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3 23:26:44

레알 마드리드 CF/주요 인물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레알 마드리드 CF
파일:레알 마드리드 CF 로고.svg
레알 마드리드 CF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caf17> 산하
스포츠단
<colbgcolor=#004996> 축구 레알 마드리드 CF · 레알 마드리드 카스티야 CF · 레알 마드리드 CF C · 레알 마드리드 CF 칸테라 · 레알 마드리드 CF 페메니노 · 라 파브리카
농구 레알 마드리드 발론세스토 · 레알 마드리드 발론세스토 B
역사와 문화 역사 역사 · 시즌별 일람표 · 역대 엠블럼 · UEFA 챔피언스 리그 · 유니폼 · 갈락티코스 · 상대 전적 · 라 파브리카
역대 시즌 2011-12 · 2012-13 · 2013-14 · 2014-15 · 2015-16 · 2016-17(리그) · 2017-18(리그) · 2018-19(리그) · 2019-20(리그) · 2020-21(리그) · 2021-22(리그) · 2022-23(리그) · 2023-24(리그) · 2024-25(리그)
역대 명승부 1984-85 UEFA 컵 4강 2차전 · 2013-14 UEFA 챔피언스 리그 결승전 · 2015-16 UEFA 챔피언스 리그 결승전 · 2016-17 UEFA 챔피언스 리그 결승전 · 2017-18 UEFA 챔피언스 리그 결승전 · 2021-22 UEFA 챔피언스 리그 4강 2차전 · 2021-22 UEFA 챔피언스 리그 결승전
콘텐츠 응원가 · 레알 마드리드 TV · Hala Madrid(잡지)
팬 사이트 레알 마드리드 마이너 갤러리 · 레알매니아
공식 팬 마드리디스타
관련 상식 더비 매치 엘 클라시코 · 데르비 마드릴레뇨 · 엘 비에호 클라시코
기타 오해
구단 시설 경기장 에스타디오 데 오도넬 · 벨로드롬 데 시우다드 리네알 · 에스타디오 데 차마르틴 · 에스타디오 메트로폴리타노 데 마드리드 · 에스타디오 산티아고 베르나베우 · 에스타디오 알프레도 디 스테파노 · 엘 팔라시오
훈련 시설 시우다드 데포르티바 · 시우다드 레알 마드리드 (발데베바스)
인물 역대 회장 역대 회장
역대 감독 1대 ~ 40대 · 41대 ~
역대 주장 역대 주장
레전드 레전드
기타 관광 · 산티아고 베르나베우 · 페르난도 페르난데스 타피아스 · 호세 앙헬 산체스 · 레알 마드리드 CF/7번 · 레알 마드리드 CF/10번 · 레바뮌 · 논란 및 사건 사고
}}}}}}}}}}}} ||


1. 소개
1.1. 역대 회장1.2. 역대 감독1.3. 역대 주장1.4. 역대 원클럽맨1.5. 역대 발롱도르 수상자1.6. 역대 FIFA 올해의 선수 수상자1.7. 역대 UEFA 올해의 선수 수상자1.8. 역대 라리가 득점왕1.9. 역대 UEFA 챔피언스 리그 득점왕
2. 주요인물 소개
2.1. 감독2.2. 선수

[clearfix]

1. 소개

레알 마드리드 CF의 주요 인물을 서술하는 문서이다.

1.1. 역대 회장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fff,#191919><tablebgcolor=#ffffff,#191919> 파일:레알 마드리드 CF 로고.svg레알 마드리드 CF
회장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연도별 회장 목록
순서 이름 국적 '''기간''' 획득 트로피
1 훌리안 팔라시오스 파일:스페인 국기(1785–1873, 1875–1931).svg 1900 ~ 1902
2 후안 파드로스 파일:스페인 국기(1785–1873, 1875–1931).svg 1902 ~ 1904
3 카를로스 파드로스 파일:스페인 국기(1785–1873, 1875–1931).svg 1904 ~ 1908
4 아돌포 멜렌데스 파일:스페인 국기(1785–1873, 1875–1931).svg 1908 ~ 1916
5 페드로 파라헤스 파일:스페인 국기(1785–1873, 1875–1931).svg 1916 ~ 1926
6 루이스 데 우르키호 파일:스페인 국기(1785–1873, 1875–1931).svg 1926 ~ 1930
7 루이스 우세라 파일:스페인 제2공화국 국기.svg 1930 ~ 1935
8 라파엘 산체스-게라 파일:스페인 제2공화국 국기.svg 1935 ~ 1936
9 아돌포 멜렌데스 파일:스페인 제2공화국 국기.svg 1939 ~ 1940
10 안토니오 산토스 페랄바 파일:스페인 제2공화국 국기.svg 1940 ~ 1943
11 산티아고 베르나베우 파일:스페인국 국기(1945–1977).svg 1943 ~ 1978

12 루이스 데 카를로스 파일:스페인 국기.svg 1978 ~ 1985
13 라몬 멘도사 파일:스페인 국기.svg 1985 ~ 1995
14 로렌소 산스 파일:스페인 국기.svg 1995 ~ 2000
15 플로렌티노 페레스 파일:스페인 국기.svg 2000 ~ 2006
16 라몬 칼데론 파일:스페인 국기.svg 2006 ~ 2009
17 비센테 발루다 파일:스페인 국기.svg 2009
18 플로렌티노 페레스 파일:스페인 국기.svg 2009 ~

: 라리가 / : 코파 델 레이 / : 수페르코파 데 에스파냐[1] / : UEFA 챔피언스 리그
: UEFA 유로파 리그 / : UEFA 슈퍼컵 / : FIFA 클럽 월드컵[2] / : 코파 데 라리가

[1] 전신인 코파 에바 두아르테 포함[2] 인터컨티넨탈 컵 포함
}}}}}}}}} ||

1.2. 역대 감독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fff,#191919><tablebgcolor=#ffffff,#191919> 파일:레알 마드리드 CF 로고.svg레알 마드리드 CF
감독 (1대~40대)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caf17,#e89b0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555555,#aaaaaa
1910 ~ 1994
1대
존슨
파일:북아일랜드 국기.svg
2대
카르세르
파일:스페인 국기(1785–1873, 1875–1931).svg
3대
요렌테
파일:스페인 국기(1785–1873, 1875–1931).svg
4대
베르나베우
파일:스페인 국기(1785–1873, 1875–1931).svg
5대
베라온도
파일:스페인 국기(1785–1873, 1875–1931).svg
6대
퀴란테
파일:스페인 국기(1785–1873, 1875–1931).svg
7대
헤르츠카
파일:헝가리 국기.svg
8대
퍼스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9대
브루
파일:스페인 제2공화국 국기.svg
10대
킨케
파일:스페인국 국기(1938-1945).svg
11대
엔시나스
파일:스페인국 국기(1938-1945).svg
12대
킨코세스
파일:스페인국 국기(1938-1945).svg
13대
알베니스
파일:스페인국 국기(1945–1977).svg
14대
킨코세스
파일:스페인국 국기(1945–1977).svg
15대
키핑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16대
알베니스
파일:스페인국 국기(1945–1977).svg
17대
스카로네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18대
이피냐
파일:스페인국 국기(1945–1977).svg
19대
페르난데스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20대
비야롱아
파일:스페인국 국기(1945–1977).svg
21대
카르니글리아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22대
무뇨스
파일:스페인국 국기(1945–1977).svg
23대
카르니글리아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24대
플레이타스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25대
무뇨스
파일:스페인국 국기(1945–1977).svg

26대
몰로니
파일:스페인국 국기(1945–1977).svg
27대
밀랴니치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28대
몰로니
파일:스페인 국기(1977-1981).svg
29대
보슈코브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30대
몰로니
파일:스페인 국기.svg
31대
디 스테파노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32대
아마로
파일:스페인 국기.svg
33대
몰로니
파일:스페인 국기.svg
34대
베인하커르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35대
토샥
파일:웨일스 국기.svg
36대
디 스테파노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37대
안티치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38대
베인하커르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39대
플로로
파일:스페인 국기.svg
40대
델 보스케
파일:스페인 국기.svg
▶ 레알 마드리드 CF 감독(41대 이후)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fff,#191919><tablebgcolor=#ffffff,#191919> 파일:레알 마드리드 CF 로고.svg레알 마드리드 CF
감독 (41대~)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caf17,#e89b0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555555,#aaaaaa
1994 ~ 현재
41대
발다노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42대
이글레시아스
파일:스페인 국기.svg
43대
델 보스케
파일:스페인 국기.svg
44대
카펠로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45대
하인케스
파일:독일 국기.svg
46대*
카마초
파일:스페인 국기.svg
47대
히딩크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48대
토샥
파일:웨일스 국기.svg
49대
델 보스케
파일:스페인 국기.svg
50대
케이로스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51대
카마초
파일:스페인 국기.svg
52대
레몬
파일:스페인 국기.svg
53대
루솀부르구
파일:브라질 국기.svg
54대
카로
파일:스페인 국기.svg
55대
카펠로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56대
슈스터
파일:독일 국기.svg
57대
라모스
파일:스페인 국기.svg
58대
펠레그리니
파일:칠레 국기.svg
59대
무리뉴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60대
안첼로티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61대
베니테스
파일:스페인 국기.svg
62대
지단
파일:프랑스 국기.svg
63대
로페테기
파일:스페인 국기.svg
64대
솔라리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65대
지단
파일:프랑스 국기.svg
66대
안첼로티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라리가 / : 코파 델 레이 / : 수페르코파 데 에스파냐[1] / : UEFA 챔피언스 리그
: UEFA 유로파 리그 / : UEFA 슈퍼컵 / : FIFA 클럽 월드컵[2] / : 코파 데 라리가
* 감독으로 취임했으나 경기를 치르지 않고 사임
◀ 레알 마드리드 CF 감독(1대~40대)

[1] 전신인 코파 에바 두아르테 포함[2] 인터컨티넨탈컵 포함
}}}}}}}}}}}}}}} ||

1.3. 역대 주장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fff,#191919><tablebgcolor=#ffffff,#191919> 파일:레알 마드리드 CF 로고.svg레알 마드리드 CF
주장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연도별 주장 목록
순서 이름 국적 '''기간''' 비고
0 훌리안 팔라시오스 파일:스페인 국기(1785–1873, 1875–1931).svg 1900 공식 창단 전 주장
1 아서 존슨 파일:북아일랜드 국기.svg 1901 ~ 1902 초대 주장, 첫 외국인 주장
2 호세 히랄트 파일:스페인 국기(1785–1873, 1875–1931).svg 1902 ~ 1903
3 페데리코 레부엘토 파일:과테말라 국기.svg 1903 ~ 1904
4 루치아노 리사라가 파일:스페인 국기(1785–1873, 1875–1931).svg 1904 ~ 1905
5 호세 베라온도 파일:스페인 국기(1785–1873, 1875–1931).svg 1905 ~ 1909
6 호세 마리아 카스텔 파일:스페인 국기(1785–1873, 1875–1931).svg 1914 ~ 1915
7 산티아고 베르나베우 파일:스페인 국기(1785–1873, 1875–1931).svg 1915 ~ 1921
8 후안 몬하르딘 파일:스페인 국기(1785–1873, 1875–1931).svg 1921 ~ 1924 원클럽맨
9 페리코 에스코발 파일:스페인 국기(1785–1873, 1875–1931).svg 1924 ~ 1927
10 펠릭스 페레스 파일:스페인 국기(1785–1873, 1875–1931).svg 1927 ~ 1928
11 펠릭스 케사다 파일:스페인 국기(1785–1873, 1875–1931).svg 1928 ~ 1935 원클럽맨
12 에우헤니오 이랄리오 파일:스페인 제2공화국 국기.svg 1935 ~ 1936
13 레온시토 파일:스페인 제2공화국 국기.svg 1939 ~ 1942
14 호세 라몬 사우토 파일:멕시코 국기.svg 1942 ~ 1944 스페인 국적 보유
15 후안 안토니오 이피냐 파일:스페인국 국기(1945–1977).svg 1944 ~ 1949
16 사비노 바리나가 파일:스페인국 국기(1945–1977).svg 1949 ~ 1950
17 클레멘테 페르난데스 파일:스페인국 국기(1945–1977).svg 1950 ~ 1952
18 루이스 몰로니 파일:스페인국 국기(1945–1977).svg 1952 ~ 1956
19 미겔 무뇨스 파일:스페인국 국기(1945–1977).svg 1956 ~ 1958
20 후아니토 알론소 파일:스페인국 국기(1945–1977).svg 1958 ~ 1960
21 호세 마리아 사라가 파일:스페인국 국기(1945–1977).svg 1960 ~ 1962
22 프란시스코 헨토 파일:스페인국 국기(1945–1977).svg 1962 ~ 1971 최장 기간 주장 역임
23 이그나시오 소코 파일:스페인국 국기(1945–1977).svg 1971 ~ 1974
24 아만시오 아마로 파일:스페인국 국기(1945–1977).svg 1974 ~ 1976
25 피리 파일:스페인국 국기(1945–1977).svg 1976 ~ 1980
26 미겔 앙헬 파일:스페인 국기.svg 1980 ~ 1986
27 산티야나 파일:스페인 국기.svg 1986 ~ 1988
28 호세 안토니오 카마초 파일:스페인 국기.svg 1988 ~ 1989
29 아구스틴 로드리게스 파일:스페인 국기.svg 1989 ~ 1990
30 첸도 파일:스페인 국기.svg 1990 ~ 1998 원클럽맨
31 마놀로 산치스 파일:스페인 국기.svg 1998 ~ 2001 원클럽맨
32 페르난도 이에로 파일:스페인 국기.svg 2001 ~ 2003
33 라울 곤살레스 파일:스페인 국기.svg 2003 ~ 2010
34 이케르 카시야스 파일:스페인 국기.svg 2010 ~ 2015
35 세르히오 라모스 파일:스페인 국기.svg 2015 ~ 2021
36 마르셀루 파일:브라질 국기.svg 2021 ~ 2022 117년 만의 외국인 주장
37 카림 벤제마 파일:프랑스 국기.svg 2022 ~ 2023
38 나초 페르난데스 파일:스페인 국기.svg 2023 ~ 현 주장
구단 역사상 최다 트로피 획득
틀 정보
* 레알 마드리드의 주장은 입단 순서대로 결정한다.
}}}}}}}}} ||

1.4. 역대 원클럽맨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fff,#191919><tablebgcolor=#ffffff,#191919> 파일:레알 마드리드 CF 로고.svg레알 마드리드 CF
역대 원클럽맨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활동 기간 이름 국적
1918~1929 후안 몬하르딘 파일:스페인 국기(1785–1873, 1875–1931).svg
1922~1936 펠릭스 케사다 파일:스페인 국기(1785–1873, 1875–1931).svg
1982~1998 첸도 파일:스페인 국기.svg
1983~2001 마놀로 산치스 파일:스페인 국기.svg
}}}}}}}}} ||

1.5. 역대 발롱도르 수상자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fff,#191919><tablebgcolor=#ffffff,#191919> 파일:레알 마드리드 CF 로고.svg레알 마드리드 CF
발롱도르 수상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연도 수상자 국적
1957 알프레도 디 스테파노 파일:스페인국 국기(1945–1977).svg
1958 레몽 코파 파일:프랑스 국기.svg
1959 알프레도 디 스테파노 파일:스페인국 국기(1945–1977).svg
2000 루이스 피구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2002 호나우두 파일:브라질 국기.svg
2006 파비오 칸나바로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2013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2014
2016
2017
2018 루카 모드리치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2022 카림 벤제마 파일:프랑스 국기.svg
}}}}}}}}} ||

1.6. 역대 FIFA 올해의 선수 수상자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fff,#191919><tablebgcolor=#ffffff,#191919> 파일:레알 마드리드 CF 로고.svg레알 마드리드 CF
FIFA 올해의 선수 수상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연도 수상자 국적
2001 루이스 피구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2002 호나우두 파일:브라질 국기.svg
2003 지네딘 지단 파일:프랑스 국기.svg
2006 파비오 칸나바로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2013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2014
2016
2017
2018 루카 모드리치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 ||

1.7. 역대 UEFA 올해의 선수 수상자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fff,#191919><tablebgcolor=#ffffff,#191919> 파일:레알 마드리드 CF 로고.svg레알 마드리드 CF
UEFA 올해의 선수 수상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연도 수상자 국적
1999-00 페르난도 레돈도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2001-02 지네딘 지단 파일:프랑스 국기.svg
2013-14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2015-16
2016-17
2017-18 루카 모드리치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2021-22 카림 벤제마 파일:프랑스 국기.svg
}}}}}}}}} ||

1.8. 역대 라리가 득점왕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fff,#191919><tablebgcolor=#ffffff,#191919> 파일:레알 마드리드 CF 로고.svg레알 마드리드 CF
라리가 득점왕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시즌 수상자 경기 수 득점 국적
1932-33 마누엘 올리바레스 14 16 파일:스페인 제2공화국 국기.svg
1951-52 파이뇨 27 28 파일:스페인국 국기(1945–1977).svg
1953-54 알프레도 디 스테파노 28 27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파일:스페인국 국기(1945–1977).svg
1955-56 30 24
1956-57 30 31
1957-58 30 19
1958-59 28 23
1959-60 페렌츠 푸스카스 24 26 파일:헝가리 국기.svg
파일:스페인국 국기(1945–1977).svg
1960-61 28 27
1962-63 30 26
1963-64 25 20
1968-69 아만시오 아마로 29 14 파일:스페인국 국기(1945–1977).svg
1969-70 29 16
1983-84 후아니토 27 28 파일:스페인 국기.svg
1985-86 우고 산체스 33 22 파일:멕시코 국기.svg
1986-87 41 34
1987-88 36 29
1989-90 35 38
1990-91 에밀리오 부트라게뇨 35 19 파일:스페인 국기.svg
1994-95 이반 사모라노 38 28 파일:칠레 국기.svg
1998-99 라울 곤살레스 37 25 파일:스페인 국기.svg
2000-01 36 24
2003-04 호나우두 32 25 파일:브라질 국기.svg
2006-07 뤼트 판니스텔로이 37 25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2010-11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34 40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2013-14 30 31
2014-15 35 48
2021-22 카림 벤제마 32 27 파일:프랑스 국기.svg
}}}}}}}}} ||

1.9. 역대 UEFA 챔피언스 리그 득점왕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fff,#191919><tablebgcolor=#ffffff,#191919> 파일:레알 마드리드 CF 로고.svg레알 마드리드 CF
UCL 득점왕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시즌 수상자 경기 수 득점 국적
1957-58 알프레도 디 스테파노 7 10 파일:스페인국 국기(1945–1977).svg
1959-60 페렌츠 푸스카스 7 12 파일:헝가리 국기.svg
1961-62 알프레도 디 스테파노 10 7 파일:스페인국 국기(1945–1977).svg
페렌츠 푸스카스 9 7 파일:스페인국 국기(1945–1977).svg
후스토 테하다 8 7 파일:스페인국 국기(1945–1977).svg
1963-64 페렌츠 푸스카스 8 7 파일:스페인국 국기(1945–1977).svg
1987-88 미첼 8 4 파일:스페인 국기.svg
1999-00 라울 곤살레스 15 10 파일:스페인 국기.svg
2000-01 12 7
2012-13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12 12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2013-14 11 17
2014-15 12 10
2015-16 12 16
2016-17 13 12
2017-18 13 15
2021-22 카림 벤제마 12 15 파일:프랑스 국기.svg
}}}}}}}}} ||

2. 주요인물 소개

2.1. 감독

  • 호세 비야롱아 (1955~1957)

    • 최초의 유러피언컵 우승 감독

    초대 유러피언컵 우승을 비롯, 유러피언컵 2연패와 라리가 2회 우승을 기록하며 원조 갈락티코를 이끌었다. 뿐만 아니라 이후에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감독으로 부임하여 UEFA 컵위너스컵을 안겼으며 스페인에서는 유로의 전신인 유러피언 네이션스컵 1964을 우승으로 이끌어 스페인의 축구부흥을 이끌었던 감독으로 평가받는다.
  • 미겔 무뇨스 (1959~1974)

    • 레알 마드리드 역사상 최장기 감독

    파리목숨으로 유명한 레알 마드리드의 감독직을 무려 16년이나 수행하며 라리가 우승 9회, 유로피언컵 2회, 코파델레이 2회 우승을 기록하였다. 선수 시절에도 레알 마드리드에서 10년간 뛰며 라리가 우승 4회, 유로피언컵 우승 3회를 차지하여 현재까지도 레알 마드리드 역사상 최고의 감독으로 거론되는 인물.
  • 비센테 델 보스케 (1994,1996,1999~2003)

    • 갈락티코스 1기를 상징하는 감독

    1999년, 존 토샥 감독의 경질 이후 감독 대행을 맡게 된 이후로 2003년까지 레알 마드리드의 지휘봉을 잡았다. 마침 델 보스케의 재임기에 현 레알 마드리드의 회장인 플로렌티노 페레스가 취임하며 루이스 피구, 지네딘 지단, 호나우두 등을 영입해 이른바 갈락티코스를 결성하여 축구계에 엄청난 충격을 몰고왔다. 부임기 동안 라리가 2회, 챔피언스리그 2회 우승을 기록하여 다시금 레알 마드리드가 챔피언스리그의 최강자로 떠오르게 한 1등 공신이며 이후엔 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으로 부임하여 스페인 축구 역사 최초의 월드컵 우승을 이루었다.
  • 카를로 안첼로티 (2013~2015,2021~)

    • 3번의 챔피언스리그 우승

    AC밀란의 챔피언스리그 우승 2회를 이끈 전설적인 감독으로 2013-14 시즌 무리뉴의 경질 이후 레알 마드리드에 부임하였다. 2013-14 시즌, 12시즌 동안 챔피언스리그 우승 실패로 아홉수에 걸려있던 레알 마드리드에게 드디어 라 데시마를 선물하며 10번째 챔피언스리그 우승을 달성하였다. 2014-15 시즌 후반기의 부진으로 경질되고 이후 바이에른 뮌헨, 나폴리, 에버튼을 거쳐 2021-22시즌 다시금 레알 마드리드의 지휘봉을 잡았다. 연속된 실패로 팬들의 기대감은 낮았으나 보란듯이 리그-챔피언스리그 더블을 달성하며 건재함을 입증하였고 2023-24시즌 또 다시 리그와 챔피언스리그 더블을 달성하며 재임기간 동안 리그 우승 2회, 챔피언스리그 우승 3회, 코파델레이 우승 2회 등 총 13회의 트로피를 수집하였다. 다음 시즌에도 지휘봉을 맡은 만큼 최다 기록인 미겔 무뇨스의 14회 우승기록을 갱신할 가능성이 매우 크다. 현재 역대 챔피언스리그 우승 5회로 최다 우승 감독
  • 지네딘 지단 (2016~2018,2019~2021)

    • 개편 후 최초의 챔피언스리그 3연패

    선수로서도 레알 마드리드에서 전설적인 커리어를 쌓아올린 지단은 2015-16시즌 최악의 시즌행보를 보이던 베니테즈가 경질되고 새로이 레알 마드리드의 감독으로 부임하였다. 프로 커리어 첫 감독 수행이라 많은 우려가 있었으나 무려 챔피언스리그 3연패라는 전설적인 기록을 세우면서 감독으로서도 레알 마드리드의 레전드 반열에 오르게 되었다. 1기와 2기 통틀어 리그 우승 2회, 챔피언스리그 우승 3회 등 총 11회의 우승트로피를 들어올려 짧은 재임기간에도 불구하고 레알 마드리드 역대 감독 트로피 순위 3위에 위치한다.

2.2. 선수

  • 미겔 무뇨스 (1948~1958)

    • 저승사자 군단의 주장

    감독으로서도, 선수로서도 레알 마드리드의 레전드 격 인물. 초대 유러피언컵 우승 당시 레알 마드리드의 주장이었으며 유러피언컵 3연패를 기록한 이후 선수로서 은퇴하고 이듬해 감독직에 부임하여 또 한번 레알 마드리드의 유로피언컵 우승을 이끌게 된다. 스타플레이어 출신 명감독의 시초격 인물
  • 알프레도 디 스테파노 (1953~1964)

    • 금빛 화살

    펠레 이전 역사상 최고의 축구선수이자 레알 마드리드라는 클럽의 이미지를 확립한 레알 마드리드 그 자체. 페렌츠 푸스카스, 레몽 코파, 프란시스코 헨토, 미겔 무뇨스 등 당대 최강의 라인업을 이끌고 전무후무한 유로피언컵 5연패과 함께 라리가 8회 우승을 달성하여 레알 마드리드를 세계 최고의 클럽으로 올려놓은 장본인이다. 396경기 308득점의 경이로운 득점 수를 기록했으며 유로피언컵(현 챔피언스리그)에서도 58경기 49골로 경기수가 2배 이상 많아진 현 챔피언스리그를 뛰는 선수들을 모두 합쳐도 역대 챔피언스리그 득점 9위, 경기당 득점률 1위라는 무시무시한 기록을 가지고 있다. 2회의 발롱도르를 수상하였고 프랑스 프랑스 풋볼이 주관한 1989년의 투표에서 요한 크루이프와 미셸 플라티니 등을 누르고 유럽 축구 역사상 최고의 선수 타이틀을 얻어, 그로 인해 슈퍼 발롱도르라는 특별상을 받게 되었다.
  • 프란시스코 헨토 (1953~1971)

    • 칸타브리아의 광풍

    유로피언컵 5연패 시절 주전 윙어로 활약했으며 선수시절 동안 무려 라리가 12회 우승, 유로피언컵 6회 우승을 달성하여 두 부문 모두 최다 우승자로 남아있다. 마르셀로 이전, 레알 마드리드 소속 최다 우승자였으며 라리가 우승 12회 기록은 당분간 다시 깨지기 힘든 불멸의 기록으로 손꼽힌다. 본래 유로피언컵 6회 우승도 불멸의 기록으로 남을 것이라 예상되었으나 같은 팀 소속 후배들인 루카 모드리치, 다니 카르바할, 나초 페르난데스, 토니 크로스가 6회 우승으로 동률을 이루며 50년 넘게 지니고 있던 챔피언스리그 단독 최다 우승자 자리에서 공동으로 내려오게 되었다.
  • 호세 산타마리아 (1957~1966)

    • The Wall

    선수 시절 1950년대 유럽 무대를 호령하며 저승사자 군단으로 불렸던 레알 마드리드의 주축 수비수였으며, 알프레도 디 스테파노, 페렌츠 푸스카스, 레몽 코파, 프란시스코 헨토 등과 함께 팀의 유러피언 컵 5연패 중 3번의 우승에 기여했다. 또한 저승사자 군단의 주축들이 은퇴를 한 이후에도 헨토와 함께 1965-66 시즌 유러피언 컵 우승을 기여했다. 레알 시절에는 'The Wall(벽)'이라는 별칭을 달고 있었으며 이 별명의 원조격이다. 라리가 우승 6회, 유로피언컵 우승 4회 기록 보유
  • 페렌츠 푸스카스 (1958~1966)

    • 매직 마자르

    본래 고국의 구단인 부다페스트 혼베드 FC에서 전성기를 보냈으나 1956년 헝가리 혁명이후 혼란해진 국내상황을 피해 2년간의 공백기를 거친후 1958년 레알 마드리드에 입단하게 된다. 30이 넘은 늦은 나이에 입단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디 스테파노와 엄청난 콤비를 이루며 유러피언컵 2연패를 비롯해 유러피언컵 3회 우승, 라리가 5연패, 262경기 242골을 기록하였다.
  • 아만시오 아마로 (1962~1974)

    • 마법사

    선수 시절 프란시스코 헨토의 뒤를 이은 스페인 당대 최고의 윙어였으며, 레알 마드리드에서 맹활약한 전설적인 선수이다. 스페인 자국 선수들로 팀을 꾸렸던 1960년대 Yé-yé 마드리드의 핵심인물이었으며 선수시절 라리가 9회, 유로피언컵 1회 우승을 달성하였다.
  • 피리 (1964~1980)

    • Yé-yé 마드리드의 주역

    본명은 호세 마르티네스 산체스, 60-70년대 레알 마드리드의 전설적인 중앙 미드필더로서 라리가 10회, 유로피언컵 1회 우승경력을 가지고 있는 레알 마드리드의 레전드중 한명이자 레알 마드리드의 명예회장이다. 라리가 10회 우승 기록은 같은 팀의 헨토에 뒤이은, 리오넬 메시와 공동 2위의 기록이다.
  • 산티야나 (1971~1988)

    • 1970~80년대 레알 마드리드의 아이콘

    은퇴 시점 기준, 레알 마드리드 역대 최다 출장자 및 역대 최다 득점 2위에 빛나는 7~80년대 레알 마드리드의 아이콘. 무려 645경기에 출전하여 290골을 기록하고 있으며 코파델레이 통산 49골은 페렌츠 푸스카스와 함께 아직도 깨지지 않는 레알 마드리드의 코파 델레이 최다 득점기록이다. 선수 시절동안 라리가 우승 7회, 코파 델레이 우승 4회, UEFA컵 우승 2회를 기록했으며 두 번의 결승전에서 모두 골을 넣었다.
  • 호세 안토니오 카마초 (1974~1989)

    • 스페인 역사상 최고의 레프트백

    레알 마드리드에서만 무려 16년을 뛰면서 라리가 우승 10회, 코파델레이 우승 5회, UEFA컵 우승 2회를 기록한 80년대 레알 마드리드의 주요 선수. 아쉽게도 이 기간 레알 마드리드가 챔피언스리그에서 우승을 차지하지 못하면서 선수 생활 동안 빅이어를 들어올린 기록은 없다.
  • 울리 슈틸리케 (1977~1985)

    • 레알 마드리드 최초의 독일 레전드

    1970년대,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의 전성기를 이끌며 3번의 분데스리가 우승과 1번의 UEFA컵 우승을 이끌었던 슈틸리케는 1977년 레알 마드리드로 이적하여 306경기를 출전하여 당시 기준으로 레알 마드리드 역대 외국인 최다 출장 기록을 세웠다. 1978-79시즌부터 1981-82시즌까지 라리가 최고 외국인 선수상인 돈발롱 4연패를 기록하며 최다 수상기록을 가지고 있다. 선수시절동안 라리가 우승 3회, 코파 델레이 우승 2회, UEFA컵 우승 1회를 기록. 카마초와 함께 레알 마드리드의 역사에 길이 남을 선수임에도 수많은 챔피언스리그를 지닌 레알 마드리드의 특징 상 역대 베스트 11에서 챔피언스리그 우승기록을 보유한 선수들에게 밀리는 경우가 잦아 저평가 당하는 케이스이다.
  • 후아니토 (1977~1987)

    • 베르나베우에서의 90분은 매우 길다.

    1970~80년대 레알 마드리드를 대표하던 스트라이커. 산티야나, 울리 슈틸리케, 비센테 델 보스케, 그리고 호세 안토니오 카마초 등과 함께 1970년 말에서 1980년대 레알 마드리드 성공의 주역으로 활약했다. 레알 마드리드 1년차에 10골을 기록한 그는 5번의 라리가 우승, 2번의 코파 델 레이 우승, 그리고 2번의 UEFA컵 우승에 지대한 공을 세우며 팀의 중흥기를 이끌었다.1984-85, 1985-86 시즌 레알 마드리드의 UEFA컵 2연패의 주역 중 하나였으며 위의 후아니토의 발언처럼 2시즌동안 UEFA컵에서 레알 마드리드가 보여준 기적과 같은 역전승부를 연출해내며 현재까지도 레알 마드리드의 유럽 대항전 주요 승부처에서 위기 때마다 '후아니토 정신'이 언급되며 상당한 존재감을 지닌다.
  • 미첼 (1982~1996)

    • 80년대 독수리 오형제의 주역

    1980년대 레알 마드리드를 풍미했던 독수리 오형제의 일원이다. 레알 마드리드와 스페인의 주전 미드필더였으며 라리가 5연패를 비롯한 라리가 우승 6회, 코파 델레이 우승 2회, UEFA컵 2연패를 기록하였다. 아쉽게도 그가 은퇴하고 2년뒤에 레알 마드리드는 오랜 빅이어 가뭄을 해결하였고 미첼은 빅이어 없이 은퇴하게 되었다.
  • 첸도 (1982~1998)

    • 레알 마드리드 역사상 최고의 라이트백 중 하나

    1980년대 레알 마드리드를 풍미했던 독수리 오형제의 일원으로 레알 마드리드 역사상 단 두 명뿐인 원클럽맨으로 무려 17년간 레알 마드리드에서 활약하였다. 라 리가 7회, 코파 델 레이 2회, UEFA 컵 2회 우승을 경험했고, 그 과정에서 라 리가 역대 2번째 5연속 우승을 달성하기도 했다. 유러피언 컵에서는 3년 연속 4강 진출을 했음에도 우승에 실패하는 불운을 겪었지만, 첸도는 꾸준히 좋은 퍼포먼스를 선보였다. 1990년대 초반 이후엔 점차 주전 경쟁에서 밀리기 시작했고, 2~3옵션으로 꾸준히 뛰다가 1997/98 시즌을 마지막으로 은퇴했다. 이 시즌에 레알 마드리드는 프레드라그 미야토비치의 결승골로 유벤투스를 제압하고 통산 7번째 UEFA 챔피언스 리그 우승을 달성했다. 비록 첸도가 결승전에서 뛰진 못했지만, 선수 경력의 마지막 퍼즐이었던 빅 이어를 마지막 순간에 추가하고 명예롭게 은퇴하게 되었다.
  • 마놀로 산치스 (1983~2001)

    • 레알 마드리드의 유이한 원클럽맨

    첸도와 함께 레알 마드리드의 유이한 원클럽맨이며 마드리드에서 태어나 유스, 성인팀까지 오로지 레알 마드리드에서만 뛴 그야말로 레알 마드리드의 수호신. 은퇴시점, 레알 마드리드 최다 출장 선수 1위에 올랐으며 80년대 라리가 5연패를 거쳐 98년부터 첸도를 뒤이어 레알 마드리드의 주장으로써 1997-98시즌, 드디어 염원하던 UEFA 챔피언스리그 우승을 달성하였으며 1999-00시즌, 다시 한번 빅이어를 들어올리고 2001년 명예롭게 은퇴하였다. 포지션은 센터백/스위퍼였으며 페르난도 이에로, 세르히오 라모스와 함께 레알 마드리드 역사상 최고의 센터백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 에밀리오 부트라게뇨 (1984~1995)

    • 독수리

    1980년대 레알 마드리드의 중흥기를 이끌었던 독수리 오형제의 일원으로 레알 마드리드의 7번 계보를 잇는 공격수이자 우고 산체스와 함께 80년대 레알 마드리드의 에이스였다. 라리가 5연패를 비롯 라리가 6회 우승과 UEFA컵 2연패를 기록하였으며 1986년, 1987년에는 발롱도르 3위에 올랐고 1991년에는 커리어 처음이자 마지막 라리가 득점왕을 차지하기도 했다.
  • 우고 산체스 (1985~1992)

    • 멕시코 역사상 최고의 선수

    1980년대 레알 마드리드의 중흥기 시절 팀의 에이스였으며 무려 4년 연속 득점왕으로 팀을 라리가 5연패로 이끌며 명실상부한 레알 마드리드의 에이스 역할을 담당하였다. 크리스티아누 호날두와 리오넬 메시의 등장 이전까지 라리가의 득점기록 대부분을 보유했는데 은퇴 시점 텔모 사라에 이은 라리가 최다 득점 2위, 한시즌 최다 득점 1위(1989-90시즌, 38골), 텔모 사라에 이은 라리가 최다 득점왕 2위 등을 보유하고 있었다.
  • 프란시스코 부요 (1986~1997)

    • 카시야스 이전 레알 마드리드의 수문장

    1980~90년대 레알 마드리드의 수문장으로 사모라상 2회 수상, 은퇴 시점 라리가 최다 출장 3위 기록을 보유하고 있었다. 라리가 우승 6회, 코파 델레이 우승 2회를 기록
  • 페르난도 이에로 (1989~2003)

    • 라모스 이전 레알 마드리드 역사상 최고의 센터백

    마놀로 산치스를 이은 레알 마드리드의 주장으로 빈틈없는 수비와 수비수로서는 믿기지 않는 엄청난 득점력으로 레알 마드리드의 전성기를 이끌었다. 마놀로 산치스와 주로 센터백 듀오를 이루며 레알 마드리드의 후방을 담당하였으며 스위퍼와 수비형 미드필더로도 자주 출전하며 PK, 프리킥 등을 담당하기도 하였다. 수비력과 득점력 이외에도 정확한 롱패스로 빌드업의 중추가 되었던 선수였으며 선수 시절 라리가 우승 5회, UEFA 챔피언스리그 우승 3회를 기록하였다.
  • 페르난도 레돈도 (1994~2000)

    • 레알 마드리드 역사상 최고의 수비형 미드필더

    레알 마드리드를 넘어 당대 최고의 수비형 미드필더이자 딥라잉 플레이메이커로 활약했던 선수. 넓은 시야와 패싱력, 뛰어난 템포조절능력과 테크니컬한 드리블로 찬스를 만드는 찬스메이커 이면서도 정교한 수비능력도 갖추었던 만능 육각형 선수. 엄청난 활약을 바탕으로 1999-00 시즌 UEFA 올해의 클럽 축구선수 상을 수상하였으며 32년간 멈춰있던 레알 마드리드의 빅이어 시계를 다시 움직인 1등 공신 중 하나.
  • 라울 곤잘레스 (1994~2010)

    • 라울 마드리드

    레알 마드리드 최다 출전 1위, 레알 마드리드 최다 득점 3위, 챔피언스리그 최다 득점 5위에 빛나는 1990-00년대 레알 마드리드를 대표했던 에이스이자 마드리디스타들의 절대적인 지지를 받았던 디스테파노 이후 최고의 레알 마드리드 선수. 챔피언스리그 때마다 엄청난 활약으로 팀을 구해내며 호날두와 메시의 등장 이전까지 챔피언스리그 최다 득점자였으며 별명 자체가 챔피언스리그의 제왕이었다. 엄청난 실력 이외에도 레알 마드리드만을 생각하는 충성심, 헌신 등으로 팬들 사이에서는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혹은 그 이상으로 추앙받고 있는 존재이며 부트라게뇨의 7번을 계승하여 레알 마드리드의 7번을 완성시키고 호날두에게 계승하였다.
  • 호세 마리아 구티 (1995~2010)

    • 구티의 그 날

    라울과 함께 90-00년대 레알 마드리드의 전성기를 상징했던 선수. 비록 심한 기복과 부족한 탈압박 및 수비 능력으로 완벽하게 주전자리를 차지한 시즌은 얼마 안되나 주전 및 백업으로 15시즌을 레알에서만 활약하며 챔피언스리그 3회, 라리가 5회 우승 등 빛나는 순간마다 항상 있었던 마드리드의 레전드. 현역 시절 라울과 함께 팀 내에서 현지팬들에게 가장 인기가 많은 선수 중 하나였으며 국내팬들에게도 컨디션이 좋은 날마다 엄청난 활약을 보여줘 구티의 그날이라는 용어가 탄생했다.
  • 호베르투 카를로스 (1996~2007)

    • 역사상 최고의 레프트백 중 하나

    10년 넘게 레알 마드리드의 왼쪽을 담당했던 레알과 브라질의 전설. 국가대표로서도 브라질 월드컵 우승의 주역으로 활동하고 클럽에서도 팀의 UEFA 챔피언스리그 3회 우승의 주역으로 활약했다. 수비수지만 수비수 같지 않은 엄청난 킥력과 오버래핑으로 사실상 왼쪽 측면 공격을 전담하였으며 현대 축구의 공격형 풀백의 원형을 제시한 인물이며 후배인 마르셀루와 함께 레알 마드리드 역사상 최고의 레프트백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다.
  • 이케르 카시야스 (1999~2015)

    • 성 이케르

    어린 시절엔 주전 골키퍼였던 보도 일그너세사르 산체스의 백업 키퍼로 활동 하였으며 그들의 부진, 부상때마다 혜성같이 등장하여 챔피언스리그에서 상당한 역할을 수행하였다. 20대 초반의 어린 나이에 주전 골키퍼로 낙점되었으며 수비 밸런스가 완전히 무너졌던 갈락티코 1기 시절, 무려 리그 강등권 팀과 비슷한 슛팅 허용을 기록했던 당시의 수비 수준에서 경악스러운 선방능력을 선보이며 리그 실점을 최소화 하였다. 2000년대 후반에는 부폰, 체흐와 함께 세계 최고의 골키퍼로 분류되었으며 라울에 이은 스페인 국가대표의 주장으로 유로2008, 2010남아공 월드컵, 유로2012 등의 메이저 대회에서 3연패를 기록하며 스페인 국가대표 최전성기를 보내기도 하였다. 비록 말년에 불화설에 따른 잡음, 기량 하락 등으로 상당한 비판을 받게 되었으나 2013-14 시즌 모든 팬들이 고대하던 라 데시마를 이뤄냄으로써 어느정도 한을 풀게 되었다. 선수 기간 라리가 우승 5회, 챔피언스리그 우승 3회 기록
  • 루이스 피구 (2000~2005)

    • 갈락티코스의 신호탄

    본래 바르셀로나의 부주장까지 역임하는 등 바르셀로나의 레전드였으나 여러 과정을 통해 레알 마드리드로의 이적이라는 충격적인 사건을 일으킨 장본인. 전세계의 모든 스타들을 수집해 최고의 팀을 꾸리는 갈락티코스 1기의 신호탄과 같은 선수였으며 명성에 걸맞게 첫시즌부터 맹활약하며 비싼값을 지불한 이유를 증명하였다. 비록 뛴 시즌이 짧고 이후 지단, 호나우도 등 본인보다 스타성이 높았던 선수들이 줄줄이 영입되며 묻히는 감이 없지 않으나 뛴 기간 동안의 활약이 적지 않고 갈락티코스의 시작을 알리는 상징적인 선수라 나름 차지하는 비중이 적지 않다.
  • 지네딘 지단 (2001~2006)

    • 지주

    당대 최고의 팀이었던 유벤투스의 에이스였으나 챔피언스리그 우승을 갈망했던 본인의 의지, 갈락티코스 정책을 추진하던 페레즈의 강력한 요구에 따라 당시 기준 역대 최고의 이적료를 기록하며 레알 마드리드의 흰 유니폼을 입게 되었다. 영입 첫 시즌, 현재까지도 챔피언스리그 역대 최고의 골이라 불리는 결승 발리골을 기록하며 팀에 9번째 우승을 안겨다주었고 라리가 외국인 최우수 선수상을 수상했다. 갈락티코 시기 이름값에 비해 활약이 부족했던 호나우도, 오웬 등에 비해 은퇴할때까지 레알 마드리드의 에이스로 맹활약하였으며 이에로, 라울 등 레전드들 조차 달성하지 못했던 레알 마드리드에서의 은퇴를 실현하게 되었다. 이후 감독으로 부임하여 전설적인 기록을 더 쌓아올린건 덤.
  • 세르히오 라모스 (2005~2021)

    • 레알 마드리드 역사상 최고의 센터백

    16년간 레알 마드리드의 센터백으로 활약하며 라데시마 및 3연패의 주역으로 활동한 레알 마드리드 역사상 최고의 센터백이자 역사상 최고의 센터백 중 한명으로 분류되는 선수. 엄청난 공간 커버 능력과 정교한 태클 능력으로 다소 공격적인 포메이션을 지향했던 레알 마드리드의 수비 구멍을 완벽하게 메우던 선수였으며 무엇보다 엄청난 클러치 능력으로 2013-14 챔피언스리그 4강 2차전 선제골, 결승전 동점골, 2015-16 챔피언스리그 결승전 선제골 등 결정적인 순간마다 골을 기록해 레알 마드리드를 구원했던 수호신 같은 존재. 선수시절 라리가 우승 5회, 챔피언스리그 우승 4회를 기록했다.
  • 마르셀루 (2007~2022)

    • 호베르투 카를로스의 계보를 잇는 최고의 공격형 레프트백

    라데시마 및 챔피언스리그 3연패라는 대기록을 이끌었던 레알 마드리드 전성기의 주역 중 하나. 브라질, 레알 마드리드의 선배이자 같은 포지션이었던 호베르투 카를로스와 자주 비교되는데 팀내에서의 활약은 마르셀루, 전체적인 활약은 호베르투 카를로스로 의견이 모아진다. 직선적이고 클래식한 윙어의 모습을 보여주었던 카를로스와는 다르게 어지간한 공격수를 능가하는 엄청난 드리블 능력과 그를 바탕으로 한 빌드업 능력이 그의 장점으로 손꼽힌다. 전성기 시절 레알 마드리드의 빌드업을 담당하던 팀의 최고 핵심 선수였으며 기량이 쇠퇴하고 주전으로 밀리던 2019년 이후에도 그의 친화력과 리더쉽 등이 높게 평가받아 2021-22시즌 주장으로 선임되어 마지막 시즌 팀의 챔피언스리그 우승을 지켜보고 떠나게 되었다. 오랜기간 깨지지 않던 헨토의 최다우승 기록을 깨고 새로이 최다우승 기록을 쓴 레알 마드리드의 전설
  • 페페 (2007~2017)

    • 포르투갈에서 건너온 전사

    10년 동안 라모스와 함께 레알 마드리드의 후방을 이끌며 수많은 우승트로피를 수집한 전설. 대인수비력 만으로는 라모스도 능가한다는 평가를 받았던 선수였으며 튼튼한 피지컬과 빠른 발로 거칠게 달라붙어 상대방을 괴롭히는 형태의 수비를 구사하였다. 비록 좋지 않은 멘탈과 불같은 성격으로 수많은 카드를 수집하였으나 적어도 레알 마드리드 내에서는 성실한 태도와 헌신적인 플레이로 팬들의 사랑을 받았던 선수.
  •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2009~2018)

    • 축구 역사상 최고의 슈퍼스타

    레알 마드리드 통산 최다 골, 챔피언스리그 통산 최다 골 등 굵직한 기록을 비롯해 당시 존재했던 어지간한 골 기록을 모두 아득한 수치로 갈아치워버린 2010년대 레알 마드리드의 에이스이자 디스테파노와 함께 레알 마드리드 역사상 최고의 선수로 거론되는 전설 중의 전설.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에서 챔피언스리그 우승을 견인하며 발롱도르를 수상하는 등 이미 세계 최고의 선수로 올라섰으나 레알 마드리드로의 이적을 강하게 열망하였으며 2009년, 엄청난 기대 속에 레알 마드리드에 입단하게 되었다. 첫 시즌 후 주장이었던 라울의 등번호 7번을 이어받게 되었으며 바르셀로나의 메시와 함께 일명 메호대전을 열며 엘 클라시코의 최전성기를 이끌었다. 챔피언스리그 토너먼트에서 유독 더 강해졌던 선수로 라데시마를 비롯 개편 이후 최초이자 마지막인 챔피언스리그 3연패를 기록하였으며 팀 선배 라울이 가지고 있던 챔피언스리그 최다골 기록을 2배차로 아득하게 뛰어넘어버리는 엄청난 활약을 토대로 맨유에서의 발롱도르 1회를 포함, 총 5회의 발롱도르를 수상하였다. 선수시절 라리가 우승 2회, 챔피언스리그 우승 4회를 기록하였고 438경기 450득점으로 현재까지 레알 마드리드 역사상 최다골 선수.
  • 카림 벤제마 (2009~2023)

    • 레알 마드리드 통산 득점 2위

    호날두에 이어 레알 마드리드 통산 득점 2위에 빛나는, 2010-20년대초까지 레알 마드리드의 최전방을 이끌었던 공격수. 우월한 체격으로 몸싸움, 슛팅, 연계 등 모든 방면에서 뛰어났던 만능 육각형 스트라이커였으며 20대 시절에는 호날두의 조력자 역할을 수행하며 세계 최고의 공격 콤비로 활약하였다. 2016~18년의 부진, 발부에나 사건 등으로 한때 상당한 침체기를 겪었으나 호날두의 퇴단 이후 암흑기에 빠진 레알 마드리드를 지탱했던 선수였으며 2021-22시즌, 호날두에 비견되는 미친 수준의 챔피언스리그에서의 활약으로 팀의 과도기 때 빅이어를 들어올리는 업적을 쌓게 되었다. 그로 인해 선수 인생 말년 발롱도르를 수상하는 영광을 안았으며 2022-23 시즌 주장을 역임하고 이 시즌을 끝으로 레알 마드리드에서 퇴단하게 되었다. 선수시절 리그우승 4회, 챔피언스리그 우승 5회를 비롯 챔피언스리그 통산 90골로 같은 팀 레전드 라울을 제치고 4위에 랭크되어있다.
  • 루카 모드리치 (2012~)

    • 발칸의 마에스트로

    2012년까지 프리미어 리그의 토트넘 홋스퍼에서의 활약을 바탕으로 레알 마드리드로 이적하게 되었다. 입단 당시 사비 알론소, 사미 케디라 등에 밀려 로테이션 자원으로 분류되었으나 엘클라시코에서의 활약, 챔피언스리그 맨유전에서의 활약을 계기로 주전자리를 꿰차게 된다. 이후 10년 넘게 레알 마드리드의 최고 핵심 미드필더로 활동하며 라데시마 및 챔피언스리그 3연패의 주역으로 활동하였다. 2018년에는 챔피언스리그 우승, 월드컵 준우승, 월드컵 골든볼을 달성하며 메시와 호날두가 10년동안 독점하던 발롱도르를 미드필더인 모드리치가 수상하는 쾌거를 이루게 되었다. 무려 36살이 된 2021-22시즌에도 벤제마와 함께 팀을 지탱하며 챔피언스리그 우승을 이끌며 UEFA 올해의 팀에 선정되는 영광을 누렸으며 현재까지도 레알 마드리드의 미드필더로 활약하고 있다. 2023-24시즌 더블을 계기로 라리가 우승 4회, 챔피언스리그 우승 6회로 나초, 카르바할, 토니 크로스와 함께 챔피언스리그 최다 우승 선수가 되었으며 이견없는 레알 마드리드 역사상 최고의 미드필더로 첫 손에 꼽힌다.
  • 나초 페르난데스 (2013~)

    • 넓은 유틸리티를 가진 언성히어로

    마드리드 태생으로 임대생활 한 번없이 오로지 레알 마드리드에서만 뛴 원클럽맨. 비록 라모스,페페,바란 등으로 이어지는 역대급 수비라인의 존재로 인해 선수 커리어 내내 주전을 꿰찬적은 없으나 센터백, 풀백 가리지 않는 넓은 범용성으로 인해 4백라인의 공백이 있을때마다 무조건 1순위로 출전하였던 2010년대 레알왕조의 숨겨진 공신. 이외에도 오로지 레알 마드리드만을 생각하는 엄청난 충성심을 소유하여 현지팬들에겐 상당한 사랑을 받고 있는 명실상부한 레알 마드리드의 레전드. 2023-24 챔피언스리그 우승으로 6회 우승을 달성하게 되었으며 50년 넘게 깨지고 있지 않던 팀 선배 헨토의 챔피언스리그 최다 우승기록과 타이를 이루게 되었다.
  • 다니 카르바할 (2013~)

    • 현재 진행형 레알 마드리드의 레전드

    레알 마드리드 유스 출신으로 레버쿠젠에서의 1년간의 임대 생활을 제외하곤 모든 커리어를 레알 마드리드에서 보낸 레전드. 임대에서 복귀하자마자 레알 마드리드의 주전 우풀백으로 경기에 나섰으며 11시즌 동안 라리가 우승 4회, 챔피언스리그 우승 6회를 달성하여 커리어 동안 챔피언스리그 우승을 못한 시즌 보다 달성한 시즌이 많은 충격적인 기록을 소유하게 되었다. 안정적인 수비와 활발한 공격 가담으로 선수 생활 내내 주전자리에서 내려온적이 없는 선수이며 같은 6회 우승자들과 비교했을 때 남은 커리어가 상대적으로 더 남은 선수라 챔피언스리그 단독 최다 우승자로 올라설 확률이 매우 높은 선수.
  • 카세미루 (2013~2022)

    • 전설의 크카모 라인의 일원

    포르투 임대시절에서 복귀한 2015-16시즌 후반기부터 실질적인 레알 마드리드의 주전 미드필더로 기용되었으며 루카 모드리치-토니 크로스와 함께 일명 크카모라인을 결성하여 수많은 우승트로피를 수집하였다. 뛰어난 피지컬과 넓은 활동 반경, 저돌적인 수비력을 갖춘 수비형 미드필더였으며 레알 마드리드 선수 시절, 라리가 3회 우승과 챔피언스리그 5회 우승을 기록하였다. 2021-22 시즌 챔피언스리그 우승 후 새로운 도전을 위해 맨체스터 유나이티드로 이적하여 크카모 라인이 해체되면서 많은 아쉬움을 남겼다.
  • 토니 크로스 (2014~2024)

    • 교수

    본래 바이에른 유스 출신으로 바이에른 소속으로 챔피언스리그 우승을 달성하는 등 앞날이 창창한 예약된 바이에른 뮌헨의 레전드였으나 팀 내 대우에 대한 불만으로 2014-15시즌 레알 마드리드로 이적하게 된다. 이적 직후 루카 모드리치, 카세미루와 일명 크카모 라인을 형성하며 세계 최고의 중원라인을 구성하였다. 미니맵을 보는듯한 넓은 시야, 정확한 방향전환 롱패스와 킬패스로 레알 마드리드 빌드업의 중추로 분류받았고 선수시절 내내 기복없는 플레이와 꾸준함으로 팀동료 루카 모드리치와 함께 세계 최고의 미드필더로 평가받았다. 2023-24시즌, 챔피언스리그 결승을 앞두고 은퇴를 발표하여 수많은 마드리디스타들을 슬픔에 빠뜨렸으며 마지막 경기인 챔피언스리그 결승에서도 인상적인 활약을 펼쳐 기어이 헨토의 단독 기록인 챔피언스리그 최다 우승 6회를 달성하게 되었다. 지네딘 지단 이후 오랜만에 레알 마드리드 유니폼을 입은채로 은퇴한 레전드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