 인디언을 말려서 디스커우의 목숨을 구한 존슨. 벤자민 웨스트 작.

이때 한 모호크족 인디언이 추장을 죽인 디스커우에게 복수하기 위해 다가가자 윌리엄 존슨이 그 인디언을 말려서 그러지 못하게 했다. 이후 디스커우는 포로로 붙잡혀 있다가 1763년에야 프랑스로 돌아갔다. 이리하여 조지 호수 전투는 영국군의 승리로 막을 내렸다.

4. 결과

영국군은 190명이 전사하고 62명이 실종, 150명이 부상당했고 프랑스군은 132명이 전사하고 184명이 부상당했다. 영국군은 에피라임 윌리엄스 대령이 전사했고 총사령관 윌리엄 존슨이 중상을 입었으며, 모호크족은 추장 헨드릭 테야노긴이 전사했다. 프랑스군은 총사령관 장 에르망 디스카우가 중상을 입고 포로로 잡혔다.

이후 영국과 프랑스의 북미 식민지를 돌러싼 대립은 격화되었고, 양측은 조지 호수의 패권을 확보하기 위해 본격적으로 맞붙기 시작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