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02 08:33:34

언더나인틴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해당 프로그램을 통해 결성된 보이그룹}}}에 대한 내용은 [[원더나인]]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원더나인#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원더나인#|]]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해당 프로그램을 통해 결성된 보이그룹: }}}[[원더나인]]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원더나인#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원더나인#|]]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colbgcolor=#0080ff><colcolor=#feacdc> 파일:언더나인틴 re.png
파일:언더나인틴 그래픽 디자인.jpg
방송사 <colbgcolor=#fff>문화방송
제작사 포켓돌스튜디오 | 문화방송
방송 기간 2018년 11월 3일 ~ 2019년 2월 9일 (14부작)
등급 파일:MBC12.png 12세 이상 시청가
링크 파일:MBC 로고.svg 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 파일:카카오TV 아이콘.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V LIVE 아이콘.svg[1]

1. 개요2. 출연
2.1. MC&디렉터2.2. 참가자
3. 방영 목록4. 김신영의 TMI 언더나인틴5. 음반 목록
5.1. Battle of Title song5.2. UNDER19 FINAL
6. 최종 데뷔조7. 시청률8. 반응9. 여담10. 참가자 근황
10.1. 신규 그룹 데뷔10.2. 기존 그룹 합류10.3. 솔로 가수 데뷔10.4. 그 외 참가자
11. 둘러보기

1. 개요

Be the next!
당신의 아이돌은 누구입니까?
MBC에서 2018년 11월 3일부터 2019년 2월 9일까지 방영한 보이그룹 서바이벌 오디션 프로그램.

MBCMBK엔터테인먼트김광수 회장이 총괄 프로듀서로 있는 회사 '포켓돌스튜디오'와 합작한 프로그램이다. 오직 10대들을 위한 아이돌 오디션 프로그램으로, 랩 / 보컬 / 퍼포먼스 3개의 파트로 나뉘어 각 파트의 최강자들 중 9명을 선발해 차세대 아이돌을 탄생시키는 아이돌 오디션 프로그램이다. 최종 1000여명이 지원하였고 57명의 연습생이 선발되어 출연하였다.

2. 출연

2.1. MC&디렉터

<nopad> 파일:director.png

2.2. 참가자

파일:언더나인틴 re.png
언더나인틴
의 참가자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전체 참가자 목록
파일:원더나인글자.png
김준서김태우박성원신예찬유용하이승환전도염정진성정택현
파일:under19_voc.jpg 파일:under19_rap_.jpg 파일:under19_per_.jpg
최종회 데뷔조 탈락자
김영원배현준 이상민이예찬 김시현박시영송병희수런이종원
13회 기준 탈락자
강준혁윤태경전찬빈 김성호
12회 기준 탈락자
김건김영석김정우이동준이재억임윤서임형빈 박진오 손진하송재원신찬빈오다한크리스티안
9회 기준 탈락자
구한서김예준남도현장루이정현준 김강민에디정원범코스케
6회 기준 탈락자
김빈윤도연제이 창 김준재 • 이민우이준환장민수최용훈
자진 하차 및 방출된 참가자
지진석 방준혁최수민 우무티
}}}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언더나인틴/참가자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언더나인틴/참가자#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언더나인틴/참가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방영 목록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언더나인틴/방영 목록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언더나인틴/방영 목록#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언더나인틴/방영 목록#|]]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김신영의 TMI 언더나인틴

  • 김신영이 진행하는 <김신영의 TMI 언더나인틴>은 매주 일요일 밤 8시 45분부터 15분간 방송되었으며 차세대 글로벌 아이돌의 탄생을 위한 10대 오디션 프로그램 '언더나인틴'의 예비돌 57명을 파헤치는 프로그램이다. '언더나인틴' 본방송에 소개되지 못한 무대 뒷이야기, 합숙생활 비하인드 등 예비돌 57명에 관한 풍성한 정보를 담고 시청자들을 찾아간다. MBC 공식 SNS를 통해 공개된 ‘김신영의 TMI 언더나인틴’ 첫 회 예고편에서는 ‘언더나인틴’의 예비돌을 바라보는 김신영의 놀라움 가득한 리액션을 엿볼 수 있다. 김신영은 ‘언더나인틴’ 제 4의 디렉터, ‘끼렉터’로서 예비돌들의 끼와 스타성을 가감 없이 평가했다.
  • 10, 11화에서는 퍼포먼스 디렉터 은혁이 게스트로 출연했다.#, #
  • 언더나인틴 본편과 마찬가지로 시청률에서 큰 재미를 보지 못했으며 11월 25일 방영분은 TNMS 기준 1%대마저 무너진 0.9%를 기록했다.#
  • 어느 순간부터 MBC pick이라는 제목으로 변경되었으며, 언더나인틴이 종영된 5회 이후부터는 다른 예능 프로그램의 예고나 나쁜형사, 아이템(드라마)의 예고, 일사에프 소개 영상 등 잡다한 리뷰 프로그램으로 변질되었다. 이후 침착한 주말이라는 제목으로 변경되어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MBC 내에서는 김신영의 TMI, MBC pick, 침착한 주말을 각각 다른 프로그램으로 보고 있으나, 사실상 제목과 진행자만 변경된 같은 프로그램이라고 보면 된다.

5. 음반 목록

5.1. Battle of Title song

파일:20210299.jpg
<rowcolor=#feacdc> 트랙 제목 작사 작곡 편곡
<colbgcolor=#ddd> 1 Go Tomorrow 제이큐(JQ)
이지혜
Danke
James Stordy
Brian McKnight Jr.
ALAWN
Andreas Ringblom
Alfred Thomas
Mathias Holsaae
라이언 전
2 We are Young 이기용배
3 FRIENDS(좋은사람) VENDORS
Nano
VENDORS
2018년 11월 25일 발매.

5.2. UNDER19 FINAL

파일:20228284.jpg
<rowcolor=#feacdc> 트랙 제목 작사 작곡 편곡
<colbgcolor=#ddd> 1 마법 같아 프라임보이(Primeboi) 이단옆차기
프라임보이(Primeboi)
JESE
프라임보이(Primeboi)
2 별을 쏘다 이기용배, 앙리 이기용배
2019년 2월 9일 발매.

6. 최종 데뷔조

<rowcolor=#feacdc> 그룹명 결성일 데뷔일 해체일 소속사
원더나인 2019년 2월 9일 2019년 4월 13일 2020년 8월 15일 포켓돌스튜디오

7. 시청률

  • 닐슨 기준, 최고 시청률은 파랑, 최저 시청률은 빨강
<rowcolor=#fff> EP 방영일 시청률
1 2018년 11월 3일 2.2%
2 2018년 11월 10일 1.7%
3 2018년 11월 17일 1.9%
4 2018년 11월 24일 1.5%[6]
5 2018년 12월 1일 1.2%
6 2018년 12월 8일 1.4%
7 2018년 12월 15일 1.2%
8 2018년 12월 22일 1.5%
9 2018년 12월 29일 1.6%
10 2019년 1월 5일 1.6%
11 2019년 1월 12일 1.1%
12 2019년 1월 19일 0.9%
13 2019년 1월 26일 1%
14 2019년 2월 9일 1.3%
  • 2화에서는 보컬 팀에서 괄목할 만한 실력의 참가자가 나왔고, 만 12세의 이예찬이나 K-POP 마니아를 자처하는 미국인 에디 등 화제성이 있을 수 있는 참가자들도 나왔으나 시청률은 2화만에 1%대로 떨어졌다. 지상파토요일에 저녁 시간대라는 최상의 삼박자들을 다 갖췄음에도 불구하고 1.7%밖에 안 나왔다는 것은 사실상 골수 시청자가 없다는 것과 다를 바 없다는 뜻이며, 전작 뜻밖의 Q의 최저 시청률 기록인 1.8%까지 깨졌다.
  • 4화부터는[7] 동시간대 음악프로인 더 팬이 방영되기 시작하면서 3사 모두 음악 관련 프로그램으로 맞붙게 되었으며, 첫 방송부터 6% 대의 시청률을 기록한 뒤 준수한 화제성을 이끌면서 이 프로그램의 시청률과 존재감은 한층 더 소멸했다.
  • 그 뒤 12회에선 0.9%를 기록하면서 아예 1% 아래까지 떨어졌다. 0%대 시청률을 기록한 아이돌 오디션으로는 소년24가 있지만 그 쪽은 케이블이라서 직접 비교가 힘들고, 그 소년24조차도 500석의 전용 공연이 매일 완매될 정도의 팬덤은 확보했었다. 같은 시기 방영되는 YG보석함의 인터넷 영상 조회수는 그럭저럭 나오고 있다.[8] 반면 언더나인틴은 끝판왕인 믹스나인보다도 커뮤니티 반응, 시청률, 동영상 조회수가 좋지 않아서 방송 후의 행보마저 저 프로처럼 된다면 모든 면에서 최악의 아이돌 서바이벌로 찍힐 것이다.[9]
  • 결국 마지막회에서는 1.3%라는 시청률을 기록했으며 이 시청률은 망작이라고 평가받는 슈퍼스타K 2016 (2.0%)보다도 낮고 심지어 비슷한 시기에 방영한 오디션 프로그램인 믹스나인 (1.9%)보다도 낮은 시청률을 보여주고 쓸쓸히 퇴장했다. 전작인 뜻밖의 Q는 3% 대도 종종 있었지만, 언더나인틴은 첫 방송을 제외하고는 2% 아래였다.

8. 반응

  • 공개 직후 반응은 영 좋지 않다. 브랜드 가치가 가장 높은 프로듀스 101 시리즈도 3번째 시즌은 이전 시즌들보다 시청률, 화제성도 많이 희석된 만큼[10] 오디션 시장이 과포화된 상태인데, 비슷한 포맷의 서바이벌 프로그램을 런칭했기 때문. 사실 『프로듀스 101소년24프로듀스 101 시즌2아이돌학교더 유닛믹스나인프로듀스 48』까지 이렇게 많은 오디션 서바이벌 프로그램이 무려 2년이라는 짧은 기간에 모두 진행되었다.[11] 그 기간동안 같은 포맷으로 프로그램 이름과 출연자만 바뀐 채로 재방송하는 격인 것이다. 당연히 대중들은 방송을 보기도 전에 질릴 수 밖에 없다.
  • 언더나인틴을 제작하는 김광수 사장이 이전에 제작한 프로그램인 더 유닛이 비록 방송 자체는 KBS의 지원에 힘입어 무난하게 끝났지만 이후 데뷔조 두 팀은 김광수 산하에서 많은 악조건 속에서 활동을 했으며 활동 마무리도 흐지부지됐다.[12] 이런 상황에서 김광수가 또 오디션을 한다고 하니 좋게 볼 아이돌 팬들은 많지 않다.
  • 연령대를 19세 이하로만 한정했다보니 연습생들의 이미지 소비가 어린 나이에 너무 빨리 진행되었던 점도 단점으로 지적받고 있다. 특히 언더나인틴 이후에 방송한 다른 보이그룹 오디션들[13]을 보면 언더나인틴 참가자들과 연배가 비슷한 참가자들도 상당수 있었기 때문에[14] 언더나인틴 출연으로 인해 이미지가 너무 빨리 소비되면서 탈락하더라도 데뷔나 타 오디션에 재도전은 커녕 그대로 연예계에서 자취를 감춘 참가자들도 상당수 있었음을 생각하면 어린 보이그룹이라는 컨셉상의 한계를 방송 시작부터 일찌감치 잡아버린 것이 결과적으로는 독이 된 것이라는 의견이다.
  • 첫 방송 이후 반응은 그야말로 괴멸적인 상황 그 자체다. 부정적인 반응조차도 많지 않기 때문에, 연예 커뮤니티에서도 공기와 같은 희미한 존재감을 뽐내고 있다. 더 유닛은 참가자가 기존에 데뷔했던 연예인이라 인지도 있는 참가자가 실시간 검색어 순위에 오르기라도 했었고, 소년24아이돌학교는 비록 부정적인 반응이 대부분이었지만 온라인 상에선 매니아층이 생기는 등 유의미한 반응은 있었다.
  • 언더나인틴은 프로그램 자체만 실시간 검색어 순위가 잠깐 3위에 올랐다가 떨어졌을 뿐, 참가자들에 대한 관심과 화제성은 사실상 0에 수렴한다. 그나마 돋보이는 것은 MC 김소현 정도. 당장 첫 회 시청률부터 2.2%로 전작인 뜻밖의 Q보다 1퍼센트 포인트 가량 낮은 처참한 시청률을 보여줬다. 오디션 프로그램의 경우 시청률보다 온라인 화제성이 더 중요하기는 하지만, 언더나인틴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도 프로그램에 대한 이야기 자체가 적어서 예비돌에 대한 "영업글"이나 투표 독려는 거의 없고 2화 방영 후에는 실시간 검색어에서도 흔적조차 찾을 수 없다.
  • MBC가 언더나인틴에 대해 진행한 사전 홍보가 거의 없었다. 네이버 포스트로 유명 가수들인 디렉터들의 출연만 홍보했을 뿐, 참가자들에 대한 홍보는 전무했다. 첫 방송을 이틀도 안 남긴 시점에 57명 전원의 프로필과 자기소개 영상을 한꺼번에 업로드하는 등 방송 전부터 화제성을 모으기 위한 노력조차 하지 않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런 홍보 부족은 꽤 심각해서, 이 프로그램이 런칭된 것을 잘 모르는 아이돌 팬들도 많았다. 대대적인 홍보를 해도 될까 말까한 판에 네이버TV,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등을 통한 홍보도 미흡했으니 말 다 한 셈이다. 비하인드 영상을 보여주는 '김신영의 TMI 언더나인틴' 이라는 별도의 프로그램이 있지만 뉴스와 주말드라마 사이에 15분 정도만 편성되었기 때문에 홍보효과는 미미한 편이다. 그래도 중반부에 들어서는 자사의 음악 프로그램이나 연예대상 특별무대에 출연시키는 등 어느 정도 홍보해주고 있다.

9. 여담

  • 방송 오프닝과 엔딩 타이틀에 들어가는 음악은 Electro-Light - Symbolism [NCS Release]이다.
  • 개인전으로 치른 경연이 없다.
  • 아이돌 오디션 서바이벌 중 거의 유일하게 투표나 계약 관련 문제가 안 터졌다. 이게 좋은건지 나쁜건지
  • 프로그램 진행을 하면서 어느 한 팀이 더 많이 데뷔할 것(?)이라는 암시(?)가 있었으나 공평하게 각 팀당 세명씩 데뷔했다.

10. 참가자 근황

10.1. 신규 그룹 데뷔

<rowcolor=#feacdc> 참가자 그룹명 데뷔 일자 소속사 비고
김시현 위인더존 2019년 5월 27일 춘 엔터테인먼트 2021년 2월 16일 해체
남도현 X1 2019년 8월 27일[15] 스윙엔터테인먼트 프로듀스 X 101 데뷔조
2020년 1월 6일 해체
H&D 2020년 4월 21일 포켓돌스튜디오 BAE173의 프리 데뷔 유닛
BAE173 2020년 11월 19일 포켓돌스튜디오 2023년 6월 22일 탈퇴[16]
방준혁 MCND 2020년 2월 27일[17] 티오피미디어 자진 하차
예명
보이즈 II 플래닛 참가
임형빈 밴디지 2020년 4월 3일 플레이엠엔터테인먼트[18] 2022년 3월 탈퇴
2022년 아티스탁 게임 참가
유용하[A] 위아이 2020년 10월 5일 위엔터테인먼트
김준서[A] 2025년 보이즈 II 플래닛 참가
박성원[A] 싸이퍼 2021년 3월 15일 레인컴퍼니 A team 엔터테인먼트에서 이적
예명
2023년 8월 9일 탈퇴
이상민 미래소년 2021년 3월 17일 DSP미디어 예명 카엘
2024년 7월 9일 해체
박시영 2024년 7월 9일 해체
신예찬[A] OMEGA X 2021년 6월 30일 아이피큐[23] 티오피미디어에서 이적
전도염[A] JUST B 2021년 6월 30일 블루닷엔터테인먼트 플레이엠엔터테인먼트에서 이적
송병희 플레이엠엔터테인먼트에서 이적
예명 배인
크리스티안 VXON 2022년 1월 7일 Cornerstone Entertainment 스타로드 엔터테인먼트에서 이적
예명 C13
송재원 TEMPEST 2022년 3월 2일 위에화엔터테인먼트 DSP미디어에서 이적
예명 화랑
2024년 8월 11일 탈퇴
김정우 NINE.i 2022년 3월 30일 퍼스트원 엔터테인먼트 해피페이스엔터테인먼트에서 이적[25]
예명
김태우[A] BLANK2Y 2022년 5월 24일 키스톤엔터테인먼트 A team 엔터테인먼트에서 이적
예명 루이
2023년 10월 24일 BLANK2Y 해체
DV.OL 멤버
이예찬 xikers 2023년 3월 30일 KQ 엔터테인먼트
김건 위어스 2023년 5월 3일 위어스엔터테인먼트 2023년 10월 9일 탈퇴
데이차일드 2024년 5월 6일 블랙베어레코드 예명 케이
윤태경 n.SSign 2023년 8월 9일[27] n.CH엔터테인먼트 윤도하로 개명
2022년 청춘스타 참가
청춘스타 TOP7
제이 창 ONE PACT 2023년 10월 24일 ARMADA 엔터테인먼트 2023년 보이즈플래닛 참가
2024년 빌드업: 보컬 보이그룹 서바이벌 참가
빌드업: 보컬 보이그룹 서바이벌 데뷔조
B.D.U 2024년 6월 26일[28] 오르카뮤직
우무티 워터파이어[29] 2024년 5월 30일 주식회사 워터파이어 자진 하차
2023년 보이즈플래닛 참가
2024년 빌드업: 보컬 보이그룹 서바이벌 참가
XLOV 2025년 1월 7일 257엔터테인먼트
A:SIDE 2025년 5월 10일 APLAN INTERNATIONAL MUSIC 2023년 보이즈플래닛 참가[30]

10.2. 기존 그룹 합류

<rowcolor=#feacdc> 참가자 그룹명 데뷔 일자 소속사 비고
장루이 세븐어클락 2019년 11월 12일[31] 포레스트 네트워크 2021년 3월 2일 해체
2021년 극한데뷔 야생돌
2024년 SCOOL: IDOL DREAM SPACE 참가

10.3. 솔로 가수 데뷔

<rowcolor=#feacdc> 참가자 데뷔 일자 소속사 비고
지진석 2019년 6월 3일 W2B엔터테인먼트 2021년 보이스킹 참가
2022년 아티스탁 게임 참가
전찬빈 2022년 5월 21일 로칼하이레코즈 DSP미디어에서 이적
박진오 2022년 8월 19일 무소속
이승환[A] 2023년 8월 29일 올블루레코즈[33] 플레이엠엔터테인먼트에서 이적
2021년 LOUD: 라우드 참가
2023년 보이즈플래닛 참가
예명 ONLEE
김영석 2024년 6월 8일 2nd Floor Record KQ 엔터테인먼트에서 이적[34]
이재억 2025년 7월 4일 2021년 극한데뷔 야생돌 참가

10.4. 그 외 참가자

  • 이종원은 파이널 탈락 후 큐브와 결별한 것으로 보인다. 2023년에 개인 인스타그램이 확인된 것으로 보아 큐브에서 퇴사한 것은 물론 연습생 신분 또한 아닌 것으로 추정된다.[35]
  • 코스케는 프로그램 종료 후 김정우와 함께 해피페이스와 결별하고 A엔터테인먼트로 이적해 2020년 상반기에 UTH로 데뷔할 예정이었으나 데뷔가 무산되면서 일본으로 귀국했다가, 2023년 하반기에 중국에서 방송하는 보이그룹 서바이벌인 아시아 초성단에 참가한 것이 알려지면서 다시 아이돌에 도전했고, 한국에서 출연했던 언더나인틴보다 1회 더 나아간 10회에서 하차하며 마무리했다.
  • 배현준은 2021년 11월 웹드라마 다시, 플라이의 구창희 역을 맡으며 배우로 데뷔하였으며, 탈락자들 중 유일하게 가수가 아닌 배우로 데뷔했다.
  • 수런은 파이널 탈락 후 근황이 알려지지 않다 2025년 보이즈 II 플래닛에 C그룹 참가자로 6년만에 아이돌 서바이벌에 재도전했다. [38]

11. 둘러보기

파일:MBC 로고 화이트.svg
MBC 오디션 프로그램 데뷔 그룹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ff,#fff> 프로그램 데뷔 그룹 데뷔년도
언더나인틴 원더나인 <colcolor=#000,#fff> 2019년
<nopad> 극한데뷔 야생돌 TAN 2022년
CLASS:y 2022년
FANTASY BOYS 2023년
PICKUS 2024년
}}}}}}}}}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0,#000><tablebgcolor=#000,#000> 파일:포켓돌스튜디오 로고 화이트.svg||포켓돌스튜디오
POCKETDOL STUDIO
||

[ 소속 아티스트 ]
||<-2><bgcolor=#DCDCDC,#383b40><width=1000><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 SOLO ||
복지은 켄신
GROUP
{{{#!wiki style="margin: -16px -10.5px" BAE173 에스페로 }}}
기타
유준원
[ 산하 레이블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width=1000> 파일:펑키스튜디오 로고 블랙 핑크.png파일:펑키스튜디오 로고 화이트 핑크.png ||<width=50%> 파일:엠이오 로고.svg ||
[ 관련 문서 ]
||<tablewidth=100%><width=10000><tablebgcolor=#fff,#1c1d1f><colbgcolor=#000><colcolor=#fff>
설립자
||김광수 ||
전신
<colcolor=#000,#fff>MBK엔터테인먼트
제작 프로그램
더 유닛 · 언더나인틴 · 미스트롯 · 트롯 전국체전 · 방과후 설렘 · 소년판타지
관련 회사
케이에이치컴퍼니 · 루아랩스튜디오
기타
역사 · 논란 및 비판 · 출신 아티스트

[1] 현재는 V LIVE가 위버스로 통합되었지만 아카이브에 기존 영상들이 남아있다.[2] 동명은 아이돌 리부팅 프로젝트 - 더 유닛에도 참가한 바 있다.[3] 프로듀스 101 시즌2의 참가자.[4] 아이돌 리부팅 프로젝트 - 더 유닛의 참가자.[5] 누나인 JOO아이돌 리부팅 프로젝트 - 더 유닛에 참가했다.[6] KT 아현지사 화재 사고로 인해 시청률이 며칠 후에 공개되었다.[7] 3화까지는 빅픽처패밀리가 방영되었으며 당연히 시청률은 언더나인틴보다 훨씬 잘 나왔다.[8] 다만 YG보석함은 YG 자체 연습생들을 대상으로 한 것이고, YG 차기 보이그룹을 홍보하기 위한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성격이 있으므로 직접 비교는 어렵다.[9] 이 프로와의 공통점은 방송 시간대가 주말 프라임 타임이라는 것이다. 믹스나인은 조회수가 10만이 넘는 영상이 더 유닛보다도 많았음에도 데뷔 무산이란 대형사고를 쳐서 최악으로 낙인 찍혔는데, 그나마 언더나인틴은 데뷔 사기를 칠 깡은 아예 없어 보인다. 더 유닛 데뷔조 팬덤들이 분노할 정도로 김광수가 이 프로그램에 집중한 데다가 MBC도 가뜩이나 방송국 이미지를 생각하면 그 꼴은 못 볼 공산이 높기 때문.[10] 시청률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언급량 등이 이전보다 많이 줄어들었다.[11] 특히 2017년에는 무려 4개의 프로그램을 방영했다.[12] YG의 데뷔 사기극에 묻혔을 뿐, 서바이벌로 탄생한 그룹에 4명이나 끼워팔기를 하고 긴 공백기 끝에 한국이 아닌 일본에서 그룹을 마무리해 팬들의 반발을 샀으며, 이미 다 잡혀있던 플랜을 이유도 없이 미뤄서 마지막 활동1명이 빠진 채로 하기도 했다.[13] 방영 순서대로 자사 오디션으로는 극한데뷔 야생돌~소년판타지~팬픽, 타사 오디션으로는 프로듀스 X 101~라우드~보이즈플래닛~빌드업: 보컬 보이그룹 서바이벌~메이크 메이트 원.[14] 실제로 언더나인틴 출연자들 중 이승환, , 우무티, 제이 창은 언더나인틴 출연 후 보이즈플래닛에 출연하면서 오디션에 재도전했으며 우무티와 제이 창은 빌드업에도 출연했다.[15] 결성 일자는 2019년 7월 20일.[16] 탈퇴와 동시에 포켓돌스튜디오와의 계약 또한 해지되었다.[17] 프리 데뷔 일자는 2019년 12월 13일.[18] 2021년 크래커엔터테인먼트와 합병해 IST엔터테인먼트로 개편.[A] 원더나인 출신[A] [A] [A] [23] 스파이어엔터테인먼트 소속으로 데뷔했으나 2023년 5월 8일 상호 합의 하에 계약을 해지했고, 동년 7월 2일 그룹 전체가 현 소속사로 이적했다.[A] [25] 두 기획사 사이에 A엔터테인먼트, 딥스튜디오를 거쳤다.[A] [27] 결성 일자는 2022년 7월 28일, 프리 데뷔 일자는 2022년 8월 21일.[28] 결성 일자는 2024년 3월 29일.[29] 빌드업: 보컬 보이그룹 서바이벌 파생 그룹[30] 참가 당시 웨이크원 소속.[31] 그룹 자체의 데뷔일은 2017년 3월 16일.[A] [33] 원더나인 활동을 마친 후 플레이엠과 결별했으며, 이후 RBW를 거쳐 개인 연습생 신분으로 보이즈플래닛에 출연했고, 보이즈플래닛이 종영한 후 인연엔터테인먼트를 거쳐 올블루레코즈와 계약했다.[34] 두 기획사 사이에 브랜뉴뮤직도 거쳤다.[35] 아이돌 연습생들은 사생활 관리 차원에서 개인 SNS 개설 및 사용이 암묵적으로 금기시되어 있다.[A] [A] [38] 같은 참가자였던 김준서, 방준혁과도 6년만에 재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