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5-10 02:42:05

아임 스틸 히어

아임 스틸 히어의 주요 수상 이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역대 베니스 국제 영화제
파일:베니스 국제 영화제 로고.svg
각본상
제80회
(2023년)
제81회
(2024년)
제82회
(2025년)
공작 아임 스틸 히어 -

파일:oscar_logo.svg
아카데미 국제영화상 수상작
'''[[틀:아카데미 국제영화상 수상작|Academy Award for Best International Feature Film]]'''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000,#e5e5e5
제20회
(1948년)
제21회
(1949년)
제22회
(1950년)
제23회
(1951년)
제24회
(1952년)
구두닦이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무슈 뱅상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자전거 도둑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말라파가의 성벽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라쇼몽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제25회
(1953년)
제27회
(1955년)
제28회
(1956년)
제29회
(1957년)
제30회
(1958년)
금지된 장난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지옥문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미야모토 무사시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라 스트라다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카비리아의 밤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제31회
(1959년)
제32회
(1960년)
제33회
(1961년)
제34회
(1962년)
제35회
(1963년)
나의 삼촌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흑인 오르페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처녀의 샘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거울을 통해 어렴풋이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시벨의 일요일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제36회
(1964년)
제37회
(1965년)
제38회
(1966년)
제39회
(1967년)
제40회
(1968년)
8과 1/2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어제, 오늘, 내일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중심가의 상점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슬로바키아)
남과 여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가까이서 본 기차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슬로바키아)
제41회
(1969년)
제42회
(1970년)
제43회
(1971년)
제44회
(1972년)
제45회
(1973년)
전쟁과 평화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
Z
(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
완전 범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핀치 콘티니의 정원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부르주아의 은밀한 매력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제46회
(1974년)
제47회
(1975년)
제48회
(1976년)
제49회
(1977년)
제50회
(1978년)
아메리카의 밤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아마코드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데르수 우잘라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
색깔 속의 흑백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코트디부아르)
마담 로자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제51회
(1979년)
제52회
(1980년)
제53회
(1981년)
제54회
(1982년)
제55회
(1983년)
손수건을 꺼내라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양철북
(파일:독일 정부기.svg 서독)
모스크바는 눈물을 믿지 않는다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
메피스토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비긴 더 베긴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제56회
(1984년)
제57회
(1985년)
제58회
(1986년)
제59회
(1987년)
제60회
(1988년)
화니와 알렉산더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위험한 행마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오피셜 스토리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
한밤의 암살자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바베트의 만찬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제61회
(1989년)
제62회
(1990년)
제63회
(1991년)
제64회
(1992년)
제65회
(1993년)
정복자 펠레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시네마 천국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희망의 여행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지중해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인도차이나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제66회
(1994년)
제67회
(1995년)
제68회
(1996년)
제69회
(1997년)
제70회
(1998년)
아름다운 시절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위선의 태양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안토니아스 라인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콜리야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캐릭터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제71회
(1999년)
제72회
(2000년)
제73회
(2001년)
제74회
(2002년)
제75회
(2003년)
인생은 아름다워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내 어머니의 모든 것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와호장룡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노 맨스 랜드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러브 인 아프리카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제76회
(2004년)
제77회
(2005년)
제78회
(2006년)
제79회
(2007년)
제80회
(2008년)
야만적 침략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씨 인사이드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갱스터 초치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타인의 삶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카운터페이터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제81회
(2009년)
제82회
(2010년)
제83회
(2011년)
제84회
(2012년)
제85회
(2013년)
굿' 바이: Good&Bye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엘 시크레토: 비밀의 눈동자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
인 어 베러 월드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씨민과 나데르의 별거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아무르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제86회
(2014년)
제87회
(2015년)
제88회
(2016년)
제89회
(2017년)
제90회
(2018년)
그레이트 뷰티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이다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사울의 아들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세일즈맨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판타스틱 우먼
(파일:칠레 국기.svg 칠레)
제91회
(2019년)
제92회
(2020년)
제93회
(2021년)
제94회
(2022년)
제95회
(2023년)
로마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기생충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어나더 라운드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드라이브 마이 카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서부 전선 이상 없다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제96회
(2024년)
제97회
(2025년)
제98회
(2026년)
제99회
(2027년)
제100회
(2028년)
존 오브 인터레스트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아임 스틸 히어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
}}}}}}}}}}}}}}} ||

}}} ||
계엄령의 기억 (2024)
Ainda Estou Aqui
파일:2024 아임 스틸 히어 브라질 메인 포스터 1.jpg
<colbgcolor=#6599C0><colcolor=#161415> 장르 정치, 전기, 역사, 드라마
감독 바우테르 살리스
각본 무릴로 하우저, 헤이토르 로르가
원작 마르셀로 루벤스 파이바 - <Ainda Estou Aqui>
제작 마리아 카를로타 페르난데스 브루노
로드리고 테익세이라
마르틴 드 클레르몽 토네르
주연 페르난다 토히스
촬영 아드리안 테이지도
편집 아폰소 곤칼베스
미술 카를로스 콘티
음악 워렌 엘리스[1]
의상 헬레나 빙튼
제작사 파일:브라질 국기.svg 비디오필름스[2], RT 피처스, 글로보플레이
파일:프랑스 국기.svg 카날+, MACT 프로덕션
수입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배급사 파일:브라질 국기.svg 소니 픽처스 릴리징
파일:프랑스 국기.svg 스튜디오 카날
파일:미국 국기.svg 소니 픽처스 클래식
개봉일 파일:베니스 국제 영화제 로고.svg 2024년 9월 1일
파일:브라질 국기.svg 2024년 11월 7일
파일:미국 국기.svg 2024년 11월 20일
파일:프랑스 국기.svg 2025년 1월 15일
화면비 1.85 : 1
상영 시간 2시간 15분
제작비 800만 브라질 헤알 (148만 달러)
월드 박스오피스 $19,113,029
북미 박스오피스 $1,038,273
상영 등급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PG-13 로고.svg

1. 개요2. 포스터3. 예고편4. 시놉시스5. 등장인물6. 줄거리7. 사운드트랙8. 평가9. 흥행
9.1. 대한민국9.2. 북미 (미국·캐나다)9.3. 중국9.4. 대만9.5. 일본9.6. 영국9.7. 기타 국가
10. 수상 및 후보 이력11. 기타12. 관련 문서

1. 개요

바우테르 살리스 감독, 페르난다 토히스, 페르난다 몬테네그로 주연의 2024년작 전기 드라마 영화. 살리스 감독의 12년만의 장편 극영화 복귀작.

브라질의 작가 마르셀루 후벤스 파이바가 2015년에 집필해 자신의 가족을 다룬 동명의 회고록을 원작으로 하며, 브라질 군사정권 시대를 배경으로 정치적 숙청에 의해 살해된 연방 하원의원 '후벤스 파이바'의 아내 '에우니시 파이바'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제81회 베니스 국제 영화제 각본상 수상작.

2. 포스터

파일:2024 아임 스틸 히어 브라질 메인 포스터 1.jpg 파일:2024 아임 스틸 히어 브라질 메인 포스터 2.jpg
브라질 포스터

3. 예고편

▲ 북미 예고편

4. 시놉시스

독재정권이 극에 달하던 1970년대 초 브라질,
후벤스 파이바와 그의 아내 에우니시 파이바, 그리고 다섯 아이들로 구성된
파이바 가족은 리우데자네이루 바닷가 근처 저택에 살며 근처 친구들에게도 집을 열어놓는 단란한 가족이다.
어느 날, 루벤스 파이바는 심문을 받기 위해 불려간 이후 두 번 다시 돌아오지 않는데...

5. 등장인물

  • 페르난다 토히스[3] (장년기) / 페르난다 몬테네그로 (노년기) - 에우니시 파이바 역
  • 셀톤 멜루 - 후벤스 파이바 역
  • 길례르메 시우베이라 (유년기) / 안토니오 사보이아 (성인기) - 마르셀루 후벤스 파이바 역
  • 발렌티나 에르사지에 (유년기) / 마리아 마노엘라 (성인기) - 베라 파이바 역
  • 루이자 코소브스키 (유년기) / 마르조리 이스치아누 (성인기) - 엘리아나 파이바 역
  • 바바라 루즈 (유년기) / 가브리엘라 카르네이루 다 쿠냐 (성인기) - 날루 파이바 역
  • 코라 모라 (유년기) / 올리비아 토히스 (성인기) - 마리아 베아트리즈 파치올라 파이바 역
  • 프리 헬레나 - 마리아 "제제" 호세 역
  • 움베르투 카랑 - 펠릭스 역
  • 마에브 진킹스 - 다우바 가스파리안 역

6. 줄거리

7. 사운드트랙

8. 평가

[include(틀:평가/영화 평점,
IMDb=tt14961016, IMDb_user=8.6, IMDb_highlight=display,
로튼토마토=im_still_here_2024, 로튼토마토_tomato=97, 로튼토마토_popcorn=97, 로튼토마토_highlight=display,
메타크리틱=im-still-here-2024, 메타크리틱_critic=85, 메타크리틱_user=9.2, 메타크리틱_highlight=display,
레터박스=im-still-here-2024, 레터박스_user=4.4, ## 레터박스_highlight=display,
알로시네=265940, 알로시네_presse=4.2, 알로시네_spectateurs=4.2, ## 알로시네_highlight=display,
Filmarks=117896, Filmarks_user=, ## Filmarks_highlight=display,
도우반=35512487, 도우반_user=7.8, ## 도우반_highlight=display,
왓챠=m5mYz1G, 왓챠_user=3.7, ## 왓챠_highlight=display,
키노라이츠=136157, 키노라이츠_light=, 키노라이츠_star=, ## 키노라이츠_highlight=display,
MRQE=ainda-estou-aqui-m100149555, MRQE_user=73, ## MRQE_highlight=display,
TMDB=1000837-ainda-estou-aqui, TMDB_user=78, ## TMDB_highlight=display,
무비파일럿=i-m-still-here, 무비파일럿_user=, ## 무비파일럿_highlight=display,
인디와이어=im-still-here-review-walter-salles-1235042776, 인디와이어_user=B, ## 인디와이어_highlight=display)]
Carried along by Fernanda Torres' superb performance, I'm Still Here poignantly explores a nation's upheaval through one family's search for answers.
페르난다 토히스가 보여주는 최상급의 연기가 이끈, <아임 스틸 히어>는 어느 가족이 해답을 찾기 위해 애쓰는 모습을 통해 한 국가의 격변기 속 모습을 애절하게 탐구한다.
- 로튼 토마토 평론가 총평

9. 흥행

출처: 박스오피스 모조
국가 개봉일 총수입 (단위: 미국 달러) 기준일
전 세계 (최초개봉일) $(세계누적) (기준일자)
개별 국가 (개봉일 순, 전 세계 영화 시장 1, 2위인 북미, 중국은 볼드체)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 캐나다|{{{#!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캐나다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 캐나다}}}{{{#!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북미
미정 미개봉 미정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중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중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중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미정 미개봉 미정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국가}}}{{{#!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미정 미개봉 미정

9.1. 대한민국

누적관객수 -명, 누적매출액 -원[4]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width:300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주차별 상세 내역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 -10px"
<colbgcolor=#000><colcolor=#fff><rowcolor=#fff> 주차 날짜 일일 관람 인원 주간 합계 인원 순위 일일 매출액 주간 합계 매출액
개봉 전 -명 -명 미집계 -원 -원
1주차 20XX-XX-XX. 1일차(수) -명 -명 -위 -원 -원
20XX-XX-XX. 2일차(목) -명 -위 -원
20XX-XX-XX. 3일차(금) -명 -위 -원
20XX-XX-XX. 4일차(토) -명 -위 -원
20XX-XX-XX. 5일차(일) -명 -위 -원
20XX-XX-XX. 6일차(월) -명 -위 -원
20XX-XX-XX. 7일차(화) -명 -위 -원
2주차 20XX-XX-XX. 8일차(수) -명 -명 -위 -원 -원
20XX-XX-XX. 9일차(목) -명 -위 -원
20XX-XX-XX. 10일차(금) -명 -위 -원
20XX-XX-XX. 11일차(토) -명 -위 -원
20XX-XX-XX. 12일차(일) -명 -위 -원
20XX-XX-XX. 13일차(월) -명 -위 -원
20XX-XX-XX. 14일차(화) -명 -위 -원
3주차 20XX-XX-XX. 15일차(수) -명 -명 -위 -원 -원
20XX-XX-XX. 16일차(목) -명 -위 -원
20XX-XX-XX. 17일차(금) -명 -위 -원
20XX-XX-XX. 18일차(토) -명 -위 -원
20XX-XX-XX. 19일차(일) -명 -위 -원
20XX-XX-XX. 20일차(월) -명 -위 -원
20XX-XX-XX. 21일차(화) -명 -위 -원
4주차 20XX-XX-XX. 22일차(수) -명 -명 -위 -원 -원
20XX-XX-XX. 23일차(목) -명 -위 -원
20XX-XX-XX. 24일차(금) -명 -위 -원
20XX-XX-XX. 25일차(토) -명 -위 -원
20XX-XX-XX. 26일차(일) -명 -위 -원
20XX-XX-XX. 27일차(월) -명 -위 -원
20XX-XX-XX. 28일차(화) -명 -위 -원
}}}}}}}}}||

9.2. 북미 (미국·캐나다)

9.3. 중국

9.4. 대만

9.5. 일본

9.6. 영국

9.7. 기타 국가

10. 수상 및 후보 이력

11. 기타

  • 바우테르 살리스 감독은 극 중 등장하는 파이바 가족과 어린 시절 친한 사이였다. 부유한 집이었던 데에다가 유머 넘치는 사람들이어서 자주 놀러가곤 했었는데, 어느 날 돌연 저택에 찾아가자 문을 닫은 채 사람들이 텅 비어있던 것을 보았다. 때문에 이 이야기에 대해 잘 알고 있었으나 동시에 이 시간이 가족에게 얼마나 고통스러운 나날이었는지도 너무 잘 알고 있어서 제작에 4년이나 걸려 버리는 등 매우 조심스럽게 이야기를 접근하려고 했다고.
  • 한국에서는 아카데미 기간까지만 해도 원제의 영어 직역명을 그대로 음차한 '아임 스틸 히어'로 소개되었으나, 2025년 전주국제영화제에서 상영할 때에는 제목이 '계엄령의 기억'으로 바뀌었다. 이에 대한 관객 평가는 매우 좋지 않다.

12. 관련 문서


[1] 닉 케이브와 자주 협업하기로 유명한 호주의 영화 음악가.[2] 바우테르 살리스 소유의 제작사다.[3] 페르난다 몬테네그로의 딸이다. 즉 모녀가 각각 같은 인물의 젊은 시절과 노년기를 연기하게 되었다.[4] ~ 20XX/XX/XX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