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ff0000><tablebgcolor=#ff0000> | 히로시마 도요 카프 2025 시즌 투수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12 오미치 하루키 · 13 모리우라 다이스케 · 14 오세라 다이치 · 16 모리 쇼헤이 · 17 츠네히로 하야토 · 18 모리시타 마사토 · 19 토코다 히로키 20 쿠리바야시 료지 · 21 나카자키 쇼타 · 22 타카 타이치 · 24 쿠로하라 타쿠미 · 26 마스다 타케히사 · 28 사토 류노스케 · 29 켐나 마코토 30 타키타 카즈키 · 34 타카하시 코야 · 35 아카츠카 켄토 · 36 호리에 아츠야 · 39 하세베 긴지 · 42 요한 도밍게스 · 43 시마우치 소타로 45 마츠모토 류야 · 46 카와노 케이 · 47 사이토 유타 · 48 아두와 마코토 · 53 오카모토 슌 · 65 타마무라 쇼고 · 66 엔도 아츠시 · 67 키쿠치 하룬 68 테일러 헌 · 70 히다카 아츠미 · # 스즈키 켄야 | |
코칭스태프 | 투수 | 포수 | 내야수 | 외야수 | 육성선수 | ||
틀:히로시마 도요 카프로 돌아가기 | ||
다른 NPB 팀 명단 보기 |
모리시타 마사토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2020 도쿄올림픽 {{{#c7bc69 금메달}}} | |||||||||||||||||||||||||||||||||||||||||||||||||||||||||||||||||||||||||||||||||||||||||||||||||||||||||||||||||||||||||||||||||||||||||||||||||||||||||||||||||||||||||||||||||||||||||||||||||||||||||||||||||||||||||||||||||||||||||||||||||||||||||
2021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0F8F2D> | 센트럴 리그 역대 최우수신인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FFFFFF> 1950 | 1951 | 1952 | 1953 | 1954 |
오시마 노부오 쇼치쿠 / 투수 | 마쓰다 기요시 요미우리 / 투수 | 사토 다카오 코쿠테츠 / 외야수 | 곤도 마사토시 쇼치쿠 / 투수 | 히로오카 다쓰로 요미우리 / 내야수 | |
<rowcolor=#FFFFFF> 1955 | 1956 | 1957 | 1958 | 1959 | |
니시무라 가즈노리 오사카 / 투수 | 아키야마 노보루 타이요 / 투수 | 후지타 모토시 요미우리 / 투수 |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 투수 | 구와타 다케시 타이요 / 투수 | |
<rowcolor=#FFFFFF> 1960 | 1961 | 1962 | 1963 | 1964 | |
호리모토 리쓰오 요미우리 / 투수 | 곤도 히로시 주니치 / 투수 | 조노우치 구니오 요미우리 / 투수 | 수상자 없음 | 다카하시 시게유키 타이요 / 투수 | |
<rowcolor=#FFFFFF> 1965 | 1966 | 1967 | 1968 | 1969 | |
수상자 없음 | 호리우치 츠네오 요미우리 / 투수 | 다케가미 시로 산케이 / 외야수 | 다카다 시게루 요미우리 / 내야수 | 타부치 코이치 한신 / 포수 | |
<rowcolor=#FFFFFF> 1970 | 1971 | 1972 | 1973 | 1974 | |
야자와 겐이치 주니치 / 내야수 | 세키모토 시토시 요미우리 / 투수 | 야스다 다케시 야쿠르트 / 투수 | 수상자 없음 | 후지나미 유키오 주니치 / 내야수 | |
<rowcolor=#FFFFFF> 1975 | 1976 | 1977 | 1978 | 1979 | |
수상자 없음 | 다오 야스시 주니치 / 외야수 | 사이토 아키오 타이요 / 투수 | 스미 미쓰오 요미우리 / 투수 | 후지사와 기미야 주니치 / 투수 | |
<rowcolor=#FFFFFF> 1980 | 1981 | 1982 | 1983 | 1984 | |
오카다 아키노부 한신 / 내야수 | 하라 다쓰노리 요미우리 / 내야수 | 쓰다 쓰네미 히로시마 / 투수 | 마키하라 히로미 요미우리 / 투수 | 고바야카와 다케히코 히로시마 / 내야수 | |
<rowcolor=#FFFFFF> 1985 | 1986 | 1987 | 1988 | 1989 | |
가와바타 준 히로시마 / 투수 | 나가토미 히로시 히로시마 / 투수 | 아라이 유키오 야쿠르트 / 외야수 | 타츠나미 카즈요시 주니치 / 내야수 | 도마시노 겐지 야쿠르트 / 내야수 | |
<rowcolor=#FFFFFF> 1990 | 1991 | 1992 | 1993 | 1994 | |
요다 츠요시 주니치 / 투수 | 모리타 고이치 주니치 / 투수 | 구지 데루요시 한신 / 외야수 | 이토 도모히토 야쿠르트 / 투수 | 야부 게이이치 한신 / 투수 | |
<rowcolor=#FFFFFF> 1995 | 1996 | 1997 | 1998 | 1999 | |
야마우치 야스유키 히로시마 / 투수 | 니시 도시히사 요미우리 / 내야수 | 사와자키 도시카즈 히로시마 / 투수 | 가와카미 겐신 주니치 / 투수 | 우에하라 고지 요미우리 / 투수 | |
<rowcolor=#FFFFFF>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
킨죠 타츠히코 요코하마 / 내야수 | 아카호시 노리히로 한신 / 외야수 | 이시카와 마사노리 야쿠르트 / 투수 | 키사누키 히로시 요미우리 / 투수 | 가와시마 료 야쿠르트 / 투수 | |
<rowcolor=#FFFFFF>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
아오키 노리치카 야쿠르트 / 외야수 | 소요기 에이신 히로시마 / 내야수 | 우에조노 게이지 한신 / 투수 | 야마구치 데쓰야 요미우리 / 투수 | 마쓰모토 데쓰야 요미우리 / 외야수 | |
<rowcolor=#FFFFFF>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
초노 히사요시 요미우리 / 외야수 | 사와무라 히로카즈 요미우리 / 투수 | 노무라 유스케 히로시마 / 투수 | 오가와 야스히로 야쿠르트 / 투수 | 오세라 다이치 히로시마 / 투수 | |
<rowcolor=#FFFFFF>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
야마사키 야스아키 요코하마 / 투수 | 타카야마 슌 한신 / 외야수 | 쿄다 요타 주니치 / 내야수 | 아즈마 카츠키 요코하마 / 투수 | 무라카미 무네타카 야쿠르트 / 내야수 | |
<rowcolor=#FFFFFF>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
모리시타 마사토 히로시마 / 투수 | 쿠리바야시 료지 히로시마 / 투수 | 오타 타이세이 요미우리 / 투수 | 무라카미 쇼키 한신 / 투수 | 후나바사마 히로마사 요미우리 / 투수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91db><tablebgcolor=#0091db> | 일본프로야구 역대 투수 골든글러브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센트럴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 <tablewidth=100%> | ||||
<rowcolor=#ffffff> 1972 | 1973 | 1974 | 1975 | 1976 | ||
호리우치 츠네오 요미우리 | ||||||
<rowcolor=#ffffff> 1977 | 1978 | 1979 | 1980 | 1981 | ||
호리우치 츠네오 요미우리 | 니시모토 타카시 요미우리 | |||||
<rowcolor=#ffffff> 1982 | 1983 | 1984 | 1985 | 1986 | ||
니시모토 타카시 요미우리 | 키타벳푸 마나부 히로시마 | |||||
<rowcolor=#ffffff> 1987 | 1988 | 1989 | 1990 | 1991 | ||
쿠와타 마스미 요미우리 | 니시모토 타카시 주니치 | 사이토 마사키 요미우리 | 쿠와타 마스미 요미우리 | |||
<rowcolor=#ffffff> 1992 | 1993 | 1994 | 1995 | 1996 | ||
사이토 마사키 요미우리 | 이마나카 신지 주니치 쿠와타 마스미 요미우리 | 쿠와타 마스미 요미우리 | 사이토 마사키 요미우리 | |||
<rowcolor=#ffffff> 1997 | 1998 | 1999 | 2000 | 2001 | ||
쿠와타 마스미 요미우리 | 우에하라 코지 요미우리 | 쿠도 키미야스 요미우리 | 노구치 시게키 주니치 | |||
<rowcolor=#ffffff> 2002 | 2003 | 2004 | 2005 | 2006 | ||
쿠와타 마스미 요미우리 | 우에하라 코지 요미우리 | 카와카미 켄신 주니치 | 쿠로다 히로키 히로시마 | 카와카미 켄신 주니치 | ||
<rowcolor=#ffffff> 2007 | 2008 | 2009 | 2010 | 2011 | ||
카와카미 켄신 주니치 | 이시카와 마사노리 야쿠르트 | 디키 곤잘레스 요미우리 | 마에다 켄타 히로시마 | 아사오 타쿠야 주니치 | ||
<rowcolor=#ffffff>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
마에다 켄타 히로시마 | 스가노 토모유키 요미우리 | |||||
<rowcolor=#ffffff>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
스가노 토모유키 요미우리 | 니시 유키 한신 | 스가노 토모유키 요미우리 | 야나기 유야 주니치 | |||
<rowcolor=#ffffff> 2022 | 2023 | 2024 | 2025 | 2026 | ||
모리시타 마사토 히로시마 | 아즈마 카츠키 DeNA | 스가노 토모유키 요미우리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퍼시픽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 | ||||
<rowcolor=#ffffff> 1972 | 1973 | 1974 | 1975 | 1976 | |
아다치 미츠히로 한큐 | 나리타 후미오 롯데 | 아다치 미츠히로 한큐 | |||
<rowcolor=#ffffff> 1977 | 1978 | 1979 | 1980 | 1981 | |
야마다 히사시 한큐 | 키다 이사무 닛폰햄 | 야마다 히사시 한큐 | |||
<rowcolor=#ffffff> 1982 | 1983 | 1984 | 1985 | 1986 | |
야마다 히사시 한큐 | 히가시오 오사무 세이부 | ||||
<rowcolor=#ffffff> 1987 | 1988 | 1989 | 1990 | 1991 | |
히가시오 오사무 세이부 | 니시자키 유키히로 닛폰햄 | 아와노 히데유키 킨테츠 | 와타나베 히사노부 세이부 | 궈타이위안 세이부 | |
<rowcolor=#ffffff> 1992 | 1993 | 1994 | 1995 | 1996 | |
궈타이위안 세이부 | 노다 코지 오릭스 | 쿠도 키미야스 세이부 | 쿠도 키미야스 다이에 | 니시자키 유키히로 닛폰햄 | |
<rowcolor=#ffffff> 1997 | 1998 | 1999 | 2000 | 2001 | |
니시구치 후미야 세이부 | 마츠자카 다이스케 세이부 | ||||
<rowcolor=#ffffff> 2002 | 2003 | 2004 | 2005 | 2006 | |
니시구치 후미야 세이부 | 마츠자카 다이스케 세이부 | ||||
<rowcolor=#ffffff> 2007 | 2008 | 2009 | 2010 | 2011 | |
다르빗슈 유 닛폰햄 | 와쿠이 히데아키 세이부 | 타나카 마사히로 라쿠텐 | |||
<rowcolor=#ffffff>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
타나카 마사히로 라쿠텐 | 카네코 치히로 오릭스 | 와쿠이 히데아키 롯데 | |||
<rowcolor=#ffffff>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
키쿠치 유세이 세이부 | 키시 타카유키 라쿠텐 | 센가 코다이 소프트뱅크 | 야마모토 요시노부 오릭스 | ||
<rowcolor=#ffffff> 2022 | 2023 | 2024 | 2025 | 2026 | |
야마모토 요시노부 오릭스 | 리반 모이넬로 소프트뱅크 |
}}}}}}}}}}}} ||
{{{#ffffff [[히로시마 도요 카프|히로시마 도요 카프]] 등번호 18번}}} | ||||
마에다 켄타 (2008~2015) | → | 모리시타 마사토 (2020~) | → | 현역 |
| |
<colbgcolor=#ff0000><colcolor=#ffffff> 히로시마 도요 카프 No.18 | |
모리시타 마사토 森下暢仁 | Masato Morishita | |
생년월일 | 1997년 8월 25일 ([age(1997-08-25)]세) |
국적 |
|
출신지 | 오이타현 오이타시 |
신체조건 | 180cm / 77kg |
포지션 | 선발 투수 |
투타 | 우투우타 |
출신교 | 오이타현립 오이타상업고등학교(大分県立大分商業高等学校) 메이지대학(明治大学) |
프로입단 | 2019년 신인선수 선택회의 1위 (広島) |
소속팀 | 히로시마 도요 카프 (2020~) |
연봉 | 2025년 | ¥165,000,000 |
등장곡 | 「I'm Here」 - 三浦大知 |
가족관계 | 부모님, 아내(1998년생, 2022년 12월 16일 결혼) |
SNS |
1. 개요
히로시마 도요 카프 소속의 우완 선발 투수. 프로 선수 데뷔를 하자마자 카프의 신성 에이스로 자리잡아 선발진을 이끌고 있다.2. 선수 경력
| ||||||||||
모리시타 마사토의 선수 경력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통합 선수 경력: 모리시타 마사토/선수 경력 | |||||||||
|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
| ||||||||||
2020 도쿄 올림픽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모리시타 마사토/선수 경력#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모리시타 마사토/선수 경력#|]][[모리시타 마사토/선수 경력#|]]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 플레이 스타일
|
150km/h 포심 패스트볼 VS 무라카미 무네타카 |
|
136km/h 투심 패스트볼 VS 니시우라 나오미치 |
|
133km/h 커터 VS 호세 오수나 |
|
132km/h 체인지업 VS 나카무라 유헤이 |
|
109km/h 슬로 커브 VS 딜런 피터스 |
최고 156km, 평균 147km의 포심과 130km 중후반에서 형성되는 날카로운 커터, 체인지업, 커브를 고루 섞어 던진다. 절반 가까이 던지는 포심은 구속과 구위 모두 리그 상위권이고, 커터는 구속은 조금 느린 편이지만 꺾이는 각도가 좋다.
130km 전후에서 형성되는 체인지업은 커터와 달리 우타자 몸쪽으로 떨어지고, 커브의 낙폭도 상당한 수준이라 완급조절도 일품이다. 4가지 구종의 완성도가 평균 이상이라 모든 구종을 결정구로 사용할 수 있다는 게 가장 큰 장점이다.
또한 센트럴 리그 투수들 중 팀원 토코다 히로키, 주니치 야나기 유야와 더불어 타격이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는다. 2022년 3월 26일, 요코하마와의 개막시리즈 2차전에서 투수로는 8이닝 3실점(2자책), 타석에서도 4타수 3안타 3타점으로 맹활약을 펼쳤을 정도.(당시 니코동 영상) 이렇다보니 투수임에도 맹타상[1]을 기록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4. 기타
- 2020 도쿄 올림픽 일본 야구 국가대표팀 금메달 획득으로 고향 오이타시의 오이타히가시(大分東) 우체국 앞에 (제41호) 골드포스트[2]가 설치되었다.
|
- 소프트뱅크의 카사야 슌스케(笠谷俊介)는 고교 1년 선배이고, 카와세 히카루(川瀬晃)는 동급생이었다.
[1] 단일 경기에서 3안타 이상을 기록하는 것.[2] 2020 도쿄 올림픽 금메달리스트 고향의 우체국 앞에 설치한 금색으로 된 우체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