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5-10 03:26:02

돌즈 네스트

돌즈 네스트
Dolls Nest
파일:돌네.jpg
<colbgcolor=#D5D7D8,#5A5D5B><colcolor=#000000,#ffffff> 개발 니트로플러스
유통 니트로플러스
플랫폼 Microsoft Windows
ESD Steam
장르 3인칭 메카닉 커스터마이징 액션
출시 2025년 4월 24일
엔진 언리얼 엔진 4.27.2
한국어 지원 비공식 지원[1]
관련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상점 페이지 파일:스팀 아이콘.svg

1. 개요2. 프롤로그3. 특징4. 게임 관련 요소
4.1. 스토리4.2. 엔딩4.3. 휴머노이드4.4. 외장4.5. 무장4.6. 자원4.7. 지역
4.7.1. 중앙 대동굴4.7.2. 심층4.7.3. 성궤4.7.4. 부패한 부화실4.7.5. 상층
4.7.5.1. 거꾸로 숲4.7.5.2. 대단층4.7.5.3. 정수층
4.7.6. 중층
4.7.6.1. 대삼림4.7.6.2. 수굴4.7.6.3. 대교
4.7.7. 하층
4.7.7.1. 강적 지대4.7.7.2. 금역4.7.7.3. 성지묘
4.8. 보스
5. 평가6. 기타

1. 개요

Doll.
인형아.

My darling doll...
내 사랑하는 인형아...

Your birth is nigh, so leave the cradle.
네 탄생이 가까우니, 요람에서 나가렴.

They plundered my body,
그들은 내 몸을 약탈하고,

my limbs ripped off,
내 팔다리를 찢기고,

my eyes gouged.
내 눈을 도려냈지.

To reclaim all, I give birth to you.
모든 것을 되찾기 위해, 너를 낳았다.

Awaken, my doll. It is time for battle.
깨어나라, 내 인형아. 이제 전투의 시간이다.
니트로플러스에서 제작한 3D 커스터마이즈 슈팅 어드벤처 게임. 세기말 환경에서 깨어난 인형이 주인의 명령을 받아 주인의 부품을 회수해와야 하는 스토리를 가진 게임이다. 제작자가 아머드 코어 V에서 많은 영향을 받았다는 만큼, 인형의 모든 부위 및 무장을 커스텀할 수 있도록 디자인되어있으며, 무장도 핸드 무기와 등 무기로 구분되어져있다. 각 파츠 속성 또한 세세하게 짜여져 있어 어떻게 어셈블리를 하냐에 따라 대전략이 바뀌는 것도 마찬가지.

다만 이 외에도 다크 소울의 많은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이는데, 월드 구성 및 게임플레이 요소의 대부분이 다크 소울을 차용한 부분이 굉장히 많으며, 스토리 진행 방식 또한 아머드 코어의 미션식이 아닌 월드 탐방 형식의 진행요소를 가지고 있다.

2. 프롤로그

먹어치우고. 태어나. 섬멸한다.
그것만이 그들이 창조된 목적이었다.
먹어치우고. 태어난 뒤. 더욱 더 먹어치우고, 태어나기를 반복한다.
그들의 적을 전부 섬멸시킨 뒤에도, 그들은 먹어치우는 걸 멈추지 않았다. 그들은 계속 태어난다.
시간이 지나, 모든 걸 먹어치운 뒤에도, 그들은 태어나는 것을 멈추지 않았다.
적 없이 태어난 무기는 자궁 속을 헤매며, 서로 싸워나가고 있다. [2]

3. 특징

기본적으로 해본 유저들의 소감으론, 아머드 코어의 움직임과 유사하다곤 한다. 아머드 코어 특유의 타겟팅 존 안에 적이 들어가 있어야 락 온 되는 시스템은 비슷하며, 부스트나 점프, 호버링 시에 스태미나가 다는 것, 전체 파츠의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하단 점 등등 아머드 코어의 요소가 여기저기 산재되어있다. 특히 이는 V계 AC에 가까운 움직임으로 짜여 있다.

돌즈 네스트
게임 관련 요소 * 등장 인물 * 설정
휴머노이드 * 풀 프레임 * 갑각
무장 * 자원

4. 게임 관련 요소

항목 참고. 게임에 대한 대략적인 요소와 HUD 등을 설명하는 항목이다.

4.1. 스토리

스토리 전체 정리글

4.2. 엔딩

  • 새로운 여왕(A New Queen)
  • 평화로운 세상(Peaceful world)

4.3. 휴머노이드

항목 참고. 휴머노이드 튜닝 및 님프 외형을 커스텀하는 파츠들을 서술한다.

4.4. 외장

항목 참고. 휴머노이드 튜닝 및 님프 외형을 커스텀하는 파츠들을 서술한다.

4.5. 무장

항목 참고. 휴머노이드 튜닝 및 님프 외형을 커스텀하는 파츠들을 서술한다.

4.6. 자원

항목 참고. 휴머노이드 튜닝 및 님프 외형을 커스텀하는 파츠들을 서술한다.

4.7. 지역

4.7.1. 중앙 대동굴

돌즈 네스트의 첫 번째 지역이자 시작 지역. 필드 보스는 자율 경비 차량. NPC 수집가 요요, 순례자 하티를 처음 만나게 되는 장소다.

4.7.2. 심층

각 지역의 2번째 보스까지 잡아 코드 조각 3개를 모은후 갈 수 있는 지역.
다크소울거인의 묘지가 생각나게 하는 어두운 지역.
소모 아이템인 축광석이나 유틸리티인 모듈 중 조명 드론을 사용하면 어느정도 빛을 만들 수 있다.

4.7.3. 성궤

심층을 뚫으면 나오는 최종 지역. 맵 기믹은 따로 없지만, 등장 몹 대부분이 중간보스급으로 단단한 팔척귀신들이므로 사격무장 사용시 BP 소모에 주의해야 한다. 이들은 정면 방어력이 높고 공격도 아프지만 선회력이 느려터져 등을 쉽게 내주며, 시야가 좁은 편이라 상대하기 귀찮으면 우회해서 지나갈 수도 있다.
보스방 진입 직전의 넓은 방에는 대량의 팔척귀신이 사열하듯 늘어서 있는데, 이곳에 사열해 있는 몹들은 특이하게도 먼저 공격받기 전까지 아무 행동도 하지 않는다.

4.7.4. 부패한 부화실

중앙 동굴의 필드 보스 자율 경비 차량을 처치하면 갈 수 있는 지역. 거점 역할을 한다.

4.7.5. 상층

부패한 부화실에서 좌측의 나무를 통해 진입할 수 있는 지역. 설정상 아르칸드의 지배 구역으로, 종교적인 색채와 미래적인 느낌이 섞인 비주얼이 특징.
근접할수록 유도 성능이 좋은 유도 탄막을 뿌리는 적과 비행형 적들이 있어 원거리 대처를 준비하는것이 좋다. 적들은 주로 에너지 병기로 공격해온다.
4.7.5.1. 거꾸로 숲
상층의 첫 구간.
4.7.5.2. 대단층
상층의 두번째 구간. NPC 신자 시라스를 만날 수 있다.
4.7.5.3. 정수층
상층의 세번째 구간. NPC 순례자 하티, 교구장 이덴, 무녀 셰올을 만날 수 있다. 아마나의 제단처럼 길이 물에 잠겨있다.
한번씩 적의 뒤에 구멍이 뚫려 있어 뒤에서 공격할려다가 수몰 당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그나마 다행히 추락해도 즉사가 아닌 데미지를 입는 방식이라 낮은 체력이 아니라면 수몰로 죽지는 않는다.

4.7.6. 중층

부패한 부화실에서 중앙의 나무를 통해 갈 수 있는 지역. 설정상 가디나의 지배 구역으로, 전반적으로 투박한 전쟁터 같은 컨셉을 하고 있다.
방패를 달고 있거나 하는 전체적으로 튼튼한 적들이 있으며, 주로 실탄으로 공격해온다. 또한 상층, 하층에 비해 미로처럼 꼬인 구간이 있어 길찾기가 다소 복잡하게 느껴질 수 있다.
4.7.6.1. 대삼림
중층의 첫 구간. NPC 행상인 에이자, 순례자 하티, 조사원 요도, 패잔병 보그를 만날 수 있다.
4.7.6.2. 수굴
중층의 두번째 구간. NPC 도망자 카를라드를 만날 수 있다. 나무가 있는 중앙 구역을 중심으로 숏컷이 여러개 나 있어, 닫혀있는 숏컷을 하나하나 뚫어가며 진행하는 방식이 된다.
4.7.6.3. 대교
중층의 세번째 구간. 중앙의 커다란 통로와 옆으로 나 있는 샛길로 구성되어 있어, 샛길을 통해 중앙 통로의 닫힌 문을 열어가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샛길 안쪽은 공간이 좁아 교전거리가 짧아지며, 수풀이 우거져 적 몹이 잘 안 보이는 점도 주의.

4.7.7. 하층

부패한 부화실에서 우측의 나무를 통해 진입할 수 있는 지역. 설정상 이형이라는 괴물들이 님프들의 콜로니를 멸망시키고 자리잡은 곳으로, 기괴한 호러 분위기가 특징.
몹들은 침식 효과를 동반하는 실탄 위주에 일부 에너지를 쓰는 몹이 혼재되어 있으며, 기본형 잡몹은 스펙이 대단하진 않지만 피가 얼마 없으면 정신없이 뛰어다니며 락온을 흩어놓는다. 그 외에도 소형 로봇을 대량으로 스폰시키는 거대 로봇, 독 지대, 발리스타 등, 맵의 기믹에 대처해야 하는 지역이다.
4.7.7.1. 강적 지대[3]
하층의 첫 구간. NPC 방랑자 길리 벨, 순례자 하티를 만날 수 있다. 몹들의 공격이 침식 상태 이상을 쌓는다.
소형 로봇을 스폰시키는 투명한 로봇이 있는데, 먼 거리에서도 플레이어를 탐지하고 쫄몹을 보내는 데다 시간이 지체될수록 징그러울 정도로 수가 쌓이니 주의. 투명로봇은 한번 잡으면 리스폰하진 않으며, 각각 떨어진 구역에 4마리가 존재한다.
4.7.7.2. 금역
아머드 코어 시리즈나 소울 시리즈에 한번씩 나오는 독 지역. 땅 근처에는 침식 상태 이상이 쌓인다.
그을린 호수같이 원거리에서 저격하는 발리스타가 있다. 발리스타를 잡으러 가는 독늪 길에서는 사이렌을 울리는 몹과 고위력 폭탄을 쏘는 중형몹이 협공해오는데, 사이렌 몹이 경보를 울리면 주변에서 일제히 폭탄을 쏟아부으므로 주의. 보스방 가는 길은 독늪과 별개로 뚫려있다.
4.7.7.3. 성지묘
하층의 세번째 구간. 이형에게 잠식당해 자폭 좀비가 된 님프가 대량으로 깔려있으며, 벽과 기둥에는 숨소리를 내는 거대한 벌레가 붙어있어 개틀링으로 기습해온다. 좀비 님프는 사망이나 자폭시 폭발하여 기생오염 상태이상을 부여하는 연기를 깔며, 기생오염은 걸리면 즉사하므로 연기에 닿지 않도록 해야 한다.

4.8. 보스

로비맵인 부패한 부화실을 제외한 4개의 메인 맵이 3개의 에어리어로 구성되어있고, 각 에어리어마다 보스가 존재한다. 보스 퇴치 후에는 동일 에어리어를 들어가면, 보스와 다른 적대 휴머노이드를 상대할 수 있다.[4]
  • 자율 경비 차량
    중앙 동굴의 1스테이지 보스. 주포, 머신건, 화염방사기 등의 화기와 뺑소니로 공격해오며, 2페이즈에서는 분진을 뿌려 차체 주변으로 폭발을 일으키는 패턴을 사용한다. 약점은 차체 후방의 노란색 연료탱크.
  • 대형 정찰기 파르나
    상층 1지역인 거꾸로 숲의 보스. 거대한 트윈로터 헬기로, 주로 빔과 드론으로 공격하며, 피가 반정도 까이면 융단폭격을 하기도 한다. 약점은 로터 중심축 부분.
  • 강습 부유 포대 살레
    상층 2지역인 대단층의 보스. 아머드 코어 포 앤서솔디오스 오비트와 유사하게 공처럼 생긴 거대병기로, 패턴도 맞으면 아픈 고출력 빔과 에너지 충격파 등 솔디오스가 떠오르는 패턴을 사용한다. 약점은 내부에 있는 코어로, 고출력 빔을 조사할 때만 드러난다.
  • 다각 요새
    중층 1지역인 대삼림의 보스. 기관총, 미사일 등의 실탄 화기와 대형 미사일, 점프 후 낙하에 의한 충격파 공격 등의 패턴을 사용한다. 약점은 다리의 실드 뒤에 가려진 코어로, 실드를 부수면 약점을 직접 타격할 수 있지만 약점으로부터 확산빔을 발사하는 패턴이 추가된다. 패턴 중에서 대형 미사일은 락온이 가능하므로 직접 요격할 수 있다.
  • 집적 창고
    중층 2지역인 수굴의 보스. 탑처럼 생긴 코어 4개와 무한으로 리젠되는 큐브형 쫄몹들로 구성된 보스다. 코어는 공격을 맞으면 실드를 치며, 충격파로 플레이어의 실드를 날려버리기도 한다.
  • 의태 자주포
    하층 1지역인 강적 지대의 보스. 잡몹보다 약간 큰 크기의 소형 보스로, 저격포와 기뢰로 공격하거나 연막을 뿌리고 은신한 뒤 환영들과 함께 나타나는 패턴을 사용한다. 환영은 1대 맞으면 기뢰를 남기며 사라지는데, 이 기뢰들은 플레이어가 가까이 있으면 추적해온다. 약점은 등 뒤에 있으며, 내구력이 약해 약점을 잘 노리면 빨리 잡을 수 있지만, 저격포와 기뢰는 맞으면 아프므로 주의.
  • 패잔병 레키
    하층 2지역인 금역의 보스. Kashima 풀프레임과 전용 망치 및 샷건 달린 방패를 사용하는 님프다. 생김새는 플레이어블 돌과 큰 차이가 없지만 움직임은 전혀 다르며, 체력도 훨씬 높다. 패턴을 사용하지 않을 때는 방패로 공격을 막고 있는 상태라 정면에서 데미지가 들어가지 않으므로, 측면 및 후방을 때리거나 공격을 위해 방패를 내릴 때를 노려야 딜이 박힌다. 약점은 여타 돌 및 잡몹과 유사하게 후방에 위치한다. 본 보스의 소체는 이전 지역인 강적 지대에서, 외장인 Kashima는 보스방 입구에서 반대쪽으로 뚫린 통로에서 얻을 수 있다.
  • 소속 불명 갑각병
    심층의 보스. 파란 이펙트로 보스방임을 표시해주는 다른 보스전과 달리, 게이트를 다 뚫고 심층 최심부로 내려가면 강제로 보스전이 시작된다. 플레이어와 동일한 돌 타입 보스로, SSX 풀프레임과 어설트 라이플, 레일건, 플라즈마 미사일로 무장하고 있다. 피를 절반 깎고 2페이즈에 돌입하면 오른팔에서 레이저 블레이드를 전개하고 주무기를 머신건으로 바꿔 공격해온다. 특이하게 부스터 이펙트가 빨간색이며, 오른손으로 블레이드를 쓰기 때문인지 플레이어와 다르게 무장을 왼손에 들고 싸운다. 본 보스의 소체는 보스를 격파한 후 말하는 나무 샤라의 오른쪽에 있는 상자에서, 외장인 SSX 프레임과 무장 중 하나인 레일건은 보스전을 진행했던 장소에 재방문시 획득할 수 있다.
  • 근위 렘
    상층 3지역인 정수층의 보스. 돌진과 레이저, 전파방해 미사일로 공격해온다. 한번 잡으면 지원 메카가 보스를 부활시켜준 뒤 2페이즈가 시작되며, 지원 메카는 맵 중앙에서 움직이지 않지만 판넬과 맵 전체를 휩쓰는 광역기를 사용한다. 본 보스의 무장과 외장은 플레이어가 쓸 수 없지만, 소체는 보스 격파 직후 입장 가능한 구간에서 입수할 수 있다.
  • 보급고 호위대장 고르슈카/대원 루즈/대원 오르카
    중층 3지역인 대교의 보스. 돌 3명으로 구성된 보스로, 고르슈카가 분홍색 중장 2각, 루즈가 역각, 오르카가 중4각 프레임을 사용한다.
  • 이상 발달 개체
    하층 3지역인 성지묘의 보스. 다리가 6개 달린 초대형 메카. 지나간 자리에 폐열 장판을 까는 레이저나 등장시 기생오염 연막을 펼치고 전파 방해 공격을 가하는 잠자리 쫄몹 등, 다양한 상태이상 공격을 사용한다. 약점은 하복부에 위치한 고깔 모양 파츠 안에 위치해 있는데, 범위 폭발을 일으키는 에너지 구체를 투하할 때만 잠깐 열린다.
  • {{{#!folding [스포일러 (펼치기ㆍ접기)]
    네마
    본작의 최종보스. 고치 모양 기계의 모습으로 광범위한 공격을 퍼붓는 1페이즈와, 여섯 장의 날개를 가진 뒤틀린 돌의 모습으로 일반적인 화기를 구사하는 2페이즈로 나뉜다. 2페이즈에서는 평범한 2각 형태로 싸우다 중간중간 빛에 휩싸이며 역각, 4각의 모습으로 변형하기도 하는데, 변형 중에는 무적 판정이라 데미지가 들어가지 않는다.}}}

5. 평가

6. 기타


[1] 한글 패치[2] 메인 메뉴에서 장시간 대기 시 나오는 영상의 대사를 번역한 내용이다.[3] 영문 명은 축적되다는 뜻의 Accumulation Zone[4] 보스 맵에서 상대하는 게 아니라 별개 구역에서 싸우게 된다. 묘하게 엄폐물이 많거나 넓은 공간인데 아무것도 없다 싶다면 십중팔구 휴머노이드 출현 존이니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