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1-10 13:50:26

빅토리아 수련

파일:external/www.photographyblogger.net/Water-Lilies30.jpg
빅토리아 수련
<colcolor=#000000>Victoria Water Lilly <colcolor=#000000>이명: 큰가시연꽃
Victoria amazonica, Victoria cruziana
분류
식물계
속씨식물문
(미분류)[1]
수련목
수련과
빅토리아속
빅토리아
1. 개요2. 발견3. 특징4. 둘러보기

1. 개요



남아메리카아마존 강파라과이 등지에 서식하는 수련의 일종.

2. 발견

이 식물은 1837년 영국의 식물학자 존 린들리(John Lindley)가 처음으로 세상에 알렸는데, 때마침 즉위한 빅토리아 여왕의 이름을 붙여 학명을 윅토리아 레기아(Victoria regia)라고 붙였다. 그러나 20세기에 이르러 윅토리아 아마조니카(Victoria amazonica)로 변경되었다. 그 후 1849년 11월 데번셔 공작의 가드너였던 조지프 팩스턴(Joseph Paxton)[2]이 따뜻한 아마존강의 습지 서식환경을 그대로 재현하여 인공적으로 꽃을 피우는 데 성공했다.

또다른 종인 윅토리아 크루지아나(Victoria cruziana)는 프랑스의 자연주의자 알시드 오르비니(Alcide d'Orbigny)가 볼리비아에서 발견하여 세상에 알렸다. 당시 페루와 볼리비아의 대통령이었던 안드레스 데 산타크루스(Andrés de Santa Cruz)의 이름을 따 크루지아나라는 종명을 붙였다.

3. 특징

파일:external/1.bp.blogspot.com/victoria%2Bamazonica.jpg
파일:external/botany.csdl.tamu.edu/lilyp.gif

사람이 올라가도 가라않지 않을 만큼 거대한 잎으로 유명하다.[3] 가시연꽃처럼 온 몸에 가시로 덮혔는데, 거친 정글 속 강에서 자신을 보호하며 더 많은 햇빛을 차지해 살아남기 위해 진화한 게 특징이다. 길이 2cm 크기의 가시는 아주 억세고 날카로워서 스치기만 해도 쉽게 상처가 날 정도다.

파일:external/s-media-cache-ak0.pinimg.com/594549cb8a16b480e4666099826f4d99.jpg

잎의 뒷면에 억센 잎맥 구조가 고도로 발달하여 바람이 세게 불어도 잎이 거의 뒤집어지지 않으며, 그물망 모양으로 강한 잎맥 사이에 크고 작은 공기 주머니를 형성하기 때문에 상당한 부력이 제공된다. 이는 무거운 물체를 올려도 가라앉지 않는 이유이다.

파일:external/www.jndn.com/10-184794.jpg

빅토리아 수련의 꽃 역시 자랑거리다. 꽃은 딱 이틀만 피는데, 첫째 날 하얀색으로 개화하여 이튿날 점차 진홍빛으로 물들고는 물 아래로 서서히 가라앉는다.

첫날 피어나는 하얀 꽃은 진한 향기와 함께 열기를 발산하는데 딱정벌레를 유인하기 위한 것이다. 딱정벌레는 향기와 온기에 이끌려 첫날 밤 활짝 열린 꽃속으로 들어가는데, 들어가는 순간 꽃은 문을 닫아 버린다. 꽃 속에 갇힌 딱정벌레는 이튿날 밤에야 다시 풀려나는데, 이때 꽃가루를 잔뜩 뒤집어쓴 채 다른 꽃으로 가 수정을 시켜주는 것이다.

한국에서도 키울 수는 있지만 월동을 하지 못하기 때문에 겨울이 오면 시들어버린다. 온실에서 키우거나 겨울이 오기 전에 실내로 옮겨야 한다.

4.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1F7E, #1353b4 20%, #1353b4 80%, #001F7E)"<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1353b4,#1353b4><tablebgcolor=#1353b4,#1353b4>파일:빅토리아 여왕 모노그램.png 빅토리아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1353b4,#1353b4>역임 지위<colbgcolor=#fff,#1f2023>영국 여왕(인도 제국 여제 · 캐나다 여왕 · 호주 여왕) · 영국 왕실 수장
생애 생애
재위 시기 빅토리아 시대(연표)
가족 관계 가족 관계
아버지 켄트와 스트래선 공작 에드워드 왕자 · 어머니 작센코부르크잘펠트의 빅토리아 공녀 · 배우자 작센코부르크고타의 공자 앨버트 · 장녀 프린세스 로열 빅토리아 · 장남 에드워드 7세 · 차녀 영국의 앨리스 공주 · 차남 작센코부르크고타 공작 알프레트 · 3녀 영국의 헬레나 공주 · 4녀 영국의 루이즈 공주 · 3남 코넛과 스트래선 공작 아서 왕자 · 4남 올버니 공작 레오폴드 왕자 · 5녀 영국의 베아트리스 공주
기타 대영제국 · 하노버 왕조 · 빅토리아 섬 · 빅토리아주 · 퀸즐랜드 · 빅토리아 폭포 · 빅토리아 호 · 빅토리아 수련 · 빅토리아 공원 · 런던 빅토리아 역 · 빅토리아 선 · 빅토리아 & 압둘 · 빅토리아(드라마) · 코이누르 · 빅토리아 · 빅토리아시티
}}}}}}}}} ||


[1] 수련목은 외떡잎식물도, 쌍떡잎식물도 아니다.[2] 1851 런던 엑스포(런던 만국 박람회)의 수정궁을 설계한 인물이다.[3] 최대 지름이 무려 3m에 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