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5-03 10:26:35

부산 도시철도 부산항선


이 교통 시설 또는 노선은 개통되지 않았습니다.

이 문서에는 현재 설계, 계획이나 공사 등의 이유로 개통되지 않은 교통 시설 또는 노선에 대한 정보가 서술되어 있습니다.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의 경전철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AGT 철제 차륜
부산김해경전철 인천 2호선 우이신설선
김포 골드라인 동북선 대구 4호선
{{{#!wiki style="margin: -16px -11px"
대구 5호선 면목선 }}}
고무 차륜
부산 4호선 의정부 경전철 신림선
부산 5호선 광주 2호선 양산 도시철도
<colbgcolor=#6f606e,#9f909e> 모노레일
대구 3호선
LIM
용인 에버라인
노면전차
(트램)
대전 2호선 위례선 수원 1호선
주안송도선 송도트램 영종트램
부평연안부두선 제물포연안부두선 인천 3호선
부산항선 울산 1호선 울산 2호선
울산 3호선 울산 4호선 동탄 도시철도
성남 1호선 성남 2호선 창원 1호선
창원 2호선 창원 3호선 김해 1호선
김해 2호선 김해 3호선
국토교통부의 차종 형식승인을 기준으로 함 (2017년 9월 5일 발표)
경기도 트램추진 발표 참고(2016년 11월 30일 발표)
취소선: 미개통 노선
}}}}}}}}}

동남권 광역전철 노선
1호선 2호선 3호선 4호선
부산김해경전철 동해선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미개통 노선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건설 중
건설 확정
1
5호선
추진 중
2
부산항선[2순위]
송도선 노포-정관선
부산-양산-울산 광역철도 동남권순환 광역철도
1 기본 계획 승인: 민간투자사업심의위원회 통과 또는 예비타당성조사 통과, 법적 착공 포함
2 기본 계획 미승인 및 예비타당성조사 평가 중 혹은 ‘타당성 없음’ 판정
회색: 노선 색상 미확정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18181d><tablebgcolor=#fff,#18181d> 부산 도시철도 부산항선

}}} ||
노선도
노선 정보
노선 분류 도시철도
차량 분류 경전철(노면전차)
기점 경성대·부경대역
종점 태종대역
역 수 41개
구성 노선 부산 도시철도 부산항선
개업 예정일
미정
상징색 미정[1]
소유자 부산광역시
운영기관 부산교통공사
사용차량 수소트램
차량기지 미정
노선 제원
노선연장 24.21km
궤간 미정
선로구성 미정
사용전류 미정
신호방식 미정
설계속도 미정
운행속도 미정
지상 구간 전 구간
통행 방향 미정
개통 연혁 없음
착공예정 미정
개통목표 미정
1. 개요2. 상세3. 연혁4. 역 목록5. 여담

1. 개요

부산광역시가 추진 중인 무가선 수소 트램 노선 계획이다.

2. 상세

[ 노선도 펼치기 · 접기 ]
파일:부산항만선.jpg
파일:부산항선_예상노선도.png

2025년 3월 21일, 부산광역시가 발표한 무가선 수소 트램 노선 계획으로, 기존에 계획되었던 C-BAY-Park선, 영도선, 우암감만선[2], 오륙도선[3]을 모두 통합한 개념의 노선이다. 총 연장 24.21km리고, 역 수는 41개이다.
4개의 노선을 이어받은 대로 부산 남구동구를 거쳐 영도로 들어가는 선형의 노선이다.

1호선과 2번, 2호선과 2번 환승할 수 있다.

과거 계획되었던 북항트램과 경로가 대부분 일치한다.

3. 연혁

4. 역 목록

파일:부산항만선.jpg
노선 계획도

[ 역 목록 펼치기 · 접기 ]
* 역 이름과 역 번호는 현재 확정되지 않았으며, 역 번호의 경우 구분을 위해 임의로 부여하였다.[4] 따라서 언제든지 변동될 수 있다.
역번 역명 승강장 환승노선 비고
형태 횡단
101 0.0 경성대·부경대 慶星大·釜慶大 미정 파일:Busan2.svg2호선 [오]
102 ? 미정 [오]
103 ? 미정 [오]
104 ? 미정
105 ? 미정
106 ? 미정
107 ? 미정
108 ? 미정
109 ? 미정
110 ? 미정
111 ? 미정
112 ? 미정
113 ? 미정
114 ? 미정
115 ? 미정
116 ? 문현 門峴 미정 파일:Busan2.svg2호선
117 ? 미정
118 ? 범일 凡一 미정 파일:Busan1.svg1호선
119 ? 미정
120 ? 미정
121 ? 미정
122 ? 미정 [C]
123 ? 미정 [C]
124 ? 미정 [C]
125 ? 미정 [C]
126 ? 미정 [C]
127 ? 미정 [C]
128 ? 미정 [C]
129 ? 중앙 中央 미정 파일:Busan1.svg1호선 [C][영]
130 ? 미정 [영]
131 ? 미정 [영]
132 ? 미정 [영]
133 ? 미정 [영]
134 ? 미정 [영]
135 ? 미정 [영]
136 ? 미정 [영]
137 ? 미정 [영]
138 ? 미정 [영]
139 ? 미정 [영]
140 ? 미정 [영]
141 24.21 태종대 미정 [영]

5. 여담


[1] 이 색은 이 문서에서 임시로 쓰고 있는 색상이다. 아직까지 확정된 바는 없다.[2] 기존의 우암감만선과 경로가 별로 맞지 않다.[3] 오륙도선 계획의 실증 구간의 일부(경성대부경대역~대연천)만이 부산항선으로 계승되었고, 노선의 원래 목적인 오륙도로 향할 용호동 구간은 백지화 되었다.[4] 물론 1호선과 중복 때문에 써넣은 대로 역 번호가 101, 102, 103이 되진 않는다.[오] 오륙도선에서 넘어온 구간이다.[오] [오] [C] C-BAY-Park선에서 넘어온 구간이다.[C] [C] [C] [C] [C] [C] [C] [영] 영도선에서 넘어온 구간이다.[영] [영] [영] [영] [영] [영] [영] [영] [영] [영] [영] [영] [29]부산외국어대학교 우암캠퍼스 앞도 지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