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bgcolor=#9F0807><colcolor=#FCE774> 로마 제국 제106-1대 황제 에브도키아 마크렘볼리티사 Εὐδοκία Μακρεμβολίτισσα | |
| |
출생 | 1030년경 |
사망 | 1081년 이후 |
콘스탄티노폴리스 | |
재위 기간 | 로마 황제 |
1067년 5월 23일 ~ 1067년 12월 31일 (7개월)[1] | |
로마 황후 | |
1059년 ~ 1067년, 1068년 ~ 1071년 (11년)[2] | |
전임자 | 콘스탄티노스 10세 |
후임자 | 로마노스 4세 |
부모 | 아버지 : 요안니스 마크렘볼리티스 |
배우자 | 콘스탄티노스 10세 로마노스 4세 |
자녀 | 미하일 7세 안드로니코스 두카스 콘스탄티오스 두카스 안나 두케나 테오도라 두케나 조이 두케나 레온 디오예니스 니키포로스 디오예니스 |
종교 | 기독교(정교회) |
1. 개요
11세기 동로마 제국 두카스 왕조의 황후 및 여제. 첫번째 남편 콘스탄티노스 10세와 사별한 뒤 두 아들의 선임 황제로 재위하다가 로마노스 4세와 재혼하여 그에게 황위를 넘겼다.2. 생애
콘스탄티노스 10세는 황후 에브도키아와의 사이에서 둔 자식들 중에서 두 아들 미하일 7세와 콘스탄티오스 두카스를 후계자로서의 명목상 공동 황제로 임명했다. 그런데 특이하게도 황후 에브도키아 또한 남편의 후계자로서 공동 통치자에 임명되었다.[3]남편 콘스탄티노스 10세는 죽기 직전에 군인 정치가가 득세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에브도키아로부터 재혼하지 않겠다는 서약을 받아낸 뒤 1067년 5월에 사망했다. 에브도키아·미하일 7세·콘스탄티오스 3명이 공동 통치자로 남겨졌지만 나머지 둘의 어머니인 에브도키아가 최고 통치자였다.
1067년 대규모 유목민의 침공으로 나라가 위태로워지자 에브도키아는 원로원과의 협의 끝에 유능한 지휘관 중 한 명과 혼인하기로 결정했고, 1068년 1월 1일에 로마노스 4세와 재혼하면서 그에게 황위를 넘기고는 그의 황후가 되었다.
로마노스 4세가 만지케르트 전투에서의 패배로 인해 1071년 10월에 황제 자리에서 폐위되고 미하일 7세가 선임 황제로 추대되었다. 한 달간 에브도키아가 섭정을 맡았지만 그녀가 언제든지 로마노스 4세와 같은 인물을 또 끌어들일 수 있다고 판단한 요안니스 두카스 부제에 의해 이는 저지되어 에브도키아는 수녀원으로 은퇴당했다.
1072년 8월에 사망한 로마노스 4세의 장례를 치러줬고, 미하일 7세의 다음 황제가 된 니키포로스 3세의 결혼 후보자에 올랐지만 성사되지는 못했고, 알렉시오스 1세의 즉위 후에 죽었다.
[1] 미하일 7세, 콘스탄티오스 두카스의 선임 황제[2] 1059년 11월~1067년 5월: 콘스탄티노스 10세의 황후
1068년 1월~1071년 10월: 로마노스 4세의 황후[3] 니키포로스 왕조의 황제 스타브라키오스도 자신의 황후 테오파노를 황위를 물려줄 후계자로 지명했으나 실현되지는 못했다.
1068년 1월~1071년 10월: 로마노스 4세의 황후[3] 니키포로스 왕조의 황제 스타브라키오스도 자신의 황후 테오파노를 황위를 물려줄 후계자로 지명했으나 실현되지는 못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