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3 00:14:57

sometimes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f5007a><tablebgcolor=#f5007a>
파일:Loveless.jpg
loveless
track listin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곡명 러닝타임
1 <colbgcolor=#fff,#191919> only shallow <colbgcolor=#fff,#191919><colcolor=#191919,#fff> 4:17
2 loomer 2:38
3 touched 0:56
4 to here knows when 5:31
5 when you sleep 4:11
6 i only said 5:34
7 come in alone 3:58
8 sometimes 5:19
9 blown a wish 3:36
10 what you want 5:33
11 soon 6:59
파일:my bloody valentine(logo).png
}}}}}}}}} ||
sometimes의 주요 수상 이력
[ 펼치기 · 접기 ]
----
파일:D35299F0-A94E-4256-858A-16C852ABB793.png파일:Acclaimed-Music-Logo-Dark.png
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올타임 노래
7387위

sometimes
<colbgcolor=#f5007a><colcolor=#2d1628> 발매일 1991년 11월 4일
녹음일 1989년 2월 - 1991년
수록 앨범
장르 슈게이징, 노이즈 팝
재생 시간 5:19
작사/작곡 케빈 실즈
프로듀서 케빈 실즈, 콜름 오시소그
레이블 크리에이션 레코드

1. 개요2. 상세3. 가사
[clearfix]

1. 개요

아일랜드의 밴드 마이 블러디 발렌타인의 두 번째 정규 앨범 loveless의 수록곡이다.

2. 상세

영화 '사랑도 통역이 되나요?' 삽입 장면
따로 싱글 컷은 되지 않았지만 노이즈와 어우러지는 마치 천사같은 보컬, 그로 인한 몽롱한 분위기 덕분에 여러모로 인기가 많은 트랙이다. 영화 사랑도 통역이 되나요?에 삽입되기도 했다.[1]

가사는 이 앨범 내에선 가장 길고 구체적이지만 정확한 내용은 역시 파악하기 어렵다. 많이 알려진 해석에는 크케 두 가지가 있는데 첫 번째는 집착과 스토킹이라는 해석, 예를 들면 상대는 화자의 감정으로부터 숨을수 없고 상대가 어디로 시선을 돌리든 화자가 서있는 등의 가사를 예로 든다. 두 번째는 헤어지기 직전의 연인 관계라는 설이다. 화자의 사랑은 숨길수 없을 만큼 커진 상태이지만 이미 상대는 화자를 사랑하는 마음이 식은 상태이다. 마치 이러한 관계는 짝사랑처럼 느껴지고 화자는 어떻게든 상대를 붙잡고 함께 있고 싶어한다.

3. 가사[2]


{{{#!wiki style="display: inline; font-family:-apple-system, BlinkMacSystemFont, SF Pro Display, HelveticaNeue, Arial, sans serif"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gcolor=#6c2346>
파일:Loveless.jpg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95deg, rgba(110,35,72,1) 0%, rgba(94,39,54,1) 52%, rgba(116,35,71,1) 100%)"
{{{#!wiki style="display: inline; font-family:-apple-system, BlinkMacSystemFont, SF Pro Display, HelveticaNeue, Arial, sans serif"
{{{#!wiki style="word-break: normal"
{{{+1 '''close my eyes, feel me now'''}}}
눈을 감아, 날 느껴
{{{+1 '''i don't know how you could not love me now'''}}}
어떻게 지금 넌 날 사랑하지 않을 수 있을까
{{{+1 '''you will know, and her feet down to the ground'''}}}
너도 알게 될 거야, 발을 땅에 딛고서
{{{+1 '''over there, and i want true love to know'''}}}
저기서, 진실된 사랑이 이젠 알았으면 좋겠어
{{{+1 '''you can't hide, oh no'''}}}
숨을 수 없어, 안 되지
{{{+1 '''from the way i feel'''}}}
내 감정으로부터

{{{+1 '''turn my head into sound'''}}}
내 머릿속을 소리로 바꾸어
{{{+1 '''i don't know when i lay down on the ground'''}}}
모르겠어, 땅에 누워있으니
{{{+1 '''you will find the way it hurts to love'''}}}
너도 알게 될 거야, 사랑하는 게 어떻게 아픈지
{{{+1 '''never cared, and the world turned hearts to love'''}}}
눈길도 안 줬지만, 세상은 마음을 사랑으로 바꾸어 놓았지
{{{+1 '''you will see, oh, now'''}}}
알게 될 거야, 이제
{{{+1 '''oh, the way i do'''}}}
내가 하는 것들을

{{{+1 '''you will wait, see me go'''}}}
넌 기다리겠지, 내가 가는 순간까지
{{{+1 '''i don't care, when your head turned all alone'''}}}
관심없어, 네가 혼자가 되어도
{{{+1 '''you will wait, when i turn my eyes around'''}}}
기다리겠지, 내가 눈을 돌릴  때까지
{{{+1 '''overhead, when i hold you next to me'''}}}
머리 위로, 내가 널 꼭 안을 때
{{{+1 '''overhead, to know'''}}}
머리 위로, 알기 위해
{{{+1 '''oh, the way i see'''}}}
내가 보는 것을

{{{+1 '''close my eyes, feel me how'''}}}
눈을 감아, 날 느껴
{{{+1 '''i don't know, maybe you could not hurt me now'''}}}
모르지, 네가 지금 날 아프게 하지 않을지도
{{{+1 '''here alone, when i feel down too'''}}}
혼자 앉아, 나도 우울해져
{{{+1 '''over there, when i await true love for you'''}}}
저기서, 널 위한 진실한 사랑을 기다려
{{{+1 '''you can hide, oh, now'''}}}
숨을 수 있어, 이제
{{{+1 '''the way i do'''}}}
내가 하는 것들에서
{{{+1 '''you can see, oh, now'''}}}
볼 수도 있어, 이제
{{{+1 '''oh, the way i do'''}}}
내가 하는 것들을

'''Written By:''' [[마이 블러디 밸런타인#현재 멤버|{{{#FFF Kevin Shields}}}]]
}}}}}}

[1] 여담으로 사랑도 통역이 되나요?의 음향 감독은 케빈 실즈이며 영화엔 이 곡뿐만이 아닌 슈게이징 장르의 곡들이 많이 삽입되었다.[2] 출처의 해석을 바탕으로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