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277d 0%, #00309A 20%, #00309A 80%, #00277d); color: #d8d8d4"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이탈리아 왕국 | |||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
카밀로 벤소 디 카보우르 | 베티노 리카솔리 | 우르바노 라타치 | 루이지 카를로 파리니 | |
제5대 | 제6대 | 제2대2 | 제3대2 | |
마르코 밍게티 | 알폰소 페레로 라 마르모라 | 베티노 리카솔리 | 우르바노 라타치 | |
제7대 | 제8대 | 제5대2 | 제9대 | |
루이지 페데리코 메나브레아 | 조반니 란차 | 마르코 밍게티 | 아고스티노 데프레티스 | |
제10대 | 제9대2 | 제10대2 | 제11대 | |
베네데토 카이롤리 | 아고스티노 데프레티스 | 베네데토 카이롤리 | 프란체스코 크리스피 | |
제12대 | 제13대 | 제11대2 | 제12대2 | |
안토니오 스타라바 | 조반니 졸리티 | 프란체스코 크리스피 | 안토니오 스타라바 | |
제14대 | 제15대 | 제16대 | 제13대2 | |
루이지 펠룩스 | 주세페 사라코 | 주세페 차나르델리 | 조반니 졸리티 | |
제17대 | 제18대 | 제19대 | 제13대3 | |
톰마소 티토니 | 알레산드로 포르티스 | 시드니 손니노 | 조반니 졸리티 | |
제19대2 | 제20대 | 제13대4 | 제21대 | |
시드니 손니노 | 루이지 루차티 | 조반니 졸리티 | 안토니오 살란드라 | |
제22대 | 제23대 | 제24대 | 제13대5 | |
파올로 보셀리 |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오를란도 | 프란체스코 사베리오 니티 | 조반니 졸리티 | |
제25대 | 제26대 | 제27대 | 제28대 | |
이바노에 보노미 | 루이지 팍타 | 베니토 무솔리니 | 피에트로 바돌리오 | |
제25대2 | 제29대 | 제30대 | ||
이바노에 보노미 | 페루치오 파리 | 알치데 데 가스페리 | ||
이탈리아 공화국 | ||||
제30대 | 제31대 | 제32대 | 제33대 | |
알치데 데 가스페리 | 주세페 펠라 | 아민토레 판파니 | 마리오 셸바 | |
<rowcolor=#d8d8d4> 제34대 | 제35대 | 제32대2 | 제34대2 | |
안토니오 세니 | 아도네 촐리 | 아민토레 판파니 | 안토니오 세니 | |
<rowcolor=#d8d8d4> 제36대 | 제32대3 | 제37대 | 제38대 | |
페르난도 탐브로니 | 아민토레 판파니 | 조반니 레오네 | 알도 모로 | |
<rowcolor=#d8d8d4> 제37대2 | 제39대 | 제40대 | 제41대 | |
조반니 레오네 | 마리아노 루모르 | 에밀리오 콜롬보 | 줄리오 안드레오티 | |
<rowcolor=#d8d8d4> 제39대2 | 제38대2 | 제41대2 | 제42대 | |
마리아노 루모르 | 알도 모로 | 줄리오 안드레오티 | 프란체스코 코시가 | |
<rowcolor=#d8d8d4> 제43대 | 제44대 | 제32대4 | 제45대 | |
아르날도 포를라니 | 조반니 스파돌리니 | 아민토레 판파니 | 베티노 크락시 | |
<rowcolor=#d8d8d4> 제32대5 | 제46대 | 제47대 | 제41대3 | |
아민토레 판파니 | 조반니 고리아 | 치리아코 데 미타 | 줄리오 안드레오티 | |
<rowcolor=#d8d8d4> 제48대 | 제49대 | 제50대 | 제51대 | |
줄리아노 아마토 | 카를로 아첼리오 참피 | 실비오 베를루스코니 | 람베르토 디니 | |
<rowcolor=#d8d8d4> 제52대 | 제53대 | 제48대2 | 제50대2 | |
로마노 프로디 | 마시모 달레마 | 줄리아노 아마토 | 실비오 베를루스코니 | |
<rowcolor=#d8d8d4> 제52대2 | 제50대3 | 제54대 | 제55대 | |
로마노 프로디 | 실비오 베를루스코니 | 마리오 몬티 | 엔리코 레타 | |
<rowcolor=#d8d8d4> 제56대 | 제57대 | 제58대 | 제59대 | |
마테오 렌치 | 파올로 젠틸로니 | 주세페 콘테 | 마리오 드라기 | |
<rowcolor=#d8d8d4> 제60대 | ||||
조르자 멜로니 | ||||
파시스트 정권 관련 직위: 이탈리아 대통령 | }}}}}}}}}}}} |
<colbgcolor=#00309A><colcolor=#d8d8d4> | |||
| |||
출생 | 1977년 1월 15일 ([age(1977-01-15)]세) | ||
이탈리아 로마 | |||
현직 | 이탈리아 총리 이탈리아의 형제들 대표 유럽 보수개혁연합 대표 | ||
재임기간 | 제60대 총리 | ||
2022년 10월 22일 ~ 현직 | |||
서명 | |||
링크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309A><colcolor=#d8d8d4> 학력 | 고등학교 과정 졸업(언어학) | |
소속 정당 | |||
가족 | 슬하 1녀(2016년생)[1] | ||
종교 | 가톨릭 (세례명: 제오르지아) | ||
신장 | 157cm[2] | ||
의원 선수 | 5 (하원)[3] | ||
경력 | 하원부의장 (2006~2008) 청소년부장관 (2008~2011) 이탈리아의 형제들 대표 (2014~현재) 유럽 보수개혁연합 대표 (2020~현재) | }}}}}}}}} |
1. 개요
이탈리아의 정치인. 제60대 이탈리아 총리(현직), 이탈리아의 형제들 당대표.[4]이탈리아 최초의 여성 총리로,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파시즘 관련 행보를 보인 정치인들 중 최초로 집권한 인물이다. 다만 언론 보도에서 극우 파시즘 성향이라는 지적을 받은 것과 달리 총리 재임기에는 단순한 강경 보수 우파에 가깝다는 평. 반이민·반난민 성향을 중심으로 친서방·반러·반중 외교 노선[5]을 지향하며, 반LGBT·안티페미니즘 성향[6]을 드러내는 등 사회보수주의적인 면모도 보이고 있다.
2. 생애
로마에서 태어나고 자랐다. 아버지는 사르데냐 출신의 회계사, 어머니는 시칠리아 출신이었다. 어린 시절 아버지가 가족을 떠나 카나리아 제도로 이주하면서 홀어머니 밑에서 어려운 유년기를 보냈다고 한다. 학창 시절에는 체형 때문에 놀림을 받아 다이어트를 하기도 했다.훗날 아버지가 1995년 스페인에서 하시시(인도 대마초) 1,500kg을 밀수하려다 적발되어 9년 형을 선고받은 사실이 알려지기도 했다.# 하지만 이는 멜로니가 미성년자일 때 벌어진 일이었고, 이미 한 살 때 집을 나간 아버지와는 교류가 거의 없었기 때문에 이 사건이 그녀의 정치 경력에 흠이 되지는 않았다.
1992년, 15세의 나이로 이탈리아 사회운동(MSI)[7]의 청년 단체에 가입하며 정치에 입문했다. 이후 1995년에는 전국 학생운동 대표를 맡는 등 활발히 활동했다.
1996년, 19세 때 프랑스의 한 방송과 진행한 인터뷰는 훗날 큰 논란거리가 되었다. 당시 그녀는 프랑스어로 "베니토 무솔리니는 이탈리아를 위한 좋은 정치인이었다"고 평가하며 그를 존경한다고 답했는데, 이 영상이 뒤늦게 발굴되어 파장을 일으켰다. 이에 대해 멜로니는 "어린 시절의 생각일 뿐, 지금은 동의하지 않는다"고 해명했다.
정치적 입지를 다진 멜로니는 2006년, MSI의 후신인 국민동맹 소속으로 라치오-1 지역구 하원의원에 당선되며 원내에 진출했다. 2년 뒤인 2008년에는 31세의 나이로 베를루스코니 내각의 청소년부 장관으로 발탁되어, 이탈리아 통일 역사상 최연소 장관이라는 기록을 세웠다.
총리가 되기 전에는 친러시아·친푸틴 성향을 보이기도 했다. 일례로 2014년 러시아의 크림반도 합병을 옹호하는 입장을 밝혔으며#, 2018년에는 블라디미르 푸틴의 4선 당선을 축하하는 트윗을 올리기도 했다.#
2.1. 2022년 총선
2.1.1. 총선 국면과 총리 후보 부상
2020년 개헌으로 소선거구제 효과가 강화된 데다, 경쟁자인 민주당의 엔리코 레타 대표가 폭넓은 지지를 얻지 못하면서 멜로니가 속한 중도우파 연합에 유리한 정치 지형이 형성되었다.이러한 상황 속에서 2022년 7월 21일, 마리오 드라기 총리가 사임하고 세르조 마타렐라 대통령이 이를 재가하면서 9월 조기 총선이 확정되었다.# 개별 정당 지지율에서는 멜로니의 이탈리아의 형제들과 민주당이 1위 경쟁을 벌였으나, 정당 연합 구도에서는 중도우파 연합의 과반 확보가 유력시되었다.
연합 내 제1당 대표인 멜로니가 차기 총리 1순위로 떠오르자, 서방 세계에서는 그녀의 파시스트 이력에 대한 우려가 커졌다. 이에 멜로니는 8월 10일 외신 기자회견을 통해 "내가 총리가 되더라도 민주주의에 위협이 되지 않을 것"이라며 진화에 나섰다.# 그러나 8월 22일, 아프리카 이주민에 의한 성폭행 사건 영상을 선거 캠페인에 활용했다가 "넘지 말아야 할 선을 넘었다"는 비판을 받고 SNS에서 해당 게시물이 삭제되는 등 거센 역풍을 맞기도 했다.#
2.1.2. 총선 승리와 내각 구성
여러 논란에도 불구하고, 9월 9일 공표된 마지막 여론조사에서 이탈리아의 형제들은 1위 자리를 굳건히 지키며 멜로니의 총리 취임을 유력하게 만들었다.#마침내 9월 25일 총선에서 중도우파 연합은 상원 115석, 하원 237석을 차지하며 양원 모두 과반을 확보했다. 이로써 연합의 수장인 멜로니가 신임 이탈리아 총리로 등극하는 것이 확실시되었다. 그녀는 이탈리아 최초의 여성 총리이자, 공화국 수립 이후 첫 극우 정당 출신 총리로 기록될 예정이다.
총선 승리 직후 멜로니는 대외적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 발 빠르게 움직였다. 9월 27일,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의 축하 트윗에 "우크라이나의 자유를 위한 우리의 지원을 믿어도 좋다"고 화답하며 친서방 노선을 분명히 했다. 사실 멜로니는 마리오 드라기 내각 시절 야당이었음에도, 우크라이나 무기 지원 결정만큼은 정부 여당보다 더 강하게 지지한 바 있다.
다만 내각 구성 과정은 순탄치 않았다. 연정 파트너인 전진 이탈리아의 실비오 베를루스코니 전 총리가 내각 인선에 대한 불만을 메모에 적은 것이 포착되는 등 내분이 불거졌다.# # 이후 베를루스코니가 젤렌스키 대통령을 비난하는 녹취록까지 공개되자, 멜로니는 "우리 정부는 친NATO, 친유럽 노선을 절대 벗어나지 않을 것"이라고 선을 그으며 갈등을 정면 돌파했다. 결국 두 사람은 회동을 통해 갈등을 봉합했다.#
모든 절차를 마무리한 뒤 10월 21일, 세르조 마타렐라 대통령은 멜로니를 총리로 공식 지명하고 정부 구성 권한을 위임했다. 이로써 이탈리아 최초의 여성 총리가 탄생했으며, 새 내각은 상·하원 신임투표를 거쳐 공식 출범하게 된다.#
2.2. 총리 재임 시절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조르자 멜로니 내각#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조르자 멜로니 내각#|]] 부분을
참고하십시오.총리 당선 전 언론에서 부르는 별명은 ‘여자 무솔리니’였으나 파시스트 여부는 다소 불분명하다. 현재 멜로니 본인은 파시즘은 지나간 역사라고 발언하며 오히려 파시스트 지도자들을 칭송하는 당원들을 경계하는 등 파시즘과는 선을 긋고 있다. 다만 과거에 했던 발언[8]이 논란이 된 적이 있었다.
또한 멜로니 본인이 심경의 변화인지 처세술인지 막상 총리 당선 이후로는 위와 같은 과거 발언과 반대되는 친EU 행보를 보이고 당의 정치색을 희석시키는 모습을 보이고 있어 더욱 애매하다. 사실 파시즘은 학계에서 그 정의가 논쟁적이며, 사회적으론 가장 넓은 정의[9]와 가장 좁은 정의[10]를 어지럽게 섞어 쓰므로 '멜로니가 파시스트냐 아니냐'는 논쟁은 다소 소모적인 측면이 있다. 파시즘 문서 참고.
뉴욕타임스에서는 2023년 2월 기사로 멜로니가 초반 우려와는 달리 실용주의 노선과 온건한 지향성을 보여주고 있다고 평가했다.
타임지에서는 2023년 7월 기사로 멜로니가 극우 성향에도 반러시아(우크라이나 지원)와 반중국 행보로 오르반 빅토르,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이 얻지 못한 외교적 인정을 얻고 있다고 평가했다. 동월 뉴욕타임스에서는 멜로니가 대외적으로는 서방 국가들이 신뢰할 만한 파트너로 자리잡았지만 이탈리아 내부에서 보이는 행보는 우려할 만하다고 평가했다.
미국을 방문했을 때 척 슈머 민주당 상원대표가 이탈리아 국기의 의미를 물었는데 총리란 사람이 대답을 못하는 촌극이 빚어졌다.#
11월 1일 러시아 유튜버가 아프리카 연합의 고위 외교관으로 속인 전화를 15분간 했는데 멜로니 총리는 유럽 지도자들이 우크라이나에서 20개월간 지속되고 있는 전쟁에 지쳤다고 말했다. 이후 총리실은 이를 인정했다.#
3. 여담
- 2019년 동성(同性) 육아에 반대[11]하는 집회의 연단에 올라 쩌렁쩌렁한 목소리로 "Io sono Giorgia(저는 조르자입니다)", ''Sono una donna(저는 여성입니다)", "Sono una madre(저는 (아이를 키우는) 어머니입니다)", "Sono italiana (저는 이탈리아 여인입니다)"[12], "Sono cristiana(저는 크리스천입니다)" 라고 외치는 그녀의 연설이 강경한 목소리와 어우러져 묘한 리듬감마저 느껴진 탓에 해당 연설이 디스코 음악과 함께 편집되어 '조르자 멜로니 리믹스'라는 제목으로 유튜브에 올라왔고, 조회수 1200만회를 넘기며 인터넷 밈으로 유튜브에서 화제를 모았다. 당초 성소수자에 대해 보수적인 그녀의 정치 성향을 비꼬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 올린 영상이었지만, 오히려 그녀의 인지도를 넓혀주는 데 도움이 되었다.
- 목소리가 상당히 저음인데다가 딕션과 발성이 상당히 좋은 편이다. 거기다 강경한 성향의 정치인답게 연설 등에서 강한 어조로 말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탈리아어 특유의 악센트와 겹쳐 상당히 강렬한 인상을 준다. 위의 동영상이 밈화된데에도 이런 인상적인 비언어적 요소들이 한몫했다.
- 이탈리아 디자니어 '키아라 페라니'는 멜로니 대표에 투표하는 것은 LGBT와 사람, 여성의 권리를 후퇴시킬 위험이 있다고 언급하면서 투표를 통해 극우 세력에 맞서줄 것을 부탁했다.#
- 페라니 외에 나무위키에 등재된 이탈리아인 중 조르자 멜로니 당선에 부정적인 의견을 표한 인물은 로베르토 사비아노, 카를라 브루니, 도나텔라 베르사체, 알레산드로 미켈레, 비토리아 세레티, 알리체 파가니, 베네데타 포르카롤리, 모네스킨의 다미아노 등이 있다.[13] 어느 나라나 비슷하지만 문화계와 연예계는 좌파 성향이 강하다.
- 율리야 티모셴코처럼 금발로 염색하는 정치인이다. 젊은시절엔 갈색 머리였다. 2008년도의 모습
- 밀라노 중산층 가정에서 태어난 기자 출신 방송인 안드레아 잠브루노와 사실혼 관계다. 둘은 동거하면서 2016년 딸을 낳았다. 잠브루노는 총리 배우자로서 해외 순방 동행 등은 하겠지만 아이를 키우기에 적합한 환경이 아닌거 같다며 총리 관저 입주는 하지 않겠다고 한다. 또 멜로니는 공식석상에서 그가 좌파라서 자신과 의견이 일치하지는 않는다고 말한 적이 있는데 잠브루노는 그건 농담이고 자신은 좌파가 아니며 조력 자살 등 일부 의견이 다를 뿐이라고 답했다.# 잠브루노가 음담패설을 하는 스캔들이 일어나 결국 두 사람은 결별하게 되었다.#베를루스코니 가문의 사주라는 음모론이 있다.# 결별 약 1년 만에 재결합설에 휩싸였다.#
- Aspen Institute 라는 국제 비영리 기구 단체의 회원이다. #
- 하원에서 진행된 대정부 질의에서 안젤로 보넬리 녹색당 대표가 가자지구 상황에 관해 토론하던 중 재킷으로 얼굴을 가렸다.#
- 2018년 당시 일부 지지자에 의해 모에선이 쬐여 '멜로니쨩'이라고 불린 바 있는데 그녀의 공식 페이스북에 <러브라이브 선샤인>의 Aqours 멤버 오하라 마리 짤이 실린 적 있었다.#1#2 실제로 19세때 영상에서 보듯 젊은 시절에는 상당한 미녀였고 현재도 미중년이긴 하다.
4.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em;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6%" {{{#!folding [ 아시아 ] | * 정부수반이 아닌 총리 ☆ 사실상 군부 소속 ☭ 공산국가의 수상 ♔ 전제군주국, 혹은 사실상 전제군주국인 입헌군주국 | |||||
| | | ||||
[[네팔 공산당(통합 마르크스-레닌주의)| 네팔 공산당 (통합 마르크스-레닌주의) ]] | [[민주진보당| 민주진보당 ]] | [[더불어민주당| 더불어민주당 ]] | ||||
카드가 프라사드 올리 (4차) | 줘룽타이 | 김민석 | ||||
| | | ||||
[[티모르 재건국민회의| 티모르 재건국민회의 ]] | [[라오 인민혁명당| 라오 인민혁명당 ]] | [[무소속| 무소속 ]] | ||||
샤나나 구스망 (3차) | 쏜싸이 씨판돈 | 나와프 살람 | ||||
| | | ||||
[[인민정의당| 인민정의당 ]] | [[몽골 인민당| 몽골 인민당 ]] | [[무소속| 무소속 ]] | ||||
안와르 이브라힘 | 롭상남스랭 어용에르덴 | 민 아웅 흘라잉 | ||||
| | | ||||
[[무소속| 무소속 ]] | [[무소속| 무소속 ]] | [[베트남 공산당| 베트남 공산당 ]] | ||||
살만 빈 하마드 알할리파 (왕세자) | 무함마드 유누스 (임시) | 팜민찐 | ||||
| | | ||||
[[무소속| 무소속 ]] | [[조선로동당| 조선로동당 ]] | [[무소속| 무소속 ]] | ||||
체링 토브가이 (2차) | 박태성 | 하사날 볼키아 (국왕) | ||||
| | | ||||
[[무소속| 무소속 ]] | [[국가 인민의 힘| 국가 인민의 힘 ]] | [[인민행동당| 인민행동당 ]] | ||||
무함마드 빈 살만 알사우드 (왕세자) | 하리니 아마라수리야 (2차) | 로렌스 웡 (2차) | ||||
| | | ||||
[[무소속| 무소속 ]] | [[탈레반| 탈레반 ]] | [[무소속| 무소속 ]] | ||||
무함마드 빈 라시드 알막툼 (두바이 아미르) | 하산 아훈드 (권한대행) | 살렘 살레 빈 브라이크 | ||||
| | | ||||
[[무소속| 무소속 ]] | [[무소속| 무소속 ]] | [[우즈베키스탄 자유민주당| 우즈베키스탄 자유민주당 ]] | ||||
하이삼 빈 타리크 알사이드 (국왕) | 자파르 하산 | 압둘라 아리포프 (2차) | ||||
| | | ||||
[[알푸라타인| 알푸라타인 ]] | [[리쿠드| 리쿠드 ]] | [[인도 인민당| 인도 인민당 ]] | ||||
모하메드 시아 알수다니 | 베냐민 네타냐후 (6차) | 나렌드라 모디 (3차) | ||||
| | | ||||
[[자유민주당(일본)| 자유민주당 ]] | [[중국공산당| 중국공산당 ]] | [[아마나트| 아마나트 ]] | ||||
이시바 시게루 (2차) | 리창 | 올자스 벡테노프 | ||||
| | | ||||
[[무소속| 무소속 ]] | [[캄보디아 인민당| 캄보디아 인민당 ]] | [[무소속| 무소속 ]] | ||||
모하메드 빈 압둘라흐만 알사니 (왕족) | 훈 마넷 | 아마드 알압둘라 알사바 (국왕의 조카) | ||||
| | | ||||
[[무소속| 무소속 ]] | [[타지키스탄 인민민주당| 타지키스탄 인민민주당 ]] | [[태국 자랑당| 태국 자랑당 ]] | ||||
아딜베크 카시말리예프 | 코히르 라술조다 | 아누틴 찬위라꾼 | ||||
| | |||||
[[파키스탄 무슬림 동맹| 파키스탄 무슬림 동맹 ]] | [[무소속| 무소속 ]] | |||||
셰바즈 샤리프 (2차) | 무함마드 무스타파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6%"" {{{#!folding [ 유럽 ] | * 정부수반이 아닌 총리 ** 바티칸 시국의 명목상 정부수반은 바티칸 시국 행정부 장관이다. *** 스위스의 총리는 행정부 소속이 아니며 명목상 정부수반이 없다. | |||
| | | ||||
[[신민주주의당| 신민주주의당 ]] | [[무소속| 무소속 ]] | [[무소속| 무소속 ]] | ||||
키리아코스 미초타키스 (2차) | 주소이트 콘스탄틴 | 딕 스호프 | ||||
| | | ||||
[[노동당(노르웨이)| 노동당 ]] | [[사회민주당(덴마크)| 사회민주당 ]] | [[독일 기독교민주연합| 독일 기독교민주연합 ]] | ||||
요나스 가르 스퇴레 (2차) | 메테 프레데릭센 (2차) | 프리드리히 메르츠 | ||||
| | | ||||
[[신단결| 신단결 ]] | [[무소속| 무소속 ]] | [[국민자유당(루마니아)| 국민자유당 ]] | ||||
에비카 실리냐 | 미하일 미슈스틴 (2차) | 일리에 볼로잔 | ||||
| | | ||||
[[기독사회인민당| 기독사회인민당 ]] | [[리투아니아 사회민주당| 사회민주당 ]] | [[애국연합| 애국연합 ]] | ||||
뤼크 프리당 | 긴타우타스 팔루츠카스 | 브리기테 하스 | ||||
| | | ||||
[[무소속| 무소속 ]] | [[지금 유럽!| 지금 유럽! ]] | [[무소속| 무소속 ]] | ||||
이자벨 베로 아마데이 (권한대행) | 밀로이코 스파이치 | 도린 레체안 | ||||
| | | ||||
[[노동당(몰타)| 노동당 ]] | [[무소속| 무소속 ]] | [[Open VLD| Open VLD ]] | ||||
로버트 아벨라 (2차) | 피에트로 파롤린 | 바르트 더베버르 | ||||
| | | ||||
[[무소속| 무소속 ]] | [[독립사회민주연대| 독립사회민주연대 ]] | [[내부 마케도니아 혁명 기구-마케도니아 국민통합민주당| VMRO-DPMNE ]] | ||||
알렉산드르 투르친 | 보랴나 크리슈토 | 흐리스티얀 미츠코스키 | ||||
| | | ||||
[[국민통일당| 국민통일당 ]] | [[유럽 발전을 위한 불가리아 시민| GERB ]] | [[무소속| 무소속 ]] | ||||
위날 위스텔 | 로센 젤랴즈코프 | 주로 마추트 | ||||
| | | ||||
[[온건당| 온건당 ]] | [[스위스 녹색자유당| 스위스 녹색자유당 ]] | [[스페인 사회주의노동자당| 스페인 사회주의노동자당 ]] | ||||
울프 크리스테르손 | 빅토르 로시 | 페드로 산체스 (3차) | ||||
| | | ||||
[[사회민주당(슬로바키아)| 방향-사회민주주의 ]] | [[자유운동(슬로베니아)| 자유운동 ]] | [[시민계약(정당)| 시민계약 ]] | ||||
로베르트 피초 (4차) | 로베르트 골로프 | 니콜 파시냔 (3차) | ||||
| | | ||||
[[사회민주동맹| 사회민주동맹 ]] | [[피어너 팔| 피어너 팔 ]] | [[무소속| 무소속 ]] | ||||
크리스트륀 프로스타도티르 | 미할 마틴 (2차) | 알리 아사도프 | ||||
| | | ||||
[[안도라 민주당| 안도라 민주당 ]] | [[알바니아 사회당| 알바니아 사회당 ]] | [[무소속| 무소속 ]] | ||||
샤비에르 에스포트 자모라 (2차) | 에디 라마 (3차) | 블라디미르 델바 (권한대행) | ||||
| | | ||||
[[에스토니아 개혁당| 에스토니아 개혁당 ]] | [[노동당(영국)| 노동당 ]] | [[오스트리아 인민당| 오스트리아 인민당 ]] | ||||
크리스텐 미할 | 키어 스타머 | 크리스티안 슈토커 | ||||
| | | ||||
[[무소속| 무소속 ]] | [[이탈리아의 형제들| 이탈리아의 형제들 ]] | [[조지아의 꿈| 조지아의 꿈 ]] | ||||
율리아 스비리덴코 | 조르자 멜로니 | 이라클리 코바키제 | ||||
| | | ||||
[[시민민주당| 시민민주당 ]] | [[자결당| 자결당 ]] | [[크로아티아 민주연합| 크로아티아 민주연합 ]] | ||||
페트르 피알라 | 알빈 쿠르티 (2차) | 안드레이 플렌코비치 (3차) | ||||
| | | ||||
[[무소속| 무소속 ]] | [[사회민주당(포르투갈)| 사회민주당 ]] | [[시민 연단| 시민 연단 ]] | ||||
알렉산드르 로젠베르크 | 루이스 몬테네그루 | 도날트 투스크 (3차) | ||||
| | | ||||
[[민주운동| 민주운동 ]] | [[국민연합당| 국민연합당 ]] | [[청년민주동맹| 청년민주동맹 ]] | ||||
프랑수아 바이루 | 페테리 오르포 | 오르반 빅토르 (5차)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6%"" {{{#!folding [ 아메리카 ] | * 정부수반이 아닌 총리 ☭ 공산국가의 수상 | ||
| | | ||||
[[인민진보당| 인민진보당 ]] | [[국민민주회의(그레나다)| 국민민주회의 ]] | [[도미니카 노동당| 도미니카 노동당 ]] | ||||
마크 필립스 | 디콘 미첼 | 루스벨트 스케릿 (5차) | ||||
| | | ||||
[[바베이도스 노동당| 바베이도스 노동당 ]] | [[진보자유당| 진보자유당 ]] | [[인민연합당| 인민연합당 ]] | ||||
미아 모틀리 (2차) | 필립 데이비스 | 조니 브리세뇨 (2차) | ||||
| | | ||||
[[세인트루시아 노동당| 세인트루시아 노동당 ]] | [[통일노동당| 통일노동당 ]] | [[세인트키츠 네비스 노동당| 세인트키츠 네비스 노동당 ]] | ||||
필립 조셉 피에르 | 랄프 곤살베스 (5차) | 테런스 드루 | ||||
| | | ||||
[[무소속| 무소속 ]] | [[무소속| 무소속 ]] | [[자메이카 노동당| 자메이카 노동당 ]] | ||||
알릭스 디디에 피스-에메 (권한대행) | 개스턴 브라운 (3차) | 앤드루 홀네스 (3차) | ||||
| | | ||||
[[캐나다 자유당| 캐나다 자유당 ]] | [[쿠바 공산당| 쿠바 공산당 ]] | [[인민민족운동| 통일국민회의 ]] | ||||
마크 카니 | 마누엘 마레로 크루스 (2차) | 캄라 퍼사드비세사 (2차) | ||||
| ||||||
[[무소속| 무소속 ]] | ||||||
구스타보 아드리안젠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6%"" {{{#!folding [ 아프리카 ] | * 정부수반이 아닌 총리 ☆ 군부에 의해 임명 ♔ 사실상 전제군주국인 입헌군주국 | ||||
| | | ||||
[[무소속| 무소속 ]] | [[무소속| 무소속 ]] | [[남서아프리카 인민기구| 남서아프리카 인민기구 ]] | ||||
바 우리 | 후이 두아르테 드 바호스 | 엘리자 은구라레 | ||||
| | | ||||
[[무소속| 무소속 ]] | [[번영을 위한 혁명| 번영을 위한 혁명 ]] | [[사회민주당(르완다)| 사회민주당 ]] | ||||
알리 라민 제인 | 샘 마테카네 | 에두아르 응기렌테 (2차) | ||||
| | | ||||
[[무소속| 무소속 ]] | [[무소속| 무소속 ]] | [[무소속| 무소속 ]] | ||||
압둘 하미드 드베이바 | 크리스티앙 은차이 (3차) | 압둘라예 마이가 (임시) | ||||
| | | ||||
[[독립국민연합| 독립국민연합 ]] | [[노동당(모리셔스)| 노동당 ]] | [[공정당| 공정당 ]] | ||||
아지즈 아칸누시 (2차) | 나빈 람굴람 (4차) | 모크타르 울드 디제이 | ||||
| | | ||||
[[모잠비크 해방전선| 모잠비크 해방전선 ]] | [[민주방위국민회의-민주방위군| 민주방위국민회의-민주방위군 ]] | [[무소속| 무소속 ]] | ||||
마리아 벤빈다 레비 | 제르베 은디라코부차 | 장 에마뉘엘 웨드라오고 (임시) | ||||
| | | ||||
[[폴리사리오 전선| 폴리사리오 전선 ]] | [[독립민주행동당| 독립민주행동당 ]] | [[무소속| 무소속 ]] | ||||
보우치라야 함무디 바요운 (3차) | 아메리쿠 하무스 (2차) | 우스만 송코 | ||||
| | | ||||
[[평화개발연합당| 평화개발연합당 ]] | [[무소속| 무소속 ]] | [[무소속| 무소속 ]] | ||||
함자 압디 바레 | 다팔라 알하지 알리 (권한대행) | 데이비드 모이니나 셍게 | ||||
| | | ||||
[[무소속| 무소속 ]] | [[무소속| 무소속 ]] | [[번영당| 번영당 ]] | ||||
나디르 라르바우이 | 러셀 들라미니 (왕족) | 아비 아머드 (2차) | ||||
| | | ||||
[[민족저항운동| 민족저항운동 ]] | [[무소속| 무소속 ]] | [[적도 기니 민주당| 적도 기니 민주당 ]] | ||||
로비나 나반자 | 무스타파 아드불리 | 마누엘 오사 은수에 은수아 | ||||
| | | ||||
[[연합마음운동| 연합마음운동 ]] | [[진보인민연합| 진보인민연합 ]] | [[무소속| 무소속 ]] | ||||
펠릭스 몰루아 | 압둘카데르 카밀 모하메드 (3차) | 알라마예 할리나 | ||||
| | | ||||
[[카메룬 인민민주운동| 카메룬 인민민주운동 ]] | [[민주운동(카보베르데)| 민주운동 ]] | [[공화연합| 공화연합 ]] | ||||
조셉 응구테 (2차) | 울리스스 코헤이아 이 시우바 (2차) | 로베르 뵈그레 맘베 | ||||
| | | ||||
[[콩고 노동당| 콩고 노동당 ]] | [[콩고의 미래| 콩고의 미래 ]] | [[탄자니아 혁명당| 탄자니아 혁명당 ]] | ||||
아나톨 콜리넷 마코소 (2차) | 주디스 툴루카 수민와 | 카심 마잘리와 (2차) | ||||
| | |||||
[[공화국을 위한 연합| 공화국을 위한 연합 ]] | [[무소속| 무소속 ]] | |||||
포르 냐싱베 | 사라 자파라니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6%"" {{{#!folding [ 오세아니아 ] | ♔ 사실상 전제군주국인 입헌군주국 NZ 뉴질랜드의 자유연합 | |||
| | | ||||
[[뉴질랜드 국민당| 국민당 ]] | [[무소속| 무소속 ]] | [[바누아투 지도자당| 바누아투 지도자당 ]] | ||||
크리스토퍼 럭슨 | 달튼 타겔라기 (2차) | 조섬 나팟 | ||||
| | | ||||
[[사모아 연합 내 믿음| 사모아 연합 내 믿음 ]] | [[소유통합책임당| 소유통합책임당 ]] | [[쿡 제도당| 쿡 제도당 ]] | ||||
피아메 나오미 마타아파 | 제러마이아 머넬레 | 마크 브라운 (2차) | ||||
| | | ||||
[[무소속| 무소속 ]] | [[무소속| 무소속 ]] | [[팡구당| 팡구당 ]] | ||||
아이사케 에케 | 펠레티 테오 | 제임스 마라페 (2차) | ||||
| | |||||
[[인민동맹| 인민동맹 ]] | [[호주 노동당| 호주 노동당 ]] | |||||
시티베니 람부카 (3차) | 앤서니 앨버니지 (2차) | }}}}}}}}} | ||||
재위 중인 군주 · 재임 중인 대통령 및 총통 · 집권 중인 공산국가 지도부 |
[1] 사실혼 관계였던 전 남자친구와의 사이에서 태어났다.[2] 2006년에 본인이 언급한 적이 있다.[3] 15대, 16대, 17대, 18대, 19대.[4] 언니 아리안나 멜로니와 함께 정치인으로 활동 중이며, 아리안나는 현재 이탈리아의 형제들 당 사무총장이다.[5] 독일 AfD나 프랑스 국민연합과 같은 다른 유럽 극우정당들이 친러 성향을 보이는것과 달리 멜로니는 친미 성향이 짙으며, 일각에서는 친유럽연합 노선으로도 평가하지만 연성 유럽회의주의 성향으로도 평가된다. 집권 이전의 야당 정치인으로서는 훨씬 강경한 유럽회의주의자로 반유럽연합 성향이었다.[6] 동성 부부의 자녀 양육 친권을 박탈하는 정책을 추진했다. 이는 동성 부부가 아이를 키운 지 수 년이 지난 경우에도 적용하도록 했다.[7] 해당 정당은 국가 파시스트당의 직계 후신으로, 이탈리아의 형제들의 삼색기 불꽃 로고 역시 이 MSI당 로고에서 따왔다.[8] (1996년 발언) “나는 무솔리니가 좋은 정치인이라고 믿는다. 그가 행한 모든 일은 이탈리아를 위한 것이었다. 우리는 지난 50년 동안 그와 같은 정치인을 보지 못했다”라고 한 적이 있다. 이탈리아어가 아니라 프랑스어로 한 인터뷰 영상이다. 멜로니는 모국어인 이탈리아어 외에도 프랑스어, 스페인어, 영어에 유창하다.[9] 이 정의에 따르면 거의 모든 극우에 대한 엄밀치 못한 욕설로 쓸 수 있다.[10] 이 정의에 따르면 나치즘도 오리지널과 다른 형태를 보아기에 파시즘이 아니며, 사실상 오리지널인 이탈리아 파시즘에만 한정된다.[11] 정작 본인도 결혼한 적 없는 미혼모여서 조르자와 비슷한 사회보수주의, 제3의 위치주의자들도 썩 달가워하진 않는다.[12] 밈에는 미등장.[13] 모네스킨이 LGBTQ+를 적극적으로 지지하는 밴드라는 점을 생각해보면 다미아노 뿐만 아니라 모든 멤버들도 조르자 멜로니에 대해 부정적일것이다. 실제로 멤버들 중 베이시스트 빅토리아만 해도 양성애자이며 드러머 에단 또한 sexually free로 성소수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