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7-21 02:02:36

제49회 주요국 정상회의


주요 7개국 (G7)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8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373a3c,#dddddd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캐나다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일본 영국 미국 [ruby(유럽연합, ruby=(비공식))]
역대 주요국 정상회의 개별 문서
G6(랑부이예 1975) | G7(산후안 1976 · 런던 1977 · 본 1978 · 도쿄 1979 · 베네치아 1980 · 오타와 1981 · 베르사유 1982 · 윌리엄스버그 1983 · 런던 1984 · 본 1985 · 도쿄 1986 · 베네치아 1987 · 토론토 1988 · 파리 1989 · 휴스턴 1990 · 런던 1991 · 뮌헨 1992 · 도쿄 1993 · 나폴리 1994 · 핼리팩스 1995 · 리옹 1996) | G8(덴버 1997 · 버밍엄 1998 · 쾰른 1999 · 규슈-오키나와 2000 · 제노바 2001 · 카나나스키스 2002 · 에비앙 2003 · 시 아일랜드 2004 · 글레니글스 2005 · 상트페테르부르크 2006 · 하일리겐담 2007 · 토야코 2008 · 라퀼라 2009 · 무스코카 2010 · 프랑스 2011 · 캠프 데이비드 2012 · 로크 에른 2013 · 소치 2014) | G7(브뤼셀 2014 · 슐로스 엘마우 2015 · 이세-시마 2016 · 타오르미나 2017 · 샤를부아 2018 · 비아리츠 2019 · 캠프 데이비드 2020 · 콘월 2021 · 독일 2022 · 히로시마 2023 · 이탈리아 2024 · 카나나스키스 2025 · 에비앙 2026)
}}}}}}}}}}}}}}} ||
<nopad> {{{#!wiki style="padding-top: 5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1369a3, #000 40% 60%, #e63a1a); color: #fff"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40%;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주요 사건 ]
{{{#!wiki style="margin: -5px -1px; letter-spacing: -.05em"
발생 시점순, 세부 진행 사항은 각 문서 참고
<colbgcolor=#000><colcolor=#fff>2017년 이전남오세티야 전쟁 · 북한의 2차 핵실험 · 대청해전 · 천안함 피격 사건 · 센카쿠 열도 중국 어선 충돌 사건 · 연평도 포격전 · 제1차 리비아 내전 · 시리아 내전 · 2012년 가자 전쟁 · 북한의 3차 핵실험 · 유로마이단 혁명 · 2014년 크림 위기 · 돈바스 전쟁 · 2014년 가자 전쟁 · 2014년 홍콩 민주화 운동 · 예멘 내전 · 북한의 4차 핵실험 · 북한의 5차 핵실험 · 북한의 6차 핵실험
2018년세르게이 스크리팔 암살 미수 사건 · 미중 무역 전쟁 (화웨이 규제 명령) · 미국-캐나다·멕시코 무역 전쟁 · 아르테미스 계획
2019년2019년 베네수엘라 정치 위기 · 2019년 홍콩 민주화 운동 (홍콩 보안법 논란 · 홍콩 인권 민주주의 법 · 영국 정부의 대응)
2020년바그다드 국제공항 공습 · 라이언에어 4978편 벨라루스 강제착륙 사건 · 남북공동연락사무소 폭파 사건 · 알렉세이 나발니 독살 미수 사태 · 2020년 벨라루스 시위 · 호주-중국 무역 분쟁
2021년미얀마 내전 · 2021년 가자 전쟁 · 벨라루스-EU 국경 위기
2022년2022년 카자흐스탄 시위 · USS 칼 빈슨함 F-35C 추락 사고 ·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 2022년 세르비아-코소보 분쟁 · 2022년 이란 시위 · 중국 제로 코로나 반대 시위 · 중국의 국외 불법 경찰조직 운영 발각 (국내 사례)
2023년중국 정찰풍선 사건 · 미국 국방부 기밀문건 유출 사태 · 북한 천리마-1 발사 사건 · 워싱턴 선언 · 2023년 수단 내전 · 2023년 니제르 위기 · 북러 정상회담 ·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2024년 예멘 공습 · 진실의 약속 작전 · 이스라엘-헤즈볼라 전쟁)
2024년알렉세이 나발니 사망 사건 · 북러 정상회담 · 북한의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참전 · 2024년 시리아 반군 공세 (다마스쿠스 함락) · 이스라엘의 시리아 침공
2025년트럼프 행정부의 영토확장 계획 · 2025년 세계 무역 전쟁 (미중 무역 전쟁 · 미국-캐나다·멕시코 무역 전쟁 · 대한민국의 대응) · 미국-우크라이나 광물 협정 · 2025년 인도-파키스탄 분쟁 · 2025년 이스라엘-이란 분쟁 · 태국-캄보디아 국경 분쟁 · 켄싱턴 협정 · 미국-베네수엘라 위기 · 러시아의 폴란드 도발 · 2025년 나토-러시아 위기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40%;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국제 기구
NATO | OTAN
}}}]]
ОДКБ | CSTO
}}}]]
上合组织 | ШОС
}}}]]
제1세계유럽연합 · 유엔군사령부 · Quad · 파이브 아이즈 · AUKUS · CANZUK · CHIP4 · IPEF · MSMT · TIAR · GUAM
제2세계독립국가연합(СНГ/CIS) · 집단 안보 조약 기구(ОДКБ/CSTO) · 유라시아 경제 연합(ЕАС/EAEU)
관련 틀
틀:2020년대 이스라엘-시아파 갈등 · 틀:2023년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 틀:2020년대 사헬 쿠데타 · 틀: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제49회 주요국 정상회의
<colbgcolor=#876b1a><colcolor=#fff,#fff> 2023년 G7 히로시마 정상회의
G7 HIROSHIMA SUMMIT 2023
<nopad> 파일:G7 2023 logo.png
일시 2023년 5월 19~21일 (JST)
장소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히로시마현 히로시마시 미나미구
그랜드프린스호텔 히로시마
주최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회원국
정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캐나다|{{{#!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캐나다}}}{{{#!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캐나다 총리 쥐스탱 트뤼도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프랑스|{{{#!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프랑스}}}{{{#!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프랑스 대통령 에마뉘엘 마크롱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독일|{{{#!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독일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독일}}}{{{#!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독일 총리 올라프 숄츠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이탈리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이탈리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이탈리아 총리 조르자 멜로니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일본 총리 기시다 후미오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영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영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영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영국 총리 리시 수낙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미국 대통령 조 바이든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유럽연합|{{{#!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유럽연합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유럽연합}}}{{{#!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유럽연합 정상회의 상임의장 샤를 미셸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유럽연합|{{{#!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유럽연합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유럽연합}}}{{{#!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유럽연합 집행위원장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초청국
정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호주|{{{#!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호주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호주}}}{{{#!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호주 총리 앤서니 앨버니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브라질|{{{#!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브라질}}}{{{#!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브라질 대통령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 시우바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코모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코모로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코모로}}}{{{#!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코모로 대통령 아잘리 아소우마니
파일:쿡 제도 기.svg 쿡 제도 총리 마크 브라운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인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인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인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인도 총리 나렌드라 모디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인도네시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인도네시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인도네시아 대통령 조코 위도도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대한민국 대통령 윤석열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베트남|{{{#!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베트남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베트남}}}{{{#!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베트남 총리 팜민찐
특별초청국
정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우크라이나|{{{#!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우크라이나}}}{{{#!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우크라이나 대통령 볼로디미르 젤렌스키[A]
결과 -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플리커 아이콘.svg

1. 개요2. 참가자
2.1. 회원국 대표2.2. 초청국 대표2.3. 특별초청국 대표2.4. 초청 국제기구 대표
3. 회담 과정4. 공동 성명5. 반응
5.1. 대한민국5.2. 그 외 국가
6. 여담
6.1.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룬 대통령' 말실수 논란
7. 둘러보기

1. 개요

제49회 G7 정상회의는 2023년 5월 19~21일에 일본 히로시마에서 개최되는 G7 정상회의이다. 회의는 일본 히로시마시 미나미구[2]에 위치한 그랜드프린스호텔 히로시마에서 열린다. 더불어 히로시마 평화공원과 미야지마에 있는 이츠쿠시마에서 G7회원 단체 사진 촬영과 회의를 진행했다.

러시아의 침공으로 전쟁을 치르고 있는 우크라이나볼로디미르 젤렌스키 대통령이 특별초청되어 정상회담에 대면 참석한다. 젤렌스키 대통령으로서는 개전 이후 첫 대면 다자회담 참석이다.

G7 회담장에서 앞전에 취소되었던 Quad 회의를 20일 오후에 진행했다.#

2. 참가자

2.1. 회원국 대표

2023년 G7 정상회의 회원국 대표
<rowcolor=#fff> 국가 대표 비고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파일:jpjt.jpg 쥐스탱 트뤼도
총리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마크롱 대통령 공식사진 크롭.jpg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bild-olaf-scholz.jpg 올라프 숄츠
총리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Giorgia_Meloni_2022.jpg 조르자 멜로니
총리
취임 후
첫 참석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Fumio_Kishida_202110041.jpg 기시다 후미오
총리
주최국 정상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리시 수낙2.jpg 리시 수낙
총리
취임 후
첫 참석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President Joe Biden.jpg 조 바이든
대통령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유럽연합
(비공식)
파일:charles-michel.jpg 파일:벨기에 국기.svg 샤를 미셸
상임의장
파일:Ursula_von_der_Leyen_.jpg 파일:독일 국기.svg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집행위원장

2.2. 초청국 대표

2023년 G7 정상회의 초청국 대표
<rowcolor=#fff> 국가 대표 비고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Anthony_Albanese.jpg 앤서니 앨버니지
총리
D10 당사국 정상
다음 Quad 호스트[3]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파일:룰라 제39대 대통령 공식 사진.jpg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 시우바
대통령
2023 ACTO 의장
2024 G20 의장
파일:코모로 국기.svg
코모로
파일:아잘리 아소우마니 대통령.jpg 아잘리 아소우마니
대통령
2023 AU 의장
파일:쿡 제도 기.svg
쿡 제도
파일:마크 브라운.jpg 마크 브라운
총리
2023 태평양 제도 포럼 의장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나렌드라 모디.jpg 나렌드라 모디
총리
D10 당사국 정상
2023 G20 의장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파일:조코 위도도 대통령 공식사진 2019.jpg 조코 위도도
대통령
2023 ASEAN 의장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South_Korea_President_Yoon_Suk_Yeol_portrait.jpg 윤석열
대통령
D10 당사국 정상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파일:ong-pham-minh-chinh-lam-pho-chu-tich-hoi-dong-quoc-phong-va-an-ninh.jpg 팜민찐
총리
요미우리 신문에 따르면 윤석열 대한민국 대통령의 초청이 조율 중이라고 한다. 요미우리 신문은 징용공 문제가 초청의 관건이 될 것으로 예상했다. # #

이외에 앤서니 앨버니지 호주 총리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 조코 위도도 인도네시아 대통령 등의 초청이 검토 중이라고 한다. #

2월 18일, 앤서니 앨버니지 호주 총리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가 초청되었다. #

블라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 초청이 검토 중이다.#,# 2월 25일의 화상회의에서는 G7 정상들과 유일하게 회담을 가졌다. #

3월 4일, 일본 정부에서 윤석열 대한민국 대통령을 초청할 의사를 이미 대한민국 정부에 전달한 것이 확인되었다. #

3월 17일, 2023년 한일정상회담에서 기시다 일본 총리가 윤석열 대통령을 G7에 초청했다. #

3월 20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와의 정상회담을 앞두고 인도 뉴델리에서, 기존에 알려진 대한민국, 호주, 인도 이외의 초청국들을 상세히 밝혔다. #

2.3. 특별초청국 대표

2023년 G7 정상회의 특별초청국 대표
<rowcolor=#fff> 국가 대표 비고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파일:Володимир_Олександрович_Зеленський.jpg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대통령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전쟁당사국 정상
특별참석[A][5]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온라인으로 참석하기로 하였으나 대면 참석을 하기로 결정하였다. ##

2.4. 초청 국제기구 대표

2023년 G7 정상회의 초청 국제기구 대표
<rowcolor=#fff> 국제기구 대표 국적
파일:International-energy-agency-logo.png
국제에너지기구
파일:파티흐비롤.jpg 파티흐 비롤
사무총장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파일:국제통화기금 로고.svg
국제통화기금
파일:50587867_303.jpg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총재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파일:OECD 가로 로고.svg
경제협력개발기구
파일:마티아스 코먼.png 마티아스 코먼
사무총장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UN기.svg
유엔
파일:antonio-guterres.jpg 안토니오 구테흐스
사무총장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파일:세계은행 로고.svg
세계은행
파일:세계은행총장.jpg 데이비드 맬패스
총재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세계보건기구기.svg
세계보건기구
파일:WHO-DG-Tedros-for-ra.jpg (화상 참석)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이여수스
사무총장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에티오피아
파일:세계무역기구 로고.svg
세계무역기구
파일:응고지사무총장후보자.jpg 응고지 오콘조이웨알라
사무총장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

3. 회담 과정

4. 공동 성명

  • 공동 성명문
    • 히로시마 G7 정상 공동성명문(G7 Hiroshima Leaders' Communiqué)영문
  • 개별 성명문
    • 우크라이나에 관한 G7 정상 성명(G7 Leaders’ Statement on Ukraine)영문 일문
    • 핵군축에 관한 G7 정상 히로시마 비전(G7 Leaders’ Hiroshima Vision on Nuclear Disarmament)영문 일문
    • 경제적 회복탄력성 및 경제 안보에 관한 G7 정상 성명(G7 Leaders’ Statement on Economic Resilience and Economic Security)영문 일문
    • G7 청정 에너지 경제 행동 계획(G7 Clean Energy Economy Action Plan)영문 일문
    • 탄력적인 국제 식량 안보를 위한 히로시마 행동 성명(Hiroshima Action Statement for Resilient Global Food Security)영문 일문

5. 반응

5.1. 대한민국

  • 2023년 5월 20일 김민수 국민의힘 대변인은 "대한민국은 심리적 G8 국가 반열에 올랐다. 글로벌 룰 메이커, 글로벌 중추 국가로 우뚝 섰다"고 논평했다.
  • 2023년 5월 21일 유상범 국민의힘 수석대변인은 브리핑에서 "실리외교를 위한 윤석열 정부의 노력이 이번 G7 정상회의를 계기로 결실을 맺기 시작했다", 한·미·일 3자회담을 위해 미국 워싱턴DC로 초청에 대해 "한·일 양국의 관계 개선 노력에 대해 바이든 대통령 역시 높은 평가와 함께, 워싱턴으로 한일 정상을 초대한 것", "대승적 결단을 통한 (한·일) 셔틀외교의 복원은 물론, 강력한 한·미·일 공조를 이뤄내기 위해 동분서주했던 윤 대통령 노력이 결실을 거둔 것"이라고 강조했다. 전주혜 원내대변인은 "윤 대통령이 '대한민국 1호 영업사원'답게 국격을 드높이고 실익외교를 펼치고 있다", "특히 한일정상의 한국인 원폭 희생자 위령비 첫 공동참배는 78년간 감춰져 왔던 한국인 피해자의 존재가 국제사회의 조명을 받게 됐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논평했다.
  • 2023년 5월 22일 장경태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은 최고위원회의에서 "사실적 핵공유"에 이은 "심리적 G8"을 "푸들외교"라고 비판하였다.#

5.2. 그 외 국가

  • 중국 외교부는 G7이 대만 해협의 평화와 안정을 촉구하고, 중국의 인권 상황에 우려를 표시한것에 대해 "중국을 먹칠하고 공격했다"면서 “중국은 강한 불만과 결연한 반대를 표시한다”고 강조했다. #

6. 여담

  • 히로시마에서 열리는 정상회의인 만큼 G7 정상들의 원폭 자료관 방문이 예정되어 있었는데, 미국 대통령이 해외에 순방할 경우 전속부관이 핵가방인 뉴클리어 풋볼(Nuclear football)을 반드시 휴대하고 가까운 거리에서 보좌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미국이 원폭을 투하했던 폭심지에 미국 대통령이 핵가방을 갖고 들어가는 장면이 연출될 수 있어 일본 국내에서 화제가 되었다. # 이미 일본 국내의 반핵단체는 히로시마에서 G7 회의가 열리는 시점에서 핵가방이 히로시마에 들어온다는 것에 거부감을 표하는 목소리가 있었다. 다만 미국 대통령이 히로시마를 방문한 것은 처음이 아닌데, 2016년 5월 27일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히로시마를 방문했을 때도 핵가방이 동행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
  • 윤석열 대통령은 한국 대통령으로는 역대 최초로 히로시마 원폭 피해 동포들과 만났다. 尹 "고국이 함께 못해 사과" 원폭피해 동포 "꿈꾸듯 감격"(종합)
  • 윤석열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는 공동으로 한국인 원폭희생자 위령비를 참배했다. # 한국 대통령이 이곳을 참배한 것은 이번이 최초이며, 한일 양국 정상이 공동으로 이곳을 참배한 것도 이번이 최초이다.
  • 미국의 바이든 대통령은 G7 마지막 날 이뤄진 한미일 회담에서 윤 대통령과 기시다 총리를 워싱턴 DC로 초청하겠다고 제안했다. #
  • 정상회의 개최지 히로시마시에 연고를 두고 있는 히로시마 도요 카프의 경우 회의 기간 및 준비 기간 동안 홈구장에서 경기를 치를 수 없다. 따라서 4시리즈 연속으로 강제적인 원정 경기를 떠나게 되었다.
  • 리시 수낙 영국 총리가 히로시마 시내에서 오코노미야키 만들기를 체험했다.#
  • 조르자 멜로니 이탈리아 총리는 자국의 홍수 피해로 인해 조기 귀국하게 되었다.
  • 젤렌스키를 일본까지 안전하게 호송하는 역할을 프랑스가 맡았다. 그 덕분에 이번 G7에서 프랑스는 자국의 존재감을 확실히 드러냈다.#
  • 참석 국가 중에서 중국이 없었기에 한국이 유일하게 후쿠시마산 수입을 금지하고 있는 국가였다. 중국(홍콩, 마카오)과 한국이 후쿠시마산 수입 금지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 그래서 이 행사에서 후쿠시마산 식재료가 쓰인다는 사실이 한국에서는 논란이 되어 기사화됐다.

6.1.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룬 대통령' 말실수 논란


“한국의 룬 대통령” 바이든 G7서도 말실수…백악관은 전문 공개 [영상]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정상회의 기자회견 중 윤 대통령을 룬(Loon) 대통령으로 언급하는 말실수를 해버린 해프닝이 있었다.

영어로 '룬(Loon)'은 물고기를 먹고 사는 아비속과의 물새 일종을 부르는 단어지만 해당 단어를 사람에게 쓰면 '미치광이, 정신나간 사람, 미친 사람'[6]이라는 뜻이 되기도 해 바이든이 윤석열 대통령을 향해 '미치광이 대통령'이라고 불러버린 모양새가 되어 대한민국에서는 클리앙, 딴지일보, 더불어민주당 마이너 갤러리 등 친민주당, 반윤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1자 단어라 약칭처럼 쓸 수 있는 간결성 때문인지 윤석열을 향한 멸칭으로 쓰이기도 한다.

바이든 대통령은 평소 잦은 말실수로 고령의 나이와 엮여 치매 논란까지 있었는데 단어나 이름을 혼동해 말한 사례가 적지 않았고 이에 따라 외신이나 해외 커뮤니티에서는 바이든 대통령이 또 말실수를 했다며 구설수에 오르기도 했다.

예시로 윗 영상은 미국 공화당 측 유튜브 채널 ‘GOP War room’이 21일 ‘룬(Loon)’ 발언 관련 영상 부분만 편집해 올린 영상이며 그 밖에 인도 매체 'Hindustan Times'는 '미치광이 대통령: 바이든 대통령이 한국 대통령 이름을 잘못 발음했다(President Loon: Biden Trolled for misprouncing South Korean leader's name)'는 심각한 배경음악이 들어간 다소 조롱 섞인 영상을 만들어 올렸으며 미국 소셜 토론 커뮤니티 레딧(Reddit) 등에도 해당 영상과 함께 바이든이 G7 정상회의에서 미치광이 대통령이란 말을 했다는 내용이 올라와 토론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

7.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8px"<tablebordercolor=#003764><tablebgcolor=#003764>
파일:정부상징.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2022년
회담 명칭 개최 지역 비고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윤석열 대통령 첫 정상회담
[[스페인|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NATO)
대한민국 대통령 최초 참석
한국-캐나다 정상회담
[[캐나다|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아세안 정상회의
[[캄보디아|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캄보디아]] (ASEAN)
[[2022 G20 발리 정상회의|
G20 발리 정상회의
]]
[[인도네시아|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G20)
2023년
회담 명칭 개최지역 비고
한-UAE 정상회담
[[아랍에미리트|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국빈방문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한국 대통령의 12년만의 단독 방일
화상회의 / 미국, 코스타리카, 네덜란드, 잠비아와 공동주최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백악관 국빈방문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일본 총리의 12년만의 방한 및 양국 셔틀외교 복원
한국-캐나다 정상회담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G7)
초청국 정상 자격으로 참여
한국-독일 정상회담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독일 총리의 30년 만의 방한
한국-EU 정상회담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최초 상임의장 및 집행위원장 동시 방한
한국-태평양도서국 정상회의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한국-프랑스 정상회담
[[프랑스|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BIE 총회 참석
한국-베트남 정상회담
[[베트남|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국빈방문
[[리투아니아|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NATO)
대한민국 대통령
2년 연속 참석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2023 G20 뉴델리 정상회의|
G20 뉴델리 정상회의
]]
[[인도|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G20)
[[2023년 APEC 미국 샌프란시스코 정상회의|
2023년 APEC 미국 샌프란시스코 정상회의
]]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윤석열 대통령 첫 APEC 정상회의 참석
[[한영관계|
한영 정상회담
]]
[[영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찰스 3세 영국 국왕 재위 중 첫 국빈방문
[[한국-네덜란드 관계|
한국-네덜란드 정상회담
]]
[[네덜란드|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대한민국 대통령 최초 국빈방문
2024년
회담 명칭 개최지역 비고
[[2024년 대한민국-루마니아 정상회담|
한국-루마니아 정상회담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2024년 APEC 페루 리마 정상회의|
2024년 APEC 페루 리마 정상회의
]]
[[페루|
파일:페루 국기.svg
페루]]
내년도 의장국 지위
[[한국-말레이시아 관계|
한국-말레이시아 정상회담
]]
[[말레이시아|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말레이시아 총리 5년만에 방한
* 자세한 외교 일정은 윤석열 정부/외교 문서 참조
}}}}}}}}}

파일:미국 대통령 문장.svg
조 바이든 행정부 주요 정상회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회담 명칭 개최 지역 비고
2021년 미일정상회담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조 바이든 대통령 첫 정상회담
2021년 한미정상회담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2021년 미-아프간 정상회담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아슈라프 가니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대통령의 방미
2021년 미-독 정상회담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의 방미
2021년 미-우 정상회담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의 방미
2021년 미국-유럽 정상회담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유럽연합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NATO 로고.svg NATO
G7
조 바이든 대통령 첫 해외순방
2021년 미러정상회담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2022년 한미정상회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바이든의 아시아-태평양 순방 첫 회담
2022년 미일정상회담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2021년 미-아세안 정상회담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아세안 정상들을 백악관으로 초청
2022년 G7 엘마우 정상회담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유럽연합
G7
2022년 나토 정상회의 파일:NATO 로고.svg NATO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한국, 일본, 호주, 뉴질랜드 정상의 참석
2023년 한미정상회담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미국이 한국 정상을 백악관으로 초청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G7)
2023년 한미일정상회담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2023년 APEC 정상회의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 ||

{{{#!wiki style="margin:-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D7003A><tablebgcolor=#D7003A> 파일:기시다후미오 투명.svg기시다 후미오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D7003A,#D7003A> 생애 생애(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가족 아버지 기시다 후미타케 · 고종사촌형 미야자와 요이치
역대 선거 제40회 중의원 · 제41회 중의원 · 제42회 중의원 · 제43회 중의원 · 제44회 중의원 · 제45회 중의원 · 제46회 중의원 · 제47회 중의원 · 제48회 중의원 · 제49회 중의원 · 제50회 중의원
정책 가부장적 보수주의 · 온건 보수주의 · 새로운 자본주의 · 소득주도 성장론
외교 2015년 한일 위안부 문제 협상 합의 · 2023년 G7 히로시마 정상회의 · 2023년 한일정상회담
내각 기시다 내각(1차 · 2차 · 2차(1개) · 2차(2개))
논란 및 사건사고 한-일 정상 약식회담 논란 · 통일교 게이트 · 기시다 후미오 폭탄 테러 미수 사건 · 기시다 후미오 AI 딥페이크 동영상 사건
소속 자유민주당 · 굉지회 }}}}}}}}}

{{{#!wiki style="margin:-10px"<tablebordercolor=#0044C9,#0044C9><tablebgcolor=#0044C9,#0044C9> 파일:조 바이든 투명.svg조 바이든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0044C9> 일생 생애 · 활동
가족 아내 질 바이든 · 아들 보 바이든 · 아들 헌터 바이든 · 딸 애슐리 바이든
정치적 입장 정치적 입장
비판 및 논란 비판 및 논란
사건사고 2021년 아프가니스탄 철수 · 2024년 미국 대통령 선거 후보 사퇴
역대 선거 2008년 미국 대통령 선거 · 2012년 미국 대통령 선거 · 2020년 미국 민주당 대통령 후보 경선 · 2020년 미국 대통령 선거
기타 조 바이든 행정부 · Let's Go Brandon
바이든 행정부
정책 행정명령 · 우크라이나 민주주의 방위 대여법안 · Build Back Better(인플레이션 감축법)
외교 정상회담 · 워싱턴 선언
타임라인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2025년
파일:노란색 깃발.svg 자유주의 }}}}}}}}}

{{{#!wiki style="margin:-10px"<tablebordercolor=#00afef>파일:수낙 투명 파일.svg 리시 수낙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00afef>생애<colbgcolor=#fff,#1f2023>생애
역대 선거 제56회 영국 총선 · 제57회 영국 총선 · 제58회 영국 총선 · 제59회 영국 총선 (결과)
정책 및 사상 대처주의 · 일국 보수주의 · 경제적 자유주의 · 유럽회의주의
사건사고 파티게이트
관련 정치인 데이비드 캐머런 · 테레사 메이 · 보리스 존슨 · 프리티 파텔 · 도미닉 랍 · 리즈 트러스 · 마이클 고브 · 제러미 코빈 · 키어 스타머 · 윌리엄 헤이그
기타 리시 수낙 내각 · 보수당
리시 수낙 내각
타임라인 2022년 · 2023년 · 2024년
파일:파란색 깃발.svg 보수주의 }}}}}}}}}

{{{#!wiki style="margin:-10px"<tablebordercolor=#001A5B> 파일:마크롱-투명.svg 에마뉘엘 마크롱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001A5B,#2d2f34><colcolor=#FFF>생애<colbgcolor=#fff,#1f2023>생애 및 정치 경력
역대 선거 2017년 프랑스 대통령 선거 · 2022년 프랑스 대통령 선거
사건사고 대IS 군사 개입 · 노란 조끼 운동 · 2023년 프랑스 연금개혁 시위
관련 정치인 프랑수아 올랑드 · 마린 르펜 · 에두아르 필리프 · 장 카스텍스
기타 르네상스
파일:노란색 깃발.svg 자유주의 }}}}}}}}}

{{{#!wiki style="margin:-10px"<tablebordercolor=#d71920> 파일:트리도-투명.svg쥐스탱 트뤼도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d71920> 생애 <colbgcolor=#fff,#1f2023>생애 및 정치 경력
가족 아버지 피에르 트뤼도
비판 및 논란 비판 및 논란
역대 선거 2021년 캐나다 연방 선거
지역구 파피노
기타 캐나다 자유당 틀:역대 캐나다 자유당 대표
파일:노란색 깃발.svg 자유주의 }}}}}}}}}

{{{#!wiki style="margin: -10px"<tablebordercolor=#e61e2b,#e61e2b><rowcolor=#fff> 파일:윤석열 투명.svg윤석열
관련 문서
}}}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e61e2b,#e61e2b> 일생 <colbgcolor=#fff,#1c1d1f>일생
다른 정치인과의 관계
가족 아버지 윤기중 · 어머니 최성자 · 배우자 김건희
20대 대선 제20대 대통령 선거 · 윤석열 정부
국민의힘 선거대책본부 · 대선 공약 · 장단점 · 대망론 · 국민이 키운 윤석열 내일을 바꾸는 대통령 · 선거 로고송 · AI 윤석열 · 석열이형네 밥집 · 윤석열-안철수 단일화 · 국민캠프 · 살리는 선거대책위원회 · 정권교체동행위원회 · 윤사모 (다함께자유당 · 공정과 상식 회복을 위한 국민연합) · 뮨파 · 똥파리
비판 및 논란 비판 및 논란 · 발언 (2021 · 2022 · 2023 · 말바꾸기) · 본인과 가족 · 정계 입문 이전 (국정원 수사 · 서울중앙지검장 · 검찰총장) · 정계입문 선언 이후 (정책 및 공약 · 인사 · 기타) · 대통령 (인사·행사·안전 · 외교·안보·국방 · 순방)
사건 사고 사건 사고 · 부산저축은행 대장동 불법대출 부실수사 · 김건희 팬카페의 자택 테러 협박글 · 고민정의 신천지 손가락 제스처 의혹제기 · 김의겸의 청담동 술자리 허위 의혹 제기 사건 · 장경태의 화동 성적 학대 발언 · 입틀막 경호 · 김건희-명태균-건진법사 게이트 · 대인 갈등 (이준석 · 한동훈 · 김옥균 프로젝트) · 12.3 비상계엄 (충암파) ·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 ·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 내란 특검법(윤석열 특검법) · 석열산성 · 윤석열 대통령 내란 혐의 수사 (윤석열 구치소 CCTV 영상 유출 사건 · 서울구치소 폭파 예고 사건)
지지 세력 친윤 (윤핵관 · 주윤야한) · 사단 · 대깨윤 · 주학무
별명과 밈 별명 (부정적 별명) · 사람에게 충성하지 않는다 · 민지야 부탁해 · 제가 바보입니까 · 이 새끼가 술 맛 떨어지게 · 경제는 대통령이 살리는 게 아냐 · 좋아 빠르게 가 · 굥정 · 윤두창 · 너, 나하고 일 하나 같이 하자 · 합성물
기타 자택 · 지지율 · 여담 · 어록 · 출근길 문답 · 특별대담 대통령실을 가다 · 윤석열-이재명 영수회담 · 탄핵 관련 문서 (청원 · 퇴진 시위 · 특검청원) · 윤석열김건희 난 · 계몽령 · 윤 어게인 · 힘내라 대한민국 · 새로운 대한민국
별도 문서가 없는 평가 및 논란은 해당 주제 관련 문서 참고
윤석열 정부와 관련된 문서는 틀:윤석열 정부 참고
}}}}}}}}} ||

{{{#!wiki style="margin:-10px"<tablebordercolor=#00B140> 파일:젤렌스키-투명.svg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00B140>생애<colbgcolor=#fff,#1f2023>생애
평가 평가
관련 전쟁 돈바스 전쟁,(2014~), · 우크라이나 침공,(2022~),
외교 2022년 흑해 항로 협상
소속 국민의 일꾼 · 인민의 종
여담 여담 · 우리는 모두 여기 있습니다
관련 틀 우크라이나 대통령
파일:노란색 깃발.svg 자유주의 }}}}}}}}}

[A] 본래 화상 참석으로 예정되어 있었으나 대면 참석하였다.#[2]일본국 내각총리대신기시다 후미오지역구이다.[3] 취소및 20일 일본 히로시마 개최로 변경되었고 그대신 미국에게 국빈초청을 받았다[A] [5] 정상회의 개회 전의 화상회의에도 유일하게 참석하였다.[6] 해당 단어로 Lunatic(루나틱)이라고 있는데 그 속어식 표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