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 관련 정보 | ||||
유닛 · 건물 · 기술 · 자원 · 캠페인 · 문명 · 도전 과제 · 치트 및 도발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캠페인 목록]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노르만 | 모스크바의 부흥 | 백년 전쟁 | 몽골 제국 |
술탄의 승천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등장 문명 목록]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잉글랜드 | 중국인 | 프랑스인 | 신성 로마 제국 |
몽골 | 루스인 | 델리 술탄국 | 아바스 왕조 | |
오스만 | 말리인 | 비잔티움인 | 일본인 | |
변형 문명 | ||||
주희의 유산 | 잔 다르크 | 용의 기사단 | 아이유브 왕조 | |
랭커스터 가문 | 성전기사단 |
랭커스터 가문 House of Lancaster 서기 1267 - 1471년 | |
랭커스터 가문은 영국 왕실의 강력한 가문으로 부상합니다. 매너는 지속 가능한 경제 관행을 제공함으로써 경제의 중추가 됩니다. 랭커스터의 군사력은 전장에서 우월한 기술력과 전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강력한 충격 부대로 적 진형을 해체한 다음 우수한 원거리 보병으로 적을 분리하세요. | |
특화 | 매너, 방어, 경제 |
난이도 | ★☆☆ |
특징 | 봉건제 |
봉건 시대에 매너를 건설하여 지속적인 수입을 얻으세요. 매너는 인구 한도를 +10 만큼 증가시키고 60 식량과 45 목재를 생산합니다. 특수 기술로 매너의 건설 한도를 늘리세요. | |
양모 산업 | |
각 마을 회관은 완공 시 4 마리의 양을 생성합니다. 주민이 양에서 수집하는 속도가 +20% 증가합니다. | |
방어용 성곽 | |
수도 마을 회관이 추가 화살을 쏘며, 주민이 적 유닛을 공격할 때 단궁을 사용합니다. | |
단합된 집[1] | |
성채 완공 시 무료로 백작의 친위대 3명을 얻습니다. 활성화 된 성채의 수마다 백작의 친위대와 경창기병의 공격력이 +1씩, 최대 +4까지 증가합니다. | |
조선공 | |
해군 훈련이 부두의 효율성을 증가시켜 선박 생산 비용이 10% 감소합니다. | |
특수 유닛 | 요먼 : 궁사를 대체합니다. 속도와 사거리가 증가한 원거리 보병입니다. 업그레이드하여 대상 지역에 강력한 일제사를 할 수 있습니다. |
호빌라 : 기마병을 대체합니다. 높은 원거리 방어력을 자랑하는 저렴한 소모성 기병입니다. | |
백작 친위대 : 무장 병사를 대체합니다. 주기적으로 망치를 던질 수 있는 중근접 보병입니다. | |
반창기병 : 특수 중기병입니다. 랜드마크를 통해서만 이용할 수 있으며, 공격력이 낮고 내구성이 뛰어난 기병 유닛입니다. | |
영향력 | 매너는 랭커스터 성의 영향을 받을 때 +500의 체력과 활 발사구 배치를 얻습니다. |
1. 개요
십자가와 장미의 기사단 공식 트레일러 |
- 십자가와 장미의 기사단 확장팩에서 추가된 잉글랜드에 기반한 변형 문명으로, 핵심 문명 특성은 지속적으로 자원을 생성하여 경제력 강화에 일조하는 장원 고유 건물이다. 기반 문명과 비슷하게 궁사와 중보병 특화이지만 맵 장악에 의존하기 보다는 건물을 건설하며 경제력을 먼저 확보하고 그제서야 나서는 사뭇 다른 운영 방향성을 보이며, 공짜 자원을 제공하는 건물을 얻은 대신 기존의 방어 특화 특성이 상당수 사라져 초중반 경제 기반을 다져낼 때까지 잘 버티는 것이 중요하다.
- 궁사와 중보병이 상위호환으로 대체되어 더 좋은 성능을 보이는 것은 잉글랜드 문명과 동일하나, 등장하는 고유 유닛의 차별점이 많이 다르며 상당히 다른 방식으로 묘사된다. 보병 전반이 특이한 특수 능력을 선보이며 전술적 우위를 확보할 수 있고, 다양한 고유 기술로 타 문명권 이상으로 크게 강화가 가능하다. 기병에 그다지 특징이 없던 잉글랜드와 달리 고유 기병 유닛들 또한 존재하며, 성채 건물에 적용되는 단합된 가문 시스템 덕분에 중보병과 기병 일부의 공격력을 강화한다. 마지막으로 잉글랜드 이상으로 강력한 해군을 완성할 수 있어 해전 상황에서 기존 문명을 뛰어넘는 성능을 보인다.
- 모티브가 된 시기는 플랜태저넷 왕조 헨리 3세의 아들이며 초대 랭커스터 백작이자 가문의 시조인 랭커스터의 에드먼드가 랭커스터 백작령을 하사 받아 가문이 시작된 1267년부터, 프랑스와의 백년전쟁 시기 동안 활약한 그로스몬트의 헨리가 랭커스터 공작에 봉해지며 랭커스터 공작령으로 승격(1351년), 그가 남성 후사를 남기지 못하여 잠시 공작위가 사라졌으나 그 뒤 딸 랭커스터의 블랜치와 결혼한 곤트의 존이 다시 랭커스터 공작으로 봉해지고(1362년), 그 후 존의 아들이 리처드 2세를 밀어내고 잉글랜드의 헨리 4세 국왕이 되어 랭커스터 왕조의 개창(1399년), 왕가로 승격된 가문의 정점 시기를 지나 요크 가문과 왕위를 두고 불화가 계속되며 결국 발발한 장미 전쟁(1455년), 그리고 랭커스터 왕조의 헨리 6세가 요크 왕조의 에드워드 4세에게 패배하고 런던 탑에 감금되어 사망한 날짜(1471년)까지다. 장미 전쟁과 리처드 3세의 왕위 찬탈 이후 랭커스터 가문의 방계에 속한 헨리 7세가 즉위하며 튜더 왕조가 시작되었고, 비록 장미 전쟁에서 승리하지는 못했지만 나름 최후의 승자가 되었다. 요크 가문 또한 헨리 7세가 요크의 엘리자베스와 결혼하여 튜더 왕조에 통합되었다.
2. 문명 특성
봉건 시대부터
인구수를 제공하고 분당
자원 수입을 생성하는
장원 고유 건물 건설 가능[원문2]
- 봉건 시대부터 최대 3채까지 건설 가능하며, 고유 기술 연구를 통해 파일:AOE4_Build_Limit.png건설 최대치를 9채까지 늘릴 수 있다.
- 제국 시대 '병역 면제세' 고유 기술 연구 시 금 자원 수입까지 생성 가능하다.
- 게임 시작 시
양 가축 유닛을 4기 더 보유, 마을 회관 건물 건설 시
양 가축 유닛 4기를 생성[원문3]
- 이미 건설되어 있거나 처음 건설하는 수도 마을 회관도 포함되어 게임 시작 시 양을 더 많이 가지고 시작한다.
- 성채 및 성채 역할의 건물 건설 시
백작 친위대 고유 유닛 3기를 생성[원문4]
- 랜드마크 취급 받는
수도 마을 회관 건물의
기본 공격 화살 숫자 +1
- 잉글랜드와 동일한 특성으로, 타 문명에 비해 건물의 기본 DPS가 2배로 높아지는 방어적인 이점이다. 추가로 건설하는 마을 회관 건물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 주민 유닛이 일반 유닛 상대로
원거리 공격 가능[원문6]
- 잉글랜드 문명과 동일하게 주민 유닛이 적군을 상대로 일반 궁사와 동일한 사거리의 원거리 공격이 가능하며, 동물 상대로는 여전히 기존 사냥용 활 공격을 사용한다. 자세한 사항은 해당 유닛 항목 참조.
- 정찰병 유닛이 '캠프 설치' 특수 능력으로
25 자원을 소모하여 자체적인
시야 범위와 주위 아군 유닛의
시야 범위를 늘리는 효과를 제공하는
모닥불 특수 구조물 설치 가능
- 게임 내 따로 서술이 되어있지 않지만 잉글랜드 문명과 동일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자세한 정보는 잉글랜드 문서의 해당 항목 참조.
- 모든 선박 유닛
생산 비용 -10%[원문7]
- 잉글랜드 문명과 동일한 특성 효과다.
- 수송선 유닛의
인구수 -1 및
이동 속도 1.625 타일/초(+8.33%)
- 버그인지 의도치 않은 실수인지 아직 확인이 안됐으나, 잉글랜드와 동일하게 타 문명보다 인구수를 덜 먹고 속도가 약간 더 빠르다. 게임 내에서는 아직 서술 안되어있는 걸 확인.
2.1. 시작 조건
- 시작 자원 :
200
200
100
- 시작 유닛 및 건물 : 랜드마크 마을 회관, 정찰병 1기, 주민 6기, 양 9기
- 문명 특성으로 양을 더 많이 보유한 상태로 시작한다.
- 시작 자원 :
100
200
150
- 시작 유닛 : 정찰병 2기, 주민 20기, 양 10기, 주민 4기 생산 예약
- 주민 유닛이 각각 양 9기, 목재 5기, 금광 4기, 석재 2기 작업 중인 상태로 시작한다.
- 시작 건물 : 랜드마크 마을 회관, 집 2채, 제재목 캠프, 채광 캠프, 장원
- 다른 문명권에 비해 주민을 3기 적게 받지만 그만큼의 경제력을 제공하는 장원 1채가 이미 건설된 상태로 시작하므로 불리하진 않다. 문명 특성으로 양을 더 많이 받으며, 잉글랜드와 달리 농장과 제분소는 없다.
- 시작 자원 :
200
200
100
- 시작 유닛 : 주민 5기
2.2.
영향력
영향력을 제공하는 건물 : 랭커스터 성 랜드마크
영향력을 적용받는 건물 : 장원
영향력 효과 : 해당 장원 건물의
내구도 +500 및
화살 공격 1발 추가
랭커스터 가문 경제력의 중추 역할이며 인구수가 필요 없는 자원 수입을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장원 고유 건물을 강화하는 핵심 효과다. 효과 자체는 유용하지만 장원의 자원 수입에는 아무런 영향이 없으며, 단순히 견제에 노출되기 쉬운 장원을 방어하는 것을 도와준다. 다만 랜드마크 하나에 묶여있는 효과이므로, 봉건 시대에 '랭커스터 성' 랜드마크를 선택하지 않았다면 장원 건물이 훨씬 더 견제에 노출된다는 점을 고려하고 건설해야 하며, 장원 근처에 적절하게 방어 건물을 추가로 배치하는 것이 권장된다. 더 자세한 정보는 각각 해당 랜드마크와 고유 건물 항목 참조.
2.3. 단합된 가문 시스템
- 모든 랭커스터 가문 성채 및 '하얀 탑' 랜드마크, '버크셔 궁' 랜드마크 건물의 보유 효과
기존 잉글랜드의 '성 연락망' 효과와 성채 생산 시스템을 대체하는 랭커스터 가문의 성채 특화 특성이다. 잉글랜드에 비하면 직접적인 교전이나 군사 생산에 도움이 되는 부분이 크게 없어 상대적으로 초라해 보이지만, 성채 건물을 완공할 때마다 중보병 유닛을 3기 무료 양성하므로 해당 유닛의 생산 비용인 (
- 모든 랭커스터 가문 백작 친위대 및 반창기병 유닛의 보유 능력
단합된 집(A House Unified) : "활성 중인 성채의 수에 따라 공격력이 +1씩 증가합니다. (최대 4)" → "활성 중인 성채의 수에 따라 공격력이 +1씩 증가합니다. (최대 6)"
- 건설된 성채 및 성채 역할의 건물 숫자에 따라 백작 친위대 유닛의
근거리 공격력 및 단검 투척
원거리 공격력 증가함.
- 건설된 성채 및 성채 역할의 건물 숫자에 따라 반창기병 유닛의
근거리 및 돌격 공격력 증가함.
- 제국 시대 '버크셔 궁' 랜드마크가 존재할 시 해당 공격력 증가 폭이 최대 6으로 늘어남.
상단 건물 효과와 연동되어, 지도 상에 존재하는 랭커스터 가문의 성채 및 성채 역할인 랜드마크 건물 숫자에 따라 각각 모든 백작 친위대 및 반창기병 유닛의 공격력이 건물 1채마다 1씩 늘어나는 광역 보너스를 적용한다. '성 연락망'처럼 성채 건물이 단순히 방어 건물 역할 이상으로 군사력에 기여한다는 점은 잉글랜드와 동일하지만, 엄청나게 비싼 성채 1채를 지어야 대장간의 공격력 강화를 딱 한번 더 하는 정도의 효과이므로 들어가는 자원에 비해 크게 좋은 효과라고 보기는 힘들다. 게다가 반창기병은 오직 랜드마크에서만 제한적으로 생산이 가능한 유닛이라 이 능력을 제대로 활용하기도 힘들며, '버크셔 궁' 랜드마크가 공격력 보너스 최대치를 올리는 효과도 반창기병을 생산하는 '윈가드 궁' 랜드마크를 포기해야 가능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반창기병은 6까지 공격력을 늘리는 상황 자체가 일어날 일이 없다.
그나마 백작 친위대의 경우는 해당 능력을 활용하기 쉽다. 보병 양성소에서 생산이 가능한 일반 고유 유닛이고 성채를 지을 때마다 무료로 3기씩 받으므로 자주 보게 될 유닛이며, 친위대의 일반 근접 공격 뿐만 아니라 단검 투척 공격력도 올라가기 때문에 성채가 2채 정도만 있어도 단검 투척 공격이 상당히 막강해진다. 랭커스터 가문은 성채 역할의 랜드마크가 두 가지나 있으므로, '하얀 탑' 및 '버크셔 궁' 랜드마크를 전부 선택했다면 석재를 하나도 소모하지 않고 모든 친위대의 공격력이 2씩 기본적으로 늘어나는 강점을 확보할 수 있다.
3. 설명
작성 예정.4. 테크트리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기술#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기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rowcolor=white> | 마을 회관 | 제분소 | 제재목 캠프 | 채광 캠프 | 감시 초소 | 랭커스터 성 | 장원 | 시장 | 대장간 | 킹스 칼리지 | 성채 | 수도원 | 대학 | |||||||||||||||||||||
암흑 | | | | | | |||||||||||||||||||||||||||||
→ | ||||||||||||||||||||||||||||||||||
봉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성주 | | | | | | | | | | | | | | | 파일:AOE4_Military_Tactics_Training.jpg | | | | | |||||||||||||||
↓ | ↓ | ↓ | ↓ | ↓ | ↓ | ↓ | ||||||||||||||||||||||||||||
제국 | | | | | | | | | | | | | | | | | | | | | | | ||||||||||||
경제 유닛 비경제 유닛 기술 |
<rowcolor=white> | 보병 양성소 | 궁사 양성소 | 기병 양성소 | 부두 | 공성 무기 제조소 | 윈가드 궁 | ||||||||||||||||||||
암흑 | | | | |||||||||||||||||||||||
↓ | ||||||||||||||||||||||||||
봉건 | | | | | | | | | | | | | ||||||||||||||
↓ | ↓ | ↓ | ↓ | |||||||||||||||||||||||
성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제국 | | 파일:AOE4_Earl's_Guard4.jpg | | | | | | | | | | | | | | | | | | | | | | |||
경제 유닛 군사 유닛 기술 |
4.1. 유닛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유닛#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유닛#|]]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마을 회관
주민 : 자원을 수집하고 건물을 건설 및 수리하는 기본 경제 유닛. 선박이나 공성 무기도 수리할 수 있다. 랭커스터 가문의 주민은 잉글랜드와 동일하게 원거리 공격을 추가로 사용한다. 주민 2기 정도면 궁사 1기 정도의 화력이 나와서 수비적으로 초반 러시를 버티는데 도움이 된다.
정찰병 : 표준 게임 모드에서 시작부터 1기 제공되는 정찰 기병 유닛.
양을 몰고 다닐 수 있으며 시야 범위가 넓고 은폐나 변장 상태인 적군 유닛을 탐지한다. 랭커스터 가문은 잉글랜드와 동일하게 시야 범위를 지원하는 '캠프 설치' 능력이 추가된다.
- 시장
상인 : 아군 시장 건물과 지도 상에 존재하는
중립 교역소 또는 동맹 플레이어의 시장을 오가며
금 자원을 벌어오는 교역 유닛.
- 보병 양성소
창병 →
단련된 창병 →
베테랑 창병 →
정예 창병 : 근거리 기병 상대로 강력한 기본 근접 경장갑 보병. 랭커스터 가문은 봉건 시대 '빌병' 고유 연구로 공격 당한 적군 유닛의 방어력을 낮추는 특수 능력을 추가하며, 제국 시대 '갬비슨' 고유 기술 연구로 근거리 방어력을 추가할 수 있다.
백작 친위대 →
정예 백작 친위대 : 해당 항목 참조.
- 궁사 양성소
요먼 -
베테랑 요먼 →
정예 요먼 : 해당 항목 참조.
석궁병 →
정예 석궁병 : 이동 속도가 살짝 느리지만 중장갑에 대해 높은 추가 피해를 주는 원거리 경보병.
초기 총통병 →
총통병 : 총기로 무장한 제국 시대 화약 원거리 경보병. 가격이 중기병급으로 비싸지만 압도적인 화력으로 최강 원거리 유닛 자리를 차지한다. 랭커스터 가문은 '부르고뉴 수입' 고유 기술을 연구 시 성주 시대부터 총통병을 생산할 수 있다. 초기 총통병은 제국 시대로 발전할 시 자동 승급한다.
- 기병 양성소
정찰병 : 마을 회관에서 생산하는 정찰병과 동일하다.
호벨라 →
베테랑 호벨라 →
정예 호벨라 : 해당 항목 참조.
기사 →
정예 기사 : 가격이 매우 비싸지만 그만큼 기반 수치가 높은 중기병. 높은 체력 및 방어력과 좋은 기동성을 겸비하며 공격력 또한 매우 높다. 랭커스터 가문은 성주 시대 '에세스의 목걸이' 고유 연구로 중장갑을 상대로 적용하는 추가 공격력을 얻을 수 있다.
- 공성 무기 제조소
공성추 : 야전 제작으로 만드는 공성추와 동일하나, 별도의 연구 필요 없이 공성 무기 제조소에서 바로 생산할 수 있다. 야전 제작과 달리 일정한 생산 시간대로 만들어진다.
스프링갈드 : 직선 관통 사격으로 먼 거리에서 다수의 근접 병력을 한번에 공격할 수 있는 대보병 특화 공성 무기. 건물 상대로 유효한 피해를 줄 수 없지만 근거리 유닛 상대로 추가 피해를 준다.
망고넬 투석기 : 광역 방사피해 공격으로 뭉쳐 있는 보병을 잡는데 특화된 원거리 공성 무기. 보조 공성 역할을 수행하며 건물 및 원거리 유닛 상대로 추가 피해를 준다.
평형추 트레뷰셋 투석기 : 가장 긴 사거리로 적 건물을 공격하는 장거리 공성 무기. 랭커스터 가문은 제국 시대 '워울프 트레뷰셋 투석기' 고유 연구로 최대 공격 사거리와 체력을 늘릴 수 있다.
컬버린포 : 건물 상대로 높은 추가 피해를 가하는 사석포의 강화판으로, 최대 공격 사거리가 더욱 길고 공격 속도가 빠르며 기동성이 더 좋은 화약 공성 무기.
- 부두
어선 : 파일:AOE4_Fish_Minimap.png생선 식량 자원을 수집할 수 있고 아군 선박 유닛을 수리하는 해상 경제 유닛. 시야 범위가 넓고 은폐나 변장 상태인 적군 유닛을 탐지하는 정찰 역할을 겸한다.
수송선 :
유닛 수용량 16기. 지상 유닛을 수송하는 역할의 선박.
교역선 :
해안 중립 교역소 또는 동맹 플레이어의 부두와 교역을 하는 해상 교역 유닛. 바다를 통해 교역하는 점을 제외하면 시장의 상인과 동일한 기능을 가지며 기본적으로
금 자원 뿐만 아니라
목재 자원을 교역 수입으로 받는다.
갤리선 : 유럽 문명권의 궁병선. 한번에 다수의 화살을 발사하며 속도가 빠르고 시야가 넓은 해상 무금 유닛. 소이선을 잘 잡는다.
헐크선 : 유럽 문명권의 공격선. 표준적이면서도 튼튼한 주력 전함. 궁병선을 잘 잡는다.
파괴선 : 유럽 문명권의 소이선. 싼 가격에 빨리 나오는 자폭 무기. 굉장히 빠른 속도로 적 함선에 돌진한다. 공격선과 전투선을 잘 잡는다.
카락선 : 유럽 문명권의 전투선. 느린 속도, 높은 사거리와 체력의 해상 최강 유닛. 소이선에게 매우 취약하다. 랭커스터 가문은 제국 시대 '왕립 함대' 고유 연구로 최대 공격 사거리와 체력 및 피해량을 늘릴 수 있다.
- 수도원
수도사 : 기독교 종교 유닛. 부상당한 아군을 치료하거나
유물을 들어서 광역 전향을 시전할 수 있다. 또한 지도 상의
성지를 점령하거나
유물을 종교 건물에 집어넣어 추가 수입을 벌 수 있다.
- 야전 제작('공성 기술' 연구 필요)
공성추 : 보병 한정
유닛 수용량 16기. 가장 먼저 등장하는 근접 공성 무기로 나무 및 돌 성벽 건물 상대로 추가 피해를 주며 공성 무기 중에서 가장 높은 원거리 저항력과 체력을 자랑한다. 그대신 근접 유닛 상대로 큰 피해를 받아 약하다.
공성탑 : 보병 한정
유닛 수용량 8기. 공격 능력은 없지만 탑승한 보병 유닛들을 적이나 아군의 돌 성벽 건물 위에 내려놓을 수 있으며, 체력 및 원거리 저항력이 높다.
- '랭커스터 성' 랜드마크
- '왕들의 수도원' 랜드마크
랭커스터의 영주 : 해당 항목 참조.
- '윈가드 궁' 랜드마크
4.2. 건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건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건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암흑 시대
- 마을 회관(랜드마크) : 주민과 정찰병을 생산하고 모든 종류의 자원을 보관 가능한 본진 건물. 시작과 함께 주어지는 랜드마크 마을 회관은
내구도 7,000으로 더 튼튼하며 기본 화살 공격이 존재하고
유닛 수용량 15기로 더 많은 유닛을 집어넣을 수 있어 매우 강력하다.
인구수 10 제공. 랭커스터 가문은 잉글랜드와 동일한 문명 특성으로 수도 마을 회관이 타 문명보다 화살을 1발 더 발사한다.
- 집 :
인구수를 10 제공하는 건물. 건설 시간이 주민과 비슷한
15초이기 때문에, 게임 시작 후 인구수가 꽉 차기 전에 집을 짓기 시작해야 초반에 인구가 막혀 생산이 멈추는 일을 막을 수 있다.
- 제분소 :
식량 자원 보관 건물.
- 제재목 캠프 :
목재 자원 보관 건물.
- 채광 캠프 :
금 및
석재 자원 보관 건물.
- 농장 :
식량 자원 생산 건물.
- 보병 양성소 : 근거리 보병 생산 건물.
- 부두 : 선박 한정
유닛 수용량 3기. 선박 생산 건물. 일정 범위 내 아군 선박 유닛을 자동으로 수리하고, 시장처럼 교역선 유닛의 교역 지점 역할을 한다. 건설 시 다른 플레이어와 공물을 주고 받을 수 있다. 적군의 선박 유닛 상대로만 공격이 가능한 해군 활 발사구 방어 무기를 배치할 수 있다.
- 감시 초소 :
유닛 수용량 5기. 시작부터 건설 가능한 기본적인 방어 건물로, 건물 내에 배치된 유닛은 화살을 발사할 수 있다. 넓은 시야 범위와 은폐 및 변장 탐지 기능을 제공한다. 자원을 소모해 추가로 방어 무기를 하나 배치 가능하며 내구도 강화도 가능하다.
- 나무 성벽 : 1 구간마다
7씩 소비하여 건설하는 방벽 건물. 성벽이 파괴될 때 양 끝에 연결된 성벽 한 구간이 같이 파괴된다. 아군 원거리 유닛이 관통하여 사격할 수 있다.
- 나무 성문 : 최소 3 구간의 건설 예약 중이거나 완성된 나무 성벽 위에 겹쳐 지을 수 있는 성문 건물. 문을 통해 아군 지상 유닛이 지나다닐 수 있으며 아군 원거리 유닛이 관통하여 사격할 수 있다.
봉건 시대
- 대장간 : 모든 지상 유닛의 공격력과 방어력을 강화하는 기본 기술 연구 건물.
- 시장 : 각종 자원을 사고 팔거나 상인 유닛을 생산해
중립 교역소나 동맹 플레이어의 시장과 거래해서 금을 얻을 수 있다. 건설 시 다른 플레이어와 공물을 주고 받을 수 있다.
- 마을 회관 : 봉건 시대부터 추가로 건설할 수 있는 마을 회관은 게임 시작 시 주어지는 랜드마크 마을 회관과 달리
내구도 2,500으로 훨씬 취약하고 기본 화살 공격이 없으며
유닛 수용량 8기로 더 낮다.
인구수 제공은 10으로 동일.
- 궁사 양성소 : 원거리 유닛 생산 건물.
- 기병 양성소 : 근거리 기병 생산 건물.
장원 :
영향력 범위(3 × 3) 적용. 해당 항목 참조.
- 돌 성벽 : 1 구간 당
25씩 소비하여 건설하는 방벽 건물. 나무 성벽과 다르게 횃불 공격에 면역이며 똑같이 성벽이 파괴될 때 양 끝에 연결된 성벽 한 구간이 같이 파괴된다. 이동 방해물이자 지형지물로 기능하여 무너진 성벽, 돌 성벽 탑, 성문 등을 통해서 보병이 성벽 위로 올라올 수 있다. 성벽 위에 있는 보병은 적군의 원거리 및 공성 공격에 대해 감소된 피해량을 받는다. 나무 성벽과 달리 직사 방식으로 쏘는 원거리 유닛은 아군이라 할지라도 관통이 불가능하다. 주민이 수리할 시
목재가 아닌
석재 자원이 필요하다.
- 돌 성벽 성문 : 건설 예약 중이거나 완성된 돌 성벽 한 구간 위에 겹쳐 건설할 수 있는 성문 건물. 문을 통해서 아군 지상 유닛이 성벽을 지나다닐 수 있으며 보병은 아예 성벽 위로 올라갈 수 있다. 돌 성벽 성문이 파괴되면 양 끝에 연결된 한 구간의 성벽이 같이 파괴된다. 돌 성벽 탑을 돌 성벽 성문 바로 옆에 연결하여 건설한 경우 성문과 함께 파괴되어 버리니 주의. 아군 원거리 유닛이 관통하여 사격할 수 있다. 주민이 수리할 시
목재가 아닌
석재 자원이 필요하다.
- 돌 성벽 탑 : 돌 성벽 한 구간에 연결하여 추가로 건설되는 방어 건물. 돌 성벽 탑에는 노포 방어 무기가 기본으로 배치되어 있어 근처의 적군을 공격한다. 연결된 성벽 구간이 파괴되면 같이 파괴된다. 돌 성벽 탑 뒤쪽에는 문이 있어 성벽으로 보병이 올라올 수 있다. 성문과 달리 건설 중에도 뒷문을 이용할 수 있으며 성벽 탑 안쪽이나 성벽 위에 있는 적군도 이 문을 이용할 수 있다. 주민이 수리할 시
목재가 아닌
석재 자원이 필요하다.
성주 시대
- 수도원 : 기독교 종교 유닛 생산 건물. 종교 유닛으로
유물을 배치하면 지속적으로 금 자원 수입을 얻을 수 있다.
- 공성 무기 제조소 : 공성 무기 생산 건물.
- 성채 : 고급 방어 건물.
유닛 수용량 15기로 많은 유닛을 한번에 보호하며 배치된 유닛은 화살 공격이 가능하다. 자원을 소모해 추가로 방어 무기 두 가지를 전부 배치 가능하다. 주민이 수리할 시
목재가 아닌
석재 자원이 필요하다. 랭커스터 가문의 성채는 문명 특유의 단합된 가문 시스템을 통해 건설 시 백작 친위대 유닛 3기를 무료로 양성하며, 건설된 성채 및 성채 역할의 건물 숫자에 따라 백작 친위대와 반창기병 유닛에게 공격력 증가 효과를 적용한다.
제국 시대
- 대학 : 각종 고급 강화 연구를 수행하는 최종 기술 연구 건물.
- 불가사의 : 불가사의. 건설 시 불가사의 승리 조건을 만족한다. 모티브는 잉글랜드와 동일한 캔터베리 대성당(Canterbury Cathedral).
5. 랜드마크
5.1.
봉건 시대 랜드마크
왕들의 수도원 (Abbey of Kings) 종교 랜드마크 | 랭커스터 성 (Lancaster Castle) 군사 랜드마크 |
| |
전투에서 벗어난 근처의 모든 아군 유닛을 1초마다 +6씩 치료합니다. 주변 군사 유닛의 최대 체력을 각각 +5%씩 증가시키는 강력한 근접 지도자인 랭커스터의 영주를 최대 4명까지 임명합니다. 완료 시 랭커스터의 영주 하나가 무료로 생산 대기열에 들어갑니다. | 각 시대마다 매너에서 유닛을 한 번 소집할 수 있는 방어 랜드마크. 주변 매너에 +500의 체력을 부여하고 화살 슬릿 배치를 부여하는 영향력을 생성합니다. |
5.1.1. 왕들의 수도원
- 대장간 건물의 '사관학교' 기술 효과를 받지 않음
- 해당 건물 건설 시 랭커스터의 영주 유닛 1기 무료로 생산 대기열에 추가
- 보유 효과
수도원 치료(Abbey Healing) : "전투 중이 아닌 근처 유닛의 체력을 1초마다 6 치유합니다."
- 7.5 타일 범위 내 공성 무기 및 선박 유닛을 포함한 모든 아군 유닛을 초당
체력 6씩 치료함, 비전투 상태에서만 적용.
군주 임명(Ordain a Lord) : "강력한 랭커스터의 군주, 효과적으로 싸우고 주변 군사 유닛에 최대 체력의 +5%를 부여합니다."
- 생산 비용(
100
60
25초) 소모하여 랭커스터의 영주 유닛 1기 양성, 파일:AOE4_Build_Limit.png생산 최대치 4기.
건물 기반의 광역 치료 효과와 주변 아군의 최대 체력을 늘리는 중보병 영웅 유닛을 제공하는 종교 랜드마크. 잉글랜드의 원본과 동일하게 '종교 랜드마크' 취급이지만 수도원 역할이 아니며, 마찬가지로 종교 유닛을 생산할 수 없고 종교 관련 연구나
유물 배치도 불가능하다. 잉글랜드처럼 봉건 시대부터 빠른 속도로 광역 치료가 가능하지만 랜드마크 주변으로 치료 범위가 한정되어있고, 종교 유닛과 다르게 비전투 상태에서만 발동하는 데다가 랭커스터 마을 회관은 '성 연락망' 효과도 없기 때문에 본진 방어에는 직접적인 도움이 안된다. 잉글랜드와 달리 해당 랜드마크 건설 시 중기병인 국왕 영웅 유닛이 아니라 근거리 중보병 영웅 유닛인 '랭커스터의 영주'를 1기 무료로 양성하며, 1기가 아니라 최대 4기까지 생산 비용을 들여 운용이 가능하다. 주변 아군 유닛에게 비전투 상태에서 광역 치료 효과를 적용하는 국왕과 달리, 영주 유닛은 범위 내 모든 아군 유닛의 최대 체력을 늘리는 오라 효과를 보유하며, 다수를 운용 가능한 만큼 해당 효과는 중복 중첩 적용이 가능하다. 영주 유닛에 대한 더 자세한 사항은 하단 해당 항목 참조.
5.1.2. 랭커스터 성
- [각종 공격 수치 보기]
- ||<bgcolor=black><color=white> 공격력 ||
12 ||
추가 공격력 선박 10
공격 사거리 8 타일
공격 속도
(표기 수치)1.25초
공격 속도
(엔진 수치)1.125 + (0.25~0.375)초
- 해당 건물에서 특수한 고유 기술 3개를 연구 가능
- 보유 효과
영향력 범위(20 × 20) 제공 : 해당 장원 건물의
내구도 +500 및
화살 공격 1발 추가
영향력을 통해 기본 상태에서는 허약하며 스스로를 방어할 수도 없는 장원 건물의 내구도를 일괄 늘려주며 화살 공격까지 추가하고 성 자체에서도 화살이 나가기 때문에, 대놓고 본진에 랭커스터 성을 박아놓고 방어 건물이나 군사 유닛을 만들지도 않고 장원 건설에만 몰빵해도 최소 8분대까지는 적군의 견제 따위는 신경 쓸 필요도 없이 안전하게 발전이 가능한 엄청난 강점을 준다. 그 뒤 건설하며 얻는 장원의 자원 수입과 랭커스터 성의 '귀족 소집' 징집으로 반창기병을 뽑아내 바로 공세나 견제에 들어가는 식으로 여유롭게 성주 시대 발전이 가능하다. 현재 메타에서는 이런 장원 몰빵 빌드 오더의 강력함 덕분에 잉글랜드의 '의회관' 랜드마크와는 전혀 다른 의미로 랭커스터의 고정 랜드마크가 되었다. 나아가 2시대 성채라는 특수성으로 인해 상대의 본진 안에 전진 랭커스터 성을 지어버리면 초소보다 훨씬 넓은 범위를 견제할 수 있었는데[12], 출시 직후의 핫픽스 이후 랭커스터 가문의 첫 너프가 된 13.1.4420 패치에서 상대방 메인 TC 근처 8타일 이내에 건설할 수 없도록 수정되었다.
랜드마크의 모티브는 게임 내 명칭 그대로 영국 랭커셔 주 랭커스터 시에 위치한 랭커스터 성(Lancaster Castle)이다. 성 자체가 랭커스터 가문 이전부터 존재한 건물이며, 주로 감옥(Gaol)으로 쓰였다.
5.2.
성주 시대 랜드마크
킹스 칼리지 (King's College) 기술 랜드마크 | 하얀 탑 (The White Tower) 방어 랜드마크 |
| |
모든 기술의 연구 비용이 -15%감소합니다. 랭커스터 가문의 특수 군사 기술이 포함됩니다. | 성채 역할을 하여 성채의 모든 기능과 기술 및 보너스를 제공합니다. |
5.2.1. 킹스 칼리지
- 해당 건물에서 특수한 고유 기술 6개를 연구 가능
- 보유 효과
킹스 칼리지(King's College) : "킹스 칼리지에서 연구 비용이 +15% 더 저렴해집니다."[13]
- 해당 랜드마크가 존재하는 한 '랭커스터 성' 랜드마크를 제외한 모든 해당 플레이어 소유 건물에 (모든 기술의
연구 비용 -15%,
연구 시간 제외) 효과를 상시 적용.
모든 기술 연구 비용을 할인하고 해당 랜드마크에서만 연구 가능한 고유 기술 6개를 제공하는 특수 기술 랜드마크. 이름값 못하게 대학 건물 역할은 아니지만 프랑스인 및 잔 다르크 문명의 '왕실 연구소' 랜드마크와 비슷하게 이른 타이밍의 기술 우위 확보에 특화된 건물로, 아바스 왕조의 문화동 '지식 보존' 고유 기술처럼 모든 연구 비용 할인을 적용해 다양한 방법으로 강력한 성주 시대 템포를 확보한다. 단, 프랑스인처럼 기술의 시대 제한을 무시하거나 연구 시간을 단축할 수는 없으며, 해당 건물 자체에서 연구 가능한 특수 기술들 외에는 다른 기술을 연구할 수 없는 점을 주의. 또한 '랭커스터 성' 랜드마크의 일회용 징집 항목들은 기술이 아니라서 할인이 불가능하나, 장원 건물을 강화하는 것을 포함한 다양한 경제 관련 기술이나 유닛 승급을 포함한 군사 기술의 연구 비용도 전부 아낄 수 있어 다방면으로 유용하다. 한번 연구하면 영구적으로 효과가 적용되는 '지식 보존' 기술과 달리, 킹스 칼리지의 연구 할인 효과는 랜드마크가 파괴된 상태라면 사라지는 점을 유의. 킹스 칼리지의 고유 기술 하나하나마다 강력한 효과를 제공하므로, 대부분의 상황에서 방어 건물이 절실한 상황이 아니면 하얀 탑 대신 랭커스터의 고정 랜드마크로 활약한다.
모티브는 역시 게임 내 명칭 그대로 킹스 칼리지로 불리는 케임브리지 대학교의 킹스 컬리지, 그중에도 고딕 건축 양식으로 유명한 성당 건물(King's College Chapel)이다. 이튼 칼리지와 함께 1441년 헨리 6세에 의해 세워졌으나 곧 장미 전쟁이 일어나 정체기를 겪다 헨리 7세의 전폭적인 지원을 받아 성장한 컬리지다. 단과대학(College)이 아니라 캠퍼스에 더 가까운 대학교의 일부인 공동체 개념이며, 킹스 칼리지 런던과는 전혀 다른 곳이다.
5.2.2. 하얀 탑
- 일반 성채 건물과 달리
유닛 수용량 20기
- 보유 효과
단합된 집(A House Unified) : 단합된 가문 시스템 항목 참조
5.3.
제국 시대 랜드마크
버크셔 궁 (Berkshire Palace) 방어 랜드마크 | 윈가드 궁 (Wynguard Palace) 군사 랜드마크 |
| |
강력한 방화 화살을 쏘며 내구력이 증가한 성채 역할을 합니다. 모든 무기의 사정거리는 14.5타일입니다. 단합된 집으로 추가된 최대 피해가 +6로 증가합니다. | 4개의 대대를 양성할 수 있습니다: 윈가드 군대, 백작의 수행원, 주둔지 사령부, 화약 파견 부대 |
5.3.1. 버크셔 궁
- [각종 공격 수치 보기]
- ||<bgcolor=black><color=white> 공격 종류 || 유닛 수용시 || 기본 화살 || 노포 || 대포 || 끓는 기름 ||
공격력 14 × (
수용된 유닛 수 + 1, 최대 20)
(0.25~0.75초에 걸쳐 연속 발사)14 × 3발
(동시 발사)40
70
30[공성]
추가 공격력 선박 10
선박 40
선박 70
- 방사피해 범위 - 0.375 타일(원형)
(100% 피해량 적용)1.1 타일(원형)
(100% 피해량 적용)공격 사거리 14.5 타일
1.5 타일
공격 속도
(표기 수치)2.62초
0.50초
3.88초
5.88초
9.62초
공격 속도
(엔진 수치)2 + (0.25~0.75)초
0.375초
3.75초
5.75초
9.50초
- 일반 성채 건물과 달리
내구도 6,500 및
유닛 수용량 20기, 모든 화살 공격의
원거리 공격력 +2
- 해당 건물에 배치된 모든 방어 무기의 최대
공격 사거리를 14.5 타일로 고정
- 해당 랜드마크 건설 시 단합된 가문 시스템의 공격력 보너스 최대치가 4에서 6으로 영구히 증가함
- 보유 효과
단합된 집(A House Unified) : 단합된 가문 시스템 항목 참조
잉글랜드 원본과 완전히 동일하여 여전히 엄청난 사거리의 불화살과 각종 방어 무기를 적군에게 쏟아붓는 우주방어 요새 랜드마크다. '성 연락망' 효과와 성채 생산이 사라진 점은 뼈아프지만 원본의 초장거리 사격 특성을 그대로 가지고 있기에 완전한 열화판인 하얀 탑에 비해 나름 선방한 셈이다. 하얀 탑과 동일하게 성채 취급이므로 단합된 가문 시스템에 영향을 주며, 백작 친위대 3기를 공짜로 얻는 것도 똑같다. 또한 하얀 탑과 달리 추가 효과가 생겨 단합된 가문 시스템이 제공하는 공격력 보너스의 최대치를 +4가 아닌 +6까지 늘려 준다. 다만 윈가드 궁이 아닌 버크셔 궁을 선택할 시 반창기병을 더 이상 생산할 수 있는 방법이 없기 때문에, 단합된 가문 시스템의 최대치가 늘어나는 효과는 반창기병 대상으로는 의미가 없어진다.
5.3.2. 윈가드 궁
- 대장간 건물의 '사관학교' 기술 효과를 받지 않음
- 다음과 같은 유닛 세트를 생산 가능
- 윈가드 군대(
100
100
200
55초
6) : 창병 2기, 석궁병 2기, 평형추 트레뷰셋 투석기 1기 생산(
180
340
30 이득)
- 백작의 수행원(
650
200
50초
8) : 반창기병 6기 및 호벨라 2기 생산
- 주둔지 사령부(
300
150
30초
9) : 창병 8기 및 백작 친위대 1기 생산(
280
10
20 이득)
- 화약 파견 부대(
850
1,050
45초
9) : 리볼데퀸 2기 및 컬버린포 1기 생산(
175
500 이득)
잉글랜드와 똑같이 각종 군사 유닛을 값싼 가격과 짧은 시간으로 압축하여 세트로 뽑는 점은 동일하나, 생산하는 세트의 내용이 잉글랜드와 완전히 다르다. 제국 시대 이후 장기전 상황에서 잉글랜드 원본처럼 유리한 상황을 만들며, 생산되는 세트 대부분이 잉글랜드보다 자원 이득 폭이 더 높아 장원과 합쳐 계속 실질적인 공짜 병력과 자원을 쏟아내는 불합리함을 보여 준다. 생산 가능한 유닛 세트는 각각 주력 부대, 기병 부대, 중보병 부대, 화약 공성 부대로 나뉜다. 여전히 성채 역할이 아니라서 방어 건물 기능은 전혀 없고 유닛 세트 생산의 속도가 느린 축에 속하므로, 이 건물 외에도 방어 및 군사 건물을 꾸준히 계속해서 건설해줘야 방어 전선과 회전력을 보완할 수 있다. 유닛 세트 생산 외에는 추가적인 효과가 없으므로, 전방보다는 본진 근처 안전한 장소에 건설하는 것이 추천된다.
*
윈가드 군대(Wynguard Army)
잉글랜드의 '윈가드 군대'와 완전히 동일한 구성이다. 트레뷰셋을 저렴하게 뽑는 것도 동일하며 창병 및 석궁병이 같이 등장한다.
*
백작의 수행원(Earl's Retinue)
잉글랜드의 '윈가드 습격대'처럼 중기병 및 경기병 조합을 압축해서 뽑는 선택지이며, 일반적으로 생산이 불가능한 반창기병을 유일하게 지속적으로 생산하는 방법이다. 나름 저렴하고 빠르게 뽑히지만 반창기병 자체의 생산 가격은 따로 정해지지 않았으므로 딱히 자원 이득을 계산하기는 힘들다. 제국 시대 반창기병은 진짜 중기병과 비교해 크게 뒤처지지 않으므로 저렴하게 중기병을 기용하는 선택지에 가깝다. 호벨라 2기 또한 같이 뽑히지만 호벨라는 애초에 저렴한 염가형 유닛이고, '백작의 수행원' 부대는 금을 소모하기 때문에 그냥 거드는 보조 역할로 있다고 보면 된다.
*
주둔지 사령부(Garrison Command)
대량의 근거리 보병 부대를 빠르고 값싸게 뽑는 선택지. 창병 다수와 백작 친위대 딱 1기가 같이 나온다. 유금 유닛이 포함되어 있는데도 금을 소모하지 않아 금 자원이 없을 때 식량과 목재 만으로도 중보병이 소수지만 운용이 가능해서 소모전 상황에서 나름 유용하다.
*
화약 파견 부대(Gunpowder Contingent)
화약 공성 무기를 크게 할인 받아 뽑는 선택지. 랭커스터 가문이 일반적으로 뽑을 수 없는 리볼데퀸이 2기씩이나 나오며 컬버린포까지 더해 리볼데퀸이 컬버린을 호위하는 모양새가 된다. 가격 할인 폭이 상당히 좋아 다른 부대는 제쳐놓고 이것만 계속 뽑아내도 간접적인 자원 이득을 지속적으로 보게 된다. 공성 무기를 아예 공짜로 뽑게 해주는 오스만 '메흐메트 제국 조병창'이나 일본인 '다네가시마 총포 대장간' 랜드마크에 비할 정도로 매우 높은 효율을 보인다.
*
잉글랜드의 '윈가드 군대'와 완전히 동일한 구성이다. 트레뷰셋을 저렴하게 뽑는 것도 동일하며 창병 및 석궁병이 같이 등장한다.
*
잉글랜드의 '윈가드 습격대'처럼 중기병 및 경기병 조합을 압축해서 뽑는 선택지이며, 일반적으로 생산이 불가능한 반창기병을 유일하게 지속적으로 생산하는 방법이다. 나름 저렴하고 빠르게 뽑히지만 반창기병 자체의 생산 가격은 따로 정해지지 않았으므로 딱히 자원 이득을 계산하기는 힘들다. 제국 시대 반창기병은 진짜 중기병과 비교해 크게 뒤처지지 않으므로 저렴하게 중기병을 기용하는 선택지에 가깝다. 호벨라 2기 또한 같이 뽑히지만 호벨라는 애초에 저렴한 염가형 유닛이고, '백작의 수행원' 부대는 금을 소모하기 때문에 그냥 거드는 보조 역할로 있다고 보면 된다.
*
대량의 근거리 보병 부대를 빠르고 값싸게 뽑는 선택지. 창병 다수와 백작 친위대 딱 1기가 같이 나온다. 유금 유닛이 포함되어 있는데도 금을 소모하지 않아 금 자원이 없을 때 식량과 목재 만으로도 중보병이 소수지만 운용이 가능해서 소모전 상황에서 나름 유용하다.
*
화약 공성 무기를 크게 할인 받아 뽑는 선택지. 랭커스터 가문이 일반적으로 뽑을 수 없는 리볼데퀸이 2기씩이나 나오며 컬버린포까지 더해 리볼데퀸이 컬버린을 호위하는 모양새가 된다. 가격 할인 폭이 상당히 좋아 다른 부대는 제쳐놓고 이것만 계속 뽑아내도 간접적인 자원 이득을 지속적으로 보게 된다. 공성 무기를 아예 공짜로 뽑게 해주는 오스만 '메흐메트 제국 조병창'이나 일본인 '다네가시마 총포 대장간' 랜드마크에 비할 정도로 매우 높은 효율을 보인다.
6. 고유 유닛
6.1. 백작 친위대
백작 친위대 근거리 중보병 | ||
아이콘 | | 파일:AOE4_Earl's_Guard4.jpg |
명칭 | 백작 친위대 (Earl's Guard) | 정예 백작 친위대 (Elite Earl's Guard) |
비용 | | |
생산 시간 | | |
체력 | | |
근거리 방어 | | |
원거리 방어 | | |
공격력 | | |
횃불 공격력 | | |
방사피해 범위 ('투척용 단검 훈련' 연구 시) | | |
사격 범위 ('투척용 단검 훈련' 연구 시) | (전면 12도) | |
공격 사거리 | | |
공격 속도 (표기 수치) | | |
공격 속도 (엔진 수치) |
| |
이동 속도 | | |
시야 범위 | | |
승급 비용 | - | |
- 보유 능력
보병 돌격(Charge)[미표기] : 일반 근거리 보병과 동일
/
단검 투척(Dagger Throw) : "주기적으로 단검 1개를 던집니다." → "주기적으로 단검 2개를 던집니다."
- 발동 조건 : 쿨다운 없는 상태에서 전투 시작 시 자동 시전, 최소 시전 사거리 2.5 타일 및 최대 시전 사거리 6.5 타일, 이미 근접 공격 중이거나 최소 사거리 미만으로 접근할 시 발동 불가.
- 시전 시간 : 즉시 발동, 쿨다운 10초.
- 효과 : 공격 목표 대상에 단검 공격 투척 후 쿨다운 적용. 제국 시대 '투척용 단검 훈련' 연구 시 2번 연속으로 투척.
단합된 집(A House Unified) : 단합된 가문 시스템 항목 참조
무장 병사를 대신하여 등장하는 랭커스터 가문 고유 근거리 중보병. 잉글랜드의 무장 병사와 달리 성주 시대부터 등장하여 아예 일반 유닛을 대체하는 고유 유닛이며, 검과 방패가 아닌 워해머 양손 무기로 무장하였고 기본적으로 단검을 투척해 선제 타격을 넣는 특수 능력을 보유한다.
무시무시해 보이는 망치를 들고 있지만 기본적인 공격 수치는 일반 무장병과 똑같고, 제국 시대 원거리 방어력이 늘어나도록 패치된 무장병과 달리 제국 시대 친위대는 기존의 원방을 유지한다. 체력 또한 일반 중보병과 동일하나, 문명 특성을 적용한 신성 로마 제국의 무장병처럼 이동 속도가 기본적으로 경보병 수준으로 더 빠르다. 금 가격 또한 비슷하게 이속이 더 빠른 무장병 역할인 중국인의 궁전 호위병처럼 살짝 더 높지만 큰 차이를 만들지는 않는다. 이처럼 기본 상태의 백작 친위대는 일반적인 중보병과 큰 차이가 없으며, 잉글랜드처럼 중보병의 방어력을 크게 올리는 고유 기술이나 방어 건물 근처에서 공격 속도가 빨라지는 '성 연락망' 효과도 없어 친위대의 백병전 성능과 가상비를 상승시키려면 성채 건물에서 공짜로 친위대를 양성하며 성채 숫자에 따라 공격력을 강화하는 단합된 가문 시스템을 잘 활용해야 한다.
백작 친위대의 진정한 차별점은 바로 말리인의 돈조 창병처럼 교전을 개시할 때 6.5 타일의 장거리 투척 공격을 던지고 시작한다는 것이다. 돈조와 완전히 똑같은 방식으로 작동하는 특수 능력이지만, 기병에게 추가 피해를 주는 것이 주요 목적인 투창 공격과 달리 대상을 가리지 않고 매우 높은 원거리 공격력을 무조건 일방적으로 먼저 넣기 때문에 범용성은 훨씬 더 좋으며, 조금 더 빠른 친위대의 이속과 맞물려 백병전 상황에서 친위대의 실질적인 교전비가 다른 중보병에 비해 상당히 좋아진다. 처음 받는 공격을 무효화가 가능한 일본인 사무라이의 '굴절 방어구' 능력의 정반대 역할이며, 서로가 서로의 특수 능력을 상쇄하는 상황이 만들어진다. '단검 투척' 능력은 투창과 달리 대장간의 원공업 기술에 영향 받으며, 단합된 가문 시스템의 공격력 증가 효과도 받아 상당한 수준으로 늘어날 수 있다. 여기에 더해 제국 시대 '투척용 단검 훈련' 고유 기술을 연구 시 아예 2개씩 던지기 시작하며
유닛의 유래는 영국 장미전쟁을 다른 복원화에서 주로 등장하는 하마기사들이 모티브인 것으로 보인다. 다만, 실제로 이 유닛의 모티브는 다름 아님 에이지2의 챔피언으로 영문 위키에 따르면 게임 파일 이름들이 Champion으로 되어 있다고 한다.
- 관련 업그레이드
- 고유 : 투척용 단검 훈련(
투척 단검 공격 발사체 숫자 +1,
방사피해 및
사격 범위 적용)
- 공통 : 공성 기술(공성추 및 공성탑 제작 가능), 사관학교(군사 건물에서
생산 시간 -25%), 정예 군대 전술(
체력 +15%,
근거리 및
추가 공격력 +15%)
6.2. 요먼
요먼 원거리 경보병 | |||
아이콘 | | | |
명칭 | 요먼 (Yeoman) | 베테랑 요먼 (Veteran Yeoman) | 정예 요먼 (Elite Yeoman) |
비용 | | ||
생산 시간 | | ||
체력 | | | |
근거리 방어 | | ||
원거리 방어 | | ||
공격력 | | | |
| | | |
추가 공격력 | 근거리 경보병 화약 경보병 | 근거리 경보병 화약 경보병 | 근거리 경보병 화약 경보병 |
경장갑 보병 화약 보병 (일제 사격) | |||
공성 공격력 ('소이 화살' 연구 시) | (건물 상대로만 공격) | ||
방사피해 범위 ('일제 사격' 발동 시) |
| ||
사격 범위 ('일제 사격' 발동 시) | (전면 4도) | ||
공격 사거리 | | ||
공격 속도 (표기 수치) | | ||
공격 속도 (엔진 수치) |
| ||
이동 속도 | | ||
시야 범위 | | ||
승급 비용 | - | | |
- 보유 능력
일제 사격(Synchronized Shot) : "선택한 모든 요먼이 해당 지역에 사격합니다."
- 발동 조건 : 성주 시대 '일제 사격' 고유 기술 연구 필요, 언제든 수동으로 발동 가능,
시야 확보 필요, 최대 시전 사거리 12 타일.
- 시전 시간 : 즉시 발동, 지속 시간 약 2초, 쿨다운 40초.
- 효과 : 해당 요먼이 목표 지점에 지속 시간 동안
방사피해 범위를 가진 화살 3발 발사, 사격 도중 이동 불가, 사격 완료 후 쿨다운 적용.
궁사를 대체하는 랭커스터 가문의 고유 원거리 경보병. 기반 문명인 잉글랜드 장궁병과 비슷하게 일반 궁사보다 더 높은 최대 공격 사거리와 빠른 이동 속도를 가지고 있으며, 성주 시대에 해금이 가능한 특수 능력으로 지정된 장소에 원격으로
장궁병과 똑같이 일반 궁사보다 살짝 비싼 생산 비용을 보이며, 최대 공격 사거리가 장궁병보다는 짧지만 보통 궁병보다 우월한 6 타일로 시작한다. 장거리 사격이 가능한 대신 이동 속도를 희생한 장궁병과 정반대로, 요먼은 오히려 이동 속도가 경보병 이상으로 빨라 일본인 유미 아시가루보다 살짝 느린 수준이며, 발이 빠른 대가로 저열한 성능을 가진 유미 아시가루와 달리 화력이나 체력도 전혀 희생하지 않아 그냥 더 잘 싸우는 교전 성능을 가진다. 높은 이속과 사거리가 합쳐져서 기본 공격 수치 자체는 궁사와 동일하나 궁병 계열이 자주 사용하는 간격 벌리기 컨트롤에 훨씬 유리한 전술적인 이점을 가지고 시작한다. 별거 아닌 차이점 같지만 공속을 높이는 잉글랜드의 '성 연락망' 효과나 장궁병의 '울타리 놓기' 대기병 능력 없이도 기병 상대로 생존율이 더 높고, 빠르게 적 본진이나 확장 기지에 접근해서 견제를 넣는 것에도 유리하며, 컨트롤 실력이 높을수록 기존 궁병에 비해 교전비가 눈에 띄게 향상된다. 식량과 목재를 제공하는 장원 고유 건물 덕에 봉건 시대에도 타 문명에 비해 부담 없이 대량의 요먼을 운용 가능하나, 랭커스터 가문의 경제력이 좋은 것 외에는 잉글랜드처럼 생산에 직접적으로 도움이 되는 특성은 딱히 없고, 단지 성주 시대에 '랭커스터 성' 랜드마크의 '샤이어 징집' 항목을 통해 단 한번만 대량의 요먼을 받아오는 정도만 가능하다.
등장 시기인 봉건 시대에는 평범하게 더 좋은 성능과 더 좋은 경제력으로 많이 나오는 정도에 그치지만, 성주 시대부터 '일제 사격' 고유 기술을 연구하면 특수 능력이 생기며 일반 궁사와 더더욱 차별화된다. '일제 사격' 능력은 본작 최초로 대량의 화살을 동시에 사격하여 화망을 형성하는 궁병의 실제 전술을 재현 가능한 원격 방사피해 능력으로, 발동 그 즉시 해당 요먼이 지정한 장소에 빠르게 3연사로 화살을 발사한다. 딜레이가 있어 이미 달려오는 기병 상대로 빠릿하게 반응하여 쓰기 힘든 장궁병의 '울타리 놓기' 능력이나 시간 제한이 있는 프랑스인 아바레스트병의 '대형 방패 배치' 능력과 달리, '일제 사격'은 즉발에 가까운 빠른 발동 시간과 12 타일이라는 매우 먼 거리에서 적에게 아무런 경고 없이 순식간에 화살 비가 쏟아지는 식이라 몰려 다니는 요먼이 적절한 타이밍에 발동만 해줘도 마치 움직이는 박격포처럼 아무 때나 폭탄을 떨구듯이 일방적인 피해를 주는 최상위권의 능력이다.
유래는 영국 계급 중 하나인 요먼. 자영농민들을 가리키는 말로 전쟁 시 주로 장궁병 혹은 기마병으로 복무 했기 때문에 장궁병 = 요먼이라는 인식이 있는 만큼 꽤 근본 있는 유닛이다.
에오엠2의 궁사 사거리 증가 업그레이드로 이미 언급된 바가 있으며, 다른 역사 게임인 토탈 워: 미디블2에서 아예 요먼 장궁병이라는 유닛으로도 등장한 바가 있다.
- 관련 업그레이드
- 고유 : 일제 사격(지정한 장소에
방사피해 공격을 가하는 '일제 사격' 능력 얻음), 갬비슨(
근거리 방어력 +3)
- 공통 : 공성 기술(공성추 및 공성탑 제작 가능), 사관학교(군사 건물에서
생산 시간 -25%), 소이 화살(
원거리 공격력 +20%, 건물 상대로
공성 공격 얻음), 비단 시위(최대
공격 사거리 +1.5 타일)
6.3. 호벨라
호벨라 근거리 경기병 | |||
아이콘 | | | |
명칭 | 호벨라 (Hobelar) | 베테랑 호벨라 (Veteran Hobelar) | 정예 호벨라 (Elite Hobelar) |
비용 | | ||
생산 시간 | | ||
체력 | | | |
근거리 방어 | | ||
원거리 방어 | | | |
공격력 | | | |
추가 공격력 | 원거리 유닛 공성 유닛 | 원거리 유닛 공성 유닛 | 원거리 유닛 공성 유닛 |
돌격 공격력 ('언덕 훈련' 연구 시) | | | |
원거리 유닛 공성 유닛 | 원거리 유닛 공성 유닛 | 원거리 유닛 공성 유닛 | |
횃불 공격력 | | | |
공격 사거리 | | ||
공격 속도 (표기 수치) | | ||
공격 속도 (엔진 수치) |
| ||
이동 속도 | | ||
시야 범위 | | ||
승급 비용 | - | | |
기마병을 대체하는 랭커스터 가문의 고유 근거리 경기병. 기존보다 식량 가격이 저렴해졌으나 금을 소모하는 유금 유닛이며 체력이 더 낮고 그대신 원거리 방어력이 더 높은 염가형 경기병이다. 다양한 랭커스터의 고유 기술을 통해 일반 경기병 이상으로 강화가 가능하지만 강화 전까지는 뒤떨어지는 전투력을 보유한다. 유미 아시가루와 같이 보통의 경기병 역할로 활용하려면 그만큼의 물량이 필요하지만, 유미 아시가루가 유미 기수의 공격력 증가 버프 아래 전투를 수행한다면 호벨라의 강화 방향은 물량 확보와 돌격 공격력에 집중되어 있다. 고유한 특성을 활용하려면, 타 병종과 동일한 횃불 공격력에 물량을 얹어 벽/건물/상인 등 외부 자원을 테러하거나 전투 바깥에서 틈을 노려 원거리 유닛과 공성 병기에 돌격하는 등 야전 전투 외의 운용 방식을 생각할 수 있다.
유래는 14세기까지 편제된 잉글랜드와 아일랜드, 스코틀랜드의 경기병 부대. 아일랜드에서 기원을 두고 있다고 하며, 조랑말 품종중 하나인 호비(Hobby)를 탔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은근히 역사 전쟁 게임이라면 심심치 않게 언급되는 영국 경기병들이다.
여담으로 호빌라의 무장은 위키에서 언급하는 것과 동일한 걸 보면 영문 위키를 참고한 듯 하다.
- 관련 업그레이드
- 고유 : 언덕 훈련(돌격 공격의
근거리 공격력 및
추가 공격력 +150%,
생산 속도 +100%), 군사 전술 훈련(
추가 공격력 +20%)
- 공통 : 생물학(
체력 +25%)
6.4. 반창기병
반창기병 근거리 중기병 | |||
아이콘 | | ||
명칭 | 반창기병 (Demilancer) | 베테랑 반창기병 (Veteran Demilancer) | 정예 반창기병 (Elite Demilancer) |
체력 | | | |
근거리 방어 | | | |
원거리 방어 | | | |
공격력 | | | |
횃불 공격력 | | | |
공격 사거리 | | ||
공격 속도 (표기 수치) | | ||
공격 속도 (엔진 수치) |
| ||
이동 속도 | | ||
시야 범위 | | ||
승급 비용 | 시대 발전 시 자동 승급 |
- 보유 능력
랜스 차지[미표기] : 일반 중기병과 동일
단합된 집(A House Unified) : 단합된 가문 시스템 항목 참조
봉건 시대 '랭커스터 성' 랜드마크의 징집 항목을 통해서 장원의 숫자에 따라 양성되거나 제국 시대 '윈가드 궁' 랜드마크의 '백작의 수행원' 유닛 세트로만 제한적으로 생산 가능한 랭커스터 가문의 고유 근거리 중기병. 기존 중기병에 비해 이름 그대로 반쪽 짜리 성능을 보이는 염가형 중기병이며, 인성비가 그만큼 매우 낮지만 저렴한 가격에 세트로 양성되는 특징으로 활약하는 임시 땜빵 역할이다. 일반 생산이 불가능하다는 점을 반영하여 기존 군사 유닛과 달리 다음 시대로 발전할 때마다 자동으로 승급하며, 앞서 서술한 랜드마크 두 가지를 제외하면 추가로 생산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유닛의 운용법이나 상성 관계 자체는 중기병과 크게 차이 나는 점이 없으며, 단순하게 체력과 공격력 및 방어력 전부 일반 중기병에 비해 엄청난 열세라 체력이 대략 30% 더 낮고 근접 DPS 수치가 절반 이하로 처참한 수준이다. 그나마 돌격 공격 만큼은 나름대로 충격 기병을 흉내 낼 정도는 된다. 비슷하게 염가형 경기병 역할인 호벨라보다 성능 감소 폭이 훨씬 크지만, 일반 유닛을 대체하는 호벨라와 달리 더욱 값싼 특수 생산 유닛이므로 이 정도로 낮은 성능을 감안해야 한다. 의도한 사항인지는 알 수없으나 특이점으로 성주 시대에서 오히려 돌격 공격력이 줄어든다는 점이 있고, 그나마 장점으로 횃불 공격력은 다른 근접 기병과 동일하니 물량으로 등장한다면 건물에 불 지르는 테러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반창기병의 주 역할은 최적화된 장원 몰빵 빌드에서 장원만 빠르게 건설하고 '랭커스터 성' 랜드마크의 징집으로 물량을 불러와 바로 상대방에게 견제를 넣거나, 장원을 파괴하기 위해 쳐들어온 적군 병력을 급하게 막아내는 것이다. 특히 봉건 시대에서 많이 등장할 공성추 같은 공성 무기나 궁사 계열을 견제하는 역할을 수행할 호벨라가 유금 유닛이란 점 때문에 많이 뽑는 것이 망설여지는 경우가 많은데, 이때 반창기병이 대신 등장해 이러한 약점을 보완 가능하다. 봉건~성주 시대의 일회용 땜빵 역할 외에도, 성주 시대 '킹스 칼리지' 랜드마크의 각종 고유 기술들로 크게 강화하거나 제국 시대 '윈가드 궁' 랜드마크에서 저렴하게 물량을 뽑아내 중기병을 대신하는 가성비 선택지로 운용하는 것이 어느 정도 가능해진다. 제국 시대에는 반창기병의 기본 수치가 상당히 올라가며, 랭커스터의 고유 기술과 공용 기술로 각종 강화를 다 넣은 풀업 상태라면 반창기병 3기가 일반 중기병 2기 정도 수준으로 활약이 가능해 더 이상 반쪽 짜리가 아닌 나름 준수한 염가형 중기병이 된다.
- 관련 업그레이드
- 고유 : 에세스의 목걸이(중장갑 유닛에 대한
추가 공격력 +6), 군사 전술 훈련(
추가 공격력 +20%)
- 공통 : 생물학(
체력 +25%)
7. 특수 유닛
7.1. 랭커스터의 영주
랭커스터의 영주 근거리 중보병 | |||
아이콘 | | ||
명칭 | 랭커스터의 영주 (Lord of Lancaster) | ||
비용 | | ||
생산 시간 | | ||
생산 최대치 | 파일:AOE4_Build_Limit.png4기 | ||
체력 | | | |
근거리 방어 | | ||
원거리 방어 | | ||
공격력 | | | |
횃불 공격력 | | | |
공격 사거리 | | ||
공격 속도 (표기 수치) | | ||
공격 속도 (엔진 수치) |
| ||
이동 속도 | | ||
시야 범위 | | ||
승급 비용 | 시대 발전 시 자동 승급 |
- 보유 능력
봉건 시대 '왕들의 수도원' 랜드마크에서만 생산이 가능한 근거리 중보병 영웅 유닛. 잉글랜드의 국왕 대신 등장하는 유닛으로, 각종 영웅 유닛의 특성을 공유하며 국왕과 달리 최대 4기로 더 많은 숫자를 보유 가능하다. 4기까지 다수를 보유 가능한 유닛임에도 전부 화려한 왕관 시각 효과가 국왕 유닛과 동일하게
국왕처럼 카이트 실드와 양손 검으로 무장하였고 근접 공격 속도나 DPS 또한 국왕에 비하는 수준으로 그다지 높지는 않다. 체력이 빵빵한 점은 똑같지만 방어력이 조금 낮게 시작해 다음 시대로 승급해도 늘어나지 않는다. 국왕과 정반대로 돌격 공격이 일반 근접 공격보다 낮은 공격력을 가졌으며, 횃불 공격력이나 이동 속도 또한 일반 중보병과 동일해 전반적인 전투 성능 자체는 평범하게 그냥 더 튼튼하기만 한 중보병 수준이라 국왕처럼 빠르게 등장해 견제를 넣는 용도로 쓰기엔 부족하다. 광역 치료 능력을 보유하는 국왕과 달리 주변 모든 아군 유닛의 최대 체력을 늘리는 오라 효과를 가진 버프 토템 역할이며, 다수의 영주가 등장 가능한 만큼 오라 효과 중첩 적용이 가능해 4명이 전부 모이면 아군의 체력 최대치를 20% 늘리게 된다. 체력 버프는 영주 자신에게도 적용되므로 영주끼리 몰려다니면 영주의 체력도 상당히 늘어나며, 보병의 체력을 늘리는 대학 '정예 군대 전술' 기술의 효과와 중첩된다. 자기 자신에게도 체력 증가 효과가 상시 적용되므로, 영주의 체력은 기본적으로 5% 늘어난 상태로 시작하게 된다. 중첩이 가능하다는 점 때문에 일반적인 다른 야전 지원 버프 유닛과 달리 영주는 다같이 붙어 다니며 움직이는 것이 훨씬 더 유리하다.
아군을 치료하는 능력이 없고 전투 능력이나 기반 수치도 평이하게 튼튼한 중보병 수준이므로, 중기병인 국왕처럼 빠르게 등장해 혼자서 2시대 견제 또는 견제 방어 역할을 수행하기는 어렵다. 그대신 종류 불문 모든 아군 군사 유닛의 체력을 늘리기 때문에 보병을 지원하는 역할에 더 걸맞으며, 혼자 다니기 보다는 직접 다른 랭커스터 보병과 같이 다니며 적극적으로 백병전을 치르게 된다. 마침 랭커스터 가문은 타 문명에 비해 뛰어난 고유 보병진[20]을 가지고 있으며, 각종 고유 기술과 성주 시대 '킹스 칼리지' 랜드마크의 특수 기술로 여러 부분이 강화되어 성주 시대 이후 무금 및 유금 보병진과 영주 4기를 조합하고 기술들을 연구하면 강력한 보병 위주 군대가 완성된다. 즉, 등장 당시 봉건 시대에서는 장원을 방어할 때 도움을 주는 것 외에 큰 이득이나 타이밍 강점을 주지 않지만, 시대가 지날수록 점점 올라가는 랭커스터의 경제력 및 보병 유닛의 성능과 맞물려 얼핏 단순해 보이는 영주의 체력 강화 효과가 점점 더 빛을 발휘하게 된다.[21] 다수 운용이 가능하며 생산 가격도 중보병보다 약간만 더 비싼 수준이라, 영주를 전장에서 잃어도 국왕처럼 부담이 되진 않고 계속 새로 생산하며 랭커스터 보병진을 지원하기 쉽다.
- 관련 업그레이드
- 공통 : 공성 기술(공성추 및 공성탑 제작 가능), 정예 군대 전술(
체력 +15%,
근거리 및
추가 공격력 +15%)
8. 고유 건물
8.1. 장원
장원[22]음차되어있다. ] (Manor) 인구 건물 | |||||||
시대 | | 건설 비용 | | 건설 시간 | | ||
내구도 | | 크기 | 3 × 3 | 시야 범위 | | ||
건설 최대치 | 파일:AOE4_Build_Limit.png3 → 파일:AOE4_Build_Limit.png6 → 파일:AOE4_Build_Limit.png9 | 인구수 제공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각종 공격 수치 보기]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공격 종류 | | |||||
공격력 | | ||||||
추가 공격력 | 선박 | ||||||
공격 사거리 | | ||||||
공격 속도 (표기 수치) | | ||||||
공격 속도 (엔진 수치) | | }}}}}}}}} | |||||
{{{#!folding [테크 트리 보기] | 봉건 시대 | | |||||
집약적 토지 정책 | |||||||
↓ | |||||||
| |||||||
<rowcolor=white> 개방경지제 | |||||||
제국 시대 | | ||||||
<rowcolor=white> 병역 면제세 |
영향력
- 랭커스터 성 랜드마크에 영향 받음, 영향력 제공 범위 확장 불가
- 보유 효과
매너 수입(Manor Income) /
장원세(Manor Taxes)
- 매 7.5초마다 (
8
6) 자원을 생성함(분당
60
45 수입).
- 제국 시대 '병역 면제세' 연구 시 매 7.5초마다 (
5) 자원 추가로 생성함(분당
40 수입)
봉건 시대부터 랭커스터 가문 문명의 경제력을 책임지는 무한 자원 생성 고유 건물이자 집 건물처럼
- 관련 업그레이드
- 고유 : 집약적 토지 정책(
내구도 +200, 파일:AOE4_Build_Limit.png건설 최대치 +3) → 개방경지제(
내구도 +300, 파일:AOE4_Build_Limit.png건설 최대치 +3), 병역 면제세(분당
40 수입 추가)
- 공통 : 궁정 건축가(
내구도 +30%)
9. 고유 기술
| 해군 본부(Admiralty) |
봉건 시대 / 부두 | |
모든 군함 유닛의 최대 공격 사거리 +1 타일 |
| 집약적 토지 정책(Condensed Land Practices) |
봉건 시대 / 장원 | |
장원 건물의 건설 최대치 +3 및 내구도 +200 | |
↓ | |
| 개방경지제(Open Field System) |
봉건 시대 / 장원 | |
장원 건물의 건설 최대치 +3 및 내구도 +300 |
시즌 10 첫 패치에서 '개방경지제' 기술의 연구 비용이 늘어나는 하향을 받았다.
| 병역 면제세(Scutage) |
제국 시대 / 장원 | |
모든 장원 건물이 분당 금 40 자원을 추가로 제공 |
해당 기술의 모티브는 중세 잉글랜드의 방패세(Scutage)로, 방패라는 뜻의 라틴어 "Scutum" 단어가 어원이다. 방패세는 국왕의 봉신이 병력 제공이나 병역의 의무 대신 지불한 세금으로, 잉글랜드에서는 헨리 1세가 군대의 병력을 크게 늘리기 위해 징수한 기록이 남아있으며 현대의 국방세 개념과 비슷하다.
| 빌병(Biilmen) |
봉건 시대 / 보병 양성소 | |
창병 유닛이 공격 적중 시 적 유닛의 방어력을 감소시키는 '빌병' 능력을 얻음 |
- 하단 특수 능력을 모든 창병 유닛에게 추가
빌병(Billmen) : "매 공격마다 적의 방어력이 -1 감소합니다."
근거리 공격 적중 시 6초 동안 (
방어력 -1) 디버프 효과 적용, 중첩 적용 가능하나 방어력이 추가로 감소하지 않음.
기존 창병 강화 기술의 끝판왕이던 아바스 왕조 및 아이유브 왕조 '밀집 대형' 고유 기술에 맞먹는 기술로, 봉건 시대부터 저렴한 가격으로 연구가 가능하여 매우 높은 효율을 보인다. 랭커스터 가문은 잉글랜드와 달리 중보병이 성주 시대에 가야 해금되므로, '빌병' 효과를 이용해 봉건 시대부터 중장갑 유닛을 들이미는 문명 상대로 창병이 한줄기의 빛으로 작용하며, 봉건 시대 이후에도 창병과 다른 유닛을 조합해 상대방의 방어력을 깎아먹으며 더 큰 피해를 줄 수 있다. 특히 사거리가 일반 궁병보다 더 길고 방사피해 능력까지 생기는 요먼과의 조합이 상당히 좋아서, 빌을 든 창병을 앞세워 방어력을 미리 깎아놓고 그 뒤 요먼이 후열에서 지원 사격을 넣거나 '일제 사격' 능력으로 방사피해를 더욱 효과적으로 쏟게 된다.
큰 변수로 작용하지는 않으나, 대부분의 특수 능력과 달리 야생 동물 상대로도 정상적으로 적용된다. 따라서 방어력이 높은
방어력을 뚫는 효과를 고려하면 찌르는 부분이 추가된 중세 후기 형식의 빌(Bill) 폴암#을 모티브로 삼은 것으로 보인다. 연구 후 창병의 무기 모델링이 바뀌지만 당시 빌 무기의 모습과 그다지 닮지 않았다. 외형으로는 게임 내 창 무기보다 훨씬 짧아 보이지만 실제 유닛의 공격 사거리가 줄어들지는 않는다.
시즌 10 첫 패치에서 방어력 감소 효과가 -2에서 -1로 줄어드는 하향을 받았다. 창병 하나 만으로 봉건 시대 초기 중장갑 유닛을 죽창으로 찌르기는 힘들어졌지만 요먼의 지원이 있다면 여전히 봉건 시대에도 상당한 효율을 보인다.
| 투척용 단검 훈련(Throwing Dagger Drills) |
제국 시대 / 보병 양성소 | |
백작 친위대 유닛의 투척 단검 발사체 수 +1, 단검 공격에 방사피해 범위 및 사격 범위 적용 |
| 갬비슨(Padded Jack) |
제국 시대 / 대장간 | |
창병 및 요먼 유닛의 근거리 방어력 +3 |
| 일제 사격(Synchronized Shot) |
성주 시대 / 궁사 양성소 | |
요먼 유닛이 지정된 장소에 원거리 방사피해 공격을 가하는 '일제 사격' 능력을 얻음 |
단, 아무리 좋은 능력이라도 '일제 사격'의 화력 자체는 동시대 궁병과 비등한 수준이라 많은 물량의 요먼이 모여 동시에 발사하지 않는 한 망고넬 같은 굵직한 화력은 나오지 않으며, 원거리 방어력이 높은 상대로도 화력이 폭락하기 때문에 기병 전반 및 중장갑 유닛이나 공성 무기까지 일방적으로 밀어버릴 수는 없다. 망고넬처럼 움직이는 기병 상대로 맞추는 게 힘든 것이나 상대방이
9.1. 랭커스터 성 고유 기술
해당 항목들은 '랭커스터 성' 랜드마크에서 연구하지만 전부 장원 건물이 최소 1채라도 있어야 연구 가능하며, 기술 연구가 아닌 자원을 소모해 군사 유닛 세트를 받아오는 일회용 징집 항목이다. 따라서 성주 시대 '킹스 칼리지' 랜드마크의 연구 비용 할인 효과를 받을 수 없으며, 대장간 '사관학교' 기술의 생산 가속 효과도 받지 않는다. 장원 건물의 숫자가 많을수록 더 많은 유닛이 뽑혀 나오므로, 연구할 타이밍과 들어가는 비용에 비해 받는 유닛의 가치를 잘 저울질해야 한다.전부 실제 중세 잉글랜드의 군사 소집 방식을 모티브로 삼았으며, 귀족(젠트리)#, 종사(요먼)#, 평민(민병대)# 순으로 점점 확대되는 과정을 나타낸다. 장원 건물과 연계되는 점은 당시 병역 자체가 토지 소유권과 장원 제도와 맥락을 같이하며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것을 묘사하는 것에 가깝다.
| 귀족 소집(Muster the Nobles) |
봉건 시대 / | |
랜드마크 건물에 (장원 숫자) + 2기 만큼 반창기병 유닛을 생성 |
빠르게 다수의 반창기병을 확보하는 강력함 덕분인지 시즌 10 첫 긴급 패치에서 연구 비용이 조금 늘어났다.
| 샤이어 징집(Shire Levy) |
성주 시대 / | |
랜드마크 건물에 (장원 숫자) + 8기 만큼 요먼 유닛을 생성 |
| 정확한 시민군 프로그램(Exact Militia Program)[25] |
제국 시대 / | |
랜드마크 건물에 장원 건물 숫자 만큼의 반창기병, 백작 친위대, 요먼 유닛을 생성 |
9.2. 킹스 칼리지 고유 기술
| 언덕 훈련(Hill Training) |
성주 시대 / | |
호벨라 유닛의 돌격 공격력 +150% 및 생산 속도 +100% |
| 에세스의 목걸이(Collar of Esses) |
성주 시대 / | |
기사 및 반창기병 중기병 유닛에게 중장갑 유닛 상대로 추가 공격력 +6 적용 |
'에세스의 목걸이(Collar of Esses)'란 14세기부터 사용된 전통적인 경식(頸飾, Livery Collar)의 일종으로, 제복이나 예복의 일부로 기능하는 목걸이 형태의 휘장 또는 훈장을 뜻한다. 영국 내에서는 랭커스터 가문이 최초로 사용한 것으로 전해지며, 현대에도 영미권 전역에서 기사단을 상징하는 훈장이나 특정 공무원이 착용하는 제복 양식으로 계속 쓰고 있다. 에세스(Esses)는 특정한 이름이 아니라 목걸이에 들어간 S자 문양을 뜻한다.
| 워울프 트레뷰셋 투석기(Warwolf Trebuchet) |
성주 시대 / | |
평형추 트레뷰셋 투석기 유닛의 최대 공격 사거리 +2 타일 및 체력 +50% |
해당 기술 연구 시 현재 게임 내 트레뷰셋 관련 기술 중 최초로 트레뷰셋의 외형이 실제로 바뀐다. 더 튼튼해진다는 점을 반영한 건지 황금색의 빛나는 외형으로 바뀌며, 다른 트레뷰셋 강화 기술들과 조합하면 2편의 왕정 시대 최강 공성 무기였던 그 시절 트레뷰셋의 위용을 어느 정도 재현할 수 있다.
| 부르고뉴 수입(Burgundian Imports) |
성주 시대 / | |
초기 총통병 유닛 생산 해금 및 총통병 유닛의 생산 비용 -25% |
해당 기술의 모티브는 백년전쟁 시기 부르고뉴국에서 적극적으로 화약 무기를 연구하고 개발한 역사적 사실이다. 당시 부르고뉴파는 프랑스 발루아 왕실과 대립하며 잉글랜드와 협력했으며, 부르고뉴를 통해 다양한 화포 기술이 유럽 전역에 퍼지기 시작했다.
파일:AOE4_Military_Tactics_Training.jpg | 군사 전술 훈련(Military Tactics Training) |
성주 시대 / | |
모든 군사 유닛의 추가 공격력 +20% |
해당 기술을 통해 화력이 크게 강화되는 경우는 주로 상성 관계를 통해 큰 추가 피해를 주는 유닛들로, 대표적으로 기본 상성 관계의 주축인 봉건 시대 삼인방(창병, 요먼, 호벨라)과 해군 삼인방(궁병선, 공격선, 소이선)이 있다. 건물 상대로 추가 피해를 통해 공성 역할을 수행하는 트레뷰셋, 컬버린포, 카락선의 공성 DPS 또한 크게 늘어나며, 벽 상대로 높은 추가 피해를 주는 공성추에게도 효과가 있다.
정반대로 해당 기술의 혜택을 제대로 못 받아 효율이 낮은 경우는 순수 화력이 높아 추가 공격력이 아예 없거나 낮은 유닛들이다. 백작 친위대, 기사나 반창기병 같은 중기병, 리볼데퀸 유닛들은 모두 높은 순수 화력에 의존하는 유닛이라 아무런 효과를 받지 못하며, 스프링갈드나 망고넬 투석기, '에세스의 목걸이'를 적용한 중기병 계열도 추가 공격력 자체가 그다지 높지 않아 기술을 적용해도 수치가 1~2 정도 밖에 늘어나지 않는다.
| 왕실 함대(Ships of the Crown) |
제국 시대 / | |
전투선 유닛의 공격력, 추가 공격력, 체력 및 최대 공격 사거리 +20% |
10. 패치 노트
<rowcolor=white> 빌드 | 변경점 |
13.0.4343(시즌 10) | 랭커스터 성 랜드마크 • '귀족 소집' 고유 기술 연구 비용 증가( |
윈가드 궁 랜드마크 • '주둔지 사령부' 생산 세트 시간 증가( • '백작의 수행원' 생산 세트 시간 증가( • '화약 파견 부대' 생산 세트 가격 증가( | |
반창기병 고유 유닛 • 시대별 체력 감소( • 시대별 근거리 공격력 감소( • 시대별 돌격 공격력 감소( | |
'양모 산업' 문명 특성 하향(주민 유닛의 | |
창병 유닛의 '빌병' 능력 효과 하향(근거리 공격 명중 시 해당 유닛의 | |
요먼 고유 유닛의 '일제 사격' 능력 시대별 원거리 공격력 감소( | |
장원 고유 건물의 분당 자원 수입 감소( | |
장원 '개방경지제' 고유 기술 연구 비용 증가( |
[1] 오역. 원문은 "A House Unified" 단어로, 집이 아니라 가문을 뜻한다.[2] 랭커스터 가문의 휘장인 붉은 장미꽃이 들어간 가상의 국기다.[작성기준] 2025년 4월 10일 빌드 13.0.4343[원문1] 주민이 양으로부터 자원을 얻는 속도가 20% 더 빨라집니다.[원문2] 매너를 건설하여 지속적으로 식량과 목재를 생성합니다.[원문3] 마을 회관이 건설되면 4마리의 양을 생성합니다.[원문4] 건설 시 백작 친위대 3명을 계속 부여합니다.[원문5] 활성 중인 성채는 백작 친위대와 반창기병의 피해를 향상시킵니다.[원문6] 주민들은 적 유닛을 공격할 때 짧은 활을 쏩니다.[원문7] 선박 생산 비용이 -10% 저렴합니다.[미표기] UI상에 표시되지 않음[12] 프로 경기에서도 등장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429RaEwSSeQ[13] 오역. 킹스 칼리지에서가 아니라 킹스 칼리지 때문에 해당 건물에서 연구 비용이 할인되는 효과다. 다만 해당 효과는 효과를 제공하는 킹스 칼리지 건물 자신에도 적용된다.[공성] 모든 방어력을 무시[미표기] [16] 문명 특유의 고유 유닛을 포함한 종교 유닛들 전반, 몽골의 칸이나 칸의 사냥꾼, 오스만의 메흐테르, 일본인 기수 유닛들, 같은 문명인 랭커스터의 영주 유닛까지 포함한다.[미표기] [미표기] [미표기] [20] 창병은 고유 기술로 상대 유닛의 방어력을 낮추고, 요먼은 이동 속도와 사거리로 우월하게 카이팅하며, 랭커스터 가문은 단순한 조합과 저렴한 물량으로 상대의 고급 유닛을 맞설 수 있다. 4기의 영주를 대동한 경우, 영주는 체력 300이 넘는 버프 토템이 되어 부대의 유지력을 높이고 상대에게 약상성인 석궁병 생산과 점사 컨트롤을 강제하게 된다.[21] 랭커스터 성이 지닌 초중반 안정성을 포기하지만 장원 1채가 주민 3기의 성능인 것은 동일하므로, 영주의 군대로 2시대 소모전과 상호 1TC 구도를 유도하면서 조금씩 장원 경제력을 늘릴 수 있다.[22] 현재 '매너'로[23] 대표적인 예시로 루스인 사냥꾼 오두막, 말리인 소 목장 및 구덩이 광산, 오스만 군사 학교, 비잔티움 저수조 등등이 있으며, 전부 건설 최대치가 있거나 까다로운 건설 입지 조건 또는 석재 같은 추가 비용을 요구한다.[24] 봉건 시대 염가형 중기병을 운용하거나 시작부터 각종 생산 관련 효과가 존재하는 프랑스인, 몽골, 말리인, 잔 다르크, 성전기사단 문명과 비교해도 뒤처지지 않을 정도로 상당히 빠른 시간대다.[25] 오역. 여기서 "Exact" 단어는 정확하다는 형용사가 아니라 '세우다, 실시하다'는 뜻의 동사로 쓰였다. 더 정확한 의역은 '민병대 소집 시작'이나 '민병대 소집령 발동'에 가깝다.[연구비용할인] 해당 랜드마크의 할인 효과 적용 후 연구 가격이 줄어든 실제 연구 비용[연구비용할인] [연구비용할인] [연구비용할인] [연구비용할인] [연구비용할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