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드라마
- 영국의 SF 드라마《닥터후》에서는 뉴 시즌 3 에피소드 2 후반부에서 사건이 다 해결된 후에 나이 지긋하게 먹은 외모로 등장해서 닥터를 보더니 분노해서 "저 놈의 목을 베어라!"라고 명한다.[1] 이후 닥터후 50주년 스페셜에서 등장하는데, 10대 닥터와 데이트를 하다가 타고 오던 말이 자이곤이었다던가, 그 자이곤이 자신으로 변신했다던가 하는 기이한 수모를 겪는다. 자신으로 변장한 자이곤에 의해 처리되어 10대, 11대, 그리고 전쟁의 닥터를 런던 탑에 가두나, 사실 처리된 건 자이곤쪽이고 엘리자베스 1세가 일부러 닥터들을 끌고 오기 위해 한 일. 자이곤들의 계획을 알려주면서 도와달라고 부탁하고 겸사겸사 10대 닥터와 결혼을 치렀다. 엘리자베스 1세는 사건이 해결되는 대로 다시 돌아와달라고 했지만, 엘리자베스가 노년이 될 때까지 한 번도 찾아오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참수 명령을 내리는 게 어쩌면 매우 당연한 반응(...)
- 《죠죠의 기묘한 모험》1부에도 타커스와 브루포드의 과거 장면에서 등장. 다만 메리 스튜어트의 관점에서 본 거라 그런지 굉장히 간사하고 악하게 서술된다. 성우는 케이쵸 유카.
- 《시드 마이어의 문명》에서 플레이할 수 있는 지배자로 첫 문명부터 문명 6에 이르기까지 영국의 지도자로 개근했다. 4에서는 재정적, 철학적이라는 좋은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빠른 테크와 잘 뽑혀 나오는 위인으로 고난이도에서도 적절한 플레이를 할 수 있고 5에서는 해상 유닛의 이동성이 2타일 증가한다. 초반 해상에서의 정찰에 이점이 있으며 빠른 속도로 확장, 침략, 점령이 용이하다.
AI로 등장할 시 무시무시한 오지랖과 시비로 치를떨게된다.자세한 건 문명 5/등장 문명/영국 참조. 6에는 빅토리아 여왕에 밀려 등장하지 못했었으나, DLC인 리더 패스를 통해 등장이 예정되어 있다.
- 《유로파 유니버설리스 4》에서는 능력치가 행정, 외교, 군사 순으로 6,6,5인 군주로 나온다. 참고로 이 게임의 능력치 상한은 6이다.
- 아버지인 헨리 8세를 주인공으로 내세운《튜더스》에서도 당연히 등장한다.
배우는 아일랜드 더블린 출신의 리셔 머리(Laoise Murray). 이복언니 메리 공주에 비해서는 비중은 적지만 서로 대비되는 면모가 많이 나온다.
시즌 2에서 어린 나이에 어머니 앤 불린이 아버지 헨리 8세의 명으로 참수당하면서 하루 아침에 공주 직위를 박탈당하고 사생아로 전락하여 궁에서 쫒겨나고 만다.[2] 드라마가 전반적으로 메리의 인간적 면모를 부각시킨 반면, 엘리자베스는 속을 잘 알 수 없는 이성적인 모습으로 그려진다. 속을 잘 알 수 없다는 점에서 알 수 있듯이 부왕 헨리 8세의 결혼에 대해 여러 가지로 불만이 많았던 메리와 달리 자신의 사견을 거의 드러내지 않는다.
캐서린 하워드와의 관계에서도 메리는 그녀의 천박한 행실을 경멸하여 왕비로 인정해주지 않는 반면, 엘리자베스는 캐서린에게 왕비로서 늘 예의를 갖추며 적당한 관계를 유지한다. 그래도 캐서린이 처형되고 자신의 왕위 계승권이 회복되자 메리에게 "캐서린 하워드의 일로 결혼을 안 하기로 결심했다"며 독신 선언을 한 것을 보아 겉으로 내색하지 않았을 뿐, 그녀는 아버지의 결혼 행보에 대해 매우 안 좋게 생각했던 듯.생모도 죽였으니까.
헨리 8세에게 아버지로의 정은 전혀 없었는지 최종화에서 헨리가 죽음을 앞두고 가족들과 작별 인사를 나눌 때 울면서 메리가 "아버지, 나를 벌써 고아로 만들지 마시라"고 슬퍼하는 것과 달리, 냉정한 표정으로 "폐하"라 부르며 군주에 대한 예의만 갖추고 헨리가 돌아가라고 명령을 남기고 떠나는 그의 뒷모습을 지켜보며 슬퍼하는 캐서린 파와 메리와 달리 무표정한 얼굴로 가장 먼저 궁을 떠났다.
아버지 헨리로부터 사생아 취급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딱히 헨리를 원망스러워하는 감정도 거의 드러내지 않는다. 이에 내심 찔렸던 헨리가 먼저 다가가서 역사책을 선물해주자 오히려 “폐하께서 배정해주신 역사 선생님들은 굉장히 좋은 분들이에요”라고 감사의 뜻만 내비추기도 한다.
그래도 이런 복잡한 환경 속에서도 학문을 매우 좋아해서 엘리자베스를 자주 돌봐주었던 계모 클레베의 앤은 "매우 영리하고 총명함이 감춰지지 않는 아이" 라고 말하는 등, 엘리자베스의 영특함을 높이 평가하는 이들이 많다.
하지만 헨리 8세는 엘리자베스가 영리한 모습을 보여줄 때마다 형용할 수 없는 표정을 짓곤 했는데 임종 직전 앤 불린의 환영을 보면서, 자신도 엘리자베스가 얼마나 총명한지 잘 알고 있으나 그녀에게서 앤 불린이 떠올리는 바람에 더 많은 사랑을 주지 못하였다고 고백하면서 그 이유가 밝혀진다.
2. 만화
- 이원복은《먼나라 이웃나라 영국 편》에서 그녀를 칭송하면서 반대로 메리는 악녀같이 그려내고 왜곡했다. 엘리자베스 1세가 일반적으로 높게 평가받는 군주인 것은 맞지만 분명 과오도 있는 인물인데, 가톨릭에 대한 종교적 탄압을 제외하고는 전혀 흠이 없는 완벽한 군주처럼 묘사했다. 외정도 스페인의 무적함대를 쳐부순[3] 정도로만 딱 멈추고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고 넘어갔다. 다만 개정판에서는 엘리자베스 1세가 워낙 업적이 많아서 상대적으로 드러나지 않을 뿐 메리 1세 때 못지않게 피가 많이 흐르던 시기라고 지적을 하여 정확도와 비판을 추가하기는 했다.
- 카카오페이지 로맨스 판타지
??!웹툰 《렐름 오브 퀸 -여왕의 영역-》이 엘리자베스 1세와 메리 1세를 소재로 하였다. 여기선 무려 드레이크 제독과 썸을 탄다.드레이크 제독과 비교해서 절대 나이 들어보이지 않는 얼굴이 판타지 요소로 꼽힌다.전체연령가인데다 장르가 로맨스 판타지인 만큼 역사 타임라인 왜곡 요소가 있지만, 매 화별 삽입되는 역사 토막 상식 코너에서의 디테일한 고증은 오히려 잘 지켜졌다는 편. 댓글 또한 역사에 관한 토론이 주류를 이룬다.
- 《역사를 만든 여왕 리더십 시리즈》의 첫 번째 여왕 주연으로 나온다. 작중 애칭은 베스. 2권에서는 극초반부와 극후반에만 등장. 초반부는 다음에는 언제 볼 수 있겠느냐는 고정 주인공 아인의 질문에 한동안 바빠서 잘 못 볼 거라고 대답해주고 아쉽지만 어쩔 수 없다고 말하는 아인에게 '네가 더 바쁠 것이다'라는 아인의 두 번째 시간여행의 떡밥을 남기고 사라진다. 극후반부에서는 두 번째 여왕 주연인 마리아 테레지아와 만나는데,(작중 애칭은 테리.) 다른 과정을 거쳐서 여왕이 된 두 사람이다 보니, 심상치 않게 본다.[4] 1500년대의 사람인 엘리자베스는 1700년대의 테레지아를 전혀 몰라서 당연히 '누구야, 그게?'라고 반응. 이에 자존심이 상한 마리아 테레지아가 '시골 같은 영국 여왕이란 말이지? 네 후손들 도움을 잘 받았음'이라며 광역도발을 시전해 말싸움을 한다. 3권 초반에서는 스페인이나 중신들과의 마찰로 스트레스를 받을 때 아인을 찾아오며, 마리아 테레지아와는 여전히 영국이 더 크냐, 오스트리아가 더 크냐 하는 별 의미도 없는 싸움 때문에 아인을 잠도 못 자게 시달리게 하고 있다고 언급된다.
3. 소설
4. 오페라
- 가에타노 도니제티의 오페라 《로베르토 데브뢰》[5]에서는 엘리자베타 여왕이라는 이름으로 나온다.[6] 거기다 히로인인데, 이미 70세의 노파 할머니(...). 심지어 내연남도 있다. 실제 역사에서도 연인 관계로 기록된 에식스 백작이다. 근데, 여기서 에식스 백작은 반란을 일으켰다는 음모를 꾸미고 있다는 것이 밝혀서 감금된 상태이지만, 여왕은 거기에 전혀 신경쓰지 않고 에식스 백작이 자신을 다시 사랑해 줄 거라는 바람을 가진 여인으로 그려진다.[7] 근데, 사랑하는 남자가 다른 여자를 사랑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되자, 거기에 열 받아서 곧바로 사형 집행서에 사인해버리는 질투녀(...).[8] 하지만, 마지막에 에식스 백작이 처형되자 이에 후회하게 되고, 곧바로 몸이 나빠져[9] 스코틀랜드의 제임스에게 물려주라는 유언을 하는 것으로 오페라의 끝맺음을 장식한다. 오페라 자체는 벨 칸토답게 실제 역사보다는 멜로물이 주로 이뤄졌다는 평.
- 도니제티의 또 다른 오페라이자 메리 여왕의 최후를 그린 《마리아 스투아르다》에선 위의 오페라보다 젊었을 적의 모습이며, 여기서도 실제 역사와 마찬가지로 에식스 백작의 양아버지였던 로버트 레스터를 사랑하는 모습으로 나온다.
그리고, 타이틀롤 메리 스튜어트를 페이크 주인공으로 만든 장본인이기도 하다. 메리의 본격적인 등장은 2막부터니까...근데, 실러의 희극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오페라나 로베르토 데브뢰와 마찬가지로 픽션이 첨가되어 있다. 여기서 레스터는 감옥에 갇힌 메리 스튜어트를 사랑하는 것(...)으로 나온다. 이에 엘리자베스는 가만히 있지않고 당연히 메리 스튜어트에 대해서 질투하게 되고, 이에 메리 사형 집행서에 사인까지 해준 다음 레스터 경에게 메리의 죽음을 직접 보라는 냉정한 말까지 한다.본격, 질투의 화신 엘리자베스 1세이 오페라의 명장면으로 꼽히는 것은 실제 역사에서 단 한번도 만나지 않았다는 메리 스튜어트와의 대면에서 서로 신경전을 부리는 부분인데, 이는 실러의 가상으로 도니제티가 이 장면을 아주 화끈한 이중창으로 만들어 냈다는 찬사를 받고 있다.[10]
- 《어쌔신 크리드: 레벨레이션》에서도 언급된다. 여기서는 암살단과 대립하는 템플 기사단의 일원인 걸로 나오며, 선악과를 가져간 것도 그녀라는 설정.
5. 영화
- 영화《셰익스피어 인 러브》에서는 늙은 모습으로 등장한다.
- 세자르 카푸르 감독이 연출한 1998년 영화《엘리자베스》와 2007년 개봉한《골든 에이지》에서 케이트 블란쳇이 엘리자베스 1세 역을 맡아 열연을 펼쳤다. 특히 1998년도 작품은 케이트 블란쳇의 본격 데뷔작이다.
소꿉친구였던 로버트 더들리 경과 사랑에 빠지나 메리 1세의 급작스러운 사망으로 인해 여왕으로 즉위해 원하지 않는 이별을 하고 여러 고난 끝에 역경을 딛고 점차 진정한 잉글랜드의 여왕으로 거듭나는 엘리자베스의 일생을 그려낸 것이 1998년도 작의 내용.
당초 케이트 블란쳇이 엘리자베스 1세 역을 맡게 되자 웬 듣보잡이 저런 중요한 역을 맡냐면서 사람들은 흥행 실패를 예상하였지만, 3,000만 달러의 예산을 들여서 8,200만 달러를 벌어들여 '대박'까진 아니지만 '중박' 정도의 흥행엔 성공했고,# 뭣보다 케이트 블란쳇의 연기에 대한 평론가들의 평이 '대박'이었고, 블란쳇은 바로 스타의 반열에 오르며 아카데미 여우주연상 후보로 화려하게 데뷔한다.[13]
9년 뒤 블란쳇은 세자르 감독과 다시 호흡을 맞춰《골든 에이지》에서 다시 한번 엘리자베스 1세 역을 맡는다. 2007년 작의 주된 배경은 칼레 해전이며 스페인의 펠리페 2세와 엘리자베스 1세의 불꽃튀는 대결이 주요 내용.
재미있는 점은 1998년 작에서 로버트 더들리 경과 사랑에 빠졌던 엘리자베스가 2007년에는 잉글랜드 사략선 선장 월터 롤리 경과 연애 플래그가 선다. 칼레 해전이라면 흔히 프랜시스 드레이크를 떠올리는 이들에게는 생소한 느낌이 들 수도 있겠지만, 월터 롤리 경은 서구권에서는 대단히 유명하고 인지도가 높은 인물이다. 잘해봐야 탐험가 내지는 사략선장인 드레이크에 비해, 롤리는 탐험가이자 군인이면서 동시에 학자, 역사가로 이름 높은 인물로 결코 드레이크에게 밀리지 않는다. 더욱이 북아메리카에 처음 정착을 시도하고 그 지역을 엘리자베스와 관련이 높은 이름인 '버지니아'로 명명한 게 롤리 경임을 생각하면 결코 듣보잡을 내세운 것이 아닌 것. 참고로 오늘날까지 해양력의 가치를 강조할 때 자주 인용되는 "바다를 지배하는 자가 무역을 지배하고, 곧 세계를 지배한다"는 말을 한 주인공도 롤리 경이다.
- 1912년에 무성영화로 제작된 미국-프랑스 합작 영화도 있다. 이 영화는 파라마운트 픽처스의 첫 작품이라는 점에 의의가 크다. 엘리자베스 1세는 당시 19세기의 최고 연극 배우로 알려진 사라 베르나르가 맡았다.영화 정보
- 2018년에는 엘리자베스 1세 여왕과 메리 스튜어트 여왕을 주인공으로 한 영화 《메리, 퀸 오브 스코틀랜드》가 개봉되었다.[14] 배우는 마고 로비가 맡아 상당히 인상적인 엘리자베스 1세를 연기하였다.
일생 최고의 정적이자 라이벌이었지만 친척이기도 한 스코틀랜드의 메리 여왕과는 나름대로 서로를 자매로 여기며, 여성은 남성에게 복종해야한다는 인식이 당연했던 시대 속에서 같은 일국의 여왕으로서 동질감을 느낀다. 하지만 개인적인 애정과는 별개로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의 관계, 가톨릭과 개신교간의 갈등, 그리고 자신이야말로 적법한 잉글랜드의 여왕이라고 주장하는 메리 때문에 갈수록 대립하게 된다. 끝내 스코틀랜드에서 폐위되어 망명한 메리와 만나 제발 자신을 도와달라는 그녀의 애원에 흔들리지만, 결국 자신의 왕위를 지키고 잉글랜드의 국익을 우선시함으로서 메리의 처형을 방관하고 마지막 장면에서 여왕으로 우뚝 선다.
6. 토크쇼
- 《신비한 TV 서프라이즈》에서 그녀가 왜 처녀성에 집착했는지에 대해 설명해준다.
- HBO TV미니시리즈 톰 후퍼 감독의《엘리자베스 1세(2006년도)》에서 헬렌 미렌[15]이 엘리자베스 1세 역을 맡아 혼인 하지 않은 중년 처녀여왕의 히스테릭한 연기와 베테랑 신하들을 노련하게 제압하는 절대 군주 두 가지의 모습을 오가며 엄청난 연기력을 펼쳤다.
TV 미니시리즈라 정보가 드물지만 한글 번역 자막도 있으니 감상할 것을 추천한다. 케이트 블란쳇의 영화 엘리자베스 캐릭터와 대조적인데 서사적으로 엘리자베스 여왕의 영웅적인 면모와 드라마적인 부분을 강조했다면 헬렌 미렌의 엘리자베스는 중년으로 접어든 현실적인 여왕의 모습과 인간적인 모습을 재해석한 연기가 포인트다.[16] 이 미니시리즈는 골든 글로브와 에미 시상식에서 작품상, 여우주연상, 조연상등을 휩쓸었다.
- 《노부나가를 죽인 남자》2부 일륜의 데마르카시온에서도 등장.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관백이 되고 난 시점 근처에 프랜시스 드레이크를 위시한 영국 사략선단이 스페인의 무적함대를 격퇴한 적이 있었는데, 그 때 등장한다. 당대 유럽 최강국인 스페인을 해전에서 이긴 덕인지 엘리자베스는 상당히 기세등등한 표정을 짓는다. [17] 이 소식을 전해들은 히데요시는 스페인의 세력이 어느 정도 약해졌으니 명나라를 친 후 루손(필리핀)을 치는 것도 해봄직하겠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7. 뮤지컬
- 뮤지컬 엘리자벳과 모차르트!, 레베카와 마리 앙투아네트, 베토벤으로 유명한 실베스터 르베이와 미하일 쿤체 콤비가 일본에서 엘리자베스 1세가 여왕이 되는 과정을 그려낸 팩션 뮤지컬을 제작한 적이 있다. 제작은 일본 토호 주식회사. 뮤지컬 제목은《레이디 베스(Lady bess)》이며, "왜 엘리자베스 1세는 영국에서 위대한 군주로 기록 되었으며, 죽을때까지 결혼하지 않은 처녀왕으로 불렸을까?"를 베이스 삼아 극을 구상했다고 한다. 타이틀롤 베스는 다카라즈카 설조ㆍ주조 여역 톱스타 출신 하나후사 마리[18]와 성우출신 히라노 아야[19]. 연출감독은 다카라즈카판 엘리자벳과 토호판 엘리자벳, 모차르트!로 유명한 코이케 슈이치로(小池修一郎)[20]. 2014년 도쿄 제국극장(帝国劇場)에서 초연되었고[21], 2017년에 넘버와 내용 흐름을 수정하고 개선한 버전으로 재연되어 이 때의 실황이 W캐스트 별로 DVD가 발매되었다.[22]2022년에 스위스판[23]이 공연되었으며, 현재로서는 르베이 뮤지컬 작품 중 유일한 국내 미상연작이다.
2013년 11월 18일에 공개되었던 초연 프로모션 비디오
제목대로 아직 공주(프린세스)시절의 엘리자베스 이야기를 진행한 작품답게 드라마 튜더스와 마찬가지로 엘리자베스 1세가 굉장히 젊은 시절의 모습으로 나오고 있고, 작중 베스, 레이디 엘리자베스로 불린다. 이야기의 시간대는 아직 이복언니인 메리 1세[24]가 잉글랜드의 국왕으로 즉위중이던 1553년과 1558년 사이인 16세기. 헨리 8세의 차녀로 태어났지만, 모친 앤 불린이 반역죄로 처형 당하면서 서자로 격하당한 후 가정교사 로저 애스컴[25]과 양육 담당자인 캣 애슐리[26]와 함께 하트퍼드셔에서 생활하다가 가공인물이자 음유 시인 로빈 브레이크[27]를 만나면서 본격적인 이야기가 시작된다.
잉글랜드 왕국 튜더 왕조 제2대 국왕 헨리 8세는 스페인의 공주 아라곤의 카탈리나와 혼인하여 장녀 메리를 얻는다. 그러나, 헨리 8세는 새로운 여자에게 관심을 보이게 되는데, 그녀가 바로 앤 불린. 헨리8세는 앤 불린을 잉글랜드의 새로운 왕비로 맞이하기 위해 가톨릭의 묵주를 던지며 국교를 가톨릭에서 성공회 프로테스탄트로 바꾸고, 동시에 카탈리나와 그녀의 딸 메리 역시 완전히 버림받는다.[28]헨리 8세가 앤 불린을 왕비로 맞이한 후 베스가 태어나지만, 그 행복도 잠시 앤 불린도 죄목을 받아 런던 탑에 감금당하면서 베스가 아주 어린 나이에 이별하게 되고, 베스는 캣 애슐리가 양육하게 된다. 베스가 3살이 되었을 때 앤 불린은 참수형에 쳐해진다. 헨리8세는 비록 앤 불린을 처형했지만, 베스에게 성공회 프로테스탄트 교리로 만든 성경책을 선물하게 된다.[29] 헨리8세 사후 6년 뒤 메리 1세가 잉글랜드의 여왕으로 즉위한다.[30] 메리가 잉글랜드의 여왕으로 즉위하자마자 부친 헨리가 바꿔놓은 국교를 가톨릭으로 되돌리기 위해 성공회 프로테스탄트 신자들을 탄압했으며, 그로인해 백성들로부터 "블러디 메리"라고 불리게 되었다. 로저 애스컴은 성장한 베스를 보며 자신이 베스의 가정교사를 맡고있고 별의 관측을 보면서 앞으로 일어날 일들과 베스의 운명을 언급한다. 여기까지가 프롤로그의 내용이다.
성인이 된 베스는 어릴때부터 공부와 책읽기를 즐거워하며 지금도 부친에게 선물로 받은 성공회 프로테스탄트 성서를 읽고 있다. 그때 로저 애스컴이 들어오면서 베스가 읽은 책을 보자마자 "그 책은 메리 여왕이 금서로 지정하고 있으니 숨기는 것이 좋다"고 말하며 캣 애슐리에게 건네준다. 그러자, 베스가 그 책은 그냥 다른 책이 아니라며 아바마마로부터 받은 선물이고, 언니인 메리도 자신을 심문하진 않을 거라고 말한다.
성인이 된 베스는 어릴때부터 공부와 책읽기를 즐거워하며 지금도 부친에게 선물로 받은 성공회 프로테스탄트 성서를 읽고 있다. 그때 로저 애스컴이 들어오면서 베스가 읽은 책을 보자마자 "그 책은 메리 여왕이 금서로 지정하고 있으니 숨기는 것이 좋다"고 말하며 캣 애슐리에게 건네준다. 그러자, 베스가 그 책은 그냥 다른 책이 아니라며 아바마마로부터 받은 선물이고, 언니인 메리도 자신을 심문하진 않을 거라고 말한다.
베스: 이건 그냥 다른 책이 아니에요. 매우 중요한 것입니다. 돌아가신 아바바마와 같은 잉글랜드의 거울이죠. 언니인 메리도 저에게 뭐라하진 않을거에요. 아바마마의 애독서이니 괜찮습니다. 신약성서인 작은 책. 아바바마로부터 물려받은 책. 편안함과 번쩍임이 있는 소중한 책이에요.
그러다가, 메리 튜더 여왕의 측근인 가톨릭 교주 스티븐 가드너[31]가 베스의 방에 난입하며 방을 뒤지더니, 베스가 부친에게 받은 성공회 프로테스탄트 성경서를 발견하고 베스에게 "음탕한 요부 앤 불린의 피가 흐르고 있다"는 모욕을 주고, 이에 베스는 화를 겨우 참아가며 "무례하다!"[32]라고 소리치고 성경책을 돌려달라하지만, 가드너 주교는 떠나버린다. 가드너의 모욕을 받은 베스는 치를 떨며 말한다.
베스: 제가 왜 어미 때문에 이런 모욕을 받아야 합니까?
모욕 때문에 화가 나버린 레이디 엘리자베스는 자신이 직접 이복언니인 메리 여왕에게 편지를 쓰겠다며, 가드너 주교를 따라가 신약성서를 찾아오기 위한 마차를 준비해달라고 부탁한다. 이때, 첫 솔로곡 "나의 아버지는 왕"이 시작되면서 베스는 자신은 왕의 딸이라며 신념과 긍지만큼은 반드시 지켜냄과 동시에 절망의 틈 속에서도 자신은 승리를 할 것이고, 거침없이 모두 이겨내며 두려움도, 분노도, 눈물도, 모두 삼키고 모든 시련 이겨내리라고 외친다.#하나후사 마리Ver #히라노 아야Ver
베스가 마차를 타고 가드너 대주교를 뒤쫓던 도중 그만 숲에서 마차가 고장나게 된다. 마차가 수리되는 동안 베스가 잠시 나와 음유시인이자 방랑자이면서 메리 튜더의 정책에 반발하는 일반 백성인 로빈 브레이크와 처음 만나게 된다.
베스: 안녕?
로빈: 안녕...근데, 당신은 뭔데?
베스: ...'베스'라고 해!
로빈: 베스라고 하는구나. 숲에서 뭔일 있었어?
베스: 내가 타던 마차가 고장이 났어.
로빈: 마차가? 헤에! 부자구만~~!
베스: 당신의 마차를 빌려줄 수 있어?
로빈: 내 마차를? 날 부자들과 똑같이 취급하지 않았으면 좋겠어.
베스: 그럼, 넌 무엇을 하는 사람인데?
로빈: 안녕...근데, 당신은 뭔데?
베스: ...'베스'라고 해!
로빈: 베스라고 하는구나. 숲에서 뭔일 있었어?
베스: 내가 타던 마차가 고장이 났어.
로빈: 마차가? 헤에! 부자구만~~!
베스: 당신의 마차를 빌려줄 수 있어?
로빈: 내 마차를? 날 부자들과 똑같이 취급하지 않았으면 좋겠어.
베스: 그럼, 넌 무엇을 하는 사람인데?
음유시인 로빈 브레이크는 "나는 집도 없고, 부자도 아니고, 의무도 없지. 자유롭게 살고있다구. 이 아름다운 세상의 전부는 내꺼야!! 난 노래도 창작하고, 책도 만들 줄 아는 특별한 가수야!"라며 베스에게 자기 소개를 한다. 류트를 연주하며 우스꽝스런 움직임을 보여가며 자신에 대한 이야기를 하자, 베스는 그런 로빈을 흥미롭게 바라보며 웃기도 한다. 로빈의 자기소개가 끝나자 보조하는 신하가 달려와 로빈의 친구 3인방이 마차를 고쳐줬다면서 베스가 매우 기뻐하며 답례로 그들에게 금화를 선물해준다. 보조하는 신하의 입에서 "레이디 엘리자베스"라는 호칭이 나오자 로빈과 그의 친구 3인방은 화들짝 놀란 표정까지 보이며 반응하지만, 베스는 신하에게 곧바로 답한다.
베스: 이 이상 마차를 타고 가드너를 뒤쫓는 건 무리군요. 여왕 폐하에게 성경책을 돌려달라는 편지만이라도 보내야겠습니다.
거기 더하여 베스는 로빈이 자신의 앞에서 우스꽝스러운 행동으로 자기소개 했던 것에 개의치 않고 웃으면서[33] 로빈에게 건강히 지내라며 말한 후 물러나면서 다시 마차에 탑승하여 돌아간다.[34]
메리 튜더 여왕 : 베스가 편지를 보냈습니다.
드 주교 : 호오~~! 여왕 폐하께 편지를 보냈단 말입니까?
메리 튜더 여왕 : 그렇습니다. 예하에 대해선 무례한 자라며 있을 수 없는 취급을 했다고 써져 있군요. 당신이 언제나 명을 어겼으니 엄벌에 처했으면 한다고 말입니다.
드 주교 : 호오~~! 여왕 폐하께 편지를 보냈단 말입니까?
메리 튜더 여왕 : 그렇습니다. 예하에 대해선 무례한 자라며 있을 수 없는 취급을 했다고 써져 있군요. 당신이 언제나 명을 어겼으니 엄벌에 처했으면 한다고 말입니다.
이 말을 들은 가드너 주교는 베스에 대해 어이없어하면서 메리 여왕에게 아부를 떨듯이 무례를 용서해달라 하지만, 메리는 가드너에게 상관없어 하면서 베스가 태어나자마자 자신과 자신의 생모가 어떤 취급을 받았는지 그에게 모든 걸 얘기하며 곧바로 메리를 광대들이 앤 불린의 모습이 그려진 흉상 초상화를 가져와 그녀를 향해 "사악한 여자"라며 광대가 가져온 다트를 던지기까지 한다.
메리 여왕의 말을 들은 가드너 주교는 베스는 메리 여왕에게 역모를 꾸미는 게 틀림없고, 백성들의 선망을 받고 있다고 얘기까지 한다. 스티븐 가드너 주교는 가톨릭에 반박하는 이단자는 처분해야 한다는 명목으로 베스를 사형을 부탁하려 하지만, 메리 튜더 여왕은 베스에게 본때를 보여줘야겠다라며[36] 시녀 수잔을 불러 베스에게 자신의 궁에 들르라는 편지를 보내라 시킨다.
작중 대표적인 베스의 넘버는 2017년 재연판을 기준으로 1막에서 자신이 부친에게 물려받은 성공회 신약성서를 마구 모욕적인 말을 던지면서 뺏아버린 가드너 주교에게 화가 나서 부르는 나의 아버지는 왕(我が父は王, My father was a king)과 1막 마지막에서 이복언니 메리여왕에게 반란혐의를 받자 자신이 누명까지 받게 되는 상황에 절망하면서 자신의 신념과 믿음, 굳건함을 담은 내 안에 간직하는 마음(秘めた想い, The feelings I hide), 2막에서 런던 탑에 감금되어 자신도 모친처럼 누명을 씌워져가면서 유죄 판결과 죽음을 기다려야 하는 상황 속에서 그제야 자신은 전혀 특별한 인간이 아닌, 모두와 똑같은 인간이란 걸 알게 되어 죽음 앞에서 두려하며 부르는 신에게 버림받고(神に見放されて, Fallen from grace)와 막판에서 모든 일이 무사히 해결되고, 펠리페 황태자가 에스페냐(스페인)로 돌아가면서 메리 1세 서거 후 어둠 속에서 헤매었던 자신의 소녀 시절을 떠올리며 자신을 키워주면서 바른 길로 이끌어준 사람[37]과 궁전 밖에 나와 처음으로 이성으로써 사랑하게 된 사람을 통해 자신에게 살아갈 용기를 전해 준 사람[38]을 언급하면서 어둠을 뚫고 나아가 운명을 거부하지 않고 "퀸 엘리자베스(Queen Elizabeth)"의 길을 선택하겠다고 다짐하며 부르는 어둠을 두려워하지 않고(闇を恐れずに, Afraid of the dark)가 있다. 이 외에도 2막에서 무죄판결을 받고, 감금에서 베스가 상상임신과 건강악화로 죽어가는 메리 1세의 이야기를 듣고 자신도 부친 헨리 8세에게 결국 버림받았던 것을 생각하며 그토록 자신을 증오해온[39] 이복언니에게 동질감을 느끼며 부르는 듀엣 사랑을 모르면서(愛を知らずに, I never knew love)와 2막 막판에서 베스가 자신의 운명[40]과 행복[41] 사이에서 갈등하면서 로빈과의 사랑을 잊지않겠다고 다짐하며 부르는 듀엣인 상처 입은 날개(傷ついた翼, Wings)도 명곡으로 꼽힌다.
제목의 레이디 베스는 서자 시절의 호칭에서 유래했다. 어머니 앤 불린이 헨리 8세에게 여러 누명을 받아가면서 결혼 무효화까지 선언받고 참수형 되면서, 당시 3살이 채 되지 않았던 딸 엘리자베스도 서자로 격하 되어 한동안 프린세스(공주)로서의 지위를 잃게 되었다.[44] 호칭에서 곤란한 상황이 된 엘리자베스의 시녀들은 프린세스 엘리자베스(Princess Elizabeth)에서 귀족 칭호인 레이디(Lady)로 바꿔 불러야했고, 뮤지컬에서도 이를 꽤 반영하고 있다. 거기 더해 다른 매체에서와는 달리 여기서는 처음부터 생모 앤 불린을 꽤 증오하는 모습도 보여주는데[45] 실제로 엘리자베스 1세는 자신의 출신성분에 대한 컴플렉스를 느끼기도 했으며, 거기 더하여 자신이 앤 불린의 딸이란 것을 매우 치욕스럽게 여겼다는 기록을 잘 재현하여 단순히 청순가련한 공주 캐릭터상이 아님을 잘 보여주고 있다.[46] 거기 더하여 자신의 신념을 굳게 간직하겠다는 언급에서 실제 엘리자베스 1세의 자비로운 면과 여장부형의 성격도 작중 잘 반영하고 있음이 보여진다.
私の心が読めると言うの?(내 마음을 엿보려 한단 말인가?)
あなたとは違う (당신[47]과는 달라.)
読めはしない (엿보려 하지않아.)
濡れ衣着せられても (누명을 뒤집어 씌운다해도)
微笑み返す (미소를 지을테고)
潰されはしない (움추리지 않겠어.)
何をされても (무엇을 한다해도)
責められ罰せられても (책망받고 형벌을 받는다해도)
魂だけは自由 (내 영혼만은 자유이니.)
心はわたしのもの (내 마음은 내 것이야.)
窓なんてない (창문 따위는 없고)
覗けはしない (들여다 보지 않아.)
秘めた思いをあなたは知り得ない!(당신은 숨겨둔 내 마음을 알 수 없어!)
命令される (명령을 받는)
そのたびに (그때마다)
信念だけは護ってきた!(내 신념만은 지켜왔어!)
あなたと同じ考え方など無理よ!(당신같은 사고방식은 무리야!)
自分自身を裏切れないわ (내 자신을 배신하지 않아.)
閉じ込め (날 가두려하고)
脅されても (위협받는다 해도)
魂だけは自由 (내 영혼만은 자유.)
心はわたしのもの (내 마음은 나의 것)
窓なんてない (창문 따위는 없고)
覗けはしない (들여다보지 않아)
秘めた思いをあなたは知り得ない!(당신은 숨겨둔 내 마음을 알 수 없어!)
あなたが望むような人にはなれない (당신이 원하는 사람이 되지 않아)
信念を (합창 : 신념으로)
私の人生だもの (나의 인생인걸.)
勇気ある戦い挑む! (합창: 용기있게 싸워 헤쳐가리!)
私が支配者!(내가 지배자이니까!)
心はわたしのもの (내 마음은 내 것이야)
立ち上がり(합창: 일어서리라)
涙拭き(합창: 눈물을 닦고)
窓なんてない覗けはしない!(창문 따위는 없고 들여다 보지 않겠어!)
曇りない (합창: 흔들리지 않으리)
誇りを胸に秘め (합창: 긍지를 마음 안에 간직한)
秘めた思いを (숨겨놓은 내 마음을)
運命に立ち向かう!(합창: 운명에 맞서나가리!)
あなたは知り得ない!(당신은 알 수 없어!)
あなたは知り得ない!(당신은 알 수 없어!)
神の御加護を (합: 신의 가호를 빕니다.)
勇気あるレディ・ベス! (합: 용기있는 레이디 베스!)
~1막 마지막 베스의 넘버곡 "내 안에 간직하는 마음(秘めた想い, The feelings I hide)"~
あなたとは違う (당신[47]과는 달라.)
読めはしない (엿보려 하지않아.)
濡れ衣着せられても (누명을 뒤집어 씌운다해도)
微笑み返す (미소를 지을테고)
潰されはしない (움추리지 않겠어.)
何をされても (무엇을 한다해도)
責められ罰せられても (책망받고 형벌을 받는다해도)
魂だけは自由 (내 영혼만은 자유이니.)
心はわたしのもの (내 마음은 내 것이야.)
窓なんてない (창문 따위는 없고)
覗けはしない (들여다 보지 않아.)
秘めた思いをあなたは知り得ない!(당신은 숨겨둔 내 마음을 알 수 없어!)
命令される (명령을 받는)
そのたびに (그때마다)
信念だけは護ってきた!(내 신념만은 지켜왔어!)
あなたと同じ考え方など無理よ!(당신같은 사고방식은 무리야!)
自分自身を裏切れないわ (내 자신을 배신하지 않아.)
閉じ込め (날 가두려하고)
脅されても (위협받는다 해도)
魂だけは自由 (내 영혼만은 자유.)
心はわたしのもの (내 마음은 나의 것)
窓なんてない (창문 따위는 없고)
覗けはしない (들여다보지 않아)
秘めた思いをあなたは知り得ない!(당신은 숨겨둔 내 마음을 알 수 없어!)
あなたが望むような人にはなれない (당신이 원하는 사람이 되지 않아)
信念を (합창 : 신념으로)
私の人生だもの (나의 인생인걸.)
勇気ある戦い挑む! (합창: 용기있게 싸워 헤쳐가리!)
私が支配者!(내가 지배자이니까!)
心はわたしのもの (내 마음은 내 것이야)
立ち上がり(합창: 일어서리라)
涙拭き(합창: 눈물을 닦고)
窓なんてない覗けはしない!(창문 따위는 없고 들여다 보지 않겠어!)
曇りない (합창: 흔들리지 않으리)
誇りを胸に秘め (합창: 긍지를 마음 안에 간직한)
秘めた思いを (숨겨놓은 내 마음을)
運命に立ち向かう!(합창: 운명에 맞서나가리!)
あなたは知り得ない!(당신은 알 수 없어!)
あなたは知り得ない!(당신은 알 수 없어!)
神の御加護を (합: 신의 가호를 빕니다.)
勇気あるレディ・ベス! (합: 용기있는 레이디 베스!)
~1막 마지막 베스의 넘버곡 "내 안에 간직하는 마음(秘めた想い, The feelings I hide)"~
레이디 베스는 일본 토호 뮤지컬계의 큰전환과 대극장 주역배우들의 세대교체를 명확히 알렸다는 것과 타이틀롤의 하나후사 마리와 히라노 아야에게도 큰 의미있는 작품이기도 하다. 하나후사 마리는 다카라즈카판 엘리자벳 초연(설조, 1996)이랑 삼연(주조, 1998)때만해도 엘리자벳[48]에 대한 캐릭터 해석과 창법땜에 원작자 실베스터 르베이에게 인정받지 못했으나, 레이디 베스 2014년 초연을 기점으로 인정받아 르베이의 지시하에서 2015년 신무대판 토호판 엘리자벳부터 하나후사 마리가 타이틀롤을 맡음으로써 다카라즈카 여역(娘役) 출신자 씨씨가 나오게 되었으며 하나후사 마리 역시 창법도 다카라즈카 여역 톱스타 시절보단 소폭이라도 개선되기도 한데다, 이치로 마키에 이어 르베이 작품에 활약할 일본 뮤지컬 여배우로 자리잡게 되었다.[49][50]
히라노 아야 역시 그 전엔 스즈미야 하루히같은 캐릭터만 연기하는 성우로만 인식되어왔고, 폭풍의 언덕의 캐서린과 토호 인기 뮤지컬 레 미제라블의 에포닌역을 맡았던 시절엔 "성우출신이 감히 뮤지컬계에 왔냐!!??"라는 식으로 성우시절때처럼 억지로 까임을 당했지만 레이디 베스 2014 초연을 통해 성우에서 뮤지컬 배우로서 전환하는데 성공한 계기가 레이디 베스 타이틀롤이다. 물론 2014 레이디 베스 초연땐 히라노 아야가 단순히 특정 극단출신[51]이 아닌 성우 출신이란 이유와 다카라젠느들의 전문역인 왕족역을 맡았단 이유로 "소시민이 왕족을 맡는다니 상상할 수 없다!", "다카라즈카 출신자가 아닌 소시민 전문가가 왕족 역을 맡는다는 건 (일본) 연극의 퀄리티 저하를 불러일으킨다!"란 식으로 억지주장에 가까운 까임을 받기도[52]했지만, 실베스터 르베이는 오디션때 히라노 아야가 모차르트!의 콘스단체의 넘버인 "나는 예술가의 아내(독일어: Irgendwo wird immer getanzt, 일본어: ダンスは止められない)"를 부를 때부터 높이 평가했으며[53], 실베스터 르베이가 본격적으로 일본 비(非)다카라즈카 뮤지컬 여배우에게도 관심갖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 거기다 일본내 비(非)다카라즈카 해외 뮤지컬 팬들과 엘리자베스 1세의 일대기를 알고있는 이들과 서양의 일본 뮤지컬 팬들은 청순가련하고 사랑스러운 프린세스 타입의 하나후사 마리 베스보다 당차고 결단력이 강하며 현실적인 여장부 타입의 히라노 아야 베스에 더 호평을 주는 경우가 많다. 또하나의 의미는 히라노 아야가 일본 무대계 최초로 서양 왕족(王族)캐릭터를 연기한 비(非)다카라즈카 여배우이기에 그 동안 서양 왕족역할은 다카라즈카 출신자만이 가능하다는 일본 무대계의 인식을 깨는 기점이 되었으며, 히라노 아야를 기점으로 성우 출신이 뮤지컬 배우가 되거나[54]뮤지컬 배우가 성우 활동에도 참여[55]하게 되는 다방면적인 길을 열기도 했다. 또, 실베스터 르베이는 레이디 베스 이후 토호판 모차르트! 2014년과 2018년 공연때 히라노 아야가 두번이나 콘스탄체역을 맡도록 지시했고, 2018년 토호 레베카 공연에서 이히(나, Ich)역에 배정하기도 했다.[56]
일본 전문지 뮤지컬(ミュージカル)에서는 레이디 베스를 2014년 뮤지컬 베스트텐 작품부문 1위에 선정하기도 했으며, 동시에 레이디 베스는 트라이스톤 소속 비(非)다카라즈카 뮤지컬 여배우 키노시타 하루카에게 있어 고등학생때 뮤지컬 배우로 확실히 진로를 결정짓게 된 계기를 만든 작품이기도 하다. 키노시타 하루카는 로미오와 줄리엣 2017년 공연때인 데뷔 초에 인터뷰에서 2014년 후쿠오카 하카타좌에서 공연한 레이디 베스라고 봤다고 하며 베토벤 연습기간 당시 처음 같이 공연하게 되는 하나후사 마리와 만나서 하카타좌에서 상연한 레이디 베스를 4번이나 관람했다고 밝혔다.#[57] 또한 키노시타 하루카는 동작곡가의 최신작인 베토벤의 일본 초연을 총막공까지 모두 마친 후 2014년 하카타좌에서 레이디 베스를 관람했던 인증사진을 보여줌과 동시에 본작의 악역인 스티븐 드 주교를 연기하고있던 이시카와 젠이 레이디 베스를 중심으로 진행한 뮤지컬 강좌에 갔던것도 인스타그램 스토리에 언급한 바가 있다.##
히라노 아야 역시 그 전엔 스즈미야 하루히같은 캐릭터만 연기하는 성우로만 인식되어왔고, 폭풍의 언덕의 캐서린과 토호 인기 뮤지컬 레 미제라블의 에포닌역을 맡았던 시절엔 "성우출신이 감히 뮤지컬계에 왔냐!!??"라는 식으로 성우시절때처럼 억지로 까임을 당했지만 레이디 베스 2014 초연을 통해 성우에서 뮤지컬 배우로서 전환하는데 성공한 계기가 레이디 베스 타이틀롤이다. 물론 2014 레이디 베스 초연땐 히라노 아야가 단순히 특정 극단출신[51]이 아닌 성우 출신이란 이유와 다카라젠느들의 전문역인 왕족역을 맡았단 이유로 "소시민이 왕족을 맡는다니 상상할 수 없다!", "다카라즈카 출신자가 아닌 소시민 전문가가 왕족 역을 맡는다는 건 (일본) 연극의 퀄리티 저하를 불러일으킨다!"란 식으로 억지주장에 가까운 까임을 받기도[52]했지만, 실베스터 르베이는 오디션때 히라노 아야가 모차르트!의 콘스단체의 넘버인 "나는 예술가의 아내(독일어: Irgendwo wird immer getanzt, 일본어: ダンスは止められない)"를 부를 때부터 높이 평가했으며[53], 실베스터 르베이가 본격적으로 일본 비(非)다카라즈카 뮤지컬 여배우에게도 관심갖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 거기다 일본내 비(非)다카라즈카 해외 뮤지컬 팬들과 엘리자베스 1세의 일대기를 알고있는 이들과 서양의 일본 뮤지컬 팬들은 청순가련하고 사랑스러운 프린세스 타입의 하나후사 마리 베스보다 당차고 결단력이 강하며 현실적인 여장부 타입의 히라노 아야 베스에 더 호평을 주는 경우가 많다. 또하나의 의미는 히라노 아야가 일본 무대계 최초로 서양 왕족(王族)캐릭터를 연기한 비(非)다카라즈카 여배우이기에 그 동안 서양 왕족역할은 다카라즈카 출신자만이 가능하다는 일본 무대계의 인식을 깨는 기점이 되었으며, 히라노 아야를 기점으로 성우 출신이 뮤지컬 배우가 되거나[54]뮤지컬 배우가 성우 활동에도 참여[55]하게 되는 다방면적인 길을 열기도 했다. 또, 실베스터 르베이는 레이디 베스 이후 토호판 모차르트! 2014년과 2018년 공연때 히라노 아야가 두번이나 콘스탄체역을 맡도록 지시했고, 2018년 토호 레베카 공연에서 이히(나, Ich)역에 배정하기도 했다.[56]
일본 전문지 뮤지컬(ミュージカル)에서는 레이디 베스를 2014년 뮤지컬 베스트텐 작품부문 1위에 선정하기도 했으며, 동시에 레이디 베스는 트라이스톤 소속 비(非)다카라즈카 뮤지컬 여배우 키노시타 하루카에게 있어 고등학생때 뮤지컬 배우로 확실히 진로를 결정짓게 된 계기를 만든 작품이기도 하다. 키노시타 하루카는 로미오와 줄리엣 2017년 공연때인 데뷔 초에 인터뷰에서 2014년 후쿠오카 하카타좌에서 공연한 레이디 베스라고 봤다고 하며 베토벤 연습기간 당시 처음 같이 공연하게 되는 하나후사 마리와 만나서 하카타좌에서 상연한 레이디 베스를 4번이나 관람했다고 밝혔다.#[57] 또한 키노시타 하루카는 동작곡가의 최신작인 베토벤의 일본 초연을 총막공까지 모두 마친 후 2014년 하카타좌에서 레이디 베스를 관람했던 인증사진을 보여줌과 동시에 본작의 악역인 스티븐 드 주교를 연기하고있던 이시카와 젠이 레이디 베스를 중심으로 진행한 뮤지컬 강좌에 갔던것도 인스타그램 스토리에 언급한 바가 있다.##
[1] 참고로 이 내용은 소설판과 End Of Time 1부 초반에 언급되는데 닥터가 그녀와 결혼해놓고 튀었다고 한다. 처녀가 아니라고 언급될 정도니 화날 만도 하다. 잠깐, 쎾쓰는 타조랑 체스 두는 거랑 같다며? 한 번 해보니깐 느낌이 타조랑 체스 두는 것 같아서 질린 거겠지[2] 앤이 처형당하기도 전에 엘리자베스를 쫒아내는 광경을 보다못한 한 시녀가 "불쌍한 공주님..."이라고 한탄하자 옆에 있던 시녀장이 바로 "저 아이는 더 이상 공주가 아니야. 사생아지."라고 일축한다. 물론 이 시녀장도 엘리자베스를 일부러 조롱하려던 게 아니고 그저 왕인 헨리 8세를 거역했다간 어떻게 될까 두려워서 그가 시키는 대로 엘리자베스를 궁에서 데리고 나가려던 것뿐이었으며, 내색만 안 할 뿐 아들을 낳지 못한다는 이유로 조강지처와 적장녀를 내치고 온갖 난리를 치며 재혼한 두 번째 왕비마저 같은 이유로 누명이나 다름없이 처형시키는 헨리 8세에게 진절머리를 친다.[3] 물론 여기에 대한 묘사도 오류가 많다.[4] 이때 주인공 아인이 테레지아에게 엘리자베스를 소개해줄 때, 영국 최초의 여왕이 되는 사람'이라고 잘못 알려준다.[5] 안나 볼레나, 마리아 스투아르다를 통틀어서 여왕 3부작이라 불리며, 그 중에서 마지막 시리즈 이다.[6] 엘리자베타는 엘리자베스 1세의 이탈리아어 발음이다. 메리 스튜어트가 마리아 스투아르다라고 불리는 것과 같은 케이스.[7] 작중에서 엘리자베스 1세가 에식스 백작에게 "경이 여왕으로써의 나를 배신하는 것은 상관없지만, 여자로써의 나를 배신하는 것은 용서치 않으리라."라고 하는 대목이 있다.[8] 오페라에선 에식스 백작이 노팅엄 공작의 아내 사라와 바람피는 것으로 그려지고 있지만, 이것은 당연히 픽션이다. 그러므로 둘은 서로 남남이다.(...) 엘리자베스 1세와 에식스 백작이 연인 관계였다는 것은 사실이지만...[9] 실제로 엘리자베스 1세는 에식스 백작을 처형한 이후로 건강이 나빠졌다고 한다.[10] 작중에서 엘리자베스가 먼저 메리에게 모욕을 던지고, 이에 참지 못한 메리 여왕이 엘리자베스 1세한테 "천박한 앤 불린의 딸(Figlia impura di bolena)"라고 언급할 때부터 본격적인 신경전 이중창이 펼쳐진다.[11] 이 영화는 작품상 및 여우주연상 수상한 것이 상당히 논란이 많은 영화였지만 여우조연상 수상도 좀 무리수가 아닌가라는 논란도 있었는데 연기력은 흠 잡을 곳이 없지만 문제는 비중이 단역 수준으로 적다는 것이다.[12] 작중 극이 끝나고 관객들이 다 환호하고 있는데 공연물 감독 관리들이 극장에 난입해 배우들과 작가 셰익스피어에게 "국왕 폐하의 이름으로 너희를 체포한다!"라고 하니까 관객석에서 박차고 일어나면서 "짐의 이름을 함부로 도용하지 마시오!"(더빙에서는 "그 이름 닳겠소이다!")라며 일갈한다. 참고로 왜 관객석에서 튀어나왔나면, 일반인 코스프레하고 수행원들이랑 같이 연극 보고 있었다.[13] 당시 수상자는 셰익스피어 인 러브의 귀네스 팰트로이며, 상당한 논란을 불러일으켰다.[14] 한국과 일본에서는 2019년 초에 개봉했다.[15] 재미있게도 영화 더 퀸에서는 엘리자베스라는 이름을 가진 먼 훗날의 다른 여왕을 열연하여 아카데미 여우주연상을 수상했다.[16] 추밀원 회의에서 맘에 드는 프랑스 귀족과 혼사를 추진하려던 여왕이 신하들과 논쟁하다 자신들의 입지와 영국의 미래를 위해서 열렬히 반대하니 탁상에 엎드려 오열하기도 한다.[17] 케이트 블란쳇의 또다른 배역인 헬라 뺨치는 포스가 느껴지기도 한다.[18] 일본 다카라즈카판 엘리자벳 초연(1996, 설조)때의 엘리자벳이며 98주조 공연에서도 같은 역을 맡은 전 다카 설조ㆍ주조 여역 톱스타로 다카 여톱 중 유일하게 여톱으로서 재임기간이 길었으며 무대계에 적극 지원비를 댔던 행적을 포함하여 다카라즈카의 여제(女帝)라 불리기도 했다. 또한 황족 분가인 다이고(醍醐)가문 출신으로 본명은 다이고 마리코(醍醐まりこ). 이 재력때문에 일본내에서는 다카라즈카에 입단한 시절부터 토호 뮤지컬계같은 외부에서도 엄청난 지원을 받고있고, 티켓파워도 엄청 난것으로도 유명한 일본 뮤지컬계의 '여제(女帝)' 혹은 '오고쇼(大御所)' 위치급의 여역 톱스타 젠느 출신자이다. 거기 더해서 1996년 다카라즈카 설조 공연과 1998년 다카라즈카 주조 공연에 이어 2015년 신(新)무대판 토호 엘리자벳에서도 같은 역할을 맡을 정도로 일본의 엘리자벳 대표 배우로 불린다. 그러나, 서양의 뮤지컬팬 입장에서는 하나후사 마리가 다카라즈카 시절부터 토호 뮤지컬에서도 재력을 이유로 지나치게 지원받고 있다는 것과 오디션 없이 특정 배역에 캐스트 될 수 있다는 위치라는 것에 대한 논란 및 모든 배역에 과도한 비극성과 가련함만을 강조한 연기에 대해 부정적 시각이 있으며, 이런 이유로 인해 레이디 베스는 히라노 아야, 마리 앙투아네트는 사사모토 레나, 엘리자벳은 마나키 레이카를 더 높게 쳐주는 경우가 많다.[19] 스즈미야 하루히의 하루히 성우이기도 하는 그 히라노 아야 맞다. 히라노 아야가 뮤지컬 배우로 데뷔한 것은 2011년 7월 아카사카 ACT 시어터 극장에서 상연한 폭풍의 언덕의 히로인 캐서린역부터이고, 2013년 레 미제라블 에포닌역으로 일본 대형 뮤지컬 극장인 제극무대에 데뷔했다.[20] 2023년 9월 30일부터 발생한 다카라즈카 내부에서의 불미스러운 일에 대한 은폐를 시도 할 회의를 진행하려했다는 것과 다카라즈카 감독 및 일본 뮤지컬계 연출자로서도 갑질건이 보도 되고있어 논란 점화중인 상태의 일본 무대계 유명 감독이기도하다. 한국 EMK판 모차르트! 2016년 공연때 연출감독이 이 사람.[21] 2000년에 초연한 토호판 엘리자벳과 2006년에 초연이 된 마리 앙투아네트 역시 도쿄 제국극장에서 초연했다.[22] 하나후사 마리가 베스로 나오는 Flower Version과 히라노 아야가 베스를 연기하는 Sun Version으로 발매했으며 양쪽 모두 토호몰에서 2014년 초연 하일라이트 음반과 함께 구입이 가능하다.#[23] 스위스 잔트 갈렌 극장에서 2022년 2월부터 4월까지 상연했다. 현재로서 레이디 베스 첫 해외 라이센스 중 유일한 버전이며 이 때의 실황 음반이 출시되었다.[24] 본 뮤지컬에서는 메리 튜더로 불리며, 극단 시키(四季)출신 요시자와 리에와 다카라즈카 설조 남역 출신 미라이 유키(애칭:하마코)가 W캐스트 되어 각기 다른 메리 1세를 연기했다. 2017년 재연때도 동일하게 출연.[25] 실존인물로 당시 당연했던 잉글랜드 교육계의 체벌을 부정했으며, 여성 교육에 대한 이해 등, 엘리자베스 1세의 정신적 성장에 빼놓을 수 없는 존재였다.[26] 실존인물이며 엘리자베스 1세의 양육자이자 첫 번째로 친한 인물이기도 했다. 본 뮤지컬에서는 히무라 켄신의 성우로 유명한 전 다카라즈카 월조 톱스타 남역출신인 스즈카제 마요가 맡았다.[27] 윌리엄 셰익스피어를 모티브로 창작 된 가공인물. 배우는 전 모닝구 무스메 출신 아베 나츠미의 남편으로 유명한 야마자키 이쿠사부로와 테니뮤 출신 카토 카즈키가 W캐스트로 출연했으며 2017년 재연때도 재출연했다. 여기서 야마자키 이쿠사부로는 2010년 토호판 모차르트!에서 르베이 뮤지컬과 인연을 쌓았고, 2015년 신무대 버전으로 올려진 토호판 엘리자벳에서 2019년까지 황후 암살자이자 무정부주의자 루이지 루케니를 연기하다가 2022년 10월에 엘리자벳을 뒤쫓는 토트(죽음)역을 맡아 전 세계 유래에도 없는 루케니에서 토트역으로 전환 된 기록을 세웠으며 이노우에 요시오와 함께 실베스터 르베이가 인정하는 일본 뮤지컬 배우 중 한명이다.[28] 이 뒤에 연출이 참 애처로운데 카탈리나가 버림받자마자, 딸 메리와 생이별까지 겪는 것도 나온다. 비록 묵역을 담당하는 앙상블과 아역이지만, 실제역사 이야기까지 생각하면 처절하다.[29] 이복언니인 메리와 마찬가지로 딸이란 이유로 부친에게 홀대받았지만, 헨리 8세가 엘리자베스의 교육에 무관심한 것은 아니었다. 엘리자베스 1세는 6살 때부터 로저 애스컴을 비롯한 당대 최고 학자들에게 교육받았다. 외국어는 물론, 철학과 마키아벨리의 군주론도 공부하며 내공을 쌓았는데, 이역시 헨리8세가 지원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뮤지컬에서 베스가 헨리 8세에게 프로테스탄트 성서를 받은 것도 이를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30] 뮤지컬에선 안 나오지만, 메리 1세의 즉위 전까진 많은 일들이 있었다. 헨리 8세의 유일한 아들이자 메리 1세와 베스의 이복남동생 에드워드 6세의 즉위와 요절, 제인 그레이의 처형 등.[31] 실존인물 이다. 배우는 초연과 재연 모두 토호판 엘리자벳 구판무대 시절때 프란츠, 토호판 마리 앙투아네트 초연때 루이 16세, 다윈 영의 악의 기원 토호 라이센스판에서 러너 영을 연기했던 이시카와 젠(石川禅). 실제로 스티븐 가드너 주교는 메리 1세의 측근이었으며 잉글랜드의 가톨릭화를 추진했고, 공공연히 "엘리자베스를 죽여야 된다"고 선동했던 인물이다.[32] "ひどいわ!"라고 소리치는데 "ひどい(히도이)"는 "너무하다"라는 뜻으로 대부분 번역되지만 "지독하다"와 "잔인하다"라는 뜻도 있으며, 작중 상황에서는 "무례하다"라고 외친것에 가깝다. 따라서 의역이더라도 "무례하다"라고 번역해도 적절한 편.[33] 실제 엘리자베스 1세가 뒤끝없는 면모를 보였다는 것을 잘 반영한 부분이며 특히 서양 쪽에서는 히라노 아야가 이를 설득있게 살렸다고 호평했던 장면 중 하나이다.[34] 이때, 로빈이 베스가 그냥 부잣집 아가씨가 아니란 것과 그 헨리 8세의 딸 '레이디 엘리자베스'라는 것을 알게 됨으로써 자신이 굉장히 어마어마하게 높은 신분의 사람에게 온갖 생쇼했다는 느낌으로 친구 3인방과 물러가는데, 특히 카토 카즈키가 연기한 로빈은 놀랄뿐만 아니라 순식간에 멍해진 느낌의 표정을 보여주는 게 압권이다. 이는 2017년 재연 원반에서 확인할 수 있다.[35] 실제로 스티븐 가드너 주교는 만년에 심장이 약했다고 한다. 2막에서 스티븐 가드너가 어떤 최후를 맞이하는지를 생각하면 일종의 복선.[36] 실제 역사의 메리 1세가 계모인 앤 불린을 매우 증오했지만, 이복 여동생 베스에 대해선 애증의 대상으로 여겼음을 잘 반영한 장면이다.[37] 가정교사 로저 애스컴과 보육자 캣 애슐리를 가리킨다.[38] 가공인물이자 음유시인 로빈을 말한다.[39] 사실은 애증에 가깝지만, 여기서 비다카라즈카 여배우 요시지와 리에가 연기한 메리와 다카라즈카 설조 남역출신 미라이 유키가 연기한 메리를 보면 베스를 대한 태도가 다르다. 요시자와 리에는 고증과 거의 가까운 모습과 분위기로 등장하며 이복여동생 베스에 대한 태도를 애증으로 표현한 반면, 미라이 유키가 연기한 메리는 첫 등장부터 블러디 메리의 인상을 풍기면서 베스를 대놓고 혐오하는 쪽에 가깝게 묘사하고 있다. 고증을 생각하면 전자인 요시자와 리에가 표현한 메리 1세쪽이 더 적절한 쪽이다.[40] 여왕의 자리와 그에 대한 의무와 군주로서 국가의 대한 책임.[41] 사랑하는 사람과 어디론가 떠나면서 평범한 여인처럼 자유롭게 살아가는 것.[42] 사진은 프롤로그에서 로저 애스컴의 설명 중 앤 불린이 죄목을 받고 사형되었다는 것을 연출하는 장면이다.[43] 사진 가운데에 베스는 히라노 아야다.[44] 프롤로그에서도 엘리자베스의 가정 교사 로저 애스컴의 설명에서 앤 불린이 누명을 받아가며 결혼 무효화 및 사형되었다는 언급이 나온다. 심지어 연출로도 보여준다. 본 뮤지컬에서 앤 불린을 맡은 배우는 다카라즈카 주조 여역 출신 카즈네 미오(和音美桜), 베스의 가정교사 로져 애스컴은 2014년 초연 기준으로 극단 시키 출신 이시마루 칸지(石丸幹二)와 야마구치 유이치로(山口祐一郎) 여기서 야마구치 유이치로는 대한민국에서 부장토트로 알려진 그 사람 맞다. 그리고, 이시마루 칸지도 2010년과 2012 토호판 엘리자벳의 토트를 맡아서 토트(죽음)였던 두 배우가 엘리자베스의 가정교사가 되는 어마무시한 필모를 기록하게 되었다.[45] 작중 이복언니가 보여준 앤 불린의 초상화를 보며 울분을 터트려가면서 "어째서...왜!!! 왜 당신같은 여자가 나의 '어머니'인거야!!?? 당신 때문에 내가 왜 이런 대우를 받아야해!!? 난 왕의 딸인데...!!!!!!! 이 요부! 마녀!!!!!"라거나 앤 불린의 영혼을 보고 "지옥으로 떨어져!!"라고 저주하기까지한다.[46] 하나후사 마리가 연기한 베스의 캐릭터상이 가련한 아가씨 타입같아서 오인받기 쉽지만, 실제 르베이가 지향하는 쪽은 히라노 아야가 표현한 베스처럼 당차고 강단있는 여성상이다. 이는 2022년 스위스판에서 타이틀롤을 연기한 안나 랭너(Anna Langner)가 연기했던 실황음반을 들어봐도 확인 할 수 있다.## 베스뿐만이 아니라 엘리자벳과 모차르트!의 콘스탄체, 마리 앙투아네트의 마리와 마그리드도 해당되며 애초에 르베이는 엘리자벳부터 자신이 제작한 모든 뮤지컬의 여성캐릭터를 "절대로 프린세스처럼 표현하지 말고, 단 하나의 인간처럼 표현해달라"고 신신당부를 꼭 할 정도이다.[47] 이 가사에서는 이복언니인 메리 1세를 말한다.[48] 여담이지만, 엘리자베스 1세와 뮤지컬 엘리자벳의 주인공인 엘리자베트 폰 비텔스바흐 황후 둘다 영어권 표기가 "엘리자베스(Elizabeth)"이며 이탈리아어로 "엘리자베타(Elisabetta)"이고, 히브리어로 "엘리셰바(אלישבע)"이며 독일어 표기로는 "엘리자베트(Elisabeth)"이다. 엘리자베스 항목의 인명부분을 참고. 이로인해 하나후사 마리는 "엘리자베스"라는 이름의 인물을 두명이나 연기했다는 평이 있으며, 모두 왕족에다 유명인물이라는 공통점도 있다.[49] 동시에 르베이 역시 하나후사 마리가 표현한 "사랑스러운 공주 베스"와 일본판 엘리자벳 기준으로 만든 "우아함과 비련의 황후 씨씨" 캐릭터상도 인정하게 되었다. 2015년 신연출ㆍ무대판 토호판 엘리자벳부터 다카라즈카 여역 출신자가 씨씨가 될 수 있었던 이유는 르베이가 일본까지 방문하며 직접 토호판 엘리자벳을 관극하면서 토호판 엘리자벳 초연때 이치로 마키를 제외한 다카라즈카 남역(男役) 출신자의 씨씨를 보고 크게 만족한 쪽이 아니었기 때문이었다.[50] 물론, 2015년과 2016년때 토호판 엘리자벳 신무대판 공연을 보러갔을때도 하나후사 마리가 연기한 씨씨에 대해선 나름 흡족했던것과는 달리 더블캐스트인 란노 하나에 대해선 당시 토트(죽음)를 연기하던 시로타 유와 함께 굉장히 심기불편한 얼굴을 보였다는 목격담이 있는데, 이는 란노 하나가 엘리자벳을 맡을때 실력이 굉장히 죽을 쑤었기 때문이다. 오죽하면 당시 란노 하나의 씨씨를 보고 트라우마라는 혹평이 상당수 나올정도. 이것때문에 르베이가 2018년 마나키 레이카의 퇴단공연을 이후로 당분간 다카라즈카판 엘리자벳의 상연허가도 주지 않고있다. 거기다 다카라즈카를 제외한 일본 뮤지컬 팬들에게 "초연때부터 이어져 온 다카라즈카 묶음(宝塚縛り)캐스트 그만둬라!!"라는 비판도 만만찮게 나오기도 했으며, 란노같은 경우 다카라즈카 젠느시절부터 안무 외엔 특별한 실력이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특혜 받듯이 다카라즈카 화조 여톱이 된 것을 포함하여, 토호 뮤지컬 및 제국극장 무대에 스카웃 된 것에도 지적이 엄청 많았다. 자세한 내용은 토호판 엘리자벳의 타이틀롤 캐스트 선정 논란 항목을 참조. 결국 란노 하나는 2016년 토호판 엘리자벳을 끝으로 그만두고, 뮤지컬계에서 강판당했다. 동시에 토트역을 맡고있던 시로타 유도 코이케 슈이치로 감독과의 토트 캐릭터 디자인과 해석과 움직임 관련 마찰마저 일으켜 2016 토호 엘리자벳 공연에서 완전 물러났다. 다행이다. 매우 트라우마라는 평이 상당했던 페어였으니. 대신, 란노 하나는 일본 무용쪽으로 진로를 다시 잡아 안무에서는 호평받고 있으니 비로소 자신의 방향을 제대로 잡은 셈이 되었으나, 최근 다시 뮤지컬계에서 히로인역으로 자주 캐스트 되고 있어서 또 논란을 불지피는 중.[51] 다카라즈카 가극단이나 극단 사계(시키, 四季)에 입단하고 거기서부터 활약해온 배우들을 말한다. 특히, 일본 뮤지컬이나 미디어계에서는 여성배우가 다카라즈카 가극단 출신이면 대우가 남다른 것으로 유명하며 오디션을 거치지 않고 특혜되듯이 캐스트 되는 경우가 많다. 이때문에 토호 레미제라블의 팡틴이나 미스사이공의 킴이나 엘렌 역 오디션을 필수로 봐야 하는 작품에 참여한 젠느 출신자는 거의 없으며, 팡틴역에 참여한 젠느 출신자 역시 굉장히 극소수이다.[52] 특히 극도의 다카라즈카 광신도들과 뮤지컬을 연극성이나 분위기로만 보는 극보수적인 이들에게 성우시절의 필모를 빌미로 억지로 까임을 받았다. 주로 "소시민ㆍ잡초계가 기품을 요구하는 여왕 역이 되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란 비하에 가까운 평이 있다던지. 이러한 비평은 커튼콜에서의 동작을 보고도 비하하는 경우도 많았다.[53] 왜 레이디 베스의 넘버가 아닌 모차르트!의 콘스탄체가 부른 넘버를 불렀냐면 히라노 아야가 오디션을 봤을 당시 레이디 베스의 넘버곡이 미완성이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2014 토호판 모차르트의 콘스탄체로 먼저 배정되었고, 그 다음 레이디 베스의 타이틀롤로 배역이 정해지게 된 것이다. 거기다 오디션으로 보고 합격해서 레이디 베스역에 캐스트 된 것은 히라노 아야 뿐이었다. 반면, 더블캐스트인 하나후사 마리는 연출감독 코이케 슈이치로가 제극에 데려와 르베이와 쿤체에게 재소개하여 바로 캐스트 되었다. 이유인즉슨, 하나후사 마리가 다카라젠느라는 것과 일본 황족의 분가에서 태어난 다이고 가문의 딸이라 오디션을 보지 않아도 캐스트 될 수 있는 위치이기 때문이다.[54] 대표적인 예로 미야노 마모루, 박로미를 꼽을 수 있다. 이중 박로미는 2019년 토호 레미제라블 공연때 마담 테나르디에 역으로 출연했다.[55] 이노우에 요시오도 야마자키 이쿠사부로도 카토 카즈키 역시 성우일에 참여한게 2014년 이후이다.[56] 다만, 히라노 아야가 토호판 엘리자벳의 타이틀롤역은 맡을 수 없었는데 이는 비엔나의 VBW쪽에서 전 세계 엘리자벳 프로덕션에다 규정한 타이틀롤역의 키 제한 때문이다. 비엔나에서는 172~175cm로 규정되어 있으며, 일본판은 다카라즈카판과 토호판 모두 163cm에서 170cm의 여배우가 맡아야 하며, 헝가리판에서는 고증대로 172cm의 여배우만이 VBW에서 인정을 받아 씨씨를 연기할 수 있는 권한이 주어진다. 일본에서는 이 때문에 엘리자벳역은 신장묶음(身長縛り)이 심한 배역으로도 꼽을 정도. 안타깝게도 히라노 아야의 키는 157cm로 일본 여성의 평균 신장이지만, 신장제한때문에 엘리자벳 타이틀롤에 배정조차 될 수 없다는 것이 현실이다. 이 신장 제한은 비엔나 정부와 VBW에게 권한이 있으며 원작자인 르베이에겐 권한이 없다. 이유는 불명이나 엘리자벳을 포함한 자신이 제작하려는 뮤지컬 작품에 출연할 여성캐스트의 지나친 제약을 주는 것 때문에 실베스터 르베이가 더이상 비엔나에서 뮤지컬을 작곡하지 않고있으며 2006년 마리 앙투아네트 이후 일본 및 대한민국같은 아시아권에서 뮤지컬을 제작하게 됐다는 이야기가 있다. 또한, 르베이는 비엔나와 한국보다 일본에서 대중적으로 인기있는 헝가리 출신 작곡가다.[57] 키노시타 하루카 언급하길 상황의 굴하지 않고 자신의 길을 당당하게 선택한 베스에 큰 인상을 받아 자신 역시 망설임 없이 뮤지컬 배우의 길을 선택했으며, '전일본가창력선수권 가창왕'이라는 프로그램을 계기로 트라이스톤 사장과 다카라즈카 소속 무대감독 코이케 슈이치로에게 발탁되었고, 모차르트의 콘스탄체와 왕가의 문장 21년 공연때 히로인 캐롤 역으로 실베스터 르베이에게 인정받아 베토벤의 베티나역으로 캐스트 되어 토니역의 하나후사 마리와 시누이 관계로 공연하게 되었다. 덧붙여서 키노시타 하루카 자신이 좋아하는 캐릭터로 꼽은게 프랑스 뮤지컬 우메다 라이센스판의 로미오와 줄리엣의 줄리엣, 알라딘 실사판의 쟈스민, 뮤지컬 팬텀의 크리스틴, 아나스타샤, 베토벤의 베티나와 함께 좋아하는 캐릭터가 레이디 베스이다.
#!if version2 == null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엘리자베스 1세|엘리자베스 1세]]}}}{{{#!if external != "o"
[[엘리자베스 1세]]}}}}}}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엘리자베스 1세?uuid=|r]]}}}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엘리자베스 1세?uuid=#s-|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https://namu.wiki/history/엘리자베스 1세?from=|이전 역사 보러 가기]]}}}
#!if version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 left; padding: 0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엘리자베스 1세|엘리자베스 1세]]}}}{{{#!if external != "o"
[[엘리자베스 1세]]}}}}}}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엘리자베스 1세?uuid=|r]]}}}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엘리자베스 1세?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엘리자베스 1세?from=|이전 역사]])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 == null
'''uuid2 not found'''}}}{{{#!if uuid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 == null
'''uuid3 not found'''}}}{{{#!if uuid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 == null
'''uuid4 not found'''}}}{{{#!if uuid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 == null
'''uuid5 not found'''}}}{{{#!if uuid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6 == null
'''uuid6 not found'''}}}{{{#!if uuid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7 == null
'''uuid7 not found'''}}}{{{#!if uuid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8 == null
'''uuid8 not found'''}}}{{{#!if uuid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9 == null
'''uuid9 not found'''}}}{{{#!if uuid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0 == null
'''uuid10 not found'''}}}{{{#!if uuid1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1 == null
'''uuid11 not found'''}}}{{{#!if uuid1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2 == null
'''uuid12 not found'''}}}{{{#!if uuid1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3 == null
'''uuid13 not found'''}}}{{{#!if uuid1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4 == null
'''uuid14 not found'''}}}{{{#!if uuid1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5 == null
'''uuid15 not found'''}}}{{{#!if uuid1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6 == null
'''uuid16 not found'''}}}{{{#!if uuid1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7 == null
'''uuid17 not found'''}}}{{{#!if uuid1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8 == null
'''uuid18 not found'''}}}{{{#!if uuid1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9 == null
'''uuid19 not found'''}}}{{{#!if uuid1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0 == null
'''uuid20 not found'''}}}{{{#!if uuid2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1 == null
'''uuid21 not found'''}}}{{{#!if uuid2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2 == null
'''uuid22 not found'''}}}{{{#!if uuid2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3 == null
'''uuid23 not found'''}}}{{{#!if uuid2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4 == null
'''uuid24 not found'''}}}{{{#!if uuid2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5 == null
'''uuid25 not found'''}}}{{{#!if uuid2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6 == null
'''uuid26 not found'''}}}{{{#!if uuid2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7 == null
'''uuid27 not found'''}}}{{{#!if uuid2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8 == null
'''uuid28 not found'''}}}{{{#!if uuid2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9 == null
'''uuid29 not found'''}}}{{{#!if uuid2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0 == null
'''uuid30 not found'''}}}{{{#!if uuid3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1 == null
'''uuid31 not found'''}}}{{{#!if uuid3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2 == null
'''uuid32 not found'''}}}{{{#!if uuid3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3 == null
'''uuid33 not found'''}}}{{{#!if uuid3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4 == null
'''uuid34 not found'''}}}{{{#!if uuid3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5 == null
'''uuid35 not found'''}}}{{{#!if uuid3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6 == null
'''uuid36 not found'''}}}{{{#!if uuid3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7 == null
'''uuid37 not found'''}}}{{{#!if uuid3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8 == null
'''uuid38 not found'''}}}{{{#!if uuid3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9 == null
'''uuid39 not found'''}}}{{{#!if uuid3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0 == null
'''uuid40 not found'''}}}{{{#!if uuid4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1 == null
'''uuid41 not found'''}}}{{{#!if uuid4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2 == null
'''uuid42 not found'''}}}{{{#!if uuid4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3 == null
'''uuid43 not found'''}}}{{{#!if uuid4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4 == null
'''uuid44 not found'''}}}{{{#!if uuid4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5 == null
'''uuid45 not found'''}}}{{{#!if uuid4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6 == null
'''uuid46 not found'''}}}{{{#!if uuid4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7 == null
'''uuid47 not found'''}}}{{{#!if uuid4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8 == null
'''uuid48 not found'''}}}{{{#!if uuid4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9 == null
'''uuid49 not found'''}}}{{{#!if uuid4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0 == null
'''uuid50 not found'''}}}{{{#!if uuid5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