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24 17:33:29

세종대학교/학부/공과대학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세종대학교/학부|세종대학교/학부]]

파일:세종대학교 흰색 로고.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대학 정보
상징 역사 학부 대학원 캠퍼스
학생 정보
입학 학사제도 동아리 학내언론 학식
기타 정보
출신인물 학교법인 사건사고 평생교육 웹사이트
}}}}}}}}} ||

파일:세종대학교 교표.svg 세종대학교의 단과대학

1. 개요2. 학과
2.1. 건축공학과2.2. 건축학과2.3. 건설환경공학과2.4. 환경융합공학과2.5. 지구자원시스템공학과2.6. 기계공학과2.7. 우주항공시스템공학부
2.7.1. 우주항공공학전공2.7.2. 항공시스템공학전공2.7.3. 지능형드론융합전공
2.8. 나노신소재공학과2.9. 양자원자력공학과2.10. 국방시스템공학과
3. 세계대학평가4. 국책사업5. 업무협약

1. 개요

파일:한국공학교육인증원 로고.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rowcolor=#fff> 2025년 3월 기준
대학 <colbgcolor=#000><colcolor=#fff> EAC 가천대학교 · 강원대학교 · 건국대학교 · 건양대학교 · 경기대학교 · 경북대학교 · 경상국립대학교 · 광운대학교 · 국립경국대학교 · 국립공주대학교 · 국립군산대학교 · 국립금오공과대학교 · 국립목포대학교 · 국립부경대학교 · 국립한국교통대학교 · 국립한밭대학교 · 국민대학교 · 단국대학교 · 대구대학교 · 대진대학교 · 동국대학교 · 동신대학교 · 동아대학교 · 동의대학교 · 명지대학교 · 목원대학교 · 부산대학교 · 상지대학교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 서울대학교 · 서울시립대학교 · 선문대학교 · 성결대학교 · 성균관대학교 · 세종대학교 · 순천향대학교 · 숭실대학교 · 아주대학교 · 영남대학교 · 울산대학교 · 이화여자대학교 · 인제대학교 · 인하대학교 · 전남대학교 · 전북대학교 · 전주대학교 · 제주대학교 · 조선대학교 · 중앙대학교 · 충남대학교 · 한국기술교육대학교 · 한남대학교 · 한동대학교 · 한양대학교 ERICA · 한양대학교 · 호서대학교 · 홍익대학교 · 홍익대학교 세종캠퍼스
CAC 건양대학교 · 경북대학교 · 광운대학교 · 국립목포대학교 · 동국대학교 · 동아대학교 · 동의대학교 · 명지대학교 · 상명대학교 · 성결대학교 · 성균관대학교 · 세종대학교 · 숭실대학교 · 인제대학교 · 전북대학교 · 중앙대학교 · 한동대학교
ETAC <colbgcolor=#000><colcolor=#fff> 시드니 두원공과대학교 · 대림대학교 · 연성대학교 · 영남이공대학교 · 울산과학대학교
더블린 동의과학대학교 · 아주자동차대학교 · 인하공업전문대학교 · 조선이공대학교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325><tablealign=center><tablebgcolor=#b93234,#b93234><tablebordercolor=#b93234,#b93234> 파일:세종대학교 교표 흰색.svg 세종대학교
}}}
학위명: 공학사 · 건축학사
학과 전공
건축공학과
공학
-
건축학과
건축
-
건설환경공학과
공학
-
환경융합공학과
공학
-
지구자원시스템공학과
공학
-
기계공학과
공학
-
우주항공시스템공학부 우주항공공학전공
공학
항공시스템공학전공
계약(공군)
지능형드론융합전공
첨단
나노신소재공학과
공학
-
양자원자력공학과
공학
-
국방시스템공학과
계약(해군)
-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26%; min-height:2em"
{{{#!folding ⠀[ 연혁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연혁
연도 단과대학
1964 이학부 #
1967 리학부문 #
1970 이학부 #
1978 이학부 #
1981 이공계열 #
1982 자연계 #
1987 자연과학대학 #
1996 이공대학 #
1997 공과대학 #
}}}}}}}}}
⠀[ 소개영상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bgcolor=#d3d3d3,#d3d3d3><width=1000> 소개영상 ||
⠀[ 웹사이트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bgcolor=#d3d3d3,#d3d3d3><width=1000> 홈페이지 · SNS ||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
세계대학평가 역대 최고 순위
QS 공학·기술 세계 242위(국내 9위) 2018
THE 공학 세계 151-175위(국내 9위) 2023
USN & WR 공학 세계 106위(국내 3위) 2024 2024
CWTS 물상과학·공학 세계 379위(국내 5위) 2024/PP(top 10%)

세종대학교 공과대학은 QS, THE, ARWU 등 주요 세계대학평가의 환경공학, 자원공학, 토목공학 부문에서 약진하고 있다. 해당 부문 외에도 기계공학, 우주항공공학 부문 또한 약진하고 있으며, 해당 학과의 취업문이 넓다. 건축학과는 국내 대학 중 최초로 한국건축학교육인증원(KAAB)으로부터 5년제 건축학교육 국제인증을 취득하였다. 지구자원시스템공학과 및 양자원자력공학과는 세종대학교가 자원개발, 원자력발전 특성화대학 지원사업에 선정됨에 따라 설립된 학과다. 해군, 공군과의 협약을 통해 개설된 계약학과인 국방시스템공학과, 항공시스템공학전공 재학생에게는 4년 전액 장학금 등 여러 혜택이 주어지며 취업이 보장된다.

2. 학과

2.1. 건축공학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세종대학교/학부/공과대학/건축공학과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세종대학교/학부/공과대학/건축공학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세종대학교/학부/공과대학/건축공학과#|]][[세종대학교/학부/공과대학/건축공학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세종대학교 교표 흰색.svg 건축공학과 Dep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1]
학위명: 공학사
공학교육인증
FM: 공간창조 건축공학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26%; min-height: 2em"
{{{#!folding ⠀[ 연혁 ]⠀
{{{#!wiki style="margin: -5px -1px -20px"
연혁
연도 학과
1996 공학부 (건축공학전공신설)[2]
1997 건축공학과[3]
1999 건축·토목환경공학부 (건축공학전공)[4]
2002 건축공학부 (건축공학전공)
2022 건축공학과
}}}}}}}}}
⠀[ 소개영상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bgcolor=#d3d3d3,#d3d3d3><width=1000> 소개영상 ||

⠀[ 웹사이트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bgcolor=#d3d3d3,#d3d3d3><width=1000> 홈페이지 · SNS ||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

2.2. 건축학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세종대학교/학부/공과대학/건축학과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세종대학교/학부/공과대학/건축학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세종대학교/학부/공과대학/건축학과#|]][[세종대학교/학부/공과대학/건축학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한국건축학교육인증원 로고.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국내 건축학교육 인증프로그램
프로그램 홈페이지 인증기간
가천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24-2029
가톨릭관동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4-2028
강원대학교(춘천)
문화예술공과대학
건축학과
# 2008-2030
건국대학교
#대학원석사
건축전문대학원
# 2009-2024
경기대학교
창의공과대학
건축학전공
# 2009-2025
경남과학기술대학교
건설환경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8-2023
경남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전공
# 2020-2023
경북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09-2024
경상국립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1-2026
경성대학교
공과대학 건축디자인학부
건축학전공
# 2021-2026
경일대학교
SMART인프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21-2025
경희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전공
# 2013-2028
계명대학교
공과대학 건설토목공학부
건축학전공
# 2018-2022
광운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4-2027
고려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2-2022
국립공주대학교
천안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4-2024
국민대학교
건축대학 건축학부
건축설계전공
# 2010-2026
국립금오공과대학교
공학계열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7-2025
남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7-2028
단국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0-2023
동국대학교
#대학원석사
일반대학원 건축공학과(4+2)
# 2017-2026
동명대학교
건축•디자인대학 건축학부
건축학과(5년)
# 2018-2022
동서대학교
건축토목계열
건축학과
# 2012-2023
동아대학교
디자인환경대학
건축학과
# 2009-2025
동의대학교
공과대학 건설공학부
건축학전공
# 2013-2024
대구가톨릭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전공
# 2014-2025
명지대학교
건축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07-2022
명지대학교
건축대학 건축학부
전통건축전공
# 2017-2022
목원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20-2025
국립목포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1-2026
국립부경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08-2023
부산대학교
공과대학 건설융합학부
건축학전공
# 2011-2028
배재대학교
문화예술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7-2025
삼육대학교
문화예술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7-2024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08-2023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건축학전공
# 2007-2022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07-2022
선문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2-2023
성균관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09-2023
세종대학교
공과대학 건축공학부
건축학전공
# 2011-2026
국립순천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 2019-2023
순천향대학교
SCH미디어랩스
건축학과
# 2022-2027
숭실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2-2027
신라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5년제)
# 2022-2025
아주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건축학전공
# 2011-2026
연세대학교
공과대학 건축공학과
건축학전공
# 2009-2025
영남대학교
건축학전공
# 2008-2026
울산대학교
디자인·건축융합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08-2024
원광대학교
창의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6-2024
이화여자대학교
엘텍공과대학 미래사회공학부
건축학전공
# 2011-2026
인제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22-2027
인천대학교
#대학원석사
일반대학원 건축학과(4+2)
# 2021-2025
인하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4-2024
전남대학교(광주)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도시설계전공
# 2011-2026
전남대학교(여수)
공학대학
건축디자인학과
# 2022-2026
전주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7-2023
조선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2-2023
중앙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4-2024
제주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2-2024
국립창원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 2017-2028
청주대학교
공과대학 휴먼환경디자인학부
건축학ㆍ건축공학전공
# 2012-2023
충남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08-2023
충북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2-2022
한경국립대학교
디자인건축융합학부
건축학전공
# 2013-2024
국립한국교통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건축학과
# 2010-2026
한국예술종합학교
미술원
건축과
# 2015-2026
한남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전공
# 2015-2026
국립한밭대학교
건설환경조형대학
건축학과
# 2010-2025
한양대학교 서울
공과대학
건축학부
# 2008-2023
한양대학교 ERICA
공학대학
건축학부
# 2009-2023
호서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09-2025
홍익대학교(서울)
건축도시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07-2023
홍익대학교(세종)
과학기술대학 건축공학부
건축디자인전공
# 2012-2023
국외 건축학교육 인증프로그램
프로그램 홈페이지 인증기간
인도네시아 반둥공과대학교
#대학원석사
(ITB, Institute Technology Bandung)
# 2016-2024
인도네시아 이슬람대학교
(UII, University Islam Indonesia)
# 2017-2025
인도네시아 가자마다대학교
(UGM, Universitas Gadjah Mada)
# 2020-2022
* 대학교학사 : 대학교 건축학사 (Bachelor of Architecture) 학위
* 대학원석사 : 대학원 건축석사 (Master of Architecture) 학위
별도의 표기가 없는 경우, 대학교 건축학사(B.Arch) 과정임
건축학교육인증의 인증현황은 이곳에서도 확인 가능함
위의 표는 2022년 7월 31일의 인증현황을 기준으로 함
}}}}}}}}}
파일:세종대학교 교표 흰색.svg 건축학과 Dept. of Architecture
학위명: 건축학사
건축학교육인증
FM: -
파일:세종대학교건축학과로고2.jp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26%; min-height: 2em"
{{{#!folding ⠀[ 연혁 ]⠀
{{{#!wiki style="margin: -5px -1px -20px"
연혁
연도 학과
2002 건축공학부 (건축학전공신설)
2022 건축학과
}}}}}}}}}
⠀[ 소개영상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bgcolor=#d3d3d3,#d3d3d3><width=1000> 소개영상 ||
⠀[ 웹사이트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bgcolor=#d3d3d3,#d3d3d3><width=1000> 홈페이지 · SNS ||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

2.3. 건설환경공학과

파일:세종대학교 교표 흰색.svg 건설환경공학과 Dep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학위명: 공학사
공학교육인증
FM: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26%; min-height: 2em"
{{{#!folding ⠀[ 연혁 ]⠀
{{{#!wiki style="margin: -5px -1px -20px"
연혁
연도 학과
1996 공학부 (토목공학전공신설)[5]
1997 토목환경공학과[6]
1999 건축·토목환경공학부 (토목환경공학전공)[7]
2001 토목환경공학부 (토목환경공학전공)
2003 토목환경지구정보공학부 (토목환경공학전공)
2009 토목환경공학과
2010 건설환경공학과
}}}}}}}}}
⠀[ 소개영상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bgcolor=#d3d3d3,#d3d3d3><width=1000> 소개영상 ||
⠀[ 웹사이트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bgcolor=#d3d3d3,#d3d3d3><width=1000> 홈페이지 · SNS ||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
세계대학평가 역대 최고 순위
QS 토목·구조공학 세계 101-150위(국내 6-7위) 2018
ARWU 수자원공학 세계 51-75위(국내 1위) 2023
토목공학 세계 51-75위(국내 3-4위) 2024
USN & WR 수자원공학 세계 27위(국내 1위) 2024 2024
토목공학 세계 80위(국내 2위) 2024 2024

● 학과 소개

건설환경공학과는 토목공학환경공학을 배우는 학과이다. 즉 사회기반시설인 교량, 도로, 공항, 철도, 터널, 댐, 항만, 도시·교통, 하천·해양환경 및 상하수 처리 시설의 계획·설계·시공 및 유지관리에 필요한 이론과 기술을 배우고 연구·개발하는 학과이다. 모든 생활의 기본이 되는 각종 사회기반시설의 계획, 설계, 건설 및 유지보수를 담당하는 역할을 맡을 수 있도록, 구조, 지반, 수공학, 환경 분야에서 사회에 꼭 필요한 인프라 인재를 교육 및 양성하고 있다.[8] 2017년 4월 19일, 세종대학교는 교육부와 한국대학교육협의회가 주관한 2016 산업계관점 대학평가에서 토목분야 최우수 대학으로 선정됐다.[9]

● 연구 및 부설기구(연구소)
  • 교량 및 강구조 연구실
    본 연구실은 1997년 3월에 설립되었으며, 2000년도에는 과학기술부로부터 국가 지정 연구실(National Research Laboratory)로 선정되었다. 본 연구실은 교량 및 강구조의 거동을 수치적으로 해석하고 설계하는데 필요한 이론 및 실험 연구에 중점을 두고 있다. 주요 연구 분야로는 비선형비탄성해석을 통한 구조물의 직접설계, 비탄성 좌굴 및 내진설계 등이 있다. 원서 "LRFD Steel Design Using Advanced Analysis"를 출간하는 등 이 분야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 스마트구조 연구실
    동역학 및 스마트구조 연구실에서는 지진, 강풍, 차량하중과 같은 다양한 동적 하중에 대한 대형 토목구조물의 동적 거동 해석 및 구조물의 사용연한 동안 건전성과 사용성이 극대화 되도록 설계, 시공, 유지관리가 이루어지는 스마트 구조 시스템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특히 영상기반 변위 계측, 진동기반 교량 건전도 모니터링, 상시진동데이터를 이용한 교량의 내하력 평가, 교량의 LCC 평가 등 센싱/모니터링/평가 등의 스마트구조 기술에 관한 연구를 중점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 콘크리트공학 연구실
    콘크리트 공학 연구실에서는 매우 높은 인장 응력과 연성을 가지는 고성능 섬유보강 시멘트 복합재료의 개발과 고성능 섬유 보강 시멘트 복합재료의 지진, 충격 그리고 폭파 등 극한 하중 하에서의 재료의 거동을 조사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또한, 현재 콘크리트 공학 연구실에서는 고인성 섬유 보강 시멘트 복합재료의 인장 거동과 휨 거동간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그리고 자기 치유 성능을 가지는 변형 경화 섬유 보강 시멘트 복합재료의 개발을 하고 있다.
  • 수자원/GIS 연구실
    수자원/GIS연구실은 국가 수자원 계획, 이수, 치수, 하천환경 문제 해결방안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특히, 하천수리수문학, GIS 및 원격탐사 등의 방법을 기초로 실시간 홍수예보 시스템 개발, 기후 변화에 대한 수자원 영향 해석, GIS 및 RS를 응용한 도시 및 유역유출해석, 강우-유출결합모형에 의한 홍수 및 가뭄해석, 습지 및 하천생태계 복원에 관한 연구에 중점을 두고 있다.
  • 응용수문 연구실
    응용수문연구실은 기상 변동성 및 기후변화에 따른 수자원의 시공간적 변동성을 예측하기 위한 진보된 해석 방법을 개발하고 있다. 급변하는 기후상황에서 물 관련 재해를 방지하고 물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고 관리하기 위해서 레이더 수문학, 분포형유출 해석, 기후변화와 수자원 영향평가, 돌발홍수 해석 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물 순환구조를 해석하고 경로 특성을 연구하고 있다.
  • 해안공학/생태수리학 연구실
    해안공학/생태수리학 연구실에서는 해안에 발생하는 파랑, 토사 등의 자연현상을 이해하고 사람들에게 혜택을 주는 구조물을 짓는 해안공학분야를 연구하고 있다. 또한 하천, 호수, 지하수, 해안 등 수역의 수리, 토사 등에 관련된 수리시스템과 수역에 서식하는 동물과 식물 등 시스템과의 관계를 규명하는 생태수리학 분야를 연구하고 있다.
  • 지반공학 연구실
    지반공학연구실에서는 기초지반을 포함한 지반구조물의 역학적 거동과 건설재료로서의 흙/암석의 공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특히 다양한 하중조건과 시공방법을 고려한 지반구조물의 안정해석기법 개발과 사면, 필댐 등의 재난방지 및 유지관리에 관한 연구에 중점을 두고 있다.
  • 도로공학 연구실
    도로공학연구실에서는 아스팔트 및 시멘트 콘크리트포장의 역학적 거동과 도로포장재료인 아스팔트와 시멘트 콘크리트, 입상재료 등의 공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특히 역학적 이론에 기초한 역학적-경험적 도로포장 설계법 개발과 파손모형개발, 교면포장의 역학적 거동 및 설계법 개선, 도로 포장의 장수명화를 위한 설계 및 재료개발 등에 관한 연구를 중점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 환경공학 연구실
    본 연구실에서는 다양한 환경오염 문제에 대한 공학적인 접근을 통해 지속발전 가능한 환경친화적 환경기술을 연구 개발하고 있다. 또한 차세대 첨단 공학분야로 주목 받고 있는 환경기술(Environmental Technology, ET)을 Biotechnology(BT), Nanotechnology(NT)기술과 접목하기 위한 연구를 꾸준히 수행하여 환경오염물질의 효율적인 처리를 도모하고 있다.

2.4. 환경융합공학과

파일:세종대학교 교표 흰색.svg 환경융합공학과 Dept. of Environmental Convergence Engineering
학위명: 공학사
공학교육인증
FM: -
파일:sjuenviron1.pn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26%; min-height: 2em"
{{{#!folding ⠀[ 연혁 ]⠀
{{{#!wiki style="margin: -5px -1px -20px"
연혁
연도 학과
1985 지구과학과신설[10]
1987 지구과학과[11]
1995 자연과학부 (지구과학전공)[12]
1996 이학부 (지구과학전공)[13]
1998 지구과학과[14]
2001 지구정보과학과
2003 수리물리학부 (지구정보과학전공), 지구천문학부 (지구환경학전공신설), 토목환경지구정보공학부 (지구정보공학전공신설)
2004 지구천문학부 (지구정보과학전공, 지구환경학전공), 토목환경지구정보공학부 (지구정보공학전공)
2005 물리천문지구환경학부 (지구환경학전공), 토목환경지구정보공학부 (지구정보공학전공)
2007 물리천문지구환경학부 (지구환경과학전공), 토목환경지구정보공학부 (지구정보공학전공)
2008 화학환경학부 (지구환경과학전공), 토목환경지구정보공학부 (지구정보공학전공)
2009 환경에너지융합학과[15], 지구정보공학과
2012 환경에너지융합학과, 공간정보공학과
2015 환경에너지공간융합학과
2025 환경융합공학과
}}}}}}}}}
⠀[ 소개영상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bgcolor=#d3d3d3,#d3d3d3><width=1000> 소개영상 ||
⠀[ 웹사이트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bgcolor=#d3d3d3,#d3d3d3><width=1000> 홈페이지 · SNS ||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
세계대학평가 역대 최고 순위
QS 지구물리학 세계 151-200위(국내 3위) 2025
환경과학 세계 201-250위(국내 8위) 2023
ARWU 지구과학 세계 201-300위(국내 1-2위) 2023
환경과학·공학 세계 201-300위(국내 3-6위) 2023
대기과학 세계 301-400위(국내 6-8위) 2022
USN & WR 환경공학 세계 98위(국내 2위) 2024 2024
친환경·지속 가능한 과학·기술 세계 108위(국내 1위) 2024 2024
환경·생태학 세계 164위(국내 2위) 2024 2024
지구과학 세계 335위(국내 4위) 2024 2024
Nature Index 지구·환경과학 세계 100-위(국내 4위) 2020

● 학과 소개

환경융합공학과에서는 수질, 토양, 대기, 기후변화, 해양 환경에 걸친 다양한 환경공학 분야를 연구한다. 여기에 지리 정보 체계(GIS), 지리 측량 자료 및 인공위성을 아우르는 공간정보 분야와의 융합을 통해, 공공환경기반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활용할 수 있는 전문 지식 습득과 범지구적 환경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창의적인 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하고 있다.[16] 환경융합공학과 전공자는 졸업 후 환경관리공단, 에너지기술평가원, 수자원공사 등 환경 관련 공기업과 환경 전문가를 필요로 하는 다양한 일반기업체, 지리정보시스템(GIS), 측지·측량·GNSS 등 공간정보기술과 관련된 국가기관, 공기업, 연구기관, 기업에 진출하고 있다.

● 연구 및 부설기구(연구소)
  • 수질환경연구실(허진 교수)
  • 수처리시스템연구실(조진우 교수)
  • 환경위성활용 연구실(홍성욱 교수)
  • 해양생태 기후변화 적응 연구실(노준성 교수)
  • 지속가능 환경시스템 연구실(정슬기 교수)

2.5. 지구자원시스템공학과

파일:세종대학교 교표 흰색.svg 지구자원시스템공학과 Dept. of Earth Resources System Engineering
학위명: 공학사
공학교육인증
FM: -
파일:세종대지자공로고1.jp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26%; min-height: 2em"
{{{#!folding ⠀[ 연혁 ]⠀
{{{#!wiki style="margin: -5px -1px -20px"
연혁
연도 학과
2009 에너지자원공학과신설
2020 지구자원시스템공학과
}}}}}}}}}
⠀[ 소개영상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bgcolor=#d3d3d3,#d3d3d3><width=1000> 소개영상 ||
⠀[ 웹사이트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bgcolor=#d3d3d3,#d3d3d3><width=1000> 홈페이지 · SNS ||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
세계대학평가 역대 최고 순위
ARWU 에너지과학·공학 세계 101-150위(국내 9위) 2024
USN & WR 에너지공학 세계 157위(국내 7위) 2024 2024

● 학과 소개

지구자원시스템공학과에서는 전 지구적 에너지 및 자원 수요의 급증과 이에 따른 에너지 자원의 고갈문제에 대처하고 지구 환경의 변화와 이에 따른 자연재해를 예측하기 위한 관련 분야의 지식을 탐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지하 및 해저에 부존하는 석유·가스에너지 및 광물 자원의 탐사/개발/생산/저장 및 활용과 관련된 지식을 학습하며 에너지 자원개발과 관련한 지구환경시스템의 변화 및 오염 모니터링 그리고 지진이나 산사태, 지반침하 등과 같은 지질지해의 예측 및 분석과 관련된 교과목을 학습할 수 있는 커리큘럼을 운영하고 있다. 졸업 후에는 정부 부처(산업통상자원부, 환경부, 국토부), 연구소(한국지질자원연구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한국해양과학기술원, 국토지리정보원, 국립재난안전연구원), 공기업(석유공사, 광물자원공사, 광해공단, 지적공사), 국내외 민간기업 등에 취업하고 있다.[17]

지구자원시스템공학과의 강점은 현장 중심의 교육과정이다. 지구자원시스템공학과 학생들은 학교에 의해 주기적으로 실시되는 국내 현장실습에 참여하며, 이를 통해 한국의 실제 지질구조를 학습한다. 또한 지하철 공사현장을 방문하여 터널의 설계·시공을 체험한다.[18] 이와 같이 학교에 의해 실시되는 현장실습뿐만 아니라 기업과 연계된 현장밀착형 교육도 실시되고 있다. 2010년 1학년 학생 전원은 한국서부발전소, 한국가스공사, 한국해양연구소부설 극지연구소로 현장견학을 다녀왔다. 학생들은 현장견학에서 해당기관을 탐사하고 실무진으로부터 특강을 받았다.[19]

해외대학과의 교류가 활발한 것도 지구자원시스템공학과의 강점이다. 지구자원시스템공학과는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 자원부국 소재 대학과 MOU를 체결하여 학생교환 및 연구교류를 활발히 진행 중이다. 에너지자원공학과와 협약을 맺은 대학으로는 인도네시아의 최고 공과대학인 반둥 공과대학교, 베트남 호치민 공대 등이 있다.[20]

지구자원시스템공학과의 전신(前身)인 에너지자원공학과는 지식경제부가 자원개발 분야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추진했던 자원개발특성화대학 지원사업에 세종대학교가 선정됨에 따라 2009년 신설됐던 학과이다. 세종대학교는 이 사업을 통해 2009년 3월부터 2014년 2월까지 5년간 100억원의 정부 지원을 받았으며, 에너지자원공학과 신입생 전원에게 4년 동안 등록금 50%를 지원하였다. 이러한 혜택 때문에 2010년 에너지자원공학과 신입생의 평균 수능 성적은 세종대학교 공과대학 내에서 가장 높았다.[21]

2016년 7월 12일 세종대학교와 한국전력공사 전력연구원은 에너지신사업 분야 협력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 두 기관은 지속가능한 에너지신사업 및 신재생에너지 분야의 인재양성과 연구개발을 목적으로 교육지원과 교류·협력을 약속하였다. 또한 연구시설 및 실험설비의 공동사용과 공동연구까지 추진하고 있다.[22]

● 연구 및 부설기구(연구소)
  • 석유공학 연구실(배위섭 교수)
  • 지진 연구실(정태웅 교수)
  • 환경지구화학 연구실(정명채 교수)
  • 지질공학 및 지질재해분야 연구실(박혁진 교수)
  • 암반공학 연구실(김형목 교수)
  • 물리탐사 연구실(남명진 교수)
  • 전기화학에너지 연구실(권경중 교수)
  • 지구전자기 연구실(김정환 교수)
  • 원격탐사 연구실(김상완 교수)
  • 인공위성지구물리 연구실(박상은 교수)
  • 측지 및 GNSS(배태석 교수)
  • 사진측정 및 영상정보처리 연구실(이동천 교수)

2.6. 기계공학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세종대학교/학부/공과대학/기계공학과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세종대학교/학부/공과대학/기계공학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세종대학교/학부/공과대학/기계공학과#|]][[세종대학교/학부/공과대학/기계공학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세종대학교 교표 흰색.svg 기계공학과 Dept. of Mechanical Engineering
학위명: 공학사
공학교육인증
FM: 불사기계
파일:세종대 기계공학과 로고.pn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26%; min-height: 2em"
{{{#!folding ⠀[ 연혁 ]⠀
{{{#!wiki style="margin: -5px -1px -20px"
연혁
연도 학과
1997 기계항공우주공학부 (기계공학전공신설)[23]
2023 기계공학과
}}}}}}}}}
⠀[ 소개영상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bgcolor=#d3d3d3,#d3d3d3><width=1000> 소개영상 ||

⠀[ 웹사이트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bgcolor=#d3d3d3,#d3d3d3><width=1000> 홈페이지 · SNS ||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
세계대학평가 역대 최고 순위
QS 기계공학 세계 201-250위(국내 9-14위) 2017
ARWU 기계공학 세계 151-200위(국내 4-5위) 2023

2.7. 우주항공시스템공학부

{{{#!wiki style="margin: -8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141414><tablebgcolor=#fff,#141414>
파일:한국항공우주학회 로고.svg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대학
파일:건국대학교 앰블럼.svg 건국대학교 파일:경북대학교 엠블럼.svg 경북대학교 파일:경상국립대학교 엠블럼.svg 경상국립대학교 파일:경희대학교 로고.svg 경희대학교
파일:공군사관학교 마크.svg공군사관학교 파일:GIST_emblem.svg 광주과학기술원 파일:부산대학교 심벌마크.svg 부산대학교 파일:서울대학교 로고.svg파일:서울대학교 로고(화이트).svg 서울대학교
파일:세종대학교 교표.svg 세종대학교 파일:순천대학교 엠블럼.svg 순천대학교 파일:연세대학교 문장.svg 연세대학교 파일:울산대학교 심볼마크.svg 울산대학교
파일:인하대학교 엠블럼.svg 인하대학교 파일:전북대학교 엠블럼.svg 전북대학교 파일:조선대학교 엠블럼.svg 조선대학교 파일:충남대학교 엠블럼.svg 충남대학교
파일:POSTECH_emblem.svg 포항공과대학교 파일:KAIST_emblem.svg 한국과학기술원 파일:한국항공대학교_UI.svg 한국항공대학교 파일:한양대학교 로고.svg 한양대학교
파일:한서대학교 UI.svg 한서대학교
기관
파일:국방과학연구소 심볼.svg 국방과학연구소 파일:대한항공 심볼.svg파일:대한항공 심볼 화이트.svg 대한항공 파일:한화 로고 세로형.svg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파일:한국기계연구원 심볼.svg 한국기계연구원
파일: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심볼.svg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파일:한국항공우주산업 CI_세로.svg 한국항공우주산업 파일:한국항공우주연구원 CI.svg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파일:항공안전기술원 심볼.svg 항공안전기술원 }}}}}}}}}
파일:세종대학교 교표 흰색.svg 우주항공시스템공학부 Division of Aerospace System Engineering
★ 첨단학과
학위명: 공학사
공학교육인증
계약학과(공군)
FM: 무적항공 · - · -
우주항공공학전공 Aerospace Engineering
항공시스템공학전공 Aerospace System Engineering
지능형드론융합전공 Intelligent Drone Convergence
파일:세종대우주항공1.jpg 파일:sjurokaf1.pn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26%; min-height: 2em"
{{{#!folding ⠀[ 연혁 ]⠀
{{{#!wiki style="margin: -5px -1px -20px"
연혁
연도 학과
1997 기계항공우주공학부 (항공우주공학전공신설)[24]
2014 기계항공우주공학부 (항공우주공학전공), 항공시스템공학과신설
2023 우주항공시스템공학부 (우주항공공학전공, 항공시스템공학전공)
2024 우주항공드론공학부 (우주항공공학전공, 항공시스템공학전공, 지능형드론융합전공신설)
2025 우주항공시스템공학부 (우주항공공학전공, 항공시스템공학전공, 지능형드론융합전공)
}}}}}}}}}
⠀[ 소개영상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bgcolor=#d3d3d3,#d3d3d3><width=1000> 소개영상 ||




⠀[ 웹사이트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bgcolor=#d3d3d3,#d3d3d3><width=1000> 홈페이지 · SNS ||
<colbgcolor=#f5f5f5,#f5f5f5> 우주항공공학전공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항공시스템공학전공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지능형드론융합전공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

2.7.1. 우주항공공학전공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세종대학교/학부/공과대학/우주항공공학전공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세종대학교/학부/공과대학/우주항공공학전공#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세종대학교/학부/공과대학/우주항공공학전공#|]][[세종대학교/학부/공과대학/우주항공공학전공#|]]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7.2. 항공시스템공학전공

● 전공 소개

항공시스템공학전공은 항공우주공학사 자격을 겸비한 공군의 전투기, 수송기 등 조종사 양성을 위해 개설된 계약학과다. 2014년 공군과의 협약을 통해 개설되었다. 공대 소속이기 때문에 일반적인 공학 관련 과목들을 배우며, 거기에 추가적으로 각종 군사학, 항공우주과학 등 항공 관련 과목, 그리고 비행 시뮬레이터 과목을 배운다. 정예 공군 파일럿 육성을 위한 국가, 학교, 그리고 학과 차원의 단계적이고 체계적인 커리큘럼을 가지고 있으며, 조종장학생으로만 구성된 전공이기 때문에 상호적인 정보 공유와 동기 부여에 탁월한 강점이 있다.[25] 기계공학과·우주항공공학전공·국방시스템공학과·정보보호학과 중 하나를 복수전공할 수 있다.

항공시스템공학전공 학생 전원은 공군조종장학생으로 지정되어 전원 4년 전액 장학금 혜택을 받으며, 해외 연수와 기숙사 우선 선발 등의 혜택이 있다. 또한 성적 또는 학점에 따라 학교 차원의 장학금도 있다. 이외에도 시뮬레이터 장비, 시설 지원 등 다방면에서 전폭적으로 지원 받고 있다.[26]

졸업과 동시에 공군 장교로 전원 임관하게 되며, 그 후에는 기타 조종장학생, ROTC, 공군사관학교 등 다른 후보생들과 함께 2년간의 비행 교육을 거친 후에 공군 파일럿으로 최종 선발된다. 이 과정에서 중간에 탈락할 경우에는 다른 보직으로 옮긴 후 그 보직에서 근무를 하게 된다. 공군 파일럿으로 13년간 의무 복무를 마치게 되면 공군에서 고급 간부로 장기복무하거나 민간 항공사에 파일럿으로 취직을 할 수도 있다. 이외에도 공학계열 취업 등 다양한 진로로 진출할 수 있다.[27]

● 연구 및 부설기구(연구소)
  • 항공우주비행센터(김대중 교수)
    최신형 SR-22 모의비행장비를 통해 모의비행이론 및 실습, 비행역학, 관숙비행, 비행시스템 분석 및 설계 등의 교과과정을 운영한다.
  • 군집위성 궤도공학 연구실(이성섭 교수)
    현재 공군에서 추진하고 있는 초소형위성체계 등 군집위성의 궤도설계 및 임무 분석에 대한 연구 수행과 공군 장교로서 갖추어야 할 항공우주공학의 기초학문 교과과정을 운영한다.

2.7.3. 지능형드론융합전공

● 전공 소개

지능형드론융합전공은 자율비행체[28] 기술혁신의 주인공이 되어 첨단기술 국가경쟁력 발전에 기여할 창의적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융합교육 전공이다. 융합전공 인재들이 자율비행체 분야의 학문적 지식기반,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 실무적 융합기술 개발 경험을 고르게 갖추어 자기주도형 과학기술인의 기초소양을 세울 수 있도록 다학제 전공 교과과정 및 자율비행체 개발 프로젝트를 제공한다. 또한 자율비행체 관련 산업체 및 연구기관의 협력에 기초한 현장감 있는 학습 및 실제적 기술개발 실습을 통해 융합전공 인재의 취업역량을 극대화한다. 한발 더 나아가서, 교과 및 비교과 과정에서 개발된 기술의 지식기반 사업화 및 창업 과정까지 적극 지원한다.[29]

지능형드론융합전공의 필수 과목은 우주항공시스템공학부 공통 과목과 지능형드론융합 기초 및 캡스톤 프로젝트(PBL, Project Based Learning)로 구성된다.[30]
분류 과목
학부 공통 공기역학1, 열역학, 동역학, 고체역학, 비행동역학
지능형드론융합 기초 자율비행체공학개론, 자율비행체기초설계, 전기전자공학개론
지능형드론융합 캡스톤 지능형드론시스템설계1, 지능형드론시스템설계2

지능형드론융합전공의 세부전공 트랙은 드론UAM설계, 지능형드론제어, 드론공력추진 세 가지로 나뉘며, 학생이 희망하는 트랙에 맞추어 전공선택 과목을 수강할 수 있다. 전공인턴십 과목은 산업체의 기술수요 및 인력소요와 연계하여 무인이동체 관련 현장에서 실무해결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산학 장학생 프로그램과 연동된다.[31]

2012년부터 2023년까지 11년간 전공지식 기반 실무 문제해결형 팀프로젝트를 수행하는 PBL 캡스톤 교과목을 개발하여 운영한 경험과 노하우는 전공 학생 전원이 자기주도형 지능형드론 시스템 전문가로 성장할 든든한 기반이다. 2023년까지는 자율비행체시스템설계 1,2 과목에서 수강 학생 전원에게 지급된 Pixhawk 기반 비행컴퓨터 실습키트와 드론 및 로버를 사용하여 자율비행 드론과 자율주행 로버의 협업 기술을 실습하였다. 2024년부터는 지능형드론시스템설계 1,2 과목으로 개편하여 운영한다.[32]

2.8. 나노신소재공학과

파일:세종대학교 교표 흰색.svg 나노신소재공학과 Dept. of Nano Technology and Advanced Materials Engineering
학위명: 공학사
공학교육인증
FM: 첨단 나노신소재공학과
파일:1584410230802.jp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26%; min-height: 2em"
{{{#!folding ⠀[ 연혁 ]⠀
{{{#!wiki style="margin: -5px -1px -20px"
연혁
연도 학과
1999 신소재공학과신설[33]
2001 신소재공학부 (나노공학전공신설, 신소재공학전공)
2002 나노·신소재공학부 (나노공학전공, 신소재공학전공)
2013 나노신소재공학과
}}}}}}}}}
⠀[ 소개영상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bgcolor=#d3d3d3,#d3d3d3><width=1000> 소개영상 ||
⠀[ 웹사이트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bgcolor=#d3d3d3,#d3d3d3><width=1000> 홈페이지 · SNS ||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
세계대학평가 역대 최고 순위
QS 재료과학 세계 201-250위(국내 11-12위) 2018
ARWU 금속공학 세계 101-150위(국내 5-7위) 2024
재료과학·공학 세계 201-300위(국내 9-11위) 2017
나노과학·공학 세계 301-400위(국내 20-25위) 2024
USN & WR 나노과학·공학 세계 285위(국내 19위) 2024 2024
재료과학 세계 324위(국내 13위) 2024 2024

● 학과 소개

나노신소재공학과는 첨단 나노신소재에 관한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해 다양한 신소재의 기본적인 물성 및 분석, 공정 및 합성, 융합 기술 등을 체계적으로 교육한다. 현대산업의 변화와 요구사항을 반영하기 위해 다양한 산·학·연 협력 교과과정을 마련하고 있으며, 첨단 신소재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해 대학원 교과과정을 운영하여 활발하게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본 학과의 학부 교과과정은 1. 구조·금속, 2. 정보·전자·반도체, 3. 에너지·세라믹스·환경, 4. 유기·바이오·고분자의 4개의 트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트랙에서 신소재의 물성 및 분석, 공정 및 합성, 응용 소자, 융합 기술을 체계적으로 학습한다.[34]

1·2학년 과정에서는 일변수미적분학, 다변수미적분학, 공업수학 등 기초 수학을 배운다. 또한 일반물리학, 일반화학 과목을 바탕으로 결정구조및X선회절, 전자전기공학, 재료열역학, 유기화학 등 여러 물리·화학 이론을 배움으로써 재료공학 학습의 기초를 쌓는다. 3·4학년 과정에서는 1·2학년 과정에서 학습한 기초 수학과 물리·화학 이론을 바탕으로 반도체재료, 에너지재료, 산화물재료, 산금속재료, 나노재료, 바이오재료 등 다양한 재료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설계·제조과정을 다룬다.[35] 나노신소재공학 전공자는 졸업 후 첨단 신소재와 나노기술을 필요로 하는 구조·금속, 정보·전자·반도체, 에너지·세라믹스·환경, 유기·바이오·고분자 등 모든 분야의 연구소 및 산업으로 취업이 가능하며, 석·박사과정으로 진학하여 보다 심도 있는 연구를 수행할 수 있다.[36]

● 연구 및 부설기구(연구소)
  • 하이브리드 재료응용연구소(HMC)
    소재기술이 고도화됨에 따라 여러 이종 소재가 융ᆞ복합화되어 새로운 성능이 발현되거나 특성이 획기적으로 개선된 하이브리드 소재의 중요성이 날로 커지고 있다. HMC는 이러한 변화를 선도하기 위해 2011년 설립 이래, 재료공학, 물리, 화학, 전자공학 등 다양한 전공 교수들의 협동연구를 바탕으로 신기능·고기능·친환경성을 갖춘 새로운 하이브리드 재료 연구를 수행해 오고 있다. 2020년에 대학중점연구소 사업을 수주하여 새로운 개념의 초전극 소재 및 소자 연구를 통해 융·복합첨단소재 분야의 세계적 연구소로 발전하고, 우수 전문인력을 양성하며, 학·연·산 협력을 기반으로 혁신성장 및 지역사회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 세종전지연구소
    최근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 차세대 전지에 관한 연구를 활발하게 수행하고 있다. 특히, 이차전지, 수소전지 등의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선도하는 연구 결과들을 발표하고 있다.
  • 신물질 탐색 연구소
    요즘 각광받고 있는 머신러닝 기술을 소재에 접목시켜 신소재를 탐색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소재 정보학이라는 새로운 학문을 학습하여 선도적인 연구 결과들을 발표하고 있다.

● 주요 연구 분야
  • 구조재료 및 금속 연구(김기범, 이원희 교수)
    금속 소재를 기반으로 하는 구조 재료에 관한 연구를 수행한다. 컬러 합금 소재 및 고강도 구조 소재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며, 생체내에 삽입되는 생체 구조 재료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 차세대 에너지 연구(명승택, 박준영, 김선재, 박경순, 송희조 교수)
    최근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차세대 배터리에 관한 선도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특히, 이차전지와 수소전지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세계적인 학술지에 다수의 연구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 차세대 반도체 공정 및 전자 소자 연구(이원준, 정종완, 서용호, 최영진, 최택집, 김성규, 김태완 교수)
    최근 산업 전반에 걸쳐 핵심적인 소재로 활용되고 있는 반도체와 전자 소재에 관해 활발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특히, 극한에 도전하는 차세대 반도체 미세 공정 기술 개발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2D 소재, 뉴로몰픽 소자 등의 차세대 반도체 소자에 관한 핵심적인 연구 성과를 발표하고 있다.
  • 차세대 디스플레이 연구(홍영준 교수)
    최근 AR, VR 기술 등이 등장하여 차세대 디스플레이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은 차세대 디스플레이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여 핵심적인 연구 결과들을 발표하고 있다.
  • 고분자 합성 및 물성 연구(서영수, 홍성철 교수)
    우리 주변에 있는 대표적인 소재 중 하나인 유기 고분자 소재를 합성하고 물성을 제어하여 신소재를 개발하는 연구를 활발하게 수행하고 있다.
  • 소재 정보학 연구(손기선 교수)
    최근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머신러닝 기술을 소재에 접목시켜 신소재를 탐색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소재 정보학이라는 새로운 학문을 학습하여 선도적인 연구 결과들을 발표하고 있다.
  • 탄소 소재 연구(이내성 교수)
    CNT, Fullerene, Graphene 등 탄소를 기본으로 하는 유도체 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해당 소재를 활용하여 전계방출 소자 및 배터리 등에 적용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 나노바이오 융합 소재 연구(허광 교수)
    나노소재와 바이오소재를 융합하여 신소재를 개발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나노공정과 바이오공정을 융합하여 다양한 생체모방 자기조립 구조체를 개발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2.9. 양자원자력공학과

파일:세종대학교 교표 흰색.svg 양자원자력공학과 Dept. of Nuclear Engineering
학위명: 공학사
공학교육인증
FM: 폭발원공
파일:sjunuclear1.pn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26%; min-height: 2em"
{{{#!folding ⠀[ 연혁 ]⠀
{{{#!wiki style="margin: -5px -1px -20px"
연혁
연도 학과
2013 원자력공학과신설
2020 양자원자력공학과
}}}}}}}}}
⠀[ 소개영상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bgcolor=#d3d3d3,#d3d3d3><width=1000> 소개영상 ||

⠀[ 웹사이트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bgcolor=#d3d3d3,#d3d3d3><width=1000> 홈페이지 · SNS ||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

● 학과 소개

양자원자력공학과는 이공계 기초과목을 토대로 원자력공학을 배우는 학과이다. 핵물리, 원자로이론, 원자로동역학, 원자로실험, 핵계측, 열전달시스템, 방사선공학, 수치해석, 원자력시스템설계 등이 양자원자력공학 전공과목의 예이다. 양자원자력공학과의 주요 연구분야는 원자력 에너지의 다목적 이용을 위해 원자로의 안전성과 경제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것과 차세대 원자력 및 방사선기술, 소형모듈화원자로(Small and Modular Reactor) 등을 개발하는 것이다. 양자원자력공학과 재학생들은 원자력 안전철학, 원자력 규제, 에너지개발 역사 등 원자력 엔지니어의 기본소양이나 미래 에너지기술과 관련된 다양한 세미나와 콜로퀴움에 참여하고 있다.[37] 2011년 세종대학교는 원자력발전 특성화대학 사업에 선정됐으며,[38] 이 사업을 통해 학생들에게 산업계에 특화된 교육 트랙을 제공하였다. 사업에 참가한 기업들은 양자원자력공학과 학생 선발 및 교육을 지원하였다.

● 연구 및 부설기구(연구소)
  • 원자력계측 및 정보 연구실(박문규 교수)
    중성자 계측 및 핵 계측 연구, 원자로 보호 및 감시 연구, 원자로 동역학 연구, 소형 모듈형 원자로 설계, 원자력 빅데이터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 원자력 종합안전방호 연구실(정우식 교수)
    확률론적 안전성평가 연구, 위험도 정보설계/운전/규제 연구, 안전과 보안 연계 설계 기술 연구, 고장수목/사건수목 분석 알고리즘 및 소프트웨어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 원자력 안전 및 지속가능 원자력 연구실(정해용 교수)
    열유체 기초연구, 안전해석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안전 관련 시스템 설계, 지속가능 미래 원자로 개념 연구 및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 원자력 기계 연구실(김종성 교수)
    설계기준 초과지진 하의 원전 기기 구조 건전성 평가 연구, 사용후핵연료 운반용기 및 저장조 사보타주 방호 연구, 원전 배관 파단전누설평가, 원자로 CRDM 응력부식 균열 성장 평가 연구, 원전 용접부 잔류응력 및 파괴 해석, 중소형 원자로 구조 건전성 평가 연구, 원자로 내부구조물 열화 평가 연구, 증기발생기 전열관 다중복합균열 평가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 원자로 해석 및 노심설계 연구실(박창제 교수)
    원자로 설계 및 해석 방법론 개발, 중성자 확산 및 수송이론 연구, 몬테칼로 이론 및 응용 연구, 핵임계 및 방사선 차폐 해석을 진행하고 있다.
  • 방사선 계측 연구실(임경택 교수)
    양자센서 기반 방사선 계측 시스템 개발, 신속 피폭선량 역추적 기술 개발, 사용후 핵연료 중간저장시설 건전성 평가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 주요 연구 분야
  • 박문규 교수: 원자로 동역학
    • 원자로 동역학에 기반한 원자로보호/감시/중성자센서와 이를 종합한 원자로 시뮬레이션, 디지털 트윈, 빅데이터/인공지능 응용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세부연구분야는 중성자계측, 원자로 자율운전, 부하추종운전, Small & Modular Reactor 설계, 정보공학 등이다.
  • 정우식 교수: 원전 안전과 물리적방호
    • 원전의 L1/L2/L3/지진 확률론적안전성평가(PSA)를 위해 (1) 단일기/다수기 PSA 모델링 이슈 분석 (2) 단일기/다수기 PSA 정량화 방법 및 도구 개발, (3) 단일기/다수기 PSA 정량화 불확실성 저감 방법 및 도구 개발, (4) 전세계 미국 EPRI 회원사들에게 PSA 정량화 엔진 수출 및 기술 서비스 제공 등의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 원전의 물리적 방호를 위해 (1) 핵심구역 파악 방법 및 도구 개발, (2) 물리적 방호 시설물들의 설계와 규제 요건/방법 개발 등의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 정해용 교수: 원자로 열수력 안전
    • 원자력발전소의 안전성 향상을 위한 열유체 기초 연구, 안전해석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안전 관련 시스템 설계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원자력에너지의 지속성 확보를 위해 지속가능 미래원자로 개념 연구와 개발을 수행하고 있다.
    • 세부 연구분야는 고효율 열교환기 설계 개발, 피동냉각 계통 설계, 발전소 계통해석 모델 개발 및 안전성 평가, LOCA 해석, CFD를 이용한 중대사고 현상 연구 등이다.
  • 박창제 교수: 원자로 해석 및 노심 설계
    • 4세대 미래형 원자로로서 토륨을 활용한 노심을 연구 및 설계하고 있다.
    • 북극 개척에 필요한 원자력 쇄빙선과 우주 개척에 각광 받고 있는 우주선에 탑재될 소형원자로를 연구 및 설계하고 있다.
    • 중성자 확산 및 수송이론과 몬테카를로 이론을 응용하여 새로운 원자로 임계 및 차폐 계산 코드를 개발하고 있다.
    • 원자로와 사용후핵연료 운반/저장 용기에 대한 핵임계 및 방사선 차폐 해석을 하고 있다.
  • 김종성 교수: 원자력 기계
    • 원자력발전소를 구성하는 기기 및 구조물의 구조 건전성 평가와 관련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또한, 사용후핵연료 운반용기 및 저장조에 대한 사보타주 방호 연구도 수행하고 있으며, 기존 원자로와는 상이한 구조와 운전조건을 가지는 SMR (소형모듈원자로)의 구조 건전성 확보를 위한 해석기술 개발을 수행하고 있다.
    • 세부 연구분야는 설계기준 초과지진 하의 원전 기기 구조 건전성 평가 연구, 사용후핵연료 운반용기 및 저장조 사보타주 방호 연구, 원전 배관 파단전누설평가, 원자로 CRDM 응력부식 균열 성장 평가 연구, 원전 용접부 잔류응력 및 파괴 해석 연구 등이다.
  • 임경택 교수: 방사선계측 및 사후선량평가
    • 반도체 센서를 활용한 차세대 방사선 계측시스템 개발과 원자력발전소 중대사고에 의한 방사능 누출에 따른 사후선량평가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 세부 연구 분야는 양자센서 기반 소형 열형광발광 및 광자극발광 판독기 개발, 신속 피폭선량 역추적 알고리즘 개발, 사용후핵연료 건전성 평가를 위한 영상재구성 알고리즘 개발 등이다.

2.10. 국방시스템공학과

파일:세종대학교 교표 흰색.svg 국방시스템공학과 Dept. of Defense System Engineering
학위명: 공학사
계약학과(해군)
FM: 자주국방
파일:국방시스템공학과로고1.pn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26%; min-height: 2em"
{{{#!folding ⠀[ 연혁 ]⠀
{{{#!wiki style="margin: -5px -1px -20px"
연혁
연도 학과
2012 국방시스템공학과신설
}}}}}}}}}
⠀[ 소개영상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bgcolor=#d3d3d3,#d3d3d3><width=1000> 소개영상 ||


⠀[ 웹사이트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bgcolor=#d3d3d3,#d3d3d3><width=1000> 홈페이지 · SNS ||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

● 학과 소개

국방시스템공학과는 우수한 해군 장교 양성을 위해 개설된 계약학과다. 해군의 첨단무기체계를 이해하고 관리하며, 운용·유지할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하고자 세종대학교와 해군본부간 MOU 체결을 통해 2012년부터 입학생을 선발하여 교육을 시키고 있다. 해군에서 필요로 하는 장교 양성은 물론 전역 후 국방관련 연구소나 방위산업체에서 근무할 수 있는 우수한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39]

해군과 학교에서 많은 지원을 해주고 있고, 학과에서도 많은 실습과 훈련을 하고 있다. 국방시스템공학과에 합격하면 일반 대학생과 똑같이 캠퍼스 생활을 한다. 하지만 군장학생으로서 4년간의 대학 등록금을 해군에서 지원을 받을 수 있고, 학교 기숙사에 우선 입주할 수 있다. 그리고 하계방학 기간 중에는 해군 육상부대와 함정을 견학하는 장교 직무체험을 실시한다. 2학년은 요트전문학교에서 요트 항해실습을, 3학년은 해군사관생도와 국내 연안을 항해하는 실습을, 4학년은 해외를 다녀오는 순항훈련의 기회가 주어진다.[40]

정보 과학화속에 점차 첨단화되어가는 국방운용체계를 이해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운용, 관리하기 위한 기본지식과 역량을 갖춘 군사과학기술 전문가 양성을 위한 교육과목이 편성되어 있다. 몇 가지 과목을 소개하자면, 무기체계의 공학적 원리를 이해하고 과학 기술군을 선도하는 전문가 양성을 위해 해군함정, 항공기, 잠수함 및 첨단 무기체계와 관련된 과목이 편성되어 있다. 제어공학, 신호처리, 시스템공학, 컴퓨터공학, 통신 및 전파공학 등의 전자, 정보통신공학분야와 역학, 로봇공학 등 기계공학분야도 편성하여 교육하고 있다. 해군에서 전략무기로서의 가치가 높은 잠수함을 보호하면서, 적의 잠수함을 수상, 항공, 수중 무기체계를 통해 탐지하고 추적하여 파괴하기 위해 수중에서의 음향 관리, 분석하는 수중 음향 과목을 차별화하여 중점적으로 교육하고 있다. 또한 군의 핵심간부로서의 자질함양을 위해 해양 및 함정 운용, 군대윤리, 해전사 등의 군사학 과목도 포함하고 있다.[41]

국방시스템공학과의 교수진은 해군, 국방관련 연구소 및 학교 연구재단에서 근무한 유경험자로 구성되어 있다. 그렇기 때문에 해군과 국방관련 연구소, 방위 산업체에서 요구하는 인재상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있고, 맞춤형 인재를 양성하고 있다. 세종대학교 국방시스템공학과 학과장으로 재직 중인 홍우영 교수와 더불어 이근화 교수, 추영민 교수는 우리나라 수중 음향학 분야에서 최고의 전문 학자로 인정을 받고 있다. 김은희 교수는 레이더 등의 무기체계와 관련하여 방위산업체에서 연구한 경험을 통해 학생들에게 큰 도움을 주고 있다. 또한 해군참모총장을 역임한 황기철 석좌교수와 해군 주요 부대 및 해, 육상 부대에서 지휘관과 참모를 역임한 예비역 장성 출신들이 초빙교수로 활약하고 있다. 장차 해군 장교가 될 학생들에게 실무 생활에 필요한 전문지식과 인성 및 소양교육을 하고 있다.[42]

4년 과정을 졸업하면 해군사관후보생(OCS) 자격을 취득하고, 3개월간 군사훈련을 받은 후에 해군장교로 임관하게 된다. 임관 후에는 항해, 항공기는 물론 기술행정병과에서도 근무할 수 있다. 의무복무 7년 후에는 군 생활을 계속할 수 있고, 전역을 하게 되면 전공학위를 고려하여 국방관련연구소 및 방위산업체에 취업할 수 있다. 7년 이상의 해군 생활을 하게 되면 해군 부대에서 군무원으로 근무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다. 즉 국방시스템공학과에 입학하여 자기 관리에 충실하고 교과목을 통한 실력향상에 최선을 다한다면, 해군에서 중요한 직책을 수행할 수 있는 진급 기회가 보장되고, 전역 후에는 국가 연구소나 방위 산업체에서 우리나라 무기체계 발전을 위해 일익을 담당하는 실력 있는 인재가 될 수 있다.[43]

3. 세계대학평가

파일:세종대학교 교표.svg 공과대학 세계대학평가
{{{#46515b,#f5f5f5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29%; min-height:2em"
{{{#!folding ⠀[ 10년대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연도평가기관평가내용
<colbgcolor=#f5f5f5,#f5f5f5>2016QS기계공학 세계 201-300위 #
CWTS물상과학·공학 세계 699위(국내 20위) #
Nature Index지구·환경과학 세계 100-위(국내 6위) #
2017QS토목·구조공학 세계 151-200위(국내 7-9위) #
기계공학 세계 201-250위(국내 9-14위) #
재료과학 세계 201-250위(국내 11위) #
공학·기술 세계 325위(국내 12위) #
ARWU토목공학 세계 201-300위(국내 6-12위) #
재료과학·공학 세계 201-300위(국내 9-11위) #
에너지과학·공학 세계 201-300위(국내 13-16위) #
CWTS물상과학·공학 세계 609위(국내 13위) #
Nature Index지구·환경과학 세계 100-위(국내 7위) #
2018QS토목·구조공학 세계 101-150위(국내 6-7위) #
기계공학 세계 201-250위(국내 10-13위) #
재료과학 세계 201-250위(국내 11-12위) #
공학·기술 세계 242위(국내 9위) #
THE공학·기술 세계 301-400위(국내 12-14위) #
ARWU토목공학 세계 201-300위(국내 5-10위) #
에너지과학·공학 세계 201-300위(국내 13-18위) #
재료과학·공학 세계 301-400위(국내 13-18위) #
CWTS물상과학·공학 세계 646위(국내 13위) #
Nature Index지구·환경과학 세계 100-위(국내 5위) #
2019QS토목·구조공학 세계 151-200위(국내 7위) #
기계공학 세계 301-350위(국내 11-12위) #
재료과학 세계 301-350위(국내 14-17위) #
공학·기술 세계 352위(국내 11위) #
THE공학·기술 세계 251-300위(국내 10-11위) #
ARWU토목공학 세계 201-300위(국내 6-8위) #
에너지과학·공학 세계 201-300위(국내 13-18위) #
환경과학·공학 세계 301-400위(국내 6-10위) #
기계공학 세계 301-400위(국내 9-19위) #
재료과학·공학 세계 301-400위(국내 18-23위) #
CWTS물상과학·공학 세계 727위(국내 17위) #
Nature Index지구·환경과학 세계 100-위(국내 12위) #
{{{-3 ※ 상기 CWTS 순위는 PP(top 10%) <피인용 상위 10% 논문 비율>을 기준으로 한 순위입니다.
}}}}}}}}}
⠀[ 20년대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rowbgcolor=#46515b,#46515b><width=1000><:>연도||<width=20%><:>평가기관||<width=65%><:>평가내용||
<colbgcolor=#f5f5f5,#f5f5f5>2020QS토목·구조공학 세계 151-200위(국내 7위) #
재료과학 세계 301-350위(국내 16-17위) #
기계공학 세계 351-400위(국내 11-16위) #
공학·기술 세계 355위(국내 13위) #
THE공학·기술 세계 251-300위(국내 10-11위) #
ARWU수자원공학 세계 101-150위(국내 1위) #
환경과학·공학 세계 201-300위(국내 4-8위) #
토목공학 세계 201-300위(국내 5-7위) #
에너지과학·공학 세계 201-300위(국내 12-16위) #
기계공학 세계 301-400위(국내 9-13위) #
재료과학·공학 세계 401-500위(국내 20-25위) #
CWTS물상과학·공학 세계 660위(국내 7위) #
Nature Index지구·환경과학 세계 100-위(국내 4위) #
2021QS토목·구조공학 세계 151-200위(국내 7위) #
재료과학 세계 251-300위(국내 13-17위) #
환경과학 세계 351-400위(국내 8-10위) #
기계·항공·제조공학 세계 351-400위(국내 11-13위) #
공학·기술 세계 373위(국내 12-13위) #
THE공학 세계 176-200위(국내 9-10위) #
ARWU수자원공학 세계 76-100위(국내 1위) #
토목공학 세계 151-200위(국내 3-5위) #
에너지과학·공학 세계 151-200위(국내 12-13위) #
지구과학 세계 201-300위(국내 1-2위) #
환경과학·공학 세계 201-300위(국내 4-7위) #
기계공학 세계 301-400위(국내 9-11위) #
재료과학·공학 세계 301-400위(국내 15-20위) #
CWTS물상과학·공학 세계 597위(국내 5위) #
Nature Index지구·환경과학 세계 100-위(국내 7위) #
2022QS환경과학 세계 251-300위(국내 8위) #
재료과학 세계 251-300위(국내 12-15위) #
공학·기술 세계 401-450위(국내 12-13위) #
기계·항공·제조공학 세계 401-450위(국내 15-18위) #
THE공학 세계 176-200위(국내 9위) #
ARWU수자원공학 세계 51-75위(국내 1위) #
토목공학 세계 101-150위(국내 2-3위) #
금속공학 세계 151-200위(국내 7-8위) #
에너지과학·공학 세계 151-200위(국내 11-13위) #
지구과학 세계 201-300위(국내 1-2위) #
기계공학 세계 201-300위(국내 3-7위) #
환경과학·공학 세계 201-300위(국내 4-6위) #
대기과학 세계 301-400위(국내 6-8위) #
재료과학·공학 세계 401-500위(국내 21-24위) #
CWTS물상과학·공학 세계 587위(국내 7위) #
Nature Index지구·환경과학 세계 100-위(국내 10위) #
2023QS토목·구조공학 세계 201-230위(국내 7위) #
환경과학 세계 201-250위(국내 8위) #
기계·항공·제조공학 세계 251-300위(국내 10-12위) #
재료과학 세계 301-350위(국내 13-14위) #
공학·기술 세계 331위(국내 10위) #
THE공학 세계 151-175위(국내 9위) #
ARWU수자원공학 세계 51-75위(국내 1위) #
토목공학 세계 76-100위(국내 2-3위) #
에너지과학·공학 세계 101-150위(국내 9-11위) #
기계공학 세계 151-200위(국내 4-5위) #
금속공학 세계 151-200위(국내 5-9위) #
지구과학 세계 201-300위(국내 1-2위) #
환경과학·공학 세계 201-300위(국내 3-6위) #
재료과학·공학 세계 301-400위(국내 15-20위) #
USN & WR토목공학 세계 96위(국내 1위) # #
공학 세계 181위(국내 4위) # #
환경·생태학 세계 196위(국내 2위) # #
에너지공학 세계 217위(국내 10위) # #
재료과학 세계 385위(국내 17위) # #
CWTS물상과학·공학 세계 457위(국내 5위) #
Nature Index지구·환경과학 세계 100-위(국내 18위) #
2024QS지구물리학 세계 201-240위(국내 3위) #
토목·구조공학 세계 201-240위(국내 6-7위) #
환경과학 세계 251-300위(국내 6-7위) #
기계·항공·제조공학 세계 251-300위(국내 9-10위) #
공학·기술 세계 288위(국내 11위) #
재료과학 세계 301-350위(국내 13-16위) #
THE공학 세계 176-200위(국내 9-10위) #
ARWU토목공학 세계 51-75위(국내 3-4위) #
수자원공학 세계 101-150위(국내 2위) #
금속공학 세계 101-150위(국내 5-7위) #
에너지과학·공학 세계 101-150위(국내 9위) #
환경과학·공학 세계 201-300위(국내 4-5위) #
지구과학 세계 301-400위(국내 4-5위) #
기계공학 세계 301-400위(국내 7-11위) #
재료과학·공학 세계 301-400위(국내 15-22위) #
나노과학·공학 세계 301-400위(국내 20-25위) #
USN & WR수자원공학 세계 27위(국내 1위) # #
토목공학 세계 80위(국내 2위) # #
환경공학 세계 98위(국내 2위) # #
공학 세계 106위(국내 3위) # #
친환경·지속 가능한 과학·기술 세계 108위(국내 1위) # #
에너지공학 세계 157위(국내 7위) # #
화학공학 세계 162위(국내 7위) # #
환경·생태학 세계 164위(국내 2위) # #
나노과학·공학 세계 285위(국내 19위) # #
재료과학 세계 324위(국내 13위) # #
지구과학 세계 335위(국내 4위) # #
CWTS물상과학·공학 세계 379위(국내 5위) #
Nature Index지구·환경과학 세계 100-위(국내 10위) #
2025QS지구물리학 세계 151-200위(국내 3위) #
토목·구조공학 세계 151-200위(국내 7위) #
환경과학 세계 201-250위(국내 7-8위) #
기계·항공·제조공학 세계 251-300위(국내 11-14위) #
재료과학 세계 301-350위(국내 16위) #
공학·기술 세계 333위(국내 9위) #
{{{-3 ※ 상기 CWTS 순위는 PP(top 10%) <피인용 상위 10% 논문 비율>을 기준으로 한 순위입니다.
}}}}}}||

4. 국책사업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325><tablebordercolor=#b93234,#b93234><tablebgcolor=#b93234,#b93234> 파일:세종대학교 교표 흰색.svg세종대학교
}}}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29%; min-height:2em"
{{{#!folding ⠀[ 10년대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연도 사업명 지원 총액 주관 수혜 대상
<colbgcolor=#f5f5f5,#f5f5f5> 2015 소프트웨어중심대학
지원사업 #
120억원
(6년 간)
미래부
2016 대학ICT연구센터
육성지원 사업 #
45억원
(6년 간)
미래부
(모바일 가상현실
연구센터)
대학 특성화 사업
(CK사업) #
22억원
(2년 5개월 간)
교육부,
한국연구재단

(아시아태평양
미래개척 창의인재
양성단)
사이버전 특화
연구사업 #
48억원
(6년 간)
방사청
(신동규 교수 연구팀)
2017 대학창조일자리센터
우선협상대학 #
30억원
(5년 간)
고용부
세종대 재학생
대학기술경영센터 # - 미래부
세종대 산학협력단
K-무크 선도대학 # 1.5억원 교육부
세종대
캠퍼스타운
종합형 사업 #
100억원
(4년 간)
서울시
2018 기후 변화대응
기술개발사업 #
106억원
(5년 간)
기상청
(송지현 교수)
대학ICT연구센터
육성지원 사업
# #
45.3억원
(6년 간)
과기정통부
(무인항공 IT
융합 연구센터)
재난 지진분야
전문인력 양성대학 #
4억원
(2년 간)
행안부
세종대
주말예술캠퍼스 사업 # - 한국문화예술
교육진흥원
2019 연구과제 # 39억원
(7년 6개월 간)
정보통신
기획평가원

(김영갑 교수 연구팀)
2차 LINC+
육성사업
#
30억원
(3년 간)
교육부,
한국연구재단



몽골 관광인력
역량강화 사업 #
5.19억원 한국관광공사
(관광산업데이터분석랩)
대학운동부
평가 및 지원 사업 #
- 한국대학
스포츠협의회
인공지능융합
선도프로젝트 #
47억원
(2년 9개월 간)
정보통신
기획평가원

(유성준 교수 연구팀)
기후변화
특성화대학원 협약 #
35억원
(5년 간)
한국환경공단
기후에너지융합학과

(세종대 대학원)
{{{#000,#f5f5f5 ※ 단과대학·학과 이름을 누르면 해당 문서로 이동합니다.
}}}}}}}}}
⠀[ 20년대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rowbgcolor=#d3d3d3,#d3d3d3><width=1000> 연도 ||<width=30%> 사업명 ||<width=15%> 지원 총액 ||<width=15%> 주관 ||<width=30%> 수혜 대상 ||
<colbgcolor=#f5f5f5,#f5f5f5> 2020 몽골 관광인력
역량강화 연수사업 #
- 한국관광공사
(관광산업데이터분석랩)
메이커 스페이스
특화랩 #
2.5억원 중소벤처기업부,
광진구
이공학 학술연구
지원사업(7개) #
63억원
(9년 간)
교육부,
한국연구재단,
한국기초과학
지원연구원

(자율지능 무인비행체
연구소)
2021 미래도전기술
개발사업 #
60억원
(5년 간)
국방과학연구소
(강지원 교수 연구팀)
정보보호 특성화대학
사업 #
32.4억원
(6년 간)
과기정통부
기초연구실 지원사업 # 15억원
(3년 간)
과기정통부,
한국연구재단

(홍석륜 교수 연구팀)
대학ICT연구센터
육성지원 사업 #
64억원
(8년 간)
과기정통부
(김재호 교수)
전력연구원 사외공모
기초연구 전략과제
사업 #
17.5억원 한국전력공사
2022 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
사업 #
37.5억원
(5년 간)
고용부
세종대 취업지원처
융합 디자인
전문인력 양성사업 #
9억원
(3년 간)
산업부,
한국진흥원




미래우주교육센터
사업 #
- 과기정통부
방위산업 계약학과
지원사업 #
- 방사청
이공분야 학술연구
지원사업 # #
58억원
(9년 간)
교육부
(탄수화물소재연구소)
기초과학 연구역량
강화사업 #
41억원
(6년 간)
교육부
(금속유기화합물
첨단소재응용
핵심연구지원센터)
고교교육 기여대학
지원 사업 #
20억원 교육부
세종대 입학처
원자력 안전성
향상과 규제 사업 #
54억원 산업부,
한국원자력
안전재단
,
과기정통부

(김종성, 정해용,
정우식, 임경택 교수)
알키미스트
프로젝트 #
200억원
(5년 간)
산업부,
서울대

(박성권 교수 연구팀)
대학ICT연구센터
육성지원 사업 #
80억원
(8년 간)
과기정통부
(초실감XR 연구센터)
ICT혁신인재
4.0사업 #
25억원
(5년 간)
과기정통부
자원특화대학사업 # 6억원
(3년 간)
산업부,
교육부
2023 메타버스
융합대학원 사업 #
55억원
(6년 간)
과기정통부
우주 소재·부품·장비
전문인력 양성 사업 #
7억원
(5년 간)
산업부
한국산업
기술진흥원
우주항공공학전공

기계공학과

(세종대 대학원)
대학 창의적 자산
실용화 지원 사업
(브릿지 3.0) #
6.6억원 교육부
세종대
디지털 물산업
혁신인재 양성사업 #
16억원
(1년 9개월 간)
교육부,
환경부
고준위방폐물관리
학계 전문인력양성
대학지원 사업 #
5.65억원
(4년 6개월 간)
원자력환경공단
국방핵심기술
특화연구센터
연구지원 사업 #
180억원
(6년 간)
국방기술
진흥연구소

(홍우영 교수 연구팀)
인문사회융합인재
양성사업 #
90억원
(3년 간)
교육부
한국연구재단

대학중점연구소
지원사업 #
69.3억원
(9년 간)
교육부
한국연구재단


(딥러닝건축연구소)
{{{#000,#f5f5f5 ※ 단과대학·학과 이름을 누르면 해당 문서로 이동합니다.
}}} ||



5. 업무협약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325><tablebordercolor=#b93234,#b93234><tablebgcolor=#b93234,#b93234> 파일:세종대학교 교표 흰색.svg세종대학교
}}}
업무협약 상대 기관
<colbgcolor=#f5f5f5,#f5f5f5> 대기업 KT, SK텔레콤, 한화시스템, 한화오션, LG전자, 롯데컬처웍스, 에어비앤비
중견기업 한컴MDS, NHN, LIG넥스원, 한컴그룹, 배달의민족, SPC그룹, 비상교육
공공기관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 한국중부발전, 한국동서발전, 한국토지주택공사, 한국환경연구원,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기술보증기금
국군
계약학과
파일:대한민국 육군 마크.svg 육군:
파일:해군본부 마크.svg 해군:
파일:대한민국 공군 마크.svg 공군:
연도별 업무협약 체결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29%; min-height:2em"
{{{#!folding ⠀[ 10년대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연도 상대기관 협약내용 체결기관
<colbgcolor=#f5f5f5,#f5f5f5> 2017 한국정보기술연구원 # IT·정보분야
연구 및 실무 교육
서울한영대 # VR 기술개발
및 창업활성화 협력
세종대

(창업지원단)
국방정보통신협회 # 국방 ICT 부문
업무제휴

(인공지능-빅데이터
연구센터)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서울강원지역본부) #
소상공인
및 프랜차이즈 분야 발전

(경영전문대학원)
육군 # 사이버 우수인력 육성
(사이버 분야 장교
임관트랙 개설)
2018 한국데이터
산업진흥원
#
빅데이터 인재양성
기상청 # 기상·기후 업무제휴
세종대
충북대학교
/한국용존
원자수소연구원
/한국디지털문화진흥회 #
'용존원자수소수'
관련 협력
세종대
2019 한국중부발전 # 계약학과 운영
(기후에너지융합학과)
SPC그룹 # 교육협력
(경영전문대학원)
LIG넥스원 # 국방기술 협력
한국토지주택공사
(LH) #
기후변화 대응
세종대
해군 # 연구협력
고양문화재단 # 문화예술분야 협력
{{{-3 ※ 단과대학·학과 이름을 누르면 해당 문서로 이동합니다.
}}}}}}}}}
⠀[ 20년대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rowbgcolor=#d3d3d3,#d3d3d3><width=1000> 연도 ||<width=30%> 상대기관 ||<width=30%> 협약내용 ||<width=30%> 체결기관 ||
<colbgcolor=#f5f5f5,#f5f5f5> 2020 배달의민족 # 산학협력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 연구협력
세종대

(기후환경융합센터)
한국과학기술
정보연구원
#
미래 인적자원 개발
세종대
기술보증기금 # 'U-TECH 밸리'
관련 협력
세종대
에어비앤비 # 산학협력
(관광산업 맞춤형
융복합 인재 발굴
및 공동양성)
롯데컬처웍스 # 산학협력
(융합예술대학원)
한국동서발전 # 기후변화·에너지
·환경분야 전문 인재 양성
2021 한국환경연구원 # 기후변화 대응
및 통합물 관리에 관한
업무 협력
세종대
한컴MDS # AI산업 육성
업무제휴

(인공지능융합연구센터)
NHN # 웹툰제작
산학프로젝트 진행

(LINC+ 사업단
글로벌CGI
애니메이션 트랙)
LG전자 # 산학연계수업 진행
한화시스템 # 사이버 공방
훈련장 개소
건국대, 장신대, 한양대 # 캠퍼스타운 관련 협력
한컴그룹 # 드론·항공우주
공동 연구개발
2022 한화오션 # 국방 인공지능 무인기술
연구협력체계 구축

(SW-AI중심대학
추진단)
한화 종합연구소 # 국방분야 교육협력
(SW-AI중심대학
추진단)
2023 성동광진
교육지원청 #
교육 인프라 공유
세종대
건국대 # 대학혁신지원사업
공유협력
세종대
성동구 상공회 # 상호협력
세종대
반랑대학교
(베트남) #
상호협력
(교육대학원)
광진구상공회 # 상호협력
(캠퍼스타운조성단)
KT # 메타버스 기술협력
(초실감XR연구센터)
SK텔레콤 # AI·XR(확장현실) 분야
교육과 공동 연구 등
산학협력

(메타버스융합대학원)
비상교육 # 인공지능 관련
산학협력

(김수연 교수 연구팀)
육군사관학교 # 교수·학생 상호 교류,
연구협력, 시설 상호 이용
세종대
{{{-3 ※ 단과대학·학과 이름을 누르면 해당 문서로 이동합니다.
}}} ||





[1] 2017년도 세종요람에는 건축공학과의 영문명이 Faculty of Architectural Engineering으로 표기되어 있다. 다만 Faculty는 단과대학과 사실상 같은 개념이므로 공과대학에 속해 있는 건축공학과의 영문명은 Dep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으로 표기되는 게 옳다.[2] 조선일보 - 세종대학교 97학년도 신입생 모집(“다”군)[3] 조선일보 - 세종대학교 1998학년도 신입생모집(정시“라”군)[4] 조선일보 - 세종대학교 2000학년도 신입생 모집(정시“나”군)[5] 조선일보 - 세종대학교 97학년도 신입생 모집(“다”군)[6] 조선일보 - 세종대학교 1998학년도 신입생모집(정시“라”군)[7] 조선일보 - 세종대학교 2000학년도 신입생 모집(정시“나”군)[8] 2023학년도 세종대학교 수시모집요강 8p[9] 한국대학신문 - 세종대,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토목 분야’ 최우수[10] 경향신문 - 1985학년도 신입생모집[11] 조선일보 - 세종대학교 1988학년도 신입생모집(전기)[12] 조선일보 - 세종대학교 1996학년도 신입생모집[13] 조선일보 - 세종대학교 97학년도 신입생 모집(“다”군)[14] 동아일보 - 창립 52주년 전통의 세종대학교가 지식혁명을 주도할 인재를 찾습니다[15] 지구환경과학전공을 환경에너지융합학과로 전공명 변경[16] 2023학년도 세종대학교 수시모집요강 8p[17] 2023학년도 세종대학교 수시모집요강 8p[18] 세종대학교 홍보실 - <특별기획> QS 세계대학평가 국내 TOP 10 진입! 세종대 5개 학과의 경쟁력 ③에너지자원공학과[19] 베리타스알파 - [세종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과] 학교대표 특성화학과 …기업과 연계교육 심혈[20] 베리타스알파 - [세종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과] 학교대표 특성화학과 …기업과 연계교육 심혈[21] 베리타스알파 - [세종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과] 학교대표 특성화학과 …기업과 연계교육 심혈[22] 한국대학신문 - 세종대-한국전력 연구원, MOU 체결[23] 조선일보 - 세종대학교 1998학년도 신입생모집(정시“라”군)[24] 조선일보 - 세종대학교 1998학년도 신입생모집(정시“라”군)[25] 세종대학교 공식 블로그 - 교수님과 학생이 들려주는 학과이야기 [14탄] 항공시스템공학과[26] 세종대학교 공식 블로그 - 교수님과 학생이 들려주는 학과이야기 [14탄] 항공시스템공학과[27] 세종대학교 공식 블로그 - 교수님과 학생이 들려주는 학과이야기 [14탄] 항공시스템공학과[28] 드론으로 대표되는 자율비행체는 항공우주공학 지식기반 위에 비행체(우주항공), 자율항법(자동제어, 위성항법), 영상정보, 데이터링크(전자통신), 시뮬레이션(소프트웨어) 등 다양한 학문 분야가 인공지능, 빅데이터, 사물인터넷과 융합되는 종합 시스템이다.[29] 세종대학교 입학처 - 2024 세종대학교 전공안내서 - 우주항공드론공학부 지능형드론융합전공(204p-208p)[30] 세종대학교 입학처 - 2024 세종대학교 전공안내서 - 우주항공드론공학부 지능형드론융합전공(204p-208p)[31] 세종대학교 입학처 - 2024 세종대학교 전공안내서 - 우주항공드론공학부 지능형드론융합전공(204p-208p)[32] 세종대학교 입학처 - 2024 세종대학교 전공안내서 - 우주항공드론공학부 지능형드론융합전공(204p-208p)[33] 조선일보 - 세종대학교 2000학년도 신입생 모집(정시“나”군)[34] 2023학년도 세종대학교 수시모집요강 8p[35] 세종대학교 홈페이지 - 2017년도 세종요람[36] 2023학년도 세종대학교 수시모집요강 8p[37] 세종대학교 홈페이지 - 2017년도 세종요람[38] JTBC - 차세대 원자력 개발 주도, 정부 특성화 과정 지정[39] 세종대학교 공식 블로그 - 교수님과 학생이 들려주는 학과이야기 [13탄] 국방시스템공학과[40] 세종대학교 공식 블로그 - 교수님과 학생이 들려주는 학과이야기 [13탄] 국방시스템공학과[41] 세종대학교 공식 블로그 - 교수님과 학생이 들려주는 학과이야기 [13탄] 국방시스템공학과[42] 세종대학교 공식 블로그 - 교수님과 학생이 들려주는 학과이야기 [13탄] 국방시스템공학과[43] 세종대학교 공식 블로그 - 교수님과 학생이 들려주는 학과이야기 [13탄] 국방시스템공학과

#!if version2 == null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세종대학교/학부|세종대학교/학부]]}}}{{{#!if external != "o"
[[세종대학교/학부]]}}}}}}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세종대학교/학부?uuid=befb1632-ea76-439b-96cd-ec94164eeb76|r494]]}}}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세종대학교/학부?uuid=befb1632-ea76-439b-96cd-ec94164eeb76#s-|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https://namu.wiki/history/세종대학교/학부?from=494|이전 역사 보러 가기]]}}}
#!if version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 left; padding: 0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세종대학교/학부|세종대학교/학부]]}}}{{{#!if external != "o"
[[세종대학교/학부]]}}}}}}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세종대학교/학부?uuid=befb1632-ea76-439b-96cd-ec94164eeb76|r494]]}}}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세종대학교/학부?uuid=befb1632-ea76-439b-96cd-ec94164eeb76#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세종대학교/학부?from=494|이전 역사]])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 == null
'''uuid2 not found'''}}}{{{#!if uuid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 == null
'''uuid3 not found'''}}}{{{#!if uuid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 == null
'''uuid4 not found'''}}}{{{#!if uuid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 == null
'''uuid5 not found'''}}}{{{#!if uuid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6 == null
'''uuid6 not found'''}}}{{{#!if uuid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7 == null
'''uuid7 not found'''}}}{{{#!if uuid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8 == null
'''uuid8 not found'''}}}{{{#!if uuid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9 == null
'''uuid9 not found'''}}}{{{#!if uuid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0 == null
'''uuid10 not found'''}}}{{{#!if uuid1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1 == null
'''uuid11 not found'''}}}{{{#!if uuid1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2 == null
'''uuid12 not found'''}}}{{{#!if uuid1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3 == null
'''uuid13 not found'''}}}{{{#!if uuid1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4 == null
'''uuid14 not found'''}}}{{{#!if uuid1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5 == null
'''uuid15 not found'''}}}{{{#!if uuid1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6 == null
'''uuid16 not found'''}}}{{{#!if uuid1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7 == null
'''uuid17 not found'''}}}{{{#!if uuid1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8 == null
'''uuid18 not found'''}}}{{{#!if uuid1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9 == null
'''uuid19 not found'''}}}{{{#!if uuid1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0 == null
'''uuid20 not found'''}}}{{{#!if uuid2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1 == null
'''uuid21 not found'''}}}{{{#!if uuid2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2 == null
'''uuid22 not found'''}}}{{{#!if uuid2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3 == null
'''uuid23 not found'''}}}{{{#!if uuid2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4 == null
'''uuid24 not found'''}}}{{{#!if uuid2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5 == null
'''uuid25 not found'''}}}{{{#!if uuid2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6 == null
'''uuid26 not found'''}}}{{{#!if uuid2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7 == null
'''uuid27 not found'''}}}{{{#!if uuid2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8 == null
'''uuid28 not found'''}}}{{{#!if uuid2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9 == null
'''uuid29 not found'''}}}{{{#!if uuid2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0 == null
'''uuid30 not found'''}}}{{{#!if uuid3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1 == null
'''uuid31 not found'''}}}{{{#!if uuid3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2 == null
'''uuid32 not found'''}}}{{{#!if uuid3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3 == null
'''uuid33 not found'''}}}{{{#!if uuid3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4 == null
'''uuid34 not found'''}}}{{{#!if uuid3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5 == null
'''uuid35 not found'''}}}{{{#!if uuid3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6 == null
'''uuid36 not found'''}}}{{{#!if uuid3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7 == null
'''uuid37 not found'''}}}{{{#!if uuid3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8 == null
'''uuid38 not found'''}}}{{{#!if uuid3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9 == null
'''uuid39 not found'''}}}{{{#!if uuid3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0 == null
'''uuid40 not found'''}}}{{{#!if uuid4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1 == null
'''uuid41 not found'''}}}{{{#!if uuid4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2 == null
'''uuid42 not found'''}}}{{{#!if uuid4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3 == null
'''uuid43 not found'''}}}{{{#!if uuid4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4 == null
'''uuid44 not found'''}}}{{{#!if uuid4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5 == null
'''uuid45 not found'''}}}{{{#!if uuid4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6 == null
'''uuid46 not found'''}}}{{{#!if uuid4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7 == null
'''uuid47 not found'''}}}{{{#!if uuid4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8 == null
'''uuid48 not found'''}}}{{{#!if uuid4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9 == null
'''uuid49 not found'''}}}{{{#!if uuid4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0 == null
'''uuid50 not found'''}}}{{{#!if uuid5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