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28 18:59:52

베니시오 토마스


1 유상훈 · 3 강의빈 · 4 베니시오 · 5 양시후 · 6 홍창범 · 7 신재원 · 8 이정빈 · 9 후이즈
VC
· 11 김정환
13 안재민 · 15 장영기 · 16 류준선 · 17 정원진 · 18 김범수 · 19 김훈민 · 22 정승용 · 26 박현빈
27 이준상 · 30 박병규 · 33 박수빈
VC
· 34 박지민 · 36 유민준 · 37 하정우 · 47 양태양
66 김주원
C
· 74 사무엘 · 77 박지원 · 88 국관우 · 91 박광일 · 93 진성욱 · 99 홍현승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전경준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동훈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조동건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동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황지환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재진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백송화
※본 문서는 간소화한 것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타 구단으로 임대한 선수는 제외했습니다.
파일:2025베니시오.png
<colbgcolor=#000><colcolor=#fff> 성남 FC No. 4
베니시오 토마스
Venício Tomás
본명 베니시우 토마스 페헤이라 두스산투스 페르난지스
Venício Tomás Ferreira dos Santos Fernandes
출생 1994년 3월 13일 ([age(1994-03-13)]세)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브라질|{{{#!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브라질}}}{{{#!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체 183cm / 체중 83kg
포지션 센터백, 수비형 미드필더
주발 오른발 (양발)
소속 <colbgcolor=#000><colcolor=#fff> 유스 산투스 FC (2009~2015)
CR 바스쿠 다 가마 (2013~2014 / 임대)
상 크리스토방 FR (2015 / 임대)
선수 오울룬 팔로세우라 (2016)
AC 카야니[1] (2017~2019)
AC 오울루 (2020)
SER 카시아스두술 (2020)
아라우카리아 EC (2021)
타과팅가 EC (2022)
스자좡 궁푸 (2022~2023)
충북 청주 FC (2024)
성남 FC (2025~ )
SNS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선수 경력3. 플레이 스타일4. 여담5. 둘러보기

1. 개요

성남 FC 소속 브라질의 축구선수. 포지션은 센터백이다.

2. 선수 경력

2.1. K리그 이전

핀란드 리그에서 여러 시즌 활약했고, K리그 이적 직전에는 중국 갑급 리그의 스좌장 궁푸에서도 2시즌을 뛰며 좋은 모습을 보여주었다. 중국 리그에서는 특히 안정적인 수비를 보여주며 수비진 전체의 리스크를 줄여주었다는 평을 받았다.

2.2. 충북 청주 FC

2.2.1. 2024 시즌

2024시즌 K리그2충북 청주 FC로 이적하였다. 초반에는 출전시간이 들쭉날쭉한 모습을 보였지만 10라운드를 기점으로 19라운드까지의 전 경기에 풀타임 출전중이다.

15라운드 경남 FC 경기에서 철벽 수비를 자랑하며 팀의 1대0 승리를 만들었다. Man of the Match로 선정됐다.

23라운드 수원 삼성 블루윙즈 경기에서 좋은 수비를 펼쳐 팀의 0대0 무승부를 만들었다. Man of the Match에 선정됐다.

2024년 9월 5일 충북 청주 구단은 베니시오와 2년 재계약 했다고 공식 발표했다.

시즌 31경기에 출전하여 1골을 기록했고 청주의 쓰리백 중 핵심 선수로 인상 깊은 활약을 펼쳤다.
베니시오 토마스 2024년 K리그 성적
경기 득점 도움 슈팅(유효) 드리블 키패스 패스 성공률 경고(퇴장)
31 1 0 13(7) 1 4 90.5% 4(0)

2.3. 성남 FC

2025년 1월 16일, K리그2성남 FC 구단은 베니시오를 영입했다고 공식 발표했다.

베니시오의 영입은 성남FC 전경준 감독의 요청에 의해 이뤄졌다고 한다. 전경준 감독은 "베니시오는 경기 진행 시 모든 상황에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는 선수"라며 "특히 경기 상황을 빠르게 읽고 대처하는 부분에 큰 장점을 가지고 있어 팀플레이 시 좋은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2.3.1. 2025 시즌

1라운드 화성 FC 홈개막전에 출전해 김주원과 안정적인 모습을 보였고 팀은 2:0 승리했다.

4라운드 김포 FC 원정경기에서 선발 출전하여 팀의 0대0 무승부를 만들어냈다. Man of the Match로 선정됐다.

6라운드 안산 그리너스 FC 홈경기에서 선발 출전하여 무실점을 만들며 팀의 1대0 승리를 만들었다. Man of the Match에 선정됐다. 이 활약에 힘입어 6라운드 리그 베스트 11에 선정되었다.

7라운드 경남 FC 원정경기에서 안정적인 수비력을 뽐내며 팀의 1:0 승리를 이끌었고, 두 경기 연속으로 리그 베스트 11에 들어가는 쾌거도 누렸다.

8라운드 부천 FC 1995 원정경기에서 선발 출전하여 무실점을 이끌며 0대0 무승부를 기록했다. 현재까지 리그 전 경기에 출전한 것은 물론이고, 작년 수비진들에겐 볼 수 없었던 단단한 수비를 여러 차례 보여주며 성남의 상승세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9라운드 수원 삼성 블루윙즈 원정경기에서 2:1로 이기던 상황에서 상대편 선수의 옷을 잡아당기는 행위로 인해 다이렉트 퇴장을 당했다. 퇴장 후 선언된 페널티킥으로 수원에게 동점골을 내주었고, 이후 1골을 더 내주면서 팀은 3:2로 패하게 되었다.[2][3]

3. 플레이 스타일


베니시오는 몸싸움과 커버 플레이 상황에서의 스피드에 강점이 있는 선수로 평가받고 있다. 키는 센터백치곤 크지는 않지만 제공권도 준수한 편이다. 특히, 수비 전환 상황에서 최적의 위치를 선점하는 판단 능력이 우수하며, 안정적인 대인 수비와 빌드업 능력 역시 뛰어나다.

4. 여담

5. 둘러보기

파일:성남 FC 엠블럼.svg
성남 FC 2025년 스쿼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성남 FC 2025 시즌 스쿼드
파일:2025유상훈.png
파일:2025강의빈.png
파일:2025베니시오.png
파일:2025양시후.png
파일:2025홍창범.png
1
3
4
5
6
[[유상훈|{{{#!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fff" [[강의빈|{{{#!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fff" [[베니시오|{{{#!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fff" [[양시후|{{{#!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fff" [[홍창범|{{{#!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fff"
파일:2025신재원.png
파일:2025이정빈.png
파일:2025후이즈.png
파일:2025김정환.png
파일:2025안재민.png
7
8
9
11
13
[[신재원(1998)|{{{#!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fff" [[이정빈(축구선수)|{{{#!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fff" [[레오나르도 후이즈|{{{#!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fff" [[김정환(축구선수)|{{{#!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fff" [[안재민(2005)|{{{#!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fff"
파일:2025장영기.png
파일:2025류준선.png
파일:2025정원진.png
파일:2025성남김범수.png
파일:2025김훈민.png
15
16
17
18
19
[[장영기(축구선수)|{{{#!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fff" [[류준선|{{{#!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fff" [[정원진|{{{#!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fff" [[김범수(축구선수)|{{{#!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fff" [[김훈민|{{{#!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fff"
파일:2025정승용.png
파일:2025박현빈.png
파일:2025이준상.png
파일:2025박병규.png
파일:2025박수빈.png
22
26
27
30
33
[[정승용|{{{#!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fff" [[박현빈(2004)|{{{#!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fff" [[이준상|{{{#!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fff" [[박병규(축구선수)|{{{#!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fff" [[박수빈(1999)|{{{#!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fff"
파일:2025박지민.png
파일:2025유민준.png
파일:2025성남하정우.png
파일:2025양태양.png
파일:2025김주원.png
34
36
37
47
66
[[박지민(축구선수)|{{{#!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fff" [[유민준|{{{#!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fff" [[하정우(축구선수)|{{{#!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fff" [[양태양|{{{#!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fff" [[김주원(축구선수)|{{{#!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fff"
파일:2025사무엘.png
파일:2025박지원.png
파일:2025국관우.png
파일:2025박광일.png
파일:진성욱성남2025.png
74
77
88
91
93
[[사무엘 안드라지|{{{#!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fff" [[박지원(축구선수)|{{{#!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fff" [[국관우|{{{#!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fff" [[박광일(축구선수)|{{{#!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fff" [[진성욱|{{{#!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fff"
파일:2025홍현승.png
99
[[홍현승|{{{#!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fff"
구단 정보
대표이사 : 김영하 / 감독 : 전경준 / 홈구장 : 탄천종합운동장 / 출처 : 성남 FC 웹사이트
최종 수정 일자 : 2025년 4월 5일

}}}}}}}}} ||

[1] 2020년 구단 해체[2] 퇴장 판정이 나온 이유는 1대1 상황에서 볼에 대한 도전 과정에서 나온 파울이 아니고, 볼하고는 상관없이 뒤에서 잡아채는 식의 비신사적인 파울을 했기 때문이다.[3] 축구 규정집 항목 중 득점 또는 명백한 득점 기회의 저지 - 선수가 자신의 페널티 에어리어 안에서 상대 선수의 명백한 득점 기회를 저지하는 파울을 하여 주심이 페널티킥을 선언했을 경우, 그 반칙이 볼을 플레이하려는 시도, 또는 볼에 대한 도전이었다면 반칙한 선수에게 경고가 주어진다. 그 외 다른 상황 (예: 붙잡거나 잡아당기거나 밀거나 볼을 플레이할 가능성이 없는 경우 등)에서는 반칙한 선수를 퇴장시켜야 한다. / 선수가 의도적인 핸드볼 반칙을 범해 상대 팀의 득점 또는 명백한 득점 기회를 저지했을 때에는 반칙이 어디에서 일어났는지에 상관없이 그 선수는 퇴장당한다(자신의 페널티 에어리어 내에 있는 골키퍼는 예외로 한다). 선수가 의도하지 않은 핸드볼 반칙으로 상대방의 득점 또는 명백한 득점 기회를 저지하여, 주심이 페널티 킥을 선언한 경우 반칙을 범한 선수는 경고를 받는다. / 선수, 퇴장된 선수, 교체 선수 또는 교체된 선수가 주심의 허락 없이 경기장에 들어와 플레이를 방해하거나 상대 선수를 방해함으로써 상대팀의 득점 또는 명백한 득점 기회를 저지하는 것은 퇴장성 반칙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