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22 13:41:45

대한민국의 극점


파일:지구 아이콘_White.svg 지구극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지리극
(진북극 · 진남극)
자극
(자북극 · 자남극)
지자기극본초 자오선의 극점
(극서 · 극동)
최고점
(해발고도가 가장 높음: 에베레스트산
지구중심에서 가장 멈: 침보라소산)
수권의 최저점
(마리아나 해구 챌린저 해연)
도달불능극
북극도달불능극 · 남극도달불능극 · 대륙도달불능극 · 해양도달불능극
대륙별 극점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16px; margin-bottom: -16px"<colbgcolor=#003458><colcolor=#fff> 아프로유라시아 <colbgcolor=#003458><colcolor=#fff>극동 러시아 추코트카 자치구 데즈뇨프곶(축치반도)
극북 러시아 첼류스킨곶
극남 남아프리카 공화국 아굴라스곶
극서 세네갈 알마디곶 }}}
최극단 · 틀:7대륙 최고봉 · 각 지점별 최고봉 목록 · 대한민국의 극점 · 일본의 극점
}}}}}}}}}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의 최극단 철도역'''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실효통치지역 미수복지역 포함
최북단 제진역[1]
백마고지역[2]
세선역
최남단 여수엑스포역[3]
최동단 기성역 두만강역
최서단 목포역 룡암포역
최고점 추전역 북계수역
최저점 여의나루역[4]
김포공항역(서해선)[5]
영광역[6]
[ 각주 펼치기 · 접기 ]

[1] 선로가 북쪽으로만 나 있어 영업중지 상태이나 2027년 남쪽으로의 동해선 철도가 완공 예정이다.[2] DMZ-train 내구연한 만료로 인해 2025년 8월까지 실질 운행역 기준으로는 연천역이다. 단, 13번 버스로 접근은 가능하고 2025년 8월 무궁화호 투입 예정이다. 경원선 복원 시 월정리역이 최북단 역이 되겠으나 남북관계가 극도로 나빠져 사업 진척이 아예 없어 제진역이 먼저 될 가능성이 높고 위도도 제진역이 훨씬 높다.[3] 2025년 8월 남해선 개통 시 강진역이 최남단 역이 된다.[4] 해발고도 기준이다. 2029년 서울 7호선 청라국제도시역 개통 시 청라국제도시역이 최저점 역이 된다.[5] 지표면 기준이다.[6] 단 북한 정권에서 공식적으로 이 역의 깊이를 발표한 적은 없다.
}}}}}}}}} ||

1. 남북한 포함 극점

1.1. 부속도서를 포함한 극점

파일:한반도 및 부속도서 극점.png
한반도 및 부속도서 극점
행정구역 장소 위치 비고
최동단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독도리 독도 동도(東島)
최서단 평안북도 용천군 신도면 동주동
파일:북한 국기.svg 평안북도 신도군 비단섬로동자구
비단섬 코끼리바위 여행금지
최남단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대정읍 마라리 마라도
최북단 함경북도 온성군 남양면 풍서동
파일:북한 국기.svg 함경북도 온성군 풍서리
유원진(柔遠鎭) 여행금지

1.2. 부속도서를 제외한 본토 극점

최북단은 함경북도 온성군 남양면 풍서동으로 동일하다.
행정구역 장소 위치 비고
최동단 함경북도 경흥군 노서면 토리동
파일:북한 국기.svg 라선시 선봉구역 우암동
여행금지
최서단 평안북도 용천군 용암포읍 신흥동
파일:북한 국기.svg 평안북도 룡천군 진흥로동자구
하촌 여행금지
최남단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 송호리 땅끝마을

1.3. 최고점, 최저점, 중심점

2. 남한의 극점

2.1. 서울특별시

2.2. 부산광역시

2.3. 대구광역시

2.4. 인천광역시

2.5. 광주광역시

2.6. 대전광역시

2.7. 울산광역시

2.8. 세종특별자치시

2.9. 경기도

2.10. 강원특별자치도

2.11. 충청북도

2.12. 충청남도

2.13. 전북특별자치도

2.14. 전라남도

2.15. 경상북도

2.16. 경상남도

2.17. 제주특별자치도

3. 북한의 극점


[1] 북한 행정구역상 량강도 삼지연시 백두산 장군봉[2] 사실 백령도 본도에서 3km 정도 북쪽에 위치한 바위섬이 진짜 최북단이긴 하다. 백령도 본섬 북쪽에는 사자바위, 웅도(熊島), 말도(末島), 초도(草島)를 비롯한 많은 바위섬이 있는데 가장 북쪽에 위치한 곳은 38도선 이북에 위치하기도 한다. 사실상 서해 5도에서 유일하게 북위 38도 이북에 있는 곳인데 사실상 암초나 간조노출지에 가까워서 지도에도 잘 표시되어 있지 않고 사람이 거주할 수도 없다.[3] 광주광역시 도시계획 보고서에 따름.[4] 추자도와 비슷한 위도에 위치한다.[5] 마라도 바로 남쪽에 위치한 작은 바위섬이다. 마라도 지도를 자세히 보면 본섬 아래에 작은 섬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6] 이어도는 섬은 커녕 간조노출지도 아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