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color=#29499d,#29499d> [[이스라엘 총리| 이스라엘 총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C336D, #29499d 20%, #29499d 80%, #1C336D); color: #ff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rowcolor=#fff,#fff> 초대 | 제2대 | 초대2 | 제3대 |
모셰 샤레트 | 레비 에슈콜 | |||
<rowcolor=#fff,#fff> 제4대 | 제5대 | 제6대 | 제7대 | |
골다 메이어 | 메나헴 베긴 | |||
<rowcolor=#fff,#fff> 제8대 | 제7대2 | 제5대2 | 제8대2 | |
시몬 페레스 | 시몬 페레스 | |||
<rowcolor=#fff,#fff> 제9대 | 제10대 | 제11대 | 제12대 | |
베냐민 네타냐후 | 에후드 바라크 | 아리엘 샤론 | 에후드 올메르트 | |
<rowcolor=#fff,#fff> 제9대2 | 제13대 | 제14대 | 제9대3 | |
베냐민 네타냐후 | 나프탈리 베네트 | 야이르 라피드 | 베냐민 네타냐후 | |
* 이스라엘 총리는 임기가 단절되었다가 다시 집권해도 처음 집권했을 당시의 대수를 유지한다. | ||||
}}}}}}}}}}}} |
<colbgcolor=#29499d,#29499d><colcolor=#fff,#fff> | |||
<nopad> | |||
출생 | 1949년 10월 21일 ([age(1949-10-21)]세) | ||
이스라엘 텔아비브 | |||
재임기간 | 제9대 총리 | ||
1996년 6월 18일 ~ 1999년 7월 6일 (1차) | |||
2009년 3월 31일 ~ 2021년 6월 13일 (2차) | |||
2022년 12월 29일 ~ 현직 (3차) | |||
서명 | |||
링크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29499d,#29499d><colcolor=#fff,#fff> 부모 | 아버지 벤치욘 네타냐후 (1910년 ~ 2012년) 어머니 칠라 세갈 (1912년 ~ 2000년) | |
형제자매 | 형 요나탄 네타냐후 남동생 이도 네타냐후[2] | ||
배우자 | 미리암 바이츠만 (1972년 ~ 1978년; 이혼) 플러 케이츠 (1981년 ~ 1984년; 이혼) 사라 네타냐후[3] (1991년 ~) | ||
자녀 | 장남 야이르 네타냐후 장녀 노아 네타냐후로트 차남 아브네르 네타냐후 | ||
학력 | 챌트넘 고등학교[4] (졸업) | ||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건축학 / 학사) | |||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경영대학원 (경영학 / 석사) | |||
하버드 대학교 대학원 (정치학 / 박사과정 중퇴[5]) | |||
종교 | 유대교 | ||
신체 | 184cm, 82kg[6] | ||
소속 정당 | |||
의원 선수 | 11 | ||
군사 경력 | |||
복무 | 이스라엘 육군 | ||
1967년 ~ 1973년[7] | |||
최종 계급 | 대위 (이스라엘 육군) | ||
소속 | 사예레트 마트칼 (대테러부대) | ||
참전 | 소모전 제4차 중동전쟁 | }}}}}}}}} |
1. 개요
이스라엘의 제9대 총리.11선 의회 의원(리쿠드당, 12~24대)이다. 총리 외에도 국방장관, 외교장관, 보건장관을 겸직하기도 했다. 이스라엘 총리 역대 최장 임기[8]를 지내는 중이다.
2. 생애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베냐민 네타냐후/생애#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베냐민 네타냐후/생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 평가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베냐민 네타냐후/평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베냐민 네타냐후/평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 여담
- 그의 형 요나탄 네타냐후(Yonatan Netanyahu, יונתן נתניהו)와 함께 이스라엘군 정예부대인 사예렛 마트칼에서 복무했다. 대위로 복무중이던 1972년에 발생한 사베나 571편 납치 사건#당시 진압작전을 위해 여객기 기내로 돌입했던 16명의 사예렛 마트칼 특수부대원들중 한명이었다. 기내에 돌입하여 테러리스트와 총격전중 아군의 오인사격으로 팔에 부상을 입었으며 진압작전은 2명의 납치범을 사살하고 2명을 생포하면서 성공적으로 끝났다. 이는 국가지도자가 특수부대원으로 대테러작전에 참여한 경험을 보유한 매우 희귀한 사례[9]이다.
- 형 요나탄 네타냐후는 중령으로 1976년 팔레스타인 테러조직에 납치된 이스라엘인들을 구출하기 위해 우간다 엔테베 국제공항에 침투했던 그 유명한 '엔테베 작전'을 지휘하던 중 전사했다. 이스라엘 특공대 장교로 복무하였으며 대테러작전에 참여한 영향으로 자신도 초강경 노선을 취하는 것으로 유명하다.[10]
- 자녀로는 첫 부인에게서 낳은 딸과 현 부인 사라 네타냐후 사이에서 낳은 두 아들을 포함해 2남 1녀가 있다.
- 조카인 요나탄 벤아르치(ג'ונתן בן ארצי, Jonathan Ben-Artzi)가 2002년에 양심적 병역거부를 실행, 징병제 반대투쟁을 해 군교도소에 수감, 2004년에 유죄판결을 받았고, 2006년에 2개월간의 감옥 복역형과 함께 2000 신셰켈의 벌금형 판결을 받았다고 한다. 2003년 기사 2006년 기사, 2006년 기사 번역내용. 베냐민 네타냐후 친인척의 징병제 반대활동은 사례를 찾기 힘든, 정치인과 관련된 인물의 징병제 반대활동 사례 중 하나인데, 징병제 국가에서는 정치인과 그 가족의 병역에 민감하기 때문에 정치인의 자제나 친척이 징병을 거부하거나 징병제를 반대하면 이미지에 영향을 주는 부분이 있어 이런 일이 벌어지기 어렵다. 더군다나 네타냐후의 강경파적 이미지를 생각하면 상당히 이질적이기도 하다.
- 젊은 시절 미국에 유학하여 영어를 자유자재로 구사하고 아랍어에도 능통한 편이다. 유튜브에서 찾아보면 영어 연설이나 아랍어 연설 영상이 있다.## 미국 대통령과의 정상회담 시에도 국어인 히브리어가 아닌 영어를 사용하여 별다른 통역이 필요없는 모습을 보인다.#
5.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10px" | <tablebordercolor=#1959a6> | 베냐민 네타냐후 관련 문서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1959a6><colcolor=#fff>생애 | <colbgcolor=#fff,#1f2023>생애 · 네타냐후 내각(27대 · 32대 · 33대 · 34대 · 35대 · 37대) | ||
평가 | 평가 | |||
가족 | 형 요나탄 네타냐후 | |||
이념 | 시오니즘 | |||
소속 | 리쿠드 | |||
사건사고 | 가자 전쟁,2012년 · 2014년 · 2021년, · 시리아 공습 · 2021년 이스라엘-팔레스타인 위기 · 이스라엘 사법개혁 반대 시위 · 2023년 알아크사 분쟁 ·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 2024년 이스라엘-이란 분쟁 (주시리아 이란영사관 공습 · 이란 공습,4월 · 10월,) · 이스마일 하니예 암살 사건 · 예멘 공습 · 레바논 및 시리아 무전호출기 테러 · 레바논 공습 · 3차 레바논 전쟁 · 시리아 침공 | |||
역대 선거 | 제24대 이스라엘 크네세트 선거 · 제25대 이스라엘 크네세트 선거 | |||
관련 정치인 | 나프탈리 베네트 · 야이르 라피드 · 마흐무드 압바스 · 이스마일 하니예 · 야히야 신와르 · 하산 나스랄라 · 알리 하메네이 · 조 바이든 · 도널드 트럼프 | |||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3399, #003399 20%, #003399 80%, #003399)"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color: #fff; min-height: 31px" {{{#gold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81818,#e5e5e5 | 초대 | 제2대 | 초대 | 제3대 |
다비드 벤구리온 | 핀하스 라본 | 다비드 벤구리온 | 레비 에슈콜 | |
제4대 | 제5대 | 제6대 | 제7대 | |
모셰 다얀 | 시몬 페레스 | 에제르 바이츠만 | 메나헴 베긴 | |
제8대 | 제7대 | 제9대 | 제10대 | |
아리엘 샤론 | 메나헴 베긴 | 모셰 아렌스 | 이츠하크 라빈 | |
제11대 | 제9대 | 제10대 | 제5대 | |
이츠하크 샤미르 | 모셰 아렌스 | 이츠하크 라빈 | 시몬 페레스 | |
제12대 | 제9대 | 제13대 | 제14대 | |
이츠하크 모르데하이 | 모셰 아렌스 | 에후드 바라크 | 비냐민 벤엘리제르 | |
제15대 | 제16대 | 제13대 | 제17대 | |
샤울 모파즈 | 아미르 페레츠 | 에후드 바라크 | 모셰 얄론 | |
권한대행 | 제18대 | 제19대 | 제20대 | |
베냐민 네타냐후 | 아비그도르 리베르만 | 베냐민 네타냐후 | 나프탈리 베네트 | |
제21대 | 제22대 | 제23대 | ||
베니 간츠 | 요아브 갈란트 | 이스라엘 카츠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em;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6%" {{{#!folding [ 아시아 ] | * 정부수반이 아닌 총리 ☆ 사실상 군부 소속 ☭ 공산국가의 수상 ♔ 전제군주국, 혹은 사실상 전제군주국인 입헌군주국 | |||||
| | | ||||
[[네팔 공산당(통합 마르크스-레닌주의)| 네팔 공산당 (통합 마르크스-레닌주의) ]] | [[민주진보당| 민주진보당 ]] | [[더불어민주당| 더불어민주당 ]] | ||||
카드가 프라사드 올리 (4차) | 줘룽타이 | 김민석 | ||||
| | | ||||
[[티모르 재건국민회의| 티모르 재건국민회의 ]] | [[라오 인민혁명당| 라오 인민혁명당 ]] | [[무소속| 무소속 ]] | ||||
샤나나 구스망 (3차) | 쏜싸이 씨판돈 | 나와프 살람 | ||||
| | | ||||
[[인민정의당| 인민정의당 ]] | [[몽골 인민당| 몽골 인민당 ]] | [[무소속| 무소속 ]] | ||||
안와르 이브라힘 | 롭상남스랭 어용에르덴 | 민 아웅 흘라잉 | ||||
| | | ||||
[[무소속| 무소속 ]] | [[무소속| 무소속 ]] | [[베트남 공산당| 베트남 공산당 ]] | ||||
살만 빈 하마드 알할리파 (왕세자) | 무함마드 유누스 (임시) | 팜민찐 | ||||
| | | ||||
[[무소속| 무소속 ]] | [[조선로동당| 조선로동당 ]] | [[무소속| 무소속 ]] | ||||
체링 토브가이 (2차) | 박태성 | 하사날 볼키아 (국왕) | ||||
| | | ||||
[[무소속| 무소속 ]] | [[국가 인민의 힘| 국가 인민의 힘 ]] | [[인민행동당| 인민행동당 ]] | ||||
무함마드 빈 살만 알사우드 (왕세자) | 하리니 아마라수리야 (2차) | 로렌스 웡 (2차) | ||||
| | | ||||
[[무소속| 무소속 ]] | [[탈레반| 탈레반 ]] | [[무소속| 무소속 ]] | ||||
무함마드 빈 라시드 알막툼 (두바이 아미르) | 하산 아훈드 (권한대행) | 살렘 살레 빈 브라이크 | ||||
| | | ||||
[[무소속| 무소속 ]] | [[무소속| 무소속 ]] | [[우즈베키스탄 자유민주당| 우즈베키스탄 자유민주당 ]] | ||||
하이삼 빈 타리크 알사이드 (국왕) | 자파르 하산 | 압둘라 아리포프 (2차) | ||||
| | | ||||
[[알푸라타인| 알푸라타인 ]] | [[리쿠드| 리쿠드 ]] | [[인도 인민당| 인도 인민당 ]] | ||||
모하메드 시아 알수다니 | 베냐민 네타냐후 (6차) | 나렌드라 모디 (3차) | ||||
| | | ||||
[[자유민주당(일본)| 자유민주당 ]] | [[중국공산당| 중국공산당 ]] | [[아마나트| 아마나트 ]] | ||||
이시바 시게루 (2차) | 리창 | 올자스 벡테노프 | ||||
| | | ||||
[[무소속| 무소속 ]] | [[캄보디아 인민당| 캄보디아 인민당 ]] | [[무소속| 무소속 ]] | ||||
모하메드 빈 압둘라흐만 알사니 (왕족) | 훈 마넷 | 아마드 알압둘라 알사바 (국왕의 조카) | ||||
| | | ||||
[[무소속| 무소속 ]] | [[타지키스탄 인민민주당| 타지키스탄 인민민주당 ]] | [[태국 자랑당| 태국 자랑당 ]] | ||||
아딜베크 카시말리예프 | 코히르 라술조다 | 아누틴 찬위라꾼 | ||||
| | |||||
[[파키스탄 무슬림 동맹| 파키스탄 무슬림 동맹 ]] | [[무소속| 무소속 ]] | |||||
셰바즈 샤리프 (2차) | 무함마드 무스타파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6%"" {{{#!folding [ 유럽 ] | * 정부수반이 아닌 총리 ** 바티칸 시국의 명목상 정부수반은 바티칸 시국 행정부 장관이다. *** 스위스의 총리는 행정부 소속이 아니며 명목상 정부수반이 없다. | |||
| | | ||||
[[신민주주의당| 신민주주의당 ]] | [[무소속| 무소속 ]] | [[무소속| 무소속 ]] | ||||
키리아코스 미초타키스 (2차) | 주소이트 콘스탄틴 | 딕 스호프 | ||||
| | | ||||
[[노동당(노르웨이)| 노동당 ]] | [[사회민주당(덴마크)| 사회민주당 ]] | [[독일 기독교민주연합| 독일 기독교민주연합 ]] | ||||
요나스 가르 스퇴레 (2차) | 메테 프레데릭센 (2차) | 프리드리히 메르츠 | ||||
| | | ||||
[[신단결| 신단결 ]] | [[무소속| 무소속 ]] | [[국민자유당(루마니아)| 국민자유당 ]] | ||||
에비카 실리냐 | 미하일 미슈스틴 (2차) | 일리에 볼로잔 | ||||
| | | ||||
[[기독사회인민당| 기독사회인민당 ]] | [[리투아니아 사회민주당| 사회민주당 ]] | [[애국연합| 애국연합 ]] | ||||
뤼크 프리당 | 긴타우타스 팔루츠카스 | 브리기테 하스 | ||||
| | | ||||
[[무소속| 무소속 ]] | [[지금 유럽!| 지금 유럽! ]] | [[무소속| 무소속 ]] | ||||
이자벨 베로 아마데이 (권한대행) | 밀로이코 스파이치 | 도린 레체안 | ||||
| | | ||||
[[노동당(몰타)| 노동당 ]] | [[무소속| 무소속 ]] | [[Open VLD| Open VLD ]] | ||||
로버트 아벨라 (2차) | 피에트로 파롤린 | 바르트 더베버르 | ||||
| | | ||||
[[무소속| 무소속 ]] | [[독립사회민주연대| 독립사회민주연대 ]] | [[내부 마케도니아 혁명 기구-마케도니아 국민통합민주당| VMRO-DPMNE ]] | ||||
알렉산드르 투르친 | 보랴나 크리슈토 | 흐리스티얀 미츠코스키 | ||||
| | | ||||
[[국민통일당| 국민통일당 ]] | [[유럽 발전을 위한 불가리아 시민| GERB ]] | [[무소속| 무소속 ]] | ||||
위날 위스텔 | 로센 젤랴즈코프 | 주로 마추트 | ||||
| | | ||||
[[온건당| 온건당 ]] | [[스위스 녹색자유당| 스위스 녹색자유당 ]] | [[스페인 사회주의노동자당| 스페인 사회주의노동자당 ]] | ||||
울프 크리스테르손 | 빅토르 로시 | 페드로 산체스 (3차) | ||||
| | | ||||
[[사회민주당(슬로바키아)| 방향-사회민주주의 ]] | [[자유운동(슬로베니아)| 자유운동 ]] | [[시민계약(정당)| 시민계약 ]] | ||||
로베르트 피초 (4차) | 로베르트 골로프 | 니콜 파시냔 (3차) | ||||
| | | ||||
[[사회민주동맹| 사회민주동맹 ]] | [[피어너 팔| 피어너 팔 ]] | [[무소속| 무소속 ]] | ||||
크리스트륀 프로스타도티르 | 미할 마틴 (2차) | 알리 아사도프 | ||||
| | | ||||
[[안도라 민주당| 안도라 민주당 ]] | [[알바니아 사회당| 알바니아 사회당 ]] | [[무소속| 무소속 ]] | ||||
샤비에르 에스포트 자모라 (2차) | 에디 라마 (3차) | 블라디미르 델바 (권한대행) | ||||
| | | ||||
[[에스토니아 개혁당| 에스토니아 개혁당 ]] | [[노동당(영국)| 노동당 ]] | [[오스트리아 인민당| 오스트리아 인민당 ]] | ||||
크리스텐 미할 | 키어 스타머 | 크리스티안 슈토커 | ||||
| | | ||||
[[무소속| 무소속 ]] | [[이탈리아의 형제들| 이탈리아의 형제들 ]] | [[조지아의 꿈| 조지아의 꿈 ]] | ||||
율리아 스비리덴코 | 조르자 멜로니 | 이라클리 코바키제 | ||||
| | | ||||
[[시민민주당| 시민민주당 ]] | [[자결당| 자결당 ]] | [[크로아티아 민주연합| 크로아티아 민주연합 ]] | ||||
페트르 피알라 | 알빈 쿠르티 (2차) | 안드레이 플렌코비치 (3차) | ||||
| | | ||||
[[무소속| 무소속 ]] | [[사회민주당(포르투갈)| 사회민주당 ]] | [[시민 연단| 시민 연단 ]] | ||||
알렉산드르 로젠베르크 | 루이스 몬테네그루 | 도날트 투스크 (3차) | ||||
| | | ||||
[[민주운동| 민주운동 ]] | [[국민연합당| 국민연합당 ]] | [[청년민주동맹| 청년민주동맹 ]] | ||||
프랑수아 바이루 | 페테리 오르포 | 오르반 빅토르 (5차)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6%"" {{{#!folding [ 아메리카 ] | * 정부수반이 아닌 총리 ☭ 공산국가의 수상 | ||
| | | ||||
[[인민진보당| 인민진보당 ]] | [[국민민주회의(그레나다)| 국민민주회의 ]] | [[도미니카 노동당| 도미니카 노동당 ]] | ||||
마크 필립스 | 디콘 미첼 | 루스벨트 스케릿 (5차) | ||||
| | | ||||
[[바베이도스 노동당| 바베이도스 노동당 ]] | [[진보자유당| 진보자유당 ]] | [[인민연합당| 인민연합당 ]] | ||||
미아 모틀리 (2차) | 필립 데이비스 | 조니 브리세뇨 (2차) | ||||
| | | ||||
[[세인트루시아 노동당| 세인트루시아 노동당 ]] | [[통일노동당| 통일노동당 ]] | [[세인트키츠 네비스 노동당| 세인트키츠 네비스 노동당 ]] | ||||
필립 조셉 피에르 | 랄프 곤살베스 (5차) | 테런스 드루 | ||||
| | | ||||
[[무소속| 무소속 ]] | [[무소속| 무소속 ]] | [[자메이카 노동당| 자메이카 노동당 ]] | ||||
알릭스 디디에 피스-에메 (권한대행) | 개스턴 브라운 (3차) | 앤드루 홀네스 (3차) | ||||
| | | ||||
[[캐나다 자유당| 캐나다 자유당 ]] | [[쿠바 공산당| 쿠바 공산당 ]] | [[인민민족운동| 통일국민회의 ]] | ||||
마크 카니 | 마누엘 마레로 크루스 (2차) | 캄라 퍼사드비세사 (2차) | ||||
| ||||||
[[무소속| 무소속 ]] | ||||||
구스타보 아드리안젠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6%"" {{{#!folding [ 아프리카 ] | * 정부수반이 아닌 총리 ☆ 군부에 의해 임명 ♔ 사실상 전제군주국인 입헌군주국 | ||||
| | | ||||
[[무소속| 무소속 ]] | [[무소속| 무소속 ]] | [[남서아프리카 인민기구| 남서아프리카 인민기구 ]] | ||||
바 우리 | 후이 두아르테 드 바호스 | 엘리자 은구라레 | ||||
| | | ||||
[[무소속| 무소속 ]] | [[번영을 위한 혁명| 번영을 위한 혁명 ]] | [[사회민주당(르완다)| 사회민주당 ]] | ||||
알리 라민 제인 | 샘 마테카네 | 에두아르 응기렌테 (2차) | ||||
| | | ||||
[[무소속| 무소속 ]] | [[무소속| 무소속 ]] | [[무소속| 무소속 ]] | ||||
압둘 하미드 드베이바 | 크리스티앙 은차이 (3차) | 압둘라예 마이가 (임시) | ||||
| | | ||||
[[독립국민연합| 독립국민연합 ]] | [[노동당(모리셔스)| 노동당 ]] | [[공정당| 공정당 ]] | ||||
아지즈 아칸누시 (2차) | 나빈 람굴람 (4차) | 모크타르 울드 디제이 | ||||
| | | ||||
[[모잠비크 해방전선| 모잠비크 해방전선 ]] | [[민주방위국민회의-민주방위군| 민주방위국민회의-민주방위군 ]] | [[무소속| 무소속 ]] | ||||
마리아 벤빈다 레비 | 제르베 은디라코부차 | 장 에마뉘엘 웨드라오고 (임시) | ||||
| | | ||||
[[폴리사리오 전선| 폴리사리오 전선 ]] | [[독립민주행동당| 독립민주행동당 ]] | [[무소속| 무소속 ]] | ||||
보우치라야 함무디 바요운 (3차) | 아메리쿠 하무스 (2차) | 우스만 송코 | ||||
| | | ||||
[[평화개발연합당| 평화개발연합당 ]] | [[무소속| 무소속 ]] | [[무소속| 무소속 ]] | ||||
함자 압디 바레 | 다팔라 알하지 알리 (권한대행) | 데이비드 모이니나 셍게 | ||||
| | | ||||
[[무소속| 무소속 ]] | [[무소속| 무소속 ]] | [[번영당| 번영당 ]] | ||||
나디르 라르바우이 | 러셀 들라미니 (왕족) | 아비 아머드 (2차) | ||||
| | | ||||
[[민족저항운동| 민족저항운동 ]] | [[무소속| 무소속 ]] | [[적도 기니 민주당| 적도 기니 민주당 ]] | ||||
로비나 나반자 | 무스타파 아드불리 | 마누엘 오사 은수에 은수아 | ||||
| | | ||||
[[연합마음운동| 연합마음운동 ]] | [[진보인민연합| 진보인민연합 ]] | [[무소속| 무소속 ]] | ||||
펠릭스 몰루아 | 압둘카데르 카밀 모하메드 (3차) | 알라마예 할리나 | ||||
| | | ||||
[[카메룬 인민민주운동| 카메룬 인민민주운동 ]] | [[민주운동(카보베르데)| 민주운동 ]] | [[공화연합| 공화연합 ]] | ||||
조셉 응구테 (2차) | 울리스스 코헤이아 이 시우바 (2차) | 로베르 뵈그레 맘베 | ||||
| | | ||||
[[콩고 노동당| 콩고 노동당 ]] | [[콩고의 미래| 콩고의 미래 ]] | [[탄자니아 혁명당| 탄자니아 혁명당 ]] | ||||
아나톨 콜리넷 마코소 (2차) | 주디스 툴루카 수민와 | 카심 마잘리와 (2차) | ||||
| | |||||
[[공화국을 위한 연합| 공화국을 위한 연합 ]] | [[무소속| 무소속 ]] | |||||
포르 냐싱베 | 사라 자파라니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6%"" {{{#!folding [ 오세아니아 ] | ♔ 사실상 전제군주국인 입헌군주국 NZ 뉴질랜드의 자유연합 | |||
| | | ||||
[[뉴질랜드 국민당| 국민당 ]] | [[무소속| 무소속 ]] | [[바누아투 지도자당| 바누아투 지도자당 ]] | ||||
크리스토퍼 럭슨 | 달튼 타겔라기 (2차) | 조섬 나팟 | ||||
| | | ||||
[[사모아 연합 내 믿음| 사모아 연합 내 믿음 ]] | [[소유통합책임당| 소유통합책임당 ]] | [[쿡 제도당| 쿡 제도당 ]] | ||||
피아메 나오미 마타아파 | 제러마이아 머넬레 | 마크 브라운 (2차) | ||||
| | | ||||
[[무소속| 무소속 ]] | [[무소속| 무소속 ]] | [[팡구당| 팡구당 ]] | ||||
아이사케 에케 | 펠레티 테오 | 제임스 마라페 (2차) | ||||
| | |||||
[[인민동맹| 인민동맹 ]] | [[호주 노동당| 호주 노동당 ]] | |||||
시티베니 람부카 (3차) | 앤서니 앨버니지 (2차) | }}}}}}}}} | ||||
재위 중인 군주 · 재임 중인 대통령 및 총통 · 집권 중인 공산국가 지도부 |
[1] 국립국어원의 규정용례로 '네타냐후, 베냐민'으로 심의되었다. 성경 표기의 영향으로 '베냐민'과 '네타냐후'라는 표기로 굳어져 있으나 히브리어에서는 한국어의 '냐'에 해당하는 /nja/ → [ȵa] 발음이 존재하지 않으며 자음과 반모음 y의 조합음이 /C.j/로 분절된다. 때문에 히브리어 발음은 '[binjaˈmin netanˈjahu\](''Binyamin Netanyahu, 빈야민 네탄야후)'에 가깝다. 하지만 그렇게 표기한다고 해서 한국어 언중들이 똑바르게 분절하여 발음하리라는 보장은 없다. 외래어가 되는 순간 한국어의 음운변동, 자음동화 현상을 피해갈 수는 없기 때문이다. 가령 성과 이름으로 띄어쓰기가 되어 있는 존 애덤스도 실제 한국어 화자가 발음할 때는연음으로 인해 /조내덤스/가 된다. 즉 '네탄야후'로 표기해도 연음 때문에 /네타냐후/로 읽어버릴 가능성이 남아있는 것. 다만 '네탄야후'로 표기할 경우 기존 히브리어 발음대로 읽되, ㄴ 첨가 현상으로 인해 '네탄냐후'로 발음될 가능성이 높다.[2] 물리학자, 극작가[3] 혼전성은 벤아르치(בן ארצי, Ben-Artzi).[4] 미국 펜실베이니아에 있는 고등학교.[5] 엔테베 작전에서 형 요나탄의 죽음으로 중퇴하였다. #[6] 나이가 70이 넘은 지금은 조금 줄어서 178cm이다.[7] 미국에서 공부하던 1967년 이스라엘군과 중동 연합군이 충돌하자 이스라엘로 돌아왔다. 이후 욤 키푸르 전쟁 이 끝날 때까지 복무하였다[8] 그 전 기록은 초대 총리 다비드 벤구리온의 4,875일.[9] 해당 작전에서 참여한 16명의 특수부대원중 한명이었던 에후드 바라크도 훗날 이스라엘의 총리가 되었다. 1999년 첫번째 임기를 마친 네타냐후의 후임 총리로 임명되었다.[10] 이는 네타냐후만의 특징은 아니며, 이스라엘의 유력 정치인들은 정도의 차이만 있을 뿐 상당수가 아랍 및 팔레스타인 정책에 대해 강경한 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