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30 04:21:41

Golden(케이팝 데몬 헌터스)



파일:케데헌로고.webp
[ 등장인물 ]
||<tablewidth=100%><bgcolor=#462955,#324b74> 파일:헌트릭스_로고.png||<bgcolor=black> 파일:사자보이즈로고.png ||
귀마 · 더피와 서씨· 기타 등장인물
[ 사운드트랙 ]
||<tablewidth=100%><width=10000><bgcolor=#462955,#324b74> 파일:헌트릭스_로고.png ||<color=#000,#fff><bgcolor=#ffffff,#1c1d1f><width=75%>How It's Done | Golden | Takedown | What It Sounds Like ||
파일:사자보이즈로고.png Soda Pop | Your Idol
그 외 TAKEDOWN(TWICE) | Strategy | Free | 사랑인가 봐 | 오솔길 | Score Suite | Prologue (Hunter’s Mantra)
[ 관련 문서 ]
||<tablewidth=100%><width=10000><bgcolor=#fff,#1c1d1f><:> 줄거리
설정
( 헌터 · 악령 )
무대탐방
논란 및 사건 사고 ( AI 합성 음란 영상 논란 )


파일:헌트릭스_로고.png

[ 노래 목록 ]
||<tablebgcolor=#fff,#1c1d1f><width=25%><nopad> 파일:how it’s done.jpg ||<width=25%><nopad> 파일:Golden 케이팝 데몬 헌터스.jpg ||<width=25%><nopad> 파일:케이팝 데몬 헌터스 사운드트랙 Album Cover.jpg ||<width=25%><nopad> 파일:what it sounds like.jpg ||
[[How It's Done|{{{#!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 2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linear-gradient(60deg, #D8C0E6, #CFC0E6, #C5BDE6, #CFC0E6, #D8C0E6); color: #17172D"]] [[Golden(케이팝 데몬 헌터스)|{{{#!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 2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top left, #f2a53d, #fbc559, #fdf9c9); color: #fff"]] [[Takedown(케이팝 데몬 헌터스)|{{{#!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0 -10px; padding: 0 2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linear-gradient(90deg, #512d39, #c96a8b, #512d39); color: #fff"]] [[What It Sounds Like(케이팝 데몬 헌터스)|{{{#!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 2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linear-gradient(170deg, #A098C8, #DFD0E8); color: #FFF"]]
<colcolor=#fff,#fff>
Golden
파일:83a4701279b25b49b9c7af1940f0b17a.1000x1000x1.png
<colbgcolor=#f2a53d,#f2a53d> 발매일 2025년 6월 20일
아티스트 HUNTR/X[1]
장르 K-POP
작사 EJAE, Mark Sonnenblick
작곡 IDO, 24, TEDDY, EJAE, Mark Sonnenblick
편곡 IDO, 24, TEDDY, Ian Eisendrath
프로듀서 IDO, 24, TEDDY
재생 시간 3:14
템포 123 BPM
수록 음반
{{{#!wiki style="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b5c6fc"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음원 듣기 파일:유튜브 뮤직 아이콘.svg | 파일:스포티파이 아이콘.svg | 파일:멜론 아이콘.svg | 파일:Apple Music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 VIBE 아이콘.svg | 파일:벅스 아이콘.png | 파일:지니뮤직 아이콘.svg
버전 파일:Apple Music 아이콘.svg[2] | 파일:Apple Music 아이콘.svg[3] | 파일:Apple Music 아이콘.svg[4] | 파일:Apple Music 아이콘.svg[5]
노래방 56569
88040

1. 개요2. 음원
2.1. 영상
3. 배경4. 성적
4.1. 음원4.2. 유튜브 조회수 기록
5. 평가6. 리믹스7. 커버8. 여담

1. 개요

케이팝 데몬 헌터스의 삽입곡.

2. 음원

<nopad>
Golden

'''
04 3:13


'''
[ 가사 보기 ]

^^'''[[HUNTR/X|
HUNTR/X
]] Rumi Mira Zoey'''^^

I was a ghost, I was alone, hah

I lived two lives, tried to play both sides

Called a problem child 'cause I got too wild

2.1. 영상

Golden

Lyric Video

3. 배경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스포일러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 '헌트릭스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를 그려낸 곡'이라고 소개된 신곡. 원래 휴식기 이후 발매될 예정이었지만, 황금 혼문 완성을 눈 앞에 둔 상황에 조급해진 루미가 예고 없이 바로 발매하고 만다. 각 멤버들이 가진 과거의 상처를 노래한 뒤, 그 상처를 극복하고 성공해 빛나는 헌트릭스를 표현한 곡.
  • 한편 노래 제목인 'Golden'은 찬란히 빛나는 헌트릭스의 모습을 뜻하기도 하지만, 작중 퇴마사들의 최종 목적이었던 황금 혼문을 상징하기도 한다. 실제로 목 컨디션 난조로 라이브를 한번도 못 하던 루미가 월즈 아이돌 시상식에서 처음으로 이 노래를 완창하는 순간, 혼문의 빛이 황금빛을 띄며 황금 혼문으로 점차 변하기도 했다.
  • 급하긴 해도 대대적으로 발표되었고, 헌트릭스 자신들도 중요하게 여기던 곡이지만 외적 요소 때문에 계속 곡 마무리에 실패하는 징크스가 있다. 예고편에서도 하이라이트 곡처럼 묘사되던 것을 보면 제작진의 의도적인 서술 트릭인 셈. 신곡 출시 기념 라이브 리허설에서 루미의 악귀 문양이 까지 올라오면서 목소리가 나오지 않아 라이브가 취소되었고, 아이돌 시상식에서도 마지막 가사를 부른 순간 악령들에 의해 Takedown으로 갑자기 곡이 변경된다.
  • 이는 세 멤버 모두가 '과거의 상처를 극복했다'라는 노래를 부르면서도 정작 자신의 진실한 상처를 드러내지 않고 숨겼기 때문이었다.[6] 이런 식으로 세 명이 모두 거짓 상처를 노래하게 된 이유는 셀린의 가르침 탓이 크다. 셀린은 항상 '흠집과 두려움을 내보여선 안 된다'라고 헌트릭스를 가르쳤고, 그렇기 때문에 3명은 모두 '자신이 극복할 수 있을 만큼' 가벼운 거짓 상처를 노래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 루미는 '아이돌로서 성공한 자신을 믿지 못했던' 과거가 있었으나 이제는 믿을 수 있다고 노래했지만,[7] 사실은 "Put these patterns all in the past now and finally live like the girl they all see", 즉 "문양은 과거로 남겨 두고, 남들이 생각하는 모습대로 빛나며 살아간다"라는 가사를 통해 자신이 악귀와 인간의 혼혈임을 부끄러워하고 있었다.[8] 그 혈통을 멤버들에게 들키는 것 또한 자신이 제거 대상이 될 수도 있다는 아이러니 때문에 극도로 두려워하여 "마음에 을 치고"[한의사] 늘 멤버들과 거리를 두며 살아왔다. 결국 아이돌 어워즈 전에 자신들의 컴플렉스를 솔직히 털어놓았던 다른 멤버들과는 달리, 끝까지 홀로 진실을 드러내지 못한 루미는 멤버들과의 갈등을 파국으로 폭발시키고 만다. 이후 셀린과도 말다툼하며 정신 붕괴 직전까지 몰리다가 겨우 마음을 다잡은[10] 루미는 'What It Sounds Like'에서 "흉터조차도 나의 일부고, 어둠과의 조화도 가능하다"[WISL]라고 외치며 자신의 혈통을 긍정했고, 당당하게 거짓 한 점 없는 목소리로 노래할 수 있었다.
    • 미라는 'Golden'에서 '사납다 못해 문제아 취급을 받았지만 내 날카로운 성격이 오히려 날 성공으로 이끌었다'라고 자신 있게 노래하지만, 사실은 자존감이 낮아서[12] 자신의 성격 때문에 원래 가족보다도 가족 같이 지냈던 동료들과 사이가 멀어지지는 않을지[귀마] 속으로 걱정하고 있었다. 막바지에 "우린 가족도 아니니까 친한 척 하지 마"라며 조이를 쏘아붙인 것도 자신의 상처를 조이에게 투영한 대사. 결국 'What It Sounds Like'에서 "날 선 스스로의 모습을 감추는 대신 드러내는 게 옳지 않았을까"[WISL]라며 한을 털어놓는다.
    • 조이는 'Golden'에서 '두 가지 삶'을 살면서 어느 쪽에도 자리를 잡지 못하고 방황한 것을 노래했지만, 헌트릭스 멤버들과의 관계에서는 오히려 조이 스스로의 성격상의 문제가 더 돋보인다. 정체성 문제 때문에 소속감을 느끼지 못했다고는 하나, 자신만의 별나고 독특한 발상을 남들에게 솔직하게 보여줄 자신감이 없어서 그저 남의 눈치를 보고 수동적으로 행동[15]하며 남의 심기를 맞추는 데에 과도하게 마음을 쏟았기 때문.[귀마][한의사] 결국 'What It Sounds Like'에서 "내 머릿속에 가득 찬 생각들을 왜 억지로 가두려 했을까"[WISL]라며 한을 털어놓는다.

  • 결국 세 멤버가 모두 진실된 자신을 드러내지 않아 이 곡이 '진실된 노래'가 될 수 없었고, 결과적으로 내적 갈등에 시달리던 루미의 감정 이입을 방해했기 때문에 이 노래는 끝내 황금 혼문을 완성시키는 데 실패했다. 작중에서는 루미가 'Takedown'을 '팬들을 위한 노래가 아닌 것 같다'라며 거절하였으며 결국 그 곡이 멤버간 불화에 화룡점정을 찍지만, 'Golden'의 라이브를 준비하기 시작할 때 루미의 목소리가 막혔던 것을 생각하면 황금이 아니라 도금이나 마찬가지였던 이 곡도 혼문을 완성할 재목은 아니었던 셈. "영원히 깨질 수 없는"이라는 가사가 들어가 있음에도 노래를 부를 때마다 멤버 사이에 갈등이 일어난다는 점이 이를 뒷받침한다. 결국 이 갈등은 최종 곡인 'What It Sounds Like'에서, 각 멤버들이 자신의 진실한 상처를 고백하고 그 상처를 긍정하게 된 뒤에야 해소된다.

4. 성적

4.1. 음원

4.1.1. 국내


파일:멜론 로고.svg

멜론 월간차트 1위
<rowcolor=#fff> 2025년 6월 2025년 7월 ~ 9월 2025년 10월
<rowcolor=gray,#7f7f7f>
파일:10CM 너에게 닿기를.jpg

'''10CM
#!if 전아티스트2!=null
, [[|{{{#gray,#7f7f7f }}}]]
#!if 전아티스트3!=null
, [[|{{{#gray,#7f7f7f }}}]]
#!if 전외!= null
\ 외 명

너에게 닿기를'''
파일:케이팝 데몬 헌터스 사운드트랙 Album Cover.jpg

'''HUNTR/X
#!if 현아티스트2!=null
, [[|{{{#000,#fff }}}]]
#!if 현아티스트3!=null
, [[|{{{#gray,#7f7f7f }}}]]
#!if 현외!= null
\ 외 명

Golden'''
파일:흰 정사각형.jpg

'''
#!if 후아티스트2!=null
, [[|{{{#gray,#7f7f7f }}}]]
#!if 후아티스트3!=null
, [[|{{{#gray,#7f7f7f }}}]]
#!if 후외!= null
\ 외 명

'''



파일:써클차트 로고.svg파일:써클차트 로고 화이트.svg

써클 디지털 차트 월간 1위
<rowcolor=#373737> 2025년 6월 2025년 7월 ~ 9월 2025년 10월
<rowcolor=gray,#7f7f7f>
파일:10CM 너에게 닿기를.jpg

'''10CM
#!if 전아티스트2!=null
, [[|{{{#gray,#7f7f7f }}}]]
#!if 전아티스트3!=null
, [[|{{{#gray,#7f7f7f }}}]]
#!if 전외!= null
\ 외 명

너에게 닿기를'''
파일:케이팝 데몬 헌터스 사운드트랙 Album Cover.jpg

'''HUNTR/X
#!if 현아티스트2!=null
, [[|{{{#000,#fff }}}]]
#!if 현아티스트3!=null
, [[|{{{#gray,#7f7f7f }}}]]
#!if 현외!= null
\ 외 명

Golden'''
파일:흰 정사각형.jpg

'''
#!if 후아티스트2!=null
, [[|{{{#gray,#7f7f7f }}}]]
#!if 후아티스트3!=null
, [[|{{{#gray,#7f7f7f }}}]]
#!if 후외!= null
\ 외 명

'''
Golden

주요 음원 차트 최고 순위
<rowcolor=#fff,#fff> 음원 서비스 차트 종류 순위
파일:멜론 로고.svg TOP 100 1위
HOT 100 30일
100일
실시간 차트
일간 차트
주간 차트
월간 차트
파일:지니뮤직 로고.svg 실시간 차트
일간 차트
주간 차트
월간 차트
파일:FLO 로고.svg FLO 24시간 차트
파일:벅스 로고.svg 실시간 차트
일간 차트
주간 차트
파일:네이버 VIBE 로고.svg파일:네이버 VIBE 로고 화이트.svg 일간 차트
파일:유튜브 뮤직 로고.svg파일:유튜브 뮤직 로고 화이트.svg Global Top 100 Weekly
USA Top 100 Weekly
Korea Top 100 Weekly
파일:스포티파이 로고.svg Global Top Song Daily
Weekly
USA Top Song Daily
Weekly
Korea Top Song Daily
Weekly
파일:애플 뮤직 로고.svg파일:애플 뮤직 로고 화이트.svg Top 100: 글로벌
Top 100: 독일
Top 100: 오스트리아
Top 100: 핀란드
Top 100: 미국
Top 100: 영국
Top 100: 캐나다
Top 100: 덴마크
Top 100: 체코
Top 100: 아랍에미리트
Top 100: 네덜란드
Top 100: 폴란드
Top 100: 캄보디아
Top 100: 대한민국
Top 100: 뉴질랜드
Top 100: 호주
Top 100: 노르웨이
Top 100: 독일
Top 100: 대만
Top 100: 홍콩
Top 100: 부탄
Top 100: 말레이시아
Top 100: 바레인
파일:Amazon_Music_logo.svg.png파일:Amazon_Music_logo.svg.png Top Songs
파일:써클차트 로고.svg파일:써클차트 로고 화이트.svg 글로벌 데일리 차트
글로벌 주간 차트
글로벌 월간 차트
스트리밍 주간 차트
스트리밍 월간 차트
디지털 주간 차트
디지털 월간 차트
주요 음원 서비스의 〈Golden〉 차트 순위 추이
YouTube의 〈Golden〉 차트 순위 추이
Golden

PAK 기록 추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rowcolor=#fff,#fff> 날짜 횟수 비고
<bgcolor=#fff,#000> 2025년
07. 19. 100회 [19]
07. 23. 200회
07. 27. 300회
07. 31. 400회
08. 04. 500회
08. 09. 600회
08. 11. 656회 [최다]
08. 13. 700회
08. 17. 800회
08. 21. 900회
08. 27. 1,000회
09. 02. 1,100회
09. 14. 1,200회
09. 20. 1,300회
09. 29. 1,400회
}}}}}}}}} ||
  • 6월 29일, 멜론 TOP 100에 98위로 진입했다.
  • 써클차트 6월 4주 주간 스트리밍 차트에 150위, 디지털 차트에 98위로 진입했다.
  • 7월 9일, FLO에서 처음으로 1위를 달성했으며, 같은 날 지니뮤직벅스에서 실시간 차트 1위를 달성했다.
  • 7월 11일, 벅스에서 일간 1위를 달성했다.
  • 7월 12일, 멜론 실시간 차트 및 HOT 100에서 1위를 달성했으며 같은 날 네이버 VIBE에서 1위, 지니뮤직에서 일간 1위를 달성했다.
  • 7월 13일, 멜론 TOP 100 1위를 달성함과 동시에 첫 RAK (Real Time All-Kill)[기록]를 달성했다.
  • 7월 14일, 멜론 일간 차트에서 1위를 달성함과 동시에 첫 PAK (Perfect All-Kill)[기록]를 달성했다.[23]
  • 7월 18일, 멜론에서 24시간 이용자 수 30만 명을 돌파했다. 이는 G-DRAGON의 'TOO BAD'에 이은 2025년 두 번째 30만 대 이용자 수 달성 기록이다.
  • 7월 21일, 멜론 주간 차트에서 1위를 달성했다.
  • 7월 23일, 멜론에서 24시간 이용자 수 40만 명을 돌파했다. 이는 2025년 첫 번째 40만 대 이용자 수 달성 기록이다.
  • 7월 26일, 멜론에서 24시간 이용자 수 448,107명을 달성하면서 2025년 최다 이용자 수[24]를 기록했다.
  • 8월 1일, 멜론 월간 차트에서 1위를 달성했다.
  • 8월 7일, 써클차트에서 디지털 월간 차트에서 1위를 달성했다.[25]
  • 8월 11일, PAK 656회를 기록하면서 종전 PAK 최다 기록이었던 NewJeansDitto(655회)를 넘어서며 역대 PAK 최다 기록을 세웠다. [26]

4.1.2. 해외

파일:빌보드 핫 100 로고.svg파일:빌보드 핫 100 로고 흰색.svg
빌보드 핫 100 역대 1위 노래
Ordinary
Alex Warren
Golden
HUNTR/X
(1주)
Ordinary
Alex Warren
Ordinary
Alex Warren
Golden
HUNTR/X
(6주, 총 7주)
파일:오피셜 차트 로고.svg파일:오피셜 차트 로고 핑크.svg
오피셜 싱글 차트 역대 1위 노래
DAISIES
Justin Bieber
Golden
HUNTR/X, EJAE, AUDREY NUNA, REI AMI

(1주)
The Subway
Chappell Roan
The Subway
Chappell Roan
Golden
HUNTR/X, EJAE, AUDREY NUNA, REI AMI

(7주, 총 8주)
Golden

주요 차트 기록
파일:빌보드 핫 100 로고.svg파일:빌보드 핫 100 로고 흰색.svg 1위 (7주[비연속] | 14주 차트인)[집계중]
파일:오피셜 차트 로고.svg 1위 (8주[비연속] | 14주 차트인)[집계중]
파일:스포티파이 로고.svg 6억 85,979,829회[기준]
[[유튜브|
파일:유튜브 로고.svg파일:유튜브 로고.svg
유튜브
]]
4억 31,639,728회[기준]
Golden

빌보드 핫 100 차트 기록 추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rowcolor=#fefec9> 주차 순위 변동 비고
1주차
2025년 7월 5일
81위
ENTRY
링크
진입
2주차
2025년 7월 12일
23위 ▲58 링크
3주차
2025년 7월 19일
6위 ▲17 링크
TOP 10 진입
4주차
2025년 7월 26일
4위 ▲2 링크
2주 연속 TOP 10
5주차
2025년 8월 2일
2위 ▲2 링크
3주 연속 TOP 10
6주차
2025년 8월 9일
2위 링크
4주 연속 TOP 10
7주차
2025년 8월 16일
1위 ▲1 링크
커리어 하이
1위 달성
5주 연속 TOP 10
8주차
2025년 8월 23일
2위 ▼1 링크
6주 연속 TOP 10
9주차
2025년 8월 30일
1위 ▲1 링크
비연속 2주 1위
7주 연속 TOP 10
10주차
2025년 9월 6일
1위 링크
비연속 3주 1위
8주 연속 TOP 10
11주차
2025년 9월 13일
1위 링크
비연속 4주 1위
9주 연속 TOP 10
12주차
2025년 9월 20일
1위 링크
비연속 5주 1위
10주 연속 TOP 10
13주차
2025년 9월 27일
1위 링크
비연속 6주 1위
11주 연속 TOP 10
14주차
2025년 10월 4일
1위 링크
비연속 7주 1위
12주 연속 TOP 10
1위 달성 기간: 7주
TOP 10 진입 기간: 12주
TOP 40 진입 기간: 13주
차트인: 14주
}}}}}}}}} ||
Golden

주요 해외 차트 최고 순위
<rowcolor=#fff,#fff> 음원 서비스 차트 종류 순위
파일:빌보드 로고.svg파일:빌보드 로고 흰색.svg Billboard Hot 100 1위
Billboard Global 200
Billboard Global 200 Excl. US
파일:오피셜 차트 아이콘.svg파일:오피셜 차트 아이콘 핑크.svg Official Singles Chart Top 100
Official Trending Chart
Official Streaming Chart
Official Singles Download Chart
파일:iTunes 로고.svg파일:iTunes 로고.svg Worldwide iTunes Chart
USA iTunes Chart
Switzerland iTunes Chart
Singapore iTunes Chart
Malaysia iTunes Chart
UK iTunes Chart
Australia iTunes Chart
  • 7월 9일, 기존에 1위를 기록하던 사자 보이즈의 'Your Idol'을 제치고 미국 Spotify에서 처음으로 일간 1위를 기록하면서, HUNTR/XK-POP 그룹 최초로 미국 스포티파이에서 일간 1위를 달성한 그룹이 되었다.
  • 빌보드 핫 100 차트에서 81위로 진입 후, 2주차에 23위로 상승했다. 진입 3주차인 7월 15일 발표된 빌보드 Top 10 선공개에서 마침내 Top 10에 진입하여 6위까지 상승하였다. 이는 2009년 한나 몬타나 이후 16년 만에 가상 아티스트가 빌보드 핫 100 톱 10에 진입한 사례이며, 작곡가인 IDO를 포함해 작곡가로는 10번 째로 빌보드 톱 10에 입성을 하게 되었다. 7월 22일 발표된 7월 26일자 차트에서 4위, 7월 29일 발표된 8월 2일자 차트에서 2위에 오르며 기록을 경신했다. 결국, 8월 9일자 차트에서 알렉스 워렌의 곡 Ordinary를 근소한 차이로 제치고 마침내 1위를 달성했다.
  • 7월 19일자 빌보드 Global 200빌보드 Global 200 Excl. US에서 1위에 등극했다. 이는 빌보드 역사상 가상의 아티스트가 글로벌 및 미국 제외 글로벌 차트 1위에 등극한 최초 사례이다. # 7월 26일자 차트에서는 BLACKPINK뛰어(JUMP)에 1위를 내주었다가 8월 2일자 차트에서 다시 1위에 올랐다.
  • 영국 오피셜 차트에서 93위로 진입 이후 4위까지 치솟으며 엄청난 상승세를 보이는 중이다. 그리고 8월 1일자 차트에서 드디어 1위를 달성했다. 케이팝 싱글이 영국 오피셜 차트에서 1위를 차지한 것은 2012년, 싸이의 "강남스타일" 이후 13년 만이다. 또한 해당 차트에서 2주 이상의 1위를 기록한 K-POP 노래는 "Golden"이 최초이다.
  • 6월 써클 글로벌 월간 차트에서 10위를 달성했다. 이 기록은 10일 간의 기록으로 달성하였다.
  • 애플 뮤직 글로벌 차트에서 1위를 달성[35], 해당 차트에서 1위를 달성한 최초의 K-POP 그룹이 되었다. 미국 차트에서도 1위를 달성하였는데, 역시나 해당 차트에서 1위를 달성한 최초의 K-POP 그룹이다.[36]
  • 써클차트 글로벌 월간 차트에서 1위를 달성하였다.

4.1.3. 스포티파이 스트리밍 기록

4.2. 유튜브 조회수 기록

5. 평가

애니메이션 장르를 넘어 모든 영화 사운드트랙을 통틀어서도 최상위권의 히트곡 중 하나이며, K-POP 역사상 처음으로 영미 양대 차트를 동시에 석권한 곡이자, 여성 보컬이 부른 K팝 관련 노래로는 첫 빌보드 핫 100 1위 곡이다.[37][38][39] 세계적으로 큰 히트를 치고 있는 케이팝 데몬 헌터스 사운드트랙 중에서도 독보적인 성적을 보여주고 있다. 세계에서 가장 거대한 음악 스트리밍 사이트 1, 2위인 SpotifyApple Music 글로벌 차트에서 전부 1위를 차지하였으며, 미국 차트조차 1위를 석권했다. 특히 Apple Music 음원 차트는 Spotify와 달리 미국의 주류 장르가 아니면 찬밥 신세를 면하기 힘들 정도로 텃세가 심한데, 비주류 장르인 K-POP이 이렇게 올라온 것은 유례가 없던 일이다. 전세계 양대 음악 차트인 영국의 오피셜 싱글 차트빌보드 핫 100 1위를 전부 달성해내고, 국내 음원 차트에서도 모든 음원 차트 1위를 달성해야 하는 PAK를 달성한 것으로도 모자라 PAK 누적 1,000회 이상을 돌파하며 국내 음원 역사상 가장 성공한 K-POP으로도 남게 되었다.

틱톡유튜브를 포함한 여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서도 연령과 성별 가리지 않고 많은 사람들이 챌린지에 참여하고 있다. 그렇기에 서양에서 K-POP이 한층 주류의 위치에 다가갈 수 있는 기반을 새겼다는 평가도 나오고 있다.[40] 무엇보다 빌보드 핫 100에서 1위를 차지하였는데, 스트리밍이 28%를 차지할 정도로 비중이 상당하지만, 최근 다시 대세가 된 라디오 수치는 32%로 더 높고, Golden은 현재 미국에서 라디오 수치가 낮은 축에 속한다.[41] 즉, 1위라는 순위는 오로지 스트리밍 하나만으로 이루어낸 것이라고 봐도 무방한데, 이런 경우는 K-POP 역사를 통틀어봐도 강남스타일을 제외하면 그 전례를 찾을 수 없다.[42]

6. 리믹스

6.1. 데이비드 게타

<colcolor=#fff,#fff>
Golden

David Guetta REM/X
파일:Golden(David Guetta REM/X).jpg
<colbgcolor=#f2a53d,#f2a53d> 발매일 2025년 6월 20일
아티스트 HUNTR/X[43], 데이비드 게타
장르 K-POP
재생 시간 2:56[44]
Golden

David Guetta REM/X

6.2. W&W

<colcolor=#fff,#fff>
Golden

W&W Festival Mix
파일:Golden(W&W Festival Mix).jpg
<colbgcolor=#f2a53d,#f2a53d> 공개일 2025년 8월 19일
장르 K-POP
재생 시간 2:58
Golden

W&W Festival Mix
Golden

W&W Festival Mix (LIVE AT PAROOKAVILLE 2025)
  • 네덜란드 DJ 듀오 W&W가 리믹스 버전을 공개했다.

7. 커버

(Unofficial) 케이팝 데몬 헌터스 한국어 더빙 성우가 커버한 골든✨️
GOLDEN covered by Korean VAs of Kpop Demon Hunters🎶
[ 가사 보기 ]

^^'''[[HUNTR/X|
HUNTR/X
]] Rumi Mira Zoey'''^^
혼자였어, 유령처럼 (hah)

두 갈래로 나뉜 삶 속에

거칠기만 한 문제 투성이

숨지 않아, 나는 빛나, 있는 그대로

We're goin' up, up, up, 우리의 시간
찬란한 우리의골든
Oh, up, up, up with our voices

Oh, 숨지 않아, 나는 빛나, 있는 그대로

두려움 없는, 바로 지금, 있는 그대로


너무 오래 걸린 것 같아
우리는 헌터스, 내 목소리, 더 크게 울려



We're goin' up, up, up, 우리의 시간
찬란한 우리의 골든
Oh, up, up, up with our voices

Oh, 숨지 않아, 나는 빛나, 있는 그대로
두려움 없는, 바로 지금, 있는 그대로

You know it, 찬란한 우리의 골든
그대로, 그대로 glowin'
알잖아, 숨지 않아, 나는 빛나, 있는 그대로




매력적인 저음부터 폭발적인 고음까지 보컬 역량을 온전히 즐길 수 있으면서도 곡 자체 구성이 난해하지 않은 정석적인 보컬곡이다 보니, 아이돌 보컬 멤버뿐만 아니라 국내외의 내로라하는 가수들까지 잇달아 커버에 나서고 있다.

특히 전문 가수들이 커버를 들어가다보니 대부분 엔지니어가 음향을 세심히 만지고, 영상에 등장하는 스튜디오 마이크 등 음향 장비도 전문가용을 써서 음향덕후들의 가슴을 설레게 하고 있기도 하다. 물론 윤하처럼 본인 역량을 믿고 라이브와이어 꽂은 공연용 핸드마이크로 보컬 차력쇼를 하는 경우도 있지만, 이 경우에도 코러스를 따로 더블링하고 전문 엔지니어가 사운드를 수음했다. 소향의 경우 마이크도 무시무시하지만, 아예 더블 보컬로 곡을 재해석해 커버 영상이 200만 뷰를 넘기도 했다.[45]

이러다보니 리스너들 입장에서는 난데없이 유튜브에서 레전드 가수들의 보컬 선수권 대회가 벌어져서 귀가 즐거운 상황이다. 득히 바다, 노라조, 서은광처럼 기성 가수들이 본인만의 특색으로 같은 곡을 모두 다르게 재해석하기 때문에 보고 듣는 말이 있다.

[ Golden 커버 · 목록 일람 ]
||<width=25%><tablebordercolor=#f2a53d,#f2a53d><tablebgcolor=transparent><rowbgcolor=#f2a53d,#f2a53d><rowcolor=#fff,#fff> 날짜 || 가창 커버[46] ||
<colbgcolor=#f2a53d,#f2a53d><colcolor=#fff,#fff> 25. 6. 27. 유튜버 차다빈 #
25. 7. 3. 권진아 #[47] / 혼성 밴드 카디 # / 달나라오이 춘몽 #
25. 7. 4. 신지윤[48] #
25. 7. 5. ablume 시오 #
25. 7. 6. 뮤지컬 배우 조민기 Shorts[49], 풀버전(25. 7. 15.), 루미 성우 아덴 조와의 듀엣 What It Sounds Like (25. 8. 1.)
25. 7. 7. 어반자카파 권순일 #[B]
25. 7. 8. NMIXX 릴리 # / 유튜버 리에이(Leeae) #
25. 7. 10. 버튜버 Hebi. #
25. 7. 11. TREASURE 준규 # / 유튜버 Almost Metal의 메탈 커버[51] #
25. 7. 12. 온앤오프 민균 #[-2key]
25. 7. 13 한국 더빙판 헌트릭스 성우들의 커버 #.
원곡의 영어 가사 대부분을 한국어로 번안하였고[53] 3명의 성우들이 골고루 파트를 나누어 불렀다.
루미의 독창이었던 일부 파트는 합창으로 어레인지되기도 했다.
/ 경서 #
25. 7. 15. 퍼플키스 수안 #
25. 7. 16. 수니그룹 박다혜 #[54] 한국어 ver.
25. 7. 17. 마마무 솔라 # / 지나가던 배라 알바생 #[조회수] / 잠골버스 윤섭 #
25. 7. 19. IVE 안유진 #[56] / 소향 즉흥 ver.[57], 하모니 ver. (25. 7. 27.), 무대 라이브 ver. (25. 8. 15)[58] / Apink 정은지 # / 유튜버 류민희 #
25. 7. 21. (전)노라조 (현)20세기보이즈 이혁 # / 한동근 # / ATEEZ 종호 #[B]
25. 7. 22. 다비치 이해리 #[60] / 박기영 # / 손승연 #, 밴드 ver., 야구장 라이브 공식 ver., 야구장 라이브 직캠 short ver.[61] / 버튜버 따린 # / AKMU 이수현 #
25. 7. 23. S.E.S. 바다 #[셀린]Dear.EJAE)' 인데, 루미의 보컬 역과 수록곡의 작곡을 맡은 EJAE는 과거 오랜 기간 SM엔터테인먼트의 연습생 생활을 하다 결국 꿈을 접고 K-POP 작곡가로 진로를 바꾸어 프로 활동을 시작했고, Golden은 EJAE의 커리어 하이를 달성한 악곡이다. 즉 한국의 아이돌 문화 개벽기에 활동한 아티스트가 오늘날 아이돌 업계에 종사 중인 먼 후배에게 영감을 주어 케이팝 데몬 헌터스가 탄생했고, 그 결과물에 대해 선배 측이 따뜻한 위로와 응원의 뜻을 담은 답가를 보낸 것이다. ][성적] / SUPER JUNIOR 려욱 #[B] / 마크툽 #[B][휘슬]
25. 7. 24. 에일리 # / 걸스데이 민아 #[67] / 수니그룹 배그나 #[조선] / 노을 강균성 #[B] / Blue.D #
25. 7. 25. 락영 #[국악록] / 전상근 # / 크레용팝 초아 # / 빅마마 이지영 # / 유튜버 버블디아 # / 김보경 #
25. 7. 26. 전예찬 # / 나비 #
25. 7. 27. V.O.S 박지헌 #[B]
25. 7. 28. EXID 솔지 # / 빅마마 이영현 # / 포스트맨 성태 #[B]
25. 7. 29. HYNN # / FIFTY FIFTY 문샤넬&하나 # / 이예준 # / 동이혼 윤세나 #
25. 7. 30. Billlie 하람, 수현 # / 씨스타 소유 # / 안영미 #
25. 7. 31. H1-KEY 휘서 # / 라포엠 유채훈 # / 송하예 # / 탑현 #
25. 8. 1. 스텔라이브 아카네 리제, 아오쿠모 린, 하나코 나나 # / 유튜버 Raon # / 브브걸 민영 # / 업텐션 선율 #[B]
부부 스케치 코미디 유튜버 '내얘기' #[개사] / izna 최정은&코코&방지민 #[75]
25. 8. 2. 김창연 # / 몽니 김신의 # / QWER 이시연 15:35
25. 8. 3. 이도진 #
25. 8. 4. 유성은 # / A-FRICA 윤성 #
25. 8. 5. 씨야 이보람 # / ZEROBASEONE 박건욱 #
25. 8. 6. 송이한 #
25. 8. 7. KISS OF LIFE #
25. 8. 9. 이채연 #[-1key]
25. 8. 10. 엔플라잉 #
25. 8. 11. VIXX #[B]
25. 8. 12. 햄부기[78] #
25. 8. 13. 유후, 해봄, 쿠빈 # / 정동하 #[B][80]
25. 8. 14. 비투비 서은광 #[B] / 나현영 #
25. 8. 15. 21학번 # / STAYC 시은&&재이 # / izna 최정은&정세비&방지민 #
25. 8. 16. 윤하 9일10일[82]16일[83] / 멜로망스 김민석 #
25. 8. 22. 양파 # / 김범수 #
25. 8. 23. 블랙스완 앤비 #
25 .8. 27 청계산댕이레코즈(조정석) #
25. 8. 28. LIGHTSUM 나영 1시간 26분 40초부터
25. 9. 5. 송가인 #
25. 9. 7. 박은빈 #[84] #[85]
25. 9. 9. Red Velvet 웬디&여자친구 유주 #[86] / 유리 #
25. 9. 12. 터치드 #[87]
25. 9. 13. 유미 #
25. 9. 16. Dragon Pony #
25. 9. 27. 김영철 #

  • 기악커버
    • 25. 7. 4. 피아넬라 피아노의 피아노 커버 연주 - #
    • 25. 7. 5. 유튜버 건반윤의 피아노 커버 연주 - #
    • 25. 7. 12. 유튜버 stantough의 바드코어 커버 - #
    • 25. 7. 15. 판다랑소금 커버 연주 - #
    • 25. 7. 19. 안준성의 바이올린 커버 연주 - #
    • 25. 7. 19. Davie504의 베이스 커버 연주 - #
    • 25. 7. 25. Flow Music의 국악 커버 - #
    • 25. 7. 26. 김조현의 해금 커버 연주 - #
    • 25. 7. 27. 기타리스트 정성하의 커버 연주[111] - #
    • 25. 7. 27. 유튜버 Boogie Drum의 커버 연주 - #
    • 25. 7. 28. 유튜버 캣올린의 비올라 커버 연주 - #
    • 25. 7. 30 다니엘레 비탈레의 색소폰 커버 연주[112] - #
    • 25. 8. 1. 유튜버 Hoonjin PARK의 커버 연주 - #
    • 25. 8. 2. 기타리스트 Eddie van der Meer의 커버 연주[113] - #
    • 25. 8. 4. 브루클린 듀오의 피아노, 첼로 커버 합주 - #
    • 25. 8. 8. 화수목의 퓨전국악 커버 합주 - #[114]
    • 25. 8. 30. TheRealSullyG의 오타마톤 커버 - #
    • 25. 9. 2. 영국 왕립 공군 군악대 커버[115] - #
    • 25. 9. 6. USC 트로전스 마칭 밴드의 커버[116] - #
  • 그외 커버
    • 25. 7. 25. 유튜버 정훈남의 8 Bit Style 커버 - #
    • 25. 8. 8. 유튜버 PiXL 라디오의 VideoGame ver. 커버[117] - #
    • 25. 8. 24. Bongo Cat유튜브 채널 버전 - 연주 # / 25. 8. 28. 무대공연 #
    • 25. 9. 2. 유튜버 엘레오탄 타프로의 개 버전[118] - #
    • 25. 9. 6. 유튜버 YDJ의 물 커버 - #
    • 25. 9. 9. 유튜버 Twi Shorts의 마인크래프트 버전[119] - #
    • 25. 9. 10 Anifi Beats의 시대별 메가 진화 버전 - #

8. 여담

  • 프로듀싱을 맡은 K-POP 음악 프로듀서 테디는 매기 강 감독이 원타임 시절부터 팬이였다고 한다. 케이팝씬에서 통했으면 하는 마음과 작품의 무드와 잘 어울릴 것 같아 테디에게 프로듀싱 제안을 했는데 "오 이거 멋있다"고 수락하자 놀라면서 "우리가 뭔가 제대로 하고 있구나", "그래 우리도 할 수 있겠다" 라는 생각에 작품에 대한 자신감을 얻었다고 한다.
  • 케이팝 데몬 헌터스의 노래들 중 가장 인기가 높아서 주제곡으로 착각하는 경우도 있으나, 타이틀곡이 아니라 작 중 등장하는 삽입곡 중 하나이다. 타이틀곡은 TAKEDOWN. 다만 팬덤에서도 거의 비공식 타이틀곡처럼 여기고 있으며, 후술하겠지만 아카데미에서도 이 곡을 주제곡으로 출품했다.
  • 노래 공개와 동시에 엄청난 가창 난이도로 주목받았다. 일단 음역대가 엄청나게 넓은 데다 평균적으로 매우 고음역이다. 최고음이 무려 3옥타브 라(A5)[120]인데, 이걸 가성이 아닌 발성이 꽉 찬 진성으로 불러야 하는 데다[121] 최고음을 제외하고 보더라도 3옥타브 초~중반의 고음역대를 계속 유지해야 하는 멜로디로 짜여져 있다. 고음 파트에 묻혔을 뿐 최저음도 무려 1옥타브 레(D3)[122]로, 일반적인 여성 보컬 입장에선 그냥 한 번 찍고 오기도 어려울 정도로 굉장히 낮아 키를 내려서 커버하려고 해도 저음 부분이 안 내려가는 딜레마에 빠질 수 있다. 이렇듯 매우 높은 가창 난이도 때문인지 "루미의 목소리가 나오지 않던 건 단순히 연습하다 목이 쉰 것이 아니냐"라는 농담 아닌 농담[123]도 돌 정도. 실제로 보컬 트레이너들이 리뷰한 영상들에선 공통적으로 루미의 보컬 역을 맡은 EJAE의 엄청난 음역대에 감탄하면서, 이 곡이 얼마나 부르기 어려운 노래인지 설명하는 내용들이 담겨 있다. 이 때문에 넷플릭스의 타국 번안곡 버전들이 원곡자의 실력을 따라가지 못해 아쉽다는 반응[124]이 나오며, 곡의 인기에 비해 난이도가 높아서 커버 영상도 한동안 나오기 힘들 정도였다. 그러다가 권진아를 시작으로 현직 K팝 가수, BJ, 일반인 배스킨라빈스 알바생#까지 골든을 완창한 영상이 인스타와 유튜브 알고리즘을 타면서 조회수 로또가 터지자 내노라하는 국내 보컬들이 골든 커버 영상을 올려 인기를 쌍끌이하기도 했다. 커버의 완성도에 따라 작품 설정에 빗대 끝까지 잘 부른 사람이면 "혼문이 완성되었다", 잘 불렀지만 조금만 부르다 말면[125] "혼문이 만들어지다 말았다"라는 댓글이 달리기도 한다. 물론 못 부르면 "혼문이 깨졌다"라는 댓글이 달린다. 이 때문에 많은 관계자들과 팬들은 라이브 무대를 원한다.
  • 작곡에 참여한 EJAE는 인터뷰를 통해 "제작진이 고음의 노래를 요청했고, 그 곡을 자신이 부르지 않으리라 생각해서 신나게 지르는 곡을 만들었는데 자신이 부르게 되었다"라고 언급했다. 초안은 루미의 가수를 따로 기용하고 EJAE는 가이드 보컬 역할만 맡을 계획이었으나, 해당 작업을 지속하다 보니 어느 순간부터 제작진이 EJAE의 노랫소리를 루미의 노랫소리로 인식하기 시작하면서 아예 보컬리스트로 참여하게 되었다.[126]
  • 전 세계적인 신드롬을 불러일으킨 애니메이션 OST라는 점에서 겨울왕국의 'Let It Go'와 비교가 많이 된다. 공교롭게도 둘 다 고난도의 고음곡이며, 주인공의 해방과 성장을 뜻하는 가사지만 정작 엘사나 루미나 노래를 부를 때 가사와 달리 성장을 다 끝내지 못하고 있었으며, 현실에서 도피하고 있었다는 아이러니한 상황까지 비슷한 점이 있다. 또한 수많은 아이들이 틀고 불러서 부모의 귀에 박혀버렸다는 공통점도 있다.
  • 인기에 힘입어 노래방에 추가되었다.
  • 케데헌의 명실상부 대표곡이지만 아이러니하게도 작중 단 한 번도 처음부터 끝까지 불러지지 않는 곡이다.[127] 그래서인지 곡 자체도 영화를 보지 않고 들으면 클라이막스에서 갑자기 뚝 끊기고 마무리 멜로디로 들어가는 등 완성도가 떨어진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다.
  • 초기 Genius#Spotify##에서는 '앞길속에'가 '압길속에'로 오기되었다. 덧붙여 넷플릭스에서 '한국어' 음성 설정시 한국어 자막에선 '앞'을 생략하고 '길 속에'라고만 표기되는 오류가 있다. 물론 실제로 '앞'이 거의 묵음이라 잘 안들리긴 하지만, 공식 가사 영상과 원어(영어) 음성 설정시 한국어에선 '앞길속에'로, 영어 자막에서도 'ap gil sok e'로 제대로 표기되어있다.
  • 루미가 주인공이기 때문에 헌트릭스의 노래 또한 전반적으로 루미의 입장에서 쓰여지고 그 비중도 크지만, Golden은 특히나 도입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전부 루미의 솔로로 되어있어 피처링을 했다고 하기도 뭐한 수준이다. 그래서 한국 커뮤니티에선 실제로 파트를 이렇게 나눴다면 나머지 멤버들 팬들이 총공에 들어가 팬덤이 터졌을 거라는 우스갯소리가 있다. # 물론 과거 티아라의 미니 3집 존트라볼타 워너비의 타이틀곡 Roly-Poly라든지 실제 K-POP 업계에서 이런 경우가 아주 없는 것은 아니지만,[128] 특정 멤버에게 파트가 몰빵된다면 소외된 다른 멤버의 팬들은 당연히 반발할 테고[129], 파트를 독식한 멤버도 컨디션 관리가 어려울 수 있는 등 해당 아이돌 그룹의 브랜드 가치에 악영향을 끼칠 가능성이 높아 흔히 사용되는 전략은 아니다. 특히 Golden은 고음에 성량을 담아서 불러야 하는 고난도의 가창을 요구해 더더욱 그렇다. K-POP 아이돌은 아니지만 J-POP 아이돌 큐트에선 실제로 메보(스즈키 아이리)에게 과감히 모든 파트를 몰아주는 전략을 택했으나 팬덤이 크게 반발하고 메보 역시 다른 멤버들에게 미안해서 아이돌을 그만두고 싶었다고 고백할 만큼 심각한 사태가 벌어진 사례가 있다. 다만 영미권 팝 그룹의 경우 K-POP보다 훨씬 더 인기 멤버의 편중 현상이 심하기 때문에 그리 위화감을 느낄 장면은 아니다.[130]
    • 다만 EJAE가 자신의 인스타그램에 올린 사진에 의하면, 초기 버전에서는 멤버 모두가 함께 하이라이트 부분을 부르는 것으로 되어있었으며,[131][132] 1절이 끝나고 극 중에서 루미가 자신의 악귀 문양을 처음 드러내는 부분[133]에는 원래 미라의 파트가 있었던 것으로 밝혀졌다.[134] 이는 아이돌 어워즈 무대에서 악귀에게 속아 미라와 조이가 뛰쳐나갈 때 스태프가 20초 뒤에 무대에 올라가야 한다고 소리쳤던 것과도 일맥상통한다. 20초 뒤에는 다른 2명의 파트가 시작된다는 소리이니. 즉, 뮤지컬 영화의 특성상 스토리 진행을 위해 루미에게 파트가 몰리게 된 것이지, 작중의 세계에서 헌트릭스가 발표한 노래는 멤버간 파트가 고르게 분배되어 있었을 가능성이 높고 극중, 아이돌 어워즈 무대에서 헌트릭스가 열창하는 헌트릭스의 Golden은 케이팝 데몬 헌터스의 공식 OST에 수록된 Golden과 다른 가사가 준비되어 있을 수도 있다. 왜냐하면 아이돌 어워즈에서의 Golden의 가사는 이러하다. {{{#!folding 【 극중 Golden 가사 펼치기 · 접기 】
아이돌 어워즈 무대 - Golden 1절 -
I was a ghost, I was alone, hah
어두워진, hah, 앞길속에 (Ah)
Given the throne, I didn't know how to believe
I was the queen that I'm meant to be
I lived two lives, tried to play both sides
But I couldn't find my own place
Called a problem child 'cause I got too wild
But now that's how I'm getting paid, 끝없이 on stage
I'm done hidin', now I'm shinin' like I'm born to be
We dreamin' hard, we came so far, now I believe
We're goin' up, up, up, it's our moment
You know together we're glowing
Gonna be, gonna be golden
Oh, up, up, up with our voices
영원히 깨질 수 없는
Gonna be, gonna be golden
Oh, I'm done hidin' now I'm shinin' like I'm born to be
Oh, our time, no fears, no lies
That's who we're born to be
You know we're gonna be, gonna be golden
We're gonna be, gonna be
Born to be, born to be glowin'
밝게 빛나는 우리
You know that it's our time, no fears, no lies
That's who we're born to be
}}} 1절에 2절 하이라이트 파트가 들어가 있는 것을 보면 알 수 있다.[135]
  • 넷플릭스는 'Golden'을 2026년 아카데미 시상식 주제가상 후보에 출품한다고 공식 발표했다. # # 2026년 오스카 최종 후보 명단은 2026년 1월 22일 발표 예정이며, 시상식은 2026년 3월 2일로 예정되어있다. 한국계 작곡가가 오스카 주제가상 후보에 오르는 것은 정재일기생충 주제가 「소주 한 잔」에 이어 두번째, 수상을 하게 되면 최초가 된다.[136] 한편 오스카 후보에 오르기 위해서는 아카데미 규정상 극장 상영 등 여러 조건을 만족시켜야 하는데, 넷플릭스는 6월 20일부터 26일까지 일주일 동안 3개의 극장에서 상영하여 조건을 충족시켰다.
KPop Demon Hunters - ‘GOLDEN’ 안무가 시안영상

NAIN choreography}}} ||
  • 프랑스어, 일본어, 튀르키예어, 그리스어 등 일부 국가의 해당 언어 더빙판에선 영어 원곡이 아닌 해당 언어로 가사를 번안곡을 삽입하였다.
  • 2025년 7월 29일, 뮤직비디오가 공개된 지 35일 만소니 픽처스 애니메이션 유튜브 공식 채널의 조회수 1위 영상이 되었다.
  • 일부는 해당 곡이 루미가 곡의 파트 90%를 독점하니, 루미 솔로곡이라 오해하기도 하는데, 싱글앨범솔로곡을 혼동하여 사용한다.


[1] EJAE, AUDERY NUNA, REI AMI, KPop Demon Hunters Cast[2] Dolby Atmos[3] Sing-Along[4] Instrumental[5] Acapella[6] 각각 한의사 허준봉의 심리 진단, 후반 귀마가 자극한 트라우마, What It Sounds Like의 가사에서 드러난다.[7] 겉으로만 보면 요절한 어머니에 대한 아픔을 딛고 어머니를 따라 정상급 아이돌이 되었으니, 가사 중 자신을 Queen이라고 지칭해도 부족함이 없어 보인다.[8] 바로 다음 장면에서 "No more Hiding"이라는 가사를 부르면서 악귀의 문양을 감추는 의상을 입으며 진실을 감추는 모습으로 루미의 모순적인 처지를 드러낸다.[한의사] 한의사 허준봉의 심리 진단.[10] 넷플릭스에서 흥행 돌풍을 일으킨 이후 작업자가 공개한 컨셉 아트에 따르면, 루미는 셀린과의 갈등을 겪은 뒤 어머니의 묘소를 방문하고 과거와 현재를 되돌아보며 그 과정에서 깨달음을 얻는다는 시놉시스가 있었으나 분량 문제로 생략되었다는 것이 밝혀졌다.[WISL] 'What It Sounds Like'의 가사.[12] 미라만은 기싸움으로 허준봉의 심리 진단을 막아냈는데, 자신의 약점을 드러내기 두려워 선공을 가한 것.[귀마] 귀마가 멤버들을 유혹하며 자극한 트라우마.[WISL] [15] 특히 남들과 동시에 무언가를 외칠 때마다 혼자 다른 말을 하는데, 그때마다 움츠러들며 말을 바꾼다.[귀마] [한의사] [WISL] [19] 해외곡, OST 첫 100회 기록이다.[최다] 종전 기록인 NewJeansDitto(655회)를 넘어서며 역대 PAK 최다 기록 달성.[기록] 순서상 애니메이션 영화 OST로서는 겨울왕국 Let it go에 이은 두 번째 기록이긴 하나, 실제 기록이 존재하는 건 최초이다.[기록] [23] 해외 아티스트라고 한다면 저스틴 비버에 이어 2번째이다.[24] 종전 기록은 G-DRAGONTOO BAD (359,625명).[25] 올해 최초로 써클지수 1억 회를 달성하였다.[26] 현재는 PAK 1400회를 넘어가며 2등인 Ditto와도 2배가 넘는 차이가 벌어져 버렸다.[비연속] [집계중] [비연속] [집계중] [기준] 2025년 9월 30일[기준] [33] 여성 그룹의 빌보드 핫 100 차트 1위는 2001년 Destiny's ChildBootylicious 이후로 처음이며, 가상 아티스트의 1위는 2022년 엔칸토We Don't Talk About Bruno 이후 처음이다.[34] 보통 화력이 강한 곡들이라도 6주 정도가 지나면 스트리밍이 현저히 떨어지기 마련인데, Golden은 오히려 역주행을 하고 있는 모양새다.[35] 로제의 "APT." 이후 역대 2번째이다.[36] 미국 차트는 팝송과 힙합, 컨트리가 특히 강한 점을 고려하면 대단한 기록이다.[37] 헌트릭스는 '극중 설정상' 케이팝 그룹이고 실제론 한국의 엔터사를 통해 나온 곡이 아니란 이유로 Golden이 K-POP이 아니라는 의견도 있었지만, 테디 사단이라 일컬어지는 더 블랙 레이블 소속의 24, 이도와 같이 테디가 작곡 및 총 프로듀싱을 맡았으며 이곡의 작사가이자 가수인 EJAE오드리 누나 역시 한국계적인 아이덴티티를 자신의 정체성으로 삼고 있다. 골든을 포함해 본작의 사운드트랙 작곡에도 참여한 사람이다. 사실 한국인이냐, 한국계냐, 한국 국적이냐의 여부와 관계 없이 K-POP이라는 장르를 채택하고 있고 결정적으로 아예 작품 이름 자체가 케이팝 데몬 헌터스이며 가사에도 한국어 비중이 적지 않게 들어가 있다. 빌보드 등지에서도 장르를 K-POP으로 분류하고 있기 때문에 단순히 외국 영화에 등장했다고 해서 K-POP이 아니라고 볼 순 없다. 사실 흔히 있는 오해인데 K-POP≠작곡국, K-POP=장르(클래식, 팝, 재즈 등등 같은)이다. 장르명에 국가 이니셜이 들어간 특이 사례인 것. 비슷한 사례로 J-POP이 있다. 때문에 외국에서는 용어적 구분이 필요한 경우 한국 출신 작곡인 경우 Korea pop, Korea music이라고 용어를 분리한다.[38] 흥행 초기 역대 가장 성공적인 애니메이션 사운드트랙 중 하나인 Let It Go와 국내외적으로 비견되곤 한다. 처음에는 케데헌 팬들이 Let It Go만큼 성공할 수 있다고 했을 땐 말도 안 되는 소리라고 일축하는 여론이 있었지만, 이제는 정말 그 수준까지 성공한 것이다. 물론 Let it go 때와 라인업이나 기술 환경 등이 다르기는 한데 # 지금은 7억 명의 사용자가 사용하는 스포티파이가 당시에는 700만 명도 되지 않았을 정도로 작았으며, Apple Music은 나오기도 전이었고, 스트리밍 시대 이전이었다. 하지만 Let It Go의 당시 주간차트 최고 기록이 미국 5위, 영국 11위, 독일 93위, 프랑스 12위, 호주 16위, 캐나다 18위, 노르웨이 순위밖, 스웨덴 15위였던 것에 비해, Golden은 미국 1위, 영국 1위, 독일 1위, 프랑스 30위, 호주 1위, 캐나다 2위, 노르웨이 1위, 스웨덴 1위로 기록 면에서는 Let It Go를 한참 앞섰다고 봐도 무방하다.[39] K팝 역사상 전 세계적인 성공을 거둔 곡 중 하나로 꼽히는 싸이의 ‘강남스타일’도 미국 빌보드 Hot 100 차트에서는 2위, 영국 오피셜 싱글 차트에서는 1위를 차지하였다.[40] 이 때문에 단순히 사운드트랙만 흥한 것인지, 아니면 K-POP 전체에 영향을 끼칠 수 있을지는 차후를 지켜봐야 할 것이다.[41] K-POP으로는 유일하게 로제APT.가 라디오 수치를 집계해 순위를 매기는 팝 에어 플레이 차트에서 1위를 한적이 있지만, 미국에서 가장 보수적인 미디어라 K-POP 자체가 약세일수 밖에 없고, 전반적으로 영미 팝이나 라틴 팝도 애니메이션 OST는 거의 안 틀어주는 편이다. 5주 1위를 달성한 엔칸토We Don't Talk About Bruno와 5위를 달성한 겨울왕국Let It Go 역시 당시 라디오 순위에서 50위권 내에 진입도 하지 못했다. 이 중에서 We Don't Talk About Bruno는 압도적인 스트리밍과 다운로드로 라디오 점수를 찍어누른 케이스다.[42] 하도 이 곡의 인기가 좋다 보니 관련 음모론도 함께 따라붙었는데, 대표적인 음모론을 몇개 추려보자면, 5ch의 한 유저는 해당 곡의 인기가 높은 이유가 사실 국가 기관이 컴퓨터를 다수 틀어두고 스트리밍을 하고 있어서 높은 것이다라는 주장을 하기도 했으며, 그 중에서는 딥 스테이트가 한국을 밀어준다는 음모론도 반드시 따라온다.[43] EJAE, AUDERY NUNA, REI AMI, KPop Demon Hunters Cast[44] Extended: 3:55[45] 2025년 8월 말일 기준.[46] 날짜, 호응도(댓글·조회) 정렬. 애매하면 풀버전 우선.[47] 유튜브 알고리즘의 시작.[48]Weeekly 멤버.[49] 천하제일 골든대회 초창기 멤버. 골든 부르다가 기절한 뮤지컬 배우로 알려져 있다. 이후 "기절" 컨셉으로 커버 영상을 이어간다. (또 기절).[B] 남자 가수가 원키로 불렀다.[51] AI 편곡 및 보컬[-2key] 원곡에서 두 키를 내렸다.[53] 이 때문인지 번안된 노래가 3세대 아이돌들의 분위기와 비슷하다는 평이 많다. 개사 담당은 김도영. 이 번안된 가사는 "Put these patterns all in the past now, And finally live like the girl they all see"를 "전혀 새로운 길을 걸어가, 눈 속에 간직해 준 모습"로 번역하는 등, 멤버들간의 갈등이 봉합된 결말부를 연상시키는 뉘앙스로 바뀌었다.[54] 이튿날, #, 수니그룹 ver.[조회수] 이 즈음, 여러 Golden 커버 Short들이 유튜브 알고리즘 간택을 받았다. 500만 회가 넘는 조회수와 3000개가 넘는 댓글 수 참고.[56] 골든의 코드 진행과 곡 구성이 I AM과 매칭이 잘 된다는 밈이 있었고, IVE 리더 안유진의 커버는 본인등판 급 영상으로 인정받는다.[57] 그 높다는 골든 음역 위로 화음을 쌓는 고음 차력쇼[58] 2025 대전0시축제에서의 무대이다.[B] [60] 1.1배속으로 듣는 것을 권하는 사람들도 많다. 여담으로 앞서 25. 7. 20. 연습중[61] 2025년 8월 10일 창원NC파크에서 진행된 NCKIA의 경기 중 1루 홈 응원석에서 선보인 무대이다.[셀린] 바다는 1세대 아이돌 3인조 걸그룹 S.E.S의 멤버인데, 작중 루미의 어머니 류미영과 헌트릭스의 멘토 셀린이 활약했던 걸그룹 선라이트 시스터즈(Sunlight Sisters)의 모티브가 바로 S.E.S이다. 또한 이 커버 영상의 제목은 'GOLDEN - HUNTR/X / Cover by 바다 BADA[성적] 상징성과 높은 퀄리티의 가창으로 화제가 되어 공개 24시간만에 52만 조회수를 달성해 국내 인기 급상승 동영상 1위에 올라 뉴스 보도가 되기도 했다.# 또한 한국 시간 2025년 7월 25일 0시 인기 급상승 동영상 탭이 완전히 삭제됨에 따라 국내 마지막 유튜브 인기 급상승 동영상 1위 영상이 되었다.[B] [B] [휘슬] 영상 후반부에 4옥타브 라의 휘슬을 구사한다.[67] 2세대 아이돌의 등장. 고음셔틀 문서 참고[조선] 25. 7. 24. 업로드되고 알고리즘에 간택받은, 토종 한국인이 부르는 조선의 Golden. 민요와 트롯트 중간 어디쯤의 이 노래를 듣고 난 후에는 "Gonna be, gonna be golden"이 "고넘이 고넘이거든"으로 들린다고 한다. 안들은 귀 삽니다.[B] [국악록] AI로 편곡했다.[B] [B] [B] [개사] KBS 공채 개그맨 정찬민임수현 부부가 운영하는 채널이다.[75] 2025년 8월 1일 LA 크립토닷컴 아레나에서 진행된 KCON LA 2025에서의 무대이다.[-1key] [B] [78] 코미디언 이수지의 부캐. 대표곡으로 〈SEXY FOOD〉가 있다.[B] [80] 쇼츠 ver.[B] [82] 팬미팅 공연 라이브[83] 스튜디오 녹음버전[84] 은빈노트: HYPER DAY의 오프닝 무대 풀버전이다.[85] 공식 쇼츠 편집버전[86] 동네스타K의 EP.19에서의 라이브다.[87] 10CM의 쓰담쓰담 2회에서의 라이브 무대이다.[88] 스페인 가수로 스페인어로 불렀다.[89] 아르헨티나 가수로 스페인어로 불렀다.[90] 싱가포르의 싱어송라이터[91] 캄보디아의 가수.[92] 일본어로 불렀다.[93] 스페인 국적이라 한국어, 영어, 스페인어 3개 국어로 커버했다.[94] 록이다.[95] 필리핀의 가수.[96] 네덜란드의 가수.[97] 메탈 버전이다.[98] 필리핀의 가수 겸 배우.[99] Superdivas concert 라이브 버전.[100] 미국의 성우. 24개의 목소리로 모창한 버전.[101] 스페인의 가수. 스페인어 버전.[102] 필리핀의 걸그룹.[103] 스페인어로 불렀다.[104] 커버 시점에서 6세다.[105] 미국의 키즈 유튜버.[106] 미국의 키즈 유튜버.[107] 네덜란드의 가수[108] 영국(스코틀랜드)의 록 밴드.[109] BBC의 한 방송에 출연하여 라이브로 소화했다.[110] 록이다.[111] 핑거스타일 주법으로 커버했다.[112] 이탈리아의 색소포니스트[113] 핑거스타일 주법으로 커버했다.[114] 라이브[115] 버킹엄 궁전 앞에서의 연주이다.[116] 조지아 서던 이글스 풋볼팀과의 경기 중 하프 타임의 퍼포먼스이다. 연주 대형으로 더피 얼굴을 만든 상태로 커버했다.[117] 당연하게도 바로 위 정훈남 버전과 비슷하며, 정훈남 쪽이 쿠키런 쪽이라면, 이쪽은 마계촌 아케이드와 매우 유사한 버전이다.[118] 브라질 유튜버.[119] 캐나다 마인크래프트 유튜버.[120] 후렴구의 모든 Born to be 부분. 성인 남성 평균 가성 최고음에 달하는 구간으로, 소찬휘의 'Tears'의 최고음이 3옥타브 솔(G5)라는 사실을 고려해보면 정말 보컬에 어마무시한 재능이 있지 않은 이상 완창하기 힘든 곡이라는 걸 알 수 있다. 이 곡을 바이올린 연주로 들어보면 음이 얼마나 높은 지 실감이 나는데, 영상 상단에 악보 표시를 보면, 문제의 구간에서 콩나물들이 한도 끝도 없이 올라가는 충격적인 장면이 백미이다.[121] 일본판에서 이 음역대를 감당 못하고 가성으로 불렀는데 평가가 나락 그 자체. 애초에 노래가 벅차오르는 감정이 중요한 곡이라 이를 힘찬 진성이 아니라 가성으로 부르면 곡 고유의 매력이 완전히 죽어버린다.[122] 후반 저음 구간에서 'I'll be shining' 부분.[123] 심지어 파트 분배를 보면 알 수 있듯이, Golden에서 루미의 비중은 거의 루미 싱글곡이라고 봐도 될 정도로 압도적으로 많다. 괜히 저걸 혼자 하다 목이 나간게 아니냐는 농담이 나온게 아닌 것.[124] 진성으로 힘을 줘서 부르는 것이 포인트인 노래임에도 대체로 가성을 섞어 불렀다 보니 목소리가 주는 박력이 영어만 못하다는 평이 많으며, 특히 일본어 버전은 일본 아이돌 특유의 비음 섞인 창법에 일본식 영어인 재플리시 발음까지 더해져 시청자들의 평가가 유독 좋지 않다. 후렴구의 'Up, Up, Up'이 'Ang, Ang, Ang'으로 들린다는 댓글까지 달렸을 정도. 애초에 일본어 버전은 가수 선정부터 디렉팅까지 총체적 난국인데, 루미의 노래를 맡은 츠츠미 이쿠코는 중저음에 리듬감을 살린 RnB계열 보컬인데 디렉팅은 오히려 소리를 좁고 얇게 내도록 시키고 있다. 반대로 프랑스어 버전은 원곡과 똑같이 힘을 실어 부른 창법 덕분에 평가가 가장 좋다.[125] 물론 완창한 커버도 많지만 난도가 워낙 높다 보니 1절만 부르거나 킬링 파트만 부르고 멈춘 커버도 적지 않게 있다.[126] 비슷한 케이스로 위대한 쇼맨 삽입곡 Never Enough를 부른 로렌 올레드가 있다. 로렌도 원래 가이드 보컬이었으나 실제 노래를 불러야 할 제니 린드 역의 레베카 페르구손이 그냥 로렌이 부르게 하자고 해서 실제 로렌 올레드의 보컬이 영화와 사운드트랙에 들어갔다.[127] 사실 골든의 메시지는 '우리는 모두 빛날 운명이다'로 희망차고 긍정적이게 들릴 수 있으나, '과거의 상처와 단점은 모두 숨기자'는 가사를 봤을 때 오히려 작품의 주제의식을 사실상 외면하는 곡이라 볼 수 있다.[128] 3분 34초 길이의 Roly-Poly에서 보람과 큐리, 지연의 파트는 단 두 문장 뿐이다. 그런데 티아라 같은 경우에는 데뷔곡 거짓말과 Black Eyes의 타이틀곡 Cry Cry가 더욱 부당하게 파트가 짜여있다. 특히 인피니트가 이런 것으로 유명해서 실력 차등 카스트 제도로 운영된다는 농담이 있을 정도인데, 실제로 인피니트는 철저하게 그룹 내 멤버들의 가창력 순위에 따라서 차등분배를 하기 때문에 멤버 중 이성열은 아예 본인의 단독 파트가 없거나 10초도 안된다. 그럼에도 팬덤인 인스피릿의 불만이 별로 없는 이유는 센터에 서는 횟수나 방송 화면 출연 비중은 비주얼이 좋은 순서대로 차등분배해서다. 또한 3세대 이전의 아이돌들은 라이브로 노래를 불러야 했기때문에 파트 분배의 편중이 3세대 이후 아이돌보다 심했다.[129] 다만 무조건적으로 반발만 있는 것도 아니다. 아이돌 팬덤 내에서는 실력 상관없이 무조건적으로 모든 멤버들에게 공평하게 파트를 분배해야한다는 반응을 보이는 의견이 상당하지만, 그 못지 않게 퀄리티를 위하여 실력에 따라서 차등 분배해야한다는 의견도 상당하기 때문이다.[130] 미국 레전드 걸 그룹인 슈프림스, 데스티니 차일드, 푸시캣 돌스 등의 활동 내역을 보면 알 수 있다.[131] 작중에서는 악귀들이 다른 멤버 둘을 유인해서 루미 혼자 무대 위에 남아 있게 된 상황이기에, 이런 극중 설정을 반영해서 제작된 것이다.[132] 그런데 실제 음원에도 후렴 파트에서 세 멤버들의 화음이 들린다.[133] Waited so long to break these walls down ~[134] 애초에 극중에서 루미의 문양은 숨겨야 하는 존재이기 때문에 가사에 이와 관련된 내용이 들어갈 수가 없다.[135] 참고로 위의 가사들 포함해서 음율에 맞추기 위해서 일부 발음이 바꾼 부분이 있는 편. 유튜브의 보컬 코치 등이 그런 이야기를 했고 그것이 의외로 자주 행하는 방식인 걸로 보인다.[136] 소주 한 잔은 주제가상 1차 후보에만 올랐고 결선 후보엔 진출하지 못했다.[137] 여담이지만 헌트릭스의 성우들도 이 곡 발매 이전에 각각 소원핑, 뜨거핑, 뽀송핑(순서대로 조이, 미라, 루미 순)으로 각각 출연했었다.

#!if version2 == null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케이팝 데몬 헌터스/사운드트랙|케이팝 데몬 헌터스/사운드트랙]]}}}{{{#!if external != "o"
[[케이팝 데몬 헌터스/사운드트랙]]}}}}}}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케이팝 데몬 헌터스/사운드트랙?uuid=087d1724-6ee3-4374-a56b-75825537922c|r63]]}}}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케이팝 데몬 헌터스/사운드트랙?uuid=087d1724-6ee3-4374-a56b-75825537922c#s-|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https://namu.wiki/history/케이팝 데몬 헌터스/사운드트랙?from=63|이전 역사 보러 가기]]}}}
#!if version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 left; padding: 0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케이팝 데몬 헌터스/사운드트랙|케이팝 데몬 헌터스/사운드트랙]]}}}{{{#!if external != "o"
[[케이팝 데몬 헌터스/사운드트랙]]}}}}}}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케이팝 데몬 헌터스/사운드트랙?uuid=087d1724-6ee3-4374-a56b-75825537922c|r63]]}}}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케이팝 데몬 헌터스/사운드트랙?uuid=087d1724-6ee3-4374-a56b-75825537922c#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케이팝 데몬 헌터스/사운드트랙?from=63|이전 역사]])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 == null
'''uuid2 not found'''}}}{{{#!if uuid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 == null
'''uuid3 not found'''}}}{{{#!if uuid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 == null
'''uuid4 not found'''}}}{{{#!if uuid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 == null
'''uuid5 not found'''}}}{{{#!if uuid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6 == null
'''uuid6 not found'''}}}{{{#!if uuid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7 == null
'''uuid7 not found'''}}}{{{#!if uuid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8 == null
'''uuid8 not found'''}}}{{{#!if uuid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9 == null
'''uuid9 not found'''}}}{{{#!if uuid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0 == null
'''uuid10 not found'''}}}{{{#!if uuid1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1 == null
'''uuid11 not found'''}}}{{{#!if uuid1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2 == null
'''uuid12 not found'''}}}{{{#!if uuid1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3 == null
'''uuid13 not found'''}}}{{{#!if uuid1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4 == null
'''uuid14 not found'''}}}{{{#!if uuid1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5 == null
'''uuid15 not found'''}}}{{{#!if uuid1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6 == null
'''uuid16 not found'''}}}{{{#!if uuid1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7 == null
'''uuid17 not found'''}}}{{{#!if uuid1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8 == null
'''uuid18 not found'''}}}{{{#!if uuid1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9 == null
'''uuid19 not found'''}}}{{{#!if uuid1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0 == null
'''uuid20 not found'''}}}{{{#!if uuid2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1 == null
'''uuid21 not found'''}}}{{{#!if uuid2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2 == null
'''uuid22 not found'''}}}{{{#!if uuid2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3 == null
'''uuid23 not found'''}}}{{{#!if uuid2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4 == null
'''uuid24 not found'''}}}{{{#!if uuid2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5 == null
'''uuid25 not found'''}}}{{{#!if uuid2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6 == null
'''uuid26 not found'''}}}{{{#!if uuid2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7 == null
'''uuid27 not found'''}}}{{{#!if uuid2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8 == null
'''uuid28 not found'''}}}{{{#!if uuid2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9 == null
'''uuid29 not found'''}}}{{{#!if uuid2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0 == null
'''uuid30 not found'''}}}{{{#!if uuid3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1 == null
'''uuid31 not found'''}}}{{{#!if uuid3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2 == null
'''uuid32 not found'''}}}{{{#!if uuid3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3 == null
'''uuid33 not found'''}}}{{{#!if uuid3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4 == null
'''uuid34 not found'''}}}{{{#!if uuid3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5 == null
'''uuid35 not found'''}}}{{{#!if uuid3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6 == null
'''uuid36 not found'''}}}{{{#!if uuid3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7 == null
'''uuid37 not found'''}}}{{{#!if uuid3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8 == null
'''uuid38 not found'''}}}{{{#!if uuid3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9 == null
'''uuid39 not found'''}}}{{{#!if uuid3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0 == null
'''uuid40 not found'''}}}{{{#!if uuid4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1 == null
'''uuid41 not found'''}}}{{{#!if uuid4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2 == null
'''uuid42 not found'''}}}{{{#!if uuid4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3 == null
'''uuid43 not found'''}}}{{{#!if uuid4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4 == null
'''uuid44 not found'''}}}{{{#!if uuid4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5 == null
'''uuid45 not found'''}}}{{{#!if uuid4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6 == null
'''uuid46 not found'''}}}{{{#!if uuid4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7 == null
'''uuid47 not found'''}}}{{{#!if uuid4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8 == null
'''uuid48 not found'''}}}{{{#!if uuid4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9 == null
'''uuid49 not found'''}}}{{{#!if uuid4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0 == null
'''uuid50 not found'''}}}{{{#!if uuid5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