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유상훈 · 2 박상혁 · 3 강의빈 · 4 베니시오 · 5 양시후 · 6 홍창범 · 7 신재원 · 8 이정빈 · 9 후이즈 VC 11 김정환 · 13 안재민 19 김훈민 · 20 이상민 · 21 양한빈 · 22 정승용 · 26 박현빈 · 27 이준상 · 28 정명제 · 30 박병규 33 박수빈 VC · 34 박지민 · 36 유민준 · 41 최서준 · 37 하정우 · 47 양태양 · 66 김주원 C 68 이재욱 · 70 레안드로 · 74 사무엘 · 91 박광일 · 93 진성욱 |
|
※본 문서는 간소화한 것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타 구단으로 임대한 선수는 제외했습니다. |
| ||
<colbgcolor=#000><colcolor=#fff> 성남 FC No. 18 | ||
김범수 金範洙 | Kim Beom-su | ||
출생 | 2000년 4월 8일 ([age(2000-04-08)]세) | |
경기도 동두천시 | ||
국적 |
| |
신체 | 키 172cm / 체중 63kg | |
포지션 | 윙어 | |
주발 | 오른발 | |
학력 | 사동초등학교 (졸업) 덕계중학교 (졸업) OO고등학교 (졸업) | |
소속 | <colbgcolor=#000><colcolor=#fff> 유스 | 양주 스타 FC (2013) 양주 FC (2014~2015) JSUN FC (2016~2018) |
선수 | 동두천 원팀 FC (2020) 동두천 씨티즌 TDC (2021) 서울 중랑 축구단 (2021~2022) 제주 유나이티드 FC (2022) 안산 그리너스 FC (2023~2024) 포항 스틸러스 (2025~ ) → 성남 FC (2025~ / 임대) | |
병역 | 대한민국 육군 제5기갑여단 병장 만기 전역[1] | |
링크 |
1. 개요
대한민국국적의 성남 FC 소속 축구 선수. 포지션은 윙어.7부 리그인 K7리그부터 1부 리그인 K리그1까지 올라온 일명 한국판 제이미 바디로 불리고 있다.
2. 선수 경력
2.1. 아마추어 무대와 세미프로 무대
고등학교 졸업 직후 바로 현역병으로 군에 입대한, 소위 말하는 "막군" 출신이다. 전역 후 K5리그의 동두천 원팀 FC에 입단[2]해서 훈련을 받다가 K7리그의 동두천 씨티즌[3]으로 이적하였으며, 이렇게 아마추어 무대에서 약 1년 반 동안 뛰었다.이후 2021 시즌 여름 이적 시장에서 세미프로 리그인 K4리그의 서울 중랑 축구단에 입단하여, 총 22경기에 출전해 1골 1도움을 기록하였다.
2.2. 제주 유나이티드 FC
2022 시즌 여름 이적 시장에서 K리그1 제주 유나이티드 FC의 테스트 자격으로 입단해 R리그에서 52번을 달고 몇 경기를 뛰며 실력 검증을 받았다. 드디어 2022년 6월 21일 입단을 공식 확정 지으며 7부에서 4부를 거쳐 1부까지 당도한 동화 같은 이야기의 주인공이 되었다.계약 기간은 올 시즌까지이지만 연장 옵션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7부 리그 출신이라는 것도 놀라운데, 입단 발표 당일인 6월 21일 대구 FC와의 K리그1 경기에서 선발 출전하며 프로 데뷔전까지 가졌다. 그리고 상대 수비수 정태욱와 미드필더 이진용의 경고도 유도하면서 좋은 활약을 보여주었고, 36분간 출전 후 김주공과 교체되었다.
리그 19R FC 서울과의 경기에서도 선발 출전하여 전반 26분에 상대 수비수 두명 사이로 빠진 공을 잘 채 내어 골키퍼와의 1대1 상황을 마무리 지으며 팀의 경기 두 번째 골이자 본인의 감격적인 프로 첫 골을 기록했다. 이후 전반 33분에 김명순과 교체아웃되며 관중들의 기립 박수를 받았다. #[4]
유스 카드임을 활용하여 전반전 25분가량 뛰고 링이랑 교체되는 등의 전략적인 모습을 보여 준다.
2022 시즌 제주에서의 기록은 리그 15경기 출전 1골 0도움. 군대를 현역 제대하고 7부 리그 출신이라는 점을 감안한 영입이었기 때문에 제주가 큰 기대를 하지는 않았을 것으로 보였으나 리그에서만 10경기 이상 출전하고 출전 할 때마다 번뜩이는 움직임을 보여 주었으며 1부 리그 데뷔시즌에 데뷔골까지 터트리는 것을 보았을 때 엄청난 잠재력을 가진 것으로 보이며 이후에 더 큰 선수가 될 것이라는 전문가들의 희망이 담긴 평이 많은 시즌이었다.
12월 26일 K리그2 안산 그리너스 FC로 이적한다는 단독 보도가 나왔다.
2.3. 안산 그리너스 FC
2023년 1월 11일 K리그2의 안산 그리너스 FC는 김범수 영입을 공식 발표했다.
2.3.1. 2023 시즌
등번호 17번으로 번호를 배정받으며 첫 번째 시즌을 맞이했다. 안산 그리너스의 주축이었던 최건주를 대신하여 영입하였다.#2022년 제주에서 보여준 경기력에 있어서는 경기를 읽는 능력이나 경기 전반에 뛰어난 투지와 전방압박으로 데뷔 시즌 신인 치곤 영향력은 커졌다는 시각도 있으나, 여전히 공격 상황에서의 퍼포먼스나 공격 포인트 생산 능력은 아쉽다는 평가도 존재하고 볼터치가 투박하고 체력문제가 아쉽다는 등, 여전히 여러모로 복합적인 평가를 받고 안산그리너스에 이적하였다.
1R 성남 FC 원정경기에서 왼쪽윙 포지션으로 선발출전하며 안산에서의 데뷔전을 치렀다. 전반 47분 정용희가 왼쪽 측면 터치라인 부근에서 김범수에게 스루패스를 연결하였고 패스가 짧았지만 이 공을 김범수가 빠른 스프린트로 공을 낚아 PK를 얻어냈다. 팀의 동점골을 기여하였다. 이 후 공격적인 드리블과 많은 기회를 창출하였으나 팀은 아쉽게 2:1로 패배하고 말았다.
2R 충남 아산 FC 홈 개막전에서 오른쪽 윙어로 선발출전하면서 안산 홈에서의 첫 경기를 치렀다. 경기 초반 번뜩이는 움직임을 보여주다가 전반 33분 페널티 박스 안에서 김진현에게 침착한 패스를 주었고 이 패스를 받은 김진현이 논스톱 슈팅으로 골을 만들어내면서 시즌 첫 어시스트와 공격포인트를 기록하였다.
3R FC 안양과의 홈경기에서 후반 55분 팀이 1대0으로 지고 있는 상황에서 교체 투입되었고 후반 74분 오른쪽 측면에서 크로스를 올려 정재민에게 전달하였다. 이 볼을 받은 정재민이 논스톱 발리 슈팅으로 골을 기록하면서 어시스트를 하였고 두 경기 연속 공격 포인트를 기록하였다.
11R 김천 상무 FC 홈경기에서 후반 31분 우측에서 가브리엘의 패스를 받아 가볍게 밀어 넣으며 팀의 선취골을 넣었다. 안산에서의 데뷔골을 기록. 팀은 3:2로 아쉽게 패배하였다.
17R 김천 상무 FC 원정경기에서 후반 28분 강한 전방압박을 통해서 볼을 탈취하였고 정재민에게 볼이 흘러 역전골에 기여하였다. 안산에서의 시즌 3번째 도움. 팀은 3:2로 역전패 당하였다.
부산 아이파크 원정 경기에 풀타임을 소화했고 후반 30분 티아고의 땅볼 크로스를 오른발로 마무리하며 추격골을 넣었으나 팀의 패배를 막지 못했다.
김포 FC 원정 경기에서 좌측 윙어로 선발로 출전했다. 전반 41분 득점을 성공했으며 이 골이 결승골이 되어 0:1로 승리하였다. 이 승리로 4월 23일 전남과의 경기 이후 첫 승리를 거두게 되었으며 시즌 초중반에 너무나도 부진한 탓에 승격 경쟁은 사실상 불가능하지만 그래도 후반기 추격의 신호탄을 쏘아올린 셈이 됐다.
K2 전반기가 끝난 현재 팀은 21경기 19득점을 하며 공격진이 굉장히 부진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그래도 김범수는 그나마 사람 노릇을 하고 있으며 21경기 3골 3도움으로 좋은 스탯이라 할 수는 없지만 안산에게는 없어서는 안될 존재가 되었다.
10월 7일 전남 드래곤즈 원정 경기에서 선발 출전해 전반 추가시간 왼발 중거리 슈팅으로 원더골을 기록했지만, 팀의 2:3 패배를 막지 못했다.
2023 시즌 안산에서의 기록은 리그와 FA컵을 합쳐 34경기 4골 4도움.
안산 필드 플레이어 중 가장 많은 출전을 하였으며 2023 시즌 K리그 베스트11 후보에 뽑혔다. 성공적인 시즌을 마무리하고 팀 내에서 에이스 역할을 톡톡히 해 냈다.
2.3.2. 2024 시즌
등번호 17번을 배정 받았고, 안산 그리너스에서 두 번째 시즌을 맞이했다. 동계훈련 연습 경기 중 포트트릭을 달성하는 등 연습 경기마다 골을 넣는 좋은 모습을 보였다.4월 10일, 충남 아산과의 리그 6라운드 경기에서 선발 출장했고, 92분에 터진 김도윤의 극적인 골을 어시스트하며 시즌 첫 공격 포인트를 기록함과 동시에 팀의 1:0 승리에 크게 기여했다.
4월 14일, 전남 드래곤즈와의 리그 7라운드 경기에서 선발 출장해 전반 11분에 터진 양세영의 골을 어시스트하며 2경기 연속 공격 포인트를 만들어 냈고 팀은 1:1 무승부를 기록했다. MOM으로 선정됐다.
6월 26일, 서울 이랜드와의 리그 19라운드 경기에서 박준배의 골을 어시스트하며 팀의 3:0 완승에 기여했다.
6월 30일, 수원 삼성 블루윙즈와의 리그 20라운드 경기에서 51분에 노경호의 어시스트를 받아 시즌 첫 골을 만들어냈다. 팀은 1:1 무승부블 기록했다. Man of the Match로 선정됐다.
7월 24일, FC 안양과의 리그 24라운드 경기에서 팀의 두 번째 골을 만들어 냈다. 팀은 3:2로 승리를 거두었다.
시즌 종료 후, 포항 스틸러스 이적설이 나왔고 12월 10일에 포항으로 이적한다는 내용의 기사가 보도되었다.#
2024 시즌 안산에서의 기록은 리그와 코리아컵을 합쳐 27경기 2득점 3도움.
김범수의 2024년 K리그2 성적 | ||||||||
출전 시간 | 경기(선발) | 득점 | 도움 | 슈팅(유효) | 키패스 | 경고(퇴장) | ||
2351 | 27(23) | 2 | 3 | 26(10) | 24 | 4(0) |
2.4. 포항 스틸러스
2025년 1월 4일, K리그1의 포항 스틸러스 구단은 김범수 영입을 공식 발표했다.2.4.1. 2025 시즌
2월 11일 AFC 챔피언스 리그 엘리트 리그 페이즈 7차전 가와사키 프론탈레와의 홈경기에서 후반전 78분 주닝요와의 교체 투입으로 포항에서 데뷔전이자 아챔 데뷔전을 가졌지만 팀은 4:0 패배하였다.포항에는 백성동을 비롯해 김인성, 홍윤상을 비롯해 부상에서 돌아오면 완델손 또는 이태석까지 측면 자원이 워낙 많기 때문에 상당히 험난한 주전 경쟁이 예상되었다.
3월 17일 성남 수비수 조성욱과 맞임대한다는 단독 보도가 나왔다. #
2.4.2. 성남 FC (임대)
3월 18일 성남 구단은 김범수의 임대 영입을 공식 발표했다.5라운드 충남 아산 FC 원정 경기에서 선발로 나와 전반 42분 사무엘의 롱패스를 받아 원터치로 골키퍼의 키를 넘기는 골을 작렬시켰다. 이후 골 세리모니를 자제하는 모습을 보였는데 최근 일어난 산불로 인하여 자제하였다고 밝혔다. 팀은 1대1 무승부. #
6라운드 안산 그리너스 FC와의 홈경기에서 선제골을 넣으면서 두 경기 연속골을 기록하였다.[5]
13라운드 부산 아이파크 경기에 선발 출전하여 공격 포인트는 기록하지 못했지만 활발한 움직임을 보여 줬고 MOM에 선정됐다.
3. 플레이 스타일
속도를 활용한 드리블 돌파와 공간 침투로 상대 수비진에 부담을 주며 골 찬스를 놓치지 않는 결정력까지 갖췄다. 공격 지역에서 침투 패스 빈도가 높은 남기일 감독의 축구 스타일에 부합하는 공격 자원이다. 적극성과 투지 있는 플레이 또한 장점이다.단점으로는 아무래도 정식적인 프로 훈련을 받은 적이 없어서인지 아직까지는 체력적인 부분에서 한계를 보인다는 것. 이 때문에 세부적인 볼 터치나 드리블이 투박할 때가 종종 있다. 그래도 아직 20대 초반에 군 문제까지 해결된 상황이라 앞으로의 노력 여부에 따라 이러한 점은 충분히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
안산 그리너스에서 주전 미드필더 및 주장을 맡고 있는 김영남이 부상 당해 김범수 선수가 중앙 미드필더로 포지션 변경을 했다. 현재까지 보여진 모습으론 투박했던 볼터치나 연계 부분이 많이 개선됐고 수준높은 논스톱 패스가 보이기도 한다.
또한 적극적인 전방 압박과 빠르고 시원한 움직임 그리고 많은 활동량으로 팬들에게 열심히 뛰는 선수로 각인 되어 안산에서 팬층이 나름 두껍다.
4. 여담
- 김원일, 주현우와 함께 K리그에 얼마 없는 일반 현역병 출신 선수로, 고교 졸업 직후 제6군단 예하 제5기갑여단에 현역으로 입대해 병장으로 만기 전역했음에도 기어코 프로까지 올라온 전혀 흔치 않은 인물이다. 훈련은 개인 정비 시간에 했으며, 혼자 나가서 기본기 훈련도 많이 하고 헬스도 꾸준히 했다고 한다.#
- 2022년 7월 29일 K3·4리그 영상에서 가수 김범수에게 디엠을 보냈다.# 또한 자신의 롤 모델이 울산 HD 엄원상이라고 답했다. 고등학교 시절부터 자신의 롤 모델이었고 경기장에서 보게 된다면 인사 한 번 나누고 싶다고 밝혔다.#
5.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성남 FC 2025 시즌 스쿼드 | ||||
1 | 3 | 4 | 5 | 6 | |
[[유상훈|{{{#!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fff" | [[강의빈|{{{#!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fff" | [[베니시오|{{{#!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fff" | [[양시후|{{{#!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fff" | [[홍창범|{{{#!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fff" | |
7 | 8 | 9 | 11 | 13 | |
[[신재원(1998)|{{{#!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fff" | [[이정빈(축구선수)|{{{#!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fff" | [[레오나르도 후이즈|{{{#!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fff" | [[김정환(1997)|{{{#!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fff" | [[안재민(2005)|{{{#!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fff" | |
15 | 16 | 17 | 18 | 19 | |
[[장영기(축구선수)|{{{#!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fff" | [[류준선|{{{#!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fff" | [[정원진|{{{#!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fff" | [[김범수(축구선수)|{{{#!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fff" | [[김훈민|{{{#!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fff" | |
22 | 26 | 27 | 30 | 33 | |
[[정승용|{{{#!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fff" | [[박현빈(2004)|{{{#!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fff" | [[이준상|{{{#!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fff" | [[박병규(축구선수)|{{{#!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fff" | [[박수빈(1999)|{{{#!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fff" | |
34 | 36 | 37 | 47 | 66 | |
[[박지민(축구선수)|{{{#!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fff" | [[유민준|{{{#!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fff" | [[하정우(축구선수)|{{{#!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fff" | [[양태양|{{{#!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fff" | [[김주원(축구선수)|{{{#!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fff" | |
74 | 77 | 88 | 91 | 93 | |
[[사무엘 안드라지|{{{#!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fff" | [[박지원(축구선수)|{{{#!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fff" | [[국관우|{{{#!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fff" | [[박광일(축구선수)|{{{#!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fff" | [[진성욱|{{{#!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fff" | |
99 | |||||
[[홍현승|{{{#!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fff" | |||||
구단 정보 | |||||
대표이사: 김영하 / 감독: 전경준 / 홈구장: 탄천종합운동장 / 출처: 성남 FC 웹사이트 | |||||
최종 수정 일자: 2025년 4월 5일 |
[1] 고등학교 졸업 후 일반병으로 복무[2] 선수 등록은 했으나 코로나19로 인한 리그 중단으로 출전을 하지 못했다.[3] JoinKFA에서는 "동두천 TDA"라는 팀명으로 K7 파주리그에 참가한 이력이 확인된다. K7리그는 만일 연고에 해당되는 시군구급 리그가 생성되더라도, 팀에 따라서 다른 지역 리그에 참가하는 일이 비일비재하다. 팀은 후자에 해당됐는데 5번의 정규 경기만 소화하는 리그 내에서 쉽지 않았는지 2승 3패 기록의 4위로 마무리했다.[4] 근육이 올라와 스스로 교체를 요청했다 한다.[5] 직전 시즌 안산에서 활약했기 때문에 세리머니를 자제하는 모습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