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11 20:26:50

고첨

십육국춘추(十六國春秋)
{{{#!wiki style="margin: -0px -10px; margin-top: 0.3px; margin-bottom: -6px"
{{{#f8c4c4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999,#666666
1권 「전조록일(前趙錄一)」 2권 「전조록이(前趙錄二)」 3권 「전조록삼(前趙錄三)」 4권 「전조록사(前趙錄四)」
유연 · 유화 유총 유총 유총 · 유찬
5권 「전조록오(前趙錄五)」 6권 「전조록육(前趙錄六)」 7권 「전조록칠(前趙錄七)」 8권 「전조록팔(前趙錄八)」
유요 유요 유요 유선 · 유성 · 유익 · 유윤
9권 「전조록구(前趙錄九)」 10권 「전조록십(前趙錄十)」 11권 「후조록일(後趙錄一)」 12권 「후조록이(後趙錄二)」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석륵 석륵
13권 「후조록삼(後趙錄三)」 14권 「후조록사(後趙錄四)」 15권 「후조록오(後趙錄五)」 16권 「후조록육(後趙錄六)」
석륵 석홍 석호 석호
17권 「후조록칠(後趙錄七)」 18권 「후조록팔(後趙錄八)」 19권 「후조록구(後趙錄九)」 20권 「후조록십(後趙錄十)」
석호 석세 · 석준 · 석감(鑒) 석민 {{{#!folding [ 펼치기 · 접기 ]
21권 「후조록십일(後趙錄十一)」 22권 「후조록십이(後趙錄十二)」 23권 「전연록일(前燕錄一)」 24권 「전연록이(前燕錄二)」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모용외 모용황
25권 「전연록삼(前燕錄三)」 26권 「전연록사(前燕錄四)」 27권 「전연록오(前燕錄五)」 28권 「전연록육(前燕錄六)」
모용황 모용준 모용준 모용위
29권 「전연록칠(前燕錄七)」 30권 「전연록팔(前燕錄八)」 31권 「전연록구(前燕錄九)」 32권 「전연록십(前燕錄十)」
모용위 토욕혼· 모용한· 모용인· 모용각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33권 「전진록일(前秦錄一)」 34권 「전진록이(前秦錄二)」 35권 「전진록삼(前秦錄三)」 36권 「전진록사(前秦錄四)」
부홍 부건 부생 부견
37권 「전진록오(前秦錄五)」 38권 「전진록육(前秦錄六)」 39권 「전진록칠(前秦錄七)」 40권 「전진록팔(前秦錄八)」
부견 부견 부비 부등
41권 「전진록구(前秦錄九)」 42권 「전진록십(前秦錄十)」 43권 「후연록일(後燕錄一)」 44권 「후연록이(後燕錄二)」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모용수 모용수
45권 「후연록삼(後燕錄三)」 46권 「후연록사(後燕錄四)」 47권 「후연록오(後燕錄五)」 48권 「후연록육(後燕錄六)」
모용수 모용보 모용성 모용희
49권 「후연록칠(後燕錄七)」 50권 「후연록팔(後燕錄八)」 51권 「후연록구(後燕錄九)」 52권 「후연록십(後燕錄十)」
모용운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53권 「후진록일(後秦錄一)」 54권 「후진록이(後秦錄二)」 55권 「후진록삼(後秦錄三)」 56권 「후진록사(後秦錄四)」
요익중 요양 요장 요흥
57권 「후진록오(後秦錄五)」 58권 「후진록육(後秦錄六)」 59권 「후진록칠(後秦錄七)」 60권 「후진록팔(後秦錄八)」
요흥 요흥 요홍 {{{#!folding [ 펼치기 · 접기 ]
61권 「후진록구(後秦錄九)」 62권 「후진록십(後秦錄十)」 63권 「남연록일(南燕錄一)」 64권 「남연록이(南燕錄二)」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모용덕 모용초
65권 「남연록삼(南燕錄三)」 66권 「하록일(夏錄一)」 67권 「하록이(夏錄二)」 68권 「하록삼(夏錄三)」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혁련발발 혁련창 혁련정
69권 「하록사(夏錄四)」 70권 「전량록일(前涼錄一)」 71권 「전량록이(前涼錄二)」 72권 「전량록삼(前涼錄三)」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장궤 장실 장준
73권 「전량록사(前涼錄四)」 74권 「전량록오(前涼錄五)」 75권 「전량록육(前涼錄六)」 76권 「촉록일(蜀錄一)」
장중화 · 장령요 · 장조 장현정 · 장천석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이특
77권 「촉록이(蜀錄二)」 78권 「촉록삼(蜀錄三)」 79권 「촉록사(蜀錄四)」 80권 「촉록오(蜀錄五)」
이류 · 이웅 이반 · 이기 · 이수 · 이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81권 「후량록일(後涼錄一)」 82권 「후량록이(後涼錄二)」 83권 「후량록삼(後涼錄三)」 84권 「후량록사(後涼錄四)」
여광 여소 · 여찬 여륭 {{{#!folding [ 펼치기 · 접기 ]
85권 「서진록일(西秦錄一)」 86권 「서진록이(西秦錄二)」 87권 「서진록삼(西秦錄三)」 88권 「남량록일(南涼錄一)」
걸복국인 · 걸복건귀 걸복치반 · 걸복모말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독발오고 · 독발리록고
89권 「남량록이(南涼錄二)」 90권 「남량록삼(南涼錄三)」 91권 「서량록일(西涼錄一)」 92권 「서량록이(西涼錄二)」
독발녹단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이고 이흠
93권 「서량록삼(西涼錄三)」 94권 「북량록일(北涼錄一)」 95권 「북량록이(北涼錄二)」 96권 「북량록삼(北涼錄三)」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저거몽손 저거무건 {{{#!folding [ 펼치기 · 접기 ]
97권 「북량록사(北涼錄四)」 98권 「북연록일(北燕錄一)」 99권 「북연록이(北燕錄二)」 100권 「북연록삼(北燕錄三)」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풍발 풍홍 {{{#!folding [ 펼치기 · 접기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a11><tablebgcolor=#a11>
※ 흠정 24사 관련 틀 둘러보기
||
}}}}}}}}}}}}}}} ||

1. 개요2. 생애

1. 개요

髙瞻
생몰연도 미상

전연의 인물. 자는 자전(子前). 기주(冀州) 발해군(勃海郡) 수현(蓚縣) 출신.

2. 생애

어릴 적부터 영준한 기개가 있었고, 재능이 준수하였으며, 신장은 8척 3촌에 달하는 장신이었다. 서진 시기에 임관하여 상서랑을 지냈다.

영가의 난이 일어나 중원이 큰 혼란에 빠지자, 고첨은 고향으로 돌아가 집안의 어르신들과 앞으로의 일을 의논하며 말했다.
"오늘날 황제의 법도가 부진하여 사방에서 병란이 구름처럼 들끓고 있습니다. 이 고을은 기름진 땅과 주변에 강과 바다에 굳게 의지하고 있으나, 적군이 해마다 들이닥친다면 결코 안전을 도모할 수 없을 것입니다. 왕팽조는 일찍이 유주(幽州)의 계(薊)를 점거하고, 연(燕)・대(代) 일대의 재물과 강한 병사를 보유하고 있으니 의지하기에 더할 나위 없는 인물이라 생각합니다. 어르신들의 생각은 어떻습니까?"
이에 이의를 제기하는 자 없이 모두 동의하였다. 고첨은 숙부 고은(髙隱)과 함께 수천 호를 이끌고 유주로 이주하였으나, 왕준의 무도한 통치에 크게 실망하여 다시 북쪽으로 이동해 요동의 평주(平州)자사 최비(崔毖)에게로 갔다.

대흥 2년(319년) 12월, 최비는 요동을 지배하고 있었으나, 백성들이 모용부모용외를 따르는 것에 불만을 품고 있었다. 이에 최비는 고구려, 단부, 우문부로 사신을 보내 모용부를 멸망시키면 그 영지를 나누어 주겠다는 약조를 맺으며 연합하였다. 이를 알게 된 고첨은 최비를 찾아가 굳게 간언했지만, 최비는 듣지 않았다.

모용외의 이간질과 모용한의 활약으로 최비의 계획을 실패하였고, 최비는 조카 최도(崔燾)를 보내 거짓으로 축하하는 척 했으나, 3국의 사신에서 화의를 청하면서 최비가 배후에 있었다는 것을 일러바쳤다. 모용외는 최도를 되돌려보내면서 항복을 독촉하였고, 최비는 두려워 고구려로 망명하였다. 이때 고구려에서 장수 여노자를 보내 우하성(于河城)을 점거하였는데, 모용외는 장수 장통(張統)을 파견해 여노자와 고첨, 최도, 한항, 석종(石琮)과 1,000여 호를 사로잡았다. 모용외는 선비를 예우할 줄 알던 군벌이었기에 고첨 등을 극성에서 빈객으로 예우하였다.

모용외는 고첨의 재능을 높이 평가해 그에게 장군직을 맡기려 했지만, 고첨은 매번 병을 핑계로 사양하며 받들지 않았다. 모용외는 여러 차례 고첨을 찾아가 그 가슴팍을 어루만지며
"자네의 병은 이곳에 있는 것이오. 지금 진 왕실이 상란을 겪어 천자가 난을 피해 도성을 떠났고, 천하는 갈라져 백성들이 어수선한 바를 내 어찌 모르겠는가? 나는 그대들과 더불어 왕실을 위기에서 구하고, 적들을 베어 2경(二京)에서 천자를 영접하고 싶을 따름이오. 팔방으로 더러운 것들을 청소하고, 사나운 것들을 가지런히 정리하고 싶은 것이 바로 나의 마음이오. 그대는 중원의 사람이지만 우리는 서로 같은 목적을 가지고 있는데, 어찌하여 한족과 이민족이라는 차이만으로 소원해져야 하는가! 애초에 대우(大禹)도 강족이었고, 문왕 또한 동이였으니, 공과 업을 세우기 위해서는 오직 뜻과 계략만을 물어야 할 뿐인데, 어찌 이전의 관습을 내려놓지 못하겠는가!"
모용외의 이와 같은 설득에도 고첨은 끝까지 병이 위독하다는 핑계로 병상에서 일어나지 않았다. 모용외는 이를 상당히 못마땅하게 여기자, 용양장군 주부 송해가 고첨을 제거할 것을 권했다. 비록 모용외는 송해의 권유를 거절하였으나, 이 소식을 들은 고첨은 마음이 불안해져 더욱 근심하다가 병사하였다.

고첨의 아들 고개와 고상(高商)은 아버지와 달리 전연에 모두 전연에 출사하여 관직을 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