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29 22:08:31

디아볼로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악마라는 뜻의 스페인어}}}에 대한 내용은 [[디아블로]]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디아블로#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디아블로#|]]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기타 의미}}}에 대한 내용은 [[디아볼로(동음이의어)]]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디아볼로(동음이의어)#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디아볼로(동음이의어)#|]]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악마라는 뜻의 스페인어: }}}[[디아블로]]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디아블로#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디아블로#|]]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기타 의미: }}}[[디아볼로(동음이의어)]]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디아볼로(동음이의어)#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디아볼로(동음이의어)#|]]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e9b435> 파일:제5부 황금의 바람 로고.png 황금의 바람
등장인물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죠르노 일행
파시오네 호위팀
<rowcolor=#525151,#000000>
호위 대상 및 조력자
<rowcolor=#525151,#000000>
파시오네
말단 조직원
<rowcolor=#525151,#000000>
파시오네 암살팀
<rowcolor=#525151,#000000>
보스 친위대
<rowcolor=#525151,#000000>
수뇌부
<rowcolor=#525151,#000000>
기타
<rowcolor=#525151,#000000>
}}}}}}}}} ||

파시오네 보스 보스 친위대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팀원 명단
[[스쿠알로(죠죠의 기묘한 모험)|
파일:bg_22.png
]]
[[티치아노(죠죠의 기묘한 모험)|
파일:bg_23.png
]]
[[카르네|
파일:카르네 프로필.png
]]
[[초콜라타|
파일:bg_26.png
]]
[[세코(죠죠의 기묘한 모험)|
파일:bg_27.png
]]
스쿠알로 티치아노 카르네 초콜라타 세코
클래시 토킹 헤드 B.I.G. 그린 디 오아시스
보스 참모
[[디아볼로|
파일:boss_first_anime.png
]]
[[비네거 도피오|
파일:bg_25.png
]]
디아볼로 비네거 도피오
크림슨
}}}}}}}}} ||
파일:Boss_flashback_in_suit.png
{{{#white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기타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nopad> 파일:boss_first_anime.png
<colbgcolor=#303030,#000000> 애니메이션
}}}}}}}}}}}} ||
보스
ボス|The Boss
CV 코니시 카츠유키[1][2](小西 克幸)
Part 5 TVA》·《라스트 서바이버》·《올 스타 배틀 R
사이토 소마[어린시절] (斉藤 壮馬)
Part 5 TVA
모리카와 토시유키[4] (森川智之)
All Star Battle》·《Eyes of Heaven
미야모토 미츠루[5](宮本 充)
황금의 선풍
해외판 성우 켈렌 고프[6] (Kellen Goff)
Part 5 TVA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상세 프로필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프로필
통칭 보스
종족 인간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이탈리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이탈리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장 191cm
}}}}}}}}} ||
1. 개요2. 설명3. 정체4. 작중 행적5. 평가
5.1. 무능한 조직관리?
5.1.1. 원작의 의도5.1.2. 연출의 실패
6. 전투력7. 어록8. 인간 관계9. 여담10. 미디어 믹스11. 둘러보기

1. 개요

파일:그림자 디아볼로.png
약물을 이용하여 조직을 확장하는 갱의 보스.
藥物を利用し組織を擴大するギャングのボス

JOJO magazine
죠죠의 기묘한 모험 5부 황금의 바람메인 빌런이자 최종 보스.

테마곡은 Un'altra persona[7]Capo. 이탈리아어로 다른 사람, 후자는 우두머리라는 뜻.[8] 그리고 la Battaglia FinaleDiavolo. 뜻은 마지막 전투와 본인 이름인 악마.

2. 설명

이탈리아의 암흑가를 지배하고 있으나 그 누구에게도 모습을 드러내지 않으며, 자신의 정체를 알 수 있는 그 어떤 정보나 흔적을 남기지 않고 있다. 사실 본명조차 작중 전반 내내 공개되지 않으며, 전반부~중반부 내내 ‘보스’로만 불리다가 후반부에 돌입해서야 언급된다. 그래서인지 팬덤도 보통 '보스'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다.

초반부부터 죠르노 죠바나브루노 부차라티가 마약을 척결하고 마을을 평화롭게 만들기 위해 쓰러뜨려야 할 목표로 언급되었다.

3. 정체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파일:JoJoAnniversary_logo2.png
죠죠의 기묘한 모험
역대 최종 보스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word-break:keep-all"
팬텀 블러드 전투조류 스타더스트 크루세이더즈
[[디오 브란도|{{{#!if 시즌=='1' 시즌=='3'
파일:JOJO1-Dio Brando.png}}}
#!if 시즌!='1' && 시즌!= '3'
[[파일:JOJO1-Villain.png|width=100%]]
]]
[[카즈(죠죠의 기묘한 모험)|
#!if 시즌=='2'
[[파일:JOJO2-Kars.png|width=100%]]
#!if 시즌!='2'
[[파일:JOJO2-Villain.png|width=100%]]
]]
[[DIO|
#!if 시즌=='3'
[[파일:JOJO3-DIO.png|width=100%]]
#!if 시즌!='3'
[[파일:JOJO3-Villain.png|width=100%]]
]]
[[디오 브란도|{{{#d7b45c {{{#!if 시즌=='1' 시즌=='3'
디오 브란도}}}
#!if 시즌!='1' && 시즌!= '3'
'''???'''
}}}]]
[[카즈(죠죠의 기묘한 모험)|{{{#!if 시즌=='2']] [[DIO|'''{{{#!if 시즌=='3']]
[[돌가면의 흡혈귀|'''{{{#!if 시즌=='1' 시즌=='3'
돌가면의 흡혈귀}}}
#!if 시즌!='1' && 시즌!= '3'
{{{-2 {{{#eaeff2 ???}}}}}}
''']]
[[완전생물|'''
#!if 시즌=='2'
{{{#a73b89 완전생물}}}
#!if 시즌!='2'
{{{-2 {{{#eaeff2 ???}}}}}}
''']]
[[돌가면의 흡혈귀|'''
#!if 시즌=='3'
{{{#b41300 돌가면의 흡혈귀}}}
#!if 시즌!='3'
{{{-2 {{{#eaeff2 ?}}}}}}
]][[더 월드(죠죠의 기묘한 모험)|
#!if 시즌=='3'
[br]{{{#d4c600 더 월드}}}
#!if 시즌!='3'
{{{-2 {{{#eaeff2 ??}}}}}}
''']]
다이아몬드는 부서지지 않는다 황금의 바람 스톤 오션
[[키라 요시카게|
#!if 시즌=='4'
[[파일:JOJO4-Kira Yoshikage.png|width=100%]]
#!if 시즌!='4'
[[파일:JOJO4-Villain.png|width=100%]]
]]
[[디아볼로|
#!if 시즌=='5'
[[파일:JOJO5-Diavolo.png|width=100%]]
#!if 시즌!='5'
[[파일:JOJO5-Villain.png|width=100%]]
]]
[[엔리코 푸치|
#!if 시즌=='6'
[[파일:JOJO6-Father Enrico Pucci.png|width=100%]]
#!if 시즌!='6'
[[파일:JOJO6-Villain.png|width=100%]]
]]
[[키라 요시카게|'''{{{#!if 시즌=='4']] [[디아볼로|'''{{{#!if 시즌=='5']] [[엔리코 푸치|'''{{{#!if 시즌=='6']]
[[킬러 퀸(죠죠의 기묘한 모험)|'''
#!if 시즌=='4'
{{{#pink 킬러 퀸}}}
#!if 시즌!='4'
{{{-2 {{{#eaeff2 ???}}}}}}
''']]
[[킹 크림슨(죠죠의 기묘한 모험)|'''
#!if 시즌=='5'
{{{#c91a50 킹 크림슨}}}
#!if 시즌!='5'
{{{-2 {{{#eaeff2 ???}}}}}}
''']]
[[메이드 인 헤븐(죠죠의 기묘한 모험)|'''
#!if 시즌=='6'
{{{#fff 메이드 인 헤븐}}}
#!if 시즌!='6'
{{{-2 {{{#eaeff2 ???}}}}}}
''']]
스틸 볼 런 죠죠리온 더 죠죠랜즈
[[퍼니 밸런타인|
#!if 시즌=='7'
[[파일:JOJO7-Funny Valentine.png|width=100%]]
#!if 시즌!='7'
[[파일:JOJO7-Villain.png|width=100%]]
]]
[[토오루(죠죠의 기묘한 모험)|
#!if 시즌=='8'
[[파일:JOJO8-Tooru.png|width=100%]]
#!if 시즌!='8'
[[파일:JOJO8-Villain.png|width=100%]]
]]
[[더 죠죠랜즈|
#!if 시즌=='9'
[[파일:빈 세로 이미지.svg|width=100%]]
#!if 시즌!='9'
[[파일:JOJO9-Villain_NO.png|width=100%]]
]]
[[퍼니 밸런타인|'''{{{#!if 시즌=='7']] [[토오루(죠죠의 기묘한 모험)|'''{{{#!if 시즌=='8']] [[더 죠죠랜즈|'''{{{#!if 시즌=='9']]
[[Dirty Deeds Done Dirt Cheap(죠죠의 기묘한 모험)|'''
#!if 시즌=='7'
{{{#8ab8ca D4C}}}
#!if 시즌!='7'
{{{-2 {{{#eaeff2 ?}}}}}}
]][[D4C-러브 트레인-|
#!if 시즌=='7'
[br]{{{#fcf5ac -러브 트레인-}}}
#!if 시즌!='7'
{{{-2 {{{#eaeff2 ??}}}}}}
''']]
[[바위 인간|'''
#!if 시즌=='8'
{{{#999 바위 인간}}}
#!if 시즌!='8'
{{{-2 {{{#eaeff2 ?}}}}}}
]][[원더 오브 U|
#!if 시즌=='8'
[br]{{{#ac322f 원더 오브 U}}}
#!if 시즌!='8'
{{{-2 {{{#eaeff2 ??}}}}}}
''']]
[[스탠드(죠죠의 기묘한 모험)|'''
#!if 시즌=='9'
{{{-2 {{{#eaeff2 ???}}}}}}
#!if 시즌!='9'
{{{-2 {{{#eaeff2 ???}}}}}}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padding:5px 0"<table align=center><table width=330px><tablebordercolor=#e9b435>
파일:제5부 황금의 바람 로고.png
황금의 바람
등장인물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2em; max-width:100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죠르노 일행
파시오네 호위팀
<rowcolor=#525151,#000000>
호위 대상 및 조력자
<rowcolor=#525151,#000000>
파시오네
말단 조직원
<rowcolor=#525151,#000000>
파시오네 암살팀
<rowcolor=#525151,#000000>
보스 친위대
<rowcolor=#525151,#000000>
수뇌부
<rowcolor=#525151,#000000>
기타
<rowcolor=#525151,#000000>
}}}}}}||
파일:도피오의 정체 원작.jpg
{{{#white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기타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nopad> 파일:도피오의 정체 TVA.png
<colbgcolor=#303030,#000000> 애니메이션
}}}}}}}}}}}} ||
비네거 도피오
ヴィネガー・ドッピオ|Vinegar Doppio
테마곡 contrattacco TVA 전용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상세 프로필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프로필
이름 비네거 도피오
가명 솔리도 나조
다른 인격 보스
출생 1967년 여름 (원작)
1965년 여름 (TVA)
종족 인간
스탠드 킹 크림슨
+
에피타프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이탈리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이탈리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
파일:도피오, 디아볼로 애니.jpg 파일:디아볼로 쯔라(미중년).png
보스의 인격으로 변화하는 모습 진정한 인격의 얼굴
파일:도피오와 디아볼로.png
"빛과 그림자'...! '겉과 속'...! '이중인격'. 이 비밀이 있는 한... 사람들의 죽음은 점점 더 당신을 행복하게 해주고... 그 영화는 쇠하지 않을 거야..."[9]
도피오의 손금을 본 점쟁이의 평가.
"그래, 분명 옛날 자료에 의하면 의학적으로 16세기 독일에서는 이미 진단, 확인된 적이 있다고 하지... 이 세상에는 복수의 인격을 지닌 인간이 있어서... 정신뿐만이 아니라 육체, 근력도 완전히 다른 사람이 되고 말조차 다른 언어를 쓰는 경우가 있다고 해... 난 네가 보스에게 가장 신뢰받는 측근이라고만 생각했었다! 하지만 네가...! 설마 네가!"
도피오를 끝장내려던 중 정체를 눈치챈 리조토 네로

디아볼로의 정체는 바로 최측근인 비네거 도피오또 다른 인격이다.

자세한 내용은 비네거 도피오 참고.

4. 작중 행적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디아볼로/작중 행적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디아볼로/작중 행적#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디아볼로/작중 행적#|]]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평가

사람이 맞나 싶은 기묘한 과거에 정체를 숨기는 동안 보여준 비밀스런 모습과 이중인격, 죠죠에서 손에 꼽을 정도로 기묘하고도 잔혹한 행적, 형용할 수 없는 능력 등으로 작중 내에서 비중을 많이 받은 최종 보스다.

애매한 연출과 사기적인 레퀴엠의 존재로 과소 평가를 받아 그렇지, 실제로는 기량도 숙적인 폴나레프보다 부족하지 않다. 독자 입장에서 킹 크림슨이 다루기 쉬워보이지 실제로는 꽤 까다로운데 전투 로그를 분석하면 시간 삭제를 할 타이밍을 잡고 삭제 동안에는 현실과 간섭이 불가능해 시간 삭제가 끝나고 나서 어떤 행동을 할지까지 판단해야 한다. 이는 에피타프도 마찬가지로 결국 미래만 단편적으로 보여주기에 이를 어떻게 해석해서 유리하게 끌고 갈지는 본체에게 달렸고 이러한 점들을 고려하면 스탠드를 다루는 것 자체는 기량이 좋은 편에 속함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최종전에서 작가의 미흡한 연출, 미회수 떡밥만 가득한 설정, 초기의 위엄있는 모습과 정 반대인 변태적인 옷차림, 그리고 별의별 종류의 수많은 죽음을 반복한다는 기괴한 결말 때문에, 죠죠 팬들에겐 네타 캐릭터로 인식되고 있다. 결과만 중시했던 자신의 신념처럼, 결과적으로 사망전대 밈만 크게 남아버린 비운의 캐릭터.

5.1. 무능한 조직관리?

우선, 디아볼로가 보인 부족한 리더십은 원작에서는 의도한 것이 아니다. 애니판에서 암살팀의 처지를 원작보다 과장되게 묘사했고, 작가가 의도하지 않은 연출로 생긴 일종의 밈으로 보는 것이 더 정확하다.

5.1.1. 원작의 의도

죠르노 죠바나: '보스의 딸을 감추고 있는 것은 부차라티다'라는 사실을 적이 눈치 챈 지금, 현명한 보스라면 분명 뭔가 달아날 방법을 지시해줄 겁니다. 보스에게서 연락이 올 때까지 여기서 움직여서는 안 된다고 생각합니다.
- 포르마조戰 호위 작전이 노출된 직후 죠르노의 대사. 그리고 이 대사를 하자마자 보스의 긴급 지령이 내려온다.

원작에서 의도한 디아볼로라는 보스는 제 힘만 믿고 운영관리 능력은 제로인 머저리가 아니라 오히려 그 반대인 현명한 리더의 상이다. 암살 팀의 배신의 경우, 나레이션은 포르마조의 회상과 리조토의 설명란에서 직접 암살자는 언제 조직의 뒤꿈치를 물지 모르는 싹수가 노란 놈들로, 보스는 이를 미리 예상했고 그것은 적중했다고 마치 보스 측을 변호하듯이 설명했다. 게다가 트리시를 호위하기 이전에도 도나텔라가 죽자 조직 내 배반자가 이를 노릴 것이라는 걸 알아채 즉각적으로 자신의 딸을 숨기라고 명령했고, "보스의 지령이 30분만 늦었어도 트리시는 납치당했다"라고 하며 보스의 신속한 결단을 칭송했다. 이외에도 '신에 필적하는 보스의 행적', '현명한 보스'같이 띄워주는 대사에서 볼 수 있듯, 작중 디아볼로는 현명하지만 잔인한 폭정을 휘두르는 리더로 묘사된다.

결정적으로 비록 철저한 공포 정치였으나 파시오네라는 갱단을 유럽을 지배하는 거대 조직으로 승화시키고 그 체계 속에서 십 년 넘게 독재 권력을 휘두르며 군림한 것부터가 디아볼로의 조직 관리 능력이 뛰어나다는 증거다. 조직 관리가 엉망이었다면 그 자리를 지키고 거대한 조직을 유지하기 전에 그만큼 성장시킬 수도 없다.

특히 디아볼로 악덕사장 설에서 큰 지분을 차지하는 암살팀 거지 밈의 경우 애니메이션에서의 각색이 상당히 심하게 들어간 결과물이다. 원작에서는 딱히 애니처럼 보수를 악덕 사장 급으로 적게 줬다는 언급이 없었으며 암살팀의 반역은 보수 문제보다는 숙청당한 소르베 & 젤라토의 복수 측면이 컸고 마약 루트는 부수적인 목표에 가까웠다. 또한 보스의 뒤를 캤던 건 다른 멤버와는 관계 없는 소르베와 젤라토의 독단이었고, 보스가 내린 벌이 지나치게 가혹했기에 반감을 가진 것이지 이전까지 암살팀 전체가 보스에게 반감이 있었는지에 대해서는 딱히 나오지 않았다. 게다가 부차라티가 간부로 승급할 때 페리콜로의 대사에서 간부로서 벌어들이는 수익도 절반은 조직, 절반은 간부의 몫으로 한다고 언급하는 것으로 보면 조직을 위해 일한 자에게 철저한 수익 보장도 해 준다는 걸 알 수 있다. 밑바닥 부차라티 팀이 식당에 눌러앉아서 온갖 호의호식을 누리는 마당에, 십 년 가까이 보스로부터 직접 온갖 임무를 전담했던 암살팀이 애니처럼 거지같이 산다는 설정은 각색이 심하다고 볼 수밖에는 없다.

다만 원작에서도 보수에 불만이 있다는 점은 포르마조를 통해 "암살 보수로 보스로부터 받는 돈이 전부"라는 식으로 간접적으로 언급된다. 이 돈이 충분히 많은 금액이라면 굳이 이런 장면을 그릴 필요가 없다. 부차라티가 간부가 됐을 때 상인들로부터 얻는 수익의 분배가 언급되며,[10] 마약팀은 직접 언급은 안되지만, 그 특성 상 마약 판매의 수익을 보스와 나눌 것이라고 추정이 가능하다. 즉, 다른 두 팀은 본인들 하기에 따라서 충분히 보수를 많이 받을 수 있겠지만, 암살팀은 절대적으로 보스의 의향에 좌우되기에 불만이 쌓일 수 밖에 없는 구조다.

그리고 작품의 흐름 특성 상 거의 대부분이 충성심 없는 부하들만 나와서 그렇지, 페리콜로처럼 완전한 비밀 엄수를 위해 자살까지 마다하지 않을 정도의 간부 역시 묘사된 걸 보면 이만큼의 충성심을 갖고 그 대가로 편안한 인생을 보내는 간부가 더 많이 있을 것이라 봐도 전혀 이상하지 않고 마피아 조직들이 거대해질때는 보통 타 조직을 흡수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들은 상술한 페리콜로처럼 비스탠드 유저일 확률이 높으며 그럼에도 대우를 잘 받았기에 불만없이 조직이 운영된 것이다. 예시로 호위팀이든 마약팀이든 작중에서 보여준 가계도에서 보면 고위 간부가 아니라 그냥 행동조에 가깝다.

게다가, 트리시의 존재가 밝혀지자마자 내린 '즉시 딸을 보호하고 숨겨라'라는 명령이 현명한 대처였다는 간부 페리콜로의 언급, 산 죠르조 마죠레 섬에 도착한 호위 일행들에게 내린 최후의 지령[11]을 본 판나고타 푸고가 이 정도는 되어야 조직의 보스 노릇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평가한 것을 보면 보스의 계략적인 모습도 볼 수 있다.

굳이 부차라티를 자극한 것처럼 보이는 트리시 손목 절단 퍼포먼스 또한 자신의 몸을 숨기기 위해서라기보단 지금의 자신과 가장 근접한 간부인 부차라티가 흑심을 품지 못하게 공포감을 주려고 한 것이다. 실제로 부차라티는 보스와 접촉하면서 그 정체를 떠볼 독자적인 계획을 구상하고 있었으니 긁어 부스럼은 아니었다. 공포감을 억누른 부차라티가 보스를 공격하는 부분은 보스의 예상 밖이었지만, 죠르노가 돕기 전까지 부차라티가 도리어 절망에 빠져 있었다는 것에서 조직의 완성된 공포 정치를 직감할 수 있는 부분이다.

5.1.2. 연출의 실패

何かわからんがくらえッ!
뭔지는 모르겠지만 받아라!
디아볼로가 폴나레프의 스탠드 능력의 정체를 모르면서도 일단 공격하는 장면의 대사.
이렇듯이 보스가 모습을 드러내지 않는 상태에서 보여주는 면모는 확실히 그가 괜히 전 유럽을 주름잡는 거대 마피아의 수장이 아님을 보여줬는데, 정작 본인이 직접 모습을 드러내는 파트에선 이렇게 치밀하고 음험한 모습이 아니라 다혈질에 어리버리한 모습을 너무 많이 보여준 터라 팬덤에서는 아래와 같은 추측들이 오갔다. 특히 이상 현상을 발현하는 폴나레프의 스탠드를 일단 때리고 보는 장면이 많이 언급된다.[12]

일단 위에서 말한 사항들과 신중함은 전부 극단적인 자기보신에 기반하고 있다. 그는 자신의 정체를 들키는 걸 결코 용납하지 않으며, 자신에게 위협이 될만한 것은 반드시 없애버려야 성미가 풀리는 사람이다. 조직 또한 자신이 정점에 군림하고 정체를 감추기 위한 도구에 지나지 않는다. 이러다보니 작중 묘사되는 그의 용인술이란 결국 당근과 채찍이라는 일차원적인 개념을 넘지 못하며, 개개인의 욕망을 어르고 달래거나 각양각색의 팀을 한 데 묶어준다는 일반적인 리더로서의 용인술은 존재하지 않는다. 디아볼로는 기본적으로 자기 외의 타인을 그저 도구나 적으로만 보며 부하들의 욕망을 잘 알아차릴 만큼 부하들을 비롯한 타인들에게 관심이 있지도 않다. 그 자체가 자기 정체를 숨기며 자기보신에 급급한 군상인지라 타인에게 신뢰관계라는 것 자체를 제대로 구축하지 않는 인물이기에 그럴 수밖에 없다.

그 이전까지는 확실히 공포 정치가 성공적이었을 것이다. 당장에 암살팀만 해도 보스가 동료들을 죽여놓은 것을 보고 분노했지만, 동시에 자신들의 힘으로는 보스를 이길 수 없음을 통감하고 따르는 척을 했다. 그러나 보스의 공포 정치가 통할 수 있었던 것은 그 비밀 주의와 그가 가진 킹 크림슨의 힘이 있기에 가능했던 거지, 보스 자체는 리더로서의 역량이 0점이었고, 결국 작중 시점에서 보스의 약점인 트리쉬의 등장으로 인해 공포로 통제가 되지 않는 지점까지 다다라 여기저기서 화약고가 폭발하는 모습을 보면 결과적으로 그의 통솔은 실패로 돌아간 것이나 다름없다.

애니메이션에서의 암살팀의 각색 역시 생각해보면, 다른 팀들이 지속적으로 벌어들이는 통칭 '자릿세'를 암살팀은 팀 특성 상 못 받는다는 사각지대에 보스는 전혀 무관심했으며 오히려 이에 불만을 품은 소르베 & 젤라토의 처형과 팀에게 연좌까지 때려버리는 강압적인 통치 탓에 배반한 것이 주된 요인이고,[13] 애니메이션은 거기에 더하여 '그나마 벌어들이는 수입조차 적다'라는 각색만 얹은 것뿐이다. 보스로서의 대처로 충분히 미연에 방지할 수 있었던 배신의 싹을 뽑아내기는커녕 더 자라라고 열정 페이하며 부채질까지 해 주는 모습은 아무리 봐도 현명한 리더의 상이라고 보기 어렵다. 애초에 애니메이션 제작진은 원작을 정독한 사람으로만 뽑았고 그렇기에 죠죠라는 작품에 대한 이해가 높았다는 긍정적인 평을 받았으며 그렇기에 블랙 기업 설이 설정 오류가 아니라 설정을 어느정도 차용한 밈으로써 안착된 것이기도 하다. 만약 이런 각색이 시청자들에게 부정적인 평을 받았다면 밈조차 되지 못하고 비판받았을 것이다. 즉 팬덤에서도 충분히 설득력 있는 각색으로 받아들였다는 것.[14]

애니메이션에서 암살팀이 각색이 있다고 하더라도, 부차라티에게 대하는 태도만 봐도 조직 관리가 형편없음이 훤히 보인다. 그렇게 고생하면서 딸을 데려온 부차라티에게 수고했다는 한마디도 안하고 킹 크림슨의 능력으로 딸만 채갔다. 게다가 일부러 트리시의 잘린 팔을 놔두고 가서 부차라티에게 음습한 경고를 날린데다가, 그는 부차라티에게 미리 자기가 딸을 죽일 생각이라는 언질을 한마디도 안했기에 부차라티는 그야말로 속은 셈이다. 이건 결국 부차라티를 존중하지 않는다는 이야기가 되고, 부차라티가 아닌 다른 조직원이라고 해도 이런 무례한 태도에는 자존심이 상할 수밖에 없다.

그렇기에 작중에 등장한 조직원들중 충성을 바치는 부하들이 별로 없다. 보스에게 무한한 충성을 바치는 도피오는 또 다른 자신이라서 평가하는 의미가 없고, 보스 친위대를 보면 카르네는 나오자마자 죽어 버려서 세뇌된 것인지 진심으로 충성하는 것인지 알 수 없고, 심지어 보스를 지켜야할 친위대인 초콜라타세코는 이참에 조직을 갈아 엎자고 작당모의를 했다.[15] 스쿠알로티치아노가 그래도 보스의 명령을 따르는 편이었다. 진심으로 충성하는 부하는 아이러니하게도 보스에게 총애를 받고 위치도 가깝지만, 일반인이라서 여차하면 제거하기 편한 페리콜로뿐이었다. 보스의 총애를 받아 직접 화살을 하사받을 정도의 폴포조차 보스 몰래 조금씩 떼먹은 비자금의 합이 무려 100억 리라[16]에 달했고, 이후 자살을 가장한 타살을 당했을 때도 살레가 '내심 앓았거나 급작스런 맘이 생길 만하다'라며 폴포에게는 자살할 당위성이 충분히 있다고 독백하는 걸 보면 그 역시도 그랬을 가능성이 높고 그게 아니더라도 핵심 간부 한 명이 죽었는데도 그 사인으로 자살부터 염두에 둘 정도[17]로 조직 내 보스에 대한 이미지가 철저히 공포 정치에 기반한 폭군임을 각인시켜주기도 했다.

반대로 자신을 위협하는 적들은 다른 갱단이나 공권력도 아닌 자기 부하들이다.[18] 푸대접을 일삼아 배신당한 암살팀은 말할 것도 없고, 호위팀이 배신한 경우를 보면 호위팀의 리더인 부차라티의 마음을 배신해서 호위팀 5명을 적으로 만들었다. 부차라티가 트리시를 인계할 때, 그냥 탑 위까지 트리시를 데려오게 만들고 부차라티를 돌려보낸 뒤 트리시는 나중에 조용하고 깔끔하게 처리했으면 부차라티는 군말 없이 돌아갔을 것이고 그 후 그저 마약 척결을 목표로 할 뿐 당장은 조직원으로 남아있었을 것인데,[19] 갑자기 올라오는 엘리베이터에 난입해서 일을 틀어버렸다. 하다 못해 손목이라도 안 자르고 그냥 데려갔으면 진의라도 눈치채이지 않았을 텐데 깔끔하게 손목까지 절단해가며 즉석에서 배신을 때리게 만들었다.[20] 게다가 이로 인해 생긴 불필요한 전투로 인해 자신의 스탠드 능력까지 모조리 호위팀에 노출하는 실책까지 저지른다.[21]

또한 팀마다 비슷하다고 가정하에 호위팀 멤버 기준으로 조직의 일원을 세보면 이게 이탈리아 전역을 지배하고 있는 조직인가라는 의문이 들수 있는데 결국 뒷 일을 고려하지 않고 적 마피아를 마구잡이로 죽이고 다녔음을 알 수 있다.[22]

무엇보다 주인공 측의 리더인 브루노 부차라티가 오히려 디아볼로는 보여주지 못한 이상적인 리더로서의 모습을 보여주었기에 더 까이는 면도 있다. 4인 4색, 5인 5색의 팀을 조율하면서도 명령을 내려야 할 때는 확실히, 자율적인 상황에서는 자율을 보장해주는데다가 전투 중에도 위험을 무릅쓰거나 냉철하게 팀원을 지휘하는 모습을 계속 보여주었기에 디아볼로가 더욱 비교될 수밖에 없다. TVA에서는 애니메이션 오리지널로 그 5인 5색 멤버들을 묶어주는 모습까지 보강했고, 더 나아가 암살팀 쪽 리더인 리조토 네로도 냉철한 리더의 모습을 보여주는 장면을 많이 넣어 디아볼로만 더욱 초라해지고 말았다.

애니메이션 오리지널이지만[23] 돈이 풍족한 조직의 리더이면서 보수만 좋았다면 가만히 있었을 암살팀을 상대로 열정 페이를 하고, 이것을 빌미로 자기 정체를 알아내서 암살하려 한 팀원 2명을 도를 넘은 수준으로 끔찍하게 죽여서 암살팀 전원을 위험한 적으로 만들었고 이로 인해서 커뮤니티 등지에서 블랙기업 사장 이미지가 됐다. 마약팀과 도박팀 등의 존재로 파시오네가 어마무시한 재력과 권력을 가지고 있단 점을 생각하면, 암살팀을 최저시급 미만의 일당으로 부려먹으며 버림패로 써먹다 결국 배신을 당하는 모습은 마피아 보스치고는 너무 허술하다.

만화적 과장, 죠죠 특유의 극대화된 연출을 감안하더라도 결국 그의 통치력이라는 게 '무적의 스탠드를 가지고 있으니 부하들도 나에게 대들지 못할 것이다' 밖에 없다. 리더십과 경영 능력이 별로고, 거대 조직을 유지하는 보스가 해선 안되는 짓만 골라서 하고 있으며, 본인의 힘까지 강력하니 마치 '배신 해볼 테면 해봐라'와 같은 도발로밖에 느껴지지 않는다. 아무리 폴포의 화살로 스탠드 유저를 찍어낼 수 있고 본인의 능력도 강력해서 자신의 힘만으로 뭐든 해결할 수 있지만, 그 힘을 제대로 보여주지 않으니 애매한 캐릭터가 됐다.

때문에 본성은 추하고 찌질한 악인이지만 부하들 관리는 좀 더 나았던 DIO와 비교된다. DIO의 경우 엔야 할멈이나 은두르, 바닐라 아이스처럼 그를 위해 목숨을 내던질 정도의 충성심을 가진 광신도들이 있었으며[24] 카쿄인, 폴나레프, 오쿠야스의 아버지처럼 배신의 가능성이 있거나 반대로 오른팔이라서 정보가 노출될 위험이 있는 엔야 할멈에게는[25] 육신의 싹을 심어두었지만, 어디까지나 심겨진 부하들은 일부일 뿐이며, 단기 고용한 부하에게도 보수를 풍족하게 주었다. 당장 죠타로 일행들을 습격한 스탠드사들이 수시로 DIO가 내건 억단위의 현상금을 언급했으며 사전에 선금도 쥐어줬다는 언급이 나온다. 4부에서도 육신의 싹이 심어진 오쿠야스의 아버지도 스탠드를 가지고 있었기에 DIO에게 선택받았었는데, 그의 어린 아들일도 잘 안 하는 양반(아버지)이 어디서 귀금품이나 돈을 계속 얻어내고 있었다고 기억할 정도로 보수를 풍족하게 받았다.

더군다나 DIO의 조직엔 배신자도 홀 호스 밖에 없다. 심지어 이것도 홀 호스가 실패했다는 보고에도 너무나도 평온해보이는 DIO의 태도에 겁먹고 '이런 범상치 않은 녀석이 나를 진심으로 죽이려고 하면 답이 없으니 그냥 지금 쏴죽이고 튀자'라는 생각이었으며, 잠깐이지만 배신할 생각으로 방아쇠를 당기기 직전까지 갔는데도 오히려 '방아쇠를 당길 때 망설임이 없었고 침착함을 끝까지 유지한다'면서 마음에 든다고 높게 평가하고는 아무런 처벌도 가하지 않고 홀 호스가 재기불능이 되기 전까지 계약 관계를 유지했다. 홀 호스도 이런 DIO의 태연자약한 태도와 정체를 알 수 없는 '너무나 압도적인 스탠드'에 압도되면서 이후로 패배할 때까지 DIO에게 반기를 들지 않았다. 디오는 흡혈귀가 가진 공포, 매력을 통한 카리스마로 부하들을 지배하는 타입인지라 인간인 디아볼로와 동일선상에 놓을수는 없는 의견도 있으나 1부 시절에 흡혈귀가 되기 전 어린시절 동네 애들을 선동하여 죠나단을 고립시킨것만 봐도 흡혈귀라는 종족과는 별개로 리더십은 훌륭함을 알 수 있다.[26]

6. 전투력

<nopad> 파일:보스vs폴나레프1.gif
폴나레프를 제압하는 디아볼로
파시오네의 보스에 걸맞는 절대 강자로써 스탠드 킹 크림슨은 최상위권의 대인 전투력을 가지고 있다. 작중 내내 킹 크림슨과의 전력 차로 인해 싸움이 성립되는 상대가 단 한 명도 없었다.[27] 시간 삭제를 통한 암살 능력은 리조토 네로메탈리카 이상인데다[28] 스탯까지 더 월드스타 플래티나와 맞먹는지라 이미 특수능력을 쓰지 않고도 기본 전투력부터 5부는 물론이고 죠죠에 등장하는 모든 스탠드들 중 손꼽히는 수준.[29] 이러한 흉악한 스펙을 갖고도 에피타프로 미래를 예지하여 변수를 차단하고 시간삭제로 사각지대에서 공격해오니 가히 사기가 아닐 수가 없다. 괜히 주인공 일행이 보스의 능력을 알자 정면승부를 포기하고 화살에 모든 것을 건 게 아니다.[30][31]

3부 최종전에서 더 월드를 가진 DIO쿠죠 죠타로를 제외한 나머지 주인공 일행을 시간정지 한 두번으로 간단히 쓰러뜨린 적이 있는데,[32] 직접 DIO와 마주한 장 피에르 폴나레프는 디아볼로를 두려워하며 DIO의 시간 정지에 당한 전적이 있음에도 불구하고[33] 킹 크림슨의 능력을 고평가했으며[34], 시간 삭제에 적수도 되지 못하고 패배했다. 이 시점은 명백히 3부가 끝난 이후 시점으로 더 경험을 쌓고 성장했을 상황인데도 패배한 거다. 골익레라는 절망적인 대진운으로 인해 입지가 바랜 것뿐, 압도적으로 강한 능력임에는 변함이 없다.

죠죠의 스토리 전개를 보면 최종보스가 마지막에 파워 업, 혹은 원하던 바를 달성함으로써 이야기를 클라이맥스로 이끄는 반면 디아볼로도 상황은 비슷하긴 했지만 결과적으로 본인이 파워 업을 하진 못했다. 사실 외부로부터의 자극이나 각성을 통한 '파워 업'을 거치지 않았음에도 기이할 정도로 강력한 능력을 가진 인물이다. 킹 크림슨은 이미 파워업이 필요없을 정도로 완성된 스탠드라는 것이다. 오히려 처음부터 너무 강력한 능력이었기 때문에 주인공이 그정도로 사기적인 각성을 해야만 이길 수 있었다는 소리가 된다.

다만 이 킹 크림슨이 무적이라고 불리며 도피오를 앞세워 정체를 철저히 감춘 채로 파시오네에서 군림한 상황이 역으로 디아볼로의 조직 관리 능력을 배신자가 양성될 만큼 개판으로 만들었다고 볼 수도 있다. 킹 크림슨이 마음만 먹으면 누구든 암살할 수 있고 자신에게 대항하려는 적들을 순식간에 죽이는 것도 가능했기 때문에 오히려 상당히 방심했다고 할 수 있는데 이는 마찬가지로 무적이라 평가 받는 스타 플래티나의 소유주인 쿠죠 죠타로와 엄청난 차이가 난다. 죠타로는 3부시절부터 6부에 이르기까지 유일한 약점이라고 할 수 있는 혈통 및 동료들을 위해서 목숨을 바쳤고 푸치와의 최종 결전까지는 그 냉철한 판단력과 이성적인 사고로 인해서 스타 플래티나가 아닌 다른 스탠드여도 강할 것이라고 평가받았고 4부 시절에서도 전성기 3부의 5초가 아닌 1,2초 시간 정지인데도 헤쳐나갈 수 있었다.

하지만 디아볼로는 킹 크림슨을 이용한 철저한 공포 정치로 군림했고 디아볼로는 스스로 생각하기에 (실제로도 그렇지만) 본인이 직접 나서서 '킹 크림슨으로 시간을 삭제한다! 죽어라!' 하면 끝나서 그냥 마음먹은 대로 살아갈 수 있기에 이탈리아를 지배하는 갱 조직의 정점에 오른 파시오네 보스 인생이었던 것에 불과했다. 또한 이중인격이라는 점을 이용해 정체를 철저히 숨기려고 하는 강박증까지 있었기에 트리시 호위를 마치고 배신한 부차라티 + 죠르노를 그 자리에서 없앨 기회를 킹 크림슨과 본체인 자신을 들키지 않기 위해 그냥 보내주기까지 했다는 것을 보면 이것들에 상당히 의존했다고 볼 수 밖에 없다. 그래서 최종전에서 자신이 지금까지 믿어왔던 예지+ 단 한번도 깨진 적이 없는 시간 삭제 하나만 믿고 제왕으로서의 자존심이 허락하지 않는다 운운하면서 규격외의 골드 익스피리언스 레퀴엠과 정면에서 싸운다는 미친 짓으로 인해 죽음을 반복하는 비참한 지경에 왔다는 점을 보면 상당히 어리숙한 면모도 있었다.

다른 부에서의 최종 보스의 파워 업 일람(스포일러 주의)
* 1부 디오 브란도 - 돌가면을 쓰고 인간을 그만두고 흡혈귀가 되었다.[35]

7. 어록

마지막이니 가르쳐주마… 가 방금 목격하고 또한 접촉한 것은… \'미래'의 너 자신이다. 몇 초 전 과거의 네가 미래의 너 자신을 본 것이다. 이것이 나의 스탠드 '킹 크림슨'의 능력! '시간을 지우고' 건너뛰었다...!
'읽을 수 있다'… 움직임의 '궤적'을 읽을 수 있다… '미래로 향하는 움직임의 궤적'을…'킹 크림슨'의 능력 안에서 이 세상의 시간은 날아가 버리며… 그리고 모든 인간은 그 시간 가운데 자신이 움직였던 자취를 기억하지 못한다! '하늘의 구름은 자신이 흩어졌음을 깨닫지 못하며!'… '꺼진 불꽃은 꺼지던 순간을 자기 자신조차 인식하지 못한다!’ '결과' 뿐이다!! 이 세상에는 '결과'만 남는다!
더럽게 성가신 놈이군! 건들지 말라고! 봐서 어쩌겠다는 거냐! {{{#red 이제 곧 뒈질 [[점쟁이(죠죠의 기묘한 모험)|{{{#FF0000 네놈}}}]]이 말이다아아!!!}}}"
킹 크림슨. 시간을 0.5초 날려버렸다. 그 시간 속에서 이 세상에 속한 것은 모조리 지워지며 남는 것은 0.5초 뒤의 '결과'뿐이다. 탄환이 게 명중한다는 '결과'만이 남는다.
이것은 '시련'이다. 과거를 극복하라는 '시련'으로 나는 받아들였다.[36] 인간의 성장은... 미숙한 과거를 극복하는 것이라고 말이다... 그렇지 않은가? 너도 그럴테지? 장 피에르 폴나레프.
'킹 크림슨'! 이 세상엔 결과만이 남는다. 시간이 지워진 세계에선, 네놈이 어떻게 할지 전부 보인다!
네가 밑이다! 폴나레프! 네가 지옥의 밑바닥에 처박혀 있으면 '화살'을 무엇에 쓰든 더 이상 아무 문제없다!
시간은 다시 새겨지기 시작...!!(時は再び刻み始……………!!)
뭔지는 모르겠지만 받아라─!!(何かわからんがくらえッ!)[37][38]
시간이여, 재시동하라─!!(時よ再始動しろ─ッ!!)
만… 딸아… 너만.....태어나지 않았어도… 공포란 확실히 과거로부터 찾아오는군… 너는 나를 정말로 화나게 했다!!
서, 설마!
TVA 오리지널 장면.# 원작에서는 바로 부차라티에게 네놈이라고 한다.
그만둬라, 부차라티… 나를 잘 봐라! 어울리는 것은 누구인지?! 다시 한 번 잘 생각해봐라! 이 세상에서 '화살'의 주인으로 가장 어울리는 왕이 누구인지를?! 부차라티! '화살'을 지배하는 건 빈약한 자로선 감당할 수 없는 일이다![39]
감히!! 이런ー! ... 하찮은… 계집애 하나 때문에...!! 이 변기에 내뱉어진 가래 찌꺼기 놈들이! 이 몸에게 감히…!! '화살'을 지배하는 것은 이 디아볼로다아아아아아ー!(よくも!!こんなーッ!……… とるにたらない… 小娘のために…………!!この便器に吐き出されたタンカスどもが!!このわたしに対して………!! 「矢」を支配するのはこのディアボロだァアアアアアーッ)
누가 남긴 말 ...이었던가... "우리는 모두 운명에게 선택받은 병사"... 응? 젠장... 하지만... 이 세상이 주었던 진실도 있지... 운명은 이 나에게... '시간을 날리고'...... '예지'가 가능한 능력을... 하사해 주었다... 틀림없어...... 그것은 명백한 진실이다... 이 세상의 운명은 나의 "킹 크림슨"을 무적의 정점으로 선택했을 게 분명하단 말이다...... 는 "병사"가 아니야.
誰が言った言葉 …………だったか………… 『我々はみな運命に選ばれた兵士』… え? くそ…… だが…… この世がくれた真実もある……… 運命はこのオレに……… 「時を飛ばし」…………… 「予知」ができる能力を… 授けてくれた… 間違いない………… 明らかな真実だ… この運命は我が『キング・クリムゾン』を無敵の頂点に選んだはずなのだ……… オレは『兵士』ではない
어딘가로 날아가버린 폴나레프가 말했었지...!! '화살'은 '화살을 지배할 수 있는 자격이 있는 자'를 선택한다...!! 고 말이다... 집요히 말하지만 정말로 도망치지 않아 다행이었어...
どっかに飛んでっちまったポルナレフが言ってたろう………!!「矢」は「矢を支配できる資格のある者」を選ぶ………!! とな… しつこいが本当に逃げなくて良かったよ………
파일:external/full.mi.mixi.jp/081190fb621ceb939cf35b01ed0c591091521436_6_78979975_54_large.jpg 파일:konodiavolo.png
원작 TVA
\'제왕'은 나 디아볼로다! 여전히! 변함없이![40][41]
우쭐거리며 아는 척 입 놀리지 마라! 죠르노 죠바나, 네게는 죽음을 후회할 시간조차도… 주지 않겠다!
킹 크림슨! 나 이외의 모든 시간은 지워진다!(我以外の全ての時間は消し飛ぶッ─!)
파일:diovolo.jpg 파일:디아볼로 단말마 TVA.jpg
원작 TVA
나, 나는 몇 번을 죽는 거지!? 다음엔 어...어디서... 어...언제 '닥쳐'오는 거지!? 나는! 나느은!
(오지 마! 오지 마...! 내...! 내...!)[42]
내 곁에 다가오지 마아아아아아아아아아─!!!!!!!!!!
(オレのそばに近寄るなああ──────ッ!!!!!!!!!)
[43]

8. 인간 관계

작품속 최종 보스이자 갱의 보스답게 여러 인물들과 연관되어 있지만 자신의 존재를 지우는데 혈안이 되어 타인들과의 사이가 매우 좋지 않다.[44]

모친 - 친부는 죽었기에 자신의 유일했던 가족이었으나 역시나 자신의 존재를 완벽히 지우기 위해서 잔혹하게 살해하고 생매장하였다. 그외 자세한 관계는 불명이지만 디아볼로의 성격상 사이가 좋았어도 살해했을것이다.

양부 - 친부는 아닐지언정 디아볼로를 친자식 처럼 사랑으로 키워주었으나 친모와 마찬가지로 존재를 지우기 위해 양부도 살해하였다.

도나텔라 우나 - 과거의 연인이자 사랑했던 인물로 디아볼로가 한때나마 진심으로 사랑했던 인물이지만 이후 그녀 또한 그저 자신의 안위를 방해하는 존재로만 치부하였다.

트리시 우나 - 친딸이지만 당연히 존재조차 모르고 있었기에 부모로써의 애정 따위는 1도 없고 오히려 자신의 안위를 방해할지도 모른다는 강박으로 인해 자신이 직접 처리하려고까지 하였다. 당연히 죽이려고 하였기에 트리시에게는 아버지 취급도 받지 못한다. 최악의 부녀관계를 넘어선 그냥 적대관계 수준이다. 일단 친딸이기에 딸이라고 칭하기는 하지만 딸이라는 호칭에는 그 어떠한 의미도 없다.

폴포 - 관계가 묘사되지는 않았으나 스탠드 구현의 화살을 맡기는 인사 담당과 더불어 온갖 관리직을 맡긴것으로 보아 부하들 중에서는 도피오 다음으로 가장 신뢰하는듯 하다.

페리콜로 - 간부답게 매우 신뢰하는 인물중 하나로 추측된다. 페리콜로는 디아볼로 덕분에 충실한 삶을 즐겼다고 한것으로 보아 둘의 관계는 매우 양호했을것으로 보인다.

파시오네 친위대 - 자신의 직속팀인지라 기본적으로 매우 아끼고 신뢰하고 있다. 이중 초콜라타와 세코는 쓰레기라고 부르면서 혐오하지만 강함만큼은 인정하고 있어 자신이 직접 관리하기 위해 친위대로 삼았다.

파시오네 암살팀 - 친위대에 버금갈만큼 조직내 최고의 팀이지만 무슨 이유에서인지 홀대하는 바람에 적대관계가 되었다.

파시오네 호위팀 - 본래라면 면식이 없어 관심도 없었으나 부차라티가 간부로 승격하고 그에 대한 실력과 충성심을 확인하기 위해서 트리시의 호위 임무를 맡겼고 이때부터 본격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엮이게 되었다. 뛰어나게 임무를 수행한 유능한 모습 때문에 매우 좋게 평가하고 있었으나 이후 부차라티가 자신을 배신하고 푸고를 제외한 팀 전체가 자신을 배신하자 평가가 뒤바뀌었다.

도피오 - 자신의 또 다른 인격이자 디아볼로가 세상에서 가장 믿고 아끼는 인물로 보였으나 상황이 여의치 않자 그냥 죽게 내버려둔것으로 보아 그저 편한 도구로만 보고 있었던것으로 보인다.[45]

장 피에르 폴나레프 - 호위팀 이전에 자신의 조직에게 덤벼든 가장 위협적인 적이었다. 비록 적이지만 실력 만큼은 인정하고 있어 정체를 드러내기 싫어함에도 불구하고 무려 두번이나 자신이 직접 처리하였다.

9. 여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디아볼로/여담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디아볼로/여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디아볼로/여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 미디어 믹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디아볼로/미디어 믹스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디아볼로/미디어 믹스#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디아볼로/미디어 믹스#|]]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10px; padding:5px 0; word-break:keep-all"<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70556,#010101> 파일:죠죠의 기묘한 모험 로고.svg죠죠의 기묘한 모험 시리즈
등장인물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1부: 팬텀 블러드
죠죠 일행: 죠나단 죠스타 · 윌 A. 체펠리 · 로버트 E.O. 스피드왜건 · 톰페티 · 다이어 · 스트레이초
적 캐릭터: 디오 브란도 · 왕 첸 · 브루포드 · 타커스 · 잭 더 리퍼 · 페이지, 존스, 플랜트, 본햄 · 아담스 · 괴인 두비 · 경찰 좀비
기타: 죠지 죠스타 1세 · 에리나 펜들턴 · 대니 · 다리오 브란도 · 포코 · 부랑자 · 포코의 누나 · 문신과 동양인 · 경찰서장 · 스틱스 신부 · 윌 A. 체펠리의 아버지
2부: 전투조류
죠죠 일행: 죠셉 죠스타 · 시저 안토니오 체펠리 · 리사리사 · 로긴즈 & 메시나
독일군: 루돌 폰 슈트로하임 · 도노반 · 마르크
적 캐릭터: 카즈 · 에시디시 · 와무우 · 산타나 · 스트레이초
기타: 로버트 E.O. 스피드왜건 · 에리나 죠스타 · 스모키 브라운 · 수지Q · 죠지 죠스타 2세 · 와이어드 벡 · 마리오 체펠리 · 영국 공군 사령관
3부: 스타더스트 크루세이더즈
죠죠 일행: 쿠죠 죠타로 · 죠셉 죠스타 · 무함마드 압둘 · 카쿄인 노리아키 · 장 피에르 폴나레프 · 이기
DIO의 저택: DIO · 케니 G · 바닐라 아이스 · 얼치기
고용인
타로카드의 스탠드 유저: 그레이 플라이 · 캡틴 테닐 · 포에버 · 저주의 데보 · 러버 소울 · J. 가일 · 홀 호스 · 네나 · ZZ · 엔야 가일 · 스틸리 댄 · 아라비아 팟초 · 마니쉬 보이 · 카메오 · 미들러
이집트 9영신: 은두르 · 오잉고 · 보잉고 · 캐러밴 세라이 · 머라이어 · 알레시 · 다니엘 J. 다비 · 펫 숍 · 테렌스 T. 다비
기타: 홀리 죠스타 · 머라이 앤 · 수지Q · 로제스 · 셰리 폴나레프 · 말레나 · 차카 · · 윌슨 필립스
4부: 다이아몬드는 부서지지 않는다
죠죠 일행: 히가시카타 죠스케 · 쿠죠 죠타로 · 니지무라 오쿠야스 · 히로세 코이치 · 죠셉 죠스타 · 키시베 로한
모리오초 주민: 히가시카타 토모코 · 히가시카타 료헤이 · 니지무라 케이초 · 오쿠야스의 아버지 · 코바야시 타마미 · 하자마다 토시카즈 · 야마기시 유카코 · 토니오 트루사르디 · 시즈카 죠스타 · 스기모토 레이미 · 얀구 시게키요 · 츠지 아야 · 카와지리 코사쿠 · 카와지리 시노부 · 카와지리 하야토 · 훈가미 유야 · 키노토 마사조
적 캐릭터: 키라 부자(키라 요시카게 · 키라 요시히로) · 안젤로 · 오토이시 아키라 · 오오야나기 켄 · 카네다이치 토요히로 · 미야모토 테루노스케
기타: · 고양이 · 누 미키타카조 은시 · 이름 모를 사나이
5부: 황금의 바람
파시오네 호위팀: 죠르노 죠바나 · 브루노 부차라티 · 레오네 아바키오 · 귀도 미스타 · 나란차 길가 · 판나코타 푸고 · 트리시 우나 · 콜로세움의 남자 · 코코 잠보
파시오네 수뇌부: 보스 · 폴포 · 페리콜로 · 비네거 도피오
파시오네 보스 친위대: 스쿠알로 · 티치아노 · 카르네 · 초콜라타 · 세코
파시오네 암살팀: 리조토 네로 · 포르마조 · 일루조 · 프로슈토 · 페시 · 멜로네 · 기아초 · 소르베 & 젤라토
말단 조직원: 눈물의 루카 · 마리오 주케로 · 살레
기타: 이름 모를 갱 · 히로세 코이치 · 쿠죠 죠타로 · 도나텔라 우나 · 이름 모를 경관 · 점쟁이 · 스콜리피
6부: 스톤 오션
수감자: 쿠죠 죠린 · 에르메스 코스텔로 · 푸 파이터즈 · 게스 · 존갈리 A · 선더 맥퀸 · 밀라숀 · 랭 랭글러 · 스포츠 맥스 · 구초 · 켄조 · D&G
엔리코 측: 엔리코 푸치 · 웅가로 · 리키엘 · 도나텔로 베르사스 · 녹색 아기
건물의 유령 거주자: 엠포리오 아르니뇨 · 나르시소 안나수이 · 웨더 리포트
형무소 관계자: 비비아노 웨스트우드 · 뮤차 뮬러 · 소니 리킬 · 로코 바 로코
기타: 로메오 지소 · 변호사 · 쿠죠 죠타로 · 죠린의 어머니 · 글로리아 코스텔로 · 페를라 푸치 · 로드 · DIO
7부: 스틸 볼 런
레이스 참가자: 죠니 죠스타 · 자이로 체펠리 · 디에고 브란도 · 핫 팬츠 · 마운틴 팀 · 포코로코 · 히가시카타 노리스케 · 샌드맨 · 미세스 로빈슨 · 붐붐 일가 · 오예코모바 · 프리츠 폰 슈트로하임 · 도트 칸 · 가우초 · 우루무드 압둘
레이스 개최측: 스티븐 스틸 · 루시 스틸
대통령 측 인물: 퍼니 밸런타인 · 스칼렛 밸런타인 · 포크 파이 해트 꼬마 · 퍼디난드 박사 · 링고 로드어게인 · 블랙모어 · 11명의 남자 · 마이크 O · 마젠트 마젠트 · 웨카피포 · 액셀 RO · 디 스 코 · 스포일러
기타: 슈거 마운틴 · 죠지 죠스타 2세 · 다리오 · 대니 · 웨카피포의 여동생의 남편
8부: 죠죠리온
죠죠 일행: 히가시카타 죠스케 · 히로세 야스호 · 마메즈쿠 라이
히가시카타 가문: 히가시카타 노리스케 · 히가시카타 카토 · 히가시카타 죠빈 · 히가시카타 미츠바 · 히가시카타 츠루기 · 히가시카타 하토 · 히가시카타 죠슈 · 히가시카타 다이야
바위 생물
바위 인간: 아케후 사토루 · 야기야마 요츠유 · 다이넨지야마 아이쇼 · 에이 펙스 형제 · 다모 타마키 · 어반 게릴라 · 푸어 톰 · 우 토모키 · 돌로미테
바위 동물: 이와스케 · 도레미파솔라티 도 · 라디오 가가
바위 곤충: 머리핀 · 두두두 데 다다다 · 오블라디 오블라다
모리오초 주민: 사사메 오지로 · 니가타케 자이헤이 · 니지무라 케이 · 키라 홀리 죠스타 · 키라 요시카게 · 쿠죠 죠세후미 · 사쿠나미 카레라 · 토오루
기타: 죠니 죠스타 · 루시 스틸 · 후미
9부: 더 죠죠랜즈
죠죠 일행: 죠디오 죠스타 · 드라고나 죠스타 · 파코 러브란테스 · 우사기 알로하오에 · 차밍 맨
HOWLER사: 아카 하울러 · 루루 · 바비 진 · 키 웨스트 · 람차방 · 닝보
기타: 메릴 메이 치 · 바바라 앤 죠스타 · 와일드 캣 사이즈 · 키시베 로한
}}}}}}}}} ||

[1] 팬텀 블러드 극장판에서 죠나단 죠스타를 맡았으며, 덕분에 죠죠의 기묘한 모험의 역대 죠죠와 최종 보스를 각각 1명씩 맡아본 성우가 되었다.[2] 깔끔하고 굵은 목소리로 타인에게 위압감을 주는 연기를 선보였다. 모리카와 토시유키의 디아볼로가 강력한 힘을 가진 최종 보스다운 오만한 모습과 처참한 최후에 걸맞은 감정적이고 다급한 모습을 둘 다 보여줬다면, 코니시 카츠유키의 디아볼로는 자신의 이익을 위해선 친자식도 거리낌없이 죽일 수 있는 차갑고 잔혹한 마피아 보스의 느낌을 제대로 살렸다는 평. 하지만 첫 등장 이후로 점점 당황하고 망가지는 장면이 늘어나면서 모리카와의 디아볼로와 점점 비슷해졌는데 특히 37화에서의 리타이어 장면이나 38화에서 레퀴엠에 걸려 이리저리 치일 때의 목소리를 들으면 18화 때 나왔던 그 차가운 목소리와 동일하다고는 믿을 수 없을 정도. 마지막의 대사는 특히 추하고 처절하게 연기해 많은 호평을 들었다. 더불어 모리카와와 코니시는 서로 선후배 관계다.[어린시절] 비네거 도피오와 성우가 같다. 연기하는 톤도 아예 도피오 톤이다.[4] TVA Part 4에서 키라 요시카게를 맡았다. 모리카와 토시유키의 연기가 대호평이었던지라 캐스팅의 변경에 아쉬워하는 팬들이 상당히 많았다. 톤을 묵직하게 잡고 연기한 ASB와는 달리 EOH에선 전작에 비해 비교적 톤을 높게 잡고 연기해서 연기 스타일이 꽤 다르다.[5] 해당 작품의 비네거 도피오와 동일 성우[6] 일본판 성우들과 달리 히스테릭한 광기와 '악마'라는 이름에 걸맞는 거칠고 탁한 발성을 보여주었다. 4부 TVA에서는 오쿠야스의 아버지를 맡았다.[7] 가장 많이 쓰이는 테마곡이다.[8] 1분 25초부터 음악이 끊기며 소름끼치는 노이즈가 나는 부분이 나온다.[9] 점쟁이의 말이 틀린 것은 아닌 게, 디아볼로는 호위팀에게 다중인격임이 들통나고 도피오가 죽은 다음에 가서야 패배한다. 도피오와 함께 있었을 때 디아볼로는 호위팀과 암살팀 인원들을 하나하나 처리해나갔다.[10] 부차라티가 폴포의 자리를 이어 받은 것이므로, 이전엔 폴포가 속한 팀이 이런 상인 관리비릍 보스와 나눴을 것이다.[11] "트리시와 함께 단 한 명의 호위만을 데리고 산 죠르조 마죠레 섬에 있는 탑의 맨 꼭대기 위로 올라올 것", "호위자는 나이프, 총, 휴대폰 등등의 모든 물건의 소지를 금함", "최후의 지령이 담긴 디스크를 얻는 순간부터 15분 이내로 섬에 상륙해야 하며, 디스크 자체에는 발신기가 달려 있기에 사자동상에서 이동하는 것이 바로 확인된다", "트리시와 함께 동행하는 한 명을 제외한 나머지 호위인들은 배에서 대기하는 것과 동시에 섬에 상륙하는 것 자체를 금함", "조금이라도 지령과 조금 다른 행동을, 설사 우연한 사고에 의한 것이라고 해도 악의가 있는 위험신호로 간주함"[12] 물론 스탠드는 별의별 능력과 타입이 존재하며(당장 본인도 근거리 파워형/시간삭제 능력 보유자이다.) 그런만큼 상대가 괜히 수를 쓰기 전에 속전속결로 쓰러트리겠다는 판단 자체는 아예 헛된 것이라 보기는 힘들다. 문제는 위 대사가 마치 이를 고려해 빠른 제압을 노리기 보다는 머리에 든 거 없이 그냥 들이박는다. 같은 인상을 주기 쉽다는 것.[13] 암살팀은 이런 처우를 2년간 받아왔다는게 공식 설정이다. 그 디오조차도 부하한테 사례금은 두둑히 줬다는 것을 생각해보면 보스가 얼마나 유능한 인재를 푸대접하는지 보여준다.[14] 실제로 주로 언급된 부분들 외에도 열차를 올라탈 때 굳이 열차비를 낼 필요 없다는 등 암살일을 하면서도 짜잘한 돈계산에 엄격한 모습을 보이는 프로슈토의 모습을 보여준 적도 있다.[15] 이들은 애초에 조직에 들어온 이유가 조직의 뒷배없이는 바깥세상에서 활동하기 힘든 이들이기 때문이었다. 즉 뒤가 없었기에 디아볼로 입장에선 이들이 괜한 객기를 부리지 않을거라는 '믿음'을 가졌던 것.[16] TVA 기준, 원작에서는 6억 엔으로 독자들이 이해하기 쉽게 엔화로 표기한 것으로 추정됨.[17] 물론 당시 상황은 결과적으로 총으로 자신의 머리를 쏴 죽은 것이라 스탠드로도 어지간해선 연출하기 힘든 상황이기도 하다.[18] 실제로 본작의 거의 모든 전투가 조직 대 조직이 아닌 내분이었다. 그 덕에 파시오네 이외의 조직은 일말의 언급도 나오지 않는다.[19] 이 챕터에서 드러나다 싶이 부차라티는 호위팀 세력만으론 파시오네 전체를 대적하는게 불가능에 가깝다는걸 알고 있고 그렇기에 가능한한 혼자(or죠르노와 함께 2인) 정도로만 자신의 각오에 따라 부딪혀보려 했을 뿐이었고, 그 이유의 근간은 마약 거래를 막아준다는 기대감에 대한 배신도 있었기에 여기서 딸을 멀쩡히 데려간다해도 부차라티와 보스의 충돌은 시간문제였으나, 그래도 정보와 세력이 더 큰 보스 쪽에서 유리한 입장이었을 것이다.[20] 그나마 변호를 하자면, 그 당시 부차라티가 트리시의 손을 잡고 있었고 그 급박한 상황에서 단 몇초만에 무리하게 손가락을 떼가며 온전히 챙겨오는건 무리였기에 겸사겸사 공포를 줄 목적으로 그랬다고 볼 여지도 있다.[21] 그러나 철두철미한 디아볼로의 성격을 감안해보면 암살팀과의 목숨을 건 혈전으로 트리시와 깊은 유대감이 형성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호위팀이 나중에 트리시의 안위를 살펴보려 할 때 그녀에게 벌어진 일을 깨닫고 분노해 반란을 일으킬 위험을 차단하려고 저런 행동을 했을 것이다. 공포 통치로 찍어누르던 암살팀이 동료의 복수를 위해 반역을 일으킨 상황에 디아볼로의 입장에서 저 가능성은 무시할 수 없었고 기존 공포 통치를 더욱 강화하는 길을 선택한 것.[22] 다만 조직도는 말 그대로 조직이 이렇게 구성되어 있다만 나타내는 것일 뿐 멤버의 모든 원수를 일일이 적는 것이 아니다. 루카 같은 말단들은 미포함한 점 등을 고려하면 어림잡아도 수만 명일 것이다. 이미 이탈리아 전역을 지배했다는 것 자체는 공식 스토리이기에 일원 수가 적다는 것은 그저 억측이다.[23] 원작에서 애매했던 설정을 추가 및 보강한 것이라 팬들의 긍정적인 반응과 함께 밈으로 쓰이게 되었다.[24] 그에 따른 부하들의 활약상도 만만치 않다. 스탠드 구현의 화살의 이동 루트상, DIO는 엔야 할멈의 도움으로 스탠드를 각성했으며 은두르는 카쿄인을 장기간 리타이어시켰다. 특히 바닐라 아이스의 경우 DIO를 향한 무한한 충성과 그의 명령을 수행하겠다는 무시무시한 집념으로 압둘과 이기를 제거하는 DIO의 부하 중 최고의 활약을 보여줘서 똑같이 주인을 위해 목숨을 바친 페리콜로의 활약과 심히 대조된다. 물론 페리콜로는 비 스탠드 유저라 비교부터 성립이 안된다.[25] 단, 엔야 할멈의 경우는 모종의 수단으로 몰래 심어놓았다.[26] 초반에는 DIO에게 흡혈귀로서의 매력으로 인해서 여성들이 자발적으로 목숨을 바치는 것을 보여주면 흡혈귀만이 가질 수 있는 기묘한 매력을 어필한 것이 맞으나 홀 호스와의 연출에서는 코란이 떨어지는 장면을 통해 더 월드의 미지의 능력을 보여줬기에 확실히 DIO의 강함과 그럼에도 홀 호스를 용서하는 모습에 초점을 맞춘 연출이 맞다.[27] 그래서 전투씬이 너무 짧아 임팩트가 없다는 혹평이 있다. 대표적으로 최종전에서 디아볼로가 제대로 전투하는 장면이 등장하지 않는다는 점.[28] 메탈리카는 육탄전이 불가능하고 철저히 은신에 의존하지만, 킹 크림슨은 무적인데다 스탯까지 최강이기 때문에 정면전에서도 약점이 거의 없다.[29] 같은 파워ㆍ스피드 A급인 스티키 핑거즈와도 현격한 차이를 보여줬다.[30] 호위팀이 머릿수로 밀어 붙이면 이길 수 있을지도 모르나 피해자나 사망자가 반드시 1명 이상 나오기에 당연히 시도 할 생각조차 하지 않는다. 애초에 다구리라는 불리한 상황을 에피타프로 전부 예측 가능한 디아볼로가 당해줄리가 없다. 또한 도피오를 앞에 내세워 자신을 숨기고 있는 디아볼로에게 다구리를 놓는다는것 계획은 실현 자체가 불가능하다.[31] 호위팀중에서 디아볼로는 정면 승부에서 이길 사람은 아무도 없다. 당장에 부차라티가 덤볐다가 좀비 상태가 되었을 정도이기에 죠르노, 미스타, 나란차가 디아볼로는 1대1로 이기는건 불가능하다. 비단 호위팀 뿐만이 아니라 킹 크림슨을 1대1로 잡을 스탠드는 죠죠 시리즈 전체에서도 손꼽힌다.[32] 카쿄인과 폴나레프는 시간정지 한 번에 리타이어 당했고 죠셉은 파문을 몸에 둘러 한 번은 넘어갈 수 있었으나 두 번째 시간정지에 당하고 말았다.[33] 사실 딱히 제대로 대처한 적은 없고 일방적으로 당하기만 하기는 했다. 처음에는 계단에서 일방적으로 농락당했고, 이후엔 디오를 기습해 머리를 찔렀으나 운 나쁘게도 치명타를 입히지 못하고 시간이 정지되어버려 그대로 디오의 주먹을 맞고 날아갔다. 이후 디오가 죠타로와 싸우다 사망했기에 사실 폴나레프 본인은 딱히 시간 관련 능력에 대한 대책이 없었을 지도 모르겠으나 아무튼 중요한 것은 이런 무시무시한 능력을 한번 겪었으니 유사한 상대를 대비해 충분히 훈련을 했을 가능성이 높음에도 디아볼로에게 패배한 것이다.[34] 올스타 배틀R에서도 고증대로 "위,위험했다...이건 진짜 더 월드급으로 위험한 능력이야..."라고 언급했다.[35] 다른 경우와는 달리 이쪽은 꽤나 초반에 각성하며, 이후 공열안자경과 기화냉동법이라는 기술을 창조하여 파문을 상대로도 밀리지 않고 싸운다.[36] 도피오 상태에서 디아볼로의 인격으로 한 대사다.[37] 도망치려는 폴나레프를 처리하기 위해 시간을 날려버린 후 화살을 머리에 찔러넣어 녹아내리는 중실버 채리엇을 공격하면서 한 대사. 있는 예측 능력은 쓰지도 않고 그냥 막 시간을 날려버리지 않나, 그 이후의 실버 채리엇의 변화는 전혀 신경쓰지 않았다. 그 이전에 보여준 냉혹하면서도 신중한 모습과는 거리가 멀며, 그렇다고 오만함을 보여주는 대사라고 하기에도 미묘하기에 네타 요소가 되었다. 게다가 이 대사를 기점으로 어째 최종 보스라는 인물이 엄청나게 고생하기 시작하는 전개로 인해 디아볼로는 이전의 이미지를 날려먹고 네타 캐릭터가 된다. 사실 '폴나레프가 뭔가를 시도해서 실버 채리엇에 변화가 생기는 것 같긴 하지만, 그게 뭔지 고민하다가 변화하게 냅두느니 그냥 한 시라도 빨리 폴나레프의 숨통을 끊어놓자'라고 했다 치면 그렇게까지 이상한 건 아닌데, 보통 이런 경우 '쓸 데 없는 짓 하지 마라!'나 '네 맘대로는 안 되지!' 같은 식의 발언을 하기 마련이기에 뭔지 모르겠다고 시원하게 인정하여 카리스마를 깎아먹고 있는 게 문제.[38] 원작에서 나온 대사라기엔 워낙 어처구니가 없어서 반 농담 반 진담으로 메가톤맨의 대사라고 오해하는 경우도 있지만 놀랍게도 아니다. 메가톤맨은 이 대사가 나오기 한참 전인 호위팀 VS 암살팀 스토리도 끝내지 못한 채 발매가 중단되었다. 오해가 생기게 된 원인은 메가톤맨 1부에 '뭔지 잘 모르겠지만 뭔가 대단한 의지가 살아있는 것 같다'라는 대사가 존재하기 때문인 것도 있겠지만, 그냥 대사 자체가 메가톤맨이라고 해도 될 수준의 어이없는 대사라서 그렇기도 하다.[39] 브루노 부차라티채리엇 레퀴엠을 완전히 파괴하려 하자 치는 대사. 땀까지 흘리면서 애원하지만 정작 내용이 자신이 왕이기 때문에 가져야 한다는 황당한 자신감이 특징이다.[40] 애니에서는 빠르게 잡아도 킹 크림슨의 가슴께까지만 보여주지만 원작에서는 디아볼로가 양팔을 벌려 보이면서 킹 크림슨으로 화살을 주우려 하는 장면이었다.[41] 죠죠 올스타 배틀에서 디아볼로 역을 맡은 성우 모리카와 토시유키의 별명이 BL의 제왕이라서 이거와 관련된 말장난이 나오기도 했다.[42] TVA에 추가된 대사[43] 불법 번역본으로 인해 "내게 다가오지 말란 말이다아아아아아아아아아!!!!!!!!!!"이 많이 퍼져있지만, 위 이미지의 원문을 보면 '~란 말이다'(~ってんだ)라는 강조 표현이 붙을 정도로 강렬하게 말하고 있지 않다. 이 외에도 해당 번역본에는 욕설과 거친 말투가 많이 추가되었는데, 역자의 말로는 역시 갱스터니까 가오 좀 잡으면서 불량하게 말하지 않을까 싶어서 깡패스럽게 번역한 거라고. 그런데 사실 루카의 협박 등 국내 5부 정발본의 번역 또한 제법 거칠게 번역된 게 많은 편이다. 어쨌든 강렬한 말투 덕분에 한국에선 "내게 다가오지 말란 말이다아아아아아아아아아!!!!!!!!!!" 버전이 많이 사용된다.[44] 도피오는 자신의 또 다른 인격이기에 타인이라고 칭 할수는 없다.[45] 죽어가던 부차라티의 몸에 들어갔기에 곧 얼마못가 죽을 상황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디아볼로는 1도 신경쓰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