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T(SK텔레콤)]]{{{#!if 문서명2 != null
, [[]]}}}{{{#!if 문서명3 != null
, [[]]}}}{{{#!if 문서명4 != null
, [[]]}}}{{{#!if 문서명5 != null
, [[]]}}}{{{#!if 문서명6 != null
, [[]]}}}
문서가 존재하는 대한민국의 롤러코스터
{{{#!wiki style="border-top: 1px solid currentColor; width: 90%; margin: 5px auto;"
{{{#!wiki style="border-top: 1px solid currentColor; width: 90%; margin: 5px auto;"
- [ 펼치기 · 접기 ]
- ||<-3><tablewidth=100%><tablebordercolor=#ddd,#383b40><tablebgcolor=#fff,#1c1d1f><bgcolor=#0047a0> 현재 운행중 ||{{{#!folding [ 각주 펼치기 · 접기 ]
비룡열차
[[에버랜드|Ev]]1987롤링 엑스 트레인
[[에버랜드|Ev]]1988은하열차 888
[[서울랜드|S]]1988달나라 열차
[[서울랜드|S]]1988후렌치 레볼루션
[[롯데월드 어드벤처|L]]1989블랙홀 2000
[[서울랜드|S]]1990청룡열차
[[광주패밀리랜드|F]]1991혜성특급
[[롯데월드 어드벤처|L]]1995부메랑
[[이월드|EW]]1995카멜백
[[이월드|EW]]1995허리케인
[[이월드|EW]]1995와일드스톰
[[대전 오월드|O]]2003아트란티스
[[롯데월드 어드벤처|L]]2003터스코 싱이레
[[에버랜드|Ev]]2005파에톤
[[경주월드|G]]2007T 익스프레스
[[에버랜드|Ev]]2008패밀리코스터
[[어린이대공원 놀이동산|C]]2014댄싱 오스카
[[신화테마파크|ST]]2017드라켄
[[경주월드|G]]2018쾌속열차
[[경남 마산로봇랜드|R]]2019새로운 항해
[[경남 마산로봇랜드|R]]2019발키리
[[경주월드|G]]2021자이언트 디거
[[롯데월드 어드벤처 부산|LB]]2022자이언트 스플래쉬
[[롯데월드 어드벤처 부산|LB]]2022쿠키 열차
[[롯데월드 어드벤처 부산|LB]]2022드래곤 코스터
[[레고랜드 코리아 리조트|LK]]2022위자드 레이스
[[경주월드|G]]2024스콜 & 하티
[[경주월드|G]]2024스핀짓주 마스터
[[레고랜드 코리아 리조트|LK]]2025개장 예정 핑크빈 롤러코스터
[[메이플 아일랜드(테마파크)|MI]]2026운행종료 및 중단 청룡열차
[[어린이대공원 놀이동산|C]]1973~1983젯트열차
[[에버랜드|Ev]]1976~200488열차
[[어린이대공원 놀이동산|C]]1984~2012정글마우스
[[경주월드|G]]1985~2006아토믹 코스터
[[서울 드림랜드|D]]1987~2001제트 코스터
[[서울 드림랜드|D]]1987~200688열차
[[부산어린이대공원|B]]1989~2011어린이특급
[[롯데월드 어드벤처|L]]1990~2002은하철도
[[가야랜드|Ga]]1991~2011스페이스 2000
[[경주월드|G]]1991~2016비룡열차
[[경주월드|G]]1991~2023독수리 요새
[[에버랜드|Ev]]1992~2009환타지아스페셜
[[통도환타지아|T]]1993~2020블랙홀 특급
[[꿈돌이랜드|K]]1993~2012그랜드캐년
[[부곡하와이|H]]1994~2017고공회전열차
[[부산 롯데월드 스카이프라자|LS]]1996~1999다이빙 코스터
[[미월드|M]]2004~2013스페이스 투어[1]
[[경주월드|G]]2006~2015지표별 국내 롤러코스터 순위
[1] 舊 정글마우스
T 익스프레스 T-Express: The Iron Rebirth | |
| |
<colbgcolor=#ff6610><colcolor=#ffffff> 개장일 | 2009년 1월 17일[1] |
기종 | Prefabricated Wooden Coaster[2] |
트랙 레이아웃 | Terrain / Twister |
위치 | 에버랜드 유러피안 어드벤처 알파인빌리지 |
제작비 | ₩36,000,000,000(360억 원) |
제작사 | 인타민 |
디자이너 | 베르너 슈텡겔 (Werner Stengel)[3] |
트랙 길이 | 1,641m |
운행 시간 | 약 3분 12초 |
추진 방식 | Cable Lift Hill |
리프트(Lift) | 1회[4] |
브레이크(Brake) | 1회[5] |
최고 낙차 | 46m |
하강 횟수 | 12회 |
에어타임 | 20초 |
최고 높이 | 56m |
최고 낙하 각도 | 77°[6] |
탑승 인원 | 36명 |
최고 속도 | 104km/h[7] |
중력가속도 (G-Force) | 최대 : 4.5G[8] / 최소 : -1.2G[9] |
인버전 | 없음 |
실내 구간 | 없음 |
특수 트랙 | 1개[10] |
1. 개요
탑승 영상 |
시속 104km의 엄청난 속도, 낙하각 77도의 아찔함!
세계 최고의 우든코스터가 잊지 못 할 최고의 기억을 여러분께 선사합니다.
에버랜드 측의 소개 문구
세계 최고의 우든코스터가 잊지 못 할 최고의 기억을 여러분께 선사합니다.
에버랜드 측의 소개 문구
T, 레디, 체킹, 굿!
출발 멘트
에버랜드 유러피언 어드벤쳐 알파인 빌리지에 위치한 어트렉션이다. 파크의 대표 롤러코스터이자 기함급 어트랙션. 기종은 우든 롤러코스터다.[11] 에버랜드에 있는 놀이기구 중에서 대표라고 불릴만큼 가장 명성이 높다. 출발 멘트
서울랜드의 도깨비바람 마냥 무섭지 않은 놀이기구만 있는 구역인 평화로운 유러피안 어드벤처에서 혼자 대놓고 최종 보스 포지션을 담당하고 있다.
2. 역사
스위스의 인타민에서[12] 설계한 조립식 목재 롤러코스터로 건설과 시공은 에버랜드가(컨셉 및 SD설계 캐나다 Forrec, 건물 및 구조물 시공, 삼원 S&D) 맡았다. 원래 T 익스프레스가 있는 자리에는 슈퍼 봅슬레이라는 놀이기구가 있었으나 2007년에 철거하고 T 익스프레스를 건설했다. 공사 기간은 13개월이 소요되었고, 총 투자비는 360억원(제작비+건축비+설치비+구역 조성비)이 들었다. 사실 건설 당시 국내에서 초대형 특수 롤러코스터를 시공한 적이 없어 많은 애로사항과 우여곡절을 겪었다고 한다.에버랜드 유러피언 어드벤처 내 알파인 빌리지에 있으며, 원래 어트랙션 명칭은 알파인 익스프레스가 될 예정이었으나 건설 당시 SK텔레콤의 거액 스폰싱, 1차 스폰서쉽[13] 때문에 T 익스프레스가 되었다. 로고의 'T'도 SKT T 브랜드의 1세대 로고[14]가 그대로 사용되었다. 2009년 1월 14일, 소프트 오픈을 거쳐 이틀 후인 1월 17일에 개장했고, 현재까지 운영 중이다. 이제는 대한민국에서 누구나 다 알 만큼 유명한 롤러코스터지만, 가장 비싼 어트랙션이라는 타이틀은 롯데월드 어드벤처의 파라오의 분노가 차지하고 있다. T 익스프레스는 우든 롤러코스터의 한 종류이며, 우든 롤러코스터는 플래닛 코스터같은 유명 놀이공원 게임에도 있을 만큼 인지도 높은 롤러코스터의 한 종류이다. 해외에서도 T 익스프레스는 우든코스터 중에서도 수준급인 롤러코스터로 알려져 있다.
개장 후 5년 간의 스폰서쉽은 현재 종료됐으나, T 익스프레스가 이미 에버랜드를 대표하는 어트랙션이 되어버렸고 대부분의 사람들이 티 라고 줄여서 부르는 상황이기에 명명권을 새로 판매하지 않는 이상 이름을 변경할 확률은 거의 없다. 뿐만 아니라 SKT의 T 로고가 대문짝만하게 붙어있던 과거의 T 익스프레스를 기억하는 세대가 아니라면[15], T 익스프레스의 T에서 SKT를 연상시키는 것도 쉽지 않기에 굳이 바꿀 필요성도 크지 않다. 다만 'T' 로고는 SKT의 로고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되었다.
3. 특징
교체되는 새로운 레일은 순수 스틸 재질로 기존에 위치해있는 레일과 동일한 규격으로 주문 제작되고 스틸 특성상 목재에 비해 수명이 훨씬 길고 관리가 수월해진다고 한다. 승차감 또한 2009년 오픈초기와 비슷하거나 RMC I-box 트랙 코스터와 유사한 부드러운 탑승감을 보여줄 것으로 예상된다.4. 이용 안내
5. 주요 탑승 기록
<colbgcolor=#ff6610><colcolor=#fff>2009년 1월 21일 (오픈 다음날) | 스쿨오브락 소녀시대편 촬영으로 태연 모교 전주고등학교 후배들과 소녀시대 전 멤버들이 같이 탑승하였다.#,# 2009년 10월 14일 방영 |
2009년 10월 25일 (오픈 한 달 후) | 무한도전 100회 특집으로 마련한 '시속 100km에서 짜장면 먹기' 도전과제를 위해 정준하가 이것을 타고 짜장면을 먹으면서 짜장 1호를 발사하기도 했다. |
6. 여담
- 이름이 꽤 길다보니 약칭으로 T, T익, T익스 등으로 줄여서 부르기도 하는데, 대체적으로 T익스로 불리는 빈도가 가장 높다.
- 회전율이 정말 좋다. 기본적으로 2대의 열차를 돌리고[16], 비클 한 대의 정원이 36명이나 되기 때문에 줄이 정말 빠르게 들어간다. 이론상 인가대수 3대를 모조리 돌릴 수도 있지만 안전상 1대는 예비차로 빠놓는다.
- 야간에 타면 주간에 타는 것보다 재밌다. (개인에 따라 다를 수 있다.)
- 겨울 혹한기에 안전 및 점검 등의 이유로 10월 말부터 다음해 12월 초까지 운행을 중단한다.
- 2009년 1월 오픈초기에는 56.02m 정상에 도달했을 때 직선구간에서 케이블 속도를 순간적으로 높여 속도가 증가하며 턴을 돌고 1차하강에서 마치 던져지듯이 하강했는데 점검팀에서 과도하게 빠른 속도로 인해 1차 하강시에 5, 6번째 열차의 바퀴와 트랙에 무리가 간다는 문제를 발견하여 이후부터 지금까지 정상에서 오히려 리프트 속도를 약간 줄이는 방향으로 바뀌었다.
- 위 사항 때문에 현재 가장 대중적으로 알려진 최고 속도인 104km/h는 리프트 속도가 빨랐던 시기의 1차 하강 후 최고 속도라고 보는 매니아들도 있다. 확실히 리프트 속도 변경 전인 2009년 1월과 변경 후인 12월 6일초와 속도차이가 있는 편. 그러나 드라마틱한 차이는 보이지 않는다.
- 에버랜드는 300억이 넘어가는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오픈한 2009년에는 제품관련 광고 집행을 1원도 하지 않았음에도 엄청난 사업효과를 누렸다. 이는 2001년 이후 에버랜드에서 최초로 진행된 대규모 투자를 통한 오버스펙 신규 놀이기구 도입에 대한 기대가 컸고 2009년 1월 17일 공식오픈 이전, 12월 17일 부터 한 달여 간의 Soft Open (안전 및 운영준비를 모두 마치고 초청고객 혹은 관계자를 대상으로 진행되는 운영형태)을 통한 구전효과, 그리고 각종 미디어를 활용한 PPL (MBC 무한도전, KBS 스펀지, EBS 원더풀 사이언스 등 다수) 및 다양한 마케팅 활동으로 관심이 제품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아진 상태였으며 2009년 1월 24일, 고객이 탑승한 차량이 출발 이후 경사로에서 멈추는 사고가 발행하여 9시 뉴스에도 소개되었는데 이는 오히려 "더 큰 문제가 발생하기 이전에 정밀한 안전장치에 의해 멈춰졌다"는 여론이 형성되며 더욱 큰 긍정적 관심을 받게되어 홍보에 도움이 되었다.
- 개장 당시 2007년에 쓰인 구형 1세대 T 로고을 사용했지만 2010년 8월 즈음 당시 스폰서였던 SK텔레콤의 T 브랜드 교체에 따라 흔히들 말하는 생각대로 T 로고로 교체되었다.
- 숨겨진 엘리베이터가 있다. 2009년식 티센크루프동양엘리베이터 SYNERGY 모델이 설치되이 있는데 사용을 거의 안 해서 결국 2010년 후반에 검사연기로 운행 정지되었다.
[1] 렛츠 트위스트와 함께 오픈했다.[2] 총 건설비 약 360억 원, 사용된 나무 조각 개수 및 무게 각각 91,481개, 670톤[3] 롤러코스터의 제왕 격인 킹다 카와 탑 스릴 드래그스터, 그리고 한때 최고높이를 자랑했던 우든 코스터인 선 오브 비스트를 설계한 장본인이기도 하다.[4] Cable Lift Hill[5] Block brake[6] 대한민국의 롤러코스터 중 3위이자 개장 당시 1위, 수도권 1위이다. 참고로 현재 1위는 드라켄과 부산 롯데월드의 자이언트 스플래쉬, 마산로봇랜드의 쾌속열차가 90˚로 공동 1위이다.[7] 대한민국의 롤러코스터중 최고 속도라는 타이틀을 가지고 있었으나 경주월드의 드라켄과 롯데월드 어드벤처 부산의 자이언트 디거의 등장으로 3위로 밀려났다. 물론 수도권 및 우든 코스터 한정으로는 1위를 유지하고 있다.[8] 이 정도면 봅슬레이에서 썰매가 커브 구간을 지날 때 선수들이 받는 정도와 비슷하다.[9] 1차 하강 후 이어지는 2차 하강 언덕 구간에서 받는 중력가속도.[10] Hill[11] 다만, 트랙 노후화로 인해 2024년에 리뉴얼을 거치며 일부 구간이 철제로 변경되었다.[12] 여담으로 인타민은 이전에 롯데월드 어드벤처의 자이로스윙도 건설했다.[13] 총 5년 연20억 총액 100억, T 익스프레스 외 1개 시설 스폰서쉽 포함[14] 파일:SK텔레콤 브랜드 로고(2007-2009).svg[15] 현재는 이게 대부분이긴 하다.[16] 심지어 대기시간이 10분일 때도 2대를 돌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