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5-09 16:18:47

U+tv 유플레이


<colbgcolor=#e6007d><colcolor=#FFF> 유플레이
파일:유플레이 로고 마젠타(CMYK)-1.jpg
서비스 제공업자 LG U+
런칭일 2024년 6월











1. 개요2. 상품3. 콘텐츠4. 여담

1. 개요

U+tv 유플레이는 LG유플러스에서 만든 월정액 서비스이다. 과거에는 유플릭스, 비디오포털, U+영화월정액 순으로 명칭이 변경되었으나, 2024년 6월 26일자로 '유플레이'로 정식 명칭이 변경되었다. [1] 유플레이는 약 8만 여편의 영화, 해외드라마, 애니메이션을 무제한 감상할 수 있는 서비스로, TV와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이용할 수 있다. [2] 상품은 유플레이 베이직, 유플레이 프리미엄, 유플레이 프리미엄 1년 약정 상품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U+tv를 이용하는 고객들에게는 프리미엄 유플레이라는 요금제 상품도 판매하고 있다.[3]

2. 상품

1. 유플레이 베이직(월 9,900원)
유플레이 베이직은 가장 저렴한 상품이지만 개봉한지 1년 이상된 구작 콘텐츠 위주로 구성되어 있다. 때문에 구작 콘텐츠 위주로 시청하는 이들에게 적합하다. LG U+의 고가 요금제를 쓰는 경우에는 요금제 혜택으로 포함되어 있어 무료로 이용 가능한데도 모르고 놓치는 경우가 많다.
2. 유플레이 프리미엄(월 15,400원)
유플레이 베이직에서는 제공하지 않는 최신 영화, 해외드라마, 채널 동시 방영 애니메이션 등이 제공되어 총 8만편 이상의 콘텐츠를 무제한 감상 가능하다. 유플레이 프리미엄에 가입한 가입자만 시청 가능한 콘텐츠는 별도의 '프리미엄관'에서 따로 감상할 수 있도록 구분되어 있다. [4]2024년도 6월 유플레이로 공식 명칭이 변경된 후에는 유플레이 프리미엄 가입자만을 위한 콘텐츠가 더욱 풍성해졌다. 국내의 어떤 OTT에서도 볼 수 없었던 독점 콘텐츠들의 제공을 확대하고 있으며, 이러한 콘텐츠들의 반응이 뜨겁다고 한다. [5]
3. 유플레이 프리미엄 1년 약정(월 12,320원)
유플레이 프리미엄과 동일한 상품이나 1년 약정으로 가입하여 매월 2,000원 가량 저렴하게 이용 가능한 상품이다. 2024년 6월 유플레이로 공식 명칭이 변경되면서 새롭게 추가된 상품이고, 출시 당시에는 최대 40%까지 할인된 금액인 9,240원에 가입할 수 있었다. 현재는 해당 프로모션은 종료되었다.

3. 콘텐츠

유플레이는 자체 오리지널 콘텐츠를 제작하는 대신, 국내에서 볼 수 없었던 해외 유명 OTT들의 오리지널을 직접 수급해서 단독으로 제공하고 있다. (직접 만들지만 않았을 뿐이지, 국내에서는 유플레이에서만 볼 수 있는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는 것)
물론 해외 OTT의 오리지널 콘텐츠 외에도 극장에서 개봉했던 최신 영화(국내, 해외), 인기 해외드라마, 국내방송물(CJ 예능, 드라마), 애니메이션까지 다양한 장르의 콘텐츠도 함께 제공된다.
1. 빌리빌리 (혹은 비리비리, bilibili)
유튜브가 차단된 중국에서 가장 유튜브에 가까운 역할을 하는 서비스이다. 유튜브와 같은 동영상 서비스 이외에도 애니메이션 콘텐츠 배급을 한다. 커뮤니티 등지에서는 '비리비리'라고 불리는 경우도 많지만 한국어 공식 명칭은 빌리빌리다. [6]
유플레이는 빌리빌리에서 가장 있기 있는 오리지널 애니메이션만 선별하여 지속 제공중이다. 대표작으로는 유수언/애니메이션, 백요보/애니메이션, 천보복요록/애니메이션, 의심없는 우리 사이, 애유적 밀실 등이 있다.
2. 와우와우 (WOWOW)
와우와우는 일본의 위성사업자 중 하나이면서, 일본의 HBO라고 불릴만큼 여기에서 제작하는 드라마들이 하이퀄리티로 명성이 높다. 자회사가 영화를 제작한다는 점에서도 HBO랑 비슷하고, 시청료 수익으로 운영하는 방송사이기 때문에 스폰서나 시청률에 좌우되지 않고 콘텐츠를 제작하는 것이 퀄리티를 유지할 수 있는 비결(?)이다.
유플레이는 와우와우에서 가장 있기 있는 오리지널 시리즈만 선별하여 지속 제공중이다. 대표작으로는 콜드 케이스 ~진실의 문~ 시리즈, 속죄, 밀고는 부른다 시리즈, 60오판대책실, 아츠히메(드라마) 등이 있다.
3. 모비스타+ (Movistar Plus+, 구 Movistar+)
스페인에서 운영되는 텔레포니카가 소유한 OTT 플랫폼으로, 2015년 7월에 공식 출시된 이 플랫폼은 이전에 위성 TV 사업을 담당했던 카날+와 텔레포니카모비스타가 합병하여 탄생하였다. 모비스타는 45%의 시장 점유율을 보유한 스페인 최대의 유료 서비스 사업자이다. 모비스타+는 영화 제작자로서의 전략도 발표하였으며, 끊임없이 유수의 콘텐츠들을 제작하고, 스포츠 경기들을 제공하는 등의 다방면의 콘텐츠를 보유하고 있다.유플레이는 모비스타+에서 가장 인기 있는 오리지널 시리즈만 선별하여 지속 제공중이다. 대표작으로는 갈고스 패밀리, 메시아, 진압경찰 등이 있다.
4. 카날플러스 (혹은 카날+, CANAL+)
유럽 최대 미디어 사업자 카날플러스는 산하에 제작사 스튜디오카날를 보유하고 있는 사업자로 꾸준히 오리지널 콘텐츠를 제작, 독점 제공해왔다. 이러한 사업자와 유플러스는 25년 2월에 글로벌 협업을 추진하였고, 유플레이에서 카날플러스의 오리지널 콘텐츠들을 순차 공개한다고 밝혔다. [7] 유플레이는 카날플러스에서 가장 인기 있는 오리지널 영화, 시리즈만 선별하여 지속 제공중이다. 대표작으로는 머니 앤 블러드, 콜랩스, 파리 해즈 폴른 등이 있다.
5. 비아플레이 (Viaplay)
북유럽을 대표하는 스릴러 장르 '노르딕 누아르'의 본진으로 알려진 스웨덴의 비아플레이는 북유럽을 대표하는 콘텐츠 스트리밍 플랫폼이다. 스웨덴 이외에도 폴란드, 네덜란드, 영국, 미국, 캐나다 등 30여개 국가에서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으며 그들이 제작한 영화와 시리즈들은 북유럽의 감성을 담아내 독특하고 굉장히 새롭다. 유플레이는 비아플레이에서 가장 있기 있는 오리지널 영화, 시리즈, 다큐를 선별하여 지속 제공중이다. 대표작으로는 더 비치호텔 시리즈, 코펜하겐 킬러, 퓨리 시리즈, 탑 게임 등이 있다.

4. 여담

  1.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Paramount+ 프라임 비디오, BBC, 포커스 피처스, 라이언스게이트의 콘텐츠도 유플레이에서 볼 수 있다.
    (왜 홍보를 안하는지는 모르겠지만... LG가 LG하는건지도...)

    1. ① 유플레이에서 볼 수 있는 Paramount+ 대표작으로는 옐로우스톤(드라마), 디 어페어, 프롬(드라마), 길 위의 연인들, 헤일로(드라마) 등이 있고, 그 외에의 Paramount의 대표 영화들까지 약 55편 가량이 있다.
      ② 유플레이에서 볼 수 있는 프라임 비디오 대표작으로는 업로드(드라마), 마블러스 미시즈 메이슬, 리카르도 가족으로 산다는 것 등이 약 10편 가량이 있다.
      ③ 유플레이에서 볼 수 있는 포커스 피처스 대표작으로는 라스트 나잇 인 소호, 데드 돈 다이, 수베니어 파트1, 더 포기븐 등 포커스 피처스만의 독특한 소울의 담겨진 영화 13편 가량이 있다.
      ④ 유플레이에서 볼 수 있는 라이언스게이트 대표작으로는 더 초즌의 전체 시리즈과 라이언스게이트의 대표 영화들까지 약 40편 가랑이 있다. 더 초즌은 2017년부터 제작되고 있는 미국 드라마로, 예수의 생애를 담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유플레이가 유일하게 전 시리즈를 시청할 수 있는 유일한 OTT 이다.
2. 애플 App Store 정책으로 인해 아이폰에서 U+모바일tv 앱을 이용시에는 성인 콘텐츠를 찾을 수 없지만, 안드로이드폰의
U+모바일tv 앱을 이용하면 유플레이 가입자는 누구든 언제 어디서든 성인 콘텐츠를 볼 수 있다.
3. U+tv 이용자는 660번~669번에서 유플레이 프리미엄의 인기 콘텐츠를 채널로도 이용 가능하다.

[1] https://www.yna.co.kr/view/AKR20240627027200017?input=1195m[2] 단, TV로 이용은 U+tv만 가능하다. 원래 PC버전으로도 이용 가능했었으나, PC 버전은 2024년 12월에 종료되었다.[3] IPTV 프리미엄 요금제와 유플레이 프리미엄을 조합한 상품으로, 유플레이 할인율이 가장 높은 상품[4] 특히 유플레이 프리미엄에서는 성인 콘텐츠도 제공하고 있는데, 실크라보를 포함한 최신 성인 영화 콘텐츠는 프리미엄 상품 가입자만 시청가능하다.[5] https://www.etnews.com/20250320000354[6] https://dream.kotra.or.kr/kotranews/cms/news/actionKotraBoardDetail.do?SITE_NO=3&MENU_ID=180&CONTENTS_NO=1&bbsGbn=243&bbsSn=243&pNttSn=185591[7] https://www.news1.kr/it-science/general-it/56830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