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26 17:10:57

아차산 일대 보루군


{{{#!wiki style="margin:-12px 0"<tablebordercolor=#315288>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사적 史蹟
}}}
{{{#!wiki style="margin: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1.#26 경주 원성왕릉
  1. 경주 구정동 방형분
  2. 경주 성덕왕릉
  3. 경주 헌덕왕릉
  4. 경주 흥덕왕릉
  5. 경주 감은사지
  6. 서울 독립문
  7. 서울 영은문 주초
  8. 부여 청마산성
  9.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부산일본성}}}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마산일본성}}}
  1. 평창 오대산사고
  2.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경주노동리고분군[A]}}}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경주노서리고분군[A]}}}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경주황남리고분군[A]}}}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경주황오리고분군[A]}}}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경주인왕리고분군[A]}}}
  1. 경주 금척리 고분군
  2. 부여 군수리 사지
  3. 경주 장항리 사지
  4. 경주 원원사지
  5. 경주 명활성
  6. 관문성
  7.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승주신성리성[6]}}}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사천성진리성[7]}}}


[A] 사적 제512호 경주 대릉원 일원으로 통합 재지정[A] [A] [A] [A] [6] 전라남도 기념물 171호로 재지정[7]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274호로 재지정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1~1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1.#51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기장죽성리성[9]}}}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웅천안골리성[10]}}}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서생포성[11]}}}
  1. 영주 소수서원
  2. 고양 행주산성
  3. 남한산성
  4. 부여 나성
  5. 부여 청산성
  6. 서천 건지산성
  7. 고령 주산성
  8. 대구 달성
  9.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물금증산성[12]}}}
  1. 창녕 화왕산성
  2. 창녕 목마산성
  3. 김해 분산성
  4. 함안 성산산성
  5. 강진 고려청자 요지
  6. 부안 유천리 요지
  7. 부안 진서리 요지
  8.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성산사부동도요지[B]}}}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성산기산동도요지[B]}}}
  1. 김해 수로왕릉
  2. 김해 수로왕비릉
  3. 김해 구산동 고분군
1.#76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나주신촌리고분군[C]}}}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나주덕산리고분군[C]}}}
  1. 고령 지산동 고분군
  2.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창녕교동고분군[D]}}}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창녕송현동고분군[D]}}}
  1. 경주 천군동 사지
  2. 서울 선잠단지
  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함안도항리고분군[E]}}}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함안말산리고분군[E]}}}
  1. 성주 성산동 고분군
  2. 익산 쌍릉
  3. 경주 성동동 전랑지
  4. 부여 석성산성
  5. 예산 임존성
  6.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성주 성산성}}}
  1. 익산 토성
  2. 양산 북정리 고분군
  3. 양산 신기리 고분군
  4. 양산 중부동 고분군
  5. 경주읍성
  6. 양산 신기리 산성
  7. 양산 북부동 산성
  8. 부여 쌍북리 요지
  9. 양산 법기리 요지


[8] 부산광역시 기념물 47호로 재지정[9] 부산광역시 기념물 제48호로 재지정[10]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275호로 재지정[11] 울산광역시 문화재자료 제8호로 재지정[12]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276호로 재지정[B] 사적 제510호 고령 사부동과 기산동 요지로 통합, 재지정[B] [C] 사적 제513호 나주 반남 고분군으로 통합, 재지정[C] [C] [D] 사적 제514호로 창녕 교동과 송현동 고분군으로 통합 재지정[D] [E] 사적 제515호 함안 말이산 고분군으로 통합 재지정[E]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01~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1.#101 서울 삼전도비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만인의총[22]}}}
  1. 부안 구암리 지석묘군
  2. 남원 황산대첩비지
  3. 금산 칠백의총
  4. 구례 석주관 칠의사묘
  5. 강진 정약용 유적
  6. 산청 목면시배 유지
  7. 아산 맹씨 행단
  8.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성저오리정계석표}}}
  1. 김제 벽골제
  2. 아산 이충무공묘
  3. 통영 한산도 이충무공 유적
  4. 완도 묘당도 이충무공 유적
  5. 수원 화령전
  6. 서산 해미읍성
  7. 경복궁
  8. 진주성
  9. 고성 송학동 고분군
  10. 고성 내산리 고분군
  11. 사직단
  12. 창덕궁
  13. 창경궁
  14. 덕수궁
  15. 종묘


[22] 사적 제272호 남원 만인의총으로 재지정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1~2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1.#151 하동 고소성
  1. 함양 사근산성
  2. 울주 언양읍성
  3. 경주 옥산서원
  4. 아산 이충무공 유허
  5. 부여 증산성
  6. 환구단
  7. 경주 문무대왕릉
  8. 경주 이견대
  9.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서울 살곶이 다리[23]}}}
  1. 경주 동부 사적지대
  2. 북한산성
  3. 경주 낭산 일원
  4. 진주 평거동 고분군
  5. 고령 고아리 벽화고분
  6. 정읍 무성서원
  7. 해남윤씨 녹우당 일원
  8. 원주 거돈사지
  9.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창녕 영산 석빙고[24]}}}
  1. 안동 도산서원
  2. 서울 고종 어극 40년 칭경기념비
  3. 경주 오릉
  4. 경주 일성왕릉
  5. 경주 탈해왕릉
  6. 경주 미추왕릉


[23] 보물 제1738호로 지정변경[24] 보물 제1739호로 지정변경[25] 사적 제517호 경주 진지왕릉과 제518호 경주 문성왕릉으로 분리지정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01~25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51~3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1.#276 서울 연세대학교 언더우드관
  1. 서울 연세대학교 아펜젤러관
  2. 구 서울대학교 본관
  3. 구공업전습소본관
  4. 한국은행 본관
  5. 서울 중앙고등학교 본관
  6. 서울 중앙고등학교 서관
  7. 서울 중앙고등학교 동관
  8. 구 서울역사
  9. 서울 고려대학교 본관
  10. 서울 고려대학교 중앙도서관
  11. 인천 답동성당
  12. 전주 전동성당
  13. 구 목포 일본영사관
  14. 대구 계산동성당
  15. 창원 진해우체국
  16. 김포 덕포진
  17. 정읍 전봉준 유적
  18. 전주 남고산성
  19. 정읍 황토현 전적
  20. 서울 관상감 관천대
  21. 서울 몽촌토성
  22. 남원읍성
  23. 화성 제암리 3·1운동 순국 유적
  24.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경산임당동고분군[F]}}}


[26] 사적 제520호 서울 용산신학교와 제521호 서울 원효로 예수성심성당으로 분리지정[F] 사적 제516호 경산 임당동과 조영동 고분으로 통합 재지정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301~35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1.#301 부여 정림사지
  1. 순천 낙안읍성
  2.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광한루원[28]}}}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담양소쇄원[29]}}}
  1. 산청 조식 유적
  2. 강화 갑곶돈
  3. 보령 성주사지
  4. 완도 청해진 유적
  5. 남원 실상사
  6. 해남 진산리 청자 요지
  7. 경주 남산 일원
  8. 화순 운주사지
  9. 영주 순흥 벽화고분
  10. 광주 조선백자 요지
  11. 청주 흥덕사지
  12. 서산 보원사지
  13. 충주 미륵대원지
  14. 익산 나바위성당
  15. 청주 신봉동 고분군
  16. 울산 경상좌도병영성
  17. 보령 죽도 해저유물 매장해역
  18. 함양 황석산성
  19. 파주 윤관장군묘
  20. 서울 구 서대문형무소
  2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진천산수리백제요지[G]}}}
1.#326 합천 옥전 고분군
  1. 창원 다호리 고분군
  2. 경주 용강동 고분
  3. 용인 서리 고려백자 요지
  4. 서울 효창공원
  5.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경산조영동고분군[F]}}}
  1. 울주 검단리 유적
  2. 공주 학봉리 요지
  3. 공주 석장리 유적
  4. 통영 연대도 패총
  5. 구미 낙산리 고분군
  6. 나주읍성
  7. 영암 구림리 요지
  8. 전주 경기전
  9. 경주 천관사지
  10. 김해 대성동 고분군
  11. 군포 산본동 조선백자 요지
  12. 서울 호암산성
  1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진천삼용리백제토기요지[G]}}}
  1. 고창 용계리 청자 요지
  2. 고창 무장현 관아와 읍성
  3. 익산 입점리 고분
  4. 봉화 태백산사고지
  5. 남원 만복사지
  6. 경주 구정동 고분군


[28] 명승 제33호로 지정변경[29] 명승 제40호로 지정변경[G] 사적 제 511호 진천 산수리와 삼용리 요지로 통합 재지정[F] 사적 제516호 경산 임당동과 조영동 고분으로 통합 재지정[G]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351~4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33] 명승 제34호로 지정변경[34] 명승 제35호로 지정변경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401~45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451~5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35] 명승 제36호로 지정변경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01호~55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51~56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번호없음]⠀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2021년 11월 19일부로 번호 지정제 폐지
* 대구 팔거산성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344c3c> 서울특별시 배봉산 보루 · 북한산성[A] · 불암산성[A] · 아차산 일대 보루군[A] · 아차산성 · 탕춘대성 · 호암산성
경기도 남한산성 · 당항성 · 도기동 목책성 · 독산성 · 문수산성 · 반월성 · 북한산성[B] · 불암산성[B] · 아차산 일대 보루군[B] · 이성산성 · 파사성 · 죽주산성 · 행주산성 · 호로고루
인천광역시 강화산성(강화석수문)강화중성 ·강화외성정족산성 · 계양산성
충청북도 단양 적성 · 덕주산성 · 삼년산성 · 상당산성 · 온달산성 · 장미산성 · 충주산성
충청남도 공산성 · 부여 가림성 · 부여 나성 · 부소산성 · 영인산성
전북특별자치도 동고산성 · 미륵산성 · 위봉산성 · 우금산성
전라남도 자미산성 · 마로산성 · 검단산성 · 봉대산성
광주광역시 무진고성
경상북도 가산산성 · 가야산 산성 · 금돌성 · 금오산성 · 명활성 · 주산성
대구광역시 달성 · 용암산성 · 초곡산성 · 팔거산성
경상남도 고성 만림산 토성 · 분산성 · 우불산성 · 화왕산성 · 갈마봉산성 · 자마산성 · 제덕토성
부산광역시 금정산성
울산광역시 관문성
강원특별자치도 영원산성 · 정양산성
[A]: 경기도와 겹침. [B]: 서울특별시와 겹침.
행정구역은 현재 대한민국 기준
읍성 조창성  차단성・관문  왜성
}}}}}}}}}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의 사적 제455호
아차산 일대 보루군
阿且山 一帶 堡壘群
{{{#!wiki style="margin: 0 -12px; border-right: 2px solid transparent; border-left: 2px solid transparent"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5px"
소재지 서울특별시 광진구·중랑구·노원구경기도 구리시 일대
분류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성 / 성곽시설
면적 987,881㎡
지정연도 2004년 10월 27일
제작시기 삼국시대
위치
}}}}}}}}} ||
파일:external/www.kgnews.co.kr/157227_18278_585.jpg
<colbgcolor=#344c3c> 아차산 일대 보루군 분포도

1. 개요2. 내용3. 관련 유적4. 외부 링크5. 사적 제455호6. 관련 문서7. 둘러보기

1. 개요

서울특별시 광진구·중랑구·노원구경기도 구리시 일대에 걸쳐 있는 삼국시대 고구려보루군(堡壘群). 사적 제455호. 아차산을 중심으로 분포하므로 "아차산 일대 보루군"이라는 이름으로 명명되었다.

아차산 일대 보루군은 임진강·한탄강 유역 고구려 보루군에서 양주분지 보루군을 거쳐 점진적으로 내려와 최종적으로 축조되었다. 고구려는 일찍이 임진강한탄강 유역의 북변에 비교적 큰 보루들을 선점하면서 對백제 전선을 남하시키는 데 성공하여 한강 유역까지 진출할 수 있었다고 추정한다.

아차산 일대의 보루들 중에서는 관청에만 사용되는 와당이 발견되었다. 따라서 다른 지역에서는 대형성곽이 수행하였을 행정적 치소 역할을 대신하였다고 보기도 한다.

재미있는 사실은 천수백 년 후 한국군마저 이곳에(아차산 4보루 지역) 유적이 있는지 모르고 참호를 건설했다는 것. 세월이 흘러도 전략적 요충지임은 변함이 없다는 것을 여실히 증명하는 사례라 할 수 있다. #

2. 내용

파일:루보4산차아.jpg
<colbgcolor=#344c3c> 아차산 4보루의 추정복원도
홍련봉 1·2보루와 아차산 1~5보루, 용마산 1~7보루, 시루봉보루, 수락산보루, 망우산보루, 봉화산 보루가 해당한다. 대부분 산 정상부의 척릉(脊陵)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가장 이른 발굴은 80년대로 구의동 1보루와 2보루가 조사되었으나 택지개발로 인해서 파괴되었다. 아차산 일대의 고구려 보루의 본격적인 발굴은 90년대 후반부터 이루어지기 시작했다. 아차산 일대 보루군에서는 홍련봉 1, 2보루와 아차산 3, 4보루, 용마산 1, 2보루, 시루봉 보루가 발굴조사되었다.[1]

고구려의 남진 과정은 이러하다. 먼저 임진강·한탄강에서 對백제전선을 확보했다. 이후 5세기 중후반 어느 시점부터 목책(木柵)을 활용하여 보루를 여럿 구축하여 거점을 확보하며 천천히 남진하다가 양주 분지 일대를 점령한 뒤에는 아차산 권역으로 진출이 했다. 아차산에서도 마찬가지로 목축으로 먼저 거점을 확보하는 방법을 택하였다.
파일:루보1봉련홍.jpg
<colbgcolor=#344c3c> 홍련봉 1보루의 전경. 아래쪽의 목책의 흔적을 통해서 목책성에서 석축성으로 개조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후 해당 권역에 어느 정도 통제력을 확보한 뒤에는 목책을 폐기하고 석축(石築)으로 전환하여 방어력을 보강하였다. 경우에 따라서는 목책을 일부 남겨두고 활용한 모양이다. 석축으로 전환한 시기는 6세기 무렵이다. 고구려가 남진하는 와중에도 석축으로 바꾸는 작업을 한 듯하다. 특히 신라가 한강으로 진출하여 신라와 전쟁이 일어날 쯤에 개축된 보루도 있다고 본다.

아차산 일대 보루군의 각 발굴된 보루의 크기는 대부분 장축이 100m가 채 안 되는 소형이다. 가장 큰 것이 80m인 아차산 4보루이다. 출토되는 철촉과 무기류로 주둔인원을 산출하면 작게는 10여 명, 많으면 100명까지도 주둔했으리라 추측한다. 내부시설로는 주거공간과 취사공간 등으로 구분되었다. 홍련봉 보루에서는 단야(鍛冶: 무기 제조)와 관련된 시설도 확인되기도 하였다.

아차산의 보루들은 보루라는 이름에 걸맞게 최대의 방어력을 뽑아내기 위해 다양한 방어시설을 구비하였다. 축조과정을 살펴보면, 산의 정상부를 평탄하게 하여 주둔할 공간을 일부 마련하고 외벽을 목책 또는 석축 보루의 형태로 구축하였다. 보루마다 차이는 있지만 성벽을 2중 구조로 만들어 방어력을 보강한 경우도 있다. 성벽에는 치(雉)라고 부르는 돌출된 성벽을 곳곳에 설치하여 사계(射界)를 확보하고 방어를 용이하게 하였다. 이는 목책 단계에서도 확인되는 고구려 보루의 특징이다.[2] 보루의 밖으로는 외황(外隍)[3]를 두어 적군의 보루로의 진입을 방해하였다.

용마산 0 보루에서는 목재 사다리가 확인되었고, 아차산 3, 4보루에서는 일종의 다리를 놓아야 통과할수 있는 구조가 확인되었다. 홍련봉 0 보루에서도 이와 같은 양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는 모두 보루 내부로 들어올 땐 어렵지만 나갈 땐 더 어렵게 하기 위한 방어적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출입시설의 방향은 주변 보루가 있는 쪽으로 나있는데, 아차산 보루군 자체가 종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형태이다. 또 북쪽의 성벽은 비교적 낮은데 남쪽의 성벽은 높은 편인 점은 보루의 함락과 그에 따른 탈출을 염두에 둔 것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발견된 무기류를 보면 창과 도끼, 화살촉이 다수이고 칼은 소수여서 장교급만 칼을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하게 된다.

보루들의 기능적 요소 중의 하나인 감시 능력을 살펴보면 특히 아차산 일대 보루군에 해당하는 보루에서는 몽촌토성풍납토성이 아주 잘 보인다. 반대로 몽촌토성과 풍납토성에 있었을 백제 측에서도 고구려의 아차산 점령을 코앞에서 목도하였을 것이다.

3. 관련 유적

남한지역의 고구려 성곽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임진강·한탄강 유역 고구려 보루군 <colbgcolor=#ffffff,#1f2023>연천 호로고루ㆍ연천 당포성ㆍ연천 은대리성ㆍ연천 무등리 1·2보루ㆍ파주 덕진산성
양주분지 고구려 보루군 양주 태봉산 보루ㆍ양주 독바위 보루ㆍ양주 천보산 보루군ㆍ양주 불곡산 보루군ㆍ양주 도락산 보루군
아차산 일대 보루군 아차산 보루ㆍ용마산 보루ㆍ홍련봉 보루ㆍ시루봉 보루ㆍ수락산 보루ㆍ망우산 보루
불암산 보루ㆍ배봉산 보루[a]
한강 이남 고구려 점령 성곽 서울 몽촌토성안성 도기동 목책 유적ㆍ대전 월평동 산성ㆍ청원 남성골 산성ㆍ진천 대모산성[b]충주 장미산성[b]
[ 각주 ]

[a] 아차산 일원은 아니지만 서울 권역에 소재[b] 축조와 점령의 주체에 대해서 고구려, 백제, 신라 모두가 거론되고 있는 상태이다. 그나마 대모산성에는 치 시설이있어 고구려라고도 하지만 수 킬로 둘레를 갖는 큰 성벽에 치는 단 1개만 있을 뿐이다.[b]
}}}}}}}}}

파일:아차산성.jpg
아차산 일대 보루군에서 확인된 고구려의 산성[4]
남한 지역에 있는 고구려 유적은 산성과 고분군으로 나뉜다. 90년대 이전까지만 하더라도 고구려 유적에 대한 인식은 남한엔 거의 없다고[5] 보았었으나 지표조사와 발굴조사가 이루어지면서 점차 알려지게 되었다. 남한 내 고구려 유적에서 출토된 토기, 철기의 편년은 5세기 중엽에서 6세기 중반경으로 판단되고 있으며 역사적 맥락으로도 장수왕의 남진정책에 따라 형성된 것으로 보고 있다.[6]

4. 외부 링크

5. 사적 제455호

아차산일대보루군은 출토유물이나 축성방법 등으로 보아 삼국시대의 유적으로 보이며, 고구려가 5세기 후반에 한강 유역을 진압한 후 551년에 신라와 백제에 의해 한강유역을 상실하기까지의 역사를 밝혀줄 수 있는 유적이다.

아차산일대보루군은 아차산보루, 용마산보루, 시루봉보루, 수락산보루, 망우산보루 등 17여개의 보루로 이루어진 유적으로 그 중 일부를 제외한 10여개의 보루가 고구려의 보루로 추청된다. 아차산일대보루군은 중랑천과 아차산, 용마산 일대에 집중적으로 분포하고 있는데 여기에 존재하는 10여개의 보루는 현재 남한 내에서 가장 집중적으로 분포하는 고구려 관련유적으로서 발굴 등을 통해 고구려 군사시설의 면모가 규명되고 있으며, 백제나 신라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자료가 부족하여 그동안 연구활동이 부진했던 고구려 관련 고고학적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

삼국시대 특히 고구려 국경지대 요새의 구조와 성격, 국경방위체계, 군 편제 등을 밝혀주는 귀중한 역사 자료로서 고구려의 남하과정, 한강유역에서의 대치와 관리방식, 한강을 둘러싼 삼국의 각축과 발전과정 연구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는 유적이다.

6. 관련 문서

7.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tablebordercolor=#ae1932>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
{{{#!wiki style="margin: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44호]⠀
{{{#!wiki style="margin:-10px 0"
1.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화양동 느티나무[A]}}}
  1. 강감찬 생가 터(낙성대)
  2. 세검정 터
  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손기정 월계관 기념수[A]}}}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이화장[4]}}}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만해한용운심우장[5]}}}
  1. 양천향교 터
  2. 망원정 터
  3. 보신각 터
  4.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허가바위[A]}}}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낙천정 터}}}
  1. 무악산 동봉수대 터
  2. 목멱산 봉수대 터
  3. 아차산 봉수대 터
  4. 배재학당 동관
  5. 조석견과 완성군 이귀정 묘역
  6. 구용산수위관측소
  7. 광통관
  8. 구세군 중앙회관
  9.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아차산홍련봉보루유적[7]}}}
  1. 류순정·류홍 부자 묘역
  2. 해공 신익희 가옥
  3. 화의군 이영 묘역
  4. 숙용 심씨 묘표
1.#26 영산군 이전 묘역
  1. 충정공 목서흠 묘역
  2. 도봉서원과 각석군
  3. 완남부원군 이후원 묘역
  4. 월산대군 이정 태실
  5.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인왕산 수성동 계곡[A]}}}
  1. 불암산성
  2.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방학동 은행나무[A]}}}
  1. 호안공 이등과 의령옹주 묘역
  2. 경천군 이해룡 사패지 송금비
  3. 수유동 분청사기 가마터
  4.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성균관 대성전 은행나무[A]}}}
  1. 서울광장 지하배수로
  2. 남대문로 지하배수로
  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인왕산 백운동 계곡[A]}}}
  1. 태평로2가 지하배수로
  2. 배봉산 보루
  3. 숙선옹주(선빈) 안씨 묘
  4. 사릉 석물 채석장 터

[A] 2024년 7월 11일에 기존 서울특별시 기념물에서 자연유산에 해당하는 목록이 서울특별시 자연유산으로 분리되며 지정해제[A] [A] [4] 사적 제497호로 승격[5] 사적 제550호로 승격[A] [7] 사적 제455호로 승격[A] [A] [A] [A]
}}}}}}}}}}}}

[1] 임진강 유역의 보루들에 비해서는 다소 늦게 본격화되었으며 현재는 양주 분지 일대의 보루들이 발굴되어 임진강, 한탄강 유역 보루군-양주분지 보루군-아차산 일대 보루군으로 이어지는 라인에 두고 해석이 가능할 정도로 표본이 늘어났다.[2] 치 자체가 고구려 산성에서 주로 확인되는 편이기도 하다. 한편 이러한 치를 설치한 성문인 옹성의 구조도 고구려에서는 비교적 빨리 채용한 편이기도 하다.[3] 물이 없는 해자와 같다.[4] 이 성곽 유적은 아차산성과는 다른 유적이다. 아차산성은 신라가 축조했을 가능성이 매우 높게 비정되는 유적이고, 아차산 일대 보루군의 산성들은 고구려의 유적이 출토된 분명한 고구려의 산성들이다.[5] 서울 석촌동 고분군은 고구려 계통의 적석총으로 보기는 했지만 백제의 적석총으로 판단하였었다.[6] 참고로 강원도 일대, 특히 춘천을 중심으로 고구려 석실들이 꽤나 자리하고 있다. 이는 고구려가 이미 점령한 것 내지는 고구려에 속한 말갈이나 예맥의 일파가 아닌가라고 보는 견해가 있다. 고구려의 5세기 남진정책과는 다소 무관한 유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