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08 15:56:49

보이즈 II 플래닛


파일:엠넷 로고 화이트.svg 파일:플래닛시리즈 로고.png 시리즈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1d182f,#1d182f> 보이즈 II 플래닛
(2025)
<rowcolor=#ddd,#383b40> 방영 목록참가자순위표음원 방영 목록참가자순위표음원 방영 목록참가자순위표음원
[[Kep1er|{{{#!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2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1a7e2; color: #fff"]] [[ZEROBASEONE|{{{#!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2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c0998; color: #fff"]] [[보이즈 II 플래닛/데뷔 그룹|{{{#!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2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d182f; color: #cdc8df"]]
출신 가수프로듀스 101 시리즈
}}}}}}}}} ||

파일:보이즈 II 플래닛 로고.png


[ 방영 목록 ]
||<tablewidth=100%><width=1000><tablebgcolor=#fff,#1c1d1f> [[보이즈 II 플래닛 K/1회|
K
1회]] ||<width=16.66%><nopad> [[보이즈 II 플래닛 K/2회|
K
2회]] ||<width=16.66%><|2> 3회 ||<width=16.66%><|2> 4회 ||<width=16.66%><|2> 5회 ||<width=16.66%><|2> 6회 ||
[[보이즈 II 플래닛 C/1회|
C
1회]]
[[보이즈 II 플래닛 C/2회|
C
2회]]
7회 8회 9회 10회 11회
[ 참가자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tablecolor=#ddd,#383c40><colkeepall><width=1000><#5565f6,#5565f6> K그룹 ||<colkeepall><width=50%><#e44f68,#e44f68> C그룹 ||
17명
7명
강우진 · 김건우 · 김준민 · 김준서 · 나윤서 · 마사토 · 박동규 · 박준일 · 쉬칭위 · 유강민 · 유메키 · 이리오 · 이상원 · 장한음 · 전이정 · 정상현 · 최립우 리즈하오 · 쑨헝위 · 장지아하오 · 조우안신 · 천카이원 · 허씬롱 · 후한원
2차 생존자 발표식 탈락자
13명
11명
김동윤 · 김시환 · 김인후 · 김재현 · 김태조 · 서원 · 아틱 · 염예찬 · 윤민 · 정현준 · 조계현 · 타츠키 · 한해리준 니안보행 · 당홍하이 · · 쉬에수런 · 쑨지아양 · 이첸 · 자오광쉬 · 천보원 · 판저이 · 펑진위 · 허중싱
1차 생존자 발표식 탈락자
22명
10명
김다니엘 · 김동현A · 김동현B · 김영준 · 김현서 · 노휘준 · 렌쇼 · 리온 · 문원준 · 방준혁 · 송민재 · 쇼우 · 아오시 · 앤드류 · 양다윗 · 양희찬 · 오준호 · 유센 · 이동헌 · 이승백 · 장태윤 · 함현서 궈쩐 · 동징쿤 · 비엔스위 · 장슌위 · 지앙판 · 커밍지에 · 크리센 양 · 타이가 · 홍쯔하오 · 홍쯔한
1차 경연 이전 탈락자
28명
46명
권규형 · 김민준 · 김원빈 · 김현빈 · 라이언 · 문선빈 · 박누리 · 박준성 · 박지민 · 방수환 · 백제현 · · 쇼야 · 신재하 · 유기원 · 이원우 · 이윤찬 · 이협 · 저스틴 · 조명수 · 최준석 · 켄시로 · 크리스 · 타나톤 · 타이치 · 토모야 · 허지오 · 황선우 덩지아쥔 · 동쯔치 · 룽궈하오 · 리샤오디 · 리정언 · 린신루이 · 린칭언 · 마타오 · 상린 · 쉬안하오 · 시에빙화 · 시에위신 · 시에지아후이 · 쑨한린 · 안차우윗 · 양지아펑 · 영육힘 · 왕동이 · 왕성린 · 왕식헤이 · 왕종쯔 · 왕찬루어 · 웡웨이둥 · 위안웨이 · 임잭 · 장스이 · 장위시 · 장이화 · 정런위 · 정쿤 · 조우옌허 · 조우정 · 지아한위 · 쩡상쉬안 · 차이진신 · 챠오관전 · 천리치 · 천즈슈어 · 천진신 · 천차오위 · 치린 · 크리스티안 · 피닉스 · 한루이저 · 허준진 · 황신유
하차한 참가자
루어진웨이 · 린츄난 · 위안페이이 · 천위치 · 한지앙위 · 허지아하오
문서 있음 문서 없음
[ 음반 목록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tablecolor=#212529,#e0e0e0><width=1000><nopad> 파일:올라 (HOLA SOLAR).jpg ||<width=33.3%><nopad> ||<width=33.3%><nopad> ||
[[올라 (HOLA SOLAR)|
올라 (HOLA SOLAR)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1d182f" dark-style="border-color: #cdc8df"
[ 관련 문서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width=1000> 참가자 ||<width=25%> 순위표 ||<width=25%> 음원 목록 ||<width=25%> 음반 목록 ||
참가자 케미 파일:디시인사이드 아이콘.svg 갤러리 비판 및 논란 데뷔 그룹
<colbgcolor=#1d182f,#1d182f><colcolor=#cdc8df,#cdc8df> Mnet 예능 프로그램
보이즈 II 플래닛 (2025)
BOYS II PLANET少年 II 星球ボーイズ II プラネット
파일:BOYS II PLANET 메인포스터.jpg
방송사 Mnet
제작사 CJ ENM
방송 시간 목요일 오후 9시 20분
[ 통합 이전 방송 시간 ]
K: 목요일 오후 9시 20분
C: 금요일 오후 9시 20분
<nopad> 방영 기간 <colbgcolor=#1d182f,#1d182f><colcolor=#e8eaee,#e8eaee> K 2025년 7월 17일 ~ 2025년 7월 24일
C 2025년 7월 18일 ~ 2025년 7월 25일
통합
방송 중
2025년 7월 31일 ~ 2025년 9월 25일
C [1] 미정
장르 아이돌 오디션 프로그램
스트리밍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제작 기획 CJ ENM제우스웍스
연출 총괄 김신영
K / 통합 정우영[2], 서동호
C 고정경[3], 서한별
작가
정은정, 김윤우, 박선아, 한수정, 남궁돈, 남혜현, 한다혜, 김현아, 김수민, 여시연, 최선, 김승희, 정혜선, 이유빈, 김진아, 박시영
마스터 해당 문단 참고
참가자 참가자 문서 참고
플랫폼 파일:엠넷플러스 심볼.svg 엠넷플러스
링크 통합
파일:유튜브 아이콘.svg[4]
K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C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파일:시나 웨이보 아이콘.svg파일:틱톡 아이콘.svg

1. 개요2. 방영 전3. 예고편
3.1. 본 예고편
4. 출연
4.1. 마스터
4.1.1. 플래닛 마스터4.1.2. 포지션 마스터4.1.3. 스페셜 마스터
4.2. 참가자4.3. 프로듀서
5. 중계6. 방영 목록7. 음반8. 각종 기록9. 프로그램 외 콘텐츠
9.1. 시그널 송 직캠9.2. 자기 PR 콘텐츠
9.2.1. 1분 + α 자기소개9.2.2. 흑백 뺨믈리에9.2.3. 쏘아올라, SOLAR!9.2.4. 내가 얼음이면 넌 나의 레몬이 되어줘9.2.5. TMI 말해볼젠가?9.2.6. ㄷㄷㄷ 노래방9.2.7. 안녕, BIG 웰컴키트!
9.3. 엠넷 플러스 커뮤니티 콘텐츠
9.3.1. 알파 에너지9.3.2. 플러스 알파 서포트9.3.3. 플래닛카드 스테이션
9.4. 온·오프라인 행사
9.4.1. PLANET DAY : OPEN STAGE9.4.2. PLANET DAY : PRIVATE STAGE9.4.3. LG 트윈스 클리닝 타임 공연9.4.4. '락 (樂)' 온라인 팬미팅
10. 평가11. 시청률12. 투표 기간13. 여담14. 참가자 근황
14.1. 최종 데뷔조14.2. 기존 그룹14.3. 신규 데뷔 그룹14.4. 솔로 데뷔

1. 개요

{{{#cdc8df,#cdc8df {{{#!wiki style="padding: 5px 0 10px"
2025년 7월 17일부터 엠넷에서 방영 중인 K-POP 보이그룹 서바이벌 오디션 프로그램으로 2023년 방영한 보이즈플래닛의 후속작이다.

2. 방영 전

  • 2024년 7월 27일, KCON LA를 통해 타이틀인 '플래닛 B(PLANET B)' 공개와 함께 참가자 모집 공고가 공개되었다. 프로그램 국적에 상관 없이 2012년 1월 1일 이전 출생자는 개인 연습생, 기획사 연습생, 데뷔 가수에 상관 없이 지원 가능하다.
  • 최초 모집 기간은 2024년 8월 10일부터 2025년 1월 26일까지로 공지되었다.
  • 2024년 11월 22일, 2024 MAMA AWARDS VCR을 통해 프로그램명이 '보이즈 II 플래닛(BOYS II PLANET)'으로 변경되었다. 이와 동시에 포맷 또한 프리퀄 프로그램에서 보이그룹 데뷔 서바이벌 프로그램으로 바뀌었으며 지원 가능 기간은 동일하게 유지된다.
  • 2025년 1월 16일부터 2월 16일까지 TJ미디어와의 협업으로 노래방 보컬 오디션을 진행하면서 자동적으로 기존 공지된 기간 종료 후에도 참가자 모집을 계속 진행하는 것이 확정되었다.
  • 2025년 1월 22일, 플래닛 시리즈로 결성된 Kep1er가 출연한 참가자 모집 영상이 업로드 되었다. 2월까지 일본 오디션을 진행해 참가자 모집을 진행하겠다고 공지했다.
  • 최초 모집 마감기간인 2025년 1월 26일, 공지사항을 통해 모집기간이 연장되었음을 밝혔다. K그룹 참가 모집 기간은 3월 23일, C그룹 모집 기간은 3월 2일까지 연장되었다.
  • 2025년 3월 31일, 참가자 최종 모집 마감을 발표했다.
  • 2025년 5월 11일, '보이즈 II 플래닛 K'의 첫 촬영을 시작했다. 또한 일부 참가자들의 명단이 유출되었다.[5]
  • 2025년 5월 23일, 첫 촬영 뒤 기존 '보이즈 II 플래닛 K'와 '보이즈 II 플래닛 C'로 나뉘었던 포맷을 하나로 합쳐 하나의 데뷔조로 데뷔시킬 것을 발표했다.
  • 2025년 6월 5일, 10명의 마스터 명단이 공개 되었다.#
  • 2025년 6월 7일, 비주얼 포스터 6인[6]이 공개 되었다.
VISUAL POSTER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iki style="word-break: keep-all"
파일:보이즈 II 플래닛 로고 워드마크.svg
VISUAL POSTER
더 뜨겁게 돌아온 두 개의 플래닛, 최고가 되고 싶은 소년들과 함께 타오를 준비가 되었는가?
파일:허중싱 보이즈 II 플래닛 비주얼 포스터 1.jpg파일:허중싱 보이즈 II 플래닛 비주얼 포스터 2.jpg 파일:정상현 보이즈 II 플래닛 비주얼 포스터 1.jpg파일:정상현 보이즈 II 플래닛 비주얼 포스터 2.jpg 파일:유강민 보이즈 II 플래닛 비주얼 포스터 1.jpg파일:유강민 보이즈 II 플래닛 비주얼 포스터 2.jpg
#1 #2 #3
파일:리온 보이즈 II 플래닛 비주얼 포스터 1.jpg파일:리온 보이즈 II 플래닛 비주얼 포스터 2.jpg 파일:안신 보이즈 II 플래닛 비주얼 포스터 1.jpg파일:안신 보이즈 II 플래닛 비주얼 포스터 2.jpg 파일:최립우 보이즈 II 플래닛 비주얼 포스터 1.jpg파일:최립우 보이즈 II 플래닛 비주얼 포스터 2.jpg
#4 #5 #6 }}}}}}}}}}}}
  • 2025년 6월 9일, 154명의 참가자[7]의 얼굴이 공개 되었으며 프로필 사진만으로 2일 동안 선투표하는 블라인드 픽이 오픈 되었다.
BLIND PICK TOP8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iki style="word-break: keep-all"
파일:보이즈 II 플래닛 로고 워드마크.svg
BLIND PICK
TOP8
1위 2위 3위 4위 5위 6위 7위 8위
파일:유강민 보이즈 II 플래닛 1.jpg 파일:이상원 보이즈 II 플래닛 1.jpg 파일:이첸 보이즈 II 플래닛 1.jpg 파일:김준서 보이즈 II 플래닛 1.jpg 파일:정상현 보이즈 II 플래닛 1.jpg 파일:서원 보이즈 II 플래닛 1.jpg 파일:이협 보이즈 II 플래닛 1.jpg 파일:자오광쉬 보이즈 II 플래닛 1.jpg
유강민 이상원 이첸 김준서 정상현 서원 이협 자오광쉬 }}}}}}}}}}}}

3. 예고편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tablebordercolor=#fff,#030066>
보이즈 II 플래닛은 철저한 계급제입니다.
||

===# 참가자 모집 #===
<rowcolor=#cdc8df,#cdc8df> 1차 참가자 모집 티저 2차 참가자 모집 티저
<rowcolor=#cdc8df,#cdc8df> 1차 티저 K 참가자 추가 모집 공고
<rowcolor=#cdc8df,#cdc8df> C 참가자 추가 모집 공고 글로벌 보이 그룹으로 데뷔할 소년을 기다립니다✨

3.1. 본 예고편

<keepall>
[BOYS ll PLANET] 당신의 마음을 타오르게 할 소년들이 옵니다❤️‍🔥
| 2025. 07 COMING SOON

4. 출연

4.1. 마스터

4.1.1. 플래닛 마스터

보이즈플래닛과 유사하게 매 경연마다 진행을 담당하는 플래닛 마스터가 달라진다.
  • 옹성우 - 1차 경연 + 1차 순위 발표식 진행.[8]
  • 조유리 - 2차 경연 진행.
  • - 2차 순위 발표식 진행.
  • 디에잇 - 세미파이널 경연 진행.

4.1.2. 포지션 마스터

K그룹과 C그룹의 방송이 통합된 이후로는, K그룹 마스터 7인[9]만 출연하고 C그룹 마스터 3인은 하차하였다.
<rowcolor=#cdc8df,#cdc8df> CHIEF VOCAL RAP
파일:보플2 김재중.png 파일:보플2 이석훈.png 파일:보플2 임한별.png 파일:보플2 효린.png 파일:보플2 저스디스.png
김재중 이석훈 임한별 효린 JUSTHIS
<rowcolor=#cdc8df,#cdc8df> DANCE
파일:보플2 백구영.png 파일:보플2 킹키.png 파일:보플2 카니.png 파일:보플2 샤오팅.png 파일:보플2 제이릭.png
백구영 킹키 카니 샤오팅 제이릭
  • 총괄[10]
    • {{{-3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44f68; color: #fff"
C}}}}}} 김재중
  • 보컬
    • {{{-3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565f6; color: #fff"
K}}}}}} 이석훈, 임한별, 효린
  • {{{-3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44f68; color: #fff"
C}}}}}} 임한별, 효린
  • 댄스
    • {{{-3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565f6; color: #fff"
K}}}}}} 백구영, 킹키, 카니
  • {{{-3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44f68; color: #fff"
C}}}}}} 백구영, 샤오팅, 제이릭
    • {{{-3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565f6; color: #fff"
K}}}}}}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44f68; color: #fff" JUSTHIS

4.1.3. 스페셜 마스터

  • {{{-3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565f6; color: #fff"
K}}}}}} 성한빈,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44f68; color: #fff" 장하오 - 1,2차 투표 안내 및 오프닝 영상 진행.

4.2. 참가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보이즈 II 플래닛/참가자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보이즈 II 플래닛/참가자#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보이즈 II 플래닛/참가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2.1. 참가자 간 케미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보이즈 II 플래닛/참가자 케미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보이즈 II 플래닛/참가자 케미#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보이즈 II 플래닛/참가자 케미#|]]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3. 프로듀서

  • 플레이브 - 세미파이널인 데뷔 콘셉트 배틀 미션 곡 중 MAIN DISH의 프로듀싱 및 안무제작에 참여했다.[16]

5. 중계

파일:보이즈 II 플래닛 로고.png
중계
<rowcolor=#cdc8df,#cdc8df> 국가 플랫폼
파일:세계 지도.svg 파일:엠넷플러스 심볼.svg
파일:세계 지도.svg (한국 제외) 파일:유튜브 로고.svg파일:유튜브 로고 컬러 화이트.svg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파일:TVING 아이콘.svg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파일:ABEMA 로고.svg파일:ABEMA 로고 화이트.svg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베트남|{{{#!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베트남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베트남}}}{{{#!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FPT Play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호주|{{{#!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호주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호주}}}{{{#!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뉴질랜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뉴질랜드}}}{{{#!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파일:Viu 로고.svg
동남아시아, 중동, 북아메리카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인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인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인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호주|{{{#!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호주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호주}}}{{{#!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뉴질랜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뉴질랜드}}}{{{#!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파일:rakuten viki logo.svg
유럽, 중동
  • 엠넷플러스를 통해 전세계에서 라이브 스트리밍으로 본방송을 시청하거나 VOD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 한국인 시청자는 TVING을 통해 라이브 스트리밍을 시청할 수 있으며, 유료 구독을 통해 다시 보기가 가능하다.
  • Mnet K-POP 유튜브 채널을 통해 한국을 제외한 해외에서 라이브 스트리밍을 시청할 수 있다.

6. 방영 목록

파일:보이즈 II 플래닛 로고.png
방영 목록
||<tablewidth=100%><width=1000><tablebgcolor=#fff,#1c1d1f><tablecolor=#ddd,#383b40> [[보이즈 II 플래닛 K/1회|{{{#!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565f6; color: #fff" 1회]] ||<width=16.66%><nopad> [[보이즈 II 플래닛 K/2회|{{{#!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565f6; color: #fff" 2회]] ||<|2><width=16.66%> 3회 ||<|2><width=16.66%> 4회 ||<|2><width=16.66%> 5회 ||<|2><width=16.66%> 6회 ||
[[보이즈 II 플래닛 C/1회|{{{#!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44f68; color: #fff" 1회]] [[보이즈 II 플래닛 C/2회|{{{#!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44f68; color: #fff" 2회]]
7회 8회 9회 10회 11회

7. 음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보이즈 II 플래닛/음반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보이즈 II 플래닛/음반#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보이즈 II 플래닛/음반#|]]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각종 기록

나이는 2025년 7월 17일 첫 방송 기준 만 나이
볼드체는 최종선발된 인원.
  • 연습생 평균 연령: 20.3세[17]
  • 최고령 연습생: 이동헌, 쉬안하오 (1995년생, 만 29세)
  • 최연소 연습생: 김영준, 김재현, 김태조, 나윤서, 이승백, 장슌위 (2010년생, 만 14-15세)
  • 최다 연령층: 2005년생 (총 24명)[18]
  • 연습생 평균 신장: 177.7cm[19]
  • 최장신 연습생: 상린 (190cm)
  • 최단신 연습생: 쇼우 (167cm)
  • 연습생 평균 연습기간:
  • 최장기간 연습생: 리즈하오, 지아한위, 허씬롱 (9년) [20]
  • 최단기간 연습생: 강우진, 권규형, 김민준, 문선빈, 박지민, 백제현, 유메키, 토모야, 덩지아쥔, 린신루이, 시에지아후이, 웡웨이둥, 정쿤, 쩡상쉬안, 천보원, 천차오위, 펑진위, 홍쯔한 (0개월)
  • 순위가 가장 크게 상승한 연습생: 쑨헝위 (2회, 49위 상승)
  • 순위가 가장 크게 하락한 연습생: 동쯔치 (2회, 23위 하락), 이첸(8회, 23위 하락)
  • 최저 등수와 최고 등수의 격차가 가장 큰 연습생:
  • 최저 등수와 최고 등수의 격차가 가장 작은 연습생:
  • 스타 상승의 격차가 가장 큰 연습생: 유메키 (ONE 스타 → ALL 스타)
  • 스타 하락의 격차가 가장 큰 연습생: 임잭 (ALL 스타 → NO 스타)
  • 세 번의 계급 결정전 모두 ALL 스타인 연습생: 쉬칭위, 이리오, 이상원, 유강민, 김준민, 김건우, 김태조, 정현준, 조계현, 박동규, 윤민, 김시환 / 장지아하오, 허씬롱, 조우안신, 니안보행, 천보원
  • 최고 평균 등수: 이상원 (1위)[21]
  • 최종 1위:
  • 최종 80위[22]: 장태윤
  • 전 회차 데뷔권 연습생:
  • 최다 최종 데뷔 멤버를 배출한 연예기획사:
  • 걸스플래닛부터 3시즌 연속으로 최종 데뷔멤버를 배출한 연예기획사: [23]
  • 보이즈플래닛에 이어 2시즌 연속으로 최종 데뷔멤버를 배출한 연예기획사: [24]
  • 가장 많이 출전시킨 연예기획사: 웨이크원[25] (9명 + 2명)
  • 해당 시리즈 재도전자: K팀: 서원 / C팀: 당홍하이, 크리스티안, 쉬안하오, 차이진신

9. 프로그램 외 콘텐츠

9.1. 시그널 송 직캠

전작과 동일한 시스템. 유튜브와 Mnet Plus 두 개의 플랫폼에서의 시그널 송 직캠 조회수 + 좋아요수×100으로 점수를 산정하여 미션에 반영. 6월 13일 21시부터 6월 15일 10시까지 집계된 조회수와 좋아요 수가 점수에 반영되었다.

시그널 송 개인 직캠 점수 30% + 마스터 평가 점수 70%의 비율로 점수를 산정해 최종 등급 결정 및 탈락자를 선정하였고, 방송 통합 후 경연을 치를 K그룹+C그룹 도합 80명의 참가자를 선발했다.

9.2. 자기 PR 콘텐츠

9.2.1. 1분 + α 자기소개

전작과 똑같이 1분의 시간동안 자기 PR하는 시간이 주어진다. 단, 전작과 다른 점은 세트장 벽면에 부착된 빨간 스위치를 누르면 세트장 벽이 내려가는 깜짝 카메라와 함께 10초의 시간이 더 주어진다. 6월 16일에 K그룹이, 바로 다음날인 17일에 C그룹이 공개되었다.

연습생마다 깜짝 카메라에 대한 반응은 다 달랐는데, 정말 눈 깜짝 안한 연습생들도 소수 있었으나 대부분 놀라서 횡설수설했다. 어떤 연습생들은 스위치를 누르지 않고 자기소개를 마쳐 자기소개가 끝나고 비하인드로 스위치를 눌렀을때 영상이 공개되었고, 어떤 연습생들은 누르긴 눌렀는데 깜카에 놀라선 추가된 10초동안 계획이 모두 어그러져서 아무말 대잔치를 하기도 했다.

9.2.2. 흑백 뺨믈리에

전작의 수상한 히든박스에 대응되는 코너. 참가자 2명이 태그를 맺고 안대를 낀채, 두 사람 사이에 주어진 물건을 순전히 뺨의 촉감만으로 맞추는 코너. 제한시간 80초 내에 정체를 맞추는데 성공하면 10초동안 셀프PR의 기회가 주어진다는 점과 연습생들 몰래 귀신이 다가와 깜짝 카메라를 한다는 점은 수상한 히든박스와 동일. 6월 19일에 K그룹이 공개되었다.

9.2.3. 쏘아올라, SOLAR!

본작에서 새로 신설된 코너. 80초간 트램펄린을 뛰며 제작진이 주는 8개의 질문에 대답하고, 매달린 태양 모양 쿠키를 먹는데 성공하면 10초간 자기PR시간이 주어진다. 위의 것들과는 달리 6월 20일에 C그룹이 우선 공개되었다. 이어 7월 3일 K그룹이 공개되었다.

9.2.4. 내가 얼음이면 넌 나의 레몬이 되어줘

본작에서 새로 신설된 코너2. 전작의 칵테일 바를 2명 버전으로 발전시킨 코너다. 2명이서 페어를 맺고, 80초 이내에 레몬즙을 짜서 레몬차를 정해진 기준까지 만들어내면 추가 PR 기회 10초를 얻는다. 6월 23일 C그룹이 우선 공개되었다.

9.2.5. TMI 말해볼젠가?

전작에 등장했던 미니 인터뷰를 계승한 코너. 100초의 시간 동안 젠가를 해서, 뽑은 블록에 적힌 질문에 답하는 코너다. 100초동안 젠가가 무너지지 않으면 추가 PR시간이 주어진다. 6월 24일 K그룹이 우선 공개되고, 이어 6월 26일에 C그룹이 공개되었다.

9.2.6. ㄷㄷㄷ 노래방

본작에서 새로 추가된 코너3. 전작의 코너들을 일부 계승했던 다른 새 코너들와 달리 아예 새로운 코너다. 진동하는 운동기구 위에 올라타서 선곡한 노래 1절을 불러 90점이 넘으면 10초 PR기회를 얻으며, 실패하면 벌칙으로 운동기구 위에 올라타 제비로 뽑은 줄글을 읊어야한다. 6월 27일에 K그룹이 공개되었고, 이어 7월 11일에 C그룹이 공개되었다.

9.2.7. 안녕, BIG 웰컴키트!

7월 2일 공개된 C그룹의 코너. 80초의 제한시간 동안 2명의 참가자들이 태그를 맺고, 안대를 쓴채로 서로의 손을 맞잡은 채 거대한 선물상자의 자물쇠를 풀어버리면 성공한다. 이때 중간중간에 물총, 깃털 등의 방해공작이 들어간다. 마지막 깜짝카메라로, 선물상자 안에서 삐에로[26]가 튀어나와 참가자들을 놀래켰다.

9.3. 엠넷 플러스 커뮤니티 콘텐츠

9.3.1. 알파 에너지

  • 알파 에너지는 보이즈 II 플래닛 커뮤니티 에서 사용하는 재화이다.
  • 알파 에너지는 무한정 얻을수 있으나, 하루에 무료로 얻을 수 있는 알파에너지는 최대 250[27]까지다.
    • 이외 알파 에너지 획득법은 앱에서 유료 재화로 사용되는 앰플 포인트로 교환하는 법과, 최초 투표 3번까지 주어지는 100 알파 에너지 뿐이다.
  • 수집한 알파 에너지는 플래닛 카드 스테이션의 카드 오픈, 플러스 알파 서포트에 사용할 수 있다.

9.3.2. 플러스 알파 서포트

  • 전작과 동일한 시스템으로, 이번엔 선술한 알파 에너지를 사용하여 서포트 할 수 있다.
  • 플러스 알파 서포트라는 이름으로, 7월 31일 오픈되었다. 서포트 지수는 이월되지 않으며, 기간 내 서포트 비율이 최대인 순대로 서포트 인원수 선정. 즉, 전작과 달리 상대평가 식으로 서포트가 진행된다.
  • 선정된 서포트 인원 중 탈락자가 나올경우 바로 다음 순위 참가자에게 이월된다.
  • 전 시즌에서는 매일 무료로 제공하는 10포인트를 사용해 서포트를 했기에 팬들이 공평하게 서포트를 할 수 있었으나, 이번 시즌에서는 유료 결제와 인앱 광고로 획득한 포인트를 사용하며 포인트 사용에 제한이 없기 때문에 많은 팬들에게 비판받고 있다.[28] 다만 이후 이후 회차 서포트가 열리면 방식이 바뀔 가능성은 있다.
  • 사실상 해당 서포트 순위는 비록 투표순위와 완전히 일맥상통하진 않지만 글로벌 득표수와 비슷하다고 보면 된다.
  • 3차 서포트의 경우 서너명에 해당하는 몇몇 참가자들에게 포인트가 극단적으로 몰리고 나머지 참가자들은 비슷비슷한데, 서포트 대상자가 3명으로 줄어들었던데다 사실상 해외픽에 가까운 서포트 본연의 문제 때문에 몇몇 참가자들을 제외한 대부분의 팬덤들이 해당 서포트를 포기한 것으로 보여진다.

||<tablealign=center><tablewidth=640><tablebgcolor=#fff,#1c1d1f><tablebordercolor=#1d182f,#1d182f><rowbgcolor=#1d182f,#1d182f><rowcolor=#cdc8df,#cdc8df> # || 서포트 || 인원 수 || 서포트 기간 ||
1차 서포트
OFRA 뷰티 패키지 24명 7.31 10:30 ~ 8.7 10:30
2차 서포트
인생네컷 스페셜 프레임 + 스페셜 래핑 스팟 16명 8.15 10:30 ~ 8.28 09:59
3차 서포트
브링그린 신제품 광고 촬영 + 올리브영 광고 게재 + 오프라인 굿즈 증정 3명 9.5 10:30 ~ 9.11 09:59
서포트 현황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iki style="word-break: keep-all"
<rowcolor=#cdc8df,#cdc8df> 1차 서포트 2차 서포트 3차 서포트
<rowcolor=#cdc8df,#cdc8df> # 참가자 # 참가자 # 참가자
1 <colcolor=#5565f6,#5565f6> 이상원 1 이상원 1
2 조우안신 2 이리오 2
3 이리오 3 조우안신 3
4 허씬롱 4 정상현
5 유메키 5 유메키
6 김준서 6 허씬롱
7 김건우 7 장지아하오
8 강우진 8 쉬칭위
9 최립우 9 전이정
10 유강민 10 허중싱[29]
11 쉬칭위 11 최립우
12 정상현 12 김준민
13 장지아하오 13 마사토
14 쑨헝위 14 강우진
15 마사토 15 박준일
16 허중싱 16 유강민
17 자오광쉬 17 김준서
18 서원
19 장한음
20 니안보행
21 이첸
22 박동규
23 김준민
24 천카이원
}}}}}}}}}}}} ||

9.3.3. 플래닛카드 스테이션

7월 26일 오픈된 신규 시스템. 엠넷 플러스 어플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참가자들의 디지털 포토카드이다.

처음 3 / 2회는 무료이며, 이후로는 1회당 50 / 80알파 에너지를 사용하여 포토카드를 랜덤으로 획득할 수 있다. 단, 이미 보유한 플래닛카드는 이후 뽑기에서 등장하지 않는다.[30] 획득한 플래닛카드는 2025년 12월 31일까지만 확인할 수 있다.

플래닛카드는 캡처가 불가능하다. 즉, 최애의 카드를 보기 위해서는 무조건 현질을 해야한다는 뜻이다. 1, 2차 스테이션 기준으로 1개의 스테이션 당 모든 참가자의 카드를 뽑는데 4000 알파 에너지가 필요하다. 각 회차마다 카드 3번을 무료로 뽑을 수 있다. 즉, 모든 연습생들의 카드를 뽑기 위해 실질적으로 필요한 알파 에너지는 3850 알파 에너지이며, 현금으로 환산하면 약 13000원 정도이다. 4차 스테이션부터는 연습생이 줄었지만 필요 알파 에너지가 증가했기에 총 3680 알파 에너지가 필요하다. 역시 현금으로 환산하면 약 13000원 정도다.[31]

플래닛카드에는 'B2PXXXP1 #XXXXXX' 꼴의 고유 번호가 지정되어있다. B2P는 보이즈 II 플래닛, XXX는 연습생들의 이름 이니셜[32], P1은 스테이션의 차수, #XXXXXX는 카드가 민팅된 순서를 의미한다.

tripleS디지털 포토카드와 시스템이 유사하다. 실제로 tripleS가 연상된다는 의견이 많다.
  • 1차 경연 참가자 80인 / 3회 체험 + 회당 50 에너지
    • 7월 26일 ~ 7월 31일: 1차 스테이션. 계급 결정전 의상 포토카드.
    • 8월 1일 ~ 8월 7일: 2차 스테이션. 풍선껌 포토카드.
    • 8월 8일 ~ 8월 14일: 3차 스테이션. 1차 경연 의상 포토카드.
  • 2차 경연 참가자 48인 / 2회 체험 + 회당 80 에너지
    • 8월 15일 ~ 8월 21일: 4차 스테이션. 교복 포토카드.
    • 8월 22일 ~ 8월 28일: 5차 스테이션. 잠옷 포토카드.
    • 8월 29일 ~ 9월 4일: 6차 스테이션. 2차 경연 의상 포토카드.
  • 3차 경연 참가자 24인 / 1회 체험 + 회당 160 에너지
    • 9월 5일 ~ 9월 11일: 7차 스테이션. 과일 포토카드.
  • 스페셜 스테이션 / 회당 500 에너지
    • 8월 16일 ~ 8월 21일: 스페셜 스테이션 1. 1차 경연 베네핏 8인 스튜디오 춤 의상 포토카드.
    • 9월 6일 ~ 9월 11일: 스페셜 스테이션 2. 2차 경연 베네핏 5인 엠 카운트다운 의상 포토카드.
    • 9월 6일 ~ 9월 11일: 스페셜 스테이션 3. 플래닛 숨바꼭질 우승자 6인 포토카드.

9.4. 온·오프라인 행사

9.4.1. PLANET DAY : OPEN STAGE

  • 흔히 '상암절'이라고 부르는 공개 팬미팅이다.
  • 6윌 14일 토요일 오후 3시, 상암 DMC문화공원에서 진행되었다.

9.4.2. PLANET DAY : PRIVATE STAGE

<keepall>
PLANET DAY : PRIVATE STAGE
  • 흔히 '매력 발표회'라고 부르는 비공개 팬미팅이다.
  • 8월 2일 토요일 오후 3시에 진행되었으며, 온라인으로도 생중계되었다.

9.4.3. LG 트윈스 클리닝 타임 공연

  • 8월 6일, 잠실 야구장에서 공연을 했다.
  • 그러나, 일부 시청자들이 구장 내에서 여러 사고를 일으켜 논란이 되었다. 관련 내용은 해당 문서 참조.

9.4.4. '락 (樂)' 온라인 팬미팅

  • 9월 3일 수요일, 엠넷 플러스 실시간 스트리밍으로 공개됐다. 다시보기나 편집본은 공개되지 않았다.

10. 평가

10.1. 비판 및 논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보이즈 II 플래닛/비판 및 논란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보이즈 II 플래닛/비판 및 논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보이즈 II 플래닛/비판 및 논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 시청률

<rowcolor=#cdc8df,#cdc8df> 회차 방영 날짜 시청률 (%)
<rowcolor=#e8eaee,#e8eaee> 전국 수도권
<colbgcolor=#cdc8df,#cdc8df><colcolor=#000> 1회 2025년 7월 17일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565f6; color: #fff" 0.3
2025년 7월 18일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44f68; color: #fff" 0.3
2회 2025년 7월 24일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565f6; color: #fff" 0.5
2025년 7월 25일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44f68; color: #fff" 0.3
3회 2025년 7월 31일 0.6
4회 2025년 8월 7일 0.5
5회 2025년 8월 14일 0.6
6회 2025년 8월 21일 0.5
7회 2025년 8월 28일 0.5
8회 2025년 9월 4일 0.6
9회 2025년 9월 11일
10회 2025년 9월 18일
11회 2025년 9월 25일
닐슨코리아 시청률 기준
[범례] 최저 시청률최고 시청률
  • 보이즈플래닛 시즌1과 비교하면, 시즌1은 회차가 지날수록 시청률이 뚜렷한 상승세를 보였으나 시즌2는 정체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 특히 순위 발표식 이후 무대 경연이 이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시청률이 반등하지 못하고 오히려 하락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 시즌1이 흥행에 성공하고 2년 만에 시즌2가 방영되었지만, 전반적인 시청률은 시즌1에 비해 낮게 집계되고 있다. 이러한 부진의 원인으로는 출연 연습생들의 수준 저하, 이미 데뷔 경험이 있는 아이돌들의 과도한 참가, 제작진들과 관련된 조작 논란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12. 투표 기간

<rowcolor=#e8eaee,#e8eaee> 투표 집계 외부 전문 기관
[[PricewaterhouseCoopers|
파일:프라이스워터하우스쿠퍼스 로고.svg
]]
<보이즈 II 플래닛>의 '투표 시스템'은 집계부터 결과 산출까지
투표와 관련된 과정들의 투명성과 공정성 확보를 위해
독립적인 외부 전문 기관인 <삼일PwC>의 검증을 거칩니다.
<보이즈 II 플래닛> 제작진은 좋은 프로그램을 만드는 데 주력하겠습니다.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tablebordercolor=#fff,#030066>
환산 점수 = (한국 득표수 X 한국 가중치) + (글로벌 득표수 X 글로벌 가중치)
||

투표 기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iki style="word-break: keep-all"
<rowcolor=#cdc8df,#cdc8df> # 기간 인원 투표 인원 비고
<colcolor=#fff,#fff>
시그널송 직캠 평가
2025.06.13. 21:00 ~ 2025.06.15. 10:00 160명 제한없음 [33]
1차 투표
K그룹 2025.07.17. 21:23 ~ 2025.07.24. 23:00(KST) 80명 8명 [34]
C그룹 2025.07.18. 21:23 ~ 2025.07.25. 23:00(KST) 74명 8명
2차 투표
2025.07.26. 00:00 ~ 2025.08.08. 10:00(KST) 80명 8명 [a]
48위 후보 투표
2025.08.08. 15:30 ~ 2025.08.08. 16:30(KST) 4명 1명 [36]
3차 투표
2025.08.15. 00:00 ~ 2025.08.29. 10:00(KST) 48명 5명 [a]
24위 후보 투표
2025.08.29. 15:30 ~ 2025.08.29. 16:30(KST) 3명 1명 [38]
4차 투표
2025.09.05. 00:00 ~ 2025.09.12. 10:00(KST) 24명 3명 [a]
}}}}}}}}}}}} ||

13. 여담

  • 본작만의 특징인지, 탈락한 참가자는 엠넷플러스 앱의 참가자 리스트에서 흑백처리된다. 또한 1차 경연 이전 NO STAR 등급을 받아 탈락한 연습생 80인의 프로필은 아예 삭제되었다.
  • 전 시즌과 달리 투표 창에서 선택한 참가자 기억하기가 추가되었다. 투표 첫날을 제외하고 일일이 투표할 참가자를 선택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개선한 것으로 보인다.
  • 데뷔 그룹은 프로젝트 그룹으로 활동하며 기간은 5년으로 예정되어 있다. 이는 역대 CJ ENM 프로젝트 보이그룹 한정으로 가장 긴 활동 기간이다.[43][44] 또 현직 아이돌 참가자가 데뷔할 경우 원 소속 그룹에서 동시 활동이 가능하다고 한다.[45][46]
  • 최종 데뷔 인원은 총 8명으로 9명이 데뷔하던 기존과 달리 1명이 줄어들면서 플래닛 시리즈 최초로 데뷔 인원이 변경되었다. 후술하겠지만, 만약 통합되지 않고 처음 계획대로 K와 C로 나뉘어서 진행되었다면 각각 8명씩 총 16명을 완전체로 구상했을 가능성이 있으며, 그랬다면 25명인 NCT, 24명인 idntt 다음으로 인원이 많은 보이그룹으로 데뷔했을 것으로 보인다.[47] 다만 이때문인지 전작보다 참가자 인원수가 훨씬 많아졌음에도(90~100명 내외 → 154명) 정작 데뷔조 인원수가 줄어들어 참가자 개개인의 데뷔 확률이 반토막이 나버려 데뷔가 더욱 어려워진 것은 함정이다.(9/93=9.7% → 8/154=5.2%) 다만 이후 공개된 기사를 보면 9명이 데뷔한다는 등, 계약기간이 정해진 것이 없다는 등의 이야기가 나돌기 때문에 몇명이 데뷔하는지는 아직까진 불명. 사실 방송시작 후로 단 한번도 데뷔 인원수를 밝힌 적은 없기에 마지막회까지는 가야 알수 있을 듯 하다.
  • 엠넷 아이돌 그룹 선발 오디션 프로그램 시리즈[48] 중 최초로 동성 시즌을 두 시즌 연속 제작한다.[49] 플래닛 시리즈에서 연속해서 보이그룹을 제작하는 대신 언프리티 랩스타 : 힙팝 프린세스에서 한일 합작 힙합 걸그룹이 선발될 예정이다.[50]
  • 본래 기획은 매 회차 포맷은 동일하되 한국에서 진행되는 K와 중화권에서 진행되는 C로 구성된 두 가지 프로그램을 런칭해 각자 완주를 하고 2개의 데뷔조를 만들어 한국과 중국을 기반으로 활동하다 완전체 활동도 병행하는 일명 '따로 또 같이' 전략을 표방하였으나, 5월 중순 두 프로그램의 첫 촬영을 마친 뒤 프로그램 질을 높인다는 이유로 해당 기획이 무산되었다. 이에 따라 본래 기획대로 프로그램이 분리되는 것은 가장 초반 경연인 레벨 테스트 한정이며 참가자들과 참가자들의 소속사들에게는 본래 기획의도가 무산된 것에 대해 양해를 구했다고 한다.
    • 프로그램 공식 SNS의 오픈과 동시에 공개된 각 프로그램 로고에 8개의 별이 돌면서 각 프로그램 최종 데뷔 인원은 8명이 될 것으로 보였다. 완전체 활동도 예정되어 있기 때문에 엠넷 프로젝트 그룹 중 역대 최다 인원인 16명[51]이 활동할 것으로 예측되었으나 해당 기획이 무산되며 하나의 그룹으로만 활동하게 되면서 최종 데뷔조 인원 역시 변경이 있을 가능성이 높아졌다.
    • 이는 두 번째 기획 무산인데 원래 이 프로그램은 2024년 11월 22일 이전까지는 엠넷 오리지널 보이그룹 서바이벌에 출연할 참가자들을 결정하는 《플래닛 B》라는 이름으로 원래 기획대로라면 본 프로그램을 통해 선발된 인원이 2025년 진행될 엠넷 보이그룹 데뷔 프로그램에 출연하게 될 예정[52][53]이었으나 프리퀄 방송이 무산되고 바로 본 프로젝트로 넘어가게 되었으나 발표한 기획이 또 다시 무산되고 말았다. 프리퀄 방송이 무산된 이유로 전작인 보이즈플래닛 때부터 수면 위로 올라온 우려점인 남자 연습생 인재풀의 기근이 주요 요인으로 분석되고 있으며 이를 반증하듯 보이즈 II 플래닛으로 바뀐 후 모집 기간이 지나도 계속해서 추가 모집 및 국내외 오디션을 진행하면서 신규 연습생들의 지원 부족이 전 시즌보다 더욱 심화된 것이 확실시되었다. 게다가 이런 상황에서 2024년 하반기부터 SCOOL, PROJECT 7, Starlight Boys, 유니버스 리그, Debut's Plan, 응원-HIGH, B:MY BOYZ[54] 등 방송사별, 기획사별 보이그룹 서바이벌이 비슷한 시기에 역대 최다 규모로 줄줄이 방영을 시작한 것 역시 후발주자로 시작하는 해당 프로그램에서는 출연진 섭외에 있어 불리한 입장이었다.[55]
    • 지원자들 중 경력직을 비롯해 전작 보이즈플래닛이나 동사 TO BE WORLD KLASS, 소년24, 빌드업을 비롯하여 소년판타지, 메이크 메이트 원, 팬픽, 라우드, 언더나인틴, 유니버스 리그, PROJECT 7, SCOOL, 극한데뷔 야생돌 등 타사 보이그룹 오디션, 소년지명, 이단지명, G-EGG, 아시아 초성단, PRODUCE 101 JAPAN 시리즈, 청춘유니 시리즈 등 타국 보이그룹 오디션 참가자 출신 지원자들의 비중이 이전 시즌보다 커졌으며, 과반수 참가자들이 해당 항목에 포함된다.
  • 참가자 최초 모집 기간이 최초 마감 기간에서 2025년 3월 말까지 연장되었으며 이후 2, 3차 오디션을 통한 최종 참가자 선정 및 합숙, 첫 오프라인 경연 진행까지의 기간을 고려하면 첫 방영 일정은 아무리 빨라야 2025년 하반기가 될 것이다. 따라서 프로그램 방영 일정 및 데뷔조 선정 후 데뷔까지의 기간을 고려하면 자동적으로 데뷔조는 먼저 플래닛시리즈로 데뷔한 ZEROBASEONE의 활동 종료 후에 데뷔를 하게 된다.[56][57]
  • 이 프로그램이 끝나고 나면 엠넷에서 한동안 보이그룹 서바이벌은 없을 가능성이 높다. 왜냐하면 상기된 남자 연습생 인재풀 기근 문제로 인해 새로운 오디션을 만들더라도 과거의 오디션들과 비슷한 인원과 실력의 참가자를 완벽히 모집할 수 있다는 보장이 없으며, 데뷔조의 계약 기간도 이전 오디션들과 달리 5년이나 되기 때문이다.[59] 업계 전체적인 연습생 기근 문제를 확실히 해결하기 전에 무리하게 차기 오디션을 개최했다가는 지원자 부족으로 방영이 취소되거나 방영을 강행하더라도 이전만 못한 규모[60]로 시작할 가능성이 클 것이다. 본 오디션마저도 전체 참가자가 160명으로 표면적으로는 최다 인원이지만, 이는 K와 C를 합친 수치로 두 오디션을 별개로 봤을 때는 각각 80명으로 전작보다도 적으며 프로그램이 합쳐진 후에는 본선 개념을 도입해 80명의 정예 출연진으로만 방송이 진행되면서 역대 최저 인원으로 진행하게 되었다.
  • 예정된 대로 7월 중순에 첫 방영을 한 후 중간에 결방하지 않으면서 앞서 방영된 시리즈들처럼 12부작으로 편성된다면 파이널 생방송은 늦어도 10월 초에 할 것으로 보인다.[61]
  • 플래닛 시리즈에서 '최초' 수식어가 많이 붙는 시즌이기도 하다.
    • JYP엔터테인먼트에서 소속 아티스트인 BOY STORY를 참가시키면서 최초로 국내 대형 기획사가 참여한 시즌이 되었다.
    • 최초로 2010년대생이 참가한다.
    • 최초로 형제가 함께 오디션에 참가한다.[81]
    • 최초로 동명이인 참가자가 존재한다.[82]
    • 최초로 11부작까지 편성이 예정되어 있다.[83][84]
  • 이전 시즌과의 차이점은 일부 참가자들 중 K그룹에 중화권 참가자가 존재하고 C그룹에는 중화권 이외에 타 국적 참가자가 존재한다.[85]
  • 통합 이전 참가자들의 유니폼 명찰은 그룹별 상징 색에 맞게 K그룹은 파란색, C그룹은 빨간색이었으나, 통합 이후 보라색 명찰로 변경되었다.
  • 특이하게도 현직 아이돌 참가자의 개인 콘텐츠 영상[86]은 좌측 상단에 이름과 함께 원 소속 그룹명이 기재되어 있다. 뿐만 아니라 경력직, 일반인 등으로 참가자를 구분하며 이미 데뷔한 가수들은 연습생 호칭을 쓰지 않는 듯하다.
  • 이전 시즌들과 마찬가지로 마스터들과 참가자들의 소속사가 겹치는 기획사가 일부 존재한다.
  • 방송이 통합되는 3화부터는 K그룹 방송을 중심으로 진행이 된다. 크레딧의 담당 PD는 K그룹의 PD만 기재되어 있으며, 공식적으로 C그룹 마스터 3인은 하차하여 출연진 목록에도 K그룹 마스터 7인만 출연진으로 기재되어있다. 또한 C그룹 방송 스태프들이 촬영 종료 후 촬영 계약이 종료되었다는 루머도 존재한다.
  • 데뷔 그룹은 과거 결성 날짜가 비슷한 엠넷 서바이벌 배출 선배 그룹들의 행적과 비슷하게 2025 MAMA AWARDS에서 첫 무대를 가질 것으로 보인다.[88][89]
  • K그룹과 C그룹이 합쳐지기 전까지는 순위로 인한 탈락보다는 계급 미달에 의한 탈락이 주를 이루었다. 실제 1회 계급 결정전에서 일부 참가자들이 순위에 관계없이 마스터 평가로 NO STAR를 받게 되어 1차 경연 무대도 치루지도 못한 참가자들이 대거 발생해 논란이 되었다.[90] 하지만 두 그룹이 통합이 된 이후부터는 이전 시리즈처럼 순위에 따른 참가자들의 탈락이 주를 이루었고, 계급 마저 순위에 따라서 결정되기 때문에 방송 초반에 있었던 계급에 대한 압박은 어느 정도 사라졌다.

14. 참가자 근황

  • 각 그룹 참가자: K그룹 / C그룹

14.1. 최종 데뷔조

<rowcolor=#cdc8df,#cdc8df>
데뷔 연도
그룹명
소속사
2026년 ? 웨이크원

14.2. 기존 그룹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d182f,#1d182f><tablebgcolor=#ffffff,#1c1d1f><rowbgcolor=#1d182f,#1d182f><rowcolor=#cdc8df,#cdc8df><width=15%>
데뷔 연도
||<width=17%>
그룹명
|| 참가자 || 소속사 ||
2017년
NOW UNITED 크리스티안[A] XIX 엔터테인먼트[92]
2018년
BOY STORY 리즈하오, 지아한위, 허씬롱 JYP엔터테인먼트
2019년
VERIVERY 유강민, 이동헌, 조계현 젤리피쉬엔터테인먼트
원더나인 김준서[93] 포켓돌스튜디오
2020년
다크비 양희찬, 한해리준 브레이브엔터테인먼트
MCND 노휘준, 방준혁, 송민재 티오피미디어
S.K.Y 궈쩐[B], 정런위[B] 쿠양 엔터테인먼트
위아이 김준서 위엔터테인먼트
DRIPPIN 김동윤, 이협 울림엔터테인먼트
2021년
블리처스 크리스 우조엔터테인먼트
2022년
NINE.i 서원[96] 무소속[97]
BLANK2Y 쑨헝위[B] 키스톤 엔터테인먼트
2023년
더윈드 타나톤 위드어스엔터테인먼트
WHIB 김준민, 문원준, 전이정 씨제스 스튜디오
이스트샤인 피닉스 티엠엔터테인먼트
2024년
1B1 허중싱 The Line Star Entertainment

14.3. 신규 데뷔 그룹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d182f,#1d182f><tablebgcolor=#ffffff,#1c1d1f><rowbgcolor=#1d182f,#1d182f><rowcolor=#cdc8df,#cdc8df><width=15%>
데뷔 연도
||<width=17%>
그룹명
|| 참가자 || 소속사 ||
2026년
idntt 김민준, 박누리 모드하우스

14.4. 솔로 데뷔

<rowcolor=#cdc8df,#cdc8df>
데뷔 연도
참가자
소속사
2023년 이리오 그리드엔터테인먼트[99]
장한음 ES NATION
2024년 윤민 howtouse
2025년 라이언 WAYF

[1] 스핀오프 서바이벌[2] 걸스플래닛, 초대형 노래방 서바이벌 VS, RAP:PUBLIC 연출.[3] SHOW ME THE MONEY 9, 보이즈플래닛 연출.[4] 앞의 두 시즌들이 Mnet K-POP 채널에서 재생목록으로 구분됐던 것과 달리 계정을 만들었다.[5] 현직 보이그룹 멤버들이 동시다발적으로 활동 중단을 알리며 보이즈 II 플래닛 출연을 간접적으로 알렸다.[6] 허중싱, 정상현, 유강민, 리온, 조우안신, 최립우.[7] 전체 인원은 160명이지만 6명의 중도 하차자가 있음이 공개되었다.[8] 파이널 순위 발표식에서도 진행할 가능성이 높다.[9] 이석훈, 임한별, 효린, JUSTHIS, 백구영, 킹키, 카니[10] 보이즈 II 플래닛 K에는 총괄 마스터가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총괄 마스터는 걸스플래닛여진구처럼 진행을 담당하는 마스터가 아닌 보컬, 댄스, 랩을 총괄하여 심사하는 마스터를 의미한다.[11] 보이즈플래닛에서 댄스 마스터로 출연한 바 있다.[12] 둘다 보이즈플래닛에 참가했다.[13] 프로듀스 101 시즌2 참가자.[14] PLANET C 마스터로 출연 후 하차.[15] 백호는 보컬, 샤오팅은 댄스 포지션 마스터를 맡았다.[16] 버츄얼 아이돌 최초로 프로듀서 자리에 오른 것은 물론, 현역 아이돌 최초로 전 멤버가 작사,작곡,안무 등 전 과정을 참여해 더욱 의미를 더하고 있다.[17] K그룹 평균 19.4세, C그룹 평균 21.2세[18] C그룹 한정 2002년생(16명)[19] K그룹 평균키 177.9cm, C그룹 평균키 177.5cm[20] 연습 및 활동기간. 2018년에 데뷔하여 활동기간 포함된 것. 연습생 기간만 치면 6년간 연습생 생활을 한 이상원이 최장기간 연습생이다.[21] 1위 - 1위 - 1위[22] K + C 종합 투표 이전 탈락자 제외[23] 웨이크원과 젤리피쉬 소속 연습생이 전원 탈락하면 이 기록이 깨지게 된다.[24] 보이즈플래닛에서 데뷔멤버를 배출한 소속사 중, 이번 시즌에도 출연한 소속사는 웨이크원과 젤리피쉬 뿐이라서 위 기록과 동일하다.[25] 리온, 쇼야, 쉬칭위, 저스틴, 정상현, 타츠키, 황선우 / 이첸, 커밍지에 + 강우진, 김건우[26] 분장으로 보아 페니와이즈를 모티브로 한 것으로 보인다.[27] 광고보기(50회*2), 영상보기(100회*1), 링크 공유로 공유받은 사람이 동영상 시청(10회*5)[28] 특히 전 시즌에서는 서포트 인원에 제한이 없었기에 서포트를 달성한 연습생의 팬들이 타 연습생들을 서포트하는 등 훈훈한 광경을 볼 수 있었으나, 이번엔 상대평가 방식을 채택하며 서포트에도 제한이 없는 점이 주로 비판받는다. 결국은 인기투표를 또 하는 것이나 다름이 없기 때문.[29] 2차 순위 발표식에서 탈락하여 서포트 혜택을 받지 못하고 17위 김준서에게 혜택이 이월되었다.[30] 즉, 중복 카드가 뜨지 않는다는 말이다. 중복 카드가 나왔으면 폰을 집어던졌을 것이다.[31] 다만 서바이벌 프로그램 특성상 본인이 좋아하는 참가자를 뽑고나선 추가 뽑기를 하진 않을 것이기에 실제로 이보단 적게 들것이다.[32] 예시: 김인후 → KIH[33] 유튜브 '보이즈 II 플래닛' 채널과 엠넷플러스 '시그널송 올라 (HOLA SOLAR) 개인 직캠 영상' 조회수 + 좋아요 X 100 합산[34] 참가자가 얻을수 있는 점수는 총 5천만점이며, 그룹의 환산 점수 점유율에 따라 K/C에 1차 투표 점수가 2차 투표에 나누어져 합산됨. 탈락한 참가자의 표는 무효처리.[a] K, C 구분 없음.[36] 48위 후보 윤민, 장슌위, 방준혁, 이동헌 中 1택.[a] K, C 구분 없음.[38] 24위 후보 판저이, 한해리준, 박동규 中 1택.[a] [40] 전신격인 프로듀스 101 시리즈까지 범위를 넓힐 경우 남자 시즌인 프로듀스 101 시즌2프로듀스 X 101이 홀수년도에 방송했으므로, 연습생을 대상으로 하고 프로젝트 그룹을 결성하는 엠넷의 보이그룹 오디션 프로그램은 홀수년도에 방송한다는 전통도 이어지게 되었다.[41] 다만 본 프로그램의 데뷔조는 ZEROBASEONE의 활동이 끝나는 2026년 초에 데뷔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Wanna One부터 ZEROBASEONE까지 이어져 사실상 공식화된 '엠넷 서바이벌로 결성된 프로젝트 보이그룹은 홀수년도, 하반기 여름에 데뷔한다'는 공식은 이번 데뷔조에서는 성립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42] 다만 프로그램 내내 서로의 노래를 바꿔 부르거나 일시적으로 유닛을 결성해 합동 무대를 꾸미는 등, 직접적인 관계성을 보여준 적은 없다.[43] 현재까지 가장 오래 활동한 CJ ENM 프로젝트 보이그룹은 1년 6개월 활동한 Wanna One이다. 만약에 ZEROBASEONE이 예정대로 2026년 1월에 활동이 종료되면 이 기록을 가져갈 예정이다. X1도 5년으로 예정되어 있었으나 프로듀스 101 시리즈 투표 조작 사건의 여파로 결국 데뷔 4개월만에 해체했기 때문에 해당 시리즈의 데뷔조가 무사히 활동을 완주할 경우 최장 기간 활동 프로젝트 그룹으로 기록될 전망이다.[44] 다만 CJ ENM 프로젝트 그룹 전체로 범위를 넓히면 계약을 연장한 Kep1er가 언제 활동을 마무리할지 모르므로 해당 프로젝트 그룹이 가장 오랜 기간 활동한 기록을 깨지 않을 수도 있다. 보이그룹으로 한정하면 해당 프로젝트 그룹이 최장기간 활동 기록을 경신할 확률이 높다.[45] 겸업이 가능할 경우 엠넷 아이돌 서바이벌 프로그램에서 결성된 그룹 중 B.D.U에 이어 활동 병행이 가능한 보이그룹이 될 전망이며, 다인원 그룹으로는 최초가 된다. 해당되는 기존 그룹인 아이오아이EL7Z UP은 모두 걸그룹이다.[46] 다만 정말 겸임을 할 수 있는지, 가능하다면 바로 겸업을 할 수 있는지 어느 정도 활동 기간이 지난 뒤 겸업이 가능해지는지는 미지수이다. 이전 X1의 당초 활동 계획처럼 겸임 금지 2년 반 + 겸임 가능 2년 반일 가능성은 있다.[47] 참고로 16명이 정원인 보이그룹은 K팝 역사상 없었으며 그나마 근접했던 인원은 데뷔와 영입을 통해 14인조를 유지했던 14U다. 이웃한 국가들까지 둘러봐도 일본의 소년닌자밖에 없을 정도로 이만한 규모의 다인조 보이그룹은 아직까지도 흔치 않다.[48] 프로듀스 101 시리즈, 플래닛시리즈, I-LAND 시리즈. 컴백전쟁 시리즈퀸덤 퍼즐을 제외하고 모두 아이돌 그룹 선발 오디션 프로그램은 아니다.[49] CJ ENM 주관 시리즈까지 보면 일본 현지화 아이돌 그룹을 선발하는 프로그램인 PRODUCE 101 JAPAN 시리즈가 보이그룹 시즌을 두 시즌 연속으로 제작한 바 있다.[50] 언프리티 랩스타: 힙팝 프린세스도 본 프로그램과 마찬가지로 2025년 하반기 방송 예정이며, 지원자 모집 종료가 6월 말이기 때문에 본 프로그램 방송 중이거나 종영 후에 첫 방송할 가능성이 높다. 다만 이쪽은 아이돌이 아닌 힙합이므로 따로 걸스플래닛 시즌2(가칭)는 시즌1 프로젝트 걸그룹 Kep1er의 재계약 기간이 끝나는 오는 2026년~2027년 사이에 제작을 할 가능성이 있는데 다만 걸스플래닛 시즌2의 포맷 방식이 프로그램의 제작에 변수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51] 이전 기록은 12명의 멤버가 활동한 프로듀스 48의 데뷔조인 IZ*ONE이었다.[52] 인터뷰에서 "방송 전까지 통상적으로 비공개 형식으로 진행되어 온 오디션 참가자 모집 과정 전반을 프리퀄 프로그램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53] 크루가 없는 개인 댄서들이 프리퀄 방송인 비 엠비셔스에서 프로젝트 크루를 결성해 스트릿 맨 파이터에 출연한 것과 유사하게 플래닛 B를 통해 보이즈 II 플래닛에 참가할 개인 연습생들을 선별하고자 한 것으로 추정된다.[54] 특히 B:MY BOYZ는 불과 한 달 텀을 두고 방송하기 때문에 참가자들이 중복 참여를 할 수 없고 방송 시기가 겹칠 때는 시청률 경쟁이 불가피하다.[55] 이 때문에 2024년 하반기 보이그룹 서바이벌 참가자 중 데뷔조에 합류하지 못한 상당수의 참가자들이 탈락 후에도 지원 가능한 해당 프로그램에 바로 지원하여 재출연하는 참가자가 발생할 수 있다. 전작 보이즈플래닛의 경우 현역 아이돌 활동 및 이전 서바이벌 출연 경력이 있는 N수생 참가자의 비율이 26.7%였으나 해당 프로그램에선 이를 경신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실제로도 5월까지 공개된 K그룹 참가자들은 전부 기존 보이그룹 활동 경력을 뒤로 하고 재데뷔를 목표로 출전한 참가자들이다.[56] ZEROBASEONE의 활동 종료일은 2026년 1월 10일로 예정되어 있다. 프로그램 종영은 10월 중 예정되어 있으며 방송 종료 후 데뷔까지 텀을 고려하면 데뷔조의 데뷔 앨범 발매는 2026년 1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57] 다만 데뷔조의 첫 무대는 앨범 발매일과 상관없이 MAMA AWARDS에서 가질 가능성이 높다.[58] 대신 장하오와 성한빈은 스페셜 마스터다.[59] 만든다 해도 마이돌, WIN: Who is Next?, MIX & MATCH, NO.MERCY, d.o.b : Dance or Band, 펜타곤 메이커, Stray Kids, I-LAND와 같이 한 소속사에서 데뷔 멤버를 결정하는, 기획사 자체 연습생 20인 내외로 구성된 소수정예 서바이벌 프로그램으로 기획될 가능성이 높다. 아니면 퀸덤 퍼즐이나 빌드업: 보컬 보이그룹 서바이벌처럼 현역 아이돌 대상의 재데뷔 서바이벌로 기획되거나.[60] 101명이 참가한 프로듀스 101 시즌2, 98명이 참가한 보이즈플래닛보다 적을 가능성이 높고, 동시기에 방송하는 B:MY BOYZ처럼 30명이라도 참가하면 다행인 수준일 정도로 참가자가 적을 수도 있다. 참고로 B:MY BOYZ도 42명이 참가했던 전작 유니버스 리그보다 참가자가 적다.[61] 이러면 해당 프로그램은 혹서기에 방영을 시작하여 선선해지기 시작하는 시기에 종영을 하기 때문에 아이돌학교프로듀스 48, 걸스플래닛999 : 소녀대전처럼 참가자들의 단체복은 하복으로 제작될 가능성이 있다. 다만, 프로듀스 48을 제외한 두 프로그램은 파이널 생방송에서 복장이 춘추복으로 바뀌었다. 이렇게 된다면 엠넷이 주최하는 보이그룹 서바이벌로는 최초의 사례가 될 수 있었으나 직전 시즌처럼 동복으로 제작되었다.[62] 다만, 대놓고 프로듀스 X 101이라고 하지 않고 과거 오디션 프로그램이라고 표현할 가능성이 높다. 유사하게 빌드업에서도 프로듀스 X 101 출신인 홍성준, 강석화, 최수환이 출연했는데, 당시 심사위원이었던 이석훈이 프로듀스 X 101를 언급하지 않고 구면이라고 에둘러 표현했다.[63] 단, 방송 외적으로는 엠넷플러스 보이즈 II 플래닛 커뮤니티의 마스터 소개란에서 이석훈의 경력으로 프로듀스 X 101 보컬 트레이너가 명시되어 있다.[64] 두 참가자의 3차 경연곡이었던 Monday to Sunday의 안무 제작에 참여했었다.[65] 김채현김태래가 소속된 CJ ENM 산하의 웨이크원 제외[66] 걸스플래닛에는 최유진과 함께 이윤지가, 보이즈플래닛에는 후이(이회택)박도하가 참가했다.[67] 걸스플래닛에는 샤오팅과 함께 구이저우가, 보이즈플래닛에는 차이진신이 출연했다. 이 중 차이진신은 TOP CLASS가 아닌 타 기획사 소속으로 이번 시즌에 재출연한다.[68] 걸스플래닛에는 김다연과 함께 사카모토 시호나가 출연했다.[69] 보이즈플래닛에는 박건욱과 함께 박현빈, 장여준, 한유섭이 참가했다. 이들 4인은 전원 데뷔를 하는데 성공했다. 또한 보이즈플래닛 당시 젤리피쉬 연습생 4인이 VERIVERY의 곡으로 스타 레벨 테스트를 했는데, VERIVERY의 동헌, 계현, 강민이 이번 시즌에 출연한다.[70] 보이즈플래닛에는 이다을, 임준서가 참가했다.[71] 특히 보이즈플래닛에서는 출연 후 퇴사한 브라이언까지 포함해 참가자 전원 데뷔라는 기염을 토했다. 걸스플래닛에는 한국 지사가 아닌 중국 본사 소속 장찡, 저우신위, 젠쯔링, 양쯔거, 쉬뤄웨이, 천신웨이가 참가했다.[72] 위에화의 경우 보이즈 II 플래닛 종영 후 자사 연습생들이 포함된 ZEROBASEONEEVNNE의 활동 종료가 예정되어 있기 때문에, 종료 후 원 소속사로 돌아올 멤버들을 주축으로 한 차기 보이그룹 런칭을 위해 해당 시즌에 불참한 것으로 보인다. 2025년부터 공개하고 있는 연습생 그룹인 YH Trainee가 있으나 이들 역시 차기 보이그룹 후보들로 해당 서바이벌에 출전시키지 않았다.[73] 걸스플래닛에는 심승은, 최혜린이 참가했다.[74] 프듀48 권은비&김채원 최종 데뷔, 프듀X 차준호 최종 데뷔로 두 시즌 연속으로 데뷔 멤버를 배출했으나 이 두 시즌 모두 프로듀스 101 시리즈 투표 조작 사건에 가담한 것이 밝혀졌으며 4년 만에 출전한 보플에서는 정세윤이 1차에서 광탈했고 장민서는 자진 하차했다. 참고로 현재 차준호와 같은 그룹에 소속된 이협, 김동윤이 이번 시즌에 참가자로 출연한다.[75] 이쪽은 엠넷 오디션으로 한정하면 아직 데뷔 멤버를 배출한 이력이 없다. 프듀2 유회승 2차 방출, 프듀48 조아영 1차 / 박해윤 파이널 방출, 걸플999 허지원&이채윤&쉬니엔츠 2차 / 메이 3차 / 김보라 파이널 방출, 보플 최지호&토우이 1차 / 나캠든 파이널 방출.[76] 여기도 FNC와 마찬가지로 아직 엠넷 오디션에서 성과를 낸 적이 없다. 프듀2 손동명&이건민&최재우 1차 / 여환웅 2차 / 이건희 3차 방출, 프듀48 박지은 1차 / 나고은 3차 방출, 보플 이쿠미 히로토 3차 방출.[77] 프듀2 장대현은 1차 방출 이후 파생 프로젝트 그룹 RAINZ로, 김동한은 3차 방출 이후 파생 프로젝트 그룹 JBJ로 활동하였고, 프듀X 김요한은 최종 우승으로 데뷔조에 들었다. 그러나 4년 후 참가한 보플에서는 최승훈과 전호영 모두 1차에서 광탈했다. 참고로 현재 김요한, 김동한, 장대현과 같은 그룹에 소속된 멤버 김준서가 이번 시즌에 참가자로 출전한다.[78] 프듀X에서 김우석이 최종 준우승으로 데뷔조에 입성한 바 있었으나(참고로 같이 나간 이진혁도 원래는 데뷔조에 들 수 있었지만 투표 조작으로 인해 실패한 바가 있다), 뒤이어 걸플999에 참가한 안정민귄마야는 각각 2차 / 파이널 방출, 보플에 참가한 이동열은 2차 방출, 이환희는 자진 하차로 프로그램을 마무리했다.[79] 보플이 첫 출전이었는데, 유일한 참가자였던 이동건이 2차에서 방출되었다.[80] 프듀X가 첫 출전이었는데, 최시혁이 1차 방출, 우제원과 정재훈이 2차 방출로 프로그램을 마무리했다. 다만 이번 프로그램에는 어라운드어스 본사가 아닌 자회사 위드어스엔터테인먼트로 참가한다.[81] 단, 범위를 자매까지 확장하면 걸스플래닛에서 쌍둥이 자매인 량지아오량치아오가 함께 출연했다.[82] 전작 보이즈플래닛에서는 이름만 같고 성씨는 다른 참가자(성한빈, 박한빈/이정현, 문정현/최지호, 장지호)가 있었지만, 이번 시즌에서는 성씨까지 같아 A, B로 구분했다(김동현 A, 김동현 B).[83] 전신격인 프로듀스 시리즈까지 고려할 경우 프로듀스 101 시즌2 이후 8년만의 11부작 편성이다.[84] 보이즈 II 플래닛 K와 C의 각 2부작을 각각으로 취급할 경우 총 13부작으로 최다 편성이 된다.[85] 이전 시즌과 달리 K그룹과 C그룹을 국적이 아닌 데뷔 희망 지역으로 분류했기 때문이다. 원래는 K그룹과 C그룹은 각각 방송을 따로 하고, 한국과 중국에서 각 그룹으로 데뷔하는 것이 초기 기획이었다. 따라서 참가자들도 어떤 방송에 출연할지 선택하여 오디션에 지원할 수 있었으나 트윈 프로젝트가 무산되고 방송이 통합되면서 K그룹과 C그룹의 분류가 모호해질 것으로 보인다.[86] 시그널 송 직캠, 자기소개 등[87] 실제 3화 방송 당시 옹성우는 연습생들을 보면서 과거 프로듀스 101 시즌2에서 본인이 연습생으로 활동했던 것에 대한 추억을 언급하기도 했다.[88] 프로미스나인, izna의 사례가 있다. 추가로 Kep1er도 마마에서의 데뷔 무대를 가질 예정이었지만, 멤버와 스태프의 코로나 확진으로 인해 무대를 하지 못했고 데뷔 날짜도 밀렸다.[89] 유사하게 IZ*ONEENHYPEN은 첫 무대는 아니지만 데뷔 시기와 마마 공연 시기가 겹쳐 데뷔곡으로 마마에서 공연을 한 적 있다.[90] 실제 1차 경연 이전에 탈락한 연습생은 전체 154명의 연습생 중 80명이었다.[A] 팀 탈퇴 이후 참가[92] 영국에 있는 소속사다.[93] 언더나인틴 데뷔조. 2020년 8월 해체 후, 10월 위아이로 재데뷔[B] 팀 해체 이후 참가[B] [96] 블라인드 투표, 프로필 공개 당일까지만 해도 나인아이 소속이었지만 프로필이 공개된 다음날 팀을 탈퇴하였다.[97] NINE.i는 원래 퍼스트원 엔터테인먼트 소속이었지만 2024년 법정 분쟁을 겪으면서 소속사가 없고 FCENM이 매니지먼트를 대행하고 있다.[B] [99] 솔로 데뷔 당시 일삼일 소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