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5-10 23:35:37

리틀 머메이드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인어공주를 뜻하는 영단어 The Little Mermaid}}}에 대한 내용은 [[인어공주]]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인어공주#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인어공주#|]]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인어공주를 뜻하는 영단어 The Little Mermaid: }}}[[인어공주]]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인어공주#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인어공주#|]]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파일:니케-타이틀-임시.png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argin:0 -10px -5px; min-width:40%"
{{{#!folding 【 클래스 순 】
{{{#!wiki style="margin:0 5px; display:inline-block" 파일:니케-공격형.png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화력형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등급 니케
SSR 프리바티 시그널 브리드 솔린
베스티 은화 길로틴 메이든
헬름 맥스웰 율리아 드레이크
에피넬 슈가 앨리스 밀크
율하 루피 아리아 볼륨
스노우 화이트 이사벨 홍련 하란
라플라스 모더니아 바이퍼 길티
파워 니힐리스타 D 누아르
로산나 네온 : 블루 오션 헬름 : 아쿠아마린 A2
레드 후드 스노우 화이트 : 이노센트 데이즈 루드밀라 : 윈터 오너 홍련 : 흑영
프리바티 : 언카인드 메이드 에밀리아 트로니 소다 : 트윙클링 바니
사쿠라 : 블룸 인 서머 아인 시키나미 아스카 랑그레이 아야나미 레이
퀀시 : 이스케이프 퀸 팬텀 길로틴 : 윈터 슬레이어 라피 : 레드 후드
마나 시키나미 아스카 랑그레이 : WILLE 아야나미 레이 (가칭) 브래디
미하라 : 본딩 체인
SR 라피 미하라 벨로타 네베
R 솔져 E.G. 프로덕트 12
}}}}}}}}} ||}}}
||<width=360><tablealign=center><bgcolor=#000000> 파일:니케-방어형.png ||
{{{#!folding   [ 방어형 ] 등급 니케
SSR 폴리 디젤 유니 센티
크로우 루드밀라 노벨 폴크방
노아 루피 : 윈터 쇼퍼 자칼
마키마 라이 블랑 네로
2B 티아 목단 베이
킬로 크라운 루마니 신데렐라
라푼젤 : 퓨어 그레이스 메이든 : 아이스 로즈 모리
SR 델타 에테르 아니스 앵커
R 솔져 F.A. iDoll 플라워
}}}||

||<width=360><tablealign=center><bgcolor=#000> 파일:니케-지원형.png ||
{{{#!folding   [ 지원형 ] 등급 니케
SSR 엠마 미란다 리타 페퍼
애드미 엑시아 프림 메어리
도라 노이즈 라푼젤
앤 : 미라클 페어리 퀀시 코코아 소다
비스킷 사쿠라 도로시 메어리 : 베이 갓데스
마스트 아니스 : 스파클링 서머 마르차나 나가
키리 토브 미카 : 스노우 버디 레오나
에이드 일레그 D : 킬러 와이프
앨리스 : 원더랜드 바니 클레이 로산나 : 시크 오션 츠바이
마키나미 마리 일러스트리어스 루주 그레이브 플로라
마스트 : 로망틱 메이드 앵커 : 이노센트 메이드 트리나 크러스트
리틀 머메이드
SR 네온 N102 미카 히메노
파스칼 카츠라기 미사토 스즈하라 사쿠라
R 솔져 O.W. 프로덕트 08 프로덕트 23 iDoll 오션
iDoll 썬
}}}||
||}}}}}}
【 코드 순 】
----
{{{#!wiki style="margin:0 5px; display:inline-block"파일:니케작열.png
{{{#!folding   [ 작열 ] 등급 니케
SSR 엠마 시그널 미란다 은화
유니 드레이크 크로우 앨리스
율하 모더니아 코코아
소다 파워 니힐리스타 사쿠라
네로 2B A2 D : 킬러 와이프
베이 킬로 트로니 시키나미 아스카 랑그레이
아야나미 레이 루마니 그레이브 라피 : 레드 후드
미하라 : 본딩 체인
SR 라피 네온
R 솔져 O.W. 프로덕트 12
}}}||}}}



||
【 기업 소속 순 】
----
{{{#!wiki style="margin:0 5px; display:inline-block"파일:니케-엘리시온.png
{{{#!folding   [ 엘리시온 ] 등급 니케
SSR 엠마 프리바티 시그널 폴리
미란다 브리드 솔린 디젤
베스티 은화 길로틴 메이든
헬름 D 네온 : 블루 오션 마스트
헬름 : 아쿠아마린 마르차나 키리 프리바티 : 언카인드 메이드
D : 킬러 와이프 츠바이 팬텀 길로틴 : 윈터 슬레이어
메이든 : 아이스 로즈 라피 : 레드 후드 마스트 : 로망틱 메이드 앵커 : 이노센트 메이드
SR 라피 네온 델타 앵커
R 솔져 E.G. 솔져 O.W. 솔져 F.A.
✦: 오버스펙
}}}||}}}



||
【 무기 순 】
----
{{{#!wiki style="margin:-6px 5px; display:inline-block"파일:니케AR.png
{{{#!folding   [ 소총 ⟨AR⟩ ] 등급 니케
SSR 프리바티 브리드 율리아 루피
폴크방 스노우 화이트 홍련 루피 : 윈터 쇼퍼
도로시 블랑 헬름 : 아쿠아마린
2B 스노우 화이트 : 이노센트 데이즈 토브 목단
에이드 사쿠라 : 블룸 인 서머 로산나 : 시크 오션 시키나미 아스카 랑그레이
팬텀 그레이브 길로틴 : 윈터 슬레이어 마나
아야나미 레이 (가칭) 모리
SR 라피 미하라
R 솔져 E.G. iDoll 썬

}}}||}}}




||
【 버스트 단계 순 】
----
{{{#!wiki style="margin:0 5px; display:inline-block"파일:니케-1단계.png
{{{#!folding   [ 1 버스트 ] 기업 SSR SR R
20 파일:니케-엘리시온.png 미란다
D : 킬러 와이프
츠바이
네온
앵커
솔져 O.W.
파일:니케-미실리스.png 페퍼
자칼
리타
토브
N102 프로덕트 08
파일:니케-테트라.png 엑시아
프림
루드밀라

볼륨
루피 : 윈터 쇼퍼
코코아
소다
라이
메어리 : 베이 갓데스
미카 : 스노우 버디
루주
루마니
미카 iDoll 플라워
iDoll 오션
파일:니케-필그림.png 도로시
라푼젤 : 퓨어 그레이스
리틀 머메이드
파일:니케 어브노멀.png
40 파일:니케-엘리시온.png 엠마
파일:니케-미실리스.png 티아 에테르
파일:니케-테트라.png 메어리
밀크
노이즈
사쿠라
로산나
목단
앨리스 : 원더랜드 바니
파일:니케-필그림.png 레드 후드
파일:니케 어브노멀.png 파스칼

카츠라기 미사토
스즈하라 사쿠라
60 파일:니케-엘리시온.png
파일:니케-미실리스.png
파일:니케-테트라.png
파일:니케-필그림.png 라푼젤
파일:니케 어브노멀.png
}}}||}}}

||<width=360><tablealign=center><bgcolor=#000000>파일:니케-3단계.png||
{{{#!folding   [ 3 버스트 ] 기업 SSR SR R
40 파일:니케-엘리시온.png 프리바티
브리드
솔린
베스티
길로틴
메이든
헬름
D
네온 : 블루 오션
키리
프리바티 : 언카인드 메이드
팬텀
길로틴 : 윈터 슬레이어
메이든 : 아이스 로즈
라피 : 레드 후드
라피 솔져 E.G.
파일:니케-미실리스.png 맥스웰
율리아
드레이크
크로우
라플라스
에피넬
킬로
트로니
아인
퀀시 : 이스케이프 퀸
마나
미하라 : 본딩 체인
미하라 프로덕트 12
파일:니케-테트라.png 슈가
앨리스
율하
누아르
아니스 : 스파클링 서머
루드밀라 : 윈터 오너
소다 : 트윙클링 바니
사쿠라 : 블룸 인 서머
브래디
네베 iDoll 썬
파일:니케-필그림.png 스노우 화이트
이사벨
홍련
하란
모더니아
레드 후드
스노우 화이트 : 이노센트 데이즈
홍련 : 흑영
신데렐라
파일:니케 어브노멀.png 파워
2B
A2
에밀리아
시키나미 아스카 랑그레이
아야나미 레이
시키나미 아스카 랑그레이 : WILLE
아야나미 레이 (가칭)
}}}||
||
||

올드 테일즈
신데렐라 에이브

그레이브
-레드 슈즈- 리틀 머메이드 헨젤 & 그레텔
취소선: 제명
리틀 머메이드
Little Mermaid

파일:니케리틀머메이드.png

<colbgcolor=#60CF58,#010101><colcolor=white,#ddd> 등급 SSR
제조사 파일:니케-필그림.png
스쿼드 올드 테일즈
무기 파일:니케SMG.png
물거품
속성 파일:니케풍압.png
풍압
버스트 파일:니케-1단계.png
버스트 I
클래스 파일:니케-지원형.png
지원형
성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도희
파일:일본 국기.svg 시마무라 유
파일:미국 국기.svg 모니크 토머스
#!wiki style="margin:-5px -10px; padding:7px 10px;background-image:linear-gradient(#D02DD9), #1FDA11 10%, #FF69B4)
{{{#D02DD9 '''공식 테마곡 - UNBREAKABLE SPHERE'''}}}
가사 【OPEN/CLOSE】
The currents weave flowing through open hands
펼쳐진 손 사이로 물결이 흘러가네

Waves embrace, hearts retrace, though time withstands
파도에 감싸여, 마음은 과거를 추억하고, 시간의 흐름을 견뎌내지

The endless blue, but we still climb again
끝없이 깊은 바다, 하지만 포기하지 않고 바다위로 가겠어

Hold me close wrapped in light, down from the skies
빛에 감싸인 그대여, 하늘에서 내려와 나를 꼭 안아줘

Deep below a song is humming, one that we once knew
심해속에서 먼 옛날 우리가 불렀던 노래가 들려

All the traces faded, places where we once had stood
그 때의 기억도, 추억의 장소도 사라져버렸지만

Calling your name out through the drifting tides with blinding hope
맹목적인 희망에 기대어 파도속에서 그저 너의 이름을 부르고 있어

Erasing each time what my heart can withstand
그때마다 내 마음은 조금씩 물거품이 되어가

Tides return again, bringing the memories again
파도가 되돌아와, 추억을 한가득 담은 채

Waves calling me by my name
파도가 나를, 내 이름을 부르고 있어

And here we stand
그리고 난 너희들과 함께 있어

[We are together]
[우리는 쭉 함께였으니까]

The currents weave flowing through open hands
펼쳐진 손 사이로 물결이 흘러가네

Waves embrace, hearts retrace, though time withstands
파도에 감싸여, 마음은 과거를 추억하고, 시간의 흐름을 견뎌내지

The endless blue, but we still climb again
끝없이 깊은 바다, 하지만 포기하지 않고 바다위로 가겠어

Hold me close wrapped in light, down from the skies
빛에 감싸인 그대여, 하늘에서 내려와 나를 꼭 안아줘

Shining echos guide me forward, glimmers breaking through
눈부신 메아리가 내 손을 잡아 나를 이끌고, 깜빡이는 빛들을 향해 길을 열어주고 있어

Reaching out, the tides are turning, pulling me to you
손에 닿은 파도는 나를 너에게 이끌어주고 있어

Rising together as the currents flow with new light
새로운 빛과 함께, 파도에 몸을 맡겨 너에게로 향하고 있어

Drifting no more, we will break through the dark
더 이상 헤매지 않아, 우리는 어둠을 뚫고 다시 만날거니까

Tides return again, bringing the memories again
파도가 되돌아와, 추억을 한가득 담은 채

Waves calling me by my name
파도가 나를, 내 이름을 부르고 있어

And here we stand
그리고 난 너희들과 함께 있어

[Here we are together]
[마침내 이곳에서 우리는 함께하게 됐으니까]

Guiding us, a sphere so still, unbreakable
인연을 잇는 우리의 물거품은 사라지지 않아

Our voices sore, together currents dance
우리 목소리가 화음이 되어 하늘 위에서 춤추고 있는게 들려?

Hand in hand, chasing light, forevermore
손을 맞잡고, 빛을 따라 가자. 영원히, 영원이 끝날때까지

Bound by tides, yet our hearts ignite
인연으로 얽힌 우리들의 마음에 불꽃이 피어났어

Side by side, no fear left, we'll break the chains
너와 함께라면 두려움 따윈 없어. 운명의 사슬을 부수고 나아가자

Follow my flow
나를 따라와줘

[Our voices sore, together currents dance]
[우리 목소리가 화음이 되어 하늘 위에서 춤추고 있는게 들려?]

[Hand in hand, chasing light, forevermore]
[손을 맞잡고, 빛을 따라 가자. 영원히, 영원이 끝날때까지]

Drifting far, shining abright
멀리 떨어져 있지만 밝게 빛나는 너

Tides will fade, but we will firmly stay
파도는 사라져가지만, 우리는 이곳에 함께 있어

Step by step, we carve a path through the tides
조금씩, 우리의 인연으로 길을 쌓아올리자

Together I'll be by your side
이제 나는 너와 함께 있을테니까
"아, 계속 말을 해줘야 해. 말하는 법을 까먹을지도 몰라."
- 명령조로 이야기하면 듣는 이가 그 말을 따를 수밖에 없는 언령의 구사자 -

【NIKKE 소개】 리틀 머메이드(Little Mermaid) #

1. 개요2. 특징3. 공식 미디어4. 스킬5. 평가6. 대사
6.1. 기본6.2. 어비스 플라워
7. 작중 행적
7.1. 메인 스토리7.2. 사이드 스토리
7.2.1. MUDFISH
7.3. 캐릭터 에피소드7.4. 돌발 스토리7.5. 이벤트 스토리
7.5.1. OLD TALES
7.5.1.1. 1부7.5.1.2. 2부
7.5.2. UNBREAKABLE SPHERE
7.5.2.1. 1부7.5.2.2. 2부7.5.2.3. 에필로그
8. 코스튬
8.1. 기본8.2. 어비스 플라워
9. 능력
9.1. 언령9.2. 물거품
10. 캐릭터성11. 여담

1. 개요

모바일 게임 승리의 여신: 니케에 등장하는 풍압 타입 기관단총 니케. 니케 2.5주년 업데이트로 실장되었다.

2. 특징

2세대 페어리 테일 모델 중 하나인 니케

이름이 길어, 주변 사람들은 보통 [세이렌]이라 부른다

제어가 되지 않아 평소에 말을 하진 않지만,

옹알이 같은 소리로 감정을 또렷하게 표현한다.

【NIKKE 프로필】 리틀 머메이드(Little Mermaid) #

니케로서의 공식 명칭은 리틀 머메이드지만, 가까운 사람들은 세이렌이라는 애칭으로 부른다. 애칭이라고는 하지만 사실상 본명에 가까운 수준으로 본인이 스스로를 소개할 때도 대부분 리틀 머메이드가 아닌 세이렌으로 소개한다.

특이하게 말을 하지 않고 신음 소리로 대화하는데, 그녀가 신음 소리만 내는 이유는 메이든처럼 언령을 통해 주위의 니케를 제압할 수 있고, 부작용으로 리틀 머메이드에게도 부담이 크기 때문. 다행히 UNBREAKABLE SPHERE 시점에서 물거품으로 차단 기능을 만들어서 자유롭게 대화를 하는 것이 가능해졌지만, 말을 삼가는 것이 버릇이 돼서 그런지 지금도 여전히 신음 소리로 소통할 때가 많다.

인게임에서는 필그림 최초의 기관단총(SMG) 무기군 니케이다.

3. 공식 미디어

UNBREAKABLE SPHERE

4. 스킬

모든 스킬 설명은 10레벨 기준이다.
스킬 정보
일반 공격 기관단총
최대 장탄 수 120 재장전 시간 1.00초 조작 타입 일반형
대상에게
[공격력 10.12% 대미지]
[코어 대미지 250%]
스킬 1 패시브 버블 오더
자신이 포커싱 상태일 때 한하여 아군 전체에게
[사격 집중] [지속]
풀 버스트 타임 종료 시 아군 전체에게
[버스트 스킬 재사용 시간 7.48초 ▼]
버스트 타임 시작 시 아군 전체에게
[공격 대미지 4% ▲] [10초 유지]
아군이 소비한 탄의 총합이 400발이 될 때마다 아군 전체에게
[버스트 게이지 충전 37%]
스킬 2 패시브 버블 웨이브
적 등장 시 대상에게
[거품 : 받는 대미지 5.05% ▲] [지속]
일반 공격 50회 명중 시 대상이 거품 상태라면 대상에게
[터진 거품 : 받는 대미지 5.05% ▲] [지속]
[기절] [3초 유지]
[거품 제거]
풀 버스트 타임일 때 한하여 1초 마다 무작위 적들에게
[최종 공격력 63.36% 대미지] [4회 순차 공격]
아군이 소비한 탄의 통합이 500발이 될 때 마다 무작위 적들에게
[거품 난사 : 최종 공격력 85% 대미지] [10회 순차 공격]
버스트 I
파일:니케-1단계.png
액티브 재사용 시간
20.00초
세이렌 송
아군 전체에게
[공격 대미지 10.13% ▲] [10초 유지]
[탄환 충전 33.26%]
자신에게
[시전자 기준 공격력 17.28% ▲] [10초 유지]
버스트 컷신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애니메이션 보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파일:세이렌버스트.gif
[내게, 승리의 이야기를 들려줘!]
}}}}}}}}}

5. 평가

명목상 지원형으로 분류되어 있으나 실상은 파티 운용에 필수적인 유틸리티와 사용자 편의성까지 겸한 인권급 딜러형 니케. 드디어 1군 1버스트 자리에서 리타를 확실하게 밀어낸 니케가 나왔다는 평가가 중론으로[1], 지원형 니케임에도 불구하고 방어형 니케인 크라운과 더불어 리세마라 최우선 니케 중 하나로 자리잡게 되었다.
핵심 스킬은 2스킬인 버블 웨이브. 아군이 소모한 탄환 500발마다 총 계수 850%의 순차공격을 발동시키고, 추가로 버스트 타임 시 총 계수 약 253%의 순차공격을 매 초 발동시킨다. 이를 이론상 최대 dps로 환산하면[2] 초당 약 695%의 계수로, 풍압 dps 1위인 시키나미 아스카 랑그레이 : WILLE와 맞먹는 정도의 잠재력을 가진 스킬이라 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이론 상 최대치이고, 실제로 이 스킬만을 위해 4MG 스쿼드를 꾸리는 행동은 재장전과 예열, 힐 지원 부재 등의 문제와 맞물려 효율이 떨어진다. 2MG만 되어도 리틀 머메이드의 밸류는 1버스트 라피 : 레드 후드와 동등하니 무리해서 MG를 기용할 필요는 없는 셈.

게다가 이 딜링 능력엔 누수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판정이 아름답지 못하기로 소문난[3] 순차공격 메커니즘이지만 리틀 머메이드는 발동횟수를 극단적으로 늘리고 공격 1회당 계수를 작게 만들어 어떤 유형의 스테이지에서도 일정한 퍼포먼스를 보여줄 수 있게 되었다. 덕분에 같은 순차공격 메커니즘을 사용하는 신데렐라와 달리 스토리 1군 덱의 요원으로 기용하기에 문제가 없다.

딜링 능력을 제하고도 쓸만한 유틸리티를 많이 지니고 있다. 일단 조합 특성 상 버스트의 발동이 어려울 수밖에 없는 점을 버스트 쿨타임 감소와 버스트 충전량 증가로 완벽하게 상쇄하였고, 소소하지만 아군의 데미지 증가와 적의 받는 피해 증가 버프도 있으며, 여러 군중 제어 기믹으로 수많은 지휘관의 혈압을 상승시켰던 랩쳐들을 무력화할 수 있는 기절을 보유하고 있고,[4] 비버스트 상태일 때 아군의 화력을 한데 모을 수 있는 기믹까지 있다. 딜적인 면은 리틀 머메이드 자신이 이미 충분히 충당했으니 편의성 면에서 이점을 가지는 유틸리티 위주로 설계된 것이 크라운과 가장 큰 차이점이라고 볼 수 있겠다.

리틀 머메이드가 가지는 의의 중에는 라피 : 레드 후드를 본래 위치인 3버스터로 기용할 수 있게 해준다는 것도 있다. 라피는 1,3버스트에 모두 기용될 수는 있는 캐릭터지만 아무래도 가장 강력한 모습을 보이는 것은 3버스터 딜러로 기용되었을 때이다. 리틀 머메이드가 1버스트 자리를 채워주기 때문에 라피가 굳이 1버스트에 들어갈 필요성이 줄어든 것. 물론 라피를 2파티의 1버스트 용병으로 기용할 수 있게 해주는 것도 계정의 전체적인 파워를 끌어올릴 수 있다는 것에서 이점으로 작용한다.

추가로 기존 캐릭터들과의 시너지도 훌륭하다. 일단 전 니케 중 가장 밸류가 높다는 크라운이 재장전 시간 감소 버프를 들고 있는 2버스트 니케다. 필연적으로 MG 위주로 구성해야 하는 상황에서 한 자리를 크라운이 차지했다는 것 만으로도 파티 편성 부담이 거의 사라지는데[5] 화력 면에서 궤를 달리하는 라피 : 레드 후드 또한 MG다. 이 때문에 세이렌 출시 이후 유저들 사이에서 라피, 크라운, 세이렌을 묶어 삼대장 취급을 하고 있으며[6] 최소 2MG 스쿼드는 걱정이 없는 셈이다. 추가로 샷건 덱 힐러로 설계된 앨리스 : 원더랜드 바니가 의외의 주목을 받고 있는데, 힐링 능력과 탄환 충전, 최대 탄약 증가 버프를 들고 있어 리틀 머메이드의 MG덱 구성에서 강력한 안정성을 부여할 수 있기 때문. 의외로 풍스카와는 시너지가 좋지 않다. 풍스카의 버스트 후 현자타임은 리틀 머메이드에게도 딜로스로 다가오기 때문.

단점이라면 2스킬 기믹을 발동시키기 위해 스쿼드 조합을 탄소모가 빠른 MG 니케 위주로 짜야하는 조합의 경직성인데, 대부분의 MG 니케들이 성능이 매우 좋아 단점이 크게 와닿지 않는다. 다만 크라운과의 시너지가 워낙 좋다보니 크라운이 없다면 좀 아쉬워 질 수 있다. 모더니아나 그레이브처럼 일부 니케의 버스트로 발동되는 "장탄 수 무한" 상태일 때 공격은 2스킬의 탄 소모가 적용되지 않으니 주의.[7] 그 외에도 장탄수가 허공에서 줄어드는 것도 탄 소모가 적용되지 않는다.[8]
  • 추천 큐브
    • 택티컬 베어 큐브(탄약 충전)
  • 추천 오버로드 옵션
    • 우월코드 대미지 증가
    • 공격력 증가
    • 최대 장탄 수 증가
      2스킬 버블 웨이브의 효과를 극대화시키려면 이 옵션이 추천된다.
  • 비추천, 또는 기피 오버로드 옵션
    • 차지 속도, 차지 대미지
      SMG 특성상 필요 없는 옵션이다.
    • 방어력

6. 대사

6.1. 기본

상황 대사
획득 [모두와 했던 맹세를 지키기 위해서. 나는 절대 무너지지 않을게...!]
대화 1 [오늘은 물거품으로 뭘 만들어 볼까...]
대화 2 [아, 계속 말을 해줘야 해. 말하는 법을 까먹을지도 몰라.]
대화 3 [아으아... 아, 그냥 말해도 되지.]
방치 [...역시 혼자는 좀 쓸쓸하네.]
호감도 10 대사 1 [내 소중한 친구들... 이제 똑같이 만들 수 있게 되었어. 헤헤.]
호감도 10 대사 2 [에이브가 준 힘, 선하고 소중하게 사용할게.]
호감도 10 대사 3 [이야기의 엔딩은 꼭 다 함께 맞이하자.]
호감도 10 방치 [괜찮아, 기다릴 수 있어. 우리는 분명 다시 만나게 될 테니까.]
필드 이동 [물거품이 길을 찾아줄 거야.]
필드 터치 [불렀어?]
적 조우 [전부, 물거품으로 만들어 줄게.]
스쿼드 편성 [가자, 모두를 찾으러.]
궁극기 준비 [물거품들아...!]
궁극기 [내게, 승리의 이야기를 들려줘!]
풀 버스트 [쏟아내!]
레벨업 1 [더 많은 물거품을 만들어낼 수 있겠어.]
레벨업 2 [이젠, 모두를 지킬 수 있을 거야.]
레벨업 3 [에이브가 지금 내 모습을 본다면, 분명 칭찬해 줄 거야. 헤헤.]
선물 1 [필요하던 거였는데, 잘 됐다. 헤헤.]
선물 2 [이건 헨젤과 그레텔이 받았다면 더 좋아했을 것 같아.]
선물 3 [따로 보관해 둔 다음에, 모두를 만나게 되면 자랑해야지. 헤헤.]
호감도 상승 1 [물거품처럼 몽글몽글해지는 기분이야.]
호감도 상승 2 [외롭던 감정이, 행복으로 가득 채워진 것만 같아.]
호감도 상승 3 [아... 따뜻하다. 물거품 속에 들어간 느낌이랑 비슷해.]
전투 시작 1 [내 목소리는 준비됐어.]
전투 시작 2 [가자, 얘들아.]
전투 시작 3 [혼자가 아니야. 모두가 함께야.]
장전 1 [목을 가다듬고...]
장전 2 [모였다가, 다시 가보자.]
장전 3 [힘낼게, 응원해 줘.]
적 처치 1 [잘했어.]
적 처치 2 [조금만 더 힘내자.]
적 처치 3 [응, 좋아.]
사망 [이래서는 안 돼... 포기하지 말고, 다시 해보자...]
승리 [이야기는 다시 쓰일 거야. 행복하고, 아름답게.]
전초기지 1 [좋은 곳이야. 다 같이 이런 곳에서 살았다면, 어땠을까?]
전초기지 2 [이 건물, 물방울로 장식하면 예쁠 것 같아.]
전초기지 3 [활기가 넘치네. 여기 있는 모두가 행복했으면 좋겠어.]

6.2. 어비스 플라워

상황 대사
획득 [물고기처럼, 어디든 자유롭게 갈 수 있을 것만 같아. 함께 갈래?]
대화 1 [물거품과 하나가 된 기분이야.]
대화 2 [나만의 공간, 나만의 장소. 언젠간 모두에게 보여줄 수 있으면 좋겠어.]
대화 3 [언젠가, 이 물거품 밖에서도 자유롭게 헤엄칠 수 있을까?]
방치 […예쁘게 입었는데, 보여줄 사람이 없네.]
호감도 10 대사 1 [신데렐라가 이 모습을 보면, 아름답다고 말해줬겠지?]
호감도 10 대사 2 [라라라~ 라라라라~♬]
호감도 10 대사 3 [이 안, 정말 따뜻해. 모두가 날 안아주고 있는 느낌이야.]
호감도 10 방치 [이런 옷을 입고 기다리면, 왕자님이 날 찾으러 와줄 것만 같아. 헤헤.]
필드 이동 [어푸어푸~]
필드 터치 [응. 여기 있어.]
적 조우 [나쁜 물고기들을 쫓아내 볼까?]
스쿼드 편성 [헤엄쳐서 가볼까?]
궁극기 준비 [다들, 숨 참아.]
궁극기 [빛을 향해, 힘껏 헤엄치는 거야…!]
풀 버스트 [빠르게 몰아쳐!]
레벨업 1 [물거품이 더 단단해졌어.]
레벨업 2 [힘이 넘쳐흐르는 것 같아.]
레벨업 3 [시간이 지난 만큼, 다들 강해졌을 거야. 나도 뒤처지지 말아야지. 헤헤.]
선물 1 [와아…! 지금 옷에 너무 잘 어울릴 것 같아.]
선물 2 [물거품 속에 보관해 둬야지. 헤헤.]
선물 3 [물고기들에게도 나눠줄 수 있을까?]
호감도 상승 1 [좋아해. 많이많이 좋아해.]
호감도 상승 2 [물거품처럼 따뜻하고, 부드럽고, 달콤한 느낌이야.]
호감도 상승 3 [어두운 심해 속을 밝히는 햇살 같아.]
전투 시작 1 [물거품, 준비 됐어.]
전투 시작 2 [얘들아, 부탁해.]
전투 시작 3 [신나게 헤엄쳐보자.]
장전 1 [보글보글~]
장전 2 [아아. 응, 목소리 괜찮아.]
장전 3 [다음엔, 더 빠르게.]
적 처치 1 [잘했어, 얘들아.]
적 처치 2 [다음.]
적 처치 3 [쫓아냈어!]
사망 [이대로는 자유롭게 헤엄칠 수 없어…]
승리 [물결이 잔잔해졌어. 이제, 다음 이야기를 향해 헤엄쳐서 가볼까?]
전초기지 1 [여기에 있으면, 외로움이 사라질 것만 같아.]
전초기지 2 [언젠가는 여기에 있는 모두와 친구가 될 수 있을까?]
전초기지 3 [모두 자유로워 보여. 부럽고, 멋있어.]

7. 작중 행적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7.1. 메인 스토리

챕터 33에서 세이렌으로 언급된다. 이후 챕터 34에서 신데렐라에 의해 포비스트레비아탄이 다크 매터를 물처럼 조작하는 능력의 원천이 세이렌 = 리틀 머메이드의 '물거품'이라는 것이 확실히 밝혀졌으며, 레비아탄 역시 정신 간섭 능력으로 베꼈다고 말한다.

챕터 35에서 나오는 레비아탄이 다스리는 검은 늪 지역에서 리틀 머메이드가 남긴 물거품들이 발견된다. 리틀 머메이드의 능력을 베낀 레비아탄이 다크 매터를 매우 자유자재로 다뤘듯, 원능력자였던 리틀 머메이드는 그 이상의 응용력을 가졌다는걸 보여주는데 그녀가 남긴 물거품들은 색깔만 보랏빛이지 외형은 묘사한 대상과 굉장히 흡사할 정도로 정교한데다가, 묘사한 대상외 타인이 건들면 아무 일도 없지만, 대상이 직접 만지면 리틀 머메이드가 남긴 메시지로 변하거나 방향을 안내하는 이정표로 변하는 마법 수준의 응용력을 가졌다.[9]

챕터 36에서 레드 슈즈를 제외한 올드 테일즈 스쿼드를 묘사한 물거품에다가 재회를 그리워하는 메세지를 새겼다. 이후 지휘관 일행과 임시 동맹을 맺은 레비아탄에 의해 다크 매터는 세이렌의 물거품과 유사한 성질을 지녔으며[10] 다크 매터를 잘 다루기 위해 세이렌에게 정신 붕괴를 걸어 물거품을 베껴서 '검은 물' 이라는 능력을 얻게 되었다고 한다.[11] 또한 사실 세이렌과 레비아탄은 친구 관계였다는 것이 드러났다. 천성이 착해서 그런지 레비아탄에게 바보같이 퍼주기만 했다고.

신데렐라에게만 반응하는 신데렐라 모양 물거품처럼, 레비아탄에게만 반응하는 물거품도 남겼는데[12] 이를 레비아탄이 건드리자 [나는 괜찮아]라는 메시지가 나오는 등 니케와 헬레틱이었지만 의외로 우호적이었다는 것이 암시된다.[13] 레비아탄에게 남긴 물거품이 메세지 출력 이후 마치 이정표처럼 움직이는 것을 확인한 신데렐라와 그레이브는 그곳에 리틀 머메이드와 관련된 단서가 있을 거라 생각하며 주인공 일행에게 양해를 구하고 그녀를 찾으러 간다.

7.2. 사이드 스토리

7.2.1. MUDFISH

궤도 엘리베이터에서 바다로 떨어진 후 동료들을 찾기 위해 수십 년 동안 지상을 떠돌아다녔다고 한다. 하지만 광활한 지상에서 동료들의 흔적은 발견되지 못했고, 오랜 세월 동안 몸과 마음이 마모돼서 지쳐가기 시작한다. 이후 물방울을 사용해서 바다를 표류하다가 결국 힘이 빠져서 바닷가에 도달하는데, 우연히 은둔 생활을 하던 레비아탄과 만난다.

외딴 동굴에서 말소리를 듣고 깨어난 세이렌은 모습을 숨긴 목소리의 주인에게 다가가는데, 험한 생활을 해서 겁을 먹은 레비아탄이 눈을 붉게 만들어서 헬레틱인 척 허세를 부린다. 헬레틱에게 시달린 세이렌은 곧바로 물방울을 전투 모드로 전환해서 공격하고 언령으로 레비아탄을 제압한다. 잔뜩 쫄은 레비아탄이 헬레틱이라는 건 거짓말이라 해명하자 눈 색을 바꿀 수 있고, 얼굴에 이상한 액체 같은 것이 흐르는 니케는 본 적이 없다며 경계를 멈추지 않는다. 레비아탄 본인도 원해서 이런 모습이 된 것이 아니라며 서럽게 울자 당황해서 사과하지만, 겁을 먹은 레비아탄이 경계심을 보이자 과거를 떠올린다.

연구소에 있을 시절 세이렌은 자신을 간지럽히는 헨젤과 그레텔을 멈추기 위해 언령을 사용했는데, 언령에 처음 당한 쌍둥이들이 겁 먹고 도망쳐서 시무룩해 한다. 이를 본 에이브는 사과하면 된다며, 뭐라도 배를 채우면 쉽게 해결이 된다고 조언한다. 과거 회상을 마친 세이렌은 밖으로 나가 물고기를 낚고 요리를 마친 후 레비아탄을 밖으로 데려가려고 한다.

레비아탄은 처음으로 맛 본 물고기 구이의 맛에 빠져 세이렌에게 친근감을 표시하며 어느 스쿼드 출신이냐고 묻는다. 하지만 친구들을 찾느라 방주에 대해 전혀 몰랐던 세이렌은 답해주지 못하고, 이를 자신과 똑같다고 오해한 레비아탄이 검은 물을 마셔서 그런 거냐고 묻자 아니라고 답한다. 동족이 아니었다는 사실에 아쉬움을 느낀 레비아탄이 이름도 잊어버린 현실을 한탄하자, 세이렌은 레비아탄의 인식표에 적혀진 "LEV-20765"에서 따온 '레비'[14]라는 애칭을 붙여준다. 레비아탄은 애칭은 애정을 담아서 부른다는 별명이라는 말에 마음에 들었다며 받아들이면서 둘은 친구가 된다.

세이렌은 친구들을 찾는 걸 포기하지 않았지만 심신이 지친 상태이고, 무엇보다 고독감에 시달리는 레비아탄을 안쓰러워 해서 한 달간 레비아탄과 지내게 된다. 한동안 같이 지내면서 레비아탄이 얼굴에서 흘러나오는 검은 물을 컴플렉스로 여기는 걸 눈치채고, 검은 물이 자신의 물방울과 비슷한 액체 금속이라는 점을 이용해서 레비아탄에게 검은 물의 조종 방법을 가르쳐준다.

하지만 말로 가르치는 것에는 미숙했던 터라 제대로 기술을 전해주질 못 했고 이 때문에 계속되는 실패에 자포자기한 레비아탄은 세이렌의 격려에도 더 이상 희망을 주지 말라며 화를 내고 도망치게 된다. 그래도 세이렌은 화내지 않고 도망친 채 스스로를 자학하고 있던 레비아탄에게 다가가 다시 열심히 하자고 한다. 이에 레비아탄이 자신이 진짜 적이 맞고 기술만 빼먹고 너를 이용해먹은 뒤 버리기라도 하면 어쩔 거냐는 물음에 과거 자신의 무고함을 밝혔음에도 믿어주질 못해 고통받았던 동료에 대해 이야기하면서 그런 일을 되풀이하고 싶지 않고, 자신의 눈으로 본 선량한 레비아탄을 믿는다는 대답을 해 서로의 마음을 확인한다.

이후 물방울을 이용해 자신의 심상을 레비아탄에게 열어주고 그 안에서 자신의 기술을 모두 전수해주는 방식으로 레비아탄에게 물거품에 대한 정보를 알려주고, 레비아탄도 세이렌이 전해주는 정보들에 흥분을 감추지 못하면서 받아들였지만 레비아탄이 가진 정신붕괴 능력이 세이렌의 심상을 침범하는 사태가 일어나 물거품을 해제하고 둘 다 3일간 기절하는 해프닝이 벌어지기도 했다.

그렇게 물거품에 대한 기술을 받은 레비아탄의 숙련도가 올라가기 시작했고 동시에 약속했던 기한도 끝나가고 있을 무렵 레비아탄은 세이렌과 함께 가고 싶다고 요청한다. 세이렌은 자신이 지켜줄 수 없는 상황이 올 수도 있는 위험 때문에 거절하려고 하지만, 물거품을 다룰 수 있게 된 자신의 강함을 믿어달라며 일주일 안에 랩쳐의 코어를 부술 정도의 전투력을 보여주면 함께 가기로 약속한다. 그리고 일주일 후 레비아탄은 진짜 랩쳐 격파에 성공하게 되었고 세이렌도 약속대로 함께 떠나자고 하면서 둘은 동굴을 떠날 준비를 하게 된다.

그러나 궤도 엘레베이터 주변을 지키던 초 거대 랩쳐 글러트니가 접근해오는 사태가 발생했고, 그 이유가 강한 에너지원을 포식하려는 본능을 가진 글러트니가 레비아탄에게 기술을 전수할 당시 생성한 세이렌의 물거품을 감지하고 다가왔음을 깨닫게 된다. 세이렌은 자신이 시간을 끄는 틈을 타 레비아탄에게 먼저 도망가라고 했지만, 레비아탄은 자신도 할 수 있다고 하면서 둘이서 함께 토벌하자는 의견을 내놓았고, 세이렌은 그 뜻을 받아들여 글러트니를 토벌할 방안을 짜게 된다.

세이렌은 최대한 거대한 물거품을 만들어 글러트니가 삼키도록 유도하고 삼키는 그 순간 물거품을 기둥처럼 만들어 고정시킨 틈을 타 레비아탄이 안 쪽의 코어를 물거품으로 파괴하는 작전을 세웠고, 레비아탄에게 마지막까지 힘들 것 같다면 지금이라도 도주하는 것이 좋다고 했으나 끝까지 함께 하겠다는 의지를 거두지 않아 작전을 진행하게 된다.

그렇게 초기 목표대로 글러트니가 물거품을 삼키자 세이렌이 거대한 기둥으로 만들어 입을 벌린채로 고정시켰으나 거대한 글러트니의 치악력은 상당했다보니 오래 버틸 수 없어 빨리 코어를 파괴해달라고 외치지만 레비아탄은 압도적으로 거대한 글러트니의 모습을 보고 패닉에 빠져 몸 속의 코어도 제대로 확인하지 못한 채 겁먹게 되었고, 결국 물거품이 버티질 못해 세이렌이 그대로 삼켜져버리는 참사가 벌어진다. 이를 본 레비아탄은 공포에 빠져 자신도 모른채 다크 매터 속으로 잠영하는 능력을 개화해 현장을 도망쳐나왔고, 이후 정신을 차린 레비아탄은 할 수 있다고 호언장담 해놓고선 아무 것도 못한 채 세이렌을 뒤로 하고 도망쳐나온 자신을 원망하면서 이야기가 끝난다.

7.3. 캐릭터 에피소드

세이렌. 언령을 쓰는 사람은 선해야해. 그렇지 않으면, 그 능력은 분명 너를 외롭게 만들 거야.
리틀 머메이드의 캐릭터 에피소드는 올드 테일즈 전투 연습을 하던 과거 회상 내용이다.

모의 전투 중에서도 세이렌은 평소처럼 언령 기능 때문에 옹알이로 말을 해야 했고, 레드 슈즈와 신데렐라는 정확하게 알지는 못해도 그냥 분위기상 이런 말을 한 것이 아닌가 파악하며 세이렌을 이해했고, 헨젤과 그레텔은 잘 모르겠다며 푸념하면서 연습에 임했다. 그러다가 팀의 의견이 갈리자 하는 수 없이 자신의 의견을 의문형으로 말로 직접하여 대화를 진행할 수 있었고, 모의 전투가 잘 진행되는 와중에 신데렐라가 세이렌에게 언령을 요청했는데, [정지]라는 언령이 올드 테일즈 스쿼드 인원 전원에게 적용이 되어버려 모의 전투가 중단됐다.

중단된 전투에 대한 회고를 하며 세이렌을 포함한 모두가 지멋대로 이상한 방식으로 전투에 임했다는 에이브의 지적을 듣고 난 뒤, 헨젤과 그레텔이 세이렌의 언령에 호기심을 느끼고 여러 질문을 한다. 전지전능한 수준은 아니지만 간단한 명령을 거의 무조건 듣게 되는 정도라는 것을 알게 되고, 헨젤이 그러면 니케를 지켜라, 다른 랩쳐들을 죽여라 등의 명령을 랩쳐한테 직접 해버리면 되는 것 아니냐는 말을 한다. 그리고 그 내용을 들은 레드 슈즈가 입맛을 다시며 랩쳐를 지켜라, 다른 니케들을 죽여라 등의 언령이 니케에게도 통하겠다고 말하며 헨젤의 말에 동의한다. 그렇게 레드 슈즈와 헨젤은 세이렌이 나쁜 마음을 품게 된다면 악용하면 위험해질 수 있겠다는 이야기를 하자 본인은 부정하지만 더 말을 잇지 못하고 미안하다며 자신의 방으로 들어간다.[15]

이후, 에이브가 세이렌을 점검하고자 언령을 사용해보라 하지만, 언령 사용을 망설이며 쓰지 않으려고 한다. 그런 모습은 본 에이브는, 네가 더럽게 착해 빠져서 자신을 절대 해치지 않을 것을 잘 알고 있으니 그냥 말해보라고 한다. 그러자, 세이렌은 에이브가 말해준 충고대로 착하게 살았다고 생각했는데 너무 외로운 자신을 보고 나는 악한 것인지 물어본다. 에이브는 세이렌이 착하다는 확신이 없으니 다른 니케 인원들이 그렇게 생각하는 것 뿐이라며 에이브를 믿고 능력을 펼쳐보라며, 정 자신을 못믿겠다면 스스로에게 "나는 존X 착해빠진 녀석이다"라고 언령을 사용해보라고 충고한다.

다음 모의 전투는 기존 모의 전투보다 더 현실감 있고 조금 격한 훈련이었다. 그런 훈련에서도 잘 해내던 스쿼드가 매복에 방심하여 위기를 겪은 순간, 세이렌이 언령을 랩쳐에게만 한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작은 물거품의 약한 파동으로 랩쳐를 제압해낸다. 그리고 언령 사용하면 세이렌이 겪는 부작용이 강하다는 것을 다른 스쿼드 인원들이 알게 됐고, 세이렌은 힘들어서 쓰러진다.

훈련이 끝난 뒤 일어난 세이렌에게 다른 동료들이 달려왔고, 세이렌은 자신이 절대 동료들을 해치지 않을 것이라는 것을 보여주고 싶었던 마음을 고백한다. 또한, 언령의 부작용으로 무리까지 한 이유를 묻자 이렇게까지 해서라도 모두와 함께 있고 싶다는 자신의 생각을 모두에게 말해준다. 자신은 존X 착해빠진 녀석이라 절대 모두를 해치지 않을 것이며, 무섭게 하지도 않을 것이고 정 원한다면 절대 입으로 말을 하지도 않겠다며까지 자신의 진심을 말해준다. 그런 말을 듣은 모두가 마침내 세이렌을 이해할 수 있게 되어 한마음이 된 모습으로 지내게 된다.

7.4. 돌발 스토리

7.5. 이벤트 스토리

7.5.1. OLD TALES

7.5.1.1. 1부
말을 하지 못하기 때문에 대사는 몇 마디 없지만, 올드 테일즈의 멤버로서 실전에 배치되기를 바라고 있으며 동료들을 많이 아끼고 있다.

하지만 어떤 사정으로 인해 신데렐라가 침식에 당해 헬레틱 아나키오르로 변이되는데, 이를 막기 위해 언령을 시전하지만 능력에 익숙치 못해 기침을 하는 동안 턱을 가격당해 쓰러지고 만다. 그 상태로 아나키오르에게 집중적으로 공격을 당해서 턱이 완전히 으스러지고 말았고, 다른 동료들도 힘의 원천이 되는 부위를 잃어 패배하고 만다.

다행히 몸만 겨우 간수한 에이브가 혼란을 틈타서 예비 부품을 가져다가 2달의 시간을 걸쳐 치명적인 손상을 입은 올드 테일즈 스쿼드를 복구하는 데 성공한다. 신데렐라가 침식된 것도 충격이지만, 소중한 동료가 그런 꼴을 당한 걸 가슴 아파한다.

한편, 중앙 정부군에서는 신데렐라가 침식됐다는 이유로 올드 테일즈 스쿼드 전원 잠정적으로 위험 니케로 판단해서 체포하러 온다. 순순히 잡혀줄 생각이 없었던 에이브는 언령의 효과를 막는 특수 헬멧을 착용한 후 리틀 머메이드를 시켜 모두를 정지시키고 정지된 중앙 정부군을 제압한 뒤 스쿼드 멤버들을 데리고 피신한다.
파일:세이렌_물거품.webp
리틀 머메이드의 물거품

이후 배신자 혐의를 벗을 겸 신데렐라를 원래대로 되돌리기 위해 올드 테일즈 스쿼드가 헬레틱 아나키오르가 된 신데렐라와 교전을 벌인다. 아나키오르의 장기인 원거리전이 아닌 근거리전을 유도하며 유리한 싸움이 되나 싶었지만, 아나키오르와 교전 중인 니케가 있다는 것을 발견한 인류군이 전투에 합류하며 예상치 못하게 계획이 어그러진다. 수세에 몰렸다고 판단한 아나키오르는 근접전을 포기하고 무장을 전개해 날아올라 궤도 폭격으로 그 자리에 있던 모두를 쓰러뜨린다. 유일하게 남은 것은 에이브였고, 공격을 버텨낸 에이브에게 흥미를 느낀 아나키오르는 아슬아슬하게 에이브를 죽이지 않으며 농락한다. 에이브는 공격을 전부 맞으며 아나키오르에게 다가가 유리 구두를 돌려 피칠갑된 자신의 얼굴을 보게 하고는 쓰러진다. 이로 인해 내부의 신데렐라의 정신이 완전히 붕괴되고, 신데렐라가 아나키오르와 정신이 융합되며 갓데스와 싸우게 되는 계기가 된다.
7.5.1.2. 2부
침식이 풀린 신데렐라를 에이브가 개인 벙커로 빼온 후 스쿼드 전원이 모이게 된다. 하지만 헨젤&그레텔은 끔찍하게 당한 기억 때문에 살의를 불태우고 있고, 리틀 머메이드는 시간을 조금 달라고 하며 거리를 두려고 한다. 분위기가 가라앉은 것을 본 레드 슈즈가 자신과 신데렐라만의 자리를 만드나, 레드 슈즈가 자신이 흑막임을 털어내자 분노한 신데렐라가 레드 슈즈의 코어를 꿰뚫어 즉결처형한다. 하지만 다른 스쿼드원이 달려와 본 것은 헬레틱 아나키오르가 레드 슈즈와 단 둘이 되자 죽여버린 광경밖에는 되지 못했고, 신데렐라는 모멸감 속에 자신의 해명을 믿어주지 않는 스쿼드원들에게 실망하여 도망간다.

이후 오스왈드에게 이끌려 신데렐라와 다시 마주한다. 그 시점에서는 오스왈드의 조사를 통해[16] 레드 슈즈가 정말 흑막이었음이 밝혀진 상태였고, 헨젤&그레텔과 리틀 머메이드는 신데렐라와 화해하게 된다. 이후 레드 슈즈를 제외한 올드 테일즈는 퀸을 잡기 위해 궤도 엘리베이터로 향한다.

결국 궤도 엘리베이터에 탑승해 올라가나, 도중 퀸이 발사한 광선에 엘리베이터가 두 동강이 나며 지상으로 떨어져 생사를 알 수 없게 되었는데 메인스토리 34챕터에서 다크 매터 물질이 머메이드의 기술을 차용한 것이라고 하는 것과, 36지에서 머메이드의 행방이 나온것을 보면 생존이 확실시되었다.

7.5.2. UNBREAKABLE SPHERE

글러트니에게 먹히고 그 안에서 무려 70년이 넘는 세월을 살았다는 것이 드러난다.[17] 글러트니의 내부는 자연물을 제외한 모든 걸 소화하는 소화액이 흘러 위험하지만, 물거품은 소화하지 못한다는 점을 이용해서 방어막을 만들고 그 안에서 글러트니의 내부에 떠돌아다니는 표류물들을 모아 기지를 만들었다. 혼자 사는 것 치고는 꽤 넓고 안전한 장소를 만들었지만, 대화할 상대가 아무 것도 없는 공간이라 큰 고독감을 느낀 모양. 심심함을 풀기 위해 물거품으로 동료들의 인형, 디펜스 게임도 만들던 중, 물거품을 글러트니의 위장 밖으로 보낼 방법을 찾아서 메세지가 담긴 물방울을 종종 보냈다.
7.5.2.1. 1부
[절대 죽지 않을거야. 약속할게.]
살려달라는 모리의 외침을 들으며
어느 날[18] A.A 필러를 노리던 글러트니가 근처에 있던 미하라, 유니, 모리를 삼킨다. A.A 필러가 글러트니에게 넘어가면 위험이 생기고, 무엇보다도 삼켜진 사람들의 강렬한 의지를 느낀 세이렌은 글러트니에게 걸릴 위험을 무릅쓰고 구해준다. 하지만 글러트니에게 잡아먹힌 걸 알면 패닉에 빠질까봐 현재 자신들이 있는 장소는 심해 어딘가라 거짓말을 한다.

미하라와 유니는 대략 상황을 파악했음에도 자신들을 구해준 세이렌을 은인으로 여겼기 때문에 반발하지 않았지만, 불량품이라는 평가를 들으며 무수한 배신과 박해를 받은 모리는 세이렌의 말을 쉽사리 따르지 않고 경계한다. 마치 길가에 버려진 고양이처럼 모두와 거리를 두며 퉁명스럽게 구는 모리에게 레비아탄을 겹쳐봤는지 모리에게 끊임없이 다가가서 어느 정도 친근감을 사는데 성공한다.

한편, 진실을 알아내려는 미하라가 감각 교환 능력으로 물거품에 접속하자 그 이상은 안된다며 접속을 끊고, 글러트니는 언령도 통하지 않기 때문에 괜한 시선을 끌어서는 안된다고 경고한다. 이후 한동안은 평온한 나날을 보냈으나, A.A 필러의 에너지를 감지한 글러트니가 내부의 랩쳐를 시켜 세이렌의 기지를 탐색하고 있었다. 진실을 깨달은 모리가 패닉에 빠져 거짓말을 한 세이렌에게 배신감을 표하다가 지엔이 준 콜링 시그널을 실수로 작동시키는 바람에 결국 세이렌의 기지의 존재를 글러트니에게 발각 당하고 만다. 설정가상으로 랩쳐와 융합한 유니가 콜링 시그널을 듣고 폭주해서 미하라를 죽이려들자 언령으로 제압한 후 정신을 차리게 하는데 성공한다.

이 모든 것을 자신의 탓이라 여긴 모리가 어디론가 사라지자, 그녀가 처음에 모두로부터 몸을 숨긴 구덩이 속에 있을 것이라 짐작해서 찾아간다. 모리에게 진실을 숨긴 걸 사과하는데, 잘못은 전부 자기가 했는데 왜 세이렌이 사과를 하는 것이냐며 의문과 함께 눈물을 터뜨리는 모리에게 어차피 A.A 필러를 가지고 있는 이상 들킬 일이었다며 모리의 잘못이 아니라 두둔한다. 또 자신을 혐오하는 모리를 따뜻한 말로 위로하며 마침내 모리의 마음을 완전히 열게 된다.[19]
[난 슬퍼. 모리가 죽으면 슬플거야.]
[분명히 들었고, 분명히 잡았어. 모리가 살아있어서 기뻐. 널 구할 수 있어서 좋았어. 아무도 네가 태어난 걸 축하하지 않는다면, 내가 축하할게.]
(모리: 뭐...?)
[태어난 걸 축하해. 모리. 널 만나서 기뻐. ]
(모리: 너...)
[니케들에게는 생일이라는 개념이 없지만, 태어난 걸 축하하는 날을 생일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면, 오늘이 모리의 생일인걸로 하자. 매년, 이 날짜마다 모리가 태어난 걸 축복할 수 있도록.]
(모리: 왜... 이러는 거야. 나한테 왜 이렇게, 왜 이렇게까지 해주는 거야.)
[널 구하고 싶으니까. 네가 불행하지 않았으면 좋겠으니까.]
(모리: 그러니까 왜!!)
[모리가 죽으면 너무 슬플 것 같아서. 난 모리와 만나서 행복했거든. 외롭고 고독했던 이 물거품 속에 네가 찾아온 게, 너무 행복했어. 그러니 네가 죽지 않았으면 좋겠어. 네가 살아서 행복했으면 좋겠어.]

그리고 예정보다 일행들을 밖으로 보낼 준비가 일찍 끝났다며 당장 밖으로 보내려 하는데, 상황이 예상보다 심각한 걸 눈치챈 미하라가 끝까지 곁에 남아 돕겠노라고 말한다. 하지만 고독에 시달리던 자신에게 따뜻한 일상을 보낼 수 있게 한 친구들을 위험에 빠뜨릴 수 없었던 세이렌은 이를 거부한다.
파일:evsseiren.png
결국 모두를 내보낸 세이렌은 만나고 싶었던 친구들을 결국 다시 못 만날 것 같다는 슬픔과 그럼에도 새로운 친구를 만난 것에 대한 기쁨, 그리고 그들을 지키겠다는 마음으로 자신의 죽음을 각오하면서 글러트니를 막아세우기 위해 최후의 저항을 준비하는 것으로 1부가 마무리된다.

7.5.2.2. 2부
글러트니 내부에서 마지막 계획을 실행하려는 세이렌. 하지만 그러던 도중 모리가 난입하고, 세이렌에게 함께 탈출하자고 설득한다. 처음엔 거절했던 세이렌이었으나 모리의 간곡한 설득에 마음이 동한 나머지 지상으로 올라가고 싶다는 희망을 되찾고 계획을 수정한다. 세이렌이 소화액을 막는 동안, 물거품으로 조준 보조가 가능한 총기를 제작해 모리가 수정을 글러트니의 코어에 박아넣을 수 있도록 돕고 소화액이 약해진 틈을 타 함께 탈출한다. 탈출했음에도 글러트니는 쉽사리 무력화되지 않았다. 결국 모두가 글러트니와의 최후의 결전을 준비하고, 힘을 합쳐 결국 무력화에 성공한다.
파일:srnevs.png
그렇게 세이렌은 70년만에 지상의 햇빛을 제대로 만끽하게 되고, 감정이 벅차올라 엉엉 우는 모리와 귀여운 실랑이를 하며 시간을 보낸다. 그런데 그것도 잠시, 세이렌은 익숙한 실루엣이 해변가를 따라 걸어오는 것을 포착한다.
파일:세이렌과신데렐라손.jpg파일:끌어안은아우아와해병데렐라.jpg
오랜 시간 끝에 리틀 머메이드와 재회한 신데렐라
세이...렌? 정말... 야? (세이렌의 손을 만지작거리며)...따뜻해.
신데렐라

해변가를 따라 걸어오는 것은 바로 신데렐라와 그레이브였다. 서로를 기억하고 있었던 세이렌과 신데렐라는 눈물의 재회를 하는데, 막상 기억이 엉망이 되어버린 그레이브는 세이렌을 알아보지 못했다. 하지만 세이렌의 손이 닿자 에이브 시절이 오버랩되며 자신도 알 수 없는 눈물을 흘리고는 세이렌을 안아준다. 그렇게 셋은 지금까지의 한을 풀고 해피 엔딩에 한 발짝 다가선다. 이후에는 정황상 잠깐 다같이 지낸 듯.

지휘관과 협력해온 신데렐라가 메인 스토리 36지에서 이탈한 후 세이렌을 찾으러 가는 여정이 비교적 빨리 끝남으로써[20] 39-40지에서 신데렐라와 함께 지휘관 일행에 합류할 가능성이 커졌다. 마침 지휘관 일행과 세이렌 모두 글러트니를 완전히 토벌하지 못했으므로 토벌 과정에서 도움을 주면서 나타날 가능성이 크다.
7.5.2.3. 에필로그
모든 일이 해결된 이후엔, 일행 모두와 함께 진짜 바닷속이 된 물방울 거처에서 일주일간의 휴식을 즐긴다. 7일간의 휴식을 즐긴 후 워드리스 스쿼드에게만 작별 인사를 하고 모리는 쏙 빼놓았는데, 알고보니 세이렌은 모리가 자신을 설득하기 위해 했던 말[21] 때문에 자신과 함께 동행하는 것이라 상정했기 때문에 일부러 작별 인사를 안 했던 것. 결국 올드 테일즈 스쿼드 모두가 찬성하면서[22] 모리 역시 세이렌을 비롯한 올드 테일즈 스쿼드와 동행하게 된다.

이후 신데렐라가 지휘관 일행에 다시 합류하기 전에 헨젤과 그레텔도 찾으려 하자 급격히 안색이 어두워진다. 왜 그러냐는 신데렐라의 물음에 '그들과 함께 싸우고 싶다면' 찾지 않는 편이 좋을 것이라고 답하는데, 이유는 그 둘은 더 이상 인류의 편이 아니기 때문.

8. 코스튬

8.1. 기본

리틀 머메이드
파일:니케리틀머메이드.png
엄폐 사격
파일:세이렌엄폐.png 파일:세이렌사격.png

8.2. 어비스 플라워

어비스 플라워
파일:진짜인어공주.png
엄폐 사격
파일:세이렌어비스플라워엄폐.png 파일:세이렌어비스플라워사격.png
버스트 컷신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애니메이션 보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파일:니케리틀머메이드어비스플라워버스트컷신.gif
“[빛을 향해, 힘껏 헤엄치는 거야…!]” }}}}}}}}}
항상 무표정이였던 리틀머메이드가 처음으로 웃는표정이 나온 코스튬이다

그러나 복장 컨셉이 리틀 머메이드의 일반 모습과 너무 비슷하다는 의견이 많아서 호불호가 갈리고 있다.

굳이 차별화된 부분을 찾자면 원본과 비교해 좀더 인어공주 컨셉에 충실했다는 점 정도.

9. 능력

9.1. 언령

파일:세이렌_언령.webp
리틀 머메이드의 언령

메이든처럼 언령을 통해 주위의 니케를 제압할 수 있다. 현세대의 언령 능력자인 메이든의 프로토타입이라고 할 수 있으나, 리틀 머메이드에게는 언령을 조절하는 기능이 없고 말 하는 것만으로도 목이나 호흡기에 이상이 생기는지 몇 마디 하지 못하고 금방 콜록거리며 괴로워해서 주변에서 그녀가 말하는 걸 최대한 자제시키는 묘사가 자주 나온다.[23] 대신 메이든과 달리 리틀 머메이드의 언령은 인간에게도 통한다. 심지어 니케도 청각 센서만 끄면 손쉽게 대처하는 메이든의 언령과 달리 이쪽은 언령을 차단하기 위해 에이브가 특수 제작한 마스크 같은 도구가 아니면 막기 어려운 것으로 보인다.[24]

OLD TALES 스토리에서 시간이 많이 흐른 UNBREAKABLE SPHERE 시점에서는 물거품으로 자신에 목에 얇은 거품막을 씌워 언령을 차단하는 기능을 만들어서 자유롭게 대화가 가능하며, 콜록대는 일도 사라졌다.

9.2. 물거품

파일:evsbubble.png
전용 무기로 원전의 '물거품'을 사용한다. 고밀도 액체 금속으로 만들어졌으며, 뇌파를 통해 조종해서 형태 변화가 자유롭다. 촉매인 물거품을 붙이면 언령이 광역기가 아니라 거품을 붙인 대상에게 단일기로 들어가 대규모 전투에서 아군 오사의 가능성을 없앨 수 있다고 한다. 올드 테일즈 당시에는 언령의 보조 장비라는 느낌이 강했지만 스토리가 진행되면서 범용성이 높은 만능무장이라는 것이 밝혀진다.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형상을 바꾸는 것은 물론, NIMPH에 간섭해서 니케끼리 정신을 연결시키는 등 다양한 용도로 쓸 수 있다. 위협용으로 뭉쳐 날린 물거품이 바위를 부수거나 웬만한 자연지형 수준으로 거대한 랩쳐인 글러트니의 입 안에 물거품을 넣고 기둥 모양으로 만들어서 입을 닫지 못하게 만드는 등 사용 용도와 범위가 매우 넓어 전투용 무장으로의 스펙도 출중하다.

UNBREAKABLE SPHERE 시점에서는 글러트니의 목 안에서 살아남기 위해 물거품을 이용하는 동안 숙련도가 더욱 올라 글러트니에게서 소화되지 않고 70년이나 버텨왔으며, 역으로 글러트니가 내뿜는 소화액의 성질을 이용해 자신의 물거품의 동력으로 정화해서 이용하면서 아예 거대한 공간을 형성해 생활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일종의 인공 생명체나 가구, 총을 만드는 등 페어리 테일 시리즈 니케에 걸맞는 규격 외의 성능을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한계까지 쥐어짜내서 사용하면 바디가 액체금속화 하는 문제가 있다는 것이 밝혀지면서 최대출력을 일정 시간 이상 지속하면 생명이 위험해진다. 결국 리틀 머메이드의 모든 능력은 강력하지만 자기 자신을 희생하면서 사용하는 리스크 있는 능력인 셈.

10. 캐릭터성

니케들 중에서도 정말 독보적으로 착하고 선량하다. '순수 선'이라는 표현에 완벽하게 부합하고, 스토리에서 묘사된 것만 봐도 정말 선함의 결정체 수준이다. 대부분 아무리 착한 캐릭터라도 자신의 욕망과 최소한 개인적인 바람 정도는 내비치는 경우도 흔한데, 세이렌은 그런 묘사조차 전혀 없고 늘 남을 위하고 남을 먼저 생각하는 면모만이 부각된다. 과거 에피소드만 봐도 착하다 못해 호구, 천연 기질까지 보일 정도인데, 핸젤과 그레텔의 장난에도 아무 말도 못하고, 심지어 에이브가 벌로 청소를 시키자 도와주기까지 했다. 황당해하며 네가 그걸 왜 돕냐고 따지는 에이브에게 도리어 왜 도우면 안 되는지 물어볼 정도. 호구 같아 보일 정도로 성격이 순하고, 남의 말을 있는 그대로 듣는 순수한 성격이다보니 개그신도 종종 보여준다. 에이브가 "나는 X나 착해빠진 녀석이다"라는 농담처럼 건넨 말을 모두의 앞에서 욕설까지 그대로 읊기도 하고, 호의에 부담을 느끼며 구덩이에 들어간 모리가 불편하다고 중얼거리자 침대가 많이 불편하냐며 진심으로 걱정할 정도. 거기다가 모리가 너는 뭐냐고 놀라자 자신의 이름을 물은 줄 알고 이름을 다시 한 번 가르쳐준다.

누구에게나 상냥하고, 한 번 본 이들은 다들 좋은 친구로 여길만큼 따뜻하다. 워낙 순수해서 남을 쉽게 믿는데다 어지간해서는 그 믿음이 흔들리지도 않는다. 게다가 정말 용서받지 못할 잘못을 한 사람이 아니라면 모든 사람들을 좋은 사람이라고 진심으로 생각한다. 자신을 두고 도망친 레비아탄도 좋은 사람이라 생각하며 이해할 정도. 또 친구로 여긴 이들을 자신보다 더 우선시하는 희생적이고 매우 이타적인 성격이다. 타인의 행복을 진심으로 바라며 함께 있는 사람이 최대한 행복할 수 있도록 노력한다. 일례로 글러트니와 맞서 싸우겠다고 결심하면서도 미하라, 유니, 모리를 탈출시키는 것을 우선시했으며, 캐릭터 에피소드에서는 친구들에게 자신이 위험하지 않음을 증명하기 위해 언령을 무리하게 쓰다가 기절해버릴 정도다.

늘 대가 없이 호의를 베풀고, 그 이유도 "도와주면 좋으니까", "돕고 싶으니까"라고 말하는 등 정말 남을 위하는 선인. 항상 남을 진심으로 위하다보니 공감 능력과 통찰력도 상당히 뛰어나다. 자기혐오에 빠져 죽음을 생각하는 모리에게 모리가 가장 원할 말을 들려주며 마음을 열었고, 타인이 바라는 것을 잘 알아차린다.

그녀를 마주한 사람들은 공통적으로 그녀를 "바보 같을 정도로 선량하다."라고 평가한다. 에이브는 과거 세이렌이 너무 바보같이 착해 빠졌다며 곁에 좋은 사람만 있어야 한다고 말했을 정도고 레비아탄은 그렇게 살다가 잔뜩 손해만 볼거라며 한 소리 하기도 했다. 모리는 아예 너같은 것들이 제일 나쁘다며 폭언을 퍼부을 정도. 너무 대가 없이 호의를 베풀고 처음 보는 사람에게도 한결같이 친절하다보니 오히려 스토리에서는 다른 속셈이 있는 거 아니냐고 의심을 받는 경우도 허다하다.

하지만 평상시 너무 착해서 바보 같고 오히려 얼빵하고 어리버리 해보이기까지 하는 겉모습과는 다른 면모도 분명 존재한다. 한없이 여리고 부드러워 보이면서도 한편으로는 승리의 여신에 걸맞는 강인한 의지와 용기 또한 갖추고 있다. 게다가 의외로 적인 랩쳐와 헬레틱에게는 상당히 강경한 편이다. 레비아탄이 자신이 헬레틱이라며 허세를 부리자 곧바로 공격했고, 레비아탄이 울면서 헬레틱이 아니라고 하자 바로 당황하며 미안해하긴 했지만 그 전까지는 꽤나 날선 말투로 그녀를 몰아세웠다. 게다가 무려 70년이라는 긴 세월동안 혼자 있었음에도 친구들과의 약속과 물거품 동상만으로 사고 전환을 겪지 않고 버텨낸 것을 보면 보기보다 상당히 우직하고 강인한 정신력을 지녔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스토리 내에서도 꾸준히 그녀의 이러한 선함과 대가 없는 호의에 사람을 변화시키는 힘이 있음을 강조해오고 있는데, 묘사를 보면 특히나 레비아탄과 모리와 같이 타인에게 버림받고 상처받은 경험이 있는 사람에게 특히나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UNBREAKABLE SPHERE 스토리의 주제인 '바보같을 정도의 선함이 타인을 어떻게 바꾸는가'에 걸맞는 인물. 타인을 믿고 계속해 지지하며 잠재력을 이끌어내고 그들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킨다.

먼저 검은 물에 잘못 접촉해 이형의 존재가 되어 버림받고 동굴 속에서 고립되어 찾아온 레비아탄에게 계속해 다가가고 배려하며 마음을 열었고, 다크 매터를 사용하는 방법을 가르쳐 주며 그녀의 친구가 되었고, 레비아탄은 그녀와 계속 함께 있고 싶다고 생각할 정도로 마음을 열게 된다.[25]

그 다음으로 만난 모리는 불량품으로 태어나 늘 타인에게 버림받고 이용당하거나 배신당한 경험으로 인해 사람을 배척하고 자신을 혐오하는 성향이 강했다. 그런 모리에게 세이렌은 처음으로 손을 내밀어주고 모리의 목소리에 귀 기울여주는 사람이 되어주며 모리의 마음을 완전히 열었고, 이후 모리는 세이렌을 진심으로 친구라고 생각하게 된다. 늘 외면봤던 모리를 유일하게 있는 그대로 바라봐주고 호의를 베푼 세이렌은 모리에게는 특별한 의미를 가진 존재가 되었으며 UNBREAKABLE SPHERE 1부에서 탈출에 성공한 모리는 오히려 자신을 다시 삼키라며 세이렌의 이름을 부르짖는다. 게다가 이후 모리가 글러트니에게서 세이렌을 구하고 난 후 관계가 더욱 발전해, 이후에는 단순히 같이 먹혀 들어온 사이를 넘어 앞으로의 여정을 함께 하는 진정한 동료 사이로 발전한다.

즉 그녀의 선함은 호구나 사기 당하기 쉬운 타입, 멍청함이나 바보같음으로 여겨지기도 하지만 어찌 보면 타인을 진심으로 위하고 가장 원하는 것을 기꺼이 베풀며 배려해 결국 타인이 그녀를 세이렌과 마찬가지로 진심으로 대하게 만드는 그녀의 가장 강력한 무기인 셈이다. 실제로 처음에는 그녀를 의심하고 믿지 않던 둘은 결국 나중에는 그녀를 정말로 친구로 생각하며 레비아탄은 여전히 그녀를 배신한 것에 죄책감을 가지고 있고, 이는 그녀가 '배신'이라는 말에 특히나 민감한 이유가 되었다. 모리는 아예 죽음을 각오하고 세이렌을 구하고 싶다 생각하며 글러트니에게 덤빌 정도. 즉, 그녀가 순수하게 베푼 호의와 굉장히 선한 성향은 단순히 절망에 빠진 이들에게 희망을 불어넣을 뿐 아니라 세이렌 스스로도 구원할만큼 큰 힘을 가지고 있다는 것.

남을 원망하고 미워하는 경우가 극히 드물다. 특히 자신에게 준 피해는 굉장히 쉽게 용서하는 편. 자신을 두고 먼저 떠나버린 레비아탄도 원망은 커녕 오히려 자신은 괜찮다며 그녀가 행복하기를 진심으로 바라고, 자신을 위선자라며 악담을 퍼부었던 모리도 미워하지 않고 계속해 호의를 베풀며 결국 모리의 마음을 열어냈다. 그녀가 스토리 상에서 유일하게 반감을 가진 등장인물은 소중한 친구를 침식시킨 것도 모자라 인류를 패배로 몰아간 니케 스토리 내에서도 가장 최악의 빌런으로 평가받는 인물인 레드 슈즈 뿐이다. 정말 큰 잘못이 아니면 어지간하면 용서하고 이해해주려 하는 포용력이 강하다.

이러한 면모는 태생적인 성격으로 보이긴 하지만, 과거 신데렐라와의 경험도 상당히 큰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레비아탄이 자신이 정말 헬레틱이면 어떡하냐고 물었을 때도, 모리가 자신을 왜 믿냐고 물었을 때도 친구를 믿지 않아 후회하는 건 한 번이면 충분하다며 과거를 언급한다. 또 처음 만들어졌을 당시 에이브가 해주었던 말[26]도 꽤 영향을 주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워낙 착하다보니 잘 부각되지는 않지만, 의외로 외모 자체는 악역에 더 어울릴 만큼 매섭다. 눈매가 날카롭고, 전반적으로 어둡고 약간 칙칙해 보이기까지하는 색감에 세로동공인지라 무표정하게 있으면 상당히 인상이 무서운 편.[27] 게다가 언령이라는 능력도 악용하면 극히 위험해지는 능력이기도 하다. 그러나 웃으면 인상이 확 선해지는데다 하는 행동과 말은 악역은 커녕 선함의 극치를 보여주니[28] 작중에서 그다지 드러나는 특징은 아니다.

11. 여담

  • 2주년 이벤트 미니 게임에서 화자가 리틀 머메이드로 추정되는 유실물이 등장하는데, 주된 내용은 아나키오르를 두려워해서 신데렐라를 믿어주지 못했다는 자책이다. 이는 2부에서 리틀 머메이드/헨젤&그레텔이 신데렐라와 갈등 상황을 일으키며 자세한 내막이 밝혀졌다.
  • 특이하게도 동공이 고양이과 동물들처럼 세로형이다.
  • 제작진이 밝히길 컨셉은 '무섭게 생겼는데 착한 애'. 또한 정신적으로도 신체적인 스펙상으로도 완성형이라 스토리상에서 정신적으로 시련을 주는 것이 불가능했다고 한다. 그래서 등장시킨 캐릭터가 모리라는 모양.
  • 능력이 상당히 위협적이다 보니 아나키오르에게 큰 경계 대상이 돼서 턱이 멀쩡한 날이 없을 정도로 집중적으로 공격당한다. 1차전에서는 하관을 완전히 잃어서 에이브가 겨우 수복해줬지만 한동안 능력 발동도 조심해야 할 정도로 고생했으며, 2차전에서 패배한 후 침식의 의지가 신데렐라를 굴복시키기 위해 본보기로 또다시 리틀 머메이드의 턱을 으스러뜨리려고 했다.
  • 이후 메인 스토리 챕터 33에서 등장한 레비아탄이 액체 금속 다크 매터를 자유롭게 다루는 원리는 리틀 머메이드의 물거품을 베낀 것이라고 하는데[29], 이 때문에 헬레틱과 리틀 머메이드와의 연관성이 생겨났다. 다만 레비아탄의 대사를 봤을 때, 리틀 머메이드의 기술만 빼왔을 뿐이지 외형적으로도 내부적으로도 관련성이 거의 없어 의문이었으나, 사이드 스토리 MUDFISH를 통해 레비아탄이 스스로 통제하지 못 하던 다크 매터를 보고 자신의 물거품과 유사한 액체 금속임을 파악한 리틀 머메이드가 레비아탄이 자력으로 컨트롤할 수 있도록 직접 심상을 통해 기술을 전수해줬다는 것이 밝혀졌다.
  • 배신자인 레드 슈즈와 비공식 제작 니케인 헨젤 & 그레텔과 비교하면 특별한 사정이 없는 니케지만, 인간에게도 통하는 언령을 통제하지 못한다는 점이 감점 요소라 상부에는 불안정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 평소에 말을 하지 못하기에 감정을 표현하기 위해 표정을 표현한 물거품을 띄워서 감정을 표현한다. 스탠딩 일러스트 기준 얼굴 옆에 있는 물거품이 감정 표현용으로 사용하는 물거품이다.
  • 아래 입술에 바코드가 써져 있는데, 바코드 아래 숫자는 1991 1221이다. 디즈니 애니메이션 인어공주(The Little Mermaid)의 한국 개봉일[30]인 1991년 12월 21일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인다.#
  • "리틀 머메이드(인어공주)"라는 이름과 "세이렌"이라는 애칭, 사용하는 무기가 물방울에 이벤트 영상 등에서도 물과 관련된 부분이 대부분인데 수냉 코드가 아니라 뜬금없이 풍압 코드라서 유저들을 당황시켰다. 물론 이런 쌩뚱맞은 코드 부여는 종종 있었지만[31] 리틀 머메이드는 그 중에서도 이질감이 특히 큰 편.[32]
파일:1741742204410.png 파일:new-ads-from-shiftup-revealing-the-likely-2-5-anniversary-v0-bsr9gzmqz2oe1.webp
  • 에반게리온 2차 콜라보가 종료되는 날부터 갑자기 리틀 머메이드를 전면에 내세운 공식 광고들이 SNS나 유튜브 등에 등장하기 시작했다.[33] 공식측의 실수가 아니라면 2.5주년 출시캐로 유력한 상황. 또한 북미쪽의 모 유튜버가 2.5주년 이벤트 개시 직후에 신데렐라와 리틀 머메이드의 영어판 성우들을 초청해 방송을 진행할 것을 예고하면서 사실상 쐐기를 박아버린 상태다. 이후 레비아탄과 세이렌이 교류가 있었음을 36챕터에서 밝혔고, 그 과거를 다룬 사이드 스토리 MUDFISH를 공개하면서 출시를 위한 빌드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그리고 2025년 4월 19일 2.5주년 공식 방송에서 출시를 정식으로 예고 하였다.
  • 특이하게도 상담시 지휘관과의 면담이 아닌 혼잣말로 독백하는 식으로 나온다.[34] 신데렐라 때와 달리, 출시일 기준으로 아직 메인 스토리에서 리틀 머메이드가 나오지도 않았고 지휘관을 만나기 전인 상황 때문으로 보인다. 다만, 스포일러 방지 차원이라고 생각하기에는 시프트업이 스포일러를 크게 신경쓰지 않는 입장을 보여주는 기존 선례들이 매우 많기 때문 심지어 캐릭터 에피소드 부분에선 그냥 과거 회상이며, 로비 대사가 전체적으로 혼자 독백으로 나와 심심한 편이라 주년 캐릭터 치고는 콜라보 캐릭터보다도 상호작용이 굉장히 부실하다.[35][36] 덕분에 이벤트 스토리에서 아예 리타이어하거나 죽는게 아닌가라는 추측도 나왔으며 다행히 엔딩에선 죽진 않았지만 작년 주년이벤트에 등장하며 이후 주년 캐릭터라고 광고해 놓곤 성의 없는 상호작용 부재에 대해선 크게 비판 받고있다.[37]
  • 현재까지 주인공인 지휘관과 만난 적이 아예 없지만, 니케 3돌파를 했을 시에 주어지는 리틀 머메이드의 프로필 칭호에 신데렐라와 마찬가지로 리틀 머메이드의 왕자님이라고 되어 있다. 그리고 미하라 이격의 캐릭터 스토리 내용을 보아 실제로도 "왕자님"이라 부를 가능성이 매우 높다. 미하라가 묘사한 지휘관의 생김새와 특징을 듣고는 그런 완벽한 왕자님이 실존하냐며 감탄했기 때문.
파일:1746233693110.webp 파일:1746233390597.png

* OLD TALES에서 처음 출연했을 당시만 하더라도 "아우아우" 같은 대사 외에는 실질적인 대사가 거의 없었으며 캐릭터성도 희미하여 다른 스쿼드 멤버인 헨젤 & 그레텔이나 레드 슈즈 같은 미친 존재감의 캐릭터들 사이에서 딱히 매력을 어필하지 못했으나, UNBREAKABLE SPHERE에 들어선 정상적으로 말도 가능해지고, 착하고 약간 바보 같이 순진한 캐릭터성과 빵떡한 표정 등 귀여운 이미지, 그리고 사기적인 성능로 어필하면서 유저들에게 확실히 눈도장을 찍는 데 성공했다.
  • 꽤나 미형의 니케로 보인다. 레비아탄이 처음 물거품 속으로 들어오자 공간을 '세이렌처럼 아름답다' 라고 표현했으며 모리는 아예 처음 그녀를 마주하고 요정으로 착각했다.
  • 공식 테마곡인 2.5주년 특별 감사곡으로 UNBREAKABLE SPHERE를 리틀 머메이드가 커버한 노래가 나왔다
  • 리틀 머메이드가 물방울로 만든 만든 미니게임 "버블 마치"는 팔라독 등의 디펜스 게임이 연상된다. 또한 세이렌이 유닛을 뽑으면서 하는 대사들 중에는 "너로 정했다?""넌 강해졌어, 돌격해!" 등의 여러 패러디가 들어가 있다.

    파일:ezgif-3e1063ea836288.gif 파일:ezgif-31e3e57ba55e98.gif
  • 도로시에게 팬 캐릭터인 도로롱이 있다면 세이렌에게도 도로롱 캐릭터 저작권을 사온 시프트업 본사에서 직접 제작한 세로롱 버전이 존재한다. 어처구니없게도 꼴에 인어랍시고 물고기 꼬리까지 달고 있다.


[1] 레드 후드나 라피: 레드 후드의 1버스트 성능이 리타를 능가하는 수준이긴 하지만, 이들은 3버스트 요원으로도 자주 쓰이므로 리타와 같이 쓰는 경우가 많았다.[2] 4MG 1SMG로 초당 260발의 탄환을 발사한다.[3] 순차공격 판정이 끝나지 않았는데 적이 먼저 격추당한다면 남은 순차공격 판정은 그대로 증발한다.[4] 실전성이 있는 기절 효과 중에서는 프리바티 이후 오랜만이다.[5] 크라운의 재장전 버프와 하모닉 큐브의 재장전 버프가 합쳐지면 머신건의 예열시간도 극단적으로 줄어든다.[6] 애장품 헬름까지 더해서 사황이라고 평가하는 경우도 있다.[7] 이유는 탄 소모 기믹이 장탄 수가 감소할 때 소비량에 합산되는데, 장탄 수 무한 상태에는 장탄 수가 줄어들지 않기 때문에 소비량에 합산되지 않는다고 효과 설명에 명시되어있다.[8] 대표적으로 디젤을 들을 수 있으며 버프의 최대 장탄양은 1400발인데, 허공에 증발되는 장탄양은 대략 1100발. 이는 버블 웨이브를 두번 발동시킬 수 있는 장탄양이다. 그러나 확인결과 발동되지 않는다.[9] 아주 오래 전에 헤어진 신데렐라를 위해 남겨둔, 신데렐라처럼 생기고 그녀가 건들면 반응하는 물거품들을 여럿 남겨두었다.[10] 성질이 유사할 뿐 같은 물질은 아니다.[11] 물거품을 베끼기 위해 시도한 레비아탄의 정신 붕괴를 당했음에도 멀쩡했다고 하는데, 고스펙의 바디인 2세대 페어리테일 모델이기 때문이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본래는 정신을 망가트리고 정보를 빼가는 기술인 듯.[12] 보낸지 얼마 안됐는지 레비아탄도 이건 처음 봤다고 한다.[13] 레비아탄은 리틀 머메이드가 남긴 메세지를 확인하고는 눈물을 보이며 그 자리에 주저앉을 정도로 혼란스러워 했는데 헤어진 과정에서 버렸다느니 하는 거짓말을 한 것을 보면 둘 사이에 무언가 사고가 생긴듯 하다. 그리고 그 사고의 내막은 사이드 스토리에서 매우 자세히 묘사되었다.[14] 세이렌은 너무 대충 지었다는 평가에 조금 상처를 받는다.[15] 이 때 신데렐라는 우리들 중 누군가가 나쁜 마음을 품고 공격하면 굳이 세이렌이 아니어도 위험해 질 수 있다고 지적한다. 그리고 그 일이 실제로 일어났고...[16] 이벤트 유실물로 O에게 보내려고 한 수수께끼의 연구실을 조사하던 보고서가 있었는데, 그것이 결국 전해진 듯.[17] 미하라에게 현재 연도가 어떻게 되냐고 물어보고 나서야 자신이 70년 동안 갇혀 있었다는 것을 깨닫는다. 상담 내용을 보아 갇히고 10년 동안은 세고 있었다가 이후 포기한 것으로 보인다.[18] 챕터 35 초반에 수정 지역 철거를 시도하던 중 문제가 발생해서 시프티가 바쁘다는 언급이 나오므로 35에서 며칠 전이다.[19] 세이렌의 선량함이 두드러진 장면임과 동시에 그녀의 선함이 타인을 바꿀 수 있는 능력이 있음을 보여주는 부분. 처음으로 자신에게 손을 내밀며 도와주는 세이렌을 진심으로 친구로 여기게 된 모리는 이후 그녀를 구하기 위해 글러트니와 맞서 싸우는 것까지 불사하게 되며 진심으로 그녀를 구하고자 한다.[20] 그도 그럴게 세이렌을 집어삼킨 글러트니는 그레이브가 신데렐라를 데리고 잠복하고 있던 수정 지역에 나타났다. 세이렌이 바깥 상황을 파악하지 못해서 그렇지 실은 가까운 거리에 있었던 것.[21] 함께 살아남아서, 해피 엔딩을 함께 만들어 가자는 것.[22] 세이렌은 전술했듯, 모리가 '함께 살아남아서 해피 엔딩을 만들자'고 말했을 때부터 모리를 함께 동행하는 동료라고 상정해뒀고, 신데렐라는 세이렌을 구해준 시점에서 마다할 이유가 없고, 그레이브는 신데렐라가 동의한 이상 반대할 이유가 없었다.[23] 해당 연구소가 엘리시온 소속이었던 만큼 언령 관련 기술은 소실되지 않고 개량되어 메이든에게 탑재된 모양이다.[24] 청각 센서 오프로 대응이 가능하다면 굳이 이런 도구를 개발할 이유가 없으므로.[25] 다만 동료 사이로 발전한 모리와는 달리 레비아탄과의 관계는 어떻게 될지 불분명하다. 세이렌은 레비아탄이 이후 정말로 헬레틱이 된 것을 모르기 때문. 게다가 세이렌은 처음 레비아탄을 만났을 때 자신을 헬레틱이라고 속이며 허세를 부리는 그녀에게 공격과 언령을 시도한 적이 있다. 그녀의 한없이 선하고 다정한 성격은 어디까지나 니케와 인류에 한하지, 적인 랩쳐와 헬레틱에게는 해당되지 않는다.[26] 언령을 쓰는 사람은 선해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그 힘은 너를 외롭게 만들것이라는 말.[27] 이러한 인상은 제작진이 의도한 디자인이라 밝혔다.[28] 당장 언령의 경우도 에이브가 '넌 더럽게 착해서 나쁜 말도 못한다.' 라고 공인한 바 있다.[29] 다른 포비스트들은 레비아탄만큼 자유롭게 다루지 못해서 갑옷처럼 몸에 두르는 것 이외에 다른 용도로 사용하지는 못한다.[30] 참고로 인어공주의 미국 개봉일은 1989년 11월 17일이다.[31] 대표적으로 크리스마스 이벤트에 출시 되어 얼음 공격과 얼음 스킬을 사용하며 이름까지 누가 봐도 수냉인 메이든 : 아이스 로즈(전격 코드). 탄산수와 바다 타령을 하며 수영복을 입고 물총까지 쏘는 수니스(전격 코드). 붉은 머리, 화력에 집중한듯한 무기 외형과 별 상관없는 철갑 코드를 받았던 레드 후드가 있다.[32] 이런 이질적인 속성선정은 원전 인어공주의 엔딩에서 따온 것일 가능성이 높은데, 원전에서 인어공주는 불멸의 영혼을 얻어 공기의 정령으로 승천하였다.[33] 한국 커뮤니티엔 유출로 알려져있지만 엄연히 공식루트로 공개된 것이라 유출이나 클라이언트 분해는 아니다.[34] 당연히 내용을 보면 알겠지만 사실 상담이라고 할 수도 없다. 다른 캐릭터들과 달리 상담 도감 목록도 리틀 머메이드의 하루로 되어 있다.[35] 예시로, 니케 게임 출시 초기엔 인헤르트 스쿼드 니케들은 메인 스토리에서는 꽤나 늦게 등장했던 편인데도 불구하고 지휘관과 연관된 상담 내용과 캐릭터 스토리가 있었으며, 이후에 출시된 니케 중에도 메인 스토리에서도 나오는 필그림 니케인 모더니아, 도로시, 레드 후드, 크라운, 신데렐라는 물론이며, 주역 캐릭터 중에서 이격이 나온 라피마저도 신규 유저 입장에서는 대놓고 스포일러성 캐릭터임에도 메인 스토리 진행도와 상관없이 상담 진행과 캐릭터 스토리를 볼 수 있다. 해당 콘텐츠를 이용할 때도 스포일러 경고도 하지 않는다.[36] 이와 반대로, 비교적 최근 추가된 콘텐츠인 사이드 스토리는 메인 스토리 NN이후의 내용을 다루고 있다는 스포일러 경고 메시지가 나온다.[37] 이 때문에 리틀 머메이드가 다음 메인스토리에서 지휘관하고 제대로 합류해서 상담 및 인연스토리를 개편해 달라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if version2 == null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필그림(승리의 여신: 니케)|필그림(승리의 여신: 니케)]]}}}{{{#!if external != "o"
[[필그림(승리의 여신: 니케)]]}}}}}}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필그림(승리의 여신: 니케)?uuid=|r87)]]}}}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필그림(승리의 여신: 니케)?uuid=#s-|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https://namu.wiki/history/필그림(승리의 여신: 니케)?from=87)|이전 역사 보러 가기]]}}}
#!if version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 left; padding: 0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필그림(승리의 여신: 니케)|필그림(승리의 여신: 니케)]]}}}{{{#!if external != "o"
[[필그림(승리의 여신: 니케)]]}}}}}}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필그림(승리의 여신: 니케)?uuid=|r87)]]}}}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필그림(승리의 여신: 니케)?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필그림(승리의 여신: 니케)?from=87)|이전 역사]])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레드 슈즈|레드 슈즈]]}}}{{{#!if external != "o"
[[레드 슈즈]]}}}}}} 문서의 {{{#!if uuid2 == null
'''uuid2 not found'''}}}{{{#!if uuid2 != null
[[https://namu.wiki/w/레드 슈즈?uuid=|r15]]}}} 판{{{#!if paragraph2 != null
, [[https://namu.wiki/w/레드 슈즈?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레드 슈즈?from=15|이전 역사]]){{{#!if version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 == null
'''uuid3 not found'''}}}{{{#!if uuid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 == null
'''uuid4 not found'''}}}{{{#!if uuid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 == null
'''uuid5 not found'''}}}{{{#!if uuid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6 == null
'''uuid6 not found'''}}}{{{#!if uuid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7 == null
'''uuid7 not found'''}}}{{{#!if uuid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8 == null
'''uuid8 not found'''}}}{{{#!if uuid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9 == null
'''uuid9 not found'''}}}{{{#!if uuid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0 == null
'''uuid10 not found'''}}}{{{#!if uuid1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1 == null
'''uuid11 not found'''}}}{{{#!if uuid1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2 == null
'''uuid12 not found'''}}}{{{#!if uuid1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3 == null
'''uuid13 not found'''}}}{{{#!if uuid1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4 == null
'''uuid14 not found'''}}}{{{#!if uuid1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5 == null
'''uuid15 not found'''}}}{{{#!if uuid1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6 == null
'''uuid16 not found'''}}}{{{#!if uuid1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7 == null
'''uuid17 not found'''}}}{{{#!if uuid1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8 == null
'''uuid18 not found'''}}}{{{#!if uuid1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9 == null
'''uuid19 not found'''}}}{{{#!if uuid1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0 == null
'''uuid20 not found'''}}}{{{#!if uuid2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1 == null
'''uuid21 not found'''}}}{{{#!if uuid2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2 == null
'''uuid22 not found'''}}}{{{#!if uuid2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3 == null
'''uuid23 not found'''}}}{{{#!if uuid2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4 == null
'''uuid24 not found'''}}}{{{#!if uuid2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5 == null
'''uuid25 not found'''}}}{{{#!if uuid2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6 == null
'''uuid26 not found'''}}}{{{#!if uuid2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7 == null
'''uuid27 not found'''}}}{{{#!if uuid2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8 == null
'''uuid28 not found'''}}}{{{#!if uuid2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9 == null
'''uuid29 not found'''}}}{{{#!if uuid2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0 == null
'''uuid30 not found'''}}}{{{#!if uuid3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1 == null
'''uuid31 not found'''}}}{{{#!if uuid3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2 == null
'''uuid32 not found'''}}}{{{#!if uuid3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3 == null
'''uuid33 not found'''}}}{{{#!if uuid3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4 == null
'''uuid34 not found'''}}}{{{#!if uuid3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5 == null
'''uuid35 not found'''}}}{{{#!if uuid3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6 == null
'''uuid36 not found'''}}}{{{#!if uuid3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7 == null
'''uuid37 not found'''}}}{{{#!if uuid3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8 == null
'''uuid38 not found'''}}}{{{#!if uuid3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9 == null
'''uuid39 not found'''}}}{{{#!if uuid3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0 == null
'''uuid40 not found'''}}}{{{#!if uuid4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1 == null
'''uuid41 not found'''}}}{{{#!if uuid4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2 == null
'''uuid42 not found'''}}}{{{#!if uuid4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3 == null
'''uuid43 not found'''}}}{{{#!if uuid4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4 == null
'''uuid44 not found'''}}}{{{#!if uuid4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5 == null
'''uuid45 not found'''}}}{{{#!if uuid4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6 == null
'''uuid46 not found'''}}}{{{#!if uuid4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7 == null
'''uuid47 not found'''}}}{{{#!if uuid4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8 == null
'''uuid48 not found'''}}}{{{#!if uuid4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9 == null
'''uuid49 not found'''}}}{{{#!if uuid4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0 == null
'''uuid50 not found'''}}}{{{#!if uuid5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