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7개국 (G7)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8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373a3c,#dddddd | | | | |
캐나다 | 프랑스 | 독일 | 이탈리아 | |
| | | | |
일본 | 영국 | 미국 | [ruby(유럽연합, ruby=(비공식))] | |
역대 주요국 정상회의 개별 문서 | ||||
G6(랑부이예 1975) | G7(산후안 1976 · 런던 1977 · 본 1978 · 도쿄 1979 · 베네치아 1980 · 오타와 1981 · 베르사유 1982 · 윌리엄스버그 1983 · 런던 1984 · 본 1985 · 도쿄 1986 · 베네치아 1987 · 토론토 1988 · 파리 1989 · 휴스턴 1990 · 런던 1991 · 뮌헨 1992 · 도쿄 1993 · 나폴리 1994 · 핼리팩스 1995 · 리옹 1996) | G8(덴버 1997 · 버밍엄 1998 · 쾰른 1999 · 규슈-오키나와 2000 · 제노바 2001 · 카나나스키스 2002 · 에비앙 2003 · 시 아일랜드 2004 · 글레니글스 2005 · 상트페테르부르크 2006 · 하일리겐담 2007 · 토야코 2008 · 라퀼라 2009 · 무스코카 2010 · 프랑스 2011 · 캠프 데이비드 2012 · 로크 에른 2013 · |
제49회 주요국 정상회의 | |
<colbgcolor=#876b1a><colcolor=#fff,#fff> 2023년 G7 히로시마 정상회의 G7 HIROSHIMA SUMMIT 2023 | |
<nopad> | |
일시 | 2023년 5월 19~21일 (JST) |
장소 |
히로시마현 히로시마시 미나미구그랜드프린스호텔 히로시마 |
주최 |
|
회원국 정상 |
캐나다 총리 쥐스탱 트뤼도 |
프랑스 대통령 에마뉘엘 마크롱 | |
독일 총리 올라프 숄츠 | |
이탈리아 총리 조르자 멜로니 | |
일본 총리 기시다 후미오 | |
영국 총리 리시 수낙 | |
미국 대통령 조 바이든 | |
유럽연합 정상회의 상임의장 샤를 미셸 | |
유럽연합 집행위원장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 |
초청국 정상 |
호주 총리 앤서니 앨버니지 |
브라질 대통령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 시우바 | |
코모로 대통령 아잘리 아소우마니 | |
인도 총리 나렌드라 모디 | |
인도네시아 대통령 조코 위도도 | |
대한민국 대통령 윤석열 | |
베트남 총리 팜민찐 | |
특별초청국 정상 |
우크라이나 대통령 볼로디미르 젤렌스키[A] |
결과 | - |
링크 |
1. 개요
제49회 G7 정상회의는 2023년 5월 19~21일에 일본 히로시마에서 개최되는 G7 정상회의이다. 회의는 일본 히로시마시 미나미구[2]에 위치한 그랜드프린스호텔 히로시마에서 열린다. 더불어 히로시마 평화공원과 미야지마에 있는 이츠쿠시마에서 G7회원 단체 사진 촬영과 회의를 진행했다.러시아의 침공으로 전쟁을 치르고 있는 우크라이나의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대통령이 특별초청되어 정상회담에 대면 참석한다. 젤렌스키 대통령으로서는 개전 이후 첫 대면 다자회담 참석이다.
G7 회담장에서 앞전에 취소되었던 Quad 회의를 20일 오후에 진행했다.#
2. 참가자
2.1. 회원국 대표
2023년 G7 정상회의 회원국 대표 | |||
<rowcolor=#fff> 국가 | 대표 | 비고 | |
캐나다 | | 쥐스탱 트뤼도 총리 | |
프랑스 | |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 | |
독일 | | 올라프 숄츠 총리 | |
이탈리아 | | 조르자 멜로니 총리 | 취임 후 첫 참석 |
일본 | | 기시다 후미오 총리 | 주최국 정상 |
영국 | | 리시 수낙 총리 | 취임 후 첫 참석 |
미국 | | 조 바이든 대통령 | |
유럽연합 (비공식) | | 상임의장 | |
| 집행위원장 |
2.2. 초청국 대표
2023년 G7 정상회의 초청국 대표 | |||
<rowcolor=#fff> 국가 | 대표 | 비고 | |
호주 | | 앤서니 앨버니지 총리 | D10 당사국 정상 |
브라질 | |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 시우바 대통령 | 2023 ACTO 의장 2024 G20 의장 |
코모로 | | 아잘리 아소우마니 대통령 | 2023 AU 의장 |
쿡 제도 | | 마크 브라운 총리 | 2023 태평양 제도 포럼 의장 |
인도 | | 나렌드라 모디 총리 | D10 당사국 정상 2023 G20 의장 |
인도네시아 | | 조코 위도도 대통령 | 2023 ASEAN 의장 |
대한민국 | | 윤석열 대통령 | D10 당사국 정상 |
베트남 | | 팜민찐 총리 |
이외에 앤서니 앨버니지 호주 총리와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 조코 위도도 인도네시아 대통령 등의 초청이 검토 중이라고 한다. #
2월 18일, 앤서니 앨버니지 호주 총리와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가 초청되었다. #
블라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 초청이 검토 중이다.#,# 2월 25일의 화상회의에서는 G7 정상들과 유일하게 회담을 가졌다. #
3월 4일, 일본 정부에서 윤석열 대한민국 대통령을 초청할 의사를 이미 대한민국 정부에 전달한 것이 확인되었다. #
3월 17일, 2023년 한일정상회담에서 기시다 일본 총리가 윤석열 대통령을 G7에 초청했다. #
3월 20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와의 정상회담을 앞두고 인도 뉴델리에서, 기존에 알려진 대한민국, 호주, 인도 이외의 초청국들을 상세히 밝혔다. #
2.3. 특별초청국 대표
2023년 G7 정상회의 특별초청국 대표 | |||
<rowcolor=#fff> 국가 | 대표 | 비고 | |
우크라이나 | |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대통령 |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전쟁당사국 정상 특별참석[A][5] |
2.4. 초청 국제기구 대표
2023년 G7 정상회의 초청 국제기구 대표 | |||
<rowcolor=#fff> 국제기구 | 대표 | 국적 | |
국제에너지기구 | | 파티흐 비롤 사무총장 | 튀르키예 |
국제통화기금 | |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총재 | 불가리아 |
경제협력개발기구 | | 마티아스 코먼 사무총장 | 호주 |
유엔 | | 안토니오 구테흐스 사무총장 | 포르투갈 |
세계은행 | | 데이비드 맬패스 총재 | 미국 |
세계보건기구 | | (화상 참석)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이여수스 사무총장 | 에티오피아 |
세계무역기구 | | 응고지 오콘조이웨알라 사무총장 | 나이지리아 |
3. 회담 과정
4. 공동 성명
- 공동 성명문
- 히로시마 G7 정상 공동성명문(G7 Hiroshima Leaders' Communiqué)영문
- 개별 성명문
- 우크라이나에 관한 G7 정상 성명(G7 Leaders’ Statement on Ukraine)영문 일문
- 핵군축에 관한 G7 정상 히로시마 비전(G7 Leaders’ Hiroshima Vision on Nuclear Disarmament)영문 일문
- 경제적 회복탄력성 및 경제 안보에 관한 G7 정상 성명(G7 Leaders’ Statement on Economic Resilience and Economic Security)영문 일문
- G7 청정 에너지 경제 행동 계획(G7 Clean Energy Economy Action Plan)영문 일문
- 탄력적인 국제 식량 안보를 위한 히로시마 행동 성명(Hiroshima Action Statement for Resilient Global Food Security)영문 일문
5. 반응
5.1. 대한민국
- 2023년 5월 20일 김민수 국민의힘 대변인은 "대한민국은 심리적 G8 국가 반열에 올랐다. 글로벌 룰 메이커, 글로벌 중추 국가로 우뚝 섰다"고 논평했다.
- 2023년 5월 21일 유상범 국민의힘 수석대변인은 브리핑에서 "실리외교를 위한 윤석열 정부의 노력이 이번 G7 정상회의를 계기로 결실을 맺기 시작했다", 한·미·일 3자회담을 위해 미국 워싱턴DC로 초청에 대해 "한·일 양국의 관계 개선 노력에 대해 바이든 대통령 역시 높은 평가와 함께, 워싱턴으로 한일 정상을 초대한 것", "대승적 결단을 통한 (한·일) 셔틀외교의 복원은 물론, 강력한 한·미·일 공조를 이뤄내기 위해 동분서주했던 윤 대통령 노력이 결실을 거둔 것"이라고 강조했다. 전주혜 원내대변인은 "윤 대통령이 '대한민국 1호 영업사원'답게 국격을 드높이고 실익외교를 펼치고 있다", "특히 한일정상의 한국인 원폭 희생자 위령비 첫 공동참배는 78년간 감춰져 왔던 한국인 피해자의 존재가 국제사회의 조명을 받게 됐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논평했다.
- 2023년 5월 22일 장경태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은 최고위원회의에서 "사실적 핵공유"에 이은 "심리적 G8"을 "푸들외교"라고 비판하였다.#
5.2. 그 외 국가
- 중국 외교부는 G7이 대만 해협의 평화와 안정을 촉구하고, 중국의 인권 상황에 우려를 표시한것에 대해 "중국을 먹칠하고 공격했다"면서 “중국은 강한 불만과 결연한 반대를 표시한다”고 강조했다. #
6. 여담
- 히로시마에서 열리는 정상회의인 만큼 G7 정상들의 원폭 자료관 방문이 예정되어 있었는데, 미국 대통령이 해외에 순방할 경우 전속부관이 핵가방인 뉴클리어 풋볼(Nuclear football)을 반드시 휴대하고 가까운 거리에서 보좌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미국이 원폭을 투하했던 폭심지에 미국 대통령이 핵가방을 갖고 들어가는 장면이 연출될 수 있어 일본 국내에서 화제가 되었다. # 이미 일본 국내의 반핵단체는 히로시마에서 G7 회의가 열리는 시점에서 핵가방이 히로시마에 들어온다는 것에 거부감을 표하는 목소리가 있었다. 다만 미국 대통령이 히로시마를 방문한 것은 처음이 아닌데, 2016년 5월 27일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히로시마를 방문했을 때도 핵가방이 동행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
- 윤석열 대통령은 한국 대통령으로는 역대 최초로 히로시마 원폭 피해 동포들과 만났다. 尹 "고국이 함께 못해 사과" 원폭피해 동포 "꿈꾸듯 감격"(종합)
- 윤석열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는 공동으로 한국인 원폭희생자 위령비를 참배했다. # 한국 대통령이 이곳을 참배한 것은 이번이 최초이며, 한일 양국 정상이 공동으로 이곳을 참배한 것도 이번이 최초이다.
- 미국의 바이든 대통령은 G7 마지막 날 이뤄진 한미일 회담에서 윤 대통령과 기시다 총리를 워싱턴 DC로 초청하겠다고 제안했다. #
- 정상회의 개최지 히로시마시에 연고를 두고 있는 히로시마 도요 카프의 경우 회의 기간 및 준비 기간 동안 홈구장에서 경기를 치를 수 없다. 따라서 4시리즈 연속으로 강제적인 원정 경기를 떠나게 되었다.
- 리시 수낙 영국 총리가 히로시마 시내에서 오코노미야키 만들기를 체험했다.#
- 조르자 멜로니 이탈리아 총리는 자국의 홍수 피해로 인해 조기 귀국하게 되었다.
- 젤렌스키를 일본까지 안전하게 호송하는 역할을 프랑스가 맡았다. 그 덕분에 이번 G7에서 프랑스는 자국의 존재감을 확실히 드러냈다.#
- 참석 국가 중에서 중국이 없었기에 한국이 유일하게 후쿠시마산 수입을 금지하고 있는 국가였다. 중국(홍콩, 마카오)과 한국이 후쿠시마산 수입 금지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 그래서 이 행사에서 후쿠시마산 식재료가 쓰인다는 사실이 한국에서는 논란이 되어 기사화됐다.
6.1.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룬 대통령' 말실수 논란
“한국의 룬 대통령” 바이든 G7서도 말실수…백악관은 전문 공개 [영상]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정상회의 기자회견 중 윤 대통령을 룬(Loon) 대통령으로 언급하는 말실수를 해버린 해프닝이 있었다.
영어로 '룬(Loon)'은 물고기를 먹고 사는 아비속과의 물새 일종을 부르는 단어지만 해당 단어를 사람에게 쓰면 '미치광이, 정신나간 사람, 미친 사람'[6]이라는 뜻이 되기도 해 바이든이 윤석열 대통령을 향해 '미치광이 대통령'이라고 불러버린 모양새가 되어 대한민국에서는 클리앙, 딴지일보, 더불어민주당 마이너 갤러리 등 친민주당, 반윤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1자 단어라 약칭처럼 쓸 수 있는 간결성 때문인지 윤석열을 향한 멸칭으로 쓰이기도 한다.
바이든 대통령은 평소 잦은 말실수로 고령의 나이와 엮여 치매 논란까지 있었는데 단어나 이름을 혼동해 말한 사례가 적지 않았고 이에 따라 외신이나 해외 커뮤니티에서는 바이든 대통령이 또 말실수를 했다며 구설수에 오르기도 했다.
예시로 윗 영상은 미국 공화당 측 유튜브 채널 ‘GOP War room’이 21일 ‘룬(Loon)’ 발언 관련 영상 부분만 편집해 올린 영상이며 그 밖에 인도 매체 'Hindustan Times'는 '미치광이 대통령: 바이든 대통령이 한국 대통령 이름을 잘못 발음했다(President Loon: Biden Trolled for misprouncing South Korean leader's name)'는 심각한 배경음악이 들어간 다소 조롱 섞인 영상을 만들어 올렸으며 미국 소셜 토론 커뮤니티 레딧(Reddit) 등에도 해당 영상과 함께 바이든이 G7 정상회의에서 미치광이 대통령이란 말을 했다는 내용이 올라와 토론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
7.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8px" | <tablebordercolor=#003764><tablebgcolor=#003764>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2022년 | ||
회담 명칭 | 개최 지역 | 비고 | |
[[대한민국| | 윤석열 대통령 첫 정상회담 | ||
[[스페인| | 대한민국 대통령 최초 참석 | ||
한국-캐나다 정상회담 | [[캐나다| | ||
아세안 정상회의 | [[캄보디아| | ||
[[2022 G20 발리 정상회의| G20 발리 정상회의 ]] | [[인도네시아| | ||
2023년 | |||
회담 명칭 | 개최지역 | 비고 | |
한-UAE 정상회담 | [[아랍에미리트| | 국빈방문 | |
[[일본| | 한국 대통령의 12년만의 단독 방일 | ||
화상회의 / 미국, 코스타리카, 네덜란드, 잠비아와 공동주최 | |||
[[미국| | 백악관 국빈방문 | ||
[[대한민국| | 일본 총리의 12년만의 방한 및 양국 셔틀외교 복원 | ||
한국-캐나다 정상회담 | [[대한민국| | ||
[[일본| | 초청국 정상 자격으로 참여 | ||
한국-독일 정상회담 | [[대한민국| | 독일 총리의 30년 만의 방한 | |
한국-EU 정상회담 | [[대한민국| | 최초 상임의장 및 집행위원장 동시 방한 | |
한국-태평양도서국 정상회의 | [[대한민국| | ||
한국-프랑스 정상회담 | [[프랑스| | BIE 총회 참석 | |
한국-베트남 정상회담 | [[베트남| | 국빈방문 | |
[[리투아니아| | 대한민국 대통령 2년 연속 참석 | ||
[[미국| | |||
[[2023 G20 뉴델리 정상회의| G20 뉴델리 정상회의 ]] | [[인도| | ||
[[2023년 APEC 미국 샌프란시스코 정상회의| 2023년 APEC 미국 샌프란시스코 정상회의 ]] | [[미국| | 윤석열 대통령 첫 APEC 정상회의 참석 | |
[[한영관계| 한영 정상회담 ]] | [[영국| | 찰스 3세 영국 국왕 재위 중 첫 국빈방문 | |
[[한국-네덜란드 관계| 한국-네덜란드 정상회담 ]] | [[네덜란드| | 대한민국 대통령 최초 국빈방문 | |
2024년 | |||
회담 명칭 | 개최지역 | 비고 | |
[[2024년 대한민국-루마니아 정상회담| 한국-루마니아 정상회담 ]] | [[대한민국| | ||
[[2024년 APEC 페루 리마 정상회의| 2024년 APEC 페루 리마 정상회의 ]] | [[페루| | 내년도 의장국 지위 | |
[[한국-말레이시아 관계| 한국-말레이시아 정상회담 ]] | [[말레이시아| | 말레이시아 총리 5년만에 방한 | |
* 자세한 외교 일정은 윤석열 정부/외교 문서 참조 | |||
◀ 문재인 정부 이재명 정부 ▶ | }}}}}}}}} |
조 바이든 행정부 주요 정상회담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회담 명칭 | 개최 지역 | 비고 |
2021년 미일정상회담 | 조 바이든 대통령 첫 정상회담 | ||
2021년 한미정상회담 | |||
2021년 미-아프간 정상회담 | 아슈라프 가니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대통령의 방미 | ||
2021년 미-독 정상회담 |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의 방미 | ||
2021년 미-우 정상회담 |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의 방미 | ||
2021년 미국-유럽 정상회담 | G7 | 조 바이든 대통령 첫 해외순방 | |
2021년 미러정상회담 | |||
2022년 한미정상회담 | 바이든의 아시아-태평양 순방 첫 회담 | ||
2022년 미일정상회담 | |||
2021년 미-아세안 정상회담 | 아세안 정상들을 백악관으로 초청 | ||
2022년 G7 엘마우 정상회담 | G7 | ||
2022년 나토 정상회의 | 한국, 일본, 호주, 뉴질랜드 정상의 참석 | ||
2023년 한미정상회담 | 미국이 한국 정상을 백악관으로 초청 | ||
[[일본| | |||
2023년 한미일정상회담 | |||
2023년 APEC 정상회의 |
{{{#!wiki style="margin:-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D7003A><tablebgcolor=#D7003A> | 기시다 후미오 관련 문서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D7003A,#D7003A> 생애 | 생애(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
가족 | 아버지 기시다 후미타케 · 고종사촌형 미야자와 요이치 | ||
역대 선거 | 제40회 중의원 · 제41회 중의원 · 제42회 중의원 · 제43회 중의원 · 제44회 중의원 · 제45회 중의원 · 제46회 중의원 · 제47회 중의원 · 제48회 중의원 · 제49회 중의원 · 제50회 중의원 | ||
정책 | 가부장적 보수주의 · 온건 보수주의 · 새로운 자본주의 · 소득주도 성장론 | ||
외교 | 2015년 한일 위안부 문제 협상 합의 · 2023년 G7 히로시마 정상회의 · 2023년 한일정상회담 | ||
내각 | 기시다 내각(1차 · 2차 · 2차(1개) · 2차(2개)) | ||
논란 및 사건사고 | 한-일 정상 약식회담 논란 · 통일교 게이트 · 기시다 후미오 폭탄 테러 미수 사건 · 기시다 후미오 AI 딥페이크 동영상 사건 | ||
소속 | 자유민주당 · | }}}}}}}}} |
{{{#!wiki style="margin:-10px" | <tablebordercolor=#0044C9,#0044C9><tablebgcolor=#0044C9,#0044C9> | 조 바이든 관련 문서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0044C9> 일생 | 생애 · 활동 | ||
가족 | 아내 질 바이든 · 아들 보 바이든 · 아들 헌터 바이든 · 딸 애슐리 바이든 | |||
정치적 입장 | 정치적 입장 | |||
비판 및 논란 | 비판 및 논란 | |||
사건사고 | 2021년 아프가니스탄 철수 · 2024년 미국 대통령 선거 후보 사퇴 | |||
역대 선거 | 2008년 미국 대통령 선거 · 2012년 미국 대통령 선거 · 2020년 미국 민주당 대통령 후보 경선 · 2020년 미국 대통령 선거 | |||
기타 | 조 바이든 행정부 · Let's Go Brandon | |||
바이든 행정부 | ||||
정책 | 행정명령 · 우크라이나 민주주의 방위 대여법안 · Build Back Better(인플레이션 감축법) | |||
외교 | 정상회담 · 워싱턴 선언 | |||
타임라인 |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2025년 | |||
| }}}}}}}}} |
{{{#!wiki style="margin:-10px" | <tablebordercolor=#00afef> | 리시 수낙 관련 문서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00afef>생애 | <colbgcolor=#fff,#1f2023>생애 | ||
역대 선거 | 제56회 영국 총선 · 제57회 영국 총선 · 제58회 영국 총선 · 제59회 영국 총선 (결과) | |||
정책 및 사상 | 대처주의 · 일국 보수주의 · 경제적 자유주의 · 유럽회의주의 | |||
사건사고 | 파티게이트 | |||
관련 정치인 | 데이비드 캐머런 · 테레사 메이 · 보리스 존슨 · 프리티 파텔 · 도미닉 랍 · 리즈 트러스 · 마이클 고브 · 제러미 코빈 · 키어 스타머 · 윌리엄 헤이그 | |||
기타 | 리시 수낙 내각 · 보수당 | |||
리시 수낙 내각 | ||||
타임라인 | 2022년 · 2023년 · 2024년 | |||
| }}}}}}}}} |
{{{#!wiki style="margin:-10px" | <tablebordercolor=#001A5B> | 에마뉘엘 마크롱 관련 문서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001A5B,#2d2f34><colcolor=#FFF>생애 | <colbgcolor=#fff,#1f2023>생애 및 정치 경력 | ||
역대 선거 | 2017년 프랑스 대통령 선거 · 2022년 프랑스 대통령 선거 | |||
사건사고 | 대IS 군사 개입 · 노란 조끼 운동 · 2023년 프랑스 연금개혁 시위 | |||
관련 정치인 | 프랑수아 올랑드 · 마린 르펜 · 에두아르 필리프 · 장 카스텍스 | |||
기타 | 르네상스 | |||
| }}}}}}}}} |
{{{#!wiki style="margin:-10px" | <tablebordercolor=#d71920> | 쥐스탱 트뤼도 관련 문서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d71920> 생애 | <colbgcolor=#fff,#1f2023>생애 및 정치 경력 | ||
가족 | 아버지 피에르 트뤼도 | |||
비판 및 논란 | 비판 및 논란 | |||
역대 선거 | 2021년 캐나다 연방 선거 | |||
지역구 | 파피노 | |||
기타 | 캐나다 자유당 틀:역대 캐나다 자유당 대표 | |||
| }}}}}}}}} |
{{{#!wiki style="margin:-10px" | <tablebordercolor=#00B140> |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관련 문서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00B140>생애 | <colbgcolor=#fff,#1f2023>생애 | ||
평가 | 평가 | |||
관련 전쟁 | 돈바스 전쟁,(2014~), · 우크라이나 침공,(2022~), | |||
외교 | 2022년 흑해 항로 협상 | |||
소속 | 국민의 일꾼 · 인민의 종 | |||
여담 | 여담 · 우리는 모두 여기 있습니다 | |||
관련 틀 | 우크라이나 대통령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