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른트 레노|1 레노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 2 테터 · 3 배시 · 5 안데르센 · 6 리드 · 7 라울 · 8 윌슨 · 9 무니스 [[톰 케어니|10 케어니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 11 아다마 · 12 비니시우스 · 15 J. 쿠엔카 · 16 베르게 · 17 이워비 18 안드레아스 24 킹 · 30 세세뇽 · 31 디오프 · 32 스미스 로우 · 33 로빈슨 |
|
* 본 문서는 간소화한 것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 타 구단으로 임대한 선수는 제외했습니다. |
라울 히메네스의 수상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개인 수상 | |||
| | |||
| 2018-19 · 2019-20 | |||
베스트팀 | ||||
| 2019 |
라울 히메네스의 기타 정보 | |||||||||||||||||||||||||||||||||||||||||||||||||||||||||||||||||||||||||||||||||||||||||||||||||||
|
| ||||
<colbgcolor=#ffffff><colcolor=#000000> 풀럼 FC No. 7 | ||||
라울 히메네스 Raúl Jiménez | ||||
본명 | 라울 알론소 히메네스 로드리게스 Raúl Alonso Jiménez Rodríguez | |||
출생 | 1991년 5월 5일 ([age(1991-05-05)]세) | |||
테페히 델리오 데오캄포 | ||||
국적 |
| |||
신체 | 키 190cm / 체중 76kg | |||
포지션 | 스트라이커 | |||
주발 | 오른발 | |||
소속 | <colbgcolor=#ffffff><colcolor=#000000> 유스 | 클루브 아메리카 (1999~2010) | ||
프로 | 클루브 아메리카 (2010~2014)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2014~2015) SL 벤피카 (2015~2019) → 울버햄튼 원더러스 FC (2018~2019 / 임대) 울버햄튼 원더러스 FC (2019~2023) 풀럼 FC (2023~ ) | |||
국가대표 | 110경기 40골 (멕시코 / 2013~ )[1] | |||
SNS | ||||
정보 더 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ffffff><colcolor=#000000> 등번호 | 멕시코 축구 국가대표팀 - 9번 풀럼 FC - 7번 울버햄튼 원더러스 FC - 9번 |
1. 개요
멕시코 국적의 풀럼 FC 소속 축구 선수. 포지션은 스트라이커이다.클루브 아메리카에서 데뷔 이후 2014년,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에 합류했다. 그러나 부진한 뒤에 1년 후 SL 벤피카로 이적했고 거기에서는 인상적인 활약을 하며 울버햄튼 원더러스 FC로 임대 이후 완전 이적했다. 울버햄튼에서 부상 이전까지 경쟁력있는 공격수로 자리매김했고, 2023년 7월 풀럼 FC로 팀을 옮겼다.
또한 멕시코 축구 국가대표팀의 일원으로써 2012 런던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얻어냈고, 이후에도 멕시코의 주전으로써 수많은 메이저 대회에 참가했다.
2. 클럽 경력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라울 히메네스/클럽 경력#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라울 히메네스/클럽 경력#|]][[라울 히메네스/클럽 경력#|]]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 국가대표 경력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라울 히메네스/국가대표 경력#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라울 히메네스/국가대표 경력#|]][[라울 히메네스/국가대표 경력#|]]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 플레이 스타일
전체적인 신장이 작은 멕시코 대표팀에서 이례적으로 나온 190대의 큰 키와 좋은 체격을 갖춘 타겟맨 유형의 공격수다. 프리미어리그에서 통할 만한 체격 조건을 갖추고 있어, 전방에서 헤더를 따내거나 버티면서 동료에게 내어주는 포스트플레이도 능숙하다. 그러나, 히메네스는 단순한 타겟맨보다는 다양한 툴을 갖춘 컴플리트 포워드에 가까운 선수로, 공격수임에도 활동량을 많이 가져가고 활동 범위도 상당히 넓다. 공격 상황에서 내려와서 공을 받아주는 움직임은 물론, 전방에서의 압박이나 수비에도 적극 가담한다. 또한, 발기술이 나쁘지 않아서 공을 지켜내거나 수비수 한 명 정도는 벗겨낼 수 있다. 최전방 자원으로서 발재간이 좋은 축에 속하며 공을 오래 간수하지는 못하지만, 간혹 번뜩이는 돌파나 패스로 골문을 위협한다. 다만, 골 결정력이 일정하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어 대표팀에서는 조커로 자주 활용되고 있다.
프리미어리그의 울버햄튼으로 이적한 이후로는 기량이 만개하여, 전성기 시절에는 PL에서 가장 큰 육각형 공격수로 평가받는 해리 케인과 연계 끝판왕인 호베르투 피르미누와 비교되기도 했었다. 골 결정력은 케인보다 꾸준하지 못하고 연계 능력은 피르미누보다 한참 못 미쳤지만, 울버햄튼이 리그 7위를 맞이하며 커리어 하이를 보낸 19-20시즌에는 한두 능력이 히메네스보다 뛰어난 공격수는 많지만, 모든 면에서 히메네스 급의 퍼포먼스를 보이는 선수는 찾아보기 힘들었다.
아구에로나 오바메양, 바디같은 최고의 스코어러들에 비하면 득점력이 좀 아쉽고 라카제트나 피르미누같은 딥라잉 포워드에 비하면 연계 능력이 약간 떨어지고 래시포드와 마시알 같은 어드밴스 포워드에 비하면 스피드가 아쉽지만, 큰 키와 튼튼한 피지컬에도 불구하고 발이 빠르고 활동범위가 많아서 압박으로 상대 수비의 실책을 이끌어내기도 한다. 또한, 19-20 시즌부터는 29경기 13골을 기록하는 등 결정력이 올라왓고, 피르미누만큼은 아니지만 투톱 파트너인 조타와 미쳐 날뛰는 트라오레 등 다른 선수들과의 연계 플레이를 통한 득점 관여력이 상승하며 EPL 최고 수준의 포워드로 자리잡았다.
다만, 20-21 시즌 두개골 부상 이후로 시즌아웃되었면서 그의 기량은 예전의 기량으로 돌아오기 힘들어졌다. 21-22 시즌 복귀해 초반에는 좋지 않은 폼을 보여주었지만 조금씩 폼을 끌어올리며 이전의 모습을 되찾나 싶었으나, 여러 부상들을 입고 매우 좋지 않은 모습을 보이며 사실상 전성기의 모습은 다시 볼 수 없을거라는 평가를 받으며 그저 그런 수준의 선수로 전락해버리고 말았다.
5. 기록
5.1. 대회 기록
-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2014~2015)
- 수페르코파 데 에스파냐: 2014
- 멕시코 축구 국가대표팀
- CONCACAF 골드컵: 2019
- CONCACAF 네이션스 리그: 2024-25
5.2. 개인 수상
- CONCACAF 골드컵 골든볼: 2019
- CONCACAF 골드컵 베스트 XI: 2019
- CONCACAF 네이션스 리그 최우수 선수: 2025
- 타사 다 리가 득점왕: 2015-16
- 울버햄튼 원더러스 FC 올해의 선수: 2019-20
- 울버햄튼 원더러스 FC 선수단 선정 올해의 선수: 2018-19, 2019-20
- PFA 이달의 선수: 2019년 11월
- CONCACAF 올해의 골: 2013
- IFFHS CONCACAF 올해의 팀: 2020
6. 여담
- 2020-21 시즌에 입은 두개골 부상과, 그의 재기에 관한 다큐 비디오가 제작되었다. CODE RED
- 아내의 이름은 다니엘라 바소로, 최근에 둘째를 임신하였다고 한다.
- 울버햄튼에서 보여준 인상적인 활약 덕에 팬들로부터 Si Señor 이라는 응원 구호가 있다.
- 울버햄튼 소속으로 프리미어 리그에서 40골을 넣었는데 이는 구단 내에서 가장 높은 기록이다.
- 프리미어 리그에서 거의 유일한 멕시코 선수라 그런지 자국 내의 인기가 상당하다. 우리나라가 손흥민 때문에 토트넘을 응원하는 경우가 있듯이 멕시코에서도 라울이 있는 풀럼 FC를 응원하는 사람이 많다. 같은 이유로 국대 주장인 에드손 알바레즈와 웨스트햄 유나이티드도 인기가 상당하다.
- 그러나 카타르 월드컵 당시 자국민들에게 심각한 수준의 인스타 댓글 테러를 당했었다. 이후 모든 피드의 댓글창을 막아서 올리고 있다.
- 머리 부상으로 인해 헤드 기어를 착용하고 경기를 뛰는데, 시간이 흐를수록 많이 회복이 되었는지 최근에는 안대 모양으로 된 보호대를 차고 있다. 이에 골을 넣고 안대를 눈쪽으로 갖다댄 뒤 후크 선장의 갈고리를 드는 세레머니를 즐겨 하고 있다.
7. 같이 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풀럼 FC 2024-25 시즌 스쿼드 | ||||||
번호 | 국적 | 포지션 | 한글 성명 | 로마자 성명 | 생년월일 | 비고 | |
1 | | GK | 베른트 레노 | Bernd Leno | 1992년 3월 4일 | ||
2 | | DF | 케니 테터 | Kenny Tete | 1995년 10월 9일 | ||
3 | | DF | 캘빈 배시 | Calvin Bassey | 1999년 12월 31일 | ||
5 | | DF | 요아킴 안데르센 | Joachim Andersen | 1996년 5월 31일 | ||
6 | | MF | 해리슨 리드 | Harrison Reed | 1995년 1월 27일 | ||
7 | | FW | 라울 히메네스 | Raúl Jiménez | 1991년 5월 5일 | ||
8 | | FW | 해리 윌슨 | Harry Wilson | 1997년 3월 22일 | ||
9 | | FW | 호드리구 무니스 | Rodrigo Muniz | 2001년 5월 4일 | ||
10 | | MF | 톰 케어니 | Tom Cairney | 1990년 1월 20일 | (C) | |
11 | | FW | 아다마 트라오레 | Adama Traore | 1996년 1월 25일 | ||
12 | | FW | 카를로스 비니시우스 | Carlos Vinícius | 1995년 3월 25일 | ||
15 | | DF | 호르헤 쿠엔카 | Jorge Cuenca | 1999년 11월 17일 | ||
16 | | MF | 산데르 베르게 | Sander Berge | 1998년 2월 14일 | ||
17 | | FW | 알렉스 이워비 | Alex Iwobi | 1996년 5월 3일 | ||
18 | | MF | 안드레아스 페레이라 | Andreas Pereira | 1996년 1월 1일 | ||
19 | | FW | 리스 넬슨 | Reiss Nelson | 1999년 12월 10일 | [1] | |
20 | | MF | 사샤 루키치 | Saša Lukić | 1996년 8월 13일 | ||
21 | | DF | 티모시 카스타뉴 | Timothy Castagne | 1995년 12월 5일 | ||
22 | | FW | 윌리안 | Willian | 1988년 8월 9일 | ||
23 | | GK | 스티븐 벤다 | Steven Benda | 1998년 10월 1일 | ||
24 | | MF | 조시 킹 | Josh King | 2007년 1월 3일 | ||
30 | | DF | 라이언 세세뇽 | Ryan Sessegnon | 2000년 5월 18일 | ||
31 | | DF | 이사 디오프 | Issa Diop | 1997년 1월 9일 | ||
32 | | MF | 에밀 스미스 로우 | Emile Smith Rowe | 2000년 7월 28일 | ||
33 | | DF | 안토니 로빈슨 | Antonee Robinson | 1997년 8월 8일 | ||
<colbgcolor=#000> 구단 정보 | |||||||
구단주: 샤히드 칸 / 감독: 마르코 실바 / 홈구장: 크레이븐 코티지 | |||||||
출처: 공식 웹사이트 / 최종 수정 일자: 2025년 3월 3일 |
}}}}}}}}} ||
{{{#!wiki style="color: #fff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2px -12px" {{{#000000 | <rowcolor=#ffffff>포지션 | 등번호 | 이름 | 생년월일 | 출장 | 골 | 소속 클럽 |
GK | 1 | 루이스 말라곤 Luis Malagón | 1997년 3월 2일 ([age(1997-03-02)]세) | 6 | 0 | | |
12 | 라울 랑헬 Raúl Rangel | 2000년 2월 25일 ([age(2000-02-25)]세) | 2 | 0 | | ||
13 | 기예르모 오초아 Guillermo Ochoa | 1985년 7월 13일 ([age(1985-07-13)]세) | 150 | 0 | | ||
DF | 2 | 호르헤 산체스 Jorge Sánchez | 1997년 12월 10일 ([age(1997-12-10)]세) | 45 | 1 | | |
3 | 세사르 몬테스 César Montes | 1997년 2월 24일 ([age(1997-02-24)]세) | 49 | 1 | | ||
5 | 요한 바스케스 Johan Vásquez | 1998년 10월 22일 ([age(1998-10-22)]세) | 29 | 1 | | ||
6 | 헤수스 오로스코 Jesús Orozco | 2002년 2월 19일 ([age(2002-02-19)]세) | 3 | 0 | | ||
23 | 브라얀 곤살레스 Bryan González | 1997년 10월 31일 ([age(1997-10-31)]세) | 1 | 0 | | ||
26 | 로드리고 우에스카스 Rodrigo Huescas | 2003년 9월 18일 ([age(2003-09-18)]세) | 1 | 0 | | ||
27 | 헤수스 앙굴로 Jesús Angulo | 1998년 1월 30일 ([age(1998-01-30)]세) | 17 | 0 | | ||
MF | 4 | 에드손 알바레스 Edson Álvarez | 1997년 10월 24일 ([age(1997-10-24)]세) | 80 | 5 | | |
7 | 루이스 로모 Luis Romo | 1995년 6월 5일 ([age(1995-06-05)]세) | 52 | 4 | | ||
8 | 카를로스 로드리게스 Carlos Rodríguez | 1997년 1월 3일 ([age(1997-01-03)]세) | 54 | 0 | | ||
14 | 마르셀 루이스 Marcel Ruiz | 2000년 10월 26일 ([age(2000-10-26)]세) | 1 | 0 | | ||
15 | 세바스티안 코르도바 Sebastián Córdova | 1997년 6월 12일 ([age(1997-06-12)]세) | 18 | 3 | | ||
16 | 디에고 라이네스 Diego Lainez | 2000년 6월 9일 ([age(2000-06-09)]세) | 29 | 3 | | ||
17 | 오르벨린 피네다 Orbelín Pineda | 1996년 3월 24일 ([age(1996-03-24)]세) | 76 | 11 | | ||
18 | 안드레스 과르다도 Andrés Guardado | 1986년 9월 28일 ([age(1986-09-28)]세) | 180 | 28 | | ||
19 | 오시엘 에레라 Ozziel Herrera | 2001년 5월 25일 ([age(2001-05-25)]세) | 7 | 0 | | ||
20 | 에릭 리라 Érik Lira | 2000년 5월 8일 ([age(2000-05-08)]세) | 5 | 0 | | ||
24 | 오베드 바르가스 Obed Vargas | 2005년 8월 5일 ([age(2005-08-05)]세) | 1 | 0 | | ||
25 | 로베르토 알바라도 Roberto Alvarado | 1998년 9월 7일 ([age(1998-09-07)]세) | 43 | 5 | | ||
FW | 9 | 라울 히메네스 Raúl Jiménez | 1991년 5월 5일 ([age(1991-05-05)]세) | 105 | 34 | | |
10 | 알렉시스 베가 Alexis Vega | 1997년 11월 25일 ([age(1997-11-25)]세) | 32 | 6 | | ||
11 | 헤르만 베르테라메 Germán Berterame | 1997년 3월 24일 ([age(1997-03-24)]세) | 1 | 0 | | ||
21 | 세사르 우에르타 César Huerta | 2000년 12월 3일 ([age(2000-12-03)]세) | 13 | 3 | | ||
22 | 기예르모 마르티네스 Guillermo Martínez | 1995년 3월 15일 ([age(1995-03-15)]세) | 7 | 2 | | ||
출처: 영문 위키피디아 / 마지막 수정 일자: 2024년 10월 15일 |
[1] 2025년 3월 24일 기준
분류
- 1991년 출생
- 2010년 데뷔
- 이달고 주 출신 인물
- 멕시코의 남자 축구 선수
- 클루브 아메리카/은퇴, 이적
-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은퇴, 이적
- SL 벤피카/은퇴, 이적
- 울버햄튼 원더러스 FC/은퇴, 이적
- 풀럼 FC/현역
- 멕시코의 FIFA 월드컵 참가 선수
- 2014 FIFA 월드컵 브라질 참가 선수
-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 참가 선수
-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참가 선수
- 멕시코의 CONCACAF 골드컵 참가 선수
- 2013 CONCACAF 골드컵 참가 선수
- 2019 CONCACAF 골드컵 참가 선수
- 멕시코의 코파 아메리카 참가 선수
- 2015 코파 아메리카 칠레 참가 선수
- 코파 아메리카 센테나리오 참가 선수
- 멕시코의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참가 선수
- 2013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브라질 참가 선수
- 2017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러시아 참가 선수
- 멕시코의 올림픽 축구 메달리스트
- 2012 런던 올림픽 축구 메달리스트
- 멕시코의 FIFA 센추리 클럽 가입 선수
- 공격수
- 스트라이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