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사람에 충성하지 않기 때문에, 제가 오늘도 이런 말씀을 드리는 겁니다."
2013년 국회 법사위 국정감사에서 윤석열 당시 검찰 여주지청장이 한 발언
2013년 국회 법사위 국정감사에서 윤석열 당시 검찰 여주지청장이 한 발언
1. 개요
2013년 당시 수원지검 여주지청장이었던 윤석열이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의 서울고등검찰청 국정감사에서 증인 자격으로 한 발언 중 하나로, 현재까지 윤석열의 전성기를 대표하는 유명한 발언이다.2. 설명
윤석열은 국정원 댓글 사건 특별수사팀장에서 물러나 있는 상황이었고, 서울고등검찰청에서 나가 있는 입장이었으므로 불출석 사유서를 써서 국정감사장에 출석하지 않으려 했다. 그런데 당시 법제사법위원장 박영선의 설득으로 국감장에 나오게 되었다. #2013년 10월 21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의 서울고등검찰청 국정감사에서 윤석열 당시 여주지청장은 국정원 댓글 사건 당시 특별수사팀에서 배제되는 등 수사 외압이 심각하다고 폭로했다. 이에 당시 새누리당 법사위 위원들이 반발했는데, 새누리당 정갑윤 의원은 "증인은 사람(채동욱 전 검찰청장)에게 충성하는 것이냐?"라고 질타하듯이 물었고, 이에 윤석열 지청장은 "저는 사람에게 충성하지 않기 때문에 오늘 이런 말씀을 드린 것입니다"라고 답변한 것이 화제가 되었다.#
사실 이 발언의 원천을 따지자면 정갑윤 의원이 최초로 발언한 것이고, 윤석열 당시 지청장이 이에 그대로 대답한 것일 뿐이다. 하지만 이 발언은 이후 문재인 정부에서 윤석열을 검찰의 요직인 서울중앙지검장에 발탁 후 이명박, 박근혜, 이재용, 사법농단을 수사하면서 재소환 되었고, 조국 사태를 계기로 윤석열이 문재인 정부로부터 등을 돌리게 되면서 "사람에게 충성하지 않는다"는 윤석열의 과거 발언이 그대로 실현되는 모습이 보여 큰 화제가 되었다. 결국 "사람에게 충성하지 않는다"는 이 발언은 윤석열의 대표 캐치프레이즈가 되었고, "정권에 충성하지 않고 법치주의를 따르는 강골검사"라는 이미지로 보수층으로부터 호감을 사게 되어[1] 결과적으로 윤석열이 대통령까지 되게 만든 셈이 되었다.
2.1. 12.3 비상계엄 이후
이후에도 윤석열 대통령 내란 혐의 수사로 체포영장이 발부된 상황에서 대통령경호처를 자신 개인에게 충성하는 사병집단처럼 부리며 1차 체포영장 발부에 불응하여 관저에서 농성하였다. 그러나 2차 체포영장 발부에서는 오히려 경호처 경호관들이 윤석열 개인에게 충성하지 않는 자세로 영장 집행을 막지 않아 결국 체포되었다.#파면 후인 2025년 4월 9일 이철우 경북지사를 만나 "대통령이 되면 사람을 쓸 때 가장 중요시할 것은 충성심이라는 것을 명심하라"고 말했다고 전해졌다. #
2025년 4월 21일, 12.3 비상계엄에 따른 내란우두머리 혐의 재판에 증인으로 출석한 김형기 특전대대장[2]이 윤석열 전 대통령의 면전에서 "저는 사람에게 충성하지 않고, 조직에 충성한다"라고 말했다.#
3. 기타
- 윤석열은 자신을 국감장으로 오도록 설득시켜 이 말이 나오게 해준 박영선에게 고마움을 느껴서 식사 자리도 가졌다고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