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28 10:56:05

육군무관학교/졸업자 명단


1. 개요2. 기수별 졸업자 명단
2.1. 1회
2.1.1. 1차 졸업자 명단2.1.2. 2차 졸업자 명단
2.2. 2회
2.2.1. 1902년 1월 임관자 명단(미졸업)2.2.2. 1902년 7월 임관자 명단(미졸업)2.2.3. 1차 졸업자 명단2.2.4. 2차 졸업자 명단
2.3. 3회 이후
3. 여담

1. 개요

대한제국군의 육군 장교를 양성하는 육군무관학교의 졸업자 명단이다.

2. 기수별 졸업자 명단

2.1. 1회

2.1.1. 1차 졸업자 명단

순번 이름 한자 보임 일자[1] 최초 보직[2]
1 강한필 康漢弼 1900-07-28 종성진위대
2 경재호 景在浩 1900-08-28 울산진위대
3 구연호 具然浩 1900-07-23 친위 제1연대 제3대대
4 권기홍 權基弘 1902-09-05 친위 제1연대 제3대대
5 권용민 權用旼 1900-07-23 청주지방대
6 권일선 權日善 1900-08-24 덕원진위대
7 권창수 權彰洙 1900-08-24 친위 제1연대 제3대대
8 김교준 金敎俊 1900-07-28 평양진위대
9 김대현 金大鉉 1900-09-21 시위 제1연대 제3대대
10 김덕제 金德濟 1900-09-21 친위 제1연대 제3대대
11 김동련 金東鍊 1900-08-24 덕원진위대
12 김병엽 金炳曄 1900-08-18 시위 제1연대 제2대대
13 김사억 金思億 1900-08-24 친위 제1연대 제3대대
14 김상우 金相雨 1900-08-23 강화진위대
15 김상응 金相應 1900-09-11 북청진위대
16 김상태 金相台 1900-08-24 덕원진위대
17 김석우 金錫禹 1900-09-21 평양진위대
18 김영국 金永國 1900-09-21 평양진위대
19 김윤배 金允培 1900-07-23 시위 제1연대 제1대대
20 김인호 金麟浩 1900-07-23 친위 제1연대 제2대대
21 김정현 金定鉉 1900-08-24 덕원진위대
22 김존성 金存性 1900-08-23 강화진위대
23 김중현 金重鉉 1900-08-24 덕원진위대
24 김학소 金學韶 1900-07-23 친위 제1연대 제2대대
25 나종배 羅鍾培 1900-08-23 대구진위대
26 나호 羅鎬 1900-08-24 덕원진위대
27 남상학 南相鶴 1900-07-18 강계진위대
28 마준근 馬駿根 1900-07-28 평양진위대
29 문경선 文敬善 1900-07-23 시위 제1연대 제2대대
30 민하식 閔夏植 1900-07-28 북청진위대
31 박관병 朴觀秉 1900-08-24 덕원진위대
32 박영진 朴永鎭 1900-08-24 덕원진위대
33 박용준 朴容俊 1900-06-20 종성지방대
34 박태기 朴泰琦 1900-09-21 시위 제1연대 제2대대
35 박태희 朴泰羲 1900-05-27 평양진위대 무기주관
36 박희양 朴熙陽 1900-07-23 친위 제1연대 제2대대
37 백낙만 白樂萬 1900-08-24 친위 제1연대 제3대대
38 백남규 白南圭 1900-07-18 의주진위대
39 백남숙 白南肅 1900-09-11 진남진위대
40 백남필 白南弼 1900-08-14 친위 제1연대 제2대대
41 변영두 邊永斗 1900-07-28 종성진위대
42 서병태 徐丙台 1900-09-21 친위 제1연대 제1대대
43 서상한 徐相漢 1900-09-21 시위 제1연대 제3대대
44 송세호 宋世浩 1900-09-21 평양진위대
45 송영석 宋榮奭 1900-08-24 덕원진위대
46 송태현 宋台顯 1900-09-21 친위 제1연대 제3대대
47 송흠국 宋欽國 1900-08-24 시위 제1연대 제1대대
48 신대영 申岱永 1900-07-18 공주지방대
49 신봉균 申鳳均 1900-08-24 친위 제1연대 제3대대
50 신순 申栒 1900-09-21 시위 제1연대 제3대대
51 신양균 申亮均 1900-07-23 시위 제1연대
52 신하균 申河均 1900-08-24 시위 제1연대 제1대대
53 심상륜 沈相崙 1900-09-21 시위 제1연대 제3대대
54 안교영 安敎榮 1900-07-28 종성진위대
55 안철영 安喆榮 1900-08-28 울산진위대
56 양보환 梁普煥 1900-09-21 시위 제1연대 제2대대
57 양재훈 梁在薰 1900-07-23 시위 제1연대 제2대대
58 오영근 吳英根 1900-08-24 덕원진위대
59 오유영 吳惟泳 1900-09-21 북청진위대
60 오철영 吳哲泳 1900-07-28 종성진위대
61 원은상 元殷常 1900-07-23 친위 제1연대 제3대대
62 유기성 柳冀聖 1900-09-21 육군무관학교 교관
63 유기형 柳基馨 1900-08-24 덕원진위대
64 유철영 柳哲永 1900-07-23 시위 제1연대 제1대대
65 유치만 兪致萬 1900-07-23 친위 제1연대 제2대대
66 윤명수 尹明秀 1900-09-21 친위 제1연대 제3대대
67 윤우영 尹禹永 1900-09-21 친위 제1연대 제2대대
68 이극림 李克林 1900-09-21 북청진위대
69 이남녕 李南寧 1900-08-24 덕원진위대
70 이민두 李敏斗 1900-08-14 시위 제1연대 제2대대
71 이민수 李敏秀 1900-09-21 시위 제1연대 제3대대
72 이봉서 李鳳緖 1900-09-21 덕원진위대
73 이석윤 李錫潤 1900-07-23 친위 제1연대 제2대대
74 이석일 李錫一 1900-08-24 친위 제1연대 제2대대
75 이순영 李淳榮 - -
76 이순용 李淳容 1900-08-24 친위 제1연대 제2대대
77 이완종 李完鍾 1900-08-14 친위 제1연대 제1대대
78 이용혁 李容爀 1900-09-21 시위 제1연대 제3대대
79 이우성 李愚誠 1900-09-21 평양진위대
80 이원협 李源協 1900-09-21 친위 제1연대 제2대대
81 이의혁 李義爀 1900-07-23 친위 제1연대 제2대대
82 이재화 李載華 1900-09-21 시위 제1연대 제3대대
83 이정호 李晶鎬 1900-12-02 평양진위대
84 이종혁 李鍾赫 1902-08-04 친위 제1연대 제3대대
85 이주철 李柱哲 1900-08-24 헌병대
86 이중인 李重寅 1900-09-21 시위 제1연대 제3대대
87 이창영 李昌永 1900-07-23 시위 제1연대 제2대대
88 이현규 李玄珪 1900-08-24 덕원진위대
89 임윤재 任允宰 1900-08-28 평양진위대
90 임철재 任哲宰 1900-09-21 시위 제1연대 제1대대
91 장기승 張基承 1900-08-24 헌병대
92 장명근 張明根 1900-06-26 북청진위대
93 장세진 張世鎭 1900-08-24 덕원진위대
94 장연창 張然昌 1900-06-20 북청지방대
95 장윤규 張潤圭 1900-09-21 평양진위대
96 장익환 張益煥 1900-07-23 친위 제1연대 제2대대
97 장행원 張行遠 1900-06-20 북청지방대
98 전종현 全琮鉉 1900-06-26 종성진위대
99 정관수 鄭觀秀 1900-09-21 시위 제1연대 제3대대
100 정규조 鄭圭朝 1900-07-28 북청진위대
101 정면섭 丁冕燮 1900-09-21 평양진위대
102 정민화 鄭敏和 1900-07-28 강계진위대
103 정현 鄭炫 1900-08-24 덕원진위대
104 정희봉 鄭熙鳳 1900-09-21 시위 제1연대 제3대대
105 조남희 趙男熙 1900-08-24 덕원진위대
106 조승호 趙承鎬 1900-08-14 친위 제1연대 제1대대
107 조중만 趙重萬 1900-07-23 시위 제1연대 제2대대
108 조중완 趙重完 1900-08-24 시위 제1연대 제1대대
109 진석구 陳錫九 1900-07-23 친위 제1연대 제3대대
110 최기현 崔岐鉉 1900-08-24 평양진위대
111 최동섭 崔東燮 1900-09-21 평양진위대
112 최우상 崔禹相 1900-09-21 시위 제1연대 제1대대
113 최홍기 崔鴻基 1900-09-21 친위 제1연대 제2대대
114 태유선 太有善 1900-07-23 친위 제1연대 제2대대
115 한봉회 韓鳳會 1900-09-21 시위 제1연대 제2대대
116 한상봉 韓相鳳 1900-07-23 시위 제1연대 제1대대
117 한용호 韓龍鎬 1900-08-14 친위 제1연대 제3대대
118 한익리 韓益履 1900-07-23 강계진위대
119 한진용 韓鎭容 1900-08-24 친위 제1연대 제2대대
120 현환 玄桓 1900-07-23 시위 제1연대 제1대대
121 홍순효 洪淳孝 1900-07-28 종성진위대
122 홍언표 洪彦杓 1900-07-28 종성진위대
123 홍원표 洪元杓 1900-09-21 평양진위대
124 홍중유 洪中裕 1900-07-23 친위 제1연대 제3대대
125 홍천희 洪天憙 1902-08-05 임시혼성여단 보병 제1연대 제2대대
126 홍철유 洪哲裕 1900-09-21 친위 제1연대 제3대대
127 황학수 黃學秀 1900-09-21 시위 제1연대 제3대대
128 황환수 黃璄秀 - -

이들은 거의 대부분이 보병 병과로 임관한 것으로 추정된다. 양재훈, 유기성, 장연창 같이 몇 명이 포병 병과이다. 이완종이 헌병 병과였고, 윤명수처럼 헌병과 보병 병과를 이동한 경우가 있다.

같은 1900년 임관자 중에도 보임 시기가 몇 달에 걸쳐 제각각인데, 이들 중에는 부모상을 당해 휴직하고 나중에 기복[3]을 하느라 보임일자가 늦어지는 경우가 있었다.

1902년부터 1903년에 참위에서 부위로 진급이 이뤄졌고, 1905년부터 정위로 진급한 사례도 발견된다.

128명의 졸업생 중에서 행적이 묘연한 이순영, 황환수를 제외하면 126명이 군생활이 확인된다. 승정원일기에 기록된 이들의 첫 보직을 살펴보면 당시 장교 수요가 많이 필요했던 곳을 알 수 있다.[4]

2.1.2. 2차 졸업자 명단

1차 졸업자 보다 5개월 정도 늦게 졸업했지만 보임은 같은 시기에 이뤄졌다.
순번 이름 한자 보임 일자[5] 최초 보직[6]
1 권인수 權麟洙 1900-07-18 의주진위대
2 권종철 權鍾哲 1900-07-23 시위 제1연대 제2대대
3 김홍식 金弘植 1900-07-18 강계진위대
4 신광희 申光熙 1900-07-18 의주진위대
5 심상련 沈相璉 1900-09-21 친위 제1연대 제1대대
6 유인균 柳麟均 1900-07-18 강계진위대
7 이교상 李敎相 1900-07-18 강계진위대
8 이완의 李完儀 1900-07-18 강계진위대
9 이응주 李應疇 1900-07-18 강계진위대
10 천형태 千亨泰 1900-07-18 의주진위대
11 한상덕 韓相德 1900-07-28 친위 제4연대 제2대대

보면 1차 졸업자에 비해 진위대로 몰려 있고, 전부 평안도에 주둔한 진위대이다.

2.2. 2회

황태연의 <백성의 나라 대한제국>에 따르면 2회 입학자는 350명 가량 되었다.

이들은 졸업 전에 1902년에 300명 가량이 일단 임관하였다. 1월(92명)7월(207명)에 임관이 진행됐다. 임관 뒤에 1903년 6월에 이중에 180명 가량이 졸업을 진행했다. 나머지 120여명은 임관만 하고 무관학교 졸업 자격은 얻지 못하고 장교로 복무했다.

그런데 1902년 1월과 7월 임관자 299명 중에서 1903년 6월 2회 졸업자에서 이름이 확인되는 사람은 민병철(閔丙喆), 이석영(李錫永), 이제정 3명 뿐이다. 그나마도 이제정은 李濟楨(1902년 7월 임관자)와 李濟鼎(1903년 6월 졸업자)의 한자가 다르다. 나머지 296명은 1903년 6월 2회 졸업자에서 이름이 확인되지 않는다. 이들이 진짜 육군무관학교에 재학했던 인원이라면 육군무관학교 2회의 입학자는 450명까지 올라갈 수도 있다.

교육기간이 길었던 45명은 1904년에 임관했다.

2.2.1. 1902년 1월 임관자 명단(미졸업)

순번 이름 한자
1 강필호 康弼祜
2 강호선 姜浩善
3 고영균 高永均
4 권용중 權用重
5 김계환 金桂煥
6 김광순 金光淳
7 김기승 金基昇
8 김낙규 金洛圭
9 김동원 金東元
10 김동은 金東殷
11 김복경 金鍑卿
12 김사석 金思錫
13 김성집 金聲集
14 김영희 金永禧
15 김우현 金禹鉉
16 김인배 金仁培
17 김정진 金貞鎭
18 김정현 金晶鉉
19 김종완 金鍾完
20 김종호 金鍾浩
21 김중희 金重煕
22 김채욱 金采煜
23 김형두 金炯斗
24 김흥종 金興鍾
25 남기석 南基奭
26 남상직 南相稷
27 남준희 南俊煕
28 목우석 睦祐錫
29 민영락 閔泳洛
30 박승준 朴勝俊
31 박태영 朴泰永
32 박희원 朴希元
33 백명기 白命基
34 백세기 白世基
35 백충기 白忠基
36 서병덕 徐丙德
37 서병억 徐丙億
38 송우영 宋禹榮
39 신순희 申舜煕
40 심상렬 沈相烈
41 심상희 沈相煕
42 오규영 吳奎泳
43 오승근 吳承根
44 오의선 吳儀善
45 오천묵 吳天默
46 오희영 吳僖泳
47 유병준 劉秉俊
48 유치남 兪致南
49 유태로 劉泰魯
50 윤원성 尹元成
51 윤원식 尹元植
52 윤철구 尹喆求
53 이명규 李明奎
54 이범서 李範緖
55 이병하 李秉河
56 이복원 李復源
57 이봉호 李鳳鎬
58 이석동 李奭東
59 이세필 李世弼
60 이우승 李羽承
61 이은로 李殷輅
62 이은상 李殷相
63 이응하 李應夏
64 이주태 李柱泰
65 이필상 李弼相
66 이해범 李海範
67 이호진 李浩鎭
68 장규형 張圭炯
69 장성원 張騂遠
70 장용석 張容奭
71 전홍기 全弘基
72 정달진 丁達鎭
73 정숙 鄭橚
74 정희찬 鄭煕燦
75 조동겸 趙東謙
76 조동성 趙東星
77 조인순 趙藺淳
78 조희용 趙煕庸
79 주봉준 朱鳳俊
80 최기환 崔琦煥
81 최승학 崔承鶴
82 최영석 崔榮奭
83 최진영 崔鎭泳
84 최진하 崔鎭夏
85 최한영 崔漢永
86 태원엽 太源燁
87 피병건 皮秉健
88 한인복 韓仁復
89 한창리 韓昌履
90 홍순정 洪淳正
91 홍승원 洪承遠
92 홍우록 洪祐祿

전원 보병 참위로 임용하였다. 이후 일부 인원이 졸업하였다.

2.2.2. 1902년 7월 임관자 명단(미졸업)

1 경두현 庚斗鉉
2 구자승 具滋承
3 권승면 權承冕
4 권종진 權鍾晉
5 권종찬 權鍾瓚
6 권종태 權鍾泰
7 김균상 金均祥
8 김낙기 金樂基
9 김두현 金斗鉉
10 김병철 金炳喆
11 김사인 金思仁
12 김석빈 金碩彬
13 김석하 金錫夏
14 김선기 金譱基
15 김선항 金善恒
16 김억배 金億培
17 김영각 金永珏
18 김영권 金永權
19 김영련 金永鍊
20 김유경 金裕慶
21 김태응 金台應
22 김홍식 金鴻植
23 김희상 金煕商
24 남상응 南相應
25 남순희 南舜煕
26 남천희 南天煕
27 남태우 南泰祐
28 노덕세 盧德世
29 노성호 盧成鎬
30 맹도영 孟道永
31 민병철 閔丙喆
32 민완식 閔完植
33 민일호 閔日鎬
34 민흥식 閔興植
35 박교승 朴敎承
36 박내양 朴來陽
37 박동원 朴東元
38 박승희 朴承𨭎
39 박용직 朴容稷
40 박인영 朴仁榮
41 박재옥 朴在玉
42 박제항 朴齊恒
43 박준성 朴準成
44 박헌병 朴軒秉
45 반장환 潘長煥
46 백남식 白南軾
47 백남용 白南容
48 백남증 白南曾
49 백윤민 白潤民
50 변영학 邊永學
51 봉만재 奉萬載
52 서상득 徐相得
53 성찬경 成贊慶
54 송순영 宋淳永
55 송정현 宋定顯
56 신가균 申可均
57 신규식 申圭植
58 신난수 申蘭秀
59 신보균 申普均
60 신석은 申錫殷
61 신창휴 申昌休
62 신태윤 申泰胤
63 신태일 申泰一
64 신팔균 申八均
65 심의성 沈宜性
66 심종협 沈鍾協
67 심현택 沈玄澤
68 안봉수 安鳳洙
69 안영수 安映洙
70 안재목 安裁穆
71 안종간 安鍾幹
72 어영선 魚永善
73 엄익선 嚴翼善
74 오경근 吳景根
75 오덕선 吳德善
76 오득영 吳得泳
77 오문영 吳文泳
78 오용환 吳龍煥
79 오우영 吳宇泳
80 오준선 吳峻善
81 오형근 吳亨根
82 오희선 吳煕善
83 우종현 禹鍾鉉
84 원용갑 元容鉀
85 원용철 元容鐵
86 유범수 柳凡秀
87 유병호 兪炳鎬
88 유석규 劉錫圭
89 유석태 柳錫泰
90 유석풍 柳錫豐
91 유재호 劉載鎬
92 유정순 兪政淳
93 유치원 兪致遠
94 유한용 劉漢用
95 유홍준 兪弘濬
96 유희장 柳喜章
97 윤명구 尹命求
98 윤명식 尹明植
99 윤명휴 尹命休
100 윤병수 尹炳壽
101 윤병한 尹炳漢
102 윤영원 尹泳元
103 윤횡식 尹宖植
104 이각 李珏
105 이강설 李康卨
106 이건 李𤧣
107 이경재 李景載
108 이계현 李啓賢
109 이관직 李觀稙
110 이규범 李圭範
111 이규병 李圭丙
112 이근묵 李根默
113 이기종 李起鍾
114 이덕영 李悳榮
115 이명구 李命求
116 이민구 李敏九
117 이민화 李敏和
118 이범승 李範承
119 이병갑 李炳甲
120 이병승 李丙承
121 이병찬 李秉纘
122 이봉세 李鳳世
123 이석영 李錫永
124 이석응 李碩應
125 이승녕 李升寧
126 이승복 李承復
127 이완규 李完珪
128 이원성 李源聲
129 이응구 李應九
130 이응현 李應鉉
131 이의풍 李宜豐
132 이장녕 李章寧
133 이장직 李章稙
134 이장한 李長漢
135 이재환 李載晥
136 이제정 李濟楨
137 이제헌 李濟憲
138 이조영 李祖榮
139 이종석 李鍾奭
140 이종설 李鍾卨
141 이종성 李鍾聲
142 이주응 李周應
143 이준영 李駿永
144 이창재 李昌載
145 이철기 李哲基
146 이충순 李忠純
147 이충식 李忠植
148 이택기 李宅基
149 이한승 李漢承
150 이현규 李賢奎
151 이현용 李顯用
152 이호문 李浩文
153 이호정 李鎬楨
154 이홍규 李鴻圭
155 이희종 李喜鍾
156 임영선 林榮璿
157 임창호 任昌鎬
158 임필호 林弼鎬
159 장민화 張民和
160 장석제 張錫悌
161 장영근 張榮根
162 장태진 張泰鎭
163 정광희 鄭光喜
164 정규봉 丁奎鳳
165 정석용 鄭錫溶
166 정용화 鄭龍和
167 정운홍 鄭雲鴻
168 정은용 鄭殷鎔
169 정인영 鄭仁永
170 정인택 鄭寅宅
171 정주교 鄭周敎
172 정태직 鄭泰稷
173 정홍진 鄭鴻鎭
174 조돈경 趙敦慶
175 조동순 趙東洵
176 조백희 趙百煕
177 조익호 趙益鎬
178 조재정 趙載鼎
179 조종완 趙鍾琓
180 조중우 趙重羽
181 조찬현 趙燦顯
182 조태희 趙兌煕
183 최영순 崔永舜
184 최인규 崔麟奎
185 최인기 崔仁基
186 최인영 崔麟永
187 최한구 崔翰求
188 최현규 崔顯圭
189 하상우 河相禹
190 한기수 韓麒洙
191 한길호 韓吉皓
192 한백헌 韓百憲
193 한순교 韓順敎
194 한승우 韓升愚
195 한철회 韓喆會
196 한태수 韓泰洙
197 허남 許湳
198 허완 許浣
199 홍기년 洪基䄵
200 홍석구 洪奭求
201 홍선표 洪璿杓
202 홍순희 洪淳禧
203 홍승렬 洪承烈
204 홍유경 洪裕景
205 홍응수 洪膺秀
206 홍준희 洪俊憙
207 황승렬 黃升烈

전원 보병 참위로 임용하였다.

남대문 전투 당시 전사한 장교인 노덕세, 이규병, 이충순, 이한승이 이때 임관자이다.

2.2.3. 1차 졸업자 명단

순번 성적 이름 한자 병과
1 최우등 권필선 權弼善 보병
2 최우등 김홍제 金弘濟 포병
3 최우등 박기영 朴基永 포병
4 최우등 박용래 朴用來 보병
5 최우등 신석충 辛錫忠 보병
6 최우등 이성묵 李成默 보병
7 최우등 이학래 李學來 보병
8 최우등 이희상 李熙祥 보병
9 최우등 이희태 李熙台 보병
10 최우등 조경희 趙瑗熙 보병
11 우등 강석동 姜錫東 보병
12 우등 구학서 具鶴書 보병
13 우등 권재용 權在用 보병
14 우등 김교익 金敎益 포병
15 우등 김동오 金東五 보병
16 우등 김병권 金秉權 보병
17 우등 김석진 金碩鎭 보병
18 우등 김성렬 金聲烈 보병
19 우등 김세익 金世益 -
20 우등 김세중 金世中 보병
21 우등 김연상 金演相 -
22 우등 김용래 金容來 보병
23 우등 김정기 金鼎基 보병
24 우등 김찬수 金燦洙 기병
25 우등 김창진 金昶鎭 -
26 우등 김헌경 金憲卿 -
27 우등 김현경 金顯敬 보병
28 우등 김호중 金浩重 보병
29 우등 나세진 羅世鎭 보병
30 우등 남상덕 南相悳 보병
31 우등 민구식 閔九植 보병
32 우등 민병옥 閔丙玉 기병
33 우등 민병철 閔丙喆 보병
34 우등 민영갑 閔泳甲 보병
35 우등 박계훈 朴啓薰 보병
36 우등 박두환 朴斗桓 보병
37 우등 박영심 朴永心 -
38 우등 박윤정 朴潤晶 -
39 우등 박재현 朴在鉉 포병
40 우등 박정리 朴正利 -
41 우등 박충진 朴忠鎭 -
42 우등 방세영 方世榮 -
43 우등 배준환 裴駿煥 보병
44 우등 백남준 白南俊 포병
45 우등 백보용 白普鏞 보병
46 우등 변기연 卞基淵 보병
47 우등 서간순 徐簡淳 공병
48 우등 서상학 徐相學 포병
49 우등 서정기 徐廷祺 공병
50 우등 서정두 徐廷斗 보병
51 우등 손성준 孫聖俊 기병
52 우등 송두헌 宋斗憲 보병
53 우등 송병덕 宋秉德 보병
54 우등 송종문 宋鍾文 보병
55 우등 송필현 宋必顯 보병
56 우등 심재억 沈在億 보병
57 우등 안정환 安楨煥 포병
58 우등 양승환 梁昇煥 보병
59 우등 엄장섭 嚴長燮 보병
60 우등 오덕환 吳德煥 보병
61 우등 오봉근 吳鳳根 보병
62 우등 오성환 吳聖煥 보병
63 우등 원익상 元䅬常 보병
64 우등 유우석 劉瑀錫 보병
65 우등 윤병극 尹炳極 보병
66 우등 윤봉식 尹鳳植 -
67 우등 윤수현 尹壽鉉 보병
68 우등 윤영행 尹泳行 포병
69 우등 윤형구 尹亨求 보병
70 우등 이규진 李奎璡 보병
71 우등 이규홍 李圭弘 공병
72 우등 이근의 李瑾儀 보병
73 우등 이긍주 李肯周 보병
74 우등 이기동 李基東 보병
75 우등 이기선 李基璿 보병
76 우등 이년하 李年夏 -
77 우등 이대영 李大永 보병
78 우등 이득환 李得煥 보병
79 우등 이명수 李明秀 -
80 우등 이민두 李敏斗 보병
81 우등 이범흥 李範興 기병
82 우등 이병건 李秉健 보병
83 우등 이병교 李秉喬 보병
84 우등 이병홍 李秉弘 -
85 우등 이병훈 李丙薰 기병
86 우등 이석영 李錫永 보병
87 우등 이손환 李睃煥 -
88 우등 이순혁 李涗爀 -
89 우등 이약우 李若雨 보병
90 우등 이완영 李完榮 보병
91 우등 이응규 李膺圭 -
92 우등 이재민 李在敏 보병
93 우등 이제정 李濟鼎 보병
94 우등 이종필 李鍾弼 -
95 우등 이준의 李駿儀 보병
96 우등 이중기 李重騏 기병
97 우등 이창증 李昌增 보병
98 우등 이철래 李喆來 -
99 우등 이태순 李台淳 보병
100 우등 이태진 李泰鎭 보병
101 우등 이한종 李漢宗 포병
102 우등 이훈종 李薰鍾 보병
103 우등 이희면 李熙冕 포병
104 우등 이희양 李憙養 보병
105 우등 임승한 林承翰 보병
106 우등 정종세 鄭鍾世 보병
107 우등 정준헌 鄭駿憲 포병
108 우등 조종선 趙鍾宣 보병
109 우등 최호석 崔浩奭 -
110 우등 최홍순 崔泓舜 포병
111 우등 패형조 貝亨祖 -
112 우등 한구현 韓九鉉 -
113 우등 한봉진 韓鳳鎭 공병
114 우등 허달 許㼀 보병
115 우등 현태섭 玄台燮 기병
116 우등 홍은섭 洪恩燮 포병
117 우등 홍종복 洪鍾復 -

2회 졸업생의 경우 승정원일기나 관보를 볼 때 임관 후의 보직 내용이 거의 전하지 않는다. 이들은 1회 졸업생과 마찬가지로 몇 달 뒤에 2차 졸업자와 합쳐서 보임할 계획이었던 걸로 보이는데, 2회 졸업자가 나온 직후에 러일전쟁이 터지면서 서울이 점령되었고 원수부(대한제국)의 활동이 끝났기 때문이다.

이들의 첫 보직을 추적하기는 어렵지만, 1902년에서 1903년 무렵부터 승정원일기의 장교 계급에 병과가 적히기 때문에, 이들의 임관시에 병과 비율은 추산할 수 있다. 졸업생 117명 중에 95명의 병과가 확인된다. 공병이 4명, 기병이 7명, 보병이 71명, 포병이 13명이다.

최우등 졸업자들 중에는 보병이 8명, 포병이 2명이었다.

남대문 전투 당시에 전투를 지휘했던 남상덕 참위가 이때 졸업자이다. 같이 전사한 이긍주와 백보용 참위도 2회 졸업자였다.

2.2.4. 2차 졸업자 명단

순번 성적 이름 한자 병과
1 최우등 구종서 具宗書 기병
2 최우등 권복선 權復善 보병
3 최우등 김유영 金裕永 보병
4 최우등 민봉호 閔鳳鎬 보병
5 최우등 박장환 朴章煥 포병
6 최우등 양하윤 梁河允 보병
7 최우등 윤진영 尹晉榮 보병
8 최우등 이건상 李健相 보병
9 최우등 이균한 李均漢 보병
10 최우등 이석응 李石應 기병
11 최우등 이의순 李宜恂 포병
12 최우등 이재룡 李載龍 보병
13 최우등 이종대 李鍾大 보병
14 최우등 이해승 李海升 기병
15 최우등 장중규 張重圭 보병
16 최우등 최세룡 崔世龍 포병
17 최우등 최익환 崔益煥 보병
18 최우등 허직 許稷 기병
19 최우등 홍재환 洪在瓛 보병
20 우등 김규현 金奎顯 보병
21 우등 김유만 金裕萬 기병
22 우등 김필환 金弼桓 기병
23 우등 김한식 金瀗植 포병
24 우등 박용문 朴用文 기병
25 우등 박훈양 朴薰陽 보병
26 우등 서병완 徐丙玩 보병
27 우등 신범우 申範雨 기병
28 우등 안충선 安忠善 보병
29 우등 오정환 吳正煥 포병
30 우등 유철호 柳喆浩 보병
31 우등 이봉림 李鳳林 포병
32 우등 이상희 李商熙 공병
33 우등 이승익 李昇翼 포병
34 우등 이시영 李時榮 보병
35 우등 이용승 李容承 보병
36 우등 정영원 鄭永源 기병
37 우등 홍창후 洪昶厚 포병

2기 1차와 비교할 때 보병 외의 전투 병과 비중이 높다. 37명 중에 보병이 19명, 포병이 8명, 기병이 9명, 공병이 1명이다. 상대적으로 기병장교의 비중이 높은 차수이다.

이들은 양력 기준으로 1904년 1월에 임관했는데, 그 다음달에 러일전쟁이 터지고 서울이 점령되어 군대가 자주적으로 움직일 수 없는 시기가 된다.

최우등 졸업자 중 1명인 구종서가 1906년에도 아직 견습참위일 정도로 인사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2.3. 3회 이후


그 뒤로도 계속 학교가 운영되었는데 1909년에 폐교된다. 이 시기의 졸업자 명부는 전하지 않는다. 김좌진, 지청천, 홍사익, 이응준, 김석원, 신태영 등이 이 시기에 입학한 것으로 추정된다.

명백하게 군축까지 시켰던 일본이 1904년부터 1909년까지 굳이 무관학교를 유지한 이유는 아직 한국의 보호국화나 식민지화가 명확히 결정되지 않을 때라 그런 것으로 보인다. 보호국으로 할 경우 만주국의 군대처럼 괴뢰군의 장교단을 운영할 생각으로 무관학교를 일단 유지한 것으로 추정된다. 1909년 여름 무렵에 한국의 식민지화가 마지막 요식 절차인 천황의 승인까지 받게 되면서, 이런 기조는 정리되어 무관학교는 7월 30일에 칙령 68호로 폐교 절차를 밟게 되었다.[7]

3. 여담


[1] 승정원일기 기준[2] 승정원일기 기준[3] 부모상을 당한 자가 상중에 관직에 나오는 경우를 말한다. 보통 부모상을 당하고 3개월 정도 있다가 기복이 이뤄졌다.[4] 126명 중 123명은 1900년의 첫 보직이 확인되지만, 3명은 1902년에야 첫 보직이 확인되는 등 어디까지나 동시에 보임받은 것은 아니다.[5] 승정원일기 기준[6] 승정원일기 기준[7] 한동안 육군 군벌과 갈등이 있던 이토 히로부미가 암살되면서 조슈 군벌이 득세해 식민지화가 빨라졌다는 주장이 유행했지만, 20세기 후반 들어서 기밀 문서가 공개되면서 이토의 암살과 무관하게 그전에 이미 식민지화 방침이 정해졌단 게 알려졌다. 이토 본인은 식민지화는 없을 거라 자주 공언했기에, 장차 있을 여론 악화를 감안하며 1909년 여름에 통감에서 물러났다. 영친왕의 경우 이 기밀 문서가 공개되기 전에 죽어서, 이토 히로부미가 한국을 보호국 상태에서 관리한 뒤에 자신에게 돌려줄 거라 진심으로 믿었을 가능성이 높단 의견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