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text-align: center; 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50%; min-height: 2em" {{{#!folding [ 소속 아티스트 ] {{{#!wiki style="margin: -5px -1px 0" | <tablebgcolor=transparent> 아티스트 | |||||
배우 | ||||||
프로듀서 |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50%; min-height: 2em" {{{#!folding [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000,#fff><colcolor=#fff,#000> 하위 문서 | 역사 | ||||
플랫폼 | Churrrrr|DAY OFF | |||||
프로젝트 | I-LAND2 | |||||
해외 지사 | THEBLACKLABEL USA | |||||
관계 회사 | THEBLACKSEA|피드인터내셔널 | }}}}}}}}}}}} |
<colbgcolor=#000><colcolor=#fff> THEBLACKLABEL 더블랙레이블 | |||
| |||
기업명 | ㈜더블랙레이블 | ||
THEBLACKLABEL Inc. | |||
국가 |
| ||
설립일 | 2016년 3월 11일 | ||
설립자 | 설립자 박홍준 | ||
임원진 | 대표이사 정경인사내이사 양민석, 박홍준, 최윤호 | ||
업종명 | 매니저업 | ||
기업규모 | 중소기업 | ||
상장여부 | 비상장기업 | ||
유통사 | YG PLUS | ||
소재지 | 서울특별시 용산구 이태원로 214 (한남동)[1]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color: #fff,#000" {{{#!folding 기업 정보 더보기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0><colcolor=#fff> 상장시장 | 비상장 기업 |
직원 수 | 128명(2025년 4월 1일 기준) | |
자본금 | 21억 2,854만 5,000원(2024년 기준) | |
매출액 | 423억 4,365만 1,131원(2024년 기준) | |
영업이익 | -172억 7,553만 8,010원(2024년 기준) | |
순이익 | -166억 9,295만 1,473원(2024년 기준) | |
자산총액 | 950억 6,203만 4,637원(2024년 기준) | }}}}}}}}} |
링크 | ||
1. 개요
대한민국의 힙합 레이블 겸 연예 기획사.2. 특징
모든 것은 어둠에서 시작됩니다. 그 어떠한 색과 빛도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 우리의 크리에이티브에 대한 여정은 시작됩니다. 공식 홈페이지 소개문 |
YG엔터테인먼트가 아티스트 출신 음반 기획자를 양성하기 위해, 양현석 총괄 프로듀서의 주도로 기획 및 설립이 추진되었다. 테디를 수장으로 하여 YG엔터테인먼트 내부에서 KUSH를 추가로 파견했으며, 대규모 프로듀서 영입을 통해 레이블의 기틀을 마련했다.
초창기에는 HIGHGRND를 이어받아 힙합 및 R&B 프로듀서들을 주축으로 전형적인 힙합 레이블의 성격을 보였지만, 뚜렷한 활동이 존재하지 않아 명성에 비해 한국 힙합에 끼치는 영향은 미미했다.[3]
설립 이후 약 6년 동안은 간간이 자사 소속 아티스트들의 음반을 발매하는 것 외에는 뚜렷한 활동이 없었으며, 사실상 YG엔터테인먼트의 외주 제작 업체 정도였다.
2020년대 들어 내부적으로 대대적인 재정비 과정을 거쳤으며, 본격적인 연예 기획사로서의 자립을 도모하고 있다. 적극적으로 아티스트를 영입 및 음반을 발매하고 있으며, 배우 매니지먼트 또한 재개했다.
2021년부터 시작된 새한창업투자의 적극적인 투자로[4] 지분 희석은 물론 본사도 YG엔터테인먼트를 떠나 서울시 용산구 한남동 신사옥으로 옮겼으며 YG엔터테인먼트에서 독립해 독자 회사 노선을 걷고 있다.
독자 노선 후 2025년 현재까지 MEOVV와 ALLDAY PROJECT를 데뷔 시켰으며 매우 좋은 반응을 얻고 있고, 넷플릭스에서 대히트친 케이팝 데몬 헌터스 사운드트랙에 더블랙레이블 프로듀서들이 참여하면서 크게 주목받고 있는 엔터사 중 하나이다.
2.1. 로고
CI | |
| |
가로형 로고 | |
| |
<rowcolor=#fff> 세로형 로고 | 심볼 |
2.2. 사옥
| |
<rowcolor=#fff> 합정동 구 사옥 (2021년 ~ 2024년 6월) | 한남동 신 사옥 (2024년 6월~ 현재) |
2021년 6월부터 2024년 초까지 서울특별시 마포구 합정동에 위치한 YG엔터테인먼트 구 사옥 건물을 물려받아 사용했었다.[5]
2024년 6월, 한남동에 위치한 네오밸류 한남 W 오피스 신 사옥으로 이전했다.
2.3. 음악적 특징
전체적인 음악적 스타일은 블랙 뮤직, 일명 "흑인 음악"을 추종한다.[6] 총괄 프로듀서 테디가 프로듀싱을 맡고 있는 아티스트는 YG엔터테인먼트와 유사한 스타일을 이어나가고 있으며, 그 외 자체적으로 프로듀싱을 맡고 있는 아티스트는 본인만의 스타일을 확립해 나아가고 있다.2.4. YG엔터테인먼트와의 관계
처음엔 YG엔터테인먼트의 산하 레이블로 시작했으나, 2021년부터 시작한 투자 유치에 '새한창업투자' 등 VC들이 전환사채 인수 등으로 대거 참여하면서 지분이 희석되어 독립 레이블로 거듭났다.2024년 기준 YG의 지분이 14%대로 급감했으며 프로듀서들도 자사 아티스트 프로듀싱에만 집중하고 있는 중이다. 본사도 YG를 떠나 서울시 용산구 한남동 신사옥으로 이전했다.
따라서 더블랙레이블은 YG엔터테인먼트의 '관계 회사'정도로 볼 수 있다.
3. 역사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THEBLACKLABEL/역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THEBLACKLABEL/역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 지배구조
<rowcolor=#fff> 주주명 | 지분율 |
박홍준 | 42% |
새한창업투자 | 28% |
YG엔터테인먼트 | 14.55% |
기준일: 2025년 3월 26일 |
4.1. 계열사
- THEBLACKLABEL USA
(THEBLACKLABEL USA,LLC|종속기업|지분율 100%) - 미국 지사이다.
- THEBLACKSEA
(CP TBL GLOBAL STUDIO CO.,LTD|관계기업|지분율 49%) - 태국 지사로 CP그룹과 공동 설립했다.
- 피드인터내셔널
(㈜피드인터내셔널|관계기업|지분율 30%)
5. 소속 아티스트
5.1. 아티스트
| ||||
| | |||
태양 | 전소미 | |||
| | |||
로제 | MEOVV | |||
| | |||
Vince | 리정 | |||
| ||||
ALLDAY PROJECT | ||||
- 공식 웹스토어 나열 기준.
5.2. 배우
| ||||
| | |||
박보검 | 이종원 | |||
5.3. 프로듀서
| ||||
TEDDY | KUSH | |||
24 | JuniorChef | |||
VVN | Nohc | |||
Dominsuk | Danny Chung | |||
IDO | ||||
6. 과거 소속
===# 아티스트 #===
- Okasian (2017-2020)
- 자이언티 (2016-2024)
- Bryan Chase (2017-2025)
- LØREN (2021-2025)
===# 프로듀서 #===
===# 배우 #===
===# 연습생 #===
7. 비판
7.1. 부실한 매니지먼트
모기업이였던 YG의 단점을 그대로 답습했는데, 이에 대해 팬들은 음악색이 비슷한 건 그렇다고 쳐도 왜 매니지먼트 방식까지 배워왔냐며 뒷목을 잡고 있다.- 우선 YG만큼 이곳도 가수들의 매우 긴 공백기로 유명하다. 베테랑급인 태양이나 로제는 그렇다 쳐도 전소미까지 2년의 공백기를 가질 정도로 컴백 주기가 너무 긴지라 팬들의 불만이 상당하다.
- 대표적으로 시대착오적인 신비주의 컨셉을 아직까지 고수하는 것도 YG와 비슷하다. 음악 방송도 YG와 동일하게 엠 카운트다운과 SBS 인기가요만 나가다가 태양과 전소미부터는 쇼! 음악중심도 나가고는 있다.[17] 신인 걸그룹 MEOVV는 또 엠 카운트다운과 SBS 인기가요만 나가면서 활동량이 생명인 최근 걸그룹 트렌드에 너무 뒤쳐졌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크다. 특히 미야오의 두번째 활동에서 엠카운트다운이 MAMA AWARDS 준비로 인해 편성이 중단될 때 음악방송 스케줄이 1주일에 1번이 끝이라는 말도 안 되는 매니지먼트를 보여줬기에[18] 팬들의 불만은 가면 갈수록 커지고 있다.
- 티징이 아티스트들의 규모에 비해 전문적이지 못하다는 평이 많다.
- 타 소속사들이 다 하는 컴백 타임 테이블도 없으며, 티징 시간도 자정, 정오, 오후 1시, 6시, 7시, 8시 등 제각각인 점에 대한 비판도 있다.
- 컨셉 포토 퀄리티에 대한 의문도 많다.
- 종합적으로 THEBLACKLABEL의 운영 방식에 대한 비판은 기존 YG가 받던 비판과 매우 유사한 수준이며, 이럴 거면 YG로부터 독립한게 의미가 있냐는 지적이 많은 상황이다.
7.1.1. 전소미
- 버닝썬 게이트로 YG에 대한 논란이 한창일 때 방패마냥 데뷔시킨 걸로 모자라[19] 신인임에도 1년이란 공백기를 가진 후 디지털 싱글 1곡을 들고 컴백시켰으며 1년 1컴백마저도 보장되지 못해 공백기를 2년이나 가졌다. 전소미가 자작곡을 만들지 않았다면 앨범조차 나오지 못했을 거란 웃지 못할 이야기도 있다.
- 2024년 전소미의 'Ice Cream' 발매 당시 모두가 피하는 올림픽 시기에 티저 사진 1장을 3일 전에 업로드하며 발매일을 알렸고, 국내 차트에 불리한 금요일 1시 발매에 영어 곡임에도 아무런 프로모션을 하지 않았다. 일주일 만에 음원 재녹음, 안무 완성, 뮤비 촬영까지 급하게 마치는 등 2년 만의 컴백치고 심히 성의가 없어 팬들의 원성을 샀다. 유튜브 컨텐츠 출연도 아티스트 본인의 인맥만으로 해결하는가 하면 헤메코도 본인이 전부 하고 나올 정도로 지원이 없었다.
- 2018년 THEBLACKLABEL로 전소미가 이적한 이후 2025년 3월까지도 팬클럽, 응원봉, 시즌그리팅이 단 하나도 없었으며 단독 콘서트도 한 번을 못했다. 팬덤명도 없어 프로듀스 101 때부터 쓰던 비공식 팬덤명인 '솜뭉치'를 그대로 쓰고 있다. 팬들의 요구에 대학축제도 2024년이 되어서야 드디어 다니기 시작했는데, 같은 축제에 나간 같은 소속사 가수의 직캠은 찍어줘도 전소미의 직캠이나 단체 사진은 없었다. 태양 콘서트의 게스트로 출연해도 전소미의 사진과 영상만 소속사가 찍어주지 않았다. 몇 개 없는 스케줄조차 제대로 제 시간에 업로드 하는걸 보는게 더 신기한 일이 되어 버렸다.
- 다만, 이러한 팬들의 불만을 어느 정도는 피드백하는 모양인지, 2025년 4월부터는 데뷔 6년 만의 공식 팬클럽 개설 및 공식 응원봉 제작, 팬미팅 투어[20] 등을 진행하고 있다.
7.1.2. 태양
2024년 THE LIGHT YEAR 콘서트에서 팬들의 비판이 많았다. 콘서트 개최 공지를 예매 2일전에 통보한 점, 7년만의 첫 콘서트라고는 하지만 수요를 너무 보수적으로 예측하여 태양의 체급보다 작은 공연장을 대관한 점, 공식 팬클럽들을 미리 창설하지 않아 팬들이 사전 예매를 하지 못했던 점, 1인 4매 예매로 리셀러들이 좌석을 장악한 점, MD 수요를 적게 예측하여 조기에 품절 되어버린 점 등이 그렇다. 또한, 태양의 기존 콘서트[21]에 비해 연출 등의 퀄리티가 낮아진 것도 불만이 나왔다.- 2025년의 앵콜 콘서트에서 어느정도 피드백되었다. 멤버십을 창설하여 선예매를 받았고, 장소도 인스파이어 아레나에서 진행되었다. 다만, 추가 콘서트를 뒤늦게 공지한 것에 대한 불만도 나왔다.
7.1.3. MEOVV
자사 첫 걸그룹인데 부실한 프로모션과 타 아이돌들에 비해 턱없이 부족한 컨텐츠와 스케줄로 인해 비판의 목소리가 크다. 그나마 팬들의 의견에 대한 피드백과 수용은 YG보다 열려 있지만 하지만 자체 컨텐츠 부실은 오히려 YG보다도 심각한데 BABYMONSTER도 자컨만큼은 꾸준히 나오는 편이나 MEOVV는 신인인에도 불구하고 자체 컨텐츠가 매우 부실하다.- 데뷔곡 활동이 끝난 후, 한달 정도 지나 메이킹 'INSIDE MEOVV'가 공개가 되었으며, 자체 컨텐츠인 'CATCH MEOVV'는 약 3개월 후에 공개가 되기도 했다. 심지어, 보통 데뷔 전이나 데뷔 초에 공개되는 자기소개 컨텐츠의 경우 무려 6개월 후에 업로드 되었다.
- 싱글 2집 'TOXIC'의 경우, 신인에게 올 영어 발라드곡으로 활동을 시키는 이상한 행보를 보였다. 더블 타이틀인 'BODY'는 음악 방송과 MAMA AWARDS의 퍼포먼스로 반응이 오려 했지만, 빈약한 프로모션과 활동 방식으로 인해 결과적으로는 실패한 활동이 되었다.
- 2025년 4월에 발매한 선공개 싱글 'HANDS UP' 이후 이러한 문제점들을 피드백하며 공격적으로 프로모션 및 마케팅을 했다. 이러한 행보에 대해 대부분의 반응은 긍정적이며, 앞으로도 지속적인지, 소속 타 아티스트에게도 동일하게 적용되는지는 지켜봐야 할 듯.
7.2. 과한 TEDDY 이름 끼워넣기
- 수장인 TEDDY의 이름을 과하게 끼워 팔아먹는 경향이 심하다. 물론 YG의 정체성이였고 국내 탑급 프로듀서인 TEDDY에 대한 기대가 크기에 활용할 수는 있지만 2023년부터 이러한 경향이 매우 심해졌다.
- 특히 I-LAND2 : N/a에서는 TEDDY 프로듀싱 걸그룹이라는 모토를 세우고서는 정작 TEDDY는 방송 내내 제대로 나오지도 않아 비판의 목소리가 크다. 물론 이후 izna의 데뷔 앨범에는 TEDDY가 전폭적으로 지원하면서 자사 걸그룹인 MEOVV보다 외주 걸그룹인 izna가 TEDDY에게 곡을 먼저 받는 다소 묘한 그림이 나오기도 했다.
- MEOVV 또한 TEDDY 걸그룹이라는 언론플레이를 잔뜩하고서는 정작 데뷔곡에서는 작사만 참여 하면서 팬들의 실망감이 상당했다. 이후, 'HANDS UP'과 'DROP TOP'에서는 메인으로 참여하긴 했다.
- 애초에 TEDDY가 압도적인 작업량으로 승부를 보는 작업가도 아니고 결국 최종승인 및 결재는 TEDDY가 진행하겠지만 최근 들어 자사 프로듀서들에게 대부분의 작업을 일임하면서 TEDDY의 이름을 과하게 끼워넣는 행태는 좋게 보일 수가 없다.
- 최근엔 MEOVV가 데뷔한지 1년도 되지 않아 혼성그룹 ALLDAY PROJECT 까지 데뷔시키면서 더 말이 나오고 있다.
- 이렇다보니 팬들 사이에서 TEDDY가 MEOVV, ALLDAY PROJECT, izna 등을 동시에 담당하는 것에 우려하는 의견도 꽤 있다. YG엔터테인먼트 시절 당시 사실상 BLACKPINK 한 팀만 전담했는데도 공백기가 길었는데, 같은 세대 그룹을 동시에 프로듀싱할 경우 공백기 문제는 물론 세 그룹간 노래 퀄리티에 대한 비교도 어쩔 수 없이 생길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미 커뮤니티나 유튜브 등에서는 MEOVV와 izna[22]의 데뷔곡, 뮤직비디오 퀄리티 등을 ALLDAY PROJECT와 비교하며 두 그룹은 사전 테스트 내지 실험용이었냐는 조롱도 나오고 있다.[23]
8. 논란 및 사건 사고
8.1. 화보 촬영 스태프 추락 사고
2024년 2월 28일, 경기도 오산시 세교동의 한 폐공장 2층에서 작업 중이던 스태프 4명이 샌드위치 판넬 바닥의 붕괴로 약 6m 아래로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했다.[24]이로 인해 30 · 40대 남성 스태프 2명이 머리에 큰 부상을 입어 아주대학교병원 권역외상센터로 이송 됐으며, 또 다른 20대 남녀 2명은 허리 통증 등 경상을 입었다고 한다.[25]
사건 당일은 자사 소속 남자 아이돌 연습생들의 화보 촬영이 이뤄졌음이 밝혀졌으며, 이에 대해 오산경찰서 측은 안전 수칙 준수 여부에 따라 관련자들에 업무상과실치상죄 여부를 검토해 입건할 계획이라 밝혔다.
이후 2월 29일, 더블랙레이블 측에서 입장문을 밝혔다. #
THEBLACKLABEL 측 입장문 |
|
9. 여담
- 2024년, 자사 소속 첫 걸그룹 MEOVV를 선보였다.
- 2024년 2월 4일, 여러 인터넷 커뮤니티에 THEBLACKLABEL 여자 연습생들로 추정되는 사진이 퍼졌다. 한국계-독일계 혼혈 미국인 모델 엘라 그로스, 한국계 미국인 유명 안무가 베일리 석, 신세계그룹 정유경의 장녀 문서윤[26]이 포함되어 있어서 주목 받았다. #1 #2
- 2월 5일, 복수의 관계자에 따르면 테디가 오래 전부터 걸그룹 론칭을 준비해 온 것은 사실이지만, 아직 데뷔조가 특정 되거나 타이틀곡이 정해지거나, 그룹의 방향성 혹은 데뷔 플랜이 나오지 않은 상황이라고 한다. #
- 2월 6일, THEBLACKLABEL은 2024년 상반기 걸그룹 데뷔를 목표로 준비 중이며, 구체적인 사항은 추후 공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
- 2월 23일, 데뷔조를 거의 확정하고 숙소 생활도 시작하는 등 본격적인 데뷔 준비에 돌입한 것으로 알려졌다.#
- 5월 10일, 앞서 언급한 연습생 사진에 포함되어 있었던 문서윤 양이 최근 데뷔조 합류가 불발된 것이 전해졌다. #
- 총괄 프로듀서 테디가 Mnet의 걸그룹 서바이벌인 I-LAND2 : N/a의 마스터 프로듀서로 합류되면서 방송 기간 동안 웨이크원과의 협업이 진행된다. 다만 THEBLACKLABEL은 자사의 신규 걸그룹을 이미 준비 중이기 때문에 "I-LAND2 : N/a 데뷔 그룹 izna = THEBLACKLABEL 신규 걸그룹"은 아니다.
- 8월 중, 그룹명을 MEOVV(미야오)로 확정하고 첫 멤버로 엘라를 공개했다. 이후 내용은 MEOVV 문서 참고. 멤버들을 모두 공개한 후 9월 6일에 정식 데뷔했다.
- KUSH가 2017년 논란으로 인해 THEBLACKLABEL을 탈퇴 한 적이 있었는데, 그 때 '서원진'이 KUSH와 함께 THEBLACKLABEL을 떠나 '하트 엔터테인먼트'를 설립한 바 있다. 그러나 KUSH는 2021년 전소미의 XOXO를 기점으로 THEBLACKLABEL에 공식 복귀하여 그 이후 BIGBANG의 봄여름가을겨울 (Still Life), BLACKPINK의 Yeah Yeah Yeah, 태양의 EP 2집 Down to Earth 전곡, G-DRAGON의 HOME SWEET HOME에 참여하는 등 예전같이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다.[28]
- 2022년부터 회사 홍보를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먼저 R.Tee를 SHOW ME THE MONEY 11에 프로듀서로 출연 시키면서 지속적으로 사옥 홍보를 진행했으며 박재범의 경우에도 MORE VISION 사옥에서 촬영을 진행했으되 회사 이름 자체가 언급되지는 않았으나 THEBLACKLABEL은 지속적으로 유일하게 회사 이름이 언급되었다. 또 Vince를 나몰라 패밀리에, 태양을 전지적 참견 시점에 출연시키면서 사옥과 회사 소속 아티스트들을 홍보했다. 심지어 2023년에는 테디가 엠넷의 오디션 프로그램 I-LAND2 : N/a에 직접 합류하면서 약 7년 만에 방송 활동을 재개했다.
- 2022년 12월 29일, 설립자이자 대표 프로듀서였던 테디가 대표이사 자리에서 물러나고, 후임 대표로 정경인 前 펄어비스 대표가 취임했다. 하지만 테디가 여전히 최대 주주임에는 변함이 없어, 회사 운영보단 프로듀싱에 집중하기 위해 물러난 것으로 추측된다.
- 2023년 1월부터 태양 등의 아티스트들을 영입하기 시작하면서 소속사 유튜브의 좋아요수를 비공개로 돌렸다. 2023년 이전에 나온 THEBLACKLABEL 아티스트들의 뮤직비디오는 좋아요수가 공개 되어있다.[29]
- 2025년 4월 1일 THEBLACKLABEL이 창사 후 처음으로 글로벌 오디션을 개최하였다. 이번 오디션은 서울을 시작으로 태국, 베트남, 필리핀,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미국,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일본 등 총 11개국 14개 도시를 방문해 인재를 발굴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
- 2025년 4월 14일 THEBLACKLABEL 아티스트의 공식 스토어가 오픈됐다.
- 2025년, 자사 소속 혼성그룹 ALLDAY PROJECT을 선보였다.
- 자체 소통 플랫폼 Churrrrr와 DAY OFF를 출시했다. 각각 MEOVV와 ALLDAY PROJECT 전용 어플이다.
- 태양은 비스테이지를 사용한다.
- 전소미는 Dear U bubble과 비스테이지를 사용한다.
- 리정은 Dear U bubble을 사용한다.
- THEBLACKLABEL의 프로듀서[31]들이 넷플릭스 오리지널 애니메이션 '케이팝 데몬 헌터스'의 사운드 트랙에 참여했다.
10. 둘러보기
{{{#!wiki style="text-align: center; margin: -5px -10px; padding: 5px 0px; word-break: keep-all;" {{{#!wiki style="margin: -20px 0 -25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 3px; min-width: 25%" {{{#!folding [ 아티스트 ] | <tablewidth=100%><tablebgcolor=transparent><nopad> 그룹 아티스트 | ||
[[AKMU| AKMU ]] | [[WINNER| WINNER ]] | [[BLACKPINK| BLACKPINK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TREASURE| TREASURE ]] | [[BABYMONSTER| BABYMONSTER ]] | }}} | ||
<nopad> 솔로 아티스트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nopad> 연습생 그룹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 3px; min-width: 25%" {{{#!folding [ 계열사 ] | <colbgcolor=#e0e0e0,#e0e0e0> 자회사 | YG PLUS (YG INVESTMENT ⁄ FOREST FACTORY)|STUDIO PLEX | |||
해외지사 | YG ASIA (YG BEIJING)|YG JAPAN|YG USA (HASHTAG) | ||||
관계기업 | THEBLACKLABEL|YN CULTURE & SPACE|YGMM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 3px; min-width: 25%" {{{#!folding [ 프로젝트 ] | <colbgcolor=#e0e0e0,#e0e0e0> 서바이벌 | 리얼다큐 빅뱅|WIN: Who is Next?|MIX & MATCH|믹스나인|YG 보석함|Last Evaluation | |
리얼리티 | BIGBANG TV|2NE1 TV|SE7EN TV|WINNER TV|자체제작 iKON TV|블핑하우스|24/365 with BLACKPINK|젝KEY를 찾아라|트레저맵|WINNER BROTHERS|모두의 남매 뭐든 해 | ||||
웹드라마 | YG전자|남고괴담 | ||||
영화 | MADE|SECHSKIES Eighteen|BLACKPINK THE MOVIE|THE CIRCLE : THE MOVIE | ||||
게임 | Beat Evo YG|SUPERSTAR YG|BLACKPINK The Game | ||||
다큐멘터리 | Tunes: SE7EN | Act III: Motte|BLACKPINK: LIGHT UP THE SKY|白夜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 3px; min-width: 25%" {{{#!folding [ 관련 문서 ] | <colbgcolor=#e0e0e0,#e0e0e0> 하위 문서 | 역사|경영|자회사|음반|역대 아티스트|논란 및 사건 사고 | |
관련인물 | 양현석 (창업주)|양민석 (대표이사)|황보경 (사내이사)|KRUNK (마스코트) | }}}}}}}}} |
[1] 前 서울특별시 마포구 희우정로1길 3 (합정동).[2] HIGHGRND (타블로 주도.) / PSYG (싸이 주도.)[3] 공격적인 아티스트 영입과 활동으로 명성을 날리던 HIGHGRND와 대비되는 점이다.[4] 새한창업투자 실질적 소유자인 이정우 대표가 현재 더블랙레이블 사외이사이다. '이정후'라고 되어 있는 기사도 있으나 '이정우'가 맞다고 한다. 현재 새한창업투자 대표는 키움증권 부사장 출신 박연채 대표가 맡고 있다.[5] YG엔터테인먼트가 신 사옥으로 이전한 이후, 구 사옥을 물려받아 내부 리모델링 이후 입주했다.[6] 이는 사명에도 언급되어 있는 바이다.[7] 현재 소속 아티스트들 굿즈를 판매하고 있다.[Y] 부서 재정비[Y] 부서 재정비[Y] [11] 現 첫사랑 멤버.[12] 現 H1-KEY 멤버.[13] 現 Geenius 멤버.[14] 現 KISS OF LIFE 멤버.[15] 前 izna 멤버. 다만 이 쪽은 프로듀서인 24가 I-LAND2 : N/a 참가를 제안하여 웨이크원으로 이적해 데뷔한 케이스.[16] 現 VVS 멤버.[17] 전소미의 경우, 뮤직뱅크 MC도 했었지만 THEBLACKLABEL 소속이 된 이후 더쇼, 쇼챔피언, 뮤직뱅크에 출연을 안하고 있었으나 25년 7월 23일 쇼챔피언에 전소미의 출연이 아이오아이 이후 9년만에 확정되었다.[18] 모기업이였던 YG의 BABYMONSTER도 엠 카운트다운과 인기가요만 나가는 건 동일했지만 적어도 BABYMONSTER는 엠카운트다운 휴방이 나자 음악중심에 출연하는 것으로 스케줄 공백을 메우기는 했다.[19] YG와 관련 없는 전소미의 솔로 데뷔였음에도 불매운동의 대상이 되었고, 데뷔 당시 미성년자였음에도 기사들의 제목부터 저주가 가득했다.[20] 장소가 전소미 체급에 비해 매우 협소한 점에 대해 불만이 나오고 있다.[21] 특히 직전 콘서트인 WHITE NIGHT WORLD TOUR와 비교하면 더 그렇다.[22] 다만, izna의 매니지먼트는 웨이크원이 한다.[23] 그래도 2025년들어 MEOVV의 HANDS UP이 음원차트 10위권을 기록하며 나름 준수한 성적을 보였다.[24] 당시 2층 바닥은 대부분 콘크리트로 마감돼 있었으나, 일부는 샌드위치 판넬만 남아 있는 상태였다.[25] 모두 생명에 지장은 없었다고 한다.[26] 예전부터 춤을 많이 췄으며 대학 입시 포트폴리오로 댄스 비디오를 내기도 했다. 댄서 겸 안무가 리정과 친하며 이 외에도 YG엔터테인먼트, YGX, THEBLACKLABEL 관계자들과 두루 두루 친하다. 인스타그램 팔로워가 7만 명이 넘는다. 미국 뉴욕 컬럼비아 대학교를 졸업했다. 그러던 중 사진이 퍼진 것. 이에 대해 2월 5일 더블랙 측은 별 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 신세계그룹 측은 “그룹의 경영에도 참여하고 있지 않은 개인의 일”이라며 “사실 확인 불가”라고 선을 그었다. # 같은 날 한 신세계 관계자가 “문씨는 어릴 적부터 걸그룹이 꿈이었다. 하지만 정유경 총괄사장은 문씨가 외조부처럼 컬럼비아대 학생이 되길 바랬고, 문씨는 그 바람을 이뤄준 뒤 자신의 길을 간 것”이라고 밝혔다. #[27] 사실 이전에 공식 사이트가 외주 제작 형태로 운영된 적이 있었으나, 2023년 폐쇄되었다. #[28] 서원진은THEBLACKLABEL에 합류하지 않은 것으로 추정된다. 대신 KUSH는 VVN과 함께 합류했다.[29] Vince의 '비상사태'와 '맨날', 전소미의 'BIRTHDAY', 'What You Waiting For', 'DUMB DUMB', 'XOXO', 'Anymore', 로렌의 'ALL MY FRIENDS ARE TURNING BLUE', 'NEED', 'EMPTY TRASH', R.Tee의 '뭘 기다리고있어' 등.[30] 사옥 안에 화장실을 들어가면 너무 밝아 깜짝 놀랄 정도로 어둡다고 한다.[31] TEDDY, 24, IDO, Dominsuk, KUSH, Vince, Danny Chung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