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도시고속도로 | <colbgcolor=#ffffff,#1f2023> 서부간선도로 · 북부간선도로 · 경부간선도로 · 신월여의지하도로 · 서부간선지하도로 |
[[횡축|{{{#fff 횡축}}}]] | | |
[[종축|{{{#fff 종축}}}]] | | }}}}}}}}} |
고속국도 | 국도 | 국도(북한) | 국가지원지방도 | 지방도 | 특별시도 | 광역시도 | 시도 | 군도 |
강남순환로 江南循環路 | Gangnamsunhwan-ro (Gangnam Beltway) | ||
← 성산 방면 서부간선도로 | 94번 서울특별시도 | 수서 방면 → 양재대로 |
| ||
강남순환로 노선도 | ||
노선 번호 | ||
7번 서울도시고속도로 | ||
기점 | ||
경기도 광명시 소하동 소하JC | ||
종점 | ||
서울특별시 서초구 우면동 주암교[1] | ||
연장 | ||
13.82km | ||
개통 | ||
2016년 7월 3일 | ||
관리 | ||
강남순환도로㈜ | ||
왕복 차로 수 | ||
6차로 | 금천TG - 낙성대JC 사당 - 선암TG | |
8차로 | 소하 - 금천TG 낙성대JC - 사당 | |
주요 경유지 | ||
소하JC ↔ 금천TG ↔ 관악IC ↔ 사당IC ↔ 선암TG |
소하JC → 선암TG 구간 주행 영상 |
1. 개요
경기도 광명시 소하동 소하IC에서 출발해 서울특별시 서초구 우면동 주암교에서 끝나는 총연장 13.82km의 도시고속도로. 전 구간이 94번 서울특별시도[2]와 7번 서울도시고속도로로 지정돼 있다.순환선이 아님에도 도로명이 강남순환로인 이유는 강남순환로 이후로도 양재대로, 동부간선도로, 올림픽대로, 노들로, 서부간선도로를 순회하며 강남을 한바퀴 순환하는 형태이기에 그렇다.[3] 공사 당시 가칭으로는 '남부간선도로'도 있었다.
2. 구간
색이 ■인 화살표는 입체화 되어 있다. |
[include(틀:노선번호/고속도로, n=17)] 평택파주고속도로지선 직결 (평택, 수원, 남광명JC 방면) | ||||
<colbgcolor=#00ccff> 소하IC[4] 소하JC | ↘↖ ↙↗ | 광명, 성산대교 방면 | ||
[include(틀:노선번호/고속도로, n=15)] 서해안고속도로 당진, 안산, 목감 방면 | ↙↗ ↘↖ | ↘↖ ↙↗ | 서해안고속도로 금천 방면 진출입 불가 | |
호암대교 (안양천) | ||||
[include(틀:노선번호/국도, n=1)] 수원, 안양, 석수역 방면 | ↙↗ ↘↖ | 금천램프 | ↘↖ ↙↗ | [include(틀:노선번호/국도, n=1)] 대림동, 시흥IC 방면 |
금천TG | ||||
관악터널 | ||||
관악로 상도동, 서울대입구역 방면 | ↙↗ ↘↖ | 관악IC | ↘↖ ↙↗ | 신림로 대림동, 시흥IC 방면 |
봉천터널 진출입 | ||||
| ↘↖ ↙↗ | |||
봉천터널 진출입 | ||||
과천대로 안양, 과천, 남태령역 방면 | ↙↗ ↘↖ | 사당IC | ↘↖ ↙↗ | 과천대로 동작대교, 사당역 방면 |
서초터널 | ||||
선암TG | ||||
우면산고가교 (양재천) | ||||
[include(틀:노선번호/국도, n=47)] 양재대로 직결 (수서, 구룡터널, [include(틀:노선번호/고속도로, n=1)] 양재IC 방면) |
3. 상세
상습 정체였던 남부순환로의 정체를 분산시키고,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학의JC-우면산터널 루트로 멀리 돌아가야 했던 원인천-강남 간의 교통량을 분산시키기 위해서[5] 지어진 도로다. 주민피해를 줄이고 자연환경 훼손을 최소화하기 위해 사당IC를 제외한 모든 곳이 거의 터널로 시공되었다. 민간투자사업으로 건설되었으며, 강남순환도로 주식회사가 30년간 운영을 보장받았다. 따라서 적어도 2046년까지 강남순환로는 민자구간으로 운영된다.당초 2013년 개통 예정이었으나 개통시기가 2014년으로 미뤄졌다가 이후 서울특별시의 예산부족으로 인해 2016년 5월 20일 0시[6]로 다시 밀렸다. 그러나 터널 안전 시스템 시운전으로 개통일이 연기되어 2016년 7월 3일 오후 2시에 개통했다. 개통식은 오전 10시에 관악IC~봉천터널 사이에서 했다.
도로명주소상으로는 주암교가 종점이지만, 서울시의 실질적 도로관리는 양재대로 개선공사를 통해서 도시고속도로로 전환되는 선암TG-수서IC 구간의 중앙 왕복 4개 차로를 포함한다. 이 가운데 주암교~구룡터널사거리 구간은 매헌지하차도와 염곡동서지하차도, 구룡지하차도가 개통되면서 고속화가 완료됐으며, 향후 양재대로 전 구간 입체화가 완료되면 서부간선지하도로-강남순환로-양재대로로 이어지는 총연장 34.8km 구간의 도시고속도로가 구성된다.
원래는 오류IC에서 시작해 서울대입구까지 고가도로를 놓고 이후 터널로 사당IC까지 이어질 계획이었으나[7], 도로 노선계획이 바뀌어 남쪽으로 14km나 떨어진 광명시까지 우회하여 본선도로가 건설되었다. 서부간선도로가 광명시 소하동에서 끝나기 때문에 직접적으로 연계하기 위한 것으로 추정. 다만 원래 추진 계획에 연계한 신림-봉천터널이 완성되면 추후 남부순환도로 연계와 서울대입구 정체가 완화되고, 강남순환로 터널내 합류지점은 많이 막힐 것으로 보인다.
자동차전용도로인지라 당연히 이륜자동차는 긴급자동차(싸이카 및 소방용 모터사이클 등)을 제외한 차량의 통행은 전면 금지이며, 내부순환로와 북부간선도로, 올림픽대로와 마찬가지로 카고트럭 등의 총중량 10톤 이상 또는 초과 대형화물자동차와 트랙터 트레일러 트럭, 풀카고 트럭, 가스나 유류, 유독물, 농약 등 위험물질 운반차량(홈로리, 탱크로리 등), 폭발물 운반차량은 통행이 제한되어 있다. 또, 도로 시설의 유지/보수를 위해 투입되는 대형자동차나 건설기계(덤프트럭, 레미콘, 펌프카, 아스팔트살포기) 등의 특수자동차 등도 통행이 제한되어 있으나 허가를 받고 통행할 수 있다.
제한속도는 전 구간 80km/h. 개통 초기에는 70km/h였다가 2017년 2월부터 상향하여 현재에 이른다.
향후 선암TG부근에서 성남서초고속도로와 연결할 계획이 있다.
4. 통행료
2016년 4월 24일, 민자구간의 통행료가 책정됐다.[8]책정된 통행료는 아래와 같다. (2024년 07월 01일 기준)
구분 | 금천요금소 | 선암요금소 | 전 구간 |
경차(6종) | 950 | 950 | 1,900 |
소형차(1종) | 1,900 | 1,900 | 3,800 |
중형차(2,3종) | 3,200 | 3,200 | 6,400 |
대형차(4,5종) | 통행제한[9] |
참고로 TG를 지날 때마다 구간당 내는 통행료다. 즉, 소형(일반승용차, SUV 등)으로 광명에서 양재까지 가는 경우 금천영업소, 선암영업소 두 곳에서 요금을 내게 되어 총 3,800원을 내야한다.
서울특별시에 의하면, 강남순환로의 1km당 요금은 258원으로, 타 민자도로인 용마터널(1km당 420원), 우면산터널 (1km당 845원)에 비하면 강남순환로의 통행료는 저렴한 수준이라고 한다. (인상전 기준)
무료구간(관악IC~사당IC)도 있다. 이 구간만 통행할 경우에는 요금소를 지나지 않아 별도의 통행료를 내지 않아도 된다.[11] 2단계 예정구간은 서울시 재정구간이라서 통행료가 무료이다.
그대로 선암영업소부터 금천영업소까지 쭉 타고 온뒤 평택파주고속도로(수원-광명)까지 전부 탈 경우에는 일반승용차 기준으로 5,700원이다.
5. 교통량
2016년 개통시 이미 포화 상태이거나 출퇴근시 극심한 정체를 빚는 남부순환로, 관악로, 동작대로·과천대로, 양재대로의 교통 체증이 더욱 극심해질 것이라는 예측이 있었다.그로부터 수 년이 흐른 2025년 기준으로 서울 시내 모든 도시고속도로 중에서 일일 평균 운행속도가 70~80km/h 정도로 가장 빠르다. 서울시 교통정보
다만, 주 도로는 운행속도가 빠른데 비해, 모든 진출입구가 출퇴근시간과 주말에 항상 극심한 상습 정체를 보이고 있다. 정체의 주요 이유는 차량 수가 늘어난 것도 있지만, 대부분의 진출입 IC가 겨우 1개 차로인데다가 고속화도로에서 갑자기 신호등이 있는 일반도로, 그것도 평소에 교통량이 매우 많은 주간선도로에 접속되므로 원활히 빠지기가 힘든 구조 때문이다.
5.1. 소하IC
소하IC는 정확하게는 평택파주고속도로의 구간이지만, 서울 양천, 구로 및 경기 광명, 부천남부 등에서 모두 이 진입램프를 통해 금천TG를 지나 강남순환로에 진입하게 되므로 사실상 강남순환로 접속용도로도 많이 이용된다.소하IC 진입 1차로 램프는 평택파주고속도로와 연결되고 정체가 별로 없으나 출근시간 또는 주말에 살짝 막히는 정도이다. 소하IC 진입 2차로는 강남순환로와 연결되는데, 평소 정체는 없으나 180도 유턴하는 램프 구조에, 차로가 겨우 1개이고, 고도가 매우 높은 교각 형태이기 때문에 초보운전자가 맨 앞에 있으면 그 뒤로 줄줄히 시속 30km로 기어가는 모습이 자주 보인다.
소하IC 자체 문제보다는 안양천로 또는 서부간선도로를 이용하여 소하IC로 진입하기 이전까지의 도로 정체가 문제이다. 서부간선도로는 원래 평소에도 24시간 내내 정체로 유명하니 그렇다하고, 안양천로는 특히 금요일 오후와 주말에는 나들이 차량이 집중되어 금천교 근처부터 금하지하차도까지 약 1km 넘게 정체된다. 고생해서 금하지하차도 지나면 웃기게도 여기부터 소하IC 자체는 정체가 전혀 없다.
특히 소하IC 진입을 위해 안양천로를 이용할 때 심하게 막히는데, 금하지하차도 진입로가 1개 차로밖에 없어 특히 2차로 차량이 계속해서 끼어들기를 시도해 심각한 정체가 빚어지고, 게다가 금하지하차도 진입 바로 전에 있는 서울안천초등학교 옆 삼거리[12] 신호체계가 엉망이라 직진신호 한 번 받는데 4~5분 대기해야 하니 정체가 가중된다. 지하차도를 진입하지 않고 2차로나 3차로를 이용해 지하차도 옆길로 계속 직진해서 시흥대교사거리를 지나도 다시 소하IC 앞으로 진입할 수 있고, 이 방법이 금하지하차도를 이용하는 것보다 빠른 경우가 많다. 교통량 분산을 위해 2022년 안양천로 중간 육교에 '수원·수서방면 2,3차로 이용 가능' 현수막이 붙어 있었으나 현재는 제거되었다.
소하IC 진출램프는 평택파주고속도로에서 빠져나온 차량과 강남순환로에서 빠져나온 차량들이 합쳐지는데 금하지하차도 입구부터 항상 정체된다. 근본적 문제점은 금하지하차도가 차량 유입량을 무시한 멍청한 설계 탓에 각 방면 지하차도 차로가 겨우 1개라는 점이다. 지하차도는 편도 2개 차로이지만 1차로는 서부간선도로 연결 전용이고, 2차로는 안양천로 연결 전용이다. 금하지하차도 시작전에 총 4차로였던 도로가 각 방면 한 개 차선으로 집중되니 막힐 수 밖에 없는 구조이다.
1차로는
금하지하차도의 양방향 진출입 정체를 더욱 가중시키는 독산한신아파트와 서울안천초등학교 사이의 삼거리는 위치상은 광명으로 보이지만 행정구역상은 금천구라서[14] 광명시에 교통개선 민원을 넣어봐야 관할구역이 아니라고 하고, 금천구에 민원을 넣어봐야 실질적인 자기들 관할이 아니므로 별 관심이 없다.
5.2. 금천TG 및 소하JC
강남순환로에서 광명방향으로 금천TG를 지나 소하JC 3, 4차로는 항상 상습 정체구간이다. 금천TG 나오자마자 총 4차로 도로에서 1, 2차로는 수원방향 평택파주고속도로와 직결되고 정체가 거의 없지만, 3차로 바닥 초록색 표시선은 성산대교 방향 소하IC 출구이고, 4차로 바닥 분홍색 표시선은 당진방향 서해안고속도로와 연결되는데 이 4차로가 항상 정체이고 3차로까지 같이 정체된다. 심지어 2차로를 이용해 맨 앞으로 가서 4차로까지 끼어드는 차량 때문에 2차로까지 정체될 때도 있다. 소하JC 분기 직후 서해안고속도로 방면 차로가 2개로 늘어나는데, 서오산JC와 같은 방식으로 본선 3차로에서도 서해안고속도로 진입이 가능하도록 노면 색깔 유도선을 개정할 필요가 있어보인다.3차로 성산대교 방향(서부간선도로 및 안양천로 연결) 소하IC 출구 역시 연결되는 서부간선도로의 금하지하차도 때문에 항상 정체된다. 금하지하차도 공사중에는 엄청나게 심각한 정체를 보였고 지하차도가 완공되면 해소되리라 기대했으나사진, 2019년 12월 28일 정오에 금하지하차도 개통후에도 막히는 것은 여전하다. ‘강남순환로 교통난 해소’ 염곡·금하지하차도 개통
소하JC에서 광명 각 지역별 이용 및 우회방법이다.
- 광명시 학온동, 광명동, 광명사거리역 방향으로 가려면 소하JC에서 당진방향 출구로 가서 서해안고속도로-일직JC-제2경인고속도로를 경유하여 광명IC로 진출하는 것이 낫다. 하지만 당진방향 출구로 가는 길에 차량 흐름이 엉키고, 광명IC 나가기 전에 때론 막힌다.
- KTX 광명역, 일직동 방향도 당진방향 출구로 나와서 서해안고속도로 타고 광명역IC를 이용하자.
- 철산동과 하안동을 가려면 성산대교 방향 소하IC로 빠져나가서 금하지하차도를 이용해 안양천로를 이용하거나, 금하지하차도로 옆길 시흥대교 사거리 1차선에서 좌회전하거나 또는 U턴한 뒤 신촌휴먼시아 1단지와 2단지 사이길로 빠져서 하안로로 우회하는 방법이 있다.
당진방향으로 가서 잠시 서해안고속도로를 타고 다시 제2경인고속도로광명IC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 방법은 안양천로 연결보다 10km 이상 멀리 돌아가는 거리이지만, 시간상으로는 별 차이가 없다. 다만 제2경인고속도로 광명터널에서 정체되고, 광명IC를 나와 밤일마을부터 우체국사거리까지 다시 막힌다. 본인 판단 필요. - 소하동은 금하지하차도로 옆길 1차선에서 U턴한 뒤 2단지와 테크노파크 사이길로 빠져서 하안로로 우회한다.
- 상기 우회로는 민원으로 인하여 2016년 8월부터 임시 폐쇄된 적이 있었다.
신촌1단지와 신촌2단지 사이의 2차로 도로 및 2단지와 테크노파크 사이 4차로 도로로 총 두 개의 진출입로가 있었는데, 신촌1, 2단지의 강력한 민원으로 폐쇄했었다. 당시 금하지하차도 공사진행중이라 정체가 빚어지므로 소하IC를 이용하려는 차량들이 우회로로 2단지 길로 이용하게 되니 교통 혼잡과 안전 문제를 이유로 2개 진입로 모두 폐쇄할 것을 강력히 요구했다.
사실 우수관 확장공사 후 차선 및 신호 문제로 신촌2단지 남쪽 정문이 막히는 문제를 신촌2단지 주민들은 '강남순환도로 우회로가 문제'라고 생각해 KBS '시청자 칼럼 - 우리 사는 세상'에 제보하며 남쪽 정문에는 있지도 않은 학교에 '통학로'를 운운하며 방송해, 그 압박으로 이들의 요구를 광명시청에서 그대로 들어줘 며칠후에 막았다. 소하6·7단지에서 불만을 제기했으나 왜 우리가 대형평형 6, 7단지에 도로이용 혜택만 주고 피해를 봐야하나 라며 무시됐다. 그 후 길이 막힌 신촌2단지 남쪽 정문 통학로에 학생은 보이지 않고, 왕복 4차로 도로에 고추를 말리는 풍경이 펼쳐진다. 바로 옆에 병목현상으로 도로가 막히든 말든. 소하IC 주변 주민 및 이용자들은, 도로를 임시개통한 곳이 램프구간만 개통하면 얼마나 피해를 겪는지 알게 됐다.
결국 폐쇄 3년여가 지난 2019년 12월 금하지하차도가 완공된 후 다시 개방하여 현재는 두 곳 모두 진출입 가능하다.
5.3. 관악IC
이 도로의 개통으로 교통에 직격탄을 맞은 곳으로 서울대학교 관악캠퍼스가 있는데, 관악IC가 캠퍼스 정문에 떡하니 박혀 버렸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서울대입구역과 행정관 건물 사이의 소요 시간은 약 43분으로 예측되었다. 도로 개통 초기는 계절학기 기간이라 유동인구가 많지는 않았지만, 2학기 개강과 함께 관악로에는 헬게이트가 펼쳐졌다. 다만 반대로 강남 지역에서 통학하는 학생들은 지각할 경우 택시를 타면 바로 학교 앞까지 고속화도로를 탈 수 있으니 빨라졌지만...관악IC는 램프 구조가 희한해서 바로 진입이 어렵고 U턴의 천국인데, 이 점이 더욱 정체를 가중시킨다. 신림역에서 양재 방향으로 진입하려면 관악경찰서 앞에서 유턴해야 하고, 서울대입구역이나 캠퍼스에서 나와 소하 방향으로 진입하려면 서울산업정보학교 앞에서 유턴하는 식이다.
양재에서 금천TG 방향으로 가다가 봉천터널 끝나자마자 빠지는 관악IC 출구는, 최근에는 퇴근시간에 예전의 사당IC 헬게이트를 보는 듯한 최악의 극심한 정체를 보이고 있다. 사당IC를 지나 봉천터널 들어서자마자 정체가 시작되서 관악IC 나갈 때까지 약 3km 까지 정체된다. 제자리에 거의 서있거나 걸어가는 수준으로 막히기 때문에, 정상적으로 3차로 주행할 경우 빠져나가는데만 40분~1시간 소요된다고 한다.
이것은 금천TG 방향 봉천터널이 4차로에서 3차로로 줄어드는데다가, 관악IC로 나가려는 차량들이 2, 3, 4차로에서 3차로 하나로 합쳐지는 문제 때문이다. 게다가 수십대씩 맨앞에서 끼어드는 비양심적 차량들 때문에 더욱 더 막힌다.
관악IC 출구로 겨우 나간 이후에도, 관악구청이 추진하는 도림천 구간을 생태하천으로 복원하는 "도림천 복개 철거 및 친수공간 조성사업" 공사 때문에 더 정체된다는 의견도 있다. 관악IC 정체
5.4. 사당IC
개통 직후 수년 간 과천대로 남태령 정상에서부터 사당IC 진출램프가 끝나는 홈플러스 앞까지는 그야말로 헬게이트가 열렸다. 애초에 사당역 사거리는 강남순환로 개통 이전에도 상당한 정체 구간이었다. 경기 남부권에서 올라오는 차량들이 병목현상을 일으켜 사당에서 남태령까지 길게 뻗은 교통체증은 그냥 예삿일이었다. 그런데 이 혼잡한 곳에 출구를 접속시켰으니, 사당IC에서 진출하는 차량들과 가로변 버스전용차로가 엉켜 여기까지 잘 달려오던 버스가 정체되어 십여분 이상을 가다서다를 반복했다. 버스전용차로가 이정도인데 그 옆의 일반차량들은 안봐도 뻔한 수준이었다.사당역에서 남태령까지 구간의 가로변 버스정류장을 중앙버스전용차로로 옮기는 것을 논의했으나 과천시가 반대하여 진전이 없다가[15], 결국 서울시가 밀어부쳐 2018년 9월 중앙버스전용차로가 남태령 부근까지 연장되어 버스는 상황이 좀 나아졌다. 그러나 일반차로는 오히려 더 정체가 되고 지금도 답이 없다.
한편, 과천에서 남태령고개까지는 4차로 가장자리 버스차선으로 오다가 갑자기 중앙버스차로로 바뀌므로, 남태령고개 정상에서 버스가 대각선으로 가로지르는 현상이 생겨 오히려 새로운 정체 지점이 생겨났다. 버스전용차로 혼선 남태령고개 교통지옥
당연히 강남순환로 본선도 마찬가지라 출근시간엔 금천에서 양재방향 3차로 사당IC 출구로 나가려는 차량이 고속도로 본선 2차로까지 잡아먹을 정도로 차량이 엄청나게 밀린다. 양재방향은 겨우 1차선으로만 갈 수 있어 2차로 직진하려는 차량들이 끼어들기 차량을 피해서 1차로 변경하느라 사당IC 근처는 강남순환로 본선 1~3차로 모두 아수라장이다. 양재 방향 사당IC 출구는 과천 방향 진출램프가 먼저 있고, 사당역 방향 램프가 연이어 있기 때문에 서로 방해하는건 덤이었고, 사당IC 진출로를 본선 3차로에서 진출이 가능하도록 확장하게 하면서 조금 나아졌지만, 아직은 많이 부족한 상태이다.
강남순환로 개통에 따른 사당역 헬게이트 오픈에 대해 담당 공무원 역시 개통 직후부터 인지를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나, 해결은 요원한 상황이다. 중앙버스전용차로가 생기기 전인 2018년 이전에는 말할 것도 없고,[16] 2018년 말 중앙버스전용차로 개통 이후에도 정체의 근본적인 원인은 변하지 않았기 때문. 강남순환로로 인해 서울 서남부 + 동남부로부터 유입된 차량의 수가 엄청나게 증가했는데 이를 받아줘야할 도로(동작대로, 남부순환로)는 그대로인데다 애초부터 경기권에서 들어오고 나가는 차량들로 인해 통행량이 많았고, 진출램프 바로 앞에 긴 신호의 사거리가 떡하니 박혀있으니 아비규환일 수밖에. 이를 해결하려면 사당역 사거리를 거치지 않고 주요 대로에 차량이 진출할 수 있는 램프를 신설하거나 아예 올림픽대로 등 주요 간선을 곧바로 이어주는 새로운 고속도로 등이 필요한데, 사당역 사거리에는 지하철 노선이 2개나 지나가고 고가차도까지 있다. 이런 곳에 대규모 토목공사를 벌일 수 있을지 생각해보면 불가능이다.
5.5. 선암TG
금천에서 수서방향 정체출퇴근시간, 주말 등에는 양재방향 선암TG로 진출하려면 선암TG 몇백미터 전 터널 안에서부터 극심한 정체가 시작된다. 짧게는 20분, 길게는 40분까지 정체를 빚는데, 주로 양재대로로 빠져나가려는 차량들의 정체 때문이다. 양재 코앞까지 도착했지만, 거기서부터 30분을 늦는 헬게이트를 겪을 수 있다.
2018년 즈음에는 선암TG부터 첫 교차로 신호등까지 최소 1시간 소요되었다. 선암TG-양재대로 접속 램프가 2020년 11월 12일부터 개통되어 정체가 조금 개선되었지만 양재대로로 빠져나가는 램프가 겨우 1개 차로 뿐이고, 신호등이 있는 양재대로로 이어졌기 때문에 선암TG를 나오자마자 양재대로로 빠져나가기 위해 2, 3, 4차로가 하나의 차선으로 합쳐되면서 정체된다.
양재대로로 나가는 차들 말고, 계속 직진하여 개포, 대치 쪽으로 가는 차들 역시 정체되는 것은 비슷하다. 매헌지하차도가 개통되어 구룡터널 사거리까지 신호없이 진행할 수 있게 되었지만, 양재대로를 나가려는 차들로 정체된 2, 3차로를 피해서 간신히 직진하면, 매헌지하차도 입구에서 강남순환로에서 나온 차량과 과천/안양 쪽에서 온 차량이 합쳐지며 3차로가 2차로로 줄어 다시 정체되며, 이후 이어지는 염곡동서지하차도는 심지어 경찰이 구간단속 50km/h 카메라를 설치하는 만행[17]을 저질러 차량들의 유령정체 여파가 매헌지하차도까지 이어진다. 그 후 이어지는 강남순환로 공사 8공구의 구룡터널 근처의 대모지하차도 도로공사는 2018년에 착공했으나 예산부족으로 계속 연기되어 8년이 지난 2026년6월 완공예정이며, 또 이어지는 일원지하차도 종단 개선공사 및 대청지하차도 신설 공사는 2016년도에 계획했으나 아직 착공도 하지 않은 상태로서 총체적 난국이다.
선암TG 를 지날 때 하이패스 1, 2차로 말고, 3차선으로 빠져서 현금, 전자카드 차로로 들어가면 아주 약간이나마 빠르다.[18]
수서에서 금천방향 정체
퇴근시간과 주말에는 금천방향으로 개포동 구룡터널 근처부터 선암TG 근처까지 긴 구간이 정체된다. 이 정체의 이유는 선암TG 문제가 아니고, 그 이전에 매헌지하차도에서 과천/안양 방향으로 나가는 램프가 1개밖에 없어서 이를 이용하는 차량 정체 때문에 발생한다. 선암TG를 통과해서 사당IC까지는 출퇴근시간에도 정체가 거의 없다.
6. 버스노선
- 7780, 7770, 7790 등등 사당 - 수원 광역버스로 사당에 가는 노선들은 20분정도 더 소요 된다. 평일 아침 7780의 경우 정자중심상가에서 사당역까지 빠를땐 30분 보통 40분 정도 걸렸으나 강남순환로 개통이후 1시간이상 걸린다.[19]
- 이 고속화도로가 개통되면 현재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봉담과천로 루트를 이용하는 인천-강남 광역버스들이 학의JC까지 너무 멀리 돌아가는 노선의 직선화를 위해 이 도로를 이용할 것으로 예상됐으나, 이들 노선 대부분이 통과하는 우면산터널로 연결되는 진출입 램프가 선암요금소 부근에 설계되어 있지 않은 관계로 개통 이후에도 이들 노선 변경은 거의 이루어 지지 않는 편이다.
- 해당 구간을 이용하는 노선들 중, 사당역 쪽으로 우회하는 시흥교통 3200번(현재는 시흥 방향만 경유)과 선진여객 9301번(단, 사당역으로 노선 단축/현재는 폐선)이 강남순환로를 이용하게끔 변경되었다.
- 개통전부터 목감지구, 광명역, 소하동-양재역, 강남역 노선이 신설될 예정이라고 소문이 있었고, 이 도로를 경유하는 3300번, 3400번이 개통되었다. 초기에는 강남역을 경유하기 위해 두 노선 모두 사당IC로 진출입했으나, 사당IC의 정체문제로 2018년 10월 25일에 노선이 변경되어 3200번과 마찬가지로 시흥 방향 운행시에만 사당IC에 진입한다. 즉, 3200번, 3300번, 3400번 모두 시흥 방향만 강남순환로를 타고, 강남 방향은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와 봉담과천로로 우회하게 변경되었다.
- 서울고속버스터미널이나 서울남부터미널, 동서울종합터미널에서 출발하여 서해안 지역으로 가는 버스들이 이 도로를 이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출퇴근 시간대나 주말에 6600번과 같은 일부 공항리무진 노선 정도만 운행할 가능성이 높았으며, 서해안고속도로를 타는 고속버스와 시외버스들은 기존대로 경부고속도로와 평택제천고속도로를 이용한다. 서해안고속도로와 강남순환로에 버스전용차로가 없는데다 강남순환로는 시외면허로 노선 운영시 국도 임률이 적용될 수 있어 경기도나 충청남도, 혹은 충남고속 등지에서 강남순환로 구간에 대해 고속도로 운임을 적용하도록 결단을 내리지 않는 한[20] 운임 인상 요인이 되기 때문에[21] 강남순환로를 이용하지 않는 것이다. 특히 고속버스 서울호남-당진 같은 경우 강남순환로를 이용할 경우 운행거리가 100km 미만이 되어 고속버스 면허 조건을 상실, 전환시외가 될 수도 있다.
- 광명역에서 사당역을 잇는 8507번 직행좌석버스가 2017년 1월 11일 개통되었다. 광명시 버스 회사인 화영운수가 운영한다. 마찬가지로 사당IC 정체 문제로 결국 광명 버스 8507은 사당IC 진출에서 관악IC 진출로 변경되었다.
- 서울시는 교통 혼잡으로 이곳의 버스운행을 반기지 않는듯한 분위기였다. 처음 문의시 버스운행 자체가 불가능하다는 답변이 있었으나, 8507번이 최초로 이 도로를 이용하는 버스가 되었다. 그리고 2017년 3월 6일 M5333번이 개통하면서 이 도로를 이용하는 노선이 하나 더 늘어났다.
7. 기타
- 민자도로이기 때문에 통행료가 비싼 편이다. 양재에서 금천까지 이 도로를 이용해 이동하는 경우 일반 자가용 기준 1,900원 씩 두 번을 지불해 총 3,800원의 비싼 요금을 지불하게 된다. 하루 한 번 왕복할 경우 7,600원을 지불해야 한다.
- 강남순환로 대부분을 차지하는 3개의 터널에서 FM 라디오 신호가 잡히지 않는다. 중계기가 설치되지 않은 것으로 보이는데, 이는 터널을 소유, 점유, 관리자에게 라디오 및 DMB 중계기 설치를 강제하는 법령인 방송통신발전 기본법 제40조 3항을 위반한 것으로 볼 수 있다. *
- 초행자의 경우, 각 IC로 나갈 예정이라면 미리 끝차선으로 이동해 두는 것이 좋다. 다른 고속도로/고속화도로와는 다르게 나들목으로 나가는 안내문구가 상당히 늦게 있다. 또한, 대부분의 구간이 터널인데 GPS 신호가 잡히지 않아 모든 내비게이션이 현재 위치를 엉뚱하게 추정하므로 길안내를 그대로 믿으면 안된다.
- 선암TG와 금천TG가 다른 고속도로에 비해 유독 하이패스 인식률이 낮은 편으로 미인식될 때가 많다. 이 때 한국도로공사에 하이패스 미납자동처리 신청을 했더라도, 강남순환로는 민자도로라서 자동 결제가 되지 않는다. 강남순환도로(주) 홈페이지에서 미납통행료를 확인하거나 전화를 걸어서 납부해야 한다.
- 종점이 양재IC 근처이지만 경부고속도로와 직접 연결되진 않는다. 향후 양재대로 고속화가 완료되더라도 도시고속도로 구간은 지하차도로 양재IC를 지나가기 때문에 직접 만나지 않는다. 진출입 모두 어떤 경로를 경유하든 양재대로를 경유해야 한다.
- 개통 전에 개방되어 있어 자전거로 갔다 온 사람도 몇몇 있었다. http://blog.naver.com/qwerty19/220750961241
- 한 폭주족이 개통 첫날에 이 도로를 200km/h까지 밟으며 칼치기까지 시전하며 주행한 영상을 자동차 커뮤니티에 올렸다가 한 시민이 그걸 보고 경찰에 신고하여 도로교통법 위반으로 적발되어 면허정지 60일, 범칙금 12만원의 처벌을 받았다고 한다. 흠좀무...## 참고로 벌점 60점이면 면허정지 60일[22]인데 1년간 벌점이 121점이 되면 면허 취소이다.
- 개통 초기에는 장대터널, 좋은 선형에 과속단속 카메라도 없고 비싼 요금때문에 차량도 거의 없어서 서울판 아우토반으로 불릴만큼 과속이 일상이었다. 개통 제한속도가 70km/h 였는데 당시 평균 통행 속도가 100km/h 내외였다. 게다가 처음 알려진 명칭이 "강남순환고속도로" 였기에 고속도로인줄 알고 제한속도 100km/h 으로 달리다가 사당IC 지나 서초터널 입구 쯤에서 경찰차 이동식 단속카메라에 수백대가 속도위반으로 걸리는 사례도 많았다. 웬만한 차들이 120km/h는 기본으로 찍고 90 정도로 달리는 차량한테는 아예 상향등을 날리는 수준. 이후 고정식 단속카메라 추가, 제한속도 상향, 그리고 교통량 증가[23]로 현재는 비교적 잦아들었지만 그래도 전국에서 속도위반이 가장 많은 곳으로 꼽힌다. 전국에서 속도위반 가장 많은 곳은 ‘강남순환로 관악IC’... 5년간 20만 7천건 단속
- 관악터널과 봉천터널은 서울에서 가장 긴 터널로, 대부분의 구간이 터널로 되어 있어 내비게이션의 GPS가 정확한 위치를 나타내지 못하고 있을 경우가 많다. 이 때문에 택시 기사들도 오버런하는 경우가 잦다.
8.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f08300><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f08300> | }}} | |
{{{#!wiki style="color: #000,#f08300;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 <colbgcolor=#f08300> ㄱ | <colbgcolor=#ffffff,#191919> 가림로 · 가림일로 · 가마산로 · 가학로 · 강남순환로 · 광남로 · 광덕산로 · 광명로 · 광명역로 · 광오로 · 광복로 · 광삼로 · 광이로 · 광일로 · 광화로 · 구름산로 · 금당로 · 금오로 · 금하로 · 기아로 | |
ㄴ | 남부순환로 · 너부대로 · 노리실로 | ||
ㄷ | 덕단이로 · 덕안로 · 도고내로 · 도덕로 · 도덕공원로 · 동창로 · 두길로 · 디지털로 | ||
ㅁ | 명일로 · 모세로 · 목감로 | ||
ㅂ | 박달로 · 밤일로 · 밤일안로 · 벌말로 · 범안로 · 부광로 | ||
ㅅ | 사들로 · 사성로 · 새빛공원로 · 새터로 · 새터안로 · 서독로 · 서면로 · 서부간선도로 · 서부간선지하도로 · 서원로 · 설월로 · 성채로 · 성채안로 · 소하로 · 소하일로 · 시청로 · 신기로 · 신촌로 · 신촌북로 | ||
ㅇ | 안양천로 · 안재로 · 안현로 · 양달로 · 양지로 · 연동로 · 연서로 · 연서일로 · 영당로 · 영당안로 · 영우로 · 오리로 · 원광명로 · 원광명안로 · 원노온사로 · 일직로 | ||
ㅈ | 자경로 · 장절로 | ||
ㅊ | 철망산로 · 철산로 · 충현로 | ||
ㅎ | 하안로 · 한내로 · 한내일로 | ||
경기도의 도로 틀 둘러보기 | }}}}}}}}}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005eae><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005eae> | }}} | |
{{{#!wiki style="color: #000;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 <colbgcolor=#005eae> ㄱ | <colbgcolor=#ffffff,#191919> 강남순환로 | |
ㄴ | 냉천로 · 능곡로 | ||
ㄷ | 덕천로 | ||
ㅁ | 만안로 · 명학로 · 문예로 | ||
ㅂ | 박달로 · 박달우회로 · 병목안로 | ||
ㅅ | 삼덕로 · 삼막로 · 삼봉로 · 석수로 · 석천로 · 성결대학로 · 소곡로 · 수리산로 | ||
ㅇ | 안양로 · 안양천서로 · 양화로 · 엘에스로 · 연현로 · 예술공원로 · 오리로 · 와룡로 · 일직로 · 임곡로 | ||
ㅈ | 자경로 · 장내로 · 전파로 | ||
ㅊ | 창박로 · 충훈로 | ||
ㅌ | 태평로 | ||
ㅎ | 현충로 · 호암로 · 화창로 | ||
경기도의 도로 틀 둘러보기 | }}}}}}}}}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fcb514><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fcb514> | }}} | |
{{{#!wiki style="color: #373a3c,#ddd;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 <colbgcolor=#fcb514> ㄱ | <colbgcolor=#ffffff,#191919> 가마산로 · 가산로 · 가산디지털1로 · 가산디지털2로 · 강남순환로 · 금하로 · 기아로 | |
ㄴ | 남부순환로 | ||
ㄷ | 독산로 · 두산로 · 디지털로 | ||
ㅁ | 문성로 | ||
ㅂ | 범안로 · 벚꽃로 | ||
ㅇ | 안양천로 · 은행나무로 | ||
ㅌ | 탑골로 | ||
ㅎ | 한내로 · 호암로 | ||
서울특별시의 도로 틀 둘러보기 | }}}}}}}}}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06c><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06c> | }}} | |
{{{#!wiki style="color: #06c,#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 <colbgcolor=#06c> 고속화도로 | <colbgcolor=#ffffff,#191919> 강남순환로 | |
대로 | 과천대로 · 시흥대로 | ||
로 | 관악로 · 관천로 · 낙성대로 · 난곡로 · 남부순환로 · 문성로 · 보라매로 · 봉천로 · 상도로 · 성현로 · 솔밭로 · 신림로 · 신사로 · 신원로 · 쑥고개로 · 양녕로 · 은천로 · 조원로 · 조원중앙로 · 호암로 | ||
길 | 광신길 · 구암길 · 국회단지길 · 낙성대역길 · 난향길 · 남현길 · 당곡길 · 대학길 · 미성길 · 밤골길 · 방천길 · 복은길 · 서림길 · 서원길 · 성림길 · 승방길 · 신림동길 · 신우길 · 약수암길 · 양산길 · 원신길 · 인헌길 · 장군봉길 · 참숯길 · 청룡길 · 청룡중앙길 · 행운길 | ||
서울특별시의 도로 틀 둘러보기 | }}}}}}}}}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ed6d00><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ed6d00> | }}} | |
{{{#!wiki style="color: #000,#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 <colbgcolor=#ed6d00> ㄴ | <colbgcolor=#ffffff,#191919> 남부순환로 · 노들로 · 노량진로 | |
ㄷ | 대림로 · 등용로 | ||
ㅁ | 만양로 · 매봉로 | ||
ㅂ | 보라매로 | ||
ㅅ | 사당로 · 상도로 · 서달로 · 성대로 · 솔밭로 | ||
ㅇ | 양녕로 · 여의대방로 | ||
ㅈ | 장승배기로 | ||
ㅎ | 현충로 · 흑석로 · 흑석한강로 | ||
서울특별시의 도로 틀 둘러보기 | }}}}}}}}}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00a88e><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00a88e> | }}} | |
{{{#!wiki style="color: #000,#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 <colbgcolor=#00a88e> ㄱ | <colbgcolor=#ffffff,#1c1d1f> 강남순환로 · 고무래로 | |
ㄴ | 나루터로 · 남부순환로 · 논현로 | ||
ㄷ | 도구로 · 동광로 · 동산로 | ||
ㅁ | 마방로 · 매헌로 · 명달로 | ||
ㅂ | 바우뫼로 · 방배로 · 방배중앙로 · 방배천로 · 법원로 · 분당내곡로 | ||
ㅅ | 사임당로 · 서래로 · 서운로 · 서초중앙로 · 신반포로 | ||
ㅇ | 양재천로 · 우면산로 | ||
ㅈ | 잠원로 · 중앙로 | ||
ㅊ | 청계산로 | ||
ㅌ | 태봉로 | ||
ㅎ | 헌릉로 · 효령로 | ||
서울특별시의 도로 틀 둘러보기 | }}}}}}}}}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00b398><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00b398> | }}} | |
{{{#!wiki style="color: #000;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 <colbgcolor=#00b398> ㄱ | <colbgcolor=#ffffff,#191919> 가일1로 · 가일로 · 갈현로 · 강남순환로 · 관문로 · 광명로 · 광창1로 · 광창2로 · 광창3로 · 광창4로 · 광창로 · 교육원로 · 구리안로 · 궁말로 | |
ㄷ | 대공원광장로 · 뒷골1로 · 뒷골2로 · 뒷골로 | ||
ㅁ | 막계로 · 말두레로 · 매봉로 · 문원로 · 물사랑로 | ||
ㅂ | 벌말로 · 별양로 · 별양상가1로 · 별양상가2로 · 별양상가3로 · 별양상가로 · 봉담과천로 · 부림로 | ||
ㅅ | 삼부골1로 · 삼부골2로 · 삼부골3로 · 삼부골로 · 삼현로 · 상하벌1로 · 상하벌로 · 새빛로 | ||
ㅇ | 아랫배랭이로 · 양지마을1로 · 양지마을2로 · 양지마을3로 · 양지마을4로 · 양지마을로 · 온온사로 · 용마1로 · 용마2로 · 용마로 · 우면산로 | ||
ㅈ | 죽바위로 · 중촌로 · 중앙로 | ||
ㅊ | 찬우물로 · 참마을로 · 청사로 · 추사로 | ||
ㅋ | 코오롱로 | ||
ㅌ | 통영로 | ||
ㅎ | 향나무1로 · 향나무로 · 홍촌말로 | ||
경기도의 도로 틀 둘러보기 | }}}}}}}}} |
[1] 도로명주소상 종점. 실질적 종점은 선암TG이며, 이후 양재대로까지 직결된다.[2] 안내용이라서 도로 표지판에서 실제로 사용되는 경우는 거의 없다. 기껏해야 소하JC와 선암TG 근처에서 잠시 나오는 정도이다.[3] 이런식으로 완전한 순환선이 아님에도 다른 도로와의 연계를 바탕으로 순환선 이름을 붙인 도로명은 종종 볼 수 있다. 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나 대구외곽순환고속도로, 수원북부순환로가 이러한 사례.[4] 소하IC는 엄밀히는 강남순환로 구간이 아니지만, 소하JC 진출 램프에 소하IC 진출램프 일부가 연결돼 있다.[5] 부평-강남 간의 교통량 분산은 신월여의지하도로를 건설하면서 달성하게 된다.[6] 「강남순환도시고속도로 5월 20일 개통」 2016.4.24, MBN[7] 그 계획의 흔적이 2호선 신림역~서울대입구역의 섬식 승강장이다. 「강남순환도시고속道 내용과 전망」1997.2.12, 연합뉴스[8] 「5월 개통 강남순환도시고속도로 통행료, 중형차 기준 2800원」2016.04.24, 경향신문
[9] 10톤이상 화물차와 가스나 석유등 위험물질 운반차량, 건설기계와 폭발물 운반차량은 서울특별시 조례에 의해 통행이 제한된다. 또 도로 시설의 유지/보수를 위해 투입되는 대형차량이나 건설기계도 통행이 제한되나 허가를 받아야 통행이 가능하다.[10] 이 때문에, 10톤이 넘지 않지만, 일반 승용차나 SUV에 캠핑트레일러(카라반)을 연결한 차량이나, 소형 구난차에 피견인차를 연결한 차량도 통행이 불가능해진다.[11] 용인서울고속도로의 서분당IC~서판교IC구간이나 수도권제1순환선의 요금소 사이 구간같이 요금소 사이의 IC만 통과한다고 생각하면 된다.[12] 이 삼거리는 공식 도로 명칭이 없다.[13] 이 정체는 서해안고속도로 상행선으로 서울 금천구까지 도착한 차량이 1, 2차로의 서부간선도로 지하터널로 들어가지 않으려고(이 터널에 들어가면 성산대교 입구까지 가야 한다) 3, 4차로로 이동하게 되는데, 금하지하차도에서 나온 차량도로와 접속시켰으니, 서로 대각선 가로지르는 차량과 차선 변경, 합쳐지는 차량으로 24시간 내내 심각한 정체가 벌어지고 있다.[14] 안양천 정비사업하기 전에는 안양천 구불구불에 따라 광명시와 서울시 금천구 경계가 나뉘었는데, 정비사업 이후에 도로가 직선화 되었음에도 행정구역은 그대로이다.[15] 과천은 중앙버스전용차로 제도가 없다.[16] 상기한 것과 같이 가로변 버스전용차로의 버스와 사당IC 진출 차량들이 꼬여 엄청난 정체를 유발했다.[17] 서울 안전속도 5030을 추진한 것은 박원순 시장이다. 도로의 용도에 따른 속도 유지와 교통량 분산 등 교통공학적 분석은 전혀 없이 무조건 보행자 우선만을 외치며 무분별하게 모든 도로에 단속카메라만 설치하고 서울시 교통을 지옥으로 이끌고 있다.[18] 하이패스 단말기에서 카드를 뽑아 태그하면 된다. 심카드 단말기는 논외.[19] 만약 버스가 아닌 자가용을 이용한다면 금곡IC/동안산·당수IC~평택파주고속도로~소하IC~강남순환로를 우회 경유하는 방법도 있지만 문제는 이 방법은 서수원 지역에서만 좋은데다가 강남순환로마저 정체되면 마찬가지로 노답이라는 것이다.[20] 전북고속, 호남고속 등 전라북도 면허 시외버스가 강남순환로에 진입할 경우에는 고속도로 운임이 적용되므로 예외가 된다. 전라북도에서 고속화도로 구간에 대해 고속도로 운임을 적용하도록 했기 때문이다.[21] 고속면허는 국도 운임이 따로 없기 때문에 상관없다.[22] 처분벌점이 있는 경우 그 값을 더한 일수만큼 면허가 정지된다.[23] 다만 이전처럼 120~140씩 마구 밟기엔 차가 늘었다 정도지, 본선에서 제한속도인 시속 80을 못 낼 일은 드물다. 진출로가 막히는 경우가 허다할 뿐이다.
[9] 10톤이상 화물차와 가스나 석유등 위험물질 운반차량, 건설기계와 폭발물 운반차량은 서울특별시 조례에 의해 통행이 제한된다. 또 도로 시설의 유지/보수를 위해 투입되는 대형차량이나 건설기계도 통행이 제한되나 허가를 받아야 통행이 가능하다.[10] 이 때문에, 10톤이 넘지 않지만, 일반 승용차나 SUV에 캠핑트레일러(카라반)을 연결한 차량이나, 소형 구난차에 피견인차를 연결한 차량도 통행이 불가능해진다.[11] 용인서울고속도로의 서분당IC~서판교IC구간이나 수도권제1순환선의 요금소 사이 구간같이 요금소 사이의 IC만 통과한다고 생각하면 된다.[12] 이 삼거리는 공식 도로 명칭이 없다.[13] 이 정체는 서해안고속도로 상행선으로 서울 금천구까지 도착한 차량이 1, 2차로의 서부간선도로 지하터널로 들어가지 않으려고(이 터널에 들어가면 성산대교 입구까지 가야 한다) 3, 4차로로 이동하게 되는데, 금하지하차도에서 나온 차량도로와 접속시켰으니, 서로 대각선 가로지르는 차량과 차선 변경, 합쳐지는 차량으로 24시간 내내 심각한 정체가 벌어지고 있다.[14] 안양천 정비사업하기 전에는 안양천 구불구불에 따라 광명시와 서울시 금천구 경계가 나뉘었는데, 정비사업 이후에 도로가 직선화 되었음에도 행정구역은 그대로이다.[15] 과천은 중앙버스전용차로 제도가 없다.[16] 상기한 것과 같이 가로변 버스전용차로의 버스와 사당IC 진출 차량들이 꼬여 엄청난 정체를 유발했다.[17] 서울 안전속도 5030을 추진한 것은 박원순 시장이다. 도로의 용도에 따른 속도 유지와 교통량 분산 등 교통공학적 분석은 전혀 없이 무조건 보행자 우선만을 외치며 무분별하게 모든 도로에 단속카메라만 설치하고 서울시 교통을 지옥으로 이끌고 있다.[18] 하이패스 단말기에서 카드를 뽑아 태그하면 된다. 심카드 단말기는 논외.[19] 만약 버스가 아닌 자가용을 이용한다면 금곡IC/동안산·당수IC~평택파주고속도로~소하IC~강남순환로를 우회 경유하는 방법도 있지만 문제는 이 방법은 서수원 지역에서만 좋은데다가 강남순환로마저 정체되면 마찬가지로 노답이라는 것이다.[20] 전북고속, 호남고속 등 전라북도 면허 시외버스가 강남순환로에 진입할 경우에는 고속도로 운임이 적용되므로 예외가 된다. 전라북도에서 고속화도로 구간에 대해 고속도로 운임을 적용하도록 했기 때문이다.[21] 고속면허는 국도 운임이 따로 없기 때문에 상관없다.[22] 처분벌점이 있는 경우 그 값을 더한 일수만큼 면허가 정지된다.[23] 다만 이전처럼 120~140씩 마구 밟기엔 차가 늘었다 정도지, 본선에서 제한속도인 시속 80을 못 낼 일은 드물다. 진출로가 막히는 경우가 허다할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