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5-09 14:40:50

장마르크 아블린

제8대 마르세유대교구장
장마르크 노엘 아블린
Jean-Marc Noël Aveline
사제급 추기경
파일:IMG_3127.png
<colbgcolor=#3D9DF3><colcolor=#000000> 출생 1958년 12월 26일 ([age(1958-12-26)]세)
프랑스령 알제리 시디 벨 아베스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프랑스|{{{#!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프랑스}}}{{{#!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바티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바티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바티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복수국적)
사제 수품 1984년 11월 3일
재임기간 마르세유대교구 보좌주교
2013년 12월 19일 ~ 2019년 8월 7일
제8대 마르세유대교구장
2019년 8월 8일 ~ 현직
추기경
2022년 8월 27일 ~ 현직
프랑스 주교회의 의장
2025년 7월 1일 ~ 2028년 7월 1일
학력 아비뇽 신학교
파리 가르멜 신학교
파리 가톨릭 대학교 (성서 그리스어, 성서 히브리어, 신학 / 학사, 석사[1], 박사[2])
소르본 대학교 (철학 / 학사)
파일:Coat_of_arms_of_Jean_Marc_Aveline.svg
Fiat mihi secundum Verbum tuum
말씀하신 대로 저에게 이루어지기를 바랍니다

1. 개요2. 생애3. 성향4. 여담

1. 개요

프랑스추기경이자 제8대 마르세유대교구장. 2025년 7월 1일부터 프랑스 주교회의 의장을 역임할 예정이다.

2. 생애

1958년 12월 26일 프랑스령 알제리시디 벨 아베스에서 태어났다. 1962년 알제리가 독립하자 프랑스 이곳저곳을 전전하다가 마르세유에 정착했다. 1977년 아비뇽 신학교에 입학했고, 파리 가르멜 신학교에서 신학교 과정을 마쳤다. 1981년 파리 가톨릭 대학교에서 성서 그리스어와 성서 히브리어 학사 학위를 취득했고, 1982년에는 신학 학사 학위를 취득했다. 1984년 11월 3일 마르세유대교구에서 사제품을 받았다.

1986년 신학 석사 학위를 취득한 후, 교육을 중심으로 다양한 사목을 맡았다. 1986년부터 1991년까지 아비뇽 신학교에서 교의신학을 가르쳤고, 1991년부터 1996년까지 교구 성소국을 담당했다. 1992년 마르세유에 종교 과학 및 신학 연구소[3]를 공동 설립하여 2002년까지 소장을 맡았고, 1995년부터 2013년까지 지중해 가톨릭 연구소[4]의 소장을 역임했다. 또한 지중해 가톨릭 연구소와 협력 관계인 리옹 가톨릭 대학교에서 2007년까지 신학 강사로 일했다. 이러한 학술적 업적이 베네딕토 16세 교황의 눈에 띄어 2008년부터 2013년까지 교황청 종교 간 대화 평의회 위원을 맡았고, 동시에 마르세유대교구 총대리를 역임했다.

2013년 12월 19일 프란치스코 교황에 의해 마르세유대교구 보좌주교이자 시미디카의 명의주교로 임명되었고, 약 6년 뒤인 2019년 8월 8일 프란치스코 교황에 의해 마르세유대교구장으로 임명되었다.

2022년 8월 27일 프란치스코 교황에 의해 추기경으로 서임되었다.

2023년 9월 마르세유에서 지중해 지역의 과제에 대한 토론을 위해 주교단 회의를 개최했는데, 이때 프란치스코 교황도 초청하여 교황이 직접 방문했다.

2025년 4월 2일 프랑스 주교회의 의장으로 선출되어, 7월 1일 취임을 앞두고 있다.

3. 성향

전례에 대해 유연한 사고를 가진 듯하다. 프란치스코 교황의 자의교서 『Traditionis custodes』[5]가 반포된 후에도 트리엔트 미사를 거행하는 사제들에게 감사와 신뢰를 표했다. 또한 자신이 직접 전통 주교 미사를 두 차례 집전한 적이 있다.

종교 간 대화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대화의 관점과 선교의 관점을 적절히 조절하는 것이라 여긴다. 또한 종교 간 대화를 촉진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결국 함께 행동하는 것이며, 그 안에서 하느님의 신비가 드러난다고 생각한다. 특히 같은 아브라함계 종교유대교이슬람의 특수한 위치는 그의 사고에 있어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하지만 이슬람주의에 있어서는 매우 경계하는 편이고, 기독교이슬람의 관계에 있어 중요한 것은 신학적 논의가 아니라 어떻게 함께 살아갈 것인지 모색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이러한 태도를 취하는 것의 주된 이유에는, 마르세유 시민의 3분의 1이 무슬림인 것과도 연관이 있다고 볼 수 있다.

프랑스식 세속주의를 장단점이 존재하는 양날의 검으로 평가한다. 또한 서구 세계의 낙태, 안락사, 마약, 무기 밀매를 일종의 "전체주의적인 이데올로기"라고 비유한 바 있다.

여성들이 교회 내부의 활동에 대해 더욱 적극적으로 참여하기를 강조한다. 하지만 역시 여성 부제직이나 여성 사제직에 대해서는 보수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다.

난민이나 이민자들에 대해서는 프란치스코 교황과 같이 포용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다. "마르세유는 단순한 도시가 아니라 메시지"라고 말할 만큼, 이민자들에 대한 환영을 자기 대교구의 소명으로 정의한다. 또한 마르세유 안에서 다양한 공동체 간의 평화로운 공존을 옹호했으며, 동방 가톨릭, 칼데아 가톨릭, 콥트 교회, 마론파, 정교회 등 동방교회를 지원하는 역할 또한 마르세유가 맡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결론적으로 그의 신학은 현실, 그리고 마주하는 이웃들의 삶에 뿌리를 두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4. 여담

  • 2022년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으로부터 레지옹 도뇌르 슈발리에를 수여받았다.
  • 두 자매가 있었지만, 지금은 모두 먼저 사망했다. 그러나 부모는 여전히 살아있다.


[1] 신학 석사[2] 신학 박사[3] Institut de Sciences et Théologie des Religions[4] Institut Catholique de la Méditerranée[5] 『전통의 수호자들』, 트리엔트 미사 집전에 대한 제한 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