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0> | 요미우리 자이언츠 2025 시즌 코칭스태프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000><colcolor=#fe5a1d> 감독 | 83 아베 신노스케 |
1군 | 76 니오카 토모히로 (헤드코치 겸 타격수석코치) · 75 하시가미 히데키 (작전전략코치) · 74 무라타 요시노리 (종합코치) · 81 스기우치 토시야 (수석투수코치) 77 우츠미 테츠야 (투수코치) · 93 마츠모토 테츠야 (외야수비·주루코치) · 79 카메이 요시유키 (타격코치) 88 사네마츠 카즈나리 (배터리코치) · 86 후루키 시게유키 (내야수비·주루코치) | |
2군 | 73 쿠와타 마스미 (2군 감독) · 78 카와이 마사히로 (야수종합코치) · 80 야노 켄지 (타격수석코치) · 71 야마구치 테츠야 (수석투수코치) · 72 오오타케 칸 (투수코치) 85 와키야 료타 (내야수비·주루코치) · 82 스즈키 타카히로 (외야수비·주루코치) · 87 하시모토 이타루 (타격코치) · 89 카토 켄 (배터리코치) | |
3군 | 70 코마다 노리히로 (3군 감독) · 100 미사와 코이치 (수석투수코치) 104 노가미 료마 (투수코치) · 105 요시카와 다이키 (내야수비코치) · 103 킨죠 타츠히코 (야수종합코치) 102 이치카와 토모야 (배터리코치) · 108 타테오카 소이치로 (외야수비·주루코치) | |
순회 | 84 쿠보 야스오 (순회투수코치) · 110 젤러스 휠러 (순회타격코치) | |
코칭스태프 | 투수 | 포수 | 내야수 | 외야수 | 육성선수 | ||
틀:요미우리 자이언츠로 돌아가기 다른 NPB 팀 명단 보기 |
킨죠 타츠히코의 수상 경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c7bc69 우승 반지}}} |
2006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0F8F2D> | 센트럴 리그 역대 최우수신인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FFFFFF> 1950 | 1951 | 1952 | 1953 | 1954 |
오오시마 노부오 쇼치쿠 / 투수 | 마츠다 키요시 요미우리 / 투수 | 사토 타카오 코쿠테츠 / 외야수 | 곤도 마사토시 쇼치쿠 / 투수 | 히로오카 타츠로 요미우리 / 내야수 | |
<rowcolor=#FFFFFF> 1955 | 1956 | 1957 | 1958 | 1959 | |
니시무라 카즈노리 오사카 / 투수 | 아키야마 노보루 타이요 / 투수 | 후지타 모토시 요미우리 / 투수 |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 투수 | 쿠와타 타케시 타이요 / 투수 | |
<rowcolor=#FFFFFF> 1960 | 1961 | 1962 | 1963 | 1964 | |
호리모토 리츠오 요미우리 / 투수 | 곤도 히로시 주니치 / 투수 | 조노우치 쿠니오 요미우리 / 투수 | 수상자 없음 | 다카하시 시게유키 타이요 / 투수 | |
<rowcolor=#FFFFFF> 1965 | 1966 | 1967 | 1968 | 1969 | |
수상자 없음 | 호리우치 츠네오 요미우리 / 투수 | 타케가미 시로 산케이 / 외야수 | 타카다 시게루 요미우리 / 내야수 | 타부치 코이치 한신 / 포수 | |
<rowcolor=#FFFFFF> 1970 | 1971 | 1972 | 1973 | 1974 | |
야자와 켄이치 주니치 / 내야수 | 세키모토 시토시 요미우리 / 투수 | 야스다 타케시 야쿠르트 / 투수 | 수상자 없음 | 후지나미 유키오 주니치 / 내야수 | |
<rowcolor=#FFFFFF> 1975 | 1976 | 1977 | 1978 | 1979 | |
수상자 없음 | 타오 야스시 주니치 / 외야수 | 사이토 아키오 타이요 / 투수 | 스미 미츠오 요미우리 / 투수 | 후지사와 키미야 주니치 / 투수 | |
<rowcolor=#FFFFFF> 1980 | 1981 | 1982 | 1983 | 1984 | |
오카다 아키노부 한신 / 내야수 | 하라 타쓰노리 요미우리 / 내야수 | 츠다 츠네미 히로시마 / 투수 | 마키하라 히로미 요미우리 / 투수 | 고바야카와 타케히코 히로시마 / 내야수 | |
<rowcolor=#FFFFFF> 1985 | 1986 | 1987 | 1988 | 1989 | |
카와바타 준 히로시마 / 투수 | 나가토미 히로시 히로시마 / 투수 | 아라이 유키오 야쿠르트 / 외야수 | 타츠나미 카즈요시 주니치 / 내야수 | 토마시노 켄지 야쿠르트 / 내야수 | |
<rowcolor=#FFFFFF> 1990 | 1991 | 1992 | 1993 | 1994 | |
요다 츠요시 주니치 / 투수 | 모리타 코이치 주니치 / 투수 | 쿠지 테루요시 한신 / 외야수 | 이토 토모히토 야쿠르트 / 투수 | 야부 케이이치 한신 / 투수 | |
<rowcolor=#FFFFFF> 1995 | 1996 | 1997 | 1998 | 1999 | |
야마우치 야스유키 히로시마 / 투수 | 니시 토시히사 요미우리 / 내야수 | 사와자키 토시카즈 히로시마 / 투수 | 카와카미 켄신 주니치 / 투수 | 우에하라 코지 요미우리 / 투수 | |
<rowcolor=#FFFFFF>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
킨죠 타츠히코 요코하마 / 내야수 | 아카호시 노리히로 한신 / 외야수 | 이시카와 마사노리 야쿠르트 / 투수 | 키사누키 히로시 요미우리 / 투수 | 카와시마 료 야쿠르트 / 투수 | |
<rowcolor=#FFFFFF>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
아오키 노리치카 야쿠르트 / 외야수 | 소요기 에이신 히로시마 / 내야수 | 우에조노 케이지 한신 / 투수 | 야마구치 테츠야 요미우리 / 투수 | 마츠모토 테트야 요미우리 / 외야수 | |
<rowcolor=#FFFFFF>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
초노 히사요시 요미우리 / 외야수 | 사와무라 히로카즈 요미우리 / 투수 | 노무라 유스케 히로시마 / 투수 | 오가와 야스히로 야쿠르트 / 투수 | 오세라 다이치 히로시마 / 투수 | |
<rowcolor=#FFFFFF>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
야마사키 야스아키 요코하마 / 투수 | 타카야마 슌 한신 / 외야수 | 쿄다 요타 주니치 / 내야수 | 아즈마 카츠키 요코하마 / 투수 | 무라카미 무네타카 야쿠르트 / 내야수 | |
<rowcolor=#FFFFFF>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
모리시타 마사토 히로시마 / 투수 | 쿠리바야시 료지 히로시마 / 투수 | 오타 타이세이 요미우리 / 투수 | 무라카미 쇼키 한신 / 투수 | 후나바사마 히로마사 요미우리 / 투수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91db><tablebgcolor=#0091db> | 일본프로야구 역대 수위타자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단일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 <tablewidth=100%> 1936년 ~ 1949년 | ||||
<rowcolor=#ffffff> 1936秋 | 1937春 | 1937秋 | 1938春 | 1938秋 | ||
나카네 스스무 나고야군 / .376 | 마츠키 켄지로 오사카 / .338 | 카게우라 마사루 오사카 / .333 | 나카지마 하루야스 도쿄쿄진군 / .345 | 나카지마 하루야스 도쿄쿄진군 / .361 | ||
<rowcolor=#ffffff> 1939 | 1940 | 1941 | 1942 | 1943 | ||
카와카미 테츠하루 도쿄쿄진군 / .338 | 키토 카즈오 라이온군 / .321 | 카와카미 테츠하루 도쿄쿄진군 / .310 | 이시이 마사유키 도쿄쿄진군 / .286 | 이시이 마사유키 도쿄쿄진군 / .300 | ||
<rowcolor=#ffffff> 1944 | 1946 | 1947 | 1948 | 1949 | ||
오쿠무라 토시아키 킨키닛폰 / .369 | 카네다 마사야스 오사카 / .347 | 오시타 히로시 토큐 / .315 | 아오타 노보루 요미우리 / .306 | 코즈루 마코토 다이에이 / .361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센트럴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 | ||||
<rowcolor=#ffffff> 1950 | 1951 | 1952 | 1953 | 1954 | |
후지무라 후미오 오사카 / .362 | 카와카미 테츠하루 요미우리 / .377 | 니시자와 미치오 나고야 / .353 | 카와카미 테츠하루 요미우리 / .347 | 요나미네 카나메 요미우리 / .361 | |
<rowcolor=#ffffff> 1955 | 1956 | 1957 | 1958 | 1959 | |
카와카미 테츠하루 요미우리 / .338 | 요나미네 카나메 요미우리 / .338 | 요나미네 카나메 요미우리 / .343 | 타미야 켄지로 오사카 / .320 |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 .334 | |
<rowcolor=#ffffff> 1960 | 1961 | 1962 | 1963 | 1964 | |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 .334 |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 .353 | 모리나가 카츠야 히로시마 / .307 |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 .341 | 에토 신이치 주니치 / .323 | |
<rowcolor=#ffffff> 1965 | 1966 | 1967 | 1968 | 1969 | |
에토 신이치 주니치 / .336 |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 .344 | 나카 토시오 주니치 / .343 |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326 |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345 | |
<rowcolor=#ffffff> 1970 | 1971 | 1972 | 1973 | 1974 | |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325 |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 .320 | 와카마츠 츠토무 야쿠르트 / .329 |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355 |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332 | |
<rowcolor=#ffffff> 1975 | 1976 | 1977 | 1978 | 1979 | |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 .319 | 야자와 켄이치 주니치 / .355 | 와카마츠 츠토무 야쿠르트 / .358 | 미즈타니 지츠오 히로시마 / .348 | 펠릭스 미얀 타이요 / .346 | |
<rowcolor=#ffffff> 1980 | 1981 | 1982 | 1983 | 1984 | |
야자와 켄이치 주니치 / .369 | 후지타 타이라 한신 / .358 | 나가사키 케이이치 타이요 / .351 | 마유미 아키노부 한신 / .353 | 시노즈카 카즈노리 요미우리 / .334 | |
<rowcolor=#ffffff> 1985 | 1986 | 1987 | 1988 | 1989 | |
랜디 바스 한신 / .350 | 랜디 바스 한신 / .389 | 시노즈카 카즈노리 요미우리 / .333 쇼다 코우조 히로시마 / .333 | 쇼다 코우조 히로시마 / .340 | 워렌 크로마티 요미우리 / .378 | |
<rowcolor=#ffffff> 1990 | 1991 | 1992 | 1993 | 1994 | |
짐 파치오렉 타이요 / .326 | 후루타 아츠야 야쿠르트 / .340 | 잭 하웰 야쿠르트 / .331 | 토마스 오말리 한신 / .329 | 알론조 파웰 주니치 / .324 | |
<rowcolor=#ffffff> 1995 | 1996 | 1997 | 1998 | 1999 | |
알론조 파웰 주니치 / .355 | 알론조 파웰 주니치 / .340 | 스즈키 타카노리 요코하마 .335 | 스즈키 타카노리 요코하마 .337 | 로버트 로즈 요코하마 / .369 | |
<rowcolor=#ffffff>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
킨죠 타츠히코 요코하마 / .346 | 마츠이 히데키 요미우리 / .333 | 후쿠도메 코스케 주니치 / .343 | 이마오카 마코토 한신 / .340 | 시마 시게노부 히로시마 / .337 | |
<rowcolor=#ffffff>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
아오키 노리치카 야쿠르트 / .344 | 후쿠도메 코스케 주니치 / .351 | 아오키 노리치카 야쿠르트 / .346 | 우치카와 세이이치 요코하마 / .378 | 알렉스 라미레스 요미우리 / .322 | |
<rowcolor=#ffffff>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
아오키 노리치카 야쿠르트 / .358 | 초노 히사요시 요미우리 / .316 | 아베 신노스케 요미우리 / .340 | 토니 블랑코 DeNA / .333 | 맷 머튼 한신 / .338 | |
<rowcolor=#ffffff>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
카와바타 신고 야쿠르트 / .336 | 사카모토 하야토 요미우리 / .344 | 미야자키 토시로 DeNA / .323 | 다얀 비시에도 주니치 / .348 | 스즈키 세이야 히로시마 / .335 | |
<rowcolor=#ffffff>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
사노 케이타 DeNA / .328 | 스즈키 세이야 히로시마 / .317 | 무라카미 무네타카 야쿠르트 / .318 | 미야자키 토시로 DeNA / .326 | 타일러 오스틴 DeNA / .316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퍼시픽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 | ||||
<rowcolor=#ffffff> 1950 | 1951 | 1952 | 1953 | 1954 | |
오시타 히로시 토큐 / .339 | 오시타 히로시 토큐 / .383 | 이이지마 시게야 다이에이 / .336 | 오카모토 이사미 난카이 / .318 | 래리 레인즈 한큐 / .337 | |
<rowcolor=#ffffff> 1955 | 1956 | 1957 | 1958 | 1959 | |
나카니시 후토시 니시테츠 / .332 | 토요다 야스미츠 니시테츠 / .325 | 야마우치 카즈히로 마이니치 / .331 | 나카니시 후토시 니시테츠 / .314 | 스기야마 코헤이 난카이 / .323 | |
<rowcolor=#ffffff> 1960 | 1961 | 1962 | 1963 | 1964 | |
에노모토 키하치 다이마이 / .344 |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 .336 | 잭 브룸필드 킨테츠 / .374 | 잭 브룸필드 킨테츠 / .335 | 히로세 요시노리 난카이 / .366 | |
<rowcolor=#ffffff> 1965 | 1966 | 1967 | 1968 | 1969 | |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320 | 에노모토 키하치 도쿄 오리온즈 / .351 |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 .336 |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 .336 |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 .333 나가부치 요조 킨테츠 / .333 | |
<rowcolor=#ffffff> 1970 | 1971 | 1972 | 1973 | 1974 | |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 .383 | 에토 신이치 롯데 / .337 |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 .358 | 카토 히데지 한큐 / .337 | 하리모토 이사오 닛폰햄 / .340 | |
<rowcolor=#ffffff> 1975 | 1976 | 1977 | 1978 | 1979 | |
백인천 타이헤이요클럽 / .319 | 요시오카 사토루 타이헤이요클럽 / .309 | 아리토 미치요 롯데 / .329 | 사사키 쿄스케 킨테츠 / .354 | 카토 히데지 한큐 / .364 | |
<rowcolor=#ffffff> 1980 | 1981 | 1982 | 1983 | 1984 | |
레론 리 롯데 / .358 |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 .326 |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 .325 |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 .332 | 부머 웰즈 한큐 / .355 | |
<rowcolor=#ffffff> 1985 | 1986 | 1987 | 1988 | 1989 | |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 .367 |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 .360 | 아라이 히로마사 킨테츠 / .366 | 타카자와 히데아키 롯데 / .327 | 부머 웰즈 한큐 / .322 | |
<rowcolor=#ffffff> 1990 | 1991 | 1992 | 1993 | 1994 | |
니시무라 노리후미 롯데 / .338 | 히라이 미츠치카 롯데 / .314 | 사사키 마코토 다이에 / .322 | 츠지 하츠히코 세이부 / .319 | 스즈키 이치로 오릭스 / .385 | |
<rowcolor=#ffffff> 1995 | 1996 | 1997 | 1998 | 1999 | |
스즈키 이치로 오릭스 / .342 | 스즈키 이치로 오릭스 / .356 | 스즈키 이치로 오릭스 / .345 | 스즈키 이치로 오릭스 / .358 | 스즈키 이치로 오릭스 / .343 | |
<rowcolor=#ffffff>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
스즈키 이치로 오릭스 / .387 | 후쿠우라 카즈야 롯데 / .346 | 오가사와라 미치히로 닛폰햄 / .340 | 오가사와라 미치히로 닛폰햄 / .360 | 마츠나카 노부히코 다이에 / .358 | |
<rowcolor=#ffffff>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
와다 카즈히로 세이부 / .322 | 마츠나카 노부히코 소프트뱅크 / .324 | 이나바 아츠노리 닛폰햄 / .334 | 릭 쇼트 라쿠텐 / .332 | 츠치야 텟페이 라쿠텐 / .327 | |
<rowcolor=#ffffff>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
니시오카 츠요시 롯데 / .346 | 우치카와 세이이치 소프트뱅크 / .338 | 카쿠나카 카츠야 롯데 / .312 | 하세가와 유야 소프트뱅크 / .341 | 이토이 요시오 오릭스 / .331 | |
<rowcolor=#ffffff>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
야나기타 유키 소프트뱅크 / .363 | 카쿠나카 카츠야 롯데 / .339 | 아키야마 쇼고 세이부 / .322 | 야나기타 유키 소프트뱅크 / .352 | 모리 토모야 세이부 / .329 | |
<rowcolor=#ffffff>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
요시다 마사타카 오릭스 / .350 | 요시다 마사타카 오릭스 / .339 | 마츠모토 고 닛폰햄 / .347 | 톤구 유마 오릭스 / .307 | 콘도 켄스케 소프트뱅크 / .314 |
}}}}}}}}}}}} ||
}}} ||
| |
<colbgcolor=#000000><colcolor=#fd5a1e> 요미우리 자이언츠 No.103 | |
킨죠 타츠히코[1] 金城龍彦 | Tatsuhiko Kinjoh | |
출생 | 1976년 7월 27일 ([age(1976-07-27)]세) |
오사카부 오사카시 히가시나리구 | |
국적 |
|
학력 | 킨키대학 부속고등학교 |
포지션 | 외야수, 3루수[2] |
투타 | 우투양타 |
프로입단 | 1998년 드래프트 5위 |
소속팀 |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3] (1999~2014) 요미우리 자이언츠 (2015) |
지도자 | 요미우리 자이언츠 3군 타격코치 (2016) 요미우리 자이언츠 2군 외야수비·주루코치 (2017~2018) 요미우리 자이언츠 팜 타격·외야수비코치 (2019) 요미우리 자이언츠 3군 야수종합코치 (2020~2021) 요미우리 자이언츠 3군 수비·주루코치 (2022~2024) 요미우리 자이언츠 3군 야수종합코치 (2025~) |
응원가 | 요코하마 시절: [4] |
1. 개요
전 일본프로야구 선수. 현 요미우리 자이언츠 3군 코치. 재일교포 3세 출신이며 한국명은 김용언. 아버지는 킨테츠 버팔로즈에서 투수로 뛰었던 킨죠 아키요[5]이다.본래는 대한민국과 일본 복수국적이었지만 2000년 일본인 여성과 결혼하면서 일본으로 귀화했다.[6]
2. 프로 입단 전
킨키대학 부속고등학교의 투수 겸 1번 타자로 활약하며 2학년 때 팀을 일본 고교야구 전국대회 오사카부 지역예선 결승까지 이끌었다. 결승전에서 만난 학교는 일본 최고의 야구 명문 중 하나로 평가받던 PL학원고등학교, 그것도 한창 마츠이 카즈오와 후쿠도메 코스케가 뛰고 있을 시기였는데 이 결승전에서 PL학원을 꺾으며 본선 진출에 성공했다. 다만 대회에선 아쉽게도 2차전에서 탈락했다.1994년엔 한국에서 열린 봉황대기 전국고교야구대회에 아라이 타카히로와 함께 재일교포 팀으로 방한했다. 그러나 대회 기간 한국에 있는동안 재일교포라는 이유로 한국사람 취급을 해 주지 않는다는 것에 꽤나 억울해했다고 한다.[7]
고교 졸업 후 일본의 사회인야구팀인 스미토모 금속[8]에 입단. 고등학교 시절과 마찬가지로 투타를 겸업하며 팀을 일본선수권 대회 우승으로 이끌었다. 더불어 1997년엔 우수 선수로 뽑히는 영예까지 안았다.
1998년 드래프트에 참가해 5순위로 요코하마 베이스타즈에 지명받아 투수로 입단했다.
3. 선수 경력
|
|
베이스타즈 시대 |
|
DeNA 시대 |
|
요미우리 자이언츠 시대 |
데뷔 첫 시즌부터 곧바로 타자로 전향했으며 이 시기에 스위치 히터로 동시에 전향했다. 이 해 10월 3일에 데뷔 첫 출장을 했다. 출장 기록이 많지 않았기에 신인왕 자격은 유지한채로 시즌 종료.
2000년. 당시 요코하마 타선(일명 머신건 타선)의 중추였던 주전 3루수 신도 타츠야의 부진과 2번 타자 겸 중견수 하루 토시오의 부상[9][10]으로 인해 주로 대타로 나오다가 2번타자 겸 3루수로 주전자리를 획득하는데 성공했다. 주전으로 도약한 이후 엄청난 타격 페이스를 선보이며 4할을 넘나드는 맹타를 휘둘렀다. 8월 18일 한신전에서 타율 .384로 규정타석에 도달했고 이후 페이스가 떨어지며 타율은 .346[11]이 되었지만 계속해서 타율 1위를 지키며 데뷔 2년 만에 수위타자가 되는 영예를 안았고 신인왕까지 수상했다. 이 신인왕은 구단 역사상 1977년의 사이토 아키오 이후 23년 만에, 그것도 구단명이 베이스타즈로 바뀐 이래 처음일 뿐만이 아니라 1978년 요코하마로 연고지를 이전한 이래 처음으로 나온 신인왕이었다.
2001년부터는 불안했던 3루수비를 보고 찝찝했던 모리 마사아키 감독의 뜻에 따라 빠른 발과 강한 어깨를 최대한 살리기 위해 외야수로 전향. 풀타임 주전 외야수로 정착했다. 타율은 .271로 떨어졌으나 구단 최다 기록인 43희생타를 기록했다.
2002년엔 급작스럽게 체중감소 현상이 나타나며 타율이 1할대로 급락했고 주전에서 밀려나버렸다.
절치부심한 2003년엔 3할 복귀와 데뷔 첫 두 자릿수 홈런포를 기록하며 준수한 외야수로 활약했다. 이후 2005시즌까지 3년 연속 3할을 유지했고, 두 자릿수 홈런 기록은 2007년까지 이어졌다.
2008년을 기준으로 성적이 요동을 치기 시작. 2009년엔 규정타석을 채우지 못했으며, 2010년은 2002시즌 이후 또다시 1할대를 치는게 아니냐는 우려가 생길만큼 실망스러운 타격을 보였지만 간신히 1할은 피했다. 하지만 결국 2008년 이후로는 붙박이 주전 자리에서 완전히 밀려나버렸다.
2011시즌 체중을 타격왕하던 시절 수준으로 불리며 시즌을 맞이해 타율이 .272로 다시 올랐다. 이후 2013시즌까지 300타석 가량을 들어서며 쏠쏠한 활약을 펼쳤고, 2013년에는 타율 .291를 기록하며 어느 정도 부활에 성공하게 된다.
2014시즌엔 구단 타이 기록인 8개의 끝내기 안타를 쳤지만 2013년에 비해 출전 기회는 크게 줄어들었고, 시즌이 끝난 뒤 구단에서 은퇴와 동시에 코치로 전임하는 것을 제안했지만 이를 거절하고 FA를 행사해 요미우리에 입단한다. 등번호는 요코하마에서 달던 1번이 오 사다하루의 영구결번이기에 대신 33번을 달았다.
요미우리에서 맞이한 2015시즌의 출발은 괜찮았다. 4월 15일 친정팀 요코하마를 상대로 3점 홈런을 쳐내며 비수를 꽂기도 했으나 얼마 못 가 타격 페이스가 크게 떨어졌고 고작 36경기 출전에 그치며 시즌을 마감. 시즌 종료 후 은퇴를 선언했다.
4. 지도자 경력
은퇴 후 곧바로 요미우리의 코치 제의를 수락하면서 곧바로 지도자 경력을 시작했다. 2016년은 3군 타격코치, 이후 2군 주루코치 등 여러 보직을 거치다가, 2020년부터는 3군 야수종합코치를 맡고 있다.2023년부터는 외야 수비 및 주루 코치로 보직 변경이 이루어졌다.
5. 플레이 스타일
|
|
|
2013~14년 |
|
2006년 |
어지간한 코스로 볼이 들어와도 감각적으로 컨택하는 배드볼 히터로 전성기 기준 3할대의 타율과 10~15홈런 가량을 기록할 수 있는 타자였다. 이러한 타격 스타일 탓에 삼진과 볼넷 모두 많지 않았고 순출루율 또한 낮게 나왔다.
입단 초기 투수에서 야수로 전향하면서 3루수로 커리어를 시작했지만 많은 실책 탓에 2001년부터 외야수로 전향했다. 외야수 전향 이후에는 강한 어깨와 빠른 발을 살려 좋은 수비를 선보였다. 주로 우익수로 출장하였으며 중견수인 타무라 히토시와 함께 우중간을 커버했다. 투수 출신 답게 어깨를 잘 살려 어시스트도 곧잘 기록했으며 2001년과 2003년에는 외야수 레인지 팩터 1위에 오르기도 했다.
주력은 꽤 준수한 편이었지만 처참한 도루센스 탓에 40도루 49도루자로 절반도 안 되는 도루성공률을 기록하며 뛰지 않는 게 도움이 되는 수준이었다.
6. 기타
- 킨죠의 응원가는 본래 전신인 요코하마 타이요 훼일즈의 1980년대 후반 주전 포수이자 심판, 관중, 상대방을 절묘하게 속이는 트릭 플레이로 유명했던 이치카와 카즈마사의 응원가였지만, 정작 이치카와 본인이 이 응원가를 써먹어 보지도 못한채[12] 은퇴하면서 주인이 없어졌다가 킨죠가 입단하면서 이 응원가를 쓰게 되었다.
그리고 본래 킨죠의 응원가로 쓸 계획이었으나 킨죠의 응원가가 위의 응원가로 채택되면서 미사용된 CD용으로만 남은 응원가가 있다. 다만 2군 경기에서는 위의 응원가와 CD판 응원가를 교대로 불렀다고 한다.
원래 유튜브에 영상도 있었으나 삭제된 관계로 일단 가사만 올린다.グラウンドいっぱい 暴れろ龍彦
그라운드에서 가득 날뛰어라 타츠히코
男なら 勝利の花を咲かそう
사나이라면 승리의 꽃을 피우자
- 아베 신노스케가 현역 시절 상대하기 가장 껄끄러웠던 타자 2위로 킨죠를 선택했는데[13], 그 이유는 공 배합 같은 것 아무것도 생각 안하고 동물적인 감각[14]만으로 타격에 임하다보니 타격자세도 일정하지 않고 무슨 공을 노리는지 전혀 읽을 수가 없었기 때문이라고.
- 요미우리에서 뛴 마지막 해를 제외한 선수 생활 대부분을 요코하마에서 보냈지만 은퇴 이후 공식석상 및 각종 행사에서 요코하마의 OB로 참석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지 않고 있는 데다 은퇴 직후인 2016년부터 딱 1년간 뛴 요미우리에서만 코치직을 맡고 있다. 이 때문에 현재까지도 매끄럽지 못했던 이적 과정 때문에 요코하마 구단에 앙금이 남은 게 아니냐는 이야기도 돌고 있다.[15] 호크스 이적 후 팀을 극딜하던 우치카와 세이이치[16]도 과거의 발언을 뒤로 하고 2023년 교류전에서 요코하마 OB로 구단 행사에 참가했으나 킨죠는 아직까지도 이러한 행보를 보여준 적이 없다.
7. 관련 문서
[1] 과거 한국명은 김용언(金龍彦)[2] 드래프트 지명 당시에는 투수였으나 프로 데뷔 이후 타자로 전향했다.[3] 1993~2011년까지의 구단명은 요코하마 베이스타즈[4] 見せてくれ 見せてやれ 超スーパープレイを ハマの風に乗った 男の意地を (보여줘 보여줘 초 슈퍼 플레이를 하마의 바람을 탄 남자의 의지를)[5] 1966년 드래프트 번외로 킨테츠에 입단했지만 1군 출장 기록은 외야수 대수비로 1경기 출전한 것이 전부였고, 2년 만인 1968년에 현역에서 은퇴했다.[6] 그의 아버지는 아직도 한국 국적을 가지고 있다.[7] 이해 대회에 출전한 선수들도 레전드들이 즐비한데 이승엽, 임창용, 홍성흔, 박진만이 대표적이다.[8] 한때 신일본석유(현 JX-ENEOS), 토시바 다음으로 전국대회 타이틀이 9개 이상인 팀 중 하나였고 일본선수권 최다 우승 기록(7회)을 보유할 만큼 상당히 뼈대있는 야구부였지만 1999년 해체됐다.[9] 결국 이 둘은 신도는 2000년 시즌 종료 후 오릭스 블루웨이브로, 하루는 2001년 시즌 도중 주니치 드래곤즈로 트레이드되며 요코하마를 떠났고, 이와 더불어 머신건 타선의 클린업 트리오였던 로버트 로즈와 코마다 노리히로가 2000년 은퇴, 주전 포수였던 타니시게 모토노부가 2001년 FA로 주니치 드래곤즈로 이적하면서 요코하마 역대 최고의 타선이자 일본프로야구 사상 최고의 교타선으로 불리던 머신건 타선은 종말을 고했다.[10] 나머지 머신건 타선 멤버였던 이시이 타쿠로와 스즈키 타카노리, 사에키 타카히로, 나카네 히토시는 팀에 남았지만 나카네는 출장기회가 줄어들면서 2003년을 끝으로 은퇴했고 스즈키는 2000년을 기점으로 점차 기량이 떨어져 벤치로 밀려나면서 2008년을 끝으로 은퇴했고 이시이와 사에키는 그나마 오랫동안 기량을 유지하며 팀 타선을 이끌었다. 하지만 두 사람도 각각 2008년과 2010년 시즌 종료 후 구단의 은퇴 권고를 거절하고 히로시마와 주니치로 떠나게 되면서 머신건 타선을 이끌던 주역들은 2010년을 끝으로 모두 팀을 떠나게 되었다.[11] 이 타율은 현재까지도 깨지지 않은 일본 내 스위치히터 역대 최고 타율이기도 하다.[12] 이 응원가가 처음으로 나온 해가 구단명이 베이스타즈로 바뀐 1993년이었는데, 정작 이치카와는 그 해에 1군 출장 없이 2군에만 머무르다가 시즌 종료 후 전력외통보를 받고 방출되어 은퇴했다.[13] 3위는 타이론 우즈, 1위는 이마오카 마코토를 선택했다. 모두 배드볼 히터 기질이 있는데, 킨죠와 이마오카는 천성적인 컨택 능력과 감각으로 컨디션 좋은 날엔 온갖 치기 힘든 공도 안타로 만들었고, 우즈는 어마어마한 파워, 긴 팔과 커다란 배트에서 나오는 긴 리치로 배터리가 분명 뺐다고 생각하는 공도 홈런으로 만들어내는 능력이 있었다.[14] 이런 플레이스타일 때문에 야생아라는 별명이 붙기도 했었다.[15] 요코하마에서의 마지막 해였던 2014년에 나카하타 키요시 감독은 부진했던 킨죠를 2015년에도 팀 전력 구성에 포함시키려고 했으나 프런트가 나카하타 감독 및 코칭 스텝과의 면담 없이 독단적으로 킨죠에게 현역에서 은퇴하고 코치로 전임할 것을 밀어붙였다. 이에 아직 현역으로 뛰려고 한 킨죠가 반발하여 FA를 선언하고 요코하마 구단은 FA를 선언한 선수는 잡지 않겠다는 방침을 고수하면서 양측 모두 좋지 못한 모양새로 헤어지게 되었다.[16] 다만 우치카와가 요코하마에서도 뛸 적엔 TBS테레비의 막장 운영으로 팀이 나락까지 간 상황인 점을 감안해야 한다. 실제로 DeNA 매각 후엔 자신이 뛸 적과는 (좋은 의미로) 많이 달라졌다는 칭찬 코멘트를 남기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