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Montréal_logo_1.png 몬트리올의 대중교통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fff,#2d2f34><colcolor=#d71920> 도시철도 | |
| 광역철도 | ||
| 버스 노선 | ||
| 버스터미널 | 몬트리올 버스 터미널 ・ 상트르빌 터미널 | |
| 공공자전거 | 빅시(BIXI) ・ 점프(Jump) | |
| 페리 | 나바크(NAVARK) | |
| 공항 | 몬트리올 (YUL) ・ | |
| 관련 기업 | STM ・ EXO ・ RTL ・ STL ・ 비아 레일 | }}}}}}}}} |
| 초록선 Verte / 1 | 오렌지선 Orange / 2 | 노랑선 Jaune / 4 | 파랑선 Bleue / 5 |
|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18181d> | 몬트리올 지하철 파랑선 Métro de Montréal Ligne Bleue Montreal Metro Blue Line | }}} | ||
| | |||||
| 몬트리올 교통공사 MR-73 | |||||
| 노선 정보 | |||||
| 분류 | 도시철도 | ||||
| 기/종점 | 스노든 역, 생-미셸 역 | ||||
| 역 수 | 12개 | ||||
| 노선 번호 | 5 | ||||
| 개업일 | 1986년 6월 16일 | ||||
| 소유자 | 몬트리올 | ||||
| 운영자 | 몬트리올 교통공사 | ||||
| 사용차량 | MR-73 | ||||
| 노선 제원 | |||||
| 노선연장 | 9.75㎞ | ||||
| 궤간 | 1,435㎜콘크리트 표준궤 | ||||
| 선로구성 | 복선 | ||||
| 사용전류 | 직류 750V 제3궤조 집전식 | ||||
| 통행방향 | 우측통행 | ||||
1. 개요
몬르티올 지하철 파랑선은 캐나다 퀘벡 몬트리올의 지하철 노선이다.스노든(Snowdon) ↔ 생-미셸(Saint-Michel)
2. 상세
1986년부터 운행을 시작했으며, 현재의 스노든 역까지의 연장은 1988년까지 점진적으로 마쳤다. 새로 만들어진 노선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MR-73 열차를 이용하고 있으며, 4호선과 마찬가지로 1, 2호선에 비해 열차가 조금 짧다. 또한 출근길과 퇴근길의 수송량 차이가 큰데, 주로 스노든이나 장-탈롱에서 환승을 하며, 대다수의 학교가 이 사이의 역에 존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스노든으로 가는 열차는 출근길에 미어터지는 반면, 생-미셸로 가는 열차는 에두아르-몽프티(Edouard-Montpetit) 역만 지나가면 공기수송에 가까운 운송을 한다. 그리고 퇴근길에는 이와 정 반대의 상황이 나타난다. 따라서 배차 간격에도 조금 차이가 있다.마지막 MR-63 차량이 운행을 한 구간이기도 하다.
3. 차량
전체 열차가 6량편성의 MR-73으로 운행중이다. 해당 차량은 평일 한정으로 노랑선과 공유하여 다닌다.[1] Azur는 간혹 시운전으로 들어오지만 정식 운행은 아직 하지 않는다.[2]4. 연장
파랑선은 몬트리올 지하철 노선들 중에 짧은 편이며, 비교적 신설 노선이라 연장이 비교적 수월하여 과거부터 현재까지 수 없는 연장떡밥이 도는 노선이기도 하다.4.1. 북부 연장
당초 파랑선은 생미셸을 지나 북서쪽으로 방향을 틀어 피뇌프 거리를 따라 라발 방면으로 연장이 계획되어 있었으나 80년대 이후 앙주연장으로 계획이 변경되게 된다.[3] 생미셸역이 미묘하게 라발방향으로 틀어져 시공되어 있는 것이 그 계획의 흔적이다.이후 생-미셸에서 부터 북쪽으로 5.8km가량 연장이 확정되어, 2025년 현재 공사가 진행중이다. 원래 계획은 초록선의 종착역인 오노레-보그랑으로 가느냐 앙주로 가느냐 설왕설래가 있었지만 결국 앙주로의 연장이 채택되어 현재에 이르렀다. 최근에는 벌써 5번째 연기되면서 2029년 개통한다고 말했다.#
결국 2차례 더 연기되면서 2031년 개통으로 연기되었다.#
2025년 9월 9일 앙주 연장구간 내 역명이 확정되었다. 역명은 종착역인 앙주를 제외하고 모두 몬트리올 이민자 커뮤니티에 대한 헌사와 퀘벡의 여성 인권운동가들의 이름으로 지어졌다.#
===# 남부 연장(취소) #===
파랑선 시공당시 라신 쪽으로 연장 계획이 있어, 실제로 스노든역 공사 당시 퀸 메리 아브뉴 지하로 터널이 선시공 되었으나, 신시내티 지하철 마냥 뚜껑만 덮어버린 채 연장이 무기한 중단되었다. 이후에 어떤 추진 방안도 없이 영원한 듀크 뉴켐 포에버 상태가 되어버렸다. 터널 구조물도 현재는 아예 수도관으로 활용하는 중.
5. 역 목록
| ㎞ | 역명 | 승강장 | 환승노선 | 소재지 | 비고 | ||
| 형태 | 횡단 | ||||||
| 스노든 | Snowdon | ■││■ | ○ | ● 오렌지선 | 몬트리올 | ||
| 코트-데-네이주 | Côte-des-Neiges | ■││■ | ○ | ||||
| 위니베르시테-드-몽레알 | Université-de-Montréal | ■││■ | ○ | ||||
| 에두아르-몽프티 | Édouard-Montpetit | ■││■ | ○ | ||||
| 우트르몽 | Outremont | ■││■ | ○ | ||||
| 아카디 | Acadie | ■││■ | ○ | ||||
| 파르크 | Parc | ■││■ | ○ | ||||
| 드 카스텔노 역 | De Castelnau | ■││■ | ○ | ||||
| 장-탈롱 | Jean-Talon | ■││■ | ○ | ● 오렌지선 | |||
| 파브르 | Fabre | ■││■ | ○ | ||||
| 디베르빌 | D'Iberville | ■││■ | ○ | ||||
| 생-미셸 | Saint-Michel | ■││■ | ○ | ||||
6. 연장 구간
| ㎞ | 역명 | 승강장 | 환승노선 | 소재지 | 비고 | ||
| 형태 | 횡단 | ||||||
| 베르티에르 | Vertières | 몬트리올 | |||||
| 메리 투액스 얼리 | Mary-Two-Axe-Earley | ||||||
| 체지라 파리조토 | Césira-Parisotto | ||||||
| 마들렌 파랑 | Madeleine Parent | ||||||
| 앙주 | Anjou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