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1 15:29:46

전편보다 뛰어난 속편/목록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전편보다 뛰어난 속편
1. 개요2. 목록
2.1. 애니메이션 및 만화2.2. 특촬물2.3. 영화2.4. 드라마2.5. 음악2.6. 게임
2.6.1. 콘솔 및 아케이드 시스템
2.7. TV 프로그램2.8. 전자 기기
3. 반례: 소포모어 징크스

1. 개요

전편보다 뛰어난 속편목록을 정리한 문서.
토론 합의사항: 예시 등재 기준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토론 1
}}}}}}}}}

2. 목록

2.1. 애니메이션 및 만화

  • 검정 고무신 1, 2기 → 3기
    검정 고무신 중 최고 명작으로 평가받는다.
  • 기동전사 건담기동전사 Z건담
    한국에서는 Z건담의 평이 굉장히 높고 실제로 팬들도 더 많기에 Z건담을 더 높게 보는 경향이 쎄지만 본토에선 퍼스트 건담이 신격화된 작품이라서 Z에게 악평을 주는 경우가 꽤 있다. 제타에선 "퍼스트의 주제의식이 퇴보했다", "로봇디자인이 마크로스 짝퉁이다" 등. 실제로 건담의 원작자인 토미노 요시유키는 제타는 만들 생각도 없었고 좋아서 만든 것도 아니라 퍼스트보다 제타에게 더 애정을 주지 않는다.[1] 다만 시대적인 기술력 발전과 거대자본의 일관성있는 스폰싱덕분에[2] 시각효과는 Z가 당연히 퍼스트보단 우세하다.
  • 레고 닌자고
    • 그린 닌자고골드 닌자고
      시리즈 사상 최전성기 시즌이었고, 사실상 닌자고는 이때 끝났어야 했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 닌자고 리부티드티타늄 닌자고, 고스트 닌자고
      닌자고 인기로 인해 만들어진 리부티드 잘 끝내놓은 작품에 갑지기 새롭게 만들어져 호불호가 갈렸지만 마지막 화에 명장면을 탄생시켜 평가를 올렸다 그리고 이후 스토리 이어지며 단점이라고 지적됐던 부분을 해결하면서 제 2의 전성기의 들어갔다.
    • 닌자고 마스터즈닌자고 드래곤 헌터
      닌자고 마스터즈는 갑자기 변경된 디자인 가 설정으로 공개 당시 역대 최악이었으나 하지만 배드엔딩이라는 충격적인 전개를 드래곤 헌터랑 잘이어지면서 드래곤헌터를 보면 마스터즈가 명작이라는 소리가 나온다
    • 닌자고 스컬 던전 속으로!닌자고 미지의 바다
      제작사가 바뀐 시즌 11과 시즌 12는 대부분 최악의 평가를 받아 기대감이 떨어졌지만 하지만 시즌 10까지 비중이 그리 없었던 콜과 니야의 서사와 최종액션씬으로 닌자고 시리즈의 부활을 알렸다.
  • 블리치블리치 천년혈전 편
    원작 파괴 수준으로 여러가지 문제점을 가졌던 구작과는 다르게 주인공인 쿠로사키 이치고와 세계관 최고의 집단인 왕속 특무 0번대에게 추가 장면을 넣어서 위상을 높이고 우수한 작화와 연출로 블리치를 다시 전성기로 만들어냈다.
  • 원피스: 이스트 블루 편알라바스타 편
    원피스가 지금의 인기를 가지게 해준 기폭제가 된 에피소드로 이때부터 원피스의 전성기가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위대한 항로의 첫 에피소드로써 진정한 바다의 무서움을 제대로 보여주어 원피스의 수많은 에피소드 내에서도 최고라고 평가받는 에피소드다.
  • 쥬얼펫쥬얼펫 트윙클☆
    그림체가 귀엽고 예뻐서 여자아이들의 마음을 사로잡기 충분하며, 재미와 감동 그리고 도덕적 교훈 모두 잡아 스토리가 탄탄하고 OST 또한 퀄리티 있는 작품이다.

2.2. 특촬물

2.3. 영화

  • 배트맨 비긴즈 다크 나이트
    다크 나이트 트릴로지 삼부작중 첫 번째 작품인 배트맨 비긴즈도 준수한 평가를 받았지만, 두 번째 작품이자 그 후속작에 해당하는 다크 나이트는 히어로 영화계에 한 획을 그은 불후의 명작으로 여겨지며 압도적인 호평을 받았다. 다만 최종장이자 세 번째 작품인 다크 나이트 라이즈는 이에 비해 아쉬운 평가를 받았다. 어찌 따져 보면 3의 저주 속성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 스파이더맨 1스파이더맨 2
    위의 다크 나이트 트릴로지와 비슷하다. 1편이 준수한 평가를 받고 2편이 가장 압도적인 호평을 받는 명작이라고 여겨지는 반면 스파이더맨 3는 여러모로 아쉬운 평을 받았다.
  • 탑건탑건: 매버릭
    전작은 로튼 토마토 58%다. 하지만 전작의 냉전시절에 관련된 프로파간다적 성격이 있었던 관계로 평론가들 점수는 낮았지만 액션이나 드라마적 재미와 비주얼 등에선 충분히 만족스러운 수준. 속편인 탑건:매버릭은 개봉 첫 주만에 제작비 회수에 성공할 정도로 어마어마한 극장 수익을 올렸으며, 5월 말 전 세계 박스오피스를 강타하는 등 흥행 신화를 쓰고 있다. 로튼 토마토 신선도 지수 100%로 출발해 90% 후반 대를 유지하고 있고 전문 평론가들의 평도 호평 일색이다. 한국에서도 개봉 한달도 채 안돼 500만 관객을 돌파하면서 외신 등지에서 매우 뛰어난 작품성을 인정받았으며, 최종적으로 한국에서 약 817만을 달성하여 국내 상영 외화 12위에 등극하였다.
  • 패딩턴패딩턴 2
    전작도 비슷한 스타일로 꽤 좋은 평을 받았었는데, 전작을 능가하는 훈훈하게 잘 만든 가족영화로 대호평을 받았다.

2.4. 드라마

  • 아스달 연대기아라문의 검
    흥행이나 화제성은 전작보다 뒤떨어지지만 모든 면에서 부진했던 전작과 달리, 스토리와 연출면에서 큰 진전을 이뤘으며 시청자들의 평가도 전작보다 훨씬 좋다.
  • 응답하라 1997응답하라 1994응답하라 1988
    응답하라 시리즈는 소포모어 징크스를 비웃듯 시리즈가 거듭될 수록 더 높은 완성도를 보여주어 나날이 시청률 상승 곡선을 그렸고 응답하라 1988은 케이블 최고 시청률을 경신했다.

2.5. 음악

  • 라흐마니노프피아노 협주곡 1번피아노 협주곡 2번
    라흐마니노프의 극초기작(Op. 1)이었던 피아노 협주곡 1번은 그저 그런 평작 수준의 평을 받았지만, 이후 슬럼프가 오고 재기에 성공한 라흐마니노프가 2번을 발표했을 당시 훨씬 높아진 퀄리티로 큰 호평을 받았으며, 현재까지도 라흐마니노프의 피아노 협주곡 2번은 피아노 협주곡 역사상 길이 남을 명작으로 꼽힌다.
  • 서태지와 아이들 1집서태지와 아이들 2집
    가요계의 판도를 뒤집으며 신드롬을 일으켰던 1집의 판매량을 넘어서며 국내 최초 더블 밀리언셀러를 기록했다. 또한 2집의 타이틀곡인 하여가는 음악 평론가들에게 서태지 커리어 최고의 곡으로 평가받고 있다.
  • AQUEMINIStankonia
    Outkast의 3집인 AQUEMINI는 획기적인 앨범이라는 평을 내렸을 정도로 호평받았는데 4집인 StankoniaOutkast의 최고작 중 하나이자 힙합 역사상 가장 위대한 앨범 중 하나로 분류됐다.
  • A People's Instinctive Travel and the Paths of Rhymes → The Low End Theory
    A Tribe Called Quest의 1집 앨범인 A People's Instinctive Travel and the Paths of Rhymes은 발매 후 높은 평가를 받았다. 그러나, 이후 나온 2집인 The Low End Theory는 재즈 힙합이라는 분야를 개척한, 힙합 역사에 큰 획을 남긴 명반 중의 명반이라는 타이틀을 달게 된다.
  • Can I Borrow A Dollar → Resurrection
    커먼의 1집 Can I Borrow A Dollar도 상당히 괜찮은 작품으로 평가받지만 힙합 명반으로 평가받는 2집 Resurrection을 통해 큰 발전을 보였다.
  • Juvenile Hell → The Infamous
    Mobb Deep의 1집 Juvenile Hell은 여러 동료 래퍼들의 더움에도 불구하고 폭망했다. 하지만 다음 앨범인 The Infamous는 이스트 코스트를 넘어 힙합 전체에서도 손꼽히는 클래식으로 평가받는다.
  • KIM KYUNG HOkim:kyungho 1997
    1집은 마지막기도 등 음악성은 좋았지만 흥행에는 크게 실패했다.그러나 2집은 무려 100만여장의 음반도 팔렸고, 나를 슬프게 하는 사람들등의 노래들이 음원차트 1위를 하며 김경호의 최고의 명반으로 꼽힌다.
  • The Slim Shady LPThe Marshall Mathers LP
    에미넴의 정규 2집은 에미넴의 이름을 세상에 알리고 스타로 급부상시킨 앨범이며 평론가들은 이 2집에 모든 것을 쏟아부은 탓에 더 이상 가사 쓸 거리가 없을 것이라고도 했는데 다음 앨범인 정규 3집에선 이런 평가를 개나 줘 버릴 정도의 힙합 역사상 가장 위대한 앨범 중 하나가 나왔다.

2.6. 게임

  • 검은방검은방 2
    전작보다 다양하고 능동적인 게임 진행이 가능해지고 기승전결이 뚜렷한 훌륭한 스토리와 생각지도 못한 반전을 보여주어 지금 현재까지도 검은방 시리즈 중에 명작이라고 하면 무조건 시즌 2를 꼽는다.
  • 언차티드 1언차티드 2
    언차티드 1편 자체의 게임성도 꽤나 괜찮은 편이었지만 언차티드 1의 단점들을 대폭 수정, 보완하여 내놓은 언차티드 2는 역대 최고의 어드벤처 게임 중 하나가 된다.
  • 앨런 웨이크앨런 웨이크 2
    몰입감 있는 스토리와 퀄리티 높은 그래픽, 사운드 등에 관해 호평을 받으며, 1편을 상회하는 고득점을 기록했다.
  • 철권 시리즈
    • 철권 1철권 2
      버추어 파이터의 아류작이라는 평가는 사라지고 버추어 파이터 시리즈와 더불어 3D 격투게임의 양대산맥으로 자리 잡기 시작했다.
    • 철권 4철권 5
      부진했던 철권의 흥행성적을 다시 멱살잡고 끌어올린 게임이다.
    • 철권 태그 토너먼트 2철권 7
      철권 4보다도 부진했던 태그 2가 오와콘으로 몰고간 시리즈를 다시 멱살잡고 끌어올린 시리즈 최대 흥행작이다.
  • 코룸 시리즈
    • 코룸 : 저주받은 땅코룸 2 : 암흑 군주
      수 많은 버그, 있으나마나한 스토리성, 매력없는 게임성 등 총체적 난국으로 인해 첫 작품부터 대실패한 후 제작진이 절치부심하여 코룸 2를 만들었고, 제작사 하이콤이 부도 위기를 맞이한 와중에도 암흑 군주에서 높은 완성도를 보여주면서 RPG 매니아들의 많은 관심을 받았고, 이는 코룸 시리즈가 국산 RPG계에 한 획을 그은 수작으로 거듭나는 발판을 마련하게 되었고, 이후 아래에서 후술할 코룸 3에서 대박을 친다.
    • 코룸 2 : 암흑 군주 → 코룸 3 : 혼돈의 마법 쥬마리온
      전작 저주받은 땅의 대부분의 단점들을 상당수 해소하여 상당히 잘 만들었다고 좋은 평가를 받았던 그 코룸 2를 뛰어넘는 명실상부 코룸 시리즈 최고의 흥행작.
  • 프롬 소프트웨어
    만드는 시리즈의 2편마다 전작보다 평가가 좋다. 전작보다 평가가 안 좋은 2편은 섀도우 타워 어비스 정도가 전부.
    • 다크 소울다크 소울 2
      이쪽은 유저 평점은 낮지만 평론가 점수는 소울 시리즈 중 가장 높은 특이케이스. 레벨디자인의 쇠퇴와 발전되지 않은 그래픽은 혹평을 받지만 방대한 분량과 DLC는 호평을 받았으며 2편의 발전된 유저 편의성을 기점으로 후속작의 불친절함이 상당히 낮아지게 되었다.
    • 아머드 코어아머드 코어 2
      새로운 시스템을 많이 도입하여 아머드 코어 시리즈만의 특징을 확립시켰고 입문 난이도도 가장 쉬우며 평점 또한 아머드 코어 6 출시 이전까진 시리즈 내에서 가장 높았다.
    • 오토기 → 오토기 2
      전작의 단점을 대부분 개선시켰으며 흥행에 실패한 것과는 별개로 평점은 높게 받은 비운의 수작이라고 평가받는다.
    • 킹스 필드킹스 필드 2
      도전욕을 자극시키는 난이도와 어두운 테마의 분위기, 플레이어를 당황시키는 함정 등 현재의 소울 시리즈의 특징들을 정립시켰다고 평가받는다.
  • 하프라이프하프라이프 2
    하프라이프 2는 2000년대 FPS 장르를 대표하는 걸작으로 비단 1인칭 슈팅 게임이라는 장르에서 그치지 않고 게임계 역사에 커다란 족적을 남긴 위대한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 회색도시회색도시2
    개연성이나 이해가 가지 않는 캐릭터 심리 등으로 비판을 받았던 시즌 1과는 달리 시즌 2는 그야말로 전작보다 몰입감 있는 전개와 훌륭한 완성도를 보여줘 상당한 호평을 받았다.
  • MOTHERMOTHER 2
    1의 경우 시스템상으로 불편한 점도 몇 있었고 난이도도 무자비했지만, 2는 1에 비해 일신된 그래픽과 발전된 내용, 적절히 밸런스있는 난이도로 전작보다 큰 인기를 얻었으며, 특히 북미 쪽에서의 인지도가 높다.
  • PortalPortal 2
    완성도 높았던 전작을 넘어 더 심도 있는 전개를 보여준다.

2.6.1. 콘솔 및 아케이드 시스템

2.7. TV 프로그램

2.8. 전자 기기

3. 반례: 소포모어 징크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소포모어 징크스/목록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원치 않게 만들었다고는 해도 공을 들였던지라 작화와 연출의 퀄리티가 높은 편인데, Z건담을 기획할 당시에는 중전기 엘가임의 제작을 나가노 마모루한테 거의 맡기다시피 했다.[2] 원래 퍼스트 건담은 반다이가 시작시킨 기획이 아니라 중간에 대체스폰서로 들어왔다. 원래는 클로버라는 완구회사였다. 그래서인지 Z부터는 기체들의 디자인부터 반다이가 관여했다. 나가노 마모루의 일화를 보면 Z건담이 기획될 당시 얼마나 시끄러웠는지 알 수 있다.[3] 멀티버스의 활용도 또한 우수하여 대중들도 복잡하면서도 이해하기 쉬운, 관객 입장에선 전율을 느끼기 쉬운 활용을 보여주며 호평받았다. 이 작품 또한 MCU멀티버스 행보를 갖고 일관적으로 편견을 가진 채 비판하는 관객은 영화를 제대로 안 본 것에 가깝다.[4] 그럼에도 음반 판매량은 총 40만 장이나 판매하는 저력을 보였다.[5] 2020년대인 현재로 치면 약 50관왕에 달하는 엄청난 수상 횟수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