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a50034> | 창원 LG 세이커스 2024-25 시즌 선수단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550e10,#ddd | <colbgcolor=#a50034><colcolor=#fff> 감독 | 조상현 |
코치 | 수석코치 임재현 · 코치 박유진 · 김동우 · 코치 겸 D리그 코치 강병현 · 컨디셔닝 코치 김찬훈 · 최영재 | |
스태프 | 트레이너 김승찬 · 통역 김용국 · 매니저 이창학 | |
가드 | 0 김종호 · 1 유기상 · 5 양준석 · 6 한상혁 | |
포워드 | 2 최진수 · 3 장민국 · 8 박준형 · 11 허일영 [[주장| C ]] · 16 정인덕 · 21 이광진 · 23 전성현 | |
센터 | 13 이강현 · 31 박정현 · 50 마레이 | |
군 입대 | 2024년 입대 양홍석 | |
타 한국프로농구 구단 명단 | ||
* 본 문서는 간소화한 것입니다. 선수단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정인덕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창원 LG 세이커스 등번호 23번 | ||||
→ | 정인덕 (2016~2018) | → | 최승욱 (2020~2021) | ||
창원 LG 세이커스 등번호 23번 | |||||
최승욱 (2020~2021) | → | 정인덕 (2021~2024) | → | 전성현 (2024~) | |
창원 LG 세이커스 등번호 16번 | |||||
창단 | → | 정인덕 (2024~) | → | 현역 |
<colbgcolor=#a50034><colcolor=#fff> 창원 LG 세이커스 No.16 | |
CHANGWON LG SAKERS | |
<nopad> | |
정인덕 | |
출생 | 1994년 7월 12일 ([age(1994-07-12)]세) |
국적 |
|
신체 | 196cm, 83kg |
포지션 | 스몰 포워드 |
학력 | 인천송림초등학교 (졸업) 송도중학교 (졸업) 송도고등학교 (졸업) 중앙대학교 (학사) |
프로 입단 | 2016년 드래프트 (2라운드 6순위, 창원 LG) |
수상 이력 | 2024~25 KBL 이성구 페어플레이상 수상 |
병역 | 육군 병장 만기전역 |
소속 | 창원 LG 세이커스 (2016~2018, 2021~) |
응원가 | BOYNEXTDOOR - Fadeaway |
가족 관계 | 부모님, 아내 박지수(2023년 5월 20일 결혼), 딸(2025년 6월 출산 예정) |
링크 |
1. 개요
대한민국의 프로농구 선수.프로입단 후 은퇴하였다가 육군 현역복무 후 연습생으로 복귀하여 결국 KBL 수상자(24~25시즌 이성구 페어플레이상)에 오르게 된 농구판 인생역전의 아이콘.
2. 경력
2.1. 16-17 데뷔시즌
2016년 KBL 드래프트[2]에서 2라운드 6순위로 창원 LG 세이커스에 지명되었다.다만 부족한 출전시간 등으로 인해 두 시즌 밖에 뛰지 못한 채 17-18 시즌이 끝난 후 은퇴하였고 이후 아르바이트를 전전하다 현역병으로 군대에 다녀왔다.[3]
2.2. 21-22 복귀시즌
제대 후인 2021년 6월, 친정팀인 창원 LG 세이커스에 연습생 신분으로 입단했다는 기사가 나왔다.2018년에 은퇴한 이후에도 농구에 대한 미련을 간직하다가 주변의 복귀 권유에 따라 LG 세이커스 사무국에 먼저 연락하였고 LG 세이커스에서는 일단 한 달 간 팀에서 연습생 신분으로 훈련의 기회를 준 후 정식 입단을 결정짓기로 했다. 이후 7월 초 정식 입단에 성공하며 3년 만에 KBL 무대에 복귀했다.
12월 25일 원주DB와의 크리스마스 홈경기에서 2쿼터 후반에 투입되어 약 3분을 뛰면서 무려 1482일 만에 1군 복귀경기를 치뤘다.
특이한 것은 프로데뷔 첫 경기(2017년 2월 26일, LG패배), 은퇴 전 마지막 1군 경기(2017년 12월 5일, LG패배), 복귀 후 첫 1군 경기(2021년 12월 25일, LG승리) 모두 상대팀이 원주DB였다는 점이다.관련기사
복귀시즌이다 보니 출장경기수는 총 6경기(3승 3패)에 평균출전시간도 3분 남짓에 그쳤다.
2.3. 22-23 반등시즌
22-23 시즌, 서민수의 부상과 이승우의 계속되는 부진으로 출전시간이 늘어나게 되었다. 서민수가 재활에 몰두하고 이승우가 D-리그에 있는 동안 그 빈자리를 메워주고 팀의 궂은 일들을 잘 도와주면서 팀에 새로 임명된 조상현 감독의 신뢰를 얻었다.이는 기록으로도 증명되는데 총 출장경기 수 40경기(27승 13패), 평균출장 시간 약 13분으로서 지난 시즌에 비해 출장기록이 월등히 증가하며 팀의 당당한 식스맨으로 거듭났다. 출장기회를 얻지 못해 은퇴했던 과거와 비교해보면 상상하기 힘든 현실변화를 이루어 낸 셈.
2.4. 23-24 시즌
지난 시즌보다 출장경기 수가 더 증가하여 총 52경기 출장(33승 19패)하였으나 동 포지션에 양홍석이 영입되면서 평균 출장시간은 약 9분 대로 다소 감소하였다. 다만 직전 시즌보다 3점슛 적중률은 42.4%(25/59)로 향상되어 출장시간 대비 쏠쏠한 활약을 하였다.2.5. 24-25 시즌
시즌을 앞두고 전성현[4]이 이재도와의 트레이드로 팀에 입단하며 정인덕이 쓰던 23번을 전성현이 가져가게 되었다. 따라서 24-25 시즌부터는 23번이 아닌 16번을 사용하게 되었다.[5]시즌 초반 3경기 연속 30분 이상 출전 및 10득점 이상을 기록하면서 창원LG의 주전으로 우뚝섰다. 게다가 전에도 좋은 평가를 받았던 수비도 더욱 스텝업한 모습을 보이면서 창원LG의 개막 후 3연승(09-10 시즌 이후 처음)에 큰 기여를 했다.
11월 1일 SK나이츠와의 1라운드 홈 경기에서 커리어 첫 인게임 덩크를 작렬시켰다. 쇼츠 언급영상
1월 25일 울산현대모비스와의 홈경기 막판에 숀 롱의 다리에 걸려 넘어지며 타박상을 당하고 교체아웃되었다. 비록 상황상 파울은 아니었기에 아쉬움이 남지만 이 부상으로 교체투입된 루키 최형찬이 경기를 수십초 남기고 미드슛 득점을 해내며 팀의 승리를 견인했다.
다행히 큰 부상은 아니었고 8일 후 창원 홈에서 열린 소노전에 32분간 출전했다.
3월 14일 5라운드 모비스전 대 역전승의 숨겨진 주인공이다. 이 날 승부는 연장전에서 LG 아셈 마레이의 버저비터로 결정되었으나 그 직전 과감한 동점 3점슛을 성공시켰고 전후 이우석의 연속 2회 5초 바이얼레이션을 유도했으며 마지막 이우석의 1:1 돌파를 저지해낸것도 정인덕이었다. 이를 시간순으로 정리하면
28초 남긴 상황에서 이우석의 1차 5초 바이얼레이션 유도,
16초 남긴 상황에서 이우석의 2차 5초 바이얼레이션 유도,
11초 남긴 상황에서 이우석의 수비를 뚫고 3점슛 작렬시켜 81-81 동점,
05초 남긴 상황에서 이우석 1:1 마크를 성공했고 이는 곧 마레이의 버저비터로 연결되어 84-81로 승부가 결정났다.관련쇼츠
특히 이 경기에 대해 30년에 이르는 KBL 역사 상 최고의 클러치 역전승이라는 평가가 다분하다. 겨우 54초를 남기고 9점 차까지 뒤진 상황에서 각기 다른 네 명의 선수가[6] 연속으로 3점슛을 성공시킨점, 마지막 버저비터 였던 장거리 3점슛이 그 시즌에서 3점슛을 처음 시도한 아셈 마레이[7]라는 점도 더욱 그렇다.16초 남긴 상황에서 이우석의 2차 5초 바이얼레이션 유도,
11초 남긴 상황에서 이우석의 수비를 뚫고 3점슛 작렬시켜 81-81 동점,
05초 남긴 상황에서 이우석 1:1 마크를 성공했고 이는 곧 마레이의 버저비터로 연결되어 84-81로 승부가 결정났다.관련쇼츠
4월 24일 모비스와의 4강 플레이오프 1차전 홈경기 승리 후 방송사가 선정한 MVP로서 수훈선수 인터뷰를 하였다.인터뷰영상
이 날 경기에서 창원LG는 극심한 슛난조를 보이며 경기 중후반까지 끌려다녔으나 3쿼터에 정인덕이 좌코너 3점슛으로 경기분위기를 바꾸었으며 우코너에서도 3점슛을 추가했고 4쿼터에는 이대헌의 골밑슛을 극적으로 블록해내며 고비마다 최고의 활약을 펼쳤다.관련쇼츠
3. 시즌별 성적
역대 성적 | ||||||||||
시즌 | 소속팀 | 경기수 (출전시간) | 2점슛 | 3점슛 | 자유투 | 득점 | 리바운드 | 어시스트 | 스틸 | 블록슛 |
2016-17 | LG | 3 (16:08) | 1/2 (50.00%) | 0/3 (00.00%) | 1/2 (50.00%) | 3 | 1 | 0 | 3 | 0 |
2017-18 | 9 (81:51) | 2/5 (40.00%) | 2/9 (22.20%) | 0/0 (00.00%) | 10 | 8 | 2 | 1 | 1 | |
2021-22 | 6 (18:05) | 1/2 (50.00%) | 0/2 (00.00%) | 0/0 (00.00%) | 2 | 4 | 2 | 0 | 0 | |
2022-23 | 40 (504:46) | 28/51 (54.90%) | 15/51 (29.40%) | 10/15 (66.70%) | 111 | 47 | 22 | 7 | 3 | |
2023-24 | 52 (478:42) | 28/54 (51.90%) | 25/59 (42.40%) | 10/16 (62.50%) | 141 | 44 | 16 | 12 | 4 | |
2024-25 | ||||||||||
KBL 통산 (5시즌) | 113 | 60/114 (52.63%) | 42/124 (33.80%) | 21/31 (67.74%) | 267 | 104 | 42 | 23 | 8 |
4. 플레이 스타일
196cm의 장신을 바탕으로 외국인 포워드 선수를 혼자서 맡아 수비할 정도로 수비력이 매우 뛰어나다.공격시에는 코트 구석에서 3점슛을 주로 시도하며 팀이 안정적으로 리드하는 상황에서는 인사이드 침공 후 페이드어웨이 점프슛도 드물게 구사하는 편.
특히 킥아웃 패스를 받은 후 3점슛 적중률이 높은데 24-25시즌 중반에는 40%에 달하는 성공률을 기록중이다.
경기중에 불리한 판정을 받더라도 감정적으로 동요하거나 플레이가 거칠어지지 않는 장점이 있다.
5. 여담
- 현재 LG 원클럽맨이다. 다른 선수는 한상혁과 박인태가 있다.
- 별명은 이름과 비슷한 인덕션이다. 실제로 LG 디오스 제품에서는 인덕션이 있다.
- 입단 후 방출, 군복무를 거쳐 전 소속팀에 재입단하여 쏠쏠한 백업 멤버로 활약하게 된 프로 커리어가 같은 지역 야구단인 NC 다이노스 소속 야구선수 천재환의 스토리와 비슷하다. 게다가 학력도 2명 다 대졸이다.
- 2025년 4월 호 점프볼 매거진에 인터뷰가 실렸다.[8] 전문링크 네이버 뉴스
6. 관련 문서
[1] 부부 일상 채널로서 결혼장려 유튜브라는 찬사를 받고 있다[2] 해당 시즌 드래프트도 나름 화려한 라인업을 자랑하는데 1라운더로는 이종현, 최준용, 강상재, 천기범, 박지훈, 최성모, 김진유 등이 있고 2라운더로는 장문호, 최승욱(1994) 등이 있다.[3] 군대 보병 중 가장 힘들다는 81미리 박격포를 담당하였는데 더 큰 사이즈의 포는 주로 차량이나 자체엔진으로 운반하지만 81미리는 사람이 직접 손으로 운반해야 한다..[4] 송도중, 송도고, 중앙대학교 모두 3년 선배[5] 등번호 23번을 양보하는 대신 전성현에게 아이폰 16을 선물 받았다고 한다.[6] 차례대로 유기상, 칼 타마요, 정인덕, 아셈 마레이[7] 심지어 2점 미들슛 조차도 시도하는 모습이 드물다..[8] 2025년 3월 11일 진행된 인터뷰로서 지금까지의 농구인생과 조상현 감독과의 관계, 인생관의 변화와 앞으로의 다짐 등이 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