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20 02:03:21

스나이더-엔필드

Snider-Enfield
스나이더-엔필드
<nopad> 파일:Snider_Springfield_rifle.jpg
<colbgcolor=#c7c7c7,#353535><colcolor=#000,#fff> 종류 <colbgcolor=#ffffff,#121212><colcolor=#000,#fff>소총
원산지
#!if 깃발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기 명칭}}}{{{#!if 출력 != null
영국}}}}}}]]
#!if 기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깃발.svg|width=24]]}}} {{{#!if 출력 == null
깃발 명칭}}}{{{#!if 출력 != null
영국}}}}}}]]
#!if 기 == null && 깃발 == null
[[그레이트브리튼 및 아일랜드 연합왕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영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그레이트브리튼 및 아일랜드 연합왕국}}}{{{#!if 출력 != null
영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펼치기 · 접기】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이력
<colbgcolor=#c7c7c7,#353535><colcolor=#000,#fff> 역사 <colbgcolor=#ffffff,#121212><colcolor=#000,#fff>1866년~1901년
개발 제이콥 스나이더
개발년도 1866년
생산 RSAF 엔필드
생산년도 1866년~1880년대
생산수 870,000정
사용국
#!if 깃발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기 명칭}}}{{{#!if 출력 != null
영국}}}}}}]]
#!if 기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깃발.svg|width=24]]}}} {{{#!if 출력 == null
깃발 명칭}}}{{{#!if 출력 != null
영국}}}}}}]]
#!if 기 == null && 깃발 == null
[[그레이트브리튼 및 아일랜드 연합왕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영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그레이트브리튼 및 아일랜드 연합왕국}}}{{{#!if 출력 != null
영국}}}}}}]]




#!if 깃발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기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깃발.svg|width=24]]}}} {{{#!if 출력 == null
깃발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깃발 == null
[[조선|{{{#!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조선 국기(1893).svg|width=24]]}}} {{{#!if 출력 == null
조선}}}{{{#!if 출력 != null
}}}}}}]]

사용된 전쟁 보신 전쟁
세이난 전쟁
줄루 전쟁
동학 농민 혁명
제1차 보어 전쟁
영국의 티베트 침공
제1차 세계 대전
기종
원형 패턴 1853 엔필드
세부사항
탄약 .577 스나이더
급탄 단발
작동방식 트랩도어
총열길이 840mm
전장 1,250mm
중량 3.8kg
발사속도 10RPM
탄속 381m/s
유효사거리 550m
최대사거리 1,800m }}}}}}}}}
1. 개요2. 역사
2.1. 배경2.2. 유일한 승자2.3. .577 스나이더2.4. 개량2.5. 실전
3. 특징4. 여담5. 참고문헌6. 둘러보기

1. 개요

스나이더-엔필드 소개 영상 사격 영상
영국엔필드 조병창에서 이전까지 주력 제식 화기었던 1853년형 엔필드 강선 머스킷트랩도어식으로 개조한 소총이다. 여기에 사용된 액션 구조의 발명자인 미국인 제이콥 스나이더의 이름을 따 스나이더-엔필드라 불리게 되었다.

2. 역사

2.1. 배경

영국의 후미장전식 화기 역사는 상당히 오래되었다. 18세기 패트릭 퍼거슨 소령에 의해 설계된 퍼거슨 소총은 당시 화기의 한계에도 불과하고, 상당히 진보된 후미장전 매커니즘을 제시하였다. 전장식에 비하여 후미 장전식은 당장의 장전 과정이 간소했고, 꽂을대를 사용하거나 중력에 의한 도움을 필요로 하지 않았으므로 장전에 큰 공간이 필요하지 않았으며, 강선 효과를 충분히 줄 수 있는 탄약을 사용하기 편했으므로 강선식 '소총'과 궁합이 잘 맞았다. 하지만 당시의 한계로 인해 기존 전장식 소총에 대한 확실한 강점을 주지 못했고 이를 주도한 퍼거슨 소령이 전사하면서 이 발명품은 그대로 묻히는 가 했다.

간편한 후미장전식 소총에 대한 요구는 더 이전 화승총의 시대부터 있어왔다. 그러나 그 물건들은 베르소(Verso, 한국에서는 불랑기로 잘 알려져 있다.) 형태를 벗어나지 못하여 높은 정밀도와 무게, 그리고 가격을 자랑했으므로 군용으로는 도저히 써 먹을수 없는 물건들이어었다. 퍼거슨 소총은 이러한 시기에 다른 접근방식을 제시한 것으로서 당시 그리고 후대의 총기 개발자들에게 새로운 아이디어를 주게 된다.

1850년 영국은 이미 드라이제의 소총을 비밀리에 몇 정 입수하여 엔필드 조병창에서 견본을 만들어 시험했다. 그들은 드라이제의 속사능력과 정확도를 고평가 했지만, 특유의 낮은 내구성으로 그리 좋은 평가를 주지 않았다. 그들은 동시기 입수한 프랑스제 미니에 소총을 더 높게 평가 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1853년형 엔필드 강선 머스킷가 개발된다. 하지만 기병대는 여전히 전장식 소총을 불편해 했으며, 여러가지 후장식 소총을 입수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 때 미국샤프스 소총이 도입되기도 했다.(이 샤프스들은 테이프식 뇌관을 쓰는 종이탄포 소총들이다.)

1861년 미국에서 남북전쟁이 발발하고, 많은 화기들이 시험대에 올랐다. 프랑스에서 개발된 미니에탄은 더 이상 화기의 정확도가 라인배틀을 허용할 정도로 낮지 않음을 증명했으며, 탄피, 새로운 작동구조와 탄창 등 개인화기 관한 새로운 아이디어들이 어떤 효과를 줄 수 있는지 보여주었고 이는 많은 열강에게 충격을 주었다. 영국 또한 그 중의 하나로 그들 또한 새로운 형태의 신형 화기가 필요함을 절실히 느끼게 된다. 신형 화기는 후장식으로 작동하며, 재장전 과정이 빨라야 했고, 탄피를 사용해야 했다.

2.2. 유일한 승자

1864년 8월 영국 정부는 영국의 모든 총기 제작자들에게 기존 P53 엔필드의 후장식 개조안의 제출을 요구했다. 영국 정부의 요구는 간단했다.
  • 개조비용은 1정당 1파운드 이하일 것.
  • 원본 소총과 동일하거나 더 나은 정확도를 가질 것.
10월에 예비 평가를 할 것이었기 때문에 기간은 매우 촉박했다. 45명의 지원자들이 개량안을 제출하였지만 6명만이 남았으며, 이들에게 좋은 품질의 P53 소총을 반환을 조건으로 한 정씩 제공하였고, 1,000발이 테스트사격 용으로 제공되었다.

6명의 개발자 중 1명인 미국인 제이콥 스나이더의 개량품은 가장 높은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그는 총열뒤쪽을 2.5 인치(63.5mm)정도 단축하여 새로운 급탄구조를 용접해 붙였고, 새로운 탄두-화약-뇌관 일체의 탄약을 제시했다. 그러나 결과물은 다소 실망스럽게도 낮은 명중률을 기록하며 어느 소총도 요구조건을 달성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위원회는 가장 높은 가능성을 보여준 스나이더의 개량품을 포기하지 않고 명중률 하락의 원인을 곧바로 조사했다. 그들은 스나이더의 소총의 다소 낮아진 명중률은 낮은 품질의 탄약과 잘못된 총열의 용접 방식 때문임을 지적했고, 총열의 용접으로 가해진 열이 총열에 부정적 영향을 미쳐 명중률에 영향을 주었을 것임을 밝혀냈다. 제이콥 스나이더는 이미 해당 문제를 인지하고 있었으나, 짧은 개발 기간 때문에 해결책을 미리 마련하지 못했다. 그러나 다시 개량할 시간을 갖게 되면서 미리 구상 해 두었던 개량안을 적용하였고, 간단하게 문제를 해결한다.

제이콥 스나이더는 기존 의 하나로 된 급탄기구를 분리하여 브리치 블록을 감싸는 형태의 '신발(shoe)'이라고 하는 분리된 구조를 만들었고, 총열과 용접이 아닌 나사로 결합 되도록 만들었다. 이 부붐은 스나이더-엔필드 소총에서 탄약을 넣는 약실 뒤의 홈 구조라고 이해하면 된다. 이 구조는 1865년 9월 5일 영국 특허번호 2275로 등록 되었다고 한다.[1] 이로써 스나이더는 최종 승자가 되었다. 이제 총은 완성되었으니 탄약을 만들어야 했다.

2.3. .577 스나이더

1866년 영국 켄트의 작은 도시 히테에서 시험이 시작되었다. 초기 시험용탄약은 Pottet[2]형 림을 사용하는 탄약으로, 스나이더는 이를 기초로 한 신형의 탄약을 자신의 소총에 시험하였다. 두 가지를 초기에 시험 하였는데, 하나는 밀랍으로 굳힌 후 흑연으로 코팅한 종이를 사용하였고, 나머지는 왁스로 굳힌 종이를 사용 한 것 이었다. 두 탄약은 거의 유사했고, 실제로도 유사한 명중률과 위력을 보였다. 하지만 이 탄약들은 근소하게 기존 P53의 탄약에 비해 위력이 약했고, 탄두의 모양때문에 관통력이 낮아지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그러나 발사속도는 고무적이었고, 1분에 12발의 사격이 가능한 수준이었다.

만족스러운 첫 시험이 끝나고, 영국 군수 위원회는 새 탄약과 소총의 내구성 시험을 진행했다. 5,000발이 넘는 탄약이 물에 적시는 등의 다양한 환경하에 테스트 되었고, 모두 고무적인 결과를 보여 주었다. 기록에 따르면 단 1발이 발사에 실패 했을 뿐 모든 탄약이 격발 및 추출과정에서 양호한 결과를 보였다고 한다. 이후에도 11,000발을 더 테스트 하였으나, 이 또한 고무적인 결과를 보여주었다. 중간에 로딩인디케이터를 시험 하기도 했으나, 흑색화약의 탄매로 쉽게 고장나 이 아이디어는 폐기되었다.

이미 채용되어 Mark I으로 명명된 소총과 새로 채택된 Pattern I 탄약이 최종적으로 채용되었다. 그러나 테스트 과정에서 '속사능력은 우수하지만 명중률이 낮다.'는 보고가 1866년 군수 위원회에 보고되면서 문제가 발생한다. 이는 사실 두 가지 길이의 다른 강선 피치를 가지는 종류의 총열을 사용한 P53에 동일한 탄약을 사용 하면서 발생한 문제였다. 어쨌거나 신형 탄약은 두 가지 길이의 총열을 가진 소총 모두에서 사용해야 했기 때문에 Pattern I 탄약의 문제로 정리되었고, 개선을 시도하게 된다. Pattern II 탄약은 기존의 Pottet형 브라스 바닥이 Boxer 식으로 변경되면서 고정성이 향상되었고, 왁스로 굳힌 갈색 종이는 인도산 고무 접착제로 붙인 흰색 종이탄포로 변경되었다. 탄두 형상을 변경하여 내구성과 탄도를 개선하려 하였으나, 좋은 성과를 보이지 못했다. 결정적으로 명중률 문제가 나이지지 않았다. 이에 왕립 포병대의 Edward Mounier Boxer가 탄두의 무게를 기존 525gr(34.0g) 에서 480gr(31.1g)으로 줄이고 기존 4개의 cannelure(캐뉼러, 탄두 측면의 홈을 말한다.)를 3개로 줄인 가벼운 탄약으로 만든 Pattern III를 만들었고, 명중률은 두 가지 총열 모두에서 그나마 만족스러운 수준까지 끌어올리는데 성공한다. 이 탄약들이 바로 .577 스나이더다. Boxer 의 개량이 있었기 때문에 Boxer-snider 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다.

이후에 실전을 거면서 탄약은 지속적으로 개량된다. Pattern IV는 탄약의 베이스 디스크(현대 탄약으로 따지면 림을 포함한 바닥 부분이다.)를 철제로 변경하여 추출을 더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조치하였고, Pattern V는 내구성 향상 및 제작공정 간소화를 위해 종이탄포가 말린 형태의 브라스 로 변경, 480gr 캐뉼러를 다시 하나 늘린 4개의 홈을 가진 탄약을 사용한다. 이후 이 탄약은 Mark 시리즈로 재 명명되었고, 최종 개량은 1871년 Mark IX 까지 이어진다.
  • Mark VI (1868) : 브라스 포일 두께가 0.005 인치(0.127mm) 두꺼워지고 겹치는 부분의 면적을 줄임, 명중률 향상을 위해 탄두를 왁스로 코팅하면서 탄약의 실제직경이 .575로 살짝 작아짐.
  • Mark VII (1869) : 탄두 정면의 나무 플러그를 제거하여 탄두 정면에 빈 공간이 있음.
  • Mark VIII (1869) : 더 높은 방수효과를 위해 탄피를 셀락과 흰색 종이로 한번 더 코팅함.
  • Mark IX (1871) : Mk VII 과 동일하나 캐뉼러가 다시 3개로 바뀜.

2.4. 개량

스나이더 엔필드는 Pattern I 탄약에 맞춰 Pottet 식의 완만한 각도의 림 형태의 약실을 사용했기 때문에 Pattern II 를위해서 Mark I*로 개량된다. 동시기에 개발되었던 Mark II 는 나오자마자 약실을 바꿔야 했으므로 Mark II*가 기본 모델이며 이를 개량한 것은 Mark II** 라 한다. 이후 기존 P53의 재고가 바닥나며 P53으 후기형인 2개의 배럴밴드를 가지는 P60과 P61을 개조한 총들은 Mark III 로 명명 되었으며, 기존에 문제가 되었던 강선이 5조 1:48 강선의 총열로 바뀌면서 총의 명중률이 매우 향상되었다.
  • Mark I : 최초로 개량한 P53, Pattern I 탄약에 맞게 제작되었다.
  • Mark I* : 이후 개량된 Pattern II 탄약의 림 형상에 맞게 약실을 개량한 Mark I.
  • Mark II*: 처음부터 Pattern II 탄약 형태의 약실로 개량된 P53.
  • Mark II** : 추출기와 프레임의 형태와 치수가 약간 변경되었다. 블록(뚜껑) 부분이 커져 탄약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을 정도로 완전히 덮히게 되었으며 이를 위해 프레임도 변경되었다. 니플이 약간 짧아지면서 해머가 컵모양으로 바뀌었다. 상기 개량이 적용된 모델들은 모두 Mark II**로 명명되었다.
  • Mark III : 새로운 모델(P60(33인치), P61(24인치))을 개조한 소총, 해머가 플랫하게 바뀌었고, 배럴 밴드가 3개에서 2개로 줄었다. 총검이 소켓식에서 Pattern 60 과 pattern 61용의 야타간 식으로 바뀌었다. 총열길이도 39/33 인치에서 33/24 인치로 변경되었다.

2.5. 실전

스나이더 엔필드는 1866년 제식화되기 시작했고 1880년마티니-헨리 소총이 도입되기 전 까지 사용되었다. 특히 인도인으로 구성된 영국 인도인 부대는 20세기 직전까지 제식으로 사용하였다. 때문에 영국이 참여한 수많은 전장에서 굴렀으며, 일본보신전쟁에서 사용되기도 하였다. 영화로 유명한 줄루 전쟁에서도 사용되었으며, 이 시기는 마티니-헨리와 교체가 진행되던 시기라 주력부대들은 마티니-헨리 로 무장했기 때문에 그리고 이쪽이 더 구하기 쉽기 때문에 영상물에서 잘 보이지 않았다.

1866년 영국 육군이 제식 채용하였고 이후 영국의 식민지령과 영향권의 국가에서 사용되었다. 일본 육군에서는 유신 시대 초창기에 도입되어 대량으로 사용되면서 무라타 소총이 제식화되기 전까지 주력으로 사용되었고 태평양 전쟁 당시까지 예비물자로 남아있었을 정도로 오랜 기간 사용되었다. 청나라태국에서도 육군 근대화 초창기에 대량으로 사용하였으며, 조선에서도 제식화기 비슷한 위치를 차지했다. 1881년 설립된 조선 최초의 신식 군대인 별기군의 제식소총이었으며, 덕분에 동학 농민 혁명때 동학군들이 500정의 스나이더-엔필드를 탈취하여 사용한 적이 있다. 당시 미국의 레밍턴 롤링블럭과 함께 관군의 주요 총기로 활약한다. 당시의 별명은 레밍턴 롤링블럭과 마찬가지로 양총이라는 명칭으로 불렸다.

전 세계를 돌아다니며 대략 87만정 정도 생산된 것으로 보이나, 현재 남아있는 물건은 생각보다 많지 않다. 못지않게 많이 생산된 마티니 헨리가 제법 많이 남아있는 것과 대조된다. 서양권에도 그리 유명하진 않아, 소수의 마니아층 외에는 자료도 많이 남아있지 않다.

3. 특징

트랩도어로 유명한 스프링필드 M1873과는 달리 도어가 측면으로 열린다. 따라서 도어와 차개가 연동하지 않기 때문에 도어에 수동으로 작동되는 추출기가 따로 있다. M1873은 지레의 원리로 간편하게 추출 및 배출되는 것 과 대조적이다.

기존 강선식 머스킷을 개조한 물건이다 보니 P53의 17인치 소켓식 총검을 그대로 사용했다. 하지만 Mark III 부터 개조 대상이 바뀌면서 총열과 착검 소켓이 달라져서 Pattern 1856 야타간 도검형 총검으로 바뀐다.

4. 여담

스나이더-엔필드는 재미있게도 그 후손이라 할 수 있는 스프링필드 M1873과 마찬가지로 강선식 머스킷을 개조한 총이며, 경첩으로 열리는 도어가 존재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왜인지는 잘 모르지만, 후자를 트랩도어라고 하지만 전자는 일반적으로 트랩도어식이라고 명명하진 않는다. 아무래도 열리는 방식의 차이 때문으로 보이나, 정확한 이유는 아무도 모른다.

스나이더-엔필드가 미국인 발명가에 의해 만들어졌다는 것 도 스프링필드 M1873과 비슷하며, 탄약때문에 고생한 것도 유사하다. 이상하게 닮은점이 많은 소총들이다.

대영제국을 상징하다시피 하는 마티니 헨리와는 달리 제식 채용 기간도 40년으로 유사한 스나이더-엔필드는 이상하리만큼 인기가 없다. 스프링필드 트랩도어가 미국 내에서 사냥용으로 아직 인기가 있는 것과는 대조된다. 때문에 드물지만 공젱제 탄약이 있는 .450 마티니와는 달리 .577 스나이더는 모두 핸드로딩으로 만들어야 한다. 탄두도 딱히 생산되지 않고 탄피도 코일식으로 특이하다보니 마니아들은 사실상 넥다운 한 탄피부터 주조제 탄두까지 다 손으로 만드는 경우가 많다.

동시대 프랑스는 샤스포 소총을, 독일 제국은 드라이제소총을 사용한 것 과 대조되게 영국은 미국처럼 기존 강선식 머스킷을 개조해서 사용했다. 때문에 격하당하기 쉽지만, 영국군은 사실상 이 총으로 세계를 정복했다. 니들건은 기술적 한계로 인해서 내구성에 문제가 있었고, 다 같은 단발식 소총이라 일견 낡아보이는 방식일지라도 사용하는데는 문제가 없었다. 금속탄피를 빨리 도입하기도 하였고, 여러모로 진보된 물건임은 사실이다. 미국과 달리 유럽은 군비 경쟁이 심했기 때문에 당시 사용하던 화기들도 대부분 비슷한 수준이었다.

5. 참고문헌

https://www.britishempire.co.uk/forces/armyarmaments/rifles/sniderhistory.htm
https://militaria.british-classic-motorcycles.co.uk/index.php/snider-enfield/

6. 둘러보기

2차 보어전쟁기의 영국군 보병장비
파일:영국 국기.svg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colbgcolor=#C8102E> 제2차 보어 전쟁
영국군보병장비
개인화기 <colbgcolor=#C8102E> 볼트액션 소총 MLM Mk.I*, Mk.II, SMLE Mk.I, Mk.I*, Lee-Speed No.1
단발 소총 Snider Mk.II, Martini–Henry Mk.III, Mk.IV
권총 Colt M1878, Enfield Mk.I, Mk.II, Webley-Fosbery, Webley Mk.I, Mk.II, Mk.III, Mk.IV, C96, Colt New Service
지원화기 기관총 Nordenfelt, Maxim Mk.I, Colt M1895
화포 Armstrong gun, QF 1-pounder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근대 보병장비 }}}}}}}}}



제1차 세계 대전기의 연합군 보병장비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564d44> 제1차 세계 대전
연합군보병장비
파일:영국 국기.svg · 파일:러시아 국기.svg ·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개인화기 <colbgcolor=#564d44> 소총 <colbgcolor=#564d44> 볼트액션 리-메트포드, 리-네이비, 리-엔필드, 리-스피드, P14, M1917 엔필드, 크로파첵 M1884, 르벨 M1886, 베르티에, K11, 베테를리 M1870/87, M1870/87/15, 모신나강, 베르단, 그라, 샤스포 M1866/74, 무라타, 카르카노, 크라그-에르겐센, 마우저 M1889, 마우저 M1893, 로스 소총, 30년식 소총, 38식 소총, 스프링필드 M1903
레버액션 / 폴링ㆍ롤링ㆍ리프팅블록 / 트랩도어 스나이더 Mk.III, 콤블랭 M1870, 레밍턴 롤링블럭, 알비니-브랭들랭, 크른카 M1867, 파콰슨 M1872, 밀로나스 M1872, 스프링필드 M1873, 마티니-헨리, 윈체스터 M1886, 윈체스터 M1892, 윈체스터 M1894, 윈체스터 M1895, 새비지 M99D
반자동 레밍턴 모델 8, M1907 SL, 뫼니에 M1916, RSC M1917, RSC 1918, MAB 18, M1903 Mk 1, 브리티쉬 1918 파콰르-힐, 류장군 소총E
자동 리베롤 1918E, 윈체스터 버튼 1917E, M1907/17, 체이-리고티E, 표도로프, M1918 브라우닝
기관단총 OVP 1918, 쇼샤-리베롤 기관단총E
산탄총 M1897, M1912, 레밍턴 모델 11, 레밍턴 M10, 셰그렌 산탄총, 스티븐스 M520
권총 리볼버 콜트 M1873, 엔필드 Mk.II, 웨블리, MAS 1873, 보데오 M1889, S&W M10, 웨블리-포스베리E, 콜트 M1901, Mle 1892, 26년식 권총, 나강 M1895, S&W M3, S&W 트리플 락, 콜트 M1909, M1917
자동권총 C96, 마스E, FN M1900, FN M1903, 콜트 M1903, 히노-코무로 권총, 새비지 M1907, FN M1910, 웨블리 권총, 리센티 M1910, M1911, 루비, 스타 M1914, 베레타 M1915/17
지원화기 기관총 경기관총 마드센 M1902, 루이스, 호치키스 M1909, CSRG M1915, 휴오트E
중기관총 가드너, 맥심, M1895/14 콜트-브라우닝, 빅커스, 호치키스, 생테티엔 M1907, PM M1910, 38식 기관총, 3년식 기관총, 페리노 M1908, 피아트-레벨리 M1914, 빌라르-페로사 M15, M1917 브라우닝
박격포 3인치 스토크스 박격포
유탄발사기 마티니 유탄발사기
유탄 No.1 수류탄, No.2 총류탄, 밀즈 수류탄, RG-14, F-1, Mk.1, Mk.2, Mk.3, 비방-베시에, 댜코노프 총류탄발사기E
경야포 빅커스 Q.F. Gun, Mk II, 37mm Mle 1916 보병포
냉병기 도검 M1902 세이버, U.S M1917 트렌치 나이프, U.S M1918 Mark I 트렌치 나이프, 구군도, 해군단검, 무라타도, 양손세이버, 32식 군도, 30년식 총검
※ 윗첨자E: 테스트만 치른 후 제식 채용되지 않음}}}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무기체계 둘러보기 : 파일:영국 국기.svg · 파일:러시아 국기.svg ·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 파일:gun_icon__.png 대전기 보병장비 }}}
}}}}}}



대한제국군 보병장비
파일:대한제국 국기.svg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colcolor=#ffbc00> {{{#ffbc00 [[대한제국군|{{{#ffbc80 대한제국군}}}]][[지상 병기|{{{#ffbc00 보병장비}}}]]}}}
개인화기 <colcolor=#ffbc00>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white,#191919>게베어 1871, 그라 소총, 무라타 13년식, 베르단, 30년식 소총
단발 소총 레밍턴 롤링블럭, 스나이더-엔필드
권총 C78, M1879, MAS 1873, 르벨 리볼버, 웨블리 리볼버, 나강 M1895, 26년식 권총, 마우저 C96, 콜트 M1873
지원화기 기관총 M1883 개틀링, 맥심 기관총
화포 암스트롱포, 크루프 포. 빅커스 포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대한제국 국기.svg 한국의 무기체계 | 파일:gun_icon__.png 근대 보병장비 }}}}}}}}}




의화단 운동 당시의 청군 보병장비
파일:청나라 국기.svg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colbgcolor=#fecd21> 의화단 운동
청군보병장비
개인화기 <colbgcolor=#fecd21> 볼트액션 소총 진걸, 마우저 1871, 마우저 1871/84, 한만식 소총, 윈체스터 호치키스, 만리허 1888, 레밍턴-리, 마우저 1895
단발 소총 스나이더-엔필드, 레밍턴 롤링블럭, 벤츨 소총, 스프링필드 M1873, 마티니-헨리 소총
머스킷 태창, 엔필드 1853
권총 마우저 C96
지원화기 기관총 노던펠트
화포 홍이포
냉병기 도검 한검, 대도, 언월도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청나라 국기.svg 청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근대 보병장비 }}}}}}}}}



러일전쟁기의 일본군 보병장비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colbgcolor=#B0313F> 러일전쟁
일본군보병장비
개인화기 <colbgcolor=#B0313F,#393b42> 볼트액션 소총 13년식 소총, 18년식 소총, 22년식 소총, 30년식 소총. 35년식 소총
단발 소총 스나이더-엔필드, 마티니-헨리 소총
권총 S&W M3, 26년식 권총, 남부 권총
지원화기 기관총 M1874 개틀링, 보식 기관포
화포 7cm 산포, 31식 75mm 산포, 28cm 곡사포 L/10
냉병기 군도 구군도, 해군단검, 무라타도, 양손세이버, 32식 군도, 30년식 총검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근대 보병장비 }}}}}}}}}



제1차 세계 대전기의 동맹국 보병장비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bgcolor=#b8a176,#897147> 제1차 세계 대전
동맹군보병장비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개인화기 <colbgcolor=#b8a176,#897147> 볼트액션 소총 Gew71, 베르단, 그라 M1874, 크로파첵 M1881, M1893, Gew88, 마우저 M1890, 마우저 M1893, Gew98, 마우저 M1903, M1886, M1888, M1890, M1893, M1895, 만리허-쇠나워, 슈타이어 M.14, 모신나강 M1891
후미회전식 / 레버액션 / 리프팅블록 / 폴링블록 / 트랩도어 벤츨 M1854/67 & M1862/67, 베른들-홀룹 M1867, 스나이더 Mk.III, 마티니-헨리, 윈체스터 M1866, 크른카 M1867
반자동소총 젤프스트라더 M1906E, 몬드라곤 M1908, 젤프스트라더 M1916
기관단총 / 기관권총 헬리겔 1915E, M1912/P16, MP18, 슈바르츠로제 기관단총E
권총 <colbgcolor=#b8a176,#897147> 리볼버 가서 M1870, 라이히 M79, M83, 마우저 C78, 라스트&가서 M1898, 나강 M1895, S&W M3
자동권총 보르하르트 C93, 마우저 C96, FN M1900, 만리허 M1901, 만리허 M1905, FN M1903, 드라이제 M1907, 로트-슈타이어 M1907, 슈타이어 M1908, M1909, 루거 P08, 마우저 M1910, 베르크만 M1910, 슈타이어 M1912, 프로머 슈토프, 베홀라 M1915, 마우저 M1914
조명탄 권총 M1894
지원화기 기관총 경기관총 마드센 M1902, 호치키스 M1909, MG15nA, MG08/15, MG14/17, MG08/18, M.17, M.18
중기관총 몽티니, 호치키스 M1900, 스코다 M1909, 슈바르츠로제 M.07/12, MG08, MG14, 가스트 기관총
수류탄 M1913, M1915nA, M15, M16, M17, 파이프 수류탄
대전차화기 탕크게베어 M1918, 집속수류탄
화염방사기 벡셀아파라트 M1917
박격포 그라나트베르퍼 16, 미넨베르퍼
※ 윗첨자E: 테스트만 치른 후 제식 채용되지 않음}}}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무기체계 둘러보기 :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 파일:gun_icon__.png 대전기 보병장비 }}}
}}}}}}



보병장비 둘러보기
근대 (~1914) 대전기 (1914~1945) 냉전기 (1945~1991) 현대전 (1992~)


파일:Royal_Small_Arms_Factory_logo.png 왕립 소화기 공장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펼치기 · 접기】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iki style="word-break:keep-all;"
<colbgcolor=#c7c7c7,#353535> 왕립 소화기 공장 생산 총기
리볼버 Mk I · Mk II · No.2
기관단총 스텐 기관단총 · 바이퍼 기관단총
소총 <colbgcolor=#c7c7c7,#353535> 단발 P53 · 스나이더-엔필드 · 마티니-헨리 소총
볼트액션 리-메트포드 · 리-스피드 · 리-엔필드 · P14 · 보이스 대전차 소총
반자동 L1A1
자동 EM-1 · EM-2 · SA80
기관총 브렌 경기관총 · L7
기관포 ADEN · RARDEN
라이엇 건 ARWEN 37
}}}}}}}}}}}} ||


[1] 영국 특허는 찾기 힘드나, 1867년 미국에 등록한 특허는 남아있다. https://patents.google.com/patent/US69941A/en 특허자료의 frame'B'가 바로 본문의 'Shoe'다.[2] 프랑스의 발명가 Clement Pottet이 발명한 방식으로 그의 샷건에 처음 사용되었다. 현재의 샷쉘과 유사하나 실질적으로 종이탄포에 중앙에 뇌관식 소총의 니플이 뇌관과 같이 달려있는 있는 바닥을 붙인것과 같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