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1F7E, #1353b4 20%, #1353b4 80%, #001F7E)"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1353b4,#1353b4><tablebgcolor=#1353b4,#1353b4> | 빅토리아 관련 문서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1353b4,#1353b4>역임 지위 | <colbgcolor=#fff,#1f2023>영국 여왕(인도 제국 여제 · 캐나다 여왕 · 호주 여왕) · 영국 왕실 수장 | |
생애 | 생애 | ||
재위 시기 | 빅토리아 시대(연표) | ||
가족 관계 | 가족 관계 아버지 켄트와 스트래선 공작 에드워드 왕자 · 어머니 작센코부르크잘펠트의 빅토리아 공녀 · 배우자 작센코부르크고타의 공자 앨버트 · 장녀 프린세스 로열 빅토리아 · 장남 에드워드 7세 · 차녀 영국의 앨리스 공주 · 차남 작센코부르크고타 공작 알프레트 · 3녀 영국의 헬레나 공주 · 4녀 영국의 루이즈 공주 · 3남 코넛과 스트래선 공작 아서 왕자 · 4남 올버니 공작 레오폴드 왕자 · 5녀 영국의 베아트리스 공주 | ||
기타 | 대영제국 · 하노버 왕조 · 빅토리아 섬 · 빅토리아주 · 퀸즐랜드 · 빅토리아 폭포 · 빅토리아 호 · 빅토리아 수련 · 빅토리아 공원 · 런던 빅토리아 역 · 빅토리아 선 · 빅토리아 & 압둘 · 빅토리아(드라마) · 코이누르 · 빅토리아 · 빅토리아시티 |
1. 개요
영국의 여왕, 인도의 여제 빅토리아 여왕의 생애를 다루는 문서.2. 즉위 배경
빅토리아는 조지 3세의 4남인 켄트와 스트래선 공작 에드워드 왕자의 딸로, 일반적인 상황이었다면 왕위에 오르기 힘든 입장이었으나 다음과 같은 상황이 발생해 즉위가 가능했다.빅토리아의 할아버지 조지 3세는 9남 6녀를 두었는데, 당시 왕태자였던 장남 조지 4세의 외동딸이자 후계자인 샬럿 공주가 아이를 낳다가 요절했다. 게다가 당시 조지 4세의 결혼 생활은 이미 파탄 나 있었기 때문에 조지 4세의 직계로는 다시 후계자를 보는 것이 불가능했다. 상황이 이리 되자 조지 3세의 아들들 중 2남 요크와 올버니의 공작 프레더릭, 3남 클래런스 공작 윌리엄, 4남 켄트와 스트래선 공작 에드워드, 5남 컴벌랜드 공작 어니스트, 6남 서식스 공작 어거스터스[1], 7남 케임브리지 공작 아돌푸스 이 5명의 아들에게 장차 왕위를 계승할 후계자를 낳을 의무가 주어지게 되었다.[2] 3남 윌리엄은 자식이 모두 11명이나 있었으나 적자였던 자녀들은 모두 어린 나이에 사망했고, 서자[3]만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4남 에드워드가 1819년에 외동딸 빅토리아를 얻었다. 그러나 에드워드는 빅토리아가 태어난 지 1년 만인 1820년에 사망했다.
이후 왕위는 3남인 윌리엄 4세가 물려받았으며, 빅토리아는 차기 왕위 계승 1순위가 되었다.
2.1. 어린 시절
| |
14세 어린 시절의 빅토리아 여왕. | 어머니 켄트 공작부인 빅토리아와 함께.[4] |
조지 3세의 4남인 켄트와 스트래선 공작 에드워드 왕자와 작센코부르크잘펠트 공작의 딸 빅토리아 공녀 사이에서 1819년 5월 24일에 늦둥이로 태어났다. 즉위 배경 문단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막 태어났을 무렵엔 조지 3세의 살아있는 유일한 손녀로서 언젠가는 왕위를 계승할 추정상속인으로 여겨졌다. 아버지 켄트 스트래선 공작 에드워드가 죽은 뒤 잠시 추정상속인이 될 가능성이 낮아졌지만 윌리엄 4세가 아델라이드 왕비 사이에서 1819년에 낳은 첫딸 샬럿, 1819년에 사산된 아이 1명, 1820년생 셋째 엘리자베스, 1822년 넷째로 사산된 쌍둥이 왕자가 차례로 요절하면서 다시 추정상속인으로 지위가 부상한다.
본래 독일 출신인 데다 남편마저 잃은 뒤 궁정에서 경원시당하며 영국에 정을 붙이지 못하고 친정에 돌아가고자 했던 여왕의 어머니 켄트 공작부인은 장차 딸이 즉위하면 섭정이 될 야심을 품고 비서인 존 콘로이와 함께 어린 빅토리아를 옥죄기 시작했다. 이게 어느 정도였느냐면 콘로이의 딸 빅투아르 콘로이를 빅토리아의 소꿉친구로 붙여주고[5] 혹시라도 미끄러져 넘어지기라도 해서 죽으면 절대로 안 된다는 이유로 계단을 오르내리는 것도 빅토리아 혼자서는 못 하게 할 정도였다. 딸의 교육에도 많은 신경을 써 라틴어, 프랑스어, 독일어, 이탈리아어, 음악, 역사, 미술 등의 다양한 분야를 두루 섭렵시켰음은 물론이다. 자신들 이외의 다른 영국 왕족들이 빅토리아와 친하게 지내는 걸 막으려고 윌리엄 4세와 아델라이드 왕비가 빅토리아와 만나는 것도 방해했다.
비록 딸이 아닌 조카였지만 빅토리아를 진심으로 아끼고 좋아했던 아델라이드 왕비는 그녀와 만나기 어렵게 되자 매우 슬퍼했고 윌리엄 4세는 켄트 공작부인과 콘로이가 그들의 야심을 이루기 위해 어린 조카딸을 괴롭힌다고 생각해 저 둘을 혐오했다. 공적으로도 문제가 되는 게, 장차 왕위를 계승하려면 후계자 수업을 위해서라도 빅토리아와 직접 만나야 할 일이 많은데도 저런다는 건 군주로서의 권위를 침해하는 셈이었다.
결국 윌리엄 4세는 1836년 자신의 생일 만찬 때 켄트 공작부인의 면전에 대놓고 '짐은 빅토리아가 성인이 될 때까지 살아서 그대가 섭정이 되는 꼴은 결코 보지 않게 할 것'이라 일갈했다. 발언 전문은 다음과 같다.
'하느님이 나를 최소한 9개월은 더 살게 해줄 거라 믿소... 내 그렇게 되면 지금 내 옆자리의, 저 악마 같은 조언자에게 둘러싸여 상황도 제대로 제어 못해서 엉뚱한 곳에서 엉뚱한 짓이나 하는 내 무능한 제수씨가 내 조카의 왕위를 가지고 노는 일 없이, 잠정 왕위 계승자인 저기 앉아있는 젊은 아가씨에게 왕위를 넘겨주게 되는 기쁨을 누리게 될 것이오.'
'I trust to God that my life may be spared for nine months longer ... I should then have the satisfaction of leaving the exercise of the Royal authority to the personal authority of that young lady, heiress presumptive to the Crown, and not in the hands of a person now near me, who is surrounded by evil advisers and is herself incompetent to act with propriety in the situation in which she would be placed.'
당시 빅토리아는 당황함을 감추지 못한 채 눈물만 흘렸고, 켄트 공작부인은 당연히 붉으락푸르락 상태가 되었다. 그리고 그것이 실제로 일어났다. 빅토리아가 18번째 생일을 맞아 성인이 되고 나서 26일 후에 윌리엄 4세가 세상을 떠났다.'I trust to God that my life may be spared for nine months longer ... I should then have the satisfaction of leaving the exercise of the Royal authority to the personal authority of that young lady, heiress presumptive to the Crown, and not in the hands of a person now near me, who is surrounded by evil advisers and is herself incompetent to act with propriety in the situation in which she would be placed.'
빅토리아는 감수성 예민한 사춘기를 극성스런 어머니와 그 비서의 등쌀에 시달려 제대로 된 친구 하나 사귀지 못 한 채 억눌려서 자랐다. 어린 빅토리아가 의지했던 유일한 인물은 가정교사 루이즈 레첸 여남작이었는데, 그녀는 콘로이와 켄트 공작부인의 섭정 요구를 거절하기도 했다. 여남작은 빅토리아가 정치적으로 이용당할 것을 우려해 (특히 켄트 공작부인과 콘로이 경에게) 강하고 타협하지 않는 여성이 되도록 가르쳤다. 이런 유년기를 보낸 빅토리아는 자기 주장이 매우 확고한 고집스런 성격으로 자랐다. 이런 성격은 죽을 때까지 고쳐지지 않았고 여왕과의 금슬이 좋았던 남편 앨버트 공마저 그녀의 성격을 바꾸지는 못 했다. 그저 비위를 맞춰가며 달랬을 뿐. 당대에도 앨버트 공이 보살급 멘탈이라 저 성격 받아주고 산다는 얘기가 공공연히 있었다고 한다.
빅토리아의 성격 형성에 큰 영향을 준 루이즈 레첸 여남작(Baroness Louise Lehzen)은 빅토리아의 즉위 후에도 여왕의 개인 비서와 조언자로 일하다가 앨버트 공과 빅토리아의 결혼 이후 첫 아이 프린세스 로열 빅토리아 공주가 태어난 1840년 겨울에 앨버트 공과의 갈등 끝에 은퇴해서 고향 하노버로 돌아갔다. 레첸 여남작은 1870년 사망할 때까지 빅토리아와 평생 편지를 교환하며 친분을 유지했다.
2.2. 여왕 즉위
| |
자신의 즉위 소식을 듣는 빅토리아 | |
| |
빅토리아 여왕의 대관식 | 빅토리아 여왕의 대관식 초상화, 조지 헤이터 경, 1840년 |
1837년 6월 20일, 큰아버지 윌리엄 4세가 재위 7년 만에 71세를 일기로 사망하자 빅토리아는 여왕으로 즉위했다. 만 18세 성인이 되어 즉위했기 때문에 섭정을 둘 필요가 없었던 여왕은 자신을 달달 볶았던 어머니와 콘로이를 결코 용서하지 않았다. 어머니와 내연관계에 있다는 추문까지 나돌 정도로 가까웠던 콘로이는 연금을 주고 퇴직이라는 명분으로 내쫓아 버렸고, 켄트 공작부인은 거처를 외딴 곳으로 정해 버킹엄 궁전에서 정치에 관여하지 못하도록 했다.[6]
첫 아이 프린세스 로열 빅토리아 공주가 태어난 후에야 남편인 앨버트 공의 노력과 자신도 어머니가 되고 나서 사이가 많이 나아졌고, 켄트 공작부인은 빅토리아의 궁정에서 환영받는 인물이 되었다. 그녀는 손주들을 아주 예뻐했다고 한다. 그러나 완전히 화해한 건 아니어서 켄트 공작부인이 1861년 3월 16일 사망하자 그녀가 썼던 일기와 자신의 어릴 적 물건들을 소중하게 간직하고 있던 것을 발견한 여왕은 어머니와 평생 사이 좋게 지내지 못한 것을 몹시 후회했다고 한다.
3. 치세
빅토리아는 이른바 해가 지지 않는 나라였던 전성기의 영국을 통치한 여왕이었다. 이 시기 영국은 자본주의 선진국이 되는 동시에 2대 정당제 의회정치가 전개되었고 그 동향이 세계적으로 큰 영향을 끼쳤다. 본인이 여성이었음에도 정작 여성 참정권 보장에는 반대했지만 64년간의 긴 치세를 통해 군림하되 통치하지 않는다는 원칙을 따라 오늘날의 영국 군주제를 확립했다.그러나 대영제국의 전성기를 구가하던 빅토리아 여왕 치세도 말기로 가면서 독일, 미국 등의 후발주자에게 산업적으로 밀리기 시작했고 이로 인해 경제가(특히 농촌 경제가) 어려워지자 노동자와 농민들의 불만(보호무역론)이 상당해졌다. 군사적으로도 보어 전쟁 등에서 체면을 구기는 등 점점 쇠퇴의 징후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이를 흔히 빅토리아 여왕의 갱년기라고 부른다. 보통 "현대(모던) 영국"은 불경기의 원인을 조사하기 위한 왕립상공회의소가 설립되고 선거권을 확대, 평등화하는 개혁법, 의석재분배법이 통과된 1885년을 기준으로 하는데, 이때가 바로 그 쇠퇴가 시작된 시기였다.[7]
3.1. 치세 전기
젊은 시절.
1843년 초상화. 프란츠 크사버 빈터할터 작.
여왕이 즉위한 19세기 중반은 외국과의 전쟁으로 인한 불황과 맞물려 노동자들이 과격한 러다이트 운동에서 상대적으로 온건한 차티스트 운동을 통해 참정권 보장을 주장하는 등 대내외적으로 시급히 처리해야 할 문제가 산적해 있었다. 이 때문에 여왕은 즉위하자마자 매일 1시간씩 30대 총리 윌리엄 램[8][9]을 접견해 여러 현안을 논의하면서 군주로서의 자질을 키워나갔다.
치세 초기의 여왕의 정치적 성향은 자유주의에 쏠려 있어 휘그당을 옹호하고, 토리당을 마음에 들어하지 않았다. 이로 말미암아 1839년 2차례에 걸쳐 여왕을 모시는 시녀들이 정치적 성향을 문제 삼아 궁정에서 쫓겨나는가 하면, 시녀 교체를 주장한 토리당의 로버트 필 31대 총리 예정자의 의견을 여왕이 거부하면서 로버트 필이 총리를 거부하고 내각이 다시 휘그당으로 교체되는 등 젊은 여왕의 등장에 환호했던 영국 국민들은 궁정에서 들려오는 파벌 싸움에 실망해 인기가 떨어지기도 했다.
이는 휘그당에 우호적인 시녀들에 둘러싸인 여왕의 영향력을 국정에서 차단하기 위해 그녀가 정치적으로 부족하다는 토리당의 선전이 먹혀들어간 것으로, 유달리 30대 총리이자 멜버른 자작 윌리엄 램 경과 친밀했던 처녀 여왕은 Mrs.Melbourne(멜버른 부인)이라는 비꼼을 당하기도 했다.
한편 미혼인 상태에서 즉위한 여왕의 남편 자리를 놓고 여러 나라의 왕족들이 나섰다. 원래 여왕은 독일 출신인 어머니에 대한 반감 때문에 독일인과 결혼할 생각이 없었지만 영국에 온 외사촌 작센코부르크고타의 공자 앨버트에게 반해서 결국 1840년 2월 10일, 앨버트와 결혼했다.
| |
빅토리아 여왕과 앨버트 공의 결혼식 |
지식과 교양이 풍부했던 앨버트 공은 여왕의 남편이라는 위치 때문에 공직도 작위도 받지 못 하고 아내를 보필하는 조력자 역할에만 충실해야 해서 결혼 초기에는 자신의 처지를 한탄한 적도 있었다. 그러나 빅토리아 여왕의 임신 이후 거동의 제약이 생기고 점차 남편에게 깊이 의지하면서[10] 앨버트 공의 역할이 커졌고, 그는 고집세고 외골수였던 아내의 곁에 머무르며 여왕의 부군으로서 여러 가지 업무를 훌륭하게 처리했다. 19세기 중반의 시대적 변혁에 따라 당대의 민중이 요구한 노예 제도 폐지나 교육 제도 개혁에 힘썼으며 왕실 가족과 재산의 관리도 담당했고, 1851년의 제1회 국제박람회의 개최도 그가 추진한 행사였다. 이런 앨버트 공이 있었기 때문에 여왕은 양당제 의회에서 정치적 균형감각을 유지하며 입헌군주제를 공고하게 다질 수 있었다.
1845년 아일랜드 대기근이 일어났을 때는 왕실 재정에서 2000 파운드를 개인 자격으로 기부했는데, 이 돈은 현대 기준으로 20만~40만 파운드가 넘는 엄청난 거금이며 당시에 모아진 기부금 중 개인이 낸 가장 큰 액수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당시 영국 정부의 대처가 실패로 돌아가 아일랜드가 생지옥으로 변하는 바람에 아일랜드에서는 빅토리아 여왕을 '감자 여왕'이라고 부르며 증오했으며, 그녀가 기근 당시 꼴랑 5파운드만을 기부했다는 가짜 뉴스가 살포되기도 했다.
1846년 곡물법 폐지 문제가 정계의 최대 이슈가 떠올랐을 때, 당시 총리였던 로버트 필과 그를 지지하는 필파, 그리고 야당인 휘그당은 폐지에 찬성했지만 여당인 토리당의 대다수 의원들은 강력하게 반대하는 상황이었다. 이렇듯 여당이 분열되어 총리가 정치적 위기를 맞은 상태에서 여왕은 곡물법 폐지를 지지함으로서 총리에게 힘을 실어 주었고, 곡물법은 끝내 폐지된다. 그러나 이 여파로 필이 사임하자 휘그당의 개혁주의자인 존 러셀을 총리로 지명했다.
그러나 여왕은 러셀 내각의 외무장관 파머스턴 자작 헨리 존 템플의 공격적이고 즉흥적인 정책 노선을 싫어했고, 그가 종종 왕실과 총리와의 협의 없이 독단적으로 일을 처리하는 것에 불만을 품었다. 그러던 중, 1851년 프랑스에서 쿠데타가 일어나 나폴레옹 3세가 즉위했을 때, 중립을 지키고 상황을 지켜보자는 내각과 왕실의 합의를 무시하고 독단적으로 나폴레옹의 쿠데타를 승인하는 대형사고를 치자 끝내 격분하여 남편 엘버트 공의 명의로 파머스턴이 군주를 무시했으며 내각과 궁정에 광범위한 불신과 갈등을 심어놓았다고 비난했다. 이에 파머스턴은 직을 사임해 버린 후 적극적으로 러셀 내각 반대 캠페인을 펼쳤고, 의회에서 불신임결의안까지 맞아 내각이 붕괴하자, 보수당의 더비 백작 에드워드 스미스스탠리를 보수당이 제1정당이 아니었음에도 불구하고 총리로 지명했다. 왜냐면, 더비의 외교 노선은 소위 '명예로운 고립'으로 대표되는 평화 지향, 반 확장주의 성향으로 파머스턴의 적극적인 외교노선을 싫어한 여왕의 입맛에 맞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더비 내각은 보수당의 분열이 해결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집권이었기 때문에 기반이 많이 취약했다. 이런 상황에서 재무장관 벤자민 디즈레일리가 제출한 예산안이 의회에서 부결을 맞아버리자 이를 불신임으로 간주한 더비는 총리직에서 사임해 버리고 만다.
다음 내각인 에버딘 백작 조지 해밀턴고든 내각에서는 내각에 나란히 입성한 파머스턴과 러셀의 갈등, 그리고 무엇보다도 크림 전쟁이 최대의 이슈로 떠올랐다. 당시 영국에서는 조금씩 쇠퇴해가는 오스만 제국의 반대급부로 러시아 제국이 성장하며 남방으로 손을 뻗는 것을 영국 식민지에까지 러시아의 영향력이 미칠까봐 두려워하는 의견이 많았고, 어떻게든 러시아의 확장을 저지해야 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되어 있었다.
결국 러시아가 오스만령 크림반도를 침공하며 크림 전쟁이 일어나자 내각은 개입 여부를 두고 반으로 분열된다. 총리 에버딘 백작과 외무장관 존 러셀은 개입에 반대했으나, 내무장관이었던 파머스턴은 여론을 적극적으로 선동하며 개입을 부르짖었고, 결국 에버딘은 여론에 등떠밀려 프랑스와 손잡고 러시아에게 선전포고를 단행하고 전쟁은 본격적으로 확전되기 시작한다.
그러나 영국은 전쟁 과정에서 여러 시행착오를 겪었고, 보급과 물자의 관리에도 어려움을 겪었다. 이에 여론은 점점 전쟁에 회의적으로 변했고, 결국 의회에서 전쟁과정을 조사하기 위한 위원회를 설치하자 총리가 사퇴해 버리면서 내각이 붕괴한다.
이에 여왕은 다시 반 확전파인 더비와 러셀을 불러 내각 구성을 요청했으나 둘 다 내각 구성에 실패하면서 어쩔 수 없이 파머스턴을 총리로 임명해야 했다. 파머스턴은 전쟁을 끝내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발트해를 통해 영국 해군을 진주시켜 상트페테르부르크를 위협함으로서 러시아의 확장을 영구적으로 저지해야 한다는 강경론을 폈다. 그러나 문제는 다른 동맹국들의 태도였다. 이미 오스트리아는 전쟁을 멈출 것을 촉구하면서 중재를 제안한 상태였고, 연합국 최대 물주였던 프랑스는 너무 많은 인력을 소비한 이유로 인해 전쟁을 끝내기를 원하고 있었다. 마침 1855년 초 차르가 죽고 알렉산드르 2세가 즉위하자 즉각 프랑스는 러시아와 평화조약 협상을 시작했으나, 파머스턴은 평화 조건이 너무 러시아에게 유리하다며 최소한 세바스토폴은 함락시켜야 러시아의 야망을 꺾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결국 프랑스군은 세바스토폴을 공격해 끝내 함락시켰고, 드디어 평화조약이 맺어진다. 파머스턴은 여기서도 흑해를 완전 비무장화하고 크림 반도를 오스만 제국에 반환해야 한다고 주장했으나, 전자는 이뤄진 반면 크림반도는 반환되지 않았다.
이후 어쨋든 같은 연합국에서 싸운 인연 덕분인지 나폴레옹 3세와 빅토리아 여왕 부부가 나란히 상대국을 맞방문하는 행사가 치러지며 사이가 개선되었다. 영국 왕이 파리를 직접 방문한 것은 백년전쟁 이후 400년만의 일이었다.
3.2. 과부 여왕
앨버트 공의 초상화와 함께한 여왕. 차녀 앨리스 공주, 4녀 루이즈 공주와 함께.
1861년 12월 14일 여왕의 부군 앨버트 공이 42세의 젊은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남편이 병상에 누워 죽어가는 동안에도 금방 훌훌 털고 일어날 거라며 애써 현실을 외면하던 여왕은 남편의 죽음으로 받은 충격이 너무나 큰 나머지 앨버트 공의 사후 모든 국정에서 손을 떼고 아직 결혼하지 않은 어린 자녀들과 함께 공식석상에서 모습을 감춘 채 윈저 성에 은거해 버렸다.
정신병을 앓았던 조지 3세는 웨일스 공 조지를 섭정으로 임명한 후 공무에서 물러났지만, 섭정도 두지 않은 채 갑작스럽게 은거해버린 여왕의 무책임한 행동[11]에 내각과 의회는 매우 당황했다. 명목상 군주이긴 해도 국가 대사를 처결할 때는 여왕의 의견을 묻지 않을 수 없었기 때문에 총리는 하는 수 없이 런던에서 멀리 떨어진 여왕의 처소로 매번 찾아가기를 반복했다. 처음에는 빅토리아를 동정하던 국민들도 여왕의 부재가 길어지자 일각에서는 거액의 생활비를 지급받고 호화로운 생활을 누리면서 국정에는 소홀한 여왕의 행태에 염증을 느껴 '윈저의 과부는 물러가라'며 퇴위를 주장하는 등 불만의 여론이 터져나오기 시작했다.
여왕은 떠밀리듯이 공무에 복귀했으나 앨버트 공을 추모하는 의미에서 언제나 검은 상복만 입고 지내는 등 우울한 감정을 숨기려 하지 않았고, 상복을 입을 때 머리에 얹는 베일을 착용하기 불편하다며 제국왕관(Imperial State Crown)[12]을 쓰는 것도 거부했다. 그러자 이러한 모습이 국가의 위신과 왕실의 체면에 손상이 갈 거라고 판단한 영국 정부는 여왕을 위해 특별히 제국 왕관의 축소판을 제작하기에 이른다.
은으로 골조를 만들고 다채로운 보석이 사용되지 않아 겉보기에는 소박한 직경 9cm, 높이 10cm의 작은 왕관에는 오로지 다이아몬드만 1,187개가 사용되었다. 이 왕관은 1871년 2월 9일 의회 개원식 때 처음 착용한 뒤로 쭉 애용했고 공식 초상사진을 촬영할 때도 항상 이 왕관을 썼으며 사후 장례식 때 여왕의 관 위에도 올려졌다. 여왕 사후 에드워드 7세의 아내 알렉산드라 왕비가 한때 착용하기도 했으나 그 후로는 왕실 보석으로 사용되지 않았고 현재는 런던 탑에 보관되어 있다.
3.3. 인도 여제
디즈레일리가 인도 제국의 왕관을 여왕에게 바치는 것을 풍자한 주간지 '펀치(Punch)'의 만평(1876년, 존 테니얼(John Tenniel)[13]).[14]
여왕과 인도인 시종 두 사람[15]
1857년 세포이 항쟁을 진압한 영국은 그동안 인도를 간접통치하는 수단으로 활용한 동인도 회사를 해체하고 인도 제국을 통해 본격적인 직접 통치에 들어갔다. 이 과정에서 무굴 제국 최후의 황제였던 바하두르 샤 2세가 폐위되었으며, 그나마 꼭두각시로나마 형체를 유지하고 있던 무굴 제국은 330여 년만에 그대로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한편 여왕은 인도에서 일어난 일련의 사태로 인해 많은 사람이 죽은 걸 안타깝게 여기면서도 군주로서의 책무를 다시금 절감했다는 감상을 일기에 적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1874년 총선거를 통해 다시 집권한 벤저민 디즈레일리 총리는 여왕의 공식 칭호에 인도 여제(Empress of India)의 칭호를 덧붙이는 것을 골자로 한 법안을 의회에서 통과시켰다. 이것은 기존 무굴 황제 대신에 영국의 왕이 인도의 황제로서 인도 각지의 제후들 위에 군림하는 형태로 변경한 것이다.
영국은 식민지 지배층과 피지배층을 영국화해 영국민으로서의 권리를 부여하는 데에 인색했던 대신 영국의 지배에 저항하지만 않으면 되도록 기존 사회체제에 손을 대지 않는 방식을 취했다. 그래서 영국은 식민화 과정에서 현지의 토착 지배자들과 타협해 영국의 왕이 그들 위에 존재하는 더 높은 군주라는 관계를 정립한 일이 여럿 있었다. 예를 들어 피지에서는 (여)왕에 대응되는 현지어 표현을 '대추장'이라고 번역했다. 말 그대로 피지 각지의 추장들 위에 군림하는 더 큰 추장이라는 의미였다. 영국의 왕에게 황제라는 칭호를 부여해 통치한 곳은 인도가 유일했지만.[16]
디즈레일리가 굳이 빅토리아 여왕에게 인도 황제 칭호를 부여한 동기 중에는 빅토리아 여왕의 장녀 프린세스 로열 빅토리아[17]가 프로이센 왕자에게 시집간 점을 감안한 것도 있었다. 빅토리아 공주는 프로이센 왕국의 프리드리히 왕태자[18]한테 시집을 갔는데, 이후 1871년 프로이센이 독일을 통일해 독일 제국을 만들었다. 그러자 영국 국내에서는 "프리드리히가 즉위하면 빅토리아 공주는 Empress[19]가 되는데 어머니는 Queen이어서 칭호가 서로 역전된다"는 불만이 돌았다고 한다. 영국인들 스스로 대영제국[20]이라고 할 정도로 세계 최강국인데 신생 독일 제국보다 못날 것도 없다는 자존심도 있었을 것이고. 근데 그렇다고 그 동안 익숙하게 잘 써온 연합왕국(United Kingdom)이란 국호를 갑자기 무슨무슨 제국으로 고치고 여왕의 칭호를 여제로 바꾸는 것은 여러모로 번거로운 일이었다.
그런데 마침 영국이 인도를 완전히 장악[21]함에 따라 디즈레일리가 묘수를 낸 것이다. 영국 여왕을 인도 여제로 군림하게 함에 따라 인도의 기존 지배 질서 위에 영국이 지배력을 행사하게 만들면서 칭호 문제로 촉발된 영국인들의 자존심 문제를 적당히 해결한 것이다. 영국 국내에서는 이게 뭐하는 짓이냐는 비아냥이 없지는 않았지만[22] 디즈레일리의 제안은 관철되었다. 따라서 1877년 1월 1일부터 빅토리아 여왕은 '영국의 여왕이자 인도의 여제이신 빅토리아 폐하'로 불리게 되었으며 109캐럿짜리 인도산 다이아몬드 코이누르를 제국 왕관에 박아넣었다. 빅토리아 이후로 영국의 국왕들은 1948년까지 인도 황제의 칭호를 같이 썼다.
3.4. 말년
노년의 여왕.
1878년 12월 14일 차녀 앨리스 공주가 디프테리아에 걸려 병사했고 60세가 된 다음 해에 첫 증손녀인 작센마이닝겐의 페오도라 공녀[23]가 태어남에 따라 증조할머니가 되었다. 나이를 먹으면서 남편과 자식을 앞세우는 비극을 겪은 여왕은 가장 아끼던 막내딸 베아트리스 공주에게 한층 더 매달렸다. 베아트리스 공주가 바텐베르크의 하인리히와 사랑에 빠졌을 때도 딸과 사위가 결혼 후에도 영국에서 거주하며 자기 곁에서 지내는 걸 조건으로 결혼을 허락할 정도로 여왕은 젊었을 적의 완고했던 성격이 노년에 접어들어 더욱 강해졌다.
이런 여왕의 고집스럽고 독단적인 성격은 외교와 군사 문제에서 강경한 대응을 통해 영국의 위신을 세우려는 모습으로 나타났다. 1877년 러시아가 오스만 제국을 공격해 산스테파노 조약을 체결하고 불가리아를 할양받자 이에 반대해 다른 나라들을 끌어들여 1878년 베를린 조약을 통해 산 스테파노 조약을 폐기하고 러시아 몫으로 돌아갈 영토를 크게 줄여버렸다. 하지만 이것도 잠시뿐이었고, 뒤이어 각종 악재가 여왕과 정부를 곤경에 빠뜨렸다.
1881년과 1885년에는 각각 남아프리카와 수단에서 영국군이 패퇴했고, 1882년 영국의 식민통치에 반발한 아일랜드에서 총독이 비밀결사에 암살당했고, 1870년대와 80년대 아일랜드 독립운동가들은 아일랜드 자치동맹, 아일랜드 토지동맹을 거쳐 아일랜드 민족동맹을 만들고 아일랜드 자치당은 50여 명을 영국 의회에 진출시켰다. 아일랜드 자치당은 캐스팅보더 역할을 하며 몸값을 높여 영국 자유당의 글래드스턴을 도와 아일랜드 토지법과 아일랜드 자치법을 통과시켰다.
이런 조짐은 대영제국의 최전성기가 끝나고 내리막으로 접어든 신호탄이었지만 그런 것과는 별개로 여왕은 개인적인 비극이나 대내외적으로 산적한 문제에도 굴하지 않고 계속해서 왕위를 지키며 1887년에 즉위 50주년을 축하하는 골든 주빌리를, 1897년에는 즉위 60주년을 축하하는 다이아몬드 주빌리를 성대하게 거행했다. 당시까지 영국 역사상 가장 오래 재위한 할아버지 조지 3세의 재위 기간을 뛰어넘은 빅토리아는 생전에 이미 대영제국의 구심점으로서 국민들이 우러러보는 빛나는 상징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었던 것이다. 영국의 팽창주의는 도리어 이 내리막 시기에 더 극대화된다.
3.5. 사망
| |
빅토리아 여왕의 장례 행렬 | |
| |
버크셔 주에 위치한 프로그모어 영묘 | |
| |
프로그모어 영묘 내부에 있는 빅토리아 여왕과 앨버트 공의 석관. 석관의 덮개는 생전 두 사람의 모습을 본떠 조각했다. |
그럼에도 빅토리아는 군대 사열식, 가든 파티 등 여왕으로서의 의무를 수행했으나 1900년에 복벽 탈장과 자궁 탈출증을 겪고 나서는 쇠약해졌다.
결국 1901년 1월 22일 오후 6시 30분 사망 시점을 기준으로 영국 역사상 가장 긴 64년 동안 재위[25]한 빅토리아 여왕은 81세를 일기로 와이트 섬의 오스본 하우스에서 세상을 떠났다. 윈저 대공원(Windsor Great Park)의 프로그모어 영묘(Frogmore Mausoleum)로 운구된 여왕의 유해는 40년 전 먼저 세상을 떠난 남편 옆에 안장되었다.[26]
이에 따라 영국의 하노버 왕조는 빅토리아 여왕의 대에 이르러 끝났고, 장남 에드워드 7세가 왕위에 오른 이후, 영국의 왕조는 부군 앨버트 공의 가문인 작센코부르크고타 왕조로 교체되었으며, 손자 조지 5세가 왕위에 오른 이후, 제1차 세계 대전 도중에 독일색을 없애기 위해 명칭을 윈저 왕조로 고쳤다.
[1] 1794년에 태어난 아들, 1801년에 태어난 딸이 있었으나 모두 서자였다.[2] 이 중 2남 프레더릭 왕자는 자식 없이 큰형보다 먼저 사망하면서 제외되었다.[3] 이 서자의 후손 중 1명이 데이비드 캐머런이다.[4] 어린 빅토리아의 손에 들린 그림은 1820년 1월 23일에 작고한 부친 에드워드 왕자의 초상화이다.[5] 빅투아르 콘로이에 대해 알려진 바는 많이 없다. 빅투아르는 나름대로 빅토리아 여왕에게 상냥하게 대했으나, 빅토리아 여왕은 신분도 낮고 무엇보다 존 콘로이의 딸인 그녀를 싫어했다고 한다. 더군다나 콘로이는 자기 딸을 엄연한 왕녀였던 빅토리아 여왕과 동급이라고 생각하는 오만한 모습을 보였기 때문. 실제로 여왕의 놀이친구였다는 점이 프리미엄으로 작용해 준남작과 혼인할수 있었다고 한다.[6] 콘로이를 지나치게 믿고 의존했던 공작부인은 후에 콘로이가 횡령을 저지른 사실 등을 뒤늦게 알자 잘못을 깨닫고 딸에게 용서를 구하기도 했다.[7] Henry Pelling의 1969년 저작《현대 영국사(Modern Britain) 1885-1955》[8] 제2대 멜버른 자작으로, 27대·30대 영국 총리를 역임했다.[9] 당시 59세[10] 여왕이 앨버트 공 사후, 장녀 빅토리아 공주에게 보낸 편지에 "앨버트에게 모든 것을 의존했다. 그가 없으면 나는 아무것도 하지 않았다. 손가락 하나 까딱하지 않았고, 사진이나 서류도 정리하지 않았고, 그가 동의하지 않으면 드레스를 입지도, 보닛을 쓰지도 않았다."고 적었다.[11] 다 같은 궁궐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버킹엄 궁전은 국왕의 공식 거주지이자 업무 공간이고, 윈저 성은 왕실의 비공식 거주지이다.[12] 맨 위의 대관식 초상화에서 쓰고 있는 것.[13] 당대의 유명한 일러스트레이터로, 아주 다양한 그림을 그렸는데 이 그림 이외에도 나무위키에서 볼 수 있는 대표적인 만평으로는 오토 폰 비스마르크 항목에 실려 있는 비스마르크 퇴임 만평이 있다. 하지만 오늘날에도 테니얼이 아주 유명한 이유는 따로 있었다.[14] 만평의 캡션에 "헌 것을 위한 새 왕관(New crowns for old ones!)"이라고 적혀 있었다고 한다. 한국에서는 "헌 왕관을 새 왕관으로 바꿔 드립니다!"라는 번역으로 알려졌다. 그렇지만 실제로는 바꾼 게 아니라 새로운 관을 추가한 것임에 유의.[15] 후술할 매체에 나온 것처럼 2017년에 영화화되기도 했다.[16] 이렇게 유럽 국왕에게 비유럽 지역 식민지의 전통적인 황제 칭호를 부여해 격을 높이는 방식은 나중에 이탈리아의 베니토 무솔리니가 따라했다. 무솔리니 시기 이탈리아가 에티오피아 제국을 침공했을 때 무솔리니가 국왕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에게 에티오피아 황제의 칭호를 바친 것이다. 하지만 국제사회가 이탈리아의 에티오피아 지배를 인정하지 않아 대부분의 국가들은 그 황제 칭호를 인정해 주진 않았다.[17] 어머니와 이름이 같은 동명이인이다.[18] 훗날의 프리드리히 3세[19] 알다시피 영어에서 (그리고 대부분의 유럽어에서) 남성 군주의 배우자와 여성 군주의 칭호 형태는 동일하다. 즉, 여제와 황후의 표현이 동일하다. 물론 굳이 구분을 하자면 Empress Consort라고 배우자임을 나타내 주면 된다.[20] 연합왕국(United Kingdom)은 본토에 한정해 쓰는 표현이다. 제국주의 시대에 영국 본토뿐만 아니라 본토 외 속령까지 아울러 부르던 명칭이 바로 대영제국(British Empire)이다. 한국에선 양자를 많이 혼동하지만 실제론 구별해야 하는 표현이다.[21] 포르투갈령이었던 고아(Goa), 프랑스령이었던 퐁디셰리처럼 예외가 있다.[22] 위 풍자화가 괜히 나온 게 아니다.[23] 빅토리아 황후의 장녀 작센마이닝겐 공작부인 샤를로테의 외동딸이다.[24] 여왕은 조명이 어둡기 때문이란 핑계를 대며 시력 저하를 인정하지 않았다.[25] 이 기록은 훗날 엘리자베스 2세가 깼다.[26] 현재 빅토리아 여왕과 앨버트 공의 묘소는 보수공사로 인해 방문이 불가하다.
#!if version2 == null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빅토리아 여왕|빅토리아 여왕]]}}}{{{#!if external != "o"
[[빅토리아 여왕]]}}}}}}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빅토리아 여왕?uuid=ui45120-ui45150-ui45180-pp43423es210%%|r1403]]}}}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빅토리아 여왕?uuid=ui45120-ui45150-ui45180-pp43423es210%%#s-|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https://namu.wiki/history/빅토리아 여왕?from=1403|이전 역사 보러 가기]]}}}
#!if version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 left; padding: 0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빅토리아 여왕|빅토리아 여왕]]}}}{{{#!if external != "o"
[[빅토리아 여왕]]}}}}}}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빅토리아 여왕?uuid=ui45120-ui45150-ui45180-pp43423es210%%|r1403]]}}}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빅토리아 여왕?uuid=ui45120-ui45150-ui45180-pp43423es210%%#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빅토리아 여왕?from=1403|이전 역사]])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 == null
'''uuid2 not found'''}}}{{{#!if uuid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 == null
'''uuid3 not found'''}}}{{{#!if uuid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 == null
'''uuid4 not found'''}}}{{{#!if uuid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 == null
'''uuid5 not found'''}}}{{{#!if uuid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6 == null
'''uuid6 not found'''}}}{{{#!if uuid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7 == null
'''uuid7 not found'''}}}{{{#!if uuid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8 == null
'''uuid8 not found'''}}}{{{#!if uuid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9 == null
'''uuid9 not found'''}}}{{{#!if uuid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0 == null
'''uuid10 not found'''}}}{{{#!if uuid1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1 == null
'''uuid11 not found'''}}}{{{#!if uuid1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2 == null
'''uuid12 not found'''}}}{{{#!if uuid1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3 == null
'''uuid13 not found'''}}}{{{#!if uuid1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4 == null
'''uuid14 not found'''}}}{{{#!if uuid1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5 == null
'''uuid15 not found'''}}}{{{#!if uuid1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6 == null
'''uuid16 not found'''}}}{{{#!if uuid1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7 == null
'''uuid17 not found'''}}}{{{#!if uuid1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8 == null
'''uuid18 not found'''}}}{{{#!if uuid1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9 == null
'''uuid19 not found'''}}}{{{#!if uuid1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0 == null
'''uuid20 not found'''}}}{{{#!if uuid2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1 == null
'''uuid21 not found'''}}}{{{#!if uuid2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2 == null
'''uuid22 not found'''}}}{{{#!if uuid2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3 == null
'''uuid23 not found'''}}}{{{#!if uuid2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4 == null
'''uuid24 not found'''}}}{{{#!if uuid2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5 == null
'''uuid25 not found'''}}}{{{#!if uuid2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6 == null
'''uuid26 not found'''}}}{{{#!if uuid2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7 == null
'''uuid27 not found'''}}}{{{#!if uuid2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8 == null
'''uuid28 not found'''}}}{{{#!if uuid2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9 == null
'''uuid29 not found'''}}}{{{#!if uuid2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0 == null
'''uuid30 not found'''}}}{{{#!if uuid3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1 == null
'''uuid31 not found'''}}}{{{#!if uuid3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2 == null
'''uuid32 not found'''}}}{{{#!if uuid3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3 == null
'''uuid33 not found'''}}}{{{#!if uuid3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4 == null
'''uuid34 not found'''}}}{{{#!if uuid3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5 == null
'''uuid35 not found'''}}}{{{#!if uuid3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6 == null
'''uuid36 not found'''}}}{{{#!if uuid3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7 == null
'''uuid37 not found'''}}}{{{#!if uuid3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8 == null
'''uuid38 not found'''}}}{{{#!if uuid3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9 == null
'''uuid39 not found'''}}}{{{#!if uuid3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0 == null
'''uuid40 not found'''}}}{{{#!if uuid4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1 == null
'''uuid41 not found'''}}}{{{#!if uuid4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2 == null
'''uuid42 not found'''}}}{{{#!if uuid4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3 == null
'''uuid43 not found'''}}}{{{#!if uuid4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4 == null
'''uuid44 not found'''}}}{{{#!if uuid4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5 == null
'''uuid45 not found'''}}}{{{#!if uuid4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6 == null
'''uuid46 not found'''}}}{{{#!if uuid4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7 == null
'''uuid47 not found'''}}}{{{#!if uuid4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8 == null
'''uuid48 not found'''}}}{{{#!if uuid4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9 == null
'''uuid49 not found'''}}}{{{#!if uuid4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0 == null
'''uuid50 not found'''}}}{{{#!if uuid5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