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colbgcolor=#fff,#1c1d1f> |
Rogue Black Ops |
CIA 소속이었으나 내부의 배신자로 인해 변절자로 몰려 쫓겨난 인물들이 소속된 곳. 전체적으로 자유분방한 사복 차림으로 되어있다.
엔딩 이후 시점에선 CIA 부국장 다니엘 리빙스턴의 비공식적인 사면 및 지원을 통해 CIA 내의 배신자 행세를 하면서 그림자 속에서 활동하며 판테온을 추적하는 중에 있다. 그렇다보니 이들이 CIA를 위해 움직이는 사실 역시 리빙스턴만이 알고 있어 대외적으로는 CIA와 관계없는 이탈자들 로 간주된다. 그럼에도 킬 스트릭 담당관도 있어서 '대외적으로는' 아무 연관없는 변절자들이 미사일도 쏘고 공중함대도 지휘하며 심지어 핵 미사일도 떨어뜨린다 (...). [1]
프랭크 우즈가 아나운서 역할을 맡는다.
2. 출신 인물
2.1. 애들러
| ||||
바이오 | ||||
이름 | 러셀 애들러 | |||
<colbgcolor=#000000> 국적 | 미국 | <colbgcolor=#000000> 언어 | 영어 | |
소속진영 | 로그 블랙 옵스 | 상태 | 활성 | |
배경 | ||||
"해야할 일이 있다." - 러셀 애들러 "미국의 괴물" 로 알려진 러셀 애들러는 CIA의 어둡고 비밀스러운 면을 상징합니다. 카리스마 있고 무자비한 그는 1960년대 베트남에서의 반소련 작전, 70년대의 비밀 CIA 마인드 컨트롤 프로그램, 80년대 중반의 페르세우스 위기 등 광범위한 임무 기록을 가지고 있습니다. 애들러는 임무를 과하게 자신의 손으로 처리하는 경향이 있어 그가 현장에 있을 자격이 있는지 의문을 제기하는 사람도 있지만 애들러가 업무 목표를 달성하는 막강한 효율성을 부인할 수는 없습니다. 그는 가장 민감한 작전에만 투입되며, 목표를 추적하는 동안 종종 작전 지역에서 벗어나는 습관도 있습니다. 수년간 그의 곁에서 일한 사람들조차 그를 진정으로 아는 것 같지는 않지만, 모두든 그가 이끄는 곳이라면 어디든지 따를 것이라고 합니다. |
콜드 워에서도 등장한 애들러.
좀비모드에선 브레인룻 발동대사에 "널 벨이라고 불러도 될까?" 하는 대사가 있다.
스킨 |
- 움브라: 블랙 옵스 6 볼트 에디션 구매 시 지급. 블랙 옵스 6의 상징적인 색상인 주황색으로 빛나는 애니메이션 효과가 있는 검은 전투복 차림이다.
2.2. 파크
| ||||
바이오 | ||||
이름 | 헬렌 A. 파크 | |||
<colbgcolor=#000000> 국적 | 영국 | <colbgcolor=#000000> 언어 | 영어 | |
소속진영 | 로그 블랙 옵스 | 상태 | 활성 | |
배경 | ||||
"스파이들. 우리 중 누구도 믿을 수 없어." - 헬렌 파크 MI-6의 최고의 요원 중 한 명인 헬렌 파크는 국제 관계 분야에서 경력을 쌓던 중 준군사조직의 폭탄 테러로 그녀의 오빠가 갑작스럽게 사망한 후 이 기관에 입사했습니다. 수년간의 비밀 작전 후 그녀는 CIA의 러셀 애들러와 함께하는 기밀 심리전 프로그램에 배치됐습니다. 라자르 아줄레이, 로렌스 심즈, 알렉스 메이슨, 프랭크 우즈와 함께 파크가 속한 팀은, 코드명 페르세우스의 국제 준군사 위협을 성공적으로 추적하고 무력화했습니다. 페르세우스를 추적한 지 몇 년이 지난 후, 파크는 애들러와의 관계를 끊고 MI6에서 자신의 지능과 분석 능력을 활용하여 승진했습니다. 그녀의 매우 경쟁적인 "A형" 성격은 동료들 사이에 악간의 마찰을 일으키지만, 파크는 갈동을 피하고 목표를 달성하는 방법을 찾아냅니다. 그녀의 임무와 팀에 대한 헌신은 진실된 것입니다. |
콜드 워에서도 등장한 MI6 오퍼레이터. 볼트 에디션 발표 때부터 파크 스킨 지급을 공지함으로써 초기부터 참전이 공인된 오퍼레이터이다.
애들러와 비슷하게 좀비모드에서 브레인룻이 발동되면 세뇌시켜본 경험이 있다는 발언을 한다.
시즌 2 리로디드에서 드디어 얼굴이 다 드러난 첫 번째 스킨이 출시되었는데 그간 파크 하면 떠올랐던 이쁜 외모의 콜드 워와 여전히 그리 삭지 않았던 캠페인의 외모가 어디로 갔는지 소위 정치적 올바름을 내세운 게임들의 못 생기고 표독하게 생긴 여캐의 표준상과 같은 충격적인 외모가 되었다.
스킨 |
- 망각: 블랙 옵스 6 볼트 에디션 구매 시 지급. 블랙 옵스 6의 상징적인 색상인 주황색으로 빛나는 애니메이션 효과가 있는 검은 전투복 차림이며 팔뚝에 케르베로스 패치가 붙어 있다.
2.3. 우즈
| ||||
바이오 | ||||
이름 | 프랭크 우즈 | |||
<colbgcolor=#000000> 국적 | 미국 | <colbgcolor=#000000> 언어 | 영어 | |
소속진영 | 로그 블랙 옵스 | 상태 | 활성 | |
배경 | ||||
"네깟 놈들에겐 안 죽어." - 프랭크 우즈 프랭크 우즈 상사는 베를린 거리에서 베트남 정글까지 전장에서 조국을 위해 싸운 베테랑입니다. 권위를 싫어하는 우즈의 악명 높은 태도는 그의 격동적인 어린 시절에서 비롯되었으며 이는 군 복무 내내 이어졌습니다. 하지만 그의 오랜 커리어는 니카라과 마약왕 라울 메넨데즈와의 대결에서 끝이 났습니다. 이 대결에서 우즈의 전우 알렉스 메이슨이 사망하고, 우즈는 산탄총을 맞아 불구가 되었습니다. 책상 신세가 된 우즈는 냉전 이후 시대의 삶에 적응하고 있습니다. 우즈는 자신의 CIA 팀을 감독하며, 자신의 기술, 경험, 전문 지식을 활용하여 새 시대의 블랙 옵스 요원들을 이끌고 있습니다. 그는 이들을 통해 옛 영광을 되살리려 합니다. |
캠페인에 등장한 우즈가 아니라 BO1, BOCW에서 등장했던 클래식 우즈다. 본작의 우즈는 이미 장애인이 된 이후라 멀티플레이에 등장하는 것이 기본적으로 말이 되지 않는데, 전작의 라자르와 같이 불구가 되지 않은 대체역사인 셈 치고 출전하였다. 출시 시점에서는 예약 구매 보상으로 모던 워페어 III에서 나온 스킨들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본 진영의 아나운서 역할로도 등장하는데, 입담은 여전해서 팀원들에게 Dipshit 이라고 욕하면서 게임 상황을 알려준다. 그렇기에 전작 콜드 워처럼 CIA 아나운서가 허드슨인데 허드슨이 동시에 현장에 뛰는모습이 보였던것 처럼 우즈가 우즈에게 소리치면서 현장을 뛰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스킨 |
- 클래식 우즈: 블랙옵스 6를 예약구매한 사람에게 보상으로 지급되었으며, 현 시점에서는 볼트 에디션을 구매하면 사용할 수 있다. 블랙옵스 1때 베트남전에서 입었던 우즈의 아이코닉한 복장.
- 좀비 우즈: 여러모로 블랙옵스 2때 포로가 되어서 거의 해골이된 모습이 생각나는 스킨.
- 넘버 우즈: 클래식 우즈의 모습에서 탄약 적재용 반돌리어나 탄입대, M69 플랙 재킷과 군장 등의 장구류들을 모두 제외한 티셔츠 차림에 블랙옵스 시리즈 특유의 붉은 숫자가 우즈에게 아우라로 펼쳐지는 스킨. 특성상 적에게 매우 잘보인다.
2.4. 나지르
| ||||
바이오 | ||||
이름 | 하시브 나지르 | |||
<colbgcolor=#000000> 국적 | 파키스탄 | <colbgcolor=#000000> 언어 | 영어 | |
소속진영 | 로그 블랙 옵스 | 상태 | 활성 | |
배경 | ||||
"방법이 있다면, 나는 그것을 찾을 거야." - 하시브 나지르 상류 중산층 파키스탄인 부모에게서 태어난 하시브 나지르는 아버지의 발자취를 따라 의사가 될 것이라고 기대를 받았습니다. 그러나 평범했던 학교생활이 오히려 그를 불안하게 만들었고, 그는 곧 호기심을 채우기 위해 다른 활동을 찾기 시작했습니다. 여가 시간에 그는 여러 언어에 능통해졌고, 컴퓨터와 전자 기기에 대한 애정을 발견했습니다. 이는 결국 ISI 합동 방첩국에서 암호학 및 통신 분석가로 일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나지르의 언어적 및 문화적 다재다능함은 그가 어디에서나 잘 어울릴 수 있게 합니다. 그는 다른 사람들이 단순한 잡음으로만 보는 미세한 패턴을 찾아내어, 귀중한 정보 자산을 도출해 냅니다. 비록 체구는 작지만, 나지르는 결코 과소평가할 인물이 아닙니다. 정신적 예리함과 치명적인 총기 기술 외에도, 적들은 종종 나지르가 항상 한발 앞서 있다는 것을 뒤늦게 깨닫습니다. |
파키스탄 ISI[2] 출신의 오퍼레이터. 훈련 코스에서 플레이어로 등장하는데, 우즈가 네가 마셜이 친히 선발한 신병이냐고 하며 총을 건네주는 것을 받는다. 훈련 중에 실수하면 미치도록 갈굼당하는데, 다 통과하면 우즈가 마셜에게 잘 통과했다고 전달할거라 하면서 훈련한 것을 잘 써먹으라고 직접 우즈에게 격려를 받으며 해산한다.
특유의 붉은 모자와 여리여리한 몸집때문에 국내에서 포켓몬스터의 한지우, 같은 파키스탄계인 한국인 과로사를 닮았다는 평가를 받고있다.
2.5. 웨스트포인트
| ||||
바이오 | ||||
이름 | 타미라 "웨스트포인트" 체임버즈 | |||
<colbgcolor=#000000> 국적 | 미국 | <colbgcolor=#000000> 언어 | 영어 | |
소속진영 | 로그 블랙 옵스 | 상태 | 활성 | |
배경 | ||||
"감정보다 중요한 건 성과지." - 타미라 “웨스트포인트" 체임버스 타미라 체임버스는 예전에 그녀가 훈련을 받은 곳이 아니라, 해병대 장교 교관으로서 오랜 세월 신병에게 교육을 시킨 덕분에 "웨스트포인트"라는 별명을 얻었습니다. 그 신병들 중에는 트로이 마셜과 잭슨 케인도 포함되어 있었습니다. 그녀의 뛰어난 평판은 미국 내 군사 기지에 대한 모의 공격을 계획하고 수행하는 레드 셀 작전 임명으로 이어졌습니다. 그때 그녀는 러셀 애들러를 만나 CIA에 들어갔습니다. 웨스트포인트는 전통을 존중하며, 강철처럼 단단하고, 함께 복무한 모든 사람들에게 존경을 받고 있습니다. 그녀는 책임감 그리고 강한 사랑이 분대에서 최고의 성과를 이끌어낸다고 믿습니다. 웨스트포인트는 현장에서 팀원들을 훌륭하게 이끕니다. |
스킨 |
- 찌부: 1주차 베타 기간 동안 플레이어 레벨 20 달성 시 지급 보상. 버그를 잡는 베타 테스터 컨셉에 맞춰 벌레(버그) 잡는 형광색의 해충 구제업자 컨셉 스킨이다. 주의할 점은 이 스킨은 오직 1주차 베타 기간, 즉 베타 얼리 엑세스 기간 동안만 획득 가능한 스킨이다. 즉 예약 구매자/베타 코드 입력 유저/게임패스 구독자만 얻을 수 있는 스킨인 셈.
- 짜부: 베타 기간동안 플레이어 레벨 20 달성 시 지급 보상. 형광색이 회색으로 바뀐 것만 빼면 위의 찌부 스킨과 동일하며, 찌부 스킨과 달리 1주차 2주차건 상관 없이 베타 기간동안 레벨 20을 달성하면 해금된다.
2.6. 바얀
| ||||
바이오 | ||||
이름 | 비톨트 바얀 | |||
<colbgcolor=#000000> 국적 | 폴란드 | <colbgcolor=#000000> 언어 | 영어 | |
소속진영 | 로그 블랙 옵스 | 상태 | 활성 | |
배경 | ||||
"벨트 매 - 내가 운전한다." - 비톨드 바얀 과로와 빚에 시달리는 아버지의 외동아들인 비톨드 바얀은 어린 나이에 어머니를 잃은 후 스스로 성장했습니다. 그는 성인이 되어 불우했던 가정을 떠나 군대에서 체계와 규율을 찾았습니다. 차량 수리 및 업그레이드에 대한 그의 성향은 그를 폴란드 육군 제1 기계화 보병 부대의 기술자로 만들었고, 그는 유능한 기술자로 입증되었습니다. 그러나 결국 그는 군대를 떠났고, 그의 이력에는 단순히 "지휘부와의 개인적인 불화로 인해 떠났다"고 적혀 있었습니다. 바얀은 아발론에서 길드를 위해 일하며 자신이 있을 곳을 찾았습니다. 그는 VIP 고객을 위해 특수한 차량을 이동시키고, 길드의 엘리트를 위험한 임무에서 호위하는 데 재능을 보였습니다. 여기서 그는 고급 와인, 명품 옷, 비싼 차에 대한 취향도 가졌습니다. 바얀은 자유로운 유머와 자신감으로 아발론 서클 내에서 인기를 얻었습니다. 로그 블랙 옵스 팀이 모집을 위해 찾아왔을 때, 길드는 기꺼이 바얀을 그들에게 내부 요원으로 맡겼습니다. |
한쪽 눈이 맛이 간 모습 때문에 플레이어들이 설마 스티치가 살아 돌아온 것이 아닌가 예상하기도 했지만 출신부터가 러시아가 아닌 폴란드인데다 로그 블랙옵스 소속 인물로 나와서 그럴 가능성이 사라졌다. 길드 출신 깡패로, 승리할 때도 길드한테 깝추면 뒤진다고 멘트를 날린다.
2.7. 알바레즈
| ||||
바이오 | ||||
이름 | 야라 알바레즈 | |||
<colbgcolor=#000000> 국적 | 미국 | <colbgcolor=#000000> 언어 | 영어 | |
소속진영 | 로그 블랙 옵스 | 상태 | 활성 | |
배경 | ||||
"공격 개시, 화끈하게 가자고." - 야라 알바레즈 야라 알바레즈는 지적이고 능력이 많은 전투 비행사입니다. 야라는 푸에르토리코 고향 마을의 염소 길에서 비행기가 이륙하는 것을 목격한 뒤, 파일럿을 목표로 삼고 공군이 되었습니다. 경쟁에서는 누구보다 지기 싫어하지만, 그녀는 친근하고 다정한 팀원이며 위기 상황에서 의지할 수 있는 동료입니다. 약간은 과장된 실버 에이지 스타일의 만화를 사랑하는 그녀는 자신이 알고 있는 모든 것을 가르쳐준 형제를 기억하기 위해서, 계기판 위에 좋아하는 액션 히어로 피규어를 붙여 놓았습니다. |
스킨 |
- 진실을 풀어라: 콜라보 이벤트 기간 중에 판매되는 몬스터 에너지 드링크 구매 후 코드 입력을 통해 혹은 영수증 사진 업로드[3]를 통해 증정되는 코드를 입력하여 얻는 특전. 코드 2회 입력 보상. 몬스터 에너지 로고가 적혀 있고 몬스터 에너지의 녹색 색상과 검은색으로 도색된 바디수트. 한국에서의 이벤트로는 이 복장만 얻을 수 있어 밑의 바리에이션들을 획득하려면 이베이 같은 곳을 통해 외국에서 키를 얻어와야 한다.
- 차가운 흔적: 위와 동일한 몬스터 에너지 콜라보 코드 특전. 코드 4회 입력 보상. 몬스터 에너지 로고가 적혀 있고 몬스터 에너지 제로 슈거(LO-CARB)의 파란색 색상과 검은색으로 도색된 바디수트.
- 내면의 야수: 위와 동일한 몬스터 에너지 콜라보 코드 특전. 코드 6회 입력 보상. 몬스터 에너지 로고가 적혀 있고 몬스터 에너지 울트라 블루의 하늘색 색상과 검은색으로 도색된 바디수트.
2.8. 페인
| ||||
바이오 | ||||
이름 | 컬럼 페인 | |||
<colbgcolor=#000000> 국적 | 영국 | <colbgcolor=#000000> 언어 | 영어 | |
소속진영 | 로그 블랙 옵스 | 상태 | 활성 | |
배경 | ||||
"내 눈에 띄면, 이미 끝난 거야." - 캘럼 페인 영국 웨스트 미들랜드의 노동자 계급 가정에서 태어난 캘럼 페인은 친구들과 놀고 다투기도 즐기는 이상주의적인 아이였습니다. 학교를 졸업한 후 그는 로열 마린에 입대하여 군 생활을 했지만, 포클랜드 전투가 그를 변화시켰습니다. 이 희망찼던 어린 병사는 적의 매복 공격으로 인해 자신의 부대에서 유일한 생존자가 되었고, 그의 관측병을 바로 눈앞에서 잃었습니다. 게다가 지휘부는 그들의 명백한 정보 실책에도 모르쇠로 일관하여 상황을 더욱 악화시켰습니다. 살아남은 자의 죄책감으로 페인은 영국군에서 가장 많은 훈장을 받은 저격수 중 한 명이 되었지만, 그의 윗선에 대한 불신은 결코 사라지지 않았습니다. |
영국 왕립 해병대 출신이자 포클랜드 전쟁 참전용사 출신 오퍼레이터.
영국 출신이라지만 아일랜드 억양이 강하게 들려 모던 워페어 2의 코너를 연상케하는 오퍼레이터다. 마침 수염도 비슷한 모양으로 자라있다.
스킨 |
- 내 이름은...: 명성 3 레벨 50 달성. 블랙 옵스 1편에서 메이슨이 "부활" 임무에서 입었던 러시아 우드랜드 군복 + 크라프첸코의 소련 장교용 가죽재킷, 그리고 블랙 옵스 2편에서 메넨데즈의 함정에 빠져 오인 저격당했을 때 얼굴에 둘렀던 두건(...)으로 구성되어 있는 고인드립성 스킨이다. 두건에는 하얀 글자로 My Name Is... 라고 쓰여 있는 건 덤.
- SC1: 콜 오브 듀티 기금(C.O.D.E.) 엔데버: 트레이서 팩 번들. 전직 SBS 대원 두 명이서 공동 창립자로써 설립한 영국 아우터웨어 업체 ThruDark에서 제작에 협력했기에, ThruDark에서 제작한 야외활동복 겸 전술복인 헤리테크 리브드 니트 점퍼(HeriTech Rib Knit Jumper)와 헤리테크 트라우저(HeriTech trousers) 바지를 착용한 모습을 하고 있다. 해양안보작전(Maritime Security Operations)에 투입되는 1990년대 SBS 대원이 테마인 스킨. (해당 번들을 소개하는 영국 게임뉴스 사이트의 기사)
2.9. 마셜
| ||||
바이오 | ||||
이름 | 트로이 마셜 | |||
<colbgcolor=#000000> 국적 | 미국 | <colbgcolor=#000000> 언어 | 영어 | |
소속진영 | 로그 블랙 옵스 | 상태 | 활성 | |
배경 | ||||
"다음은 판테온이라고 전해라." - 트로이 마셜 트로이 마셜은 자신이 설계한 강력한 도덕적 나침반에 따라 행동하는데, 이는 종종 제도적 규범 및 주변 사람들의 신념과 충돌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것들도 그가 옳다고 믿는 일을 하는 것을 막지 못 했습니다. 이러한 높은 도적적 기준은 그의 어린 시절에서 비롯되며, 자신의 아버지보다 더 나은 사람이 되겠다는 약속에서 기인합니다. 때때로 차갑고 내성적인 마셜은 전술적 천재이자 통찰력 있는 분석가입니다. 그는 만성적으로 불신을 가지고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주변 세계의 가혹함에 대해 유머러스한 관점을 품고 있습니다. 마셜은 매우 힘든 상황에서 생존하기 위해 동료의 기술에 의존하는 것을 부끄러워하지 않습니다. |
캠페인에 등장한 트로이 마셜이다. 로그 블랙옵스의 현장 지휘관을 맡았다.
스킨 |
- 강도: 캠페인 임무 "하이 롤러" 완료 보상. 해당 임무에서 루타치 카지노에 손님인 척 입장했을 때 입은 졸부 느낌 나는 바시티 재킷이다.
2.10. 위버
| ||||
바이오 | ||||
이름 | 그리고리 위버 | |||
<colbgcolor=#000000> 국적 | 러시아 | <colbgcolor=#000000> 언어 | 영어 | |
소속진영 | 전 레퀴엠 | 상태 | 활성 | |
배경 | ||||
"다시는 시스템을 믿나 보자." - 그리고리 위버 그리고리 위버는 소련의 평범한 가정에서 태어났습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그의 어머니가 미국으로 망명한 직후, 위버는 군대에 입대한 뒤에 CIA에 발탁되었습니다. 그는 바이코누르 우주기지에서 레브 크라브첸코에게 눈을 잃었지만, 그것을 명예로 삼고 수년간 많은 작전을 수행했습니다. 결국 위버는 프로젝트 레퀴엠 내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게 되었고, 그곳에서 포세이큰과의 대결로 이어지는 사건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위버는 지난 몇 년 동안 일어난 많은 일에 대한 책임을 지고 있습니다. 레퀴엠 디렉터에 대한 그의 맹목적인 신뢰 때문에 이윽고 그의 팀이 감옥에 갇혔고, 위버 자신의 결정이 원인이 되어 다크 에테르에서 맥시스 요원을 잃었습니다. 그는 이제 다시 자신을 지탱할 삶의 목적과 이유를 찾고 있습니다. |
좀비의 주연인 위버이다. 콜드 워에 이어서 이번작에서도 아군 오사를 당할 경우 '난 눈깔 하나지만 너보단 잘 쏘는데 뭐가 문제냐' 고 자신의 애꾸눈을 들먹이며 역정을 낸다(...).
좀비 모드에서 적들을 연속으로 처치하다 보면 "하루종일도 할 수 있어. 널린게 시체잖아" 라고 하는데, 이는 블랙 옵스 1때 클라크 박사를 창문 조각으로 고문할때 쓰던 명대사를 셀프 패러디한것. [4]
스킨 |
- 나이트 레이더: 명성 1 돌입. 월드 앳 워의 미 해병대가 좀비화되어 되살아난 컨셉의 스킨.
2.11. 마야
마야 아기날도2.12. 컴페티터(홈)
| ||||
바이오 | ||||
이름 | 2025 CDL 컴페티터 | |||
<colbgcolor=#000000> 국적 | 미국 | <colbgcolor=#000000> 언어 | 영어 | |
소속진영 | CDL | 상태 | 활성 | |
배경 | ||||
[삭제됨] |
CDL용 오퍼레이터. 밀심의 보이스를 사용했던 모던 워페어 시리즈, 기존 오퍼레이터의 음성을 재사용했던 콜드 워와 다르게 블랙셀 오퍼레이터들마냥 아예 보이스가 없다.
스킨 |
2.13. 골리앗
| ||||
바이오 | ||||
이름 | 골리앗 | |||
<colbgcolor=#000000> 국적 | 알 수 없음 | <colbgcolor=#000000> 언어 | 영어 | |
소속진영 | 로그 블랙 옵스 | 상태 | 활성 | |
배경 | ||||
지옥불로 제련되고 흑요석 아머의 갑옷을 두른 골리앗은 용암 분노의 화신 그 자체입니다. 그의 살갗에 박힌 화산 유리 파편은 파괴의 힘을 상징하며, 그의 무시무시한 형상을 이룹니다. 골리앗은 휴화산처럼 고요히 세계의 전장을 뒤쫓으며 가는 곳마다 파멸을 불러옵니다. |
2.14. 세브
| ||||
바이오 | ||||
이름 | 세바티 '세브' 뒤마 | |||
<colbgcolor=#000000> 국적 | 모로코/파키스탄 | <colbgcolor=#000000> 언어 | 영어 | |
소속진영 | 아발론 범죄 세계의 연락책 | 상태 | 활성 | |
배경 | ||||
"남이 하면 범죄, 내가 하면 경력이다." - 세브 파키스탄 이민자 가정에서 태어난 세바티 뒤마는 젊은 시절에 부모님의 갑작스러운 죽음 이후 모로코의 거리를 전전하게 됩니다. 그곳에서 생존하는 데 경범죄는 중요한 수단이었으며, 길드에 영입된 후 그녀는 유망한 젊은 암살자로 변모합니다. 아발론에서의 새로운 삶은 세바티가 아발론이 자기 연인의 목숨을 빼앗도록 계략을 꾸몄던 사실을 깨달았을 때 붕괴되고 맙니다. 그녀의 세계관이 산산조각이 난 후, 세바티는 마셜과 그의 팀에 합류해 그녀에게서 모든 것을 빼앗아간 범죄 조직에 맞서 싸우고 있습니다. 그녀의 생존력과 어떤 조직에서도 발휘되는 적응력은 여러 차례 입증되었지만, 개인적인 야망이 무엇인지는 여전히 불분명합니다. |
캠페인에 등장한 세바티 뒤마이다.
켐페인에선 정장도 입고 변장했을땐 화려한 머리스타일로 나름 아름다운 분위기를 풍겼는데 멀티에서는 핑크머리 반삭 숏컷에 코 피어싱, 문신까지 한 엄청난 비주얼로 하고 나와 사람들을 쇼킹하게 만들었다. 물론 그것 치고도 꽤 예쁘게 나온 편이다.
2.15. 리플레이서
| ||||
바이오 | ||||
이름 | 리플레이서 | |||
<colbgcolor=#000000> 국적 | 미국 | <colbgcolor=#000000> 언어 | 영어 | |
소속진영 | 로그 블랙 옵스 | 상태 | 활성 | |
배경 | ||||
"자기 아기한테나 뽀뽀하라고요, 아줌마." - 리플레이서 리플레이서에 대해 알려진 것은 거의 없습니다. 그리고 그게 그가 원하는 바입니다. 생년월일, 식단 제한, 또는 그가 좋아하는 넓적부리도요의 아종이 무엇인지도 알 필요 없습니다. 하지만 중요한 게 뭔지 아십니까? 그가 당신에 대해 알고 있는 모든 것입니다. 그는 당신의 삶에서 당신을 대신해서, 당신이 원하는 만큼 블랙 옵스를 즐길 시간을 가지도록 도와줍니다. 그는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만, 결과를 믿습니다. 그가 출근하면 확실히 누군가는 퇴근하게 됩니다. 영원히. |
콜 오브 듀티: 블랙 옵스 2에서부터 최초로 라이브 액션 트레일러에서 등장한, 블랙 옵스를 플레이하는 사람들을 대신해 그들의 현생을 살아준다는 개그 컨셉의 캐릭터. 페이스 모델 및 배우 역시 블랙 옵스 2 시절부터 리플레이서를 전담했던 피터 스토메어가 그대로 맡았다. 오퍼레이터 번들로 게임에 직접 등장한 것은 콜 오브 듀티: 블랙 옵스 4가 최초였으므로 거의 5년만에 다시 플레이어블 캐릭터로 돌아온 셈이다.
캐스팅 비용을 죄다 광고에 날려먹었는지 다른 오퍼레이터들보다 대사가 굉장히 없다. 다만, 좀비에서 15라운드까지 생존하면 자기가 버스를 태워줬다던가, 좀비나 워존에서 쓰러졌을 때 옛 정을 생각해서 좀 살려달라고 하는 등 골때리는 점은 잘 살아있다. 오퍼레이터 선택 메뉴에서의 모션은 다른 오퍼레이터들의 모션들 중 랜덤으로 아무 모션이나 선택하여 사용하는데, 참고로 이 오퍼레이터들의 모션들은 새로 업데이트되는 신규 오퍼레이터들의 모션도 포함이다. 따라서 시즌을 거듭할수록 리플레이서가 오퍼레이터 선택창에서 닌자 거북이처럼 봉을 들고 폼을 잡거나 사일런트 밥처럼 대마를 꺼내 피우는 광경도 볼 수 있게 되었다.
2.16. 새뮤얼스
| ||||
바이오 | ||||
이름 | 에릭 새뮤얼스 | |||
<colbgcolor=#000000> 국적 | 미국 | <colbgcolor=#000000> 언어 | 영어 | |
소속진영 | 로그 블랙 옵스 | 상태 | 활성 | |
배경 | ||||
"정말 배짱 있는 행동을 보여주셨습니다." - 새뮤얼스 에릭 새뮤얼스는 보스워스 대통령의 비밀경호국 소속이었으며, 2025년 메넨데즈의 드론 공격 당시 보스워스를 로스앤젤레스로 안전하게 데려가는 임무를 맡았습니다. 이 전투에서 새뮤얼스는 데이비드 메이슨과 마이크 하퍼와 같이 경험 많은 CIA 요원들과 함께 싸우고 그들의 신뢰를 얻었습니다. 새뮤얼스는 전통적이고 터프하여 그의 동료들은 재난 상황에서 그의 리더십과 힘에 의지합니다. 위협이 현실이 되기 훨씬 전에 미리 감지하는 능력을 갖추고 총격전에서도 냉정함을 유지하는 그는 이상적인 비밀 요원입니다. 소문에 따르면 새뮤얼스는 여러 차례 CIA의 영입 제안을 거절하고, 국가의 가장 중요한 지도자들을 수호하는 역할을 선호했다고 합니다. |
블랙 옵스 2 캠페인에서 USSS CAT 팀 소속으로 등장했던 에릭 새뮤얼스이다. 해금 조건이 명성 마스터 레벨 1000, 즉 만렙이다.
여담으로 캐릭터 등장이 굉장히 뜬금없기에, 루머로만 떠돌던 블랙 옵스 6의 후속작이 블랙 옵스 2 근미래전 파트의 몇 년 뒤를 다룬 후속작이라는 복선 및 떡밥 살포용 캐릭이라는 추측이 꽤 있다.
2.17. 라이온 마스크 VIP
| ||||
바이오 | ||||
이름 | [삭제됨] | |||
<colbgcolor=#000000> 국적 | [삭제됨] | <colbgcolor=#000000> 언어 | [삭제됨] | |
소속진영 | [삭제됨] | 상태 | 활성 | |
배경 | ||||
라이온 마스크 VIP는 게임 관람에 참여하여 일등석에 앉아서 죽음의 경기를 보기 위해 해외에서 찾아온 부자들로 구성된 무리의 일원입니다. 다른 VIP들과 마찬가지로, 그는 자신의 신원을 보호하기 위하여 스스로의 얼굴을 항상 가리고 있습니다.[미번역원문1] |
오징어 게임 시즌 2 콜라보레이션 번들 구매로 획득 가능한 오퍼레이터로, 오징어 게임을 후원하는 호스트의 고객들 중에서도 사자 가면을 쓴 1번 VIP. 원작의 VIP들 중에서도 거의 주도자 격인 역할을 보여줬기에 혼자서만 예외 취급이라는 것인지, 유료 번들로 구매하는 오징어 게임 콜라보 오퍼레이터들 중 유일하게 로그 블랙 옵스 진영이다. 블랙셀 오퍼레이터처럼 별도의 대사는 없으며 오퍼레이터 선택 메뉴에서의 모션은 바얀과 동일한 모션을 사용한다.
2.18. 레오나르도
| ||||
바이오 | ||||
이름 | 레오나르도 | |||
<colbgcolor=#000000> 국적 | 미국 | <colbgcolor=#000000> 언어 | 영어 | |
소속진영 | [삭제됨] | 상태 | 활성 | |
배경 | ||||
레오나르도(레오)는 헌신적이고, 규율이 있으며, 이타적입니다. 그는 강한 도덕적 감각을 지닌 완벽주의자입니다. 레오는 진지하고 책임감 있는 성격 때문에 그룹의 맏형 역할을 하며, 스플린터의 오른팔이자 팀의 비공식 리더입니다. 레오나르도의 무기 선택: 쌍수 카타나 |
2.19. 도나텔로
| ||||
바이오 | ||||
이름 | 도나텔로 | |||
<colbgcolor=#000000> 국적 | 미국 | <colbgcolor=#000000> 언어 | 영어 | |
소속진영 | [삭제됨] | 상태 | 활성 | |
배경 | ||||
도나텔로(돈 또는 도니)는 그룹 최고의 두뇌입니다. 그는 무엇이든 어떻게 작동하는지 이해하는 놀라운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컴퓨터 로봇 공학, 내연 기관, 로켓 추진 시스템, 냉장고의 불빛 등 모든 것을 이해하는 도니는 자타공인 자가 학습 천재입니다. 도나텔로의 무기 선택: 봉 |
2.20. 미켈란젤로
| ||||
바이오 | ||||
이름 | 미켈란젤로 | |||
<colbgcolor=#000000> 국적 | 미국 | <colbgcolor=#000000> 언어 | 영어 | |
소속진영 | [삭제됨] | 상태 | 활성 | |
배경 | ||||
미켈란젤로(마이키)는 남 흉내를 잘 내고 짓궃은 장난꾼, 또한 가장 웃긴 친구입니다. 그는 라디오, TV, 비디오 게임 등에서 각종 정보를 얻습니다. 그는 또한 가장 운동신경이 뛰어나지만, 훈련은 가장 싫어합니다. 미켈란젤로의 무기 선택: 쌍절곤 |
2.21. 라파엘
| ||||
바이오 | ||||
이름 | 라파엘 | |||
<colbgcolor=#000000> 국적 | 미국 | <colbgcolor=#000000> 언어 | 영어 | |
소속진영 | [삭제됨] | 상태 | 비활성 | |
배경 | ||||
이 성급한 거북이는 가장 독선적이고 충동적이며 가만히 못 있는 닌자 거북이입니다. 라파엘(라프)은 전투에서 자신을 시험하는 것을 가장 좋아하며, 훈련을 즐깁니다. 그는 보통 가장 먼저 행동에 뛰어들며, 그를 물러서게 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합니다. 라파엘의 무기 선택: 쌍차 |
2.22. 스플린터
| ||||
바이오 | ||||
이름 | 스플린터 | |||
<colbgcolor=#000000> 국적 | 미국 | <colbgcolor=#000000> 언어 | 영어 | |
소속진영 | [삭제됨] | 상태 | 활성 | |
배경 | ||||
스플린터는 돌연변이 쥐로, 닌자 거북이에게 철학과 무술을 가르치는 사부입니다. 그는 닌자술의 대가이며, 거북이들에게 닌자의 비밀과 무사도, 전사의 길을 가르쳤습니다. |
2.23. 허드슨
| ||||
바이오 | ||||
이름 | 제이슨 허드슨 | |||
<colbgcolor=#000000> 국적 | 미국 | <colbgcolor=#000000> 언어 | 영어 | |
소속진영 | 로그 블랙 옵스 | 상태 | 비활성 | |
배경 | ||||
신뢰할 수 있고 부패하지 않으며 철벽같이 강인한 허드슨은 규율에 따라 행동합니다. 그는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지식과 뛰어난 전략적 통찰력을 작전에 제공합니다. 허드슨은 불필요한 행동을 배제하는 단호한 태도와 위기 앞에서도 동요하지 않는 의지로 동료들 사이에서 최고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러셀 애들러와 프랭크 우즈와 같이 매우 까다로운 이들조차도 허드슨의 우수성을 인정합니다. 그는 진정한 CIA의 전설입니다. |
시즌 3의 주인공이다. BOCW의 라자르, 본작의 우즈처럼 허드슨은 이미 전작인 블랙 옵스 2의 1989년 파나마 침공 당시 메넨데즈의 흉계에 빠져 전사했으므로 작중 시점의 현재인 1991년에는 등장할 수 없어야 하지만[6], 시즌 3의 내용 역시 허드슨이 죽기 한 달 전(1989년 11월)에 남긴 판테온의 과거 행적들에 대한 사건 기록을 쫓아 판테온의 흔적을 한번 들춰본다는 컨셉이었기에 과거 회상이라는 형식으로 재등장하였다. 처형 대사 역시 "엉클 샘이 보내는 안부 인사다. (Uncle Sam send his regards.)" "자유의 여신이 보내는 선물이다. (Little gift from Lady Liberty.)" 등 블랙 옵스 초대작부터 허드슨을 봐온 유저들이라면 딱 느낌이 올 미국스러운 대사들로 흘러넘친다. 전술핵 사용 시에는 대놓고 민주주의의 맛 드립을 치는 건 덤.
이와는 별개로 시즌 3 인트로 영상이 콜 오브 듀티 공식 계정에 업데이트 될 당시에 업로드 담당자가 영상을 VR 모드로 업로드하는 바람에 허드슨의 얼굴이 뭘 잘못 먹은 듯 넙데데한 얼굴로 나오는 대참사(...)가 벌어졌었고, 결국 영상은 급히 수정되었으나 이미 그 상태를 캡처한 굴욕적인 스크린샷은 여전히 남아 버렸다.
2.24. 제이
| ||||
바이오 | ||||
이름 | 제이 | |||
<colbgcolor=#000000> 국적 | 미국 | <colbgcolor=#000000> 언어 | 영어 | |
소속진영 | [삭제됨] | 상태 | 활성 | |
배경 | ||||
시끄럽고 활기차게 자신을 표출하는 제이의 익살과 유머는 끊임없는 즐거움을 제공합니다. |
케빈 스미스의 풍자 코미디 영화 제이 앤 사일런트 밥 콜라보레이션[7][8] 번들 구매로 획득 가능한 오퍼레이터. 보이스 역시 제이 역의 제이슨 뮤스(Jason Mewes)가 그대로 맡았다. 다만 외견은 2001년 원작이 아니라 그 후속작인 2019년의 제이 앤 사일런트 밥 리부트 기준이며, 대사가 적은 사일런트 밥과 달리 대사가 충분히 갖춰져 있는 편. 멀티플레이어에선 승리 시 원작 영화에서 자신이 불렀던 랩(Jay's Rap)의 첫 가사인 "Fuck. Fuck. Fuck. Mother mother fuck. Mother mother fuck fuck." 을 부른다(...).
2.25. 사일런트 밥
| ||||
바이오 | ||||
이름 | 사일런트 밥 | |||
<colbgcolor=#000000> 국적 | 미국 | <colbgcolor=#000000> 언어 | 영어 | |
소속진영 | [삭제됨] | 상태 | 활성 | |
배경 | ||||
말수가 적은 사일런트 밥은 듀오에서 사려 깊고 내성적인 인물을 담당합니다. 그의 드물지만 영향력 있는 통찰력은 동료들에게 종종 놀라움을 선사합니다. |
케빈 스미스의 풍자 코미디 영화 제이 앤 사일런트 밥 콜라보레이션 번들 구매로 획득 가능한 오퍼레이터. 보이스 역시 감독이자 사일런트 밥 역을 맡은 케빈 스미스 본인이 그대로 맡았다. 다만 외견은 2001년 원작이 아니라 그 후속작인 2019년의 제이 앤 사일런트 밥 리부트[9] 기준이며, 블랙셀 오퍼레이터나 프론트맨을 제외한 오징어 게임 오퍼레이터들처럼 대사가 아예 하나도 없을 것 같지만 사실 처형 대사나 멀티플레이어 승리/패배 대사 그리고 인질 방패로 붙잡혔을 때의 대사 같은 정말 최소한의 대사 정도는 있다. 멀티플레이어 승리 시에는 "왜, 똑똑해 보이는 대사라도 해 주길 바래? 어음, 잘 했다. 아마도." 라는 제4의 벽을 넘을락 말락하는 대사를 치고, 적에게 인질 방패로 붙잡히면 "나 쏘지 말고 다른 놈 쏘라고! (don't shoot me! shoot the other fucking guy!)" 이라고 엄청나게 당황해 하면서 허둥대는 대사를 친다.
여담으로 사일런트 밥의 모델이자 담당 배우인 케빈 스미스는 블랙 옵스 6 이전에도 인피니트 워페어 좀비 모드의 Rave in the Redwoods에서 먼저 출연했던 경력이 있다. 공교롭게도 Rave in the Redwoods 맵 역시 블랙 옵스 6처럼 1990년대가 배경이며 여기서는 흑막인 윌라드 와일러의 흉계에 빠진 영화감독이라는 설정대로 실명 그대로 출연했는데, 결국 보스 몬스터인 거대 슬래셔로 변해서 주인공들에게 끔살당했다.
#!if version2 == null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콜 오브 듀티: 블랙 옵스 6/오퍼레이터|콜 오브 듀티: 블랙 옵스 6/오퍼레이터]]}}}{{{#!if external != "o"
[[콜 오브 듀티: 블랙 옵스 6/오퍼레이터]]}}}}}}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콜 오브 듀티: 블랙 옵스 6/오퍼레이터?uuid=ba5e439e-6ce8-485e-b69b-34c7adbc11ab|rr189]]}}}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콜 오브 듀티: 블랙 옵스 6/오퍼레이터?uuid=ba5e439e-6ce8-485e-b69b-34c7adbc11ab#s-|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https://namu.wiki/history/콜 오브 듀티: 블랙 옵스 6/오퍼레이터?from=r189|이전 역사 보러 가기]]}}}
#!if version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 left; padding: 0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콜 오브 듀티: 블랙 옵스 6/오퍼레이터|콜 오브 듀티: 블랙 옵스 6/오퍼레이터]]}}}{{{#!if external != "o"
[[콜 오브 듀티: 블랙 옵스 6/오퍼레이터]]}}}}}}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콜 오브 듀티: 블랙 옵스 6/오퍼레이터?uuid=ba5e439e-6ce8-485e-b69b-34c7adbc11ab|rr189]]}}}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콜 오브 듀티: 블랙 옵스 6/오퍼레이터?uuid=ba5e439e-6ce8-485e-b69b-34c7adbc11ab#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콜 오브 듀티: 블랙 옵스 6/오퍼레이터?from=r189|이전 역사]])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 == null
'''uuid2 not found'''}}}{{{#!if uuid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 == null
'''uuid3 not found'''}}}{{{#!if uuid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 == null
'''uuid4 not found'''}}}{{{#!if uuid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 == null
'''uuid5 not found'''}}}{{{#!if uuid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6 == null
'''uuid6 not found'''}}}{{{#!if uuid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7 == null
'''uuid7 not found'''}}}{{{#!if uuid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8 == null
'''uuid8 not found'''}}}{{{#!if uuid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9 == null
'''uuid9 not found'''}}}{{{#!if uuid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0 == null
'''uuid10 not found'''}}}{{{#!if uuid1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1 == null
'''uuid11 not found'''}}}{{{#!if uuid1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2 == null
'''uuid12 not found'''}}}{{{#!if uuid1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3 == null
'''uuid13 not found'''}}}{{{#!if uuid1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4 == null
'''uuid14 not found'''}}}{{{#!if uuid1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5 == null
'''uuid15 not found'''}}}{{{#!if uuid1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6 == null
'''uuid16 not found'''}}}{{{#!if uuid1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7 == null
'''uuid17 not found'''}}}{{{#!if uuid1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8 == null
'''uuid18 not found'''}}}{{{#!if uuid1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9 == null
'''uuid19 not found'''}}}{{{#!if uuid1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0 == null
'''uuid20 not found'''}}}{{{#!if uuid2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1 == null
'''uuid21 not found'''}}}{{{#!if uuid2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2 == null
'''uuid22 not found'''}}}{{{#!if uuid2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3 == null
'''uuid23 not found'''}}}{{{#!if uuid2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4 == null
'''uuid24 not found'''}}}{{{#!if uuid2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5 == null
'''uuid25 not found'''}}}{{{#!if uuid2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6 == null
'''uuid26 not found'''}}}{{{#!if uuid2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7 == null
'''uuid27 not found'''}}}{{{#!if uuid2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8 == null
'''uuid28 not found'''}}}{{{#!if uuid2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9 == null
'''uuid29 not found'''}}}{{{#!if uuid2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0 == null
'''uuid30 not found'''}}}{{{#!if uuid3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1 == null
'''uuid31 not found'''}}}{{{#!if uuid3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2 == null
'''uuid32 not found'''}}}{{{#!if uuid3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3 == null
'''uuid33 not found'''}}}{{{#!if uuid3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4 == null
'''uuid34 not found'''}}}{{{#!if uuid3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5 == null
'''uuid35 not found'''}}}{{{#!if uuid3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6 == null
'''uuid36 not found'''}}}{{{#!if uuid3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7 == null
'''uuid37 not found'''}}}{{{#!if uuid3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8 == null
'''uuid38 not found'''}}}{{{#!if uuid3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9 == null
'''uuid39 not found'''}}}{{{#!if uuid3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0 == null
'''uuid40 not found'''}}}{{{#!if uuid4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1 == null
'''uuid41 not found'''}}}{{{#!if uuid4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2 == null
'''uuid42 not found'''}}}{{{#!if uuid4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3 == null
'''uuid43 not found'''}}}{{{#!if uuid4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4 == null
'''uuid44 not found'''}}}{{{#!if uuid4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5 == null
'''uuid45 not found'''}}}{{{#!if uuid4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6 == null
'''uuid46 not found'''}}}{{{#!if uuid4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7 == null
'''uuid47 not found'''}}}{{{#!if uuid4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8 == null
'''uuid48 not found'''}}}{{{#!if uuid4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9 == null
'''uuid49 not found'''}}}{{{#!if uuid4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0 == null
'''uuid50 not found'''}}}{{{#!if uuid5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
[1] 어차피 고증을 따지면 구작 모던 워페어 2부터 브라질 민병대가 AC-130을 쓰지않나 EMP를 쓰지않나, 모던 워페어3에선 아프리카 민병대가 MOAB를 떨구지않나, 그냥 그런가보다 하고 넘어가는게 멀티플레이다.[2] 블랙 옵스 2의 2025년 근미래 파트 파키스탄 임무인 "타락천사" 임무에서 라울 메넨데즈와 결탁한 정보기관으로써 적으로 등장했던 그 기관 맞다.[3] 영수증 사진 업로드는 일본에서는 필수지만 다른 국가에서는 그냥 캔에 있는 코드 입력으로 가능하다[4] "하루종일도 할 수 있어, 널린게 창문이잖아."[미번역원문1] The Lion Mask VIP is part of a cabal of rich men from around the world who attend the games and have a front row seat to the deadly competition. Like the other VIPs, he keeps his face hidden to protect his identity.[6] 이를 반영하여 바이오에서의 상태가 활성으로 설정된 다른 오퍼레이터들과는 다르게 허드슨은 비활성으로 설정되어 있다.[7] 사실 정확히 말하자면 제이와 사일런트 밥이라는 캐릭터는 케빈 스미스 영화에서 꾸준히 얼굴을 비추는, 일종의 케빈 스미스 유니버스(?) 마스코트 같은 캐릭터다. 참고로 제이 앤 사일런트 밥 번들의 구성품으로 들어가 있는 '황금 송아지' 콤팍트 92 설계도와 황금 송아지가 그려진 무기 장식용 대형 데칼 등 뜬금없이 들어간 것처럼 보이는 송아지 캐릭터 역시 제이 앤 사일런트 밥과 세계관을 공유하는 케빈 스미스 유니버스 작품 중 하나인 도그마(영화)에 첫 등장했던 '금송아지 무비(Mooby the Golden Calf)' 라는 캐릭터로, 도그마와 제이 앤 사일런트 밥 작중에서는 이 캐릭터를 이용한 패스트푸드 프랜차이즈 사업도 벌이고 있는 것으로 묘사된다. 다만 무비라는 캐릭터의 모티브 자체가 영 좋지 않았던 만큼 도그마에서는 열받은 로키(맷 데이먼)가 십계명을 어겼다면서 데저트 이글을 들고 와서는 금송아지 무비 캐릭터 산업을 담당하던 프로덕션 회사 회의실에서 중역들을 (영혼이 깨끗한 여성 한 명을 제외하고) 모조리 쏴죽여 버리는 수난을 당했는데, 그 이후에 나온 영화들인 제이 앤 사일런트 밥 시점에서도 금송아지 무비 패스트푸드점이 여전히 영업중인 걸로 보아 캐릭터 사업이 망하진 않은 듯 보인다.[8] 또한 어느새 콜 오브 듀티 시리즈의 연례행사 이벤트 날(?)이 된 4월 20일 대마초의 날과도 연관이 있기도 한데, 케빈 스미스 유니버스에서 제이와 사일런트 밥 콤비는 뉴저지 일대에 거주하며 활동하는 삼류 대마초 딜러(까놓고 말하자면 마약상) 를 직업으로 삼고 있기 때문이다.[9] 여담으로 제이 앤 사일런트 밥 리부트에서는 시작부터 제이와 밥이 자신들의 대마초 히어로물 '블런트맨 앤 크로닉' 의 새 영화 관련 소송에서 패소하는 바람에 '제이 앤 사일런트 밥' 이라는 콤비명도 못 쓰게 되어버려서 사일런트 밥도 그냥 밥(...)으로 불리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