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06 13:01:30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익스퍼트 3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익스퍼트 3
遊☆戯☆王デュエルモンスターズ エキスパート3
Yu-Gi-Oh! World Championship Tournament 2004
파일:611BWH2854L._AC_.jpg
개발 코나미
유통
플랫폼 게임보이 어드밴스
출시일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004년 2월 5일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004년 2월 10일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유럽|{{{#!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유럽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유럽}}}{{{#!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004년 3월 26일
장르 대전형 카드게임

1. 개요2. 특징3. 등장인물4. 동봉 카드

1. 개요

플레이 영상
2004년 2월 5일코나미에서 발매된 게임보이 어드밴스 전용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소재의 게임 작품.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시리즈 중 10번째 작품이자 유희왕 익스퍼트 시리즈 중 3번째 작품이기도 하다. 그리고 유희왕 월드 챔피언십 대응 작품이다.

전작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8 파멸의 대사신의 평가가 나빴던 것의 영향인지 드디어 넘버링이 폐지되었으며, 유희왕/OCG신 익스퍼트 룰에 완전 준거한 작품이기도 하다. 또한 익스퍼트 시리즈로서는 전작인 인터내셔널 시리즈로부터 1년만의 신작이기도 하다.

2004년 세계대회 공식 서포트로 지정되었으며, 총 6개국어에 대응한다. 그런 관계로 카드 일러스트는 해외 수출용 사양으로 통일되어 있다. 수록 카드는 '新たなる支配者'까지 들어가있으며, 수록 매수는 총 1138장.

실질적인 전작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6 익스퍼트 2의 장점이었던 거의 모든 카드 수록, 배틀 시티 세계관 재현, 대회 매치전 체험 등의 요소가 날아가버린 터라 전체적인 완성도는 떨어졌다. 그래도 당대 듀얼 시뮬레이터로서는 별 문제가 없으니 적당한 카드풀로 즐기기에는 좋다. 어쨌든 이후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인터내셔널 2에서 편의성을 개선했다.

본작처럼 듀얼 시뮬레이터로서 기능하는 후속작으로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익스퍼트 2006가 등장했는데, 해당 작품은 더 나아진 카드 수록 매수, 우수해진 AI, 원작 캐릭터마저 폐기할 정도로 과감한 게임 디자인 덕분에 더 높은 평을 받았다. 본작이 그 초석이 된 작품이 되었음을 고려하면 그 지향점이 무의미하지는 않았다고 볼 수 있다.

비공식 한글 패치가 있다.

2. 특징

  • 원작의 캐릭터는 등장하지만 스토리나 이벤트, 캐릭터 대사등의 요소가 완전히 배제되면서 사실상 듀얼 시뮬레이터가 되었다. 따라서 캐릭터 게임으로서는 별로 좋지 못한 편.
  • 캐릭터 선택시 덱의 성향이 표시된다.
  • 덱 이미지 자체는 각 캐릭터의 이미지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지만 전보다 더 실전적인 구성이 많아졌다.[1]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6 익스퍼트 2에서 선보이던 일부 캐릭터의 고정 콤보도 삭제되었다.
  • 전작들과 마찬가지로 듀얼에서 승리하면 팩을 입수할 수 있지만, 본작부터 일부가 빠지면서 현실의 팩하고는 다른 오리지널 팩에서 카드를 입수하게 되었다.
  • 패스워드가 삭제되었다.
  • 매치전이 삭제되었으며, 사이드 덱도 당연히 삭제되었다.
  • 듀얼 스피드가 전작에 비해 늦어졌다.
  • 초기 덱 관련
    • 초기에 받을 수 있는 덱은 3종류로, 합계 120장의 카드를 소지하고 있다. 하지만 구성 완성도가 전작 것보다 명백히 떨어지기에 처음 받은 덱을 해체하고 처음부터 다시 편성하는 게 나을 수도 있다.
    • 수많은 몬스터 중 푸른 눈의 백룡이나 코스모 퀸 등의 강한 카드들이 들어있을 가능성은 있지만, 효과 몬스터는 크리터, 성스러운 마술사, 스켈엔젤, 니들 웜 같은 카드들 중 3장밖에 뽑히지 않으며, 마법도 제한급 성능의 카드가 나와주기는 하지만 전체적으로 너무나 빈약하다.
    • 패스워드 시스템마저 삭제되어 레어 카드를 초반부에 얻을 수도 없으니 더욱 더 절망적이다.
    • 하급 몬스터는 그냥 저냥이지만 상급 몬스터의 경우엔 공격력 2000 이상의 몬스터가 하나도 나오지 않는다.[2] 차라리 블러드 볼스쌍둥이 자매 엘프로 싸우는 게 훨씬 나을 지경. 따라서 여차하면 리세마라라도 하는게 나을수도 있다.
    • 함정 카드의 경우 매직 재머도적의 7가지 도구 등이 들어있기는 하지만 역시 전체적으로 빈약하다.
    • 어쩐지 위저 보드 관련 카드가 들어있는 경우도 있는데, 5장 다 갖춰져 있는 경우가 거의 없으니 실질적으로는 그냥 지뢰에 불과하다. 원활한 진행을 위해서는 제일 먼저 빼두는 편이 낫다. 강력한 마법 / 함정 카드는 물론 다 레어 카드라서 몬스터만 웬만큼 갖춘다면 싸울 수 있었던 전작에 비하면 초반 난이도가 다소 빡세다.

3. 등장인물

4. 동봉 카드


[1] 특히 레벨 1의 마자키 안즈의 경우 재빠른 날다람쥐의 효과로 필드의 몬스터를 유지하면서 상급~최상급 몬스터의 제물 소환을 노리거나 하는 등 유용한 콤보를 탑재하고 있다.[2] 다만 데몬 소환이나 사이바네틱 와이반이 포함된 경우도 있어서 이 경우는 운이 좋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