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28 16:22:25

쌍자총통


파일:조선군 좌독기_White.svg
조선의 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c00d45,#94153e><colcolor=#fff> 백병 <colbgcolor=#c00d45,#94153e><colcolor=#fff> 도검 사인검 · 월도 · 왜검 · 장검 · 창포검 · 환도 · 협도 · 쌍수도
당파 · 장창 · 낭선 · 기창 · 죽장창 · 요구창 · 겸창 · 이두표 · 표창
둔기 도끼(부월), 쇠좆매, 육모방망이, 철퇴, 철편, 편곤
발사
무기
궁(弓)시(矢) 국궁, 각궁, 목궁(교자궁), 죽궁, 쇠뇌 장전, 편전(애기살)
화기
<colbgcolor=#c00d45,#94153e><colcolor=#fff> 화포
탄약지뢰
천자총통, 지자총통, 현자총통, 황자총통
별대완구,대완구,중완구,소완구,소소완구, 총통기, 호준포, 불랑기포, 홍이포, 목모포, 파진포, 지뢰포, 수뢰포
쇄마탄, 목통
진천뢰, 질려포통, 비격진천뢰, 죽장군, 대장군전
운현궁 화포(소포, 중포, 대포)\[서양식]
개인화기 조총, 천보총, 대조총, 일총통, 이총통, 승자총통, 사전총통, 삼안총, 세총통, 수포, 쌍자총통,
Gew71 \[독일제국산], 레밍턴 롤링블럭 \[미국산], 스나이더-엔필드 \[영국산]
화전・로켓 신기전 · 화차
방어구 갑(甲)군복 두정갑, 유엽갑, 피찰갑, 쇄자갑, 경번갑, 면제배갑, 엄심갑, 지갑, 어린갑(두석린갑) 납의 · 철릭 · 구군복 · 포졸복
주(冑) · 군모 간주형 투구, 첨주형 투구, 원주형 투구 전립 · 주립
방패 원방패, 장방패, 등패, 장태
군장 띠돈, 동개, 활집, 광다회, 전대
전차・육상병기 화차 · 비거 마름쇠
전선(戰船) 판옥선, 방패선, 거북선, 해골선, 맹선, 과선, 협선, 사후선, 누전선
서양식 무기 }}}}}}}}}

1. 개요2. 상세
파일:external/cp.culturecontent.com/CP0208309511_l00001.jpg

1. 개요

雙字銃筒

조선에서 개발한 소형 총통.

2. 상세

조선 중기에 사용하던 소형 화포로 승자총통을 개량하여 두 개의 총신을 하나로 묶었기 때문에 쌍자총통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길이는 52.2cm, 구경은 1.7cm, 손잡이는 6cm이다.

총신 하나당 3발씩 장전하여 총 6발을 동시에 발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비바람이 불면 쓸 수 없고 총신이 짧아 원거리 사격은 어렵다. 결국 임진왜란을 거치면서 조총이 널리 보급되자 쌍자총통은 버려졌다. 현재 1583년에 주조한 쌍자총통 유물이 남아있으며 1975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비슷한 무기로 총신 세 개를 하나로 묶은 삼안총이 있다. 이쪽도 조총이 도입되자 신호용 화포로 밀려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