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인크레디박스/모드|인크레디박스/모드]]
1. 개요2. 상세3. 저작권 신고4. 작품 목록
4.1. Trilly's Tunes 시리즈4.2. Tragibox 시리즈4.3. Vitsuboxbox 시리즈4.4. Sepbox 시리즈4.5. vBAL 시리즈4.6. UNTRAGIBOX 시리즈4.7. Trillybox 시리즈4.8. Scatposters 시리즈4.9. Colorbox 시리즈4.10. Solarbox 시리즈4.11. Corruptbox 시리즈4.12. Frostbite 시리즈4.13. Yubin niiku 시리즈4.14. Sympan 모드4.15. Paranoiabox 시리즈4.16. Ozzybox 시리즈4.17. Elementibox 시리즈4.18. 기타 모드
1. 개요
스크래치 링크인크레디박스의 모드 중 스크래치에서 제작된 모드들을 설명하는 문서
2. 상세
인크레디박스는 2020년대부터 자바 스크립트로 만들어진 모드 커뮤니티가 활성화되었는데, 이후 2023년에는 스크래치의 incredibox_demo라는 유저가 모드 제작에 사용한 템플릿을 공유하면서 스크래치에서 만들어진 모드가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기존에 쓰던 자바 스크립트는 코딩하는 데에 난이도가 제법 있고 제작하는데에 시간이 매우 걸리지만 교육용인 스크래치는 제작이 매우 쉽기 때문다만 인터페이스가 자바 스크립트 제작 버전 보다 깨끗하지 못하고 저연령층 유저나 아마추어가 접하기가 쉬운 스크래치라 퀄리티가 심하게 조악하거나 양산형에 가까운 작품들도 많은 편이다. 물론 이러한 작품들의 경우는 단순히 제작자의 실력 문제인 것도 있지만 제작자가 대놓고 방향을 병맛으로 잡고 못 만든 작품도 있다.
시간이 지나면서 스크래치나 코크레아 뿐만이 아닌 itch.io 같은 곳에 업로드되는 모드들도 많은데 이는 기본적으로 스크래치나 코크레아에서 제작한 것을 플랫폼을 확장시키려는 의도거나 교육용이라 퀄리티 높은 작품을 뽑기가 어려운 스크래치와 코크레아 대신 다른 엔진을 사용해서 제작한 경우다. 다만 해당 모드들도 상술한 자바 스크립트 버전의 모드들과는 차이가 확실하고[1] 무엇보다 이러한 외부 사이트에서 플레이가 가능한 모드들은 스크래치에서 시작된 것들이기 때문에 편의상을 위해서라도 그냥 스크래치 모드라고 통칭한다.
3. 저작권 신고
2024년 5월 7일, 원작 제작사인 So Far So Good에서 스크래치에 저작권 신고를 하면서 스크래치에 있던 대다수의 인크레디박스 모드가 삭제되었다. 또한 스크래치에서도 이를 받아들이면서 더 이상 스크래치에서의 인크레디박스 모드를 창작하는 것 또한 금지되었다.
다만 모드 삭제의 경우 어디까지 기존 버전을 리메이크한 짝퉁 버전만을 삭제하기를 요청한 것이지만 스크래치가 한 술 더 떠서 모드를 죄다 삭제한 것이다. 즉 스크래치에서 So Far So Good의 신고를 대충 판단하고 오판을 내버린 셈, 다만 불행 중 다행으로 삭제된 모드 중 오리지널 모드 일부는 복구를 할 예정이라고 한다.
다만 해당 사태에 유저들이 스크래치에 정이 떨어져서 인지는 몰라도, 현재는 스크래치 기반의 신형 프로그래밍 언어인 Gandi IDE로 넘어가서 제작하는 경우도 많은 모양이다. Gandi IDE는 코크레아라는 작품 공유용 사이트가 따로 있기에 모드는 해당 사이트에서 플레이 해볼 수 있다.
4. 작품 목록
4.1. Trilly's Tunes 시리즈
V1 Skylines |
제작자는 Trillygot이고, 전체적으로 Travis같이 차분한 느낌이지만
또 멜로디는 톡톡 튀는 개성 넘치는 느낌이라 한번에 다 같이 놓으면
2025년 3월 28일 업데이트로 공식 게임에 수록되었다.[2]
V2 Abloom |
폴로의 디자인이 대부분 꽃과 관련된 디자인이다.
전작 Skylines에 비해서는 더 차분해졌다.
2025년 4월 10일에 이 버전 또한 공식 게임에 수록되었다.
4.2. Tragibox 시리즈
V1 - Orin Ayo |
제작자는 happy_man_banana. 전체적으로 비주얼과 퀄리티는 매우 기괴하다는 것이 특징이다. 목을 삐걱대는 사람부터 얼굴이 부분별로 나눠저 티비에 담겨진 사람, 소름 끼치게 웃는 사람, 팔이 없는 사람, 오리 모습으로 평범한 줄 알았더니 갑자기 이마에서 기괴한 입이 소리를 내는 등 차원이 다르게 기괴한 생김새와 모션을 보여준다. 그러나 완성이 덜 됐는지 일부 폴로는 소리만 나오고 모션을 취하지 않는 편이다. 스크래치의 공유 기능으로 일부 팬이 직접 애니메이션을 제작해 추가한 버전이 다수 있다. 압도적인 기괴함과 비주얼이 사로잡아 상위권에 드는 인기를 자랑하는 모드이며, 이 모드로 통해 비슷한 비주얼을 내거나 호러성의 분위기를 내는 모드들이 다수 등장하였다.
현재는 악성신고를 당해 삭제 되었으나 스크래치에서 할 수 있다.
V2 - Breakthrough |
4.3. Vitsuboxbox 시리즈
V1 ~ V9 |
4.4. Sepbox 시리즈
제작자는 thatmanyousaw13, 사이언스 픽션 펑크를 연상케하는 다지안을 주로 이룬 모드이며, 아포칼립스와 디지털 분위기를 조화로 이룬 스타일로 구성되어있다. 사이버펑크느낌나는 신스웨이브 스타일의 음악으로 제작되어있다. V7부터는 퀄리티가 눈에 띄게 늘어나는데, 전작들 간의 오마주가 잦은게 이 모드의 특징이라서 디자인이 비슷한 폴로들의 외형으로 기존 sepbox모드임을 보여준다. 사실 V5부터 express모드 제작자인 "splat jack"이 개발에 참여한 것도 있다.V1 - Steel Factory |
V2 - The Depths |
V3 - Return [7] |
V4 - Aftermath |
V5 - Aqua |
V6 - Embers |
V7 - Under World [8] |
V8 - Lights Out |
4.5. vBAL 시리즈
제작자는 yasarg_cs, 공포게임 발디의 수학교실을 패러디한 모드. 그나마 위에 있는 모드 보다는 훨씬 덜 공포스럽다. 윈작의 캐릭터가 그대로 나오기도 하고 아이템과 배경을 본떠 만든 캐릭터들이 특징. 퀄리티가 꽤 좋고 소리도 좋기 때문에 평가가 좋다.V1 - Schoolhouse Trouble |
V2 - School Basement |
V3 - Dithered |
V4 - Basics |
V5 - Chalk Dust |
4.6. UNTRAGIBOX 시리즈
V1 - INTO the STUPIVER |
4.7. Trillybox 시리즈
V1 - Sozzled |
V2 - Bupkis |
V3 - Pollywog |
V4 - Bumfuzzle |
이러한 병맛이기만 한 분위기는 V2 까지 이어지다가 제작자의 경험이 늘었는지 V3부터는 퀄리티가 조금씩 괜찮아지기 시작했다. 물론 장르가 장르라 폴르들의 외형부터가 괴상하게 생긴 건 건 다름없지만(...)
처음에는 별 다른 스토리가 없던 시리즈였으나 후술할 Scatposters 시리즈와 세계관을 통합하면서 독자적인 세계관이 생겼다. 다만 원작자 InfinityChubs88는 세계관 설정에 별 다른 관여는 하지 않고 Scatposters의 제작자인 The Hydration Man이 사실상 Trillybox의 세계관을 관리하고 있다.
시리즈 전통으로 보이스 마지막 줄은 애니맨 스튜디오 밈으로 유명한 악셀이 등장하며 보이스도 Ballin'의 도입부 부분이 그대로 나온다.(...)[12]
앞서 말했듯이 노래를 만들기보다는 웃자고 만든 모드에 가깝기에 사실상 눈요기용에 가까운 편이나 외외로 정상적인 소리가 나오는 폴로도 있기에 마음만 먹으면 노래도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 v2 버전인 Bupkis는 Orin Ayo와 Orin Bupkis라는 이름으로 콜라보 한 적이 있는데 장르가 상반됨에도 불구하고 웃기게도 싱크가 매우 잘 맞아 호평을 받았다.
4.8. Scatposters 시리즈
V1 |
V2 |
보너스를 보고 나면 특수한 폴로가 해금되는데 하나같이 괴상하고 게임의 진행을 불가능하게 만든다는 것이 특징
보너스 1을 보고 해금되는 폴로는 멜파이브(Melfive)라는 이름의 폴로로 V1 버전에서 5번째 멜로디로 나와 있던 폴로였는데 V2 버전에서 타후(Tahu)라는 폴로로 대체하고 보너스 해금용 특수 폴로가 되었다. 배치하면 화면을 꽉 체운뒤 정신사나운 귀갱과 눈뽕을 선사하기에 제대로 된 플레이를 불가능하게 만든다.(...) 그냥 엽기용이라 화면 아무곳이나 클릭하면 다른 폴로 배치의 여부에 상관없이 사라진다.
보너스 2를 보고 해금되는 폴로는 마더 2에 나오는 기그로 배치할 시 괴기한 붉은색 노이즈가 끼기 시작하더니 화면 전체가 기그로 채워지면서 경고문이 뜨고 게임이 멈춘다. 여기 까지 왔을 경우 게임이 더이상 작동하지 않으며 새로고침을 해서 게임을 재시작해야한다. 다만 화면 전체가 기그로 채워지기전에 기그 폴로를 내려버리면 방지가 가능하다.
보너스 3를 보고 해금되는 폴로는 마키플라이어, 배치하면 마키플라이어가 Scatposters를 플레이하는 영상이 재생된다. 폴로를 하나하나씩 배치하면서 감상평을 하더니 Ogre-Soft.exe를 작동시켰다가 컴퓨터가 과부하되면서 터지고 엔딩 크레딧이 올라오면서 마무리된다. 즉 사실상 엔딩용 폴로, 다만 마키플라이어는 해당 모드를 한번도 플레이 해본 적이 없는데 하는 말이 자연스러운 것을 봐서 AI 목소리를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
순진히 패러디 목적으로 제작된 모드이기에 MrBeast[14]나 프레디 파즈베어, 월터 화이트같은 외부 밈이 모티브인 폴로가 많다.
제작자가 다른 모드이지만 상술한 Trillybox 세계관에 포함되는 게임이기도 하다.
The Scatposters 2: ジョーの逆襲 |
2023년 11월에 2번 보너스를 낸 이후 한동안 소식이 없다가 스크래치에서 돌연 내려갔는데 2024년 6월에 Gandi IDE로 리메이크를 해서 코크레아에 재업로드를 하고 마지막 3번 보너스까지 냄과 동시에 대략 1주 후에 2편을 발표했다. 부재는 ジョーの逆襲(조의 역습)[15], 전작에 비해 폴로의 움직임이 부드러워졌고 디자인도 전작에 비해 조금 깔끔해졌다. 전체적으로 사이버펑크 내지는 세기말 분위기가 불씬 풍기는게 특징
폴로 역시 꽤나 다체로워졌는데 마더 3의 쿠마토라나 캡틴 언더팬츠같은 타 매체 기반 폴로나 전작에 나왔던 도리토스 로드도 재등장한다. 또한 그냥 음악 제작은 개나 줘버리고 장난으로만 치장되어있는 1편과 달리 2편은 음악 믹스가 가능해질 정도로 게임성이 상승했다.
The Night with the Scatposters이라는 외전작이 있다 이름에서 보이듯이 프레디의 피자가게를 패러디했는데 역시 완성도가 꽤 높다.
4.9. Colorbox 시리즈
- [ 시리즈 펼치기 · 접기 ]
- || ||
Red Orange Yellow Green Blue Purple Pink Brown Orange Black Gray Teal White Turquoise Tan Indigo Maroon
Color box 시리즈 목록
제작자는 freepies[16], 색상으로 표현하는 시리즈로 Vitsuboxbox 시리즈와 비슷하게 공통적으로 색상에 맞춰서 기괴함을 이룬 크리쳐나 로봇들로 이루어져있으며 재미나고 다양한 외형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특징이다. 다양한 음악 스타일에 인기를 잡게 된 시리즈다.
4.10. Solarbox 시리즈
- [ 시리즈 펼치기 · 접기 ]
- || ||
V0 - Sun V1 - Mercury V2 - Venus V3 - Earth V4 - Mars V5 - Jupiter V6 - Saturn V7 - Uranus[17] V8 - Neptune
Solarbox V1 트레일러
Solarbox 시리즈 바로가기
제작자는 Tislub와 그 두명의 팀으로 이루어졌다. 태양계 속 행성들에 대한 시리즈이다. 몇몇 행성에 따라 캐릭터의 생김새와 배경화면의 분위기가 극과 극이다. 웅장하고 고대적인 느낌이 나는 태양의 음악과 엽기적이고 병맛 느낌이 나는 천왕성이 대조적이다. 눈에 크게 띄는 차이점이라면 바로 설정창을 꼽을 수 있다. 것보기에는 다크 모드, 색깔 설정 두 가지로 평범해보이지만 누를 시 그대로 병맛 사진으로 갑툭튀를 하거나 "Nuh Uh"[18]라고 쐐기를 박는 등(...) 아에 사용할 수 없는 수준.
캐릭터들은 그곳에 사는 주민이라도 평범한 인간의 모습이 아닌 다양한 모습으로 있으며 역안을 하고 있는 정장을 입고 있는 캐릭터, 얼굴대신 방패 얼굴을 하고 있는 캐릭터, 주제에 따라 머리가 행성인 모습 등이 있다. 스크립트를 보면 첫번째와 두번째 캐릭터의 이름은 미스터 엘리스, 아이햄이라고 한다. 이들 전부 1회용이 아닌 다른 행성 모드에서 다시 등장하는 경우가 있으며 각각 모드에서는 똑같은 음악 소리를 내나 음과 리듬이 바뀌어서 나온다.
모드들에 전부 히든 캐릭터들을 숨겨둔다. 그 몇몇 대부분 후원자를 기반으로 만들어졌다. 그러나 그 캐릭터들이 음악을 부르는 모습은 꽤나 가관인데 제작자가 직접 입으로 멜로디를 부르거나 상술한 scaptposter 모드의 도리토스 로드를 그대로 출현시키는 등(...) 음악의 분위기를 박살내거나 또는 더욱 웅장함(?)을 느끼게 만들어 줄 수 있다.[19] 사용자들은 이들을 주로 '보너스'라고 칭한다.
왜행성인 세레스는 4.5 라고 칭한다. 번외편이라고 보면 편하며 캐릭터도 16명 밖에 없다. 이에 대한 2차 창작물도 있다.링크
여담으로 제작자가 직접 자신의 모드를 티어를 만든적이 있다.링크
4.11. Corruptbox 시리즈
V1 - Corruptbox |
V2 - redirection |
V3 - infected war |
이 모드에서 대부분 버전은 음악의 코드와 폴로의 멜로디가 거의 안맞고 미디어를 줄여도 은근 시끄럽다. 그래도 스토리는 좋은 평이 많다.
4.12. Frostbite 시리즈
V1 - Frostbite |
V2 - Freon |
V3 - Red Ice |
V4 - FR1G1D |
V5 - Frostnip |
V6 - ReFreeze |
V7 - C-H-L-L-Z |
4.13. Yubin niiku 시리즈
V1 - yubin niiku: The postal killer |
V2 - Dionysos' Denial |
V3 Katabasis |
배경 스토리가 있는데 의외로 잘 짜여져 있다. 그렇다보니
전용 위키도 있다. arkham이라는 가상의 동네에서 일어나는 일을 모드로 만들었으며 사실 이 동네는 악마의 저주를 받아 1908년부터 지금까지 12년마다 대학살 사건이 일어나고 있다. 살인마는 각 사건마다 한명으로 한 계기로 인해 악마한테 조종당해 살인 사건을 일으키게 된다(딱 한 명,lionel제외). 또한 각 사건마다 살인마도 달라 모드마다 살인마가 다르다.
4.14. Sympan 모드
Sympan |
Sympan 리마스터 버전 |
4.15. Paranoiabox 시리즈
Chapter 1 - Realism [24][25] |
Chapter 3 3 3 - Encounter[26] |
Chapter 4 - Broken Heartware |
제작자는 Pawsy The Memeifier[27], 여러 요소를 섞은 공포 모드로 챕터마다 테마가 다르다. 다만 이 챕터라는 게 제작자가 넘버링을 신경 쓰지 않고 지은 건지는 몰라도 나오는 작품마다 챕터명이 뒤죽박죽이다. 그 얘로 시리즈의 최신작은 Realism인데 정작 이 작품은 챕터 1이란 제목을 붙였기 때문, 심지어 챕터 2는 없다.
특이점이 있다면 다른 시리즈가 원작과 똑같이 Version의 약자인 V를 쓰는데 반해 해당 시리즈는 챕터(Chapter)를 쓴 다는 것이 있고 제작자가 자캐딸에 눈치를 안 보는지(...) 제작자 본인의 오너캐를 작품에 폴로로 한번 씩은 등장시키고 작품 외적으로도 제작자가 GIFfany[28]라는 캐릭터를 좋아하는지 이 캐릭터도 꾸준히 폴로로 등장시키고 있다. 그 외에도 상술한 Frostbite 시리즈에서 등장한 바 있는 호세(Jose)라는 폴로도 제작자 본인이 성우를 맡아서 보컬로 등장시키고 있다.
시리즈 중에서 가장 유명한 것은 The Mandela Catalogue을 테마로 한 챕터 3로[29] 노래가 꽤 좋은 편이고 꽤 오랜 시간 업데이트를 거쳐서 완성되었기에 완성도가 높은 편이다. 제작자 본인도 해당 챕터를 기반으로 20분 짜리 믹스를 만든 적이 있다.
4.16. Ozzybox 시리즈
제작자는 Eggfinite. 시리즈 중 제일 유명한 모드는 Terrors이며, 인터넷의 유명한 크리피파스타들이 나온다.4.17. Elementibox 시리즈
Cool As Ice |
Warm Like Fire |
Dusty Like Air |
Mild As Spring |
제작자는 HarrysHorribleHumor[30]
자연과 그 요소를 주제로 만들어진 시리즈로 각각 얼음, 불, 공기, 봄이 주제다.
원작의 인터페이스를 싸그리 갈아엎고 만들었기에 퀼리티가 매우 높고 캐릭터들도 개성이 매우 높아 스프런키가 유행하면서 덩달아 같이 유행하기도 했었다. 다만 스프런키 유행에 편승한답시고 일부 찌질이들이 본작에 있지도 않은 공포 버전 같은 가짜 모드를 제작해서 유포한 것이 유튜브에 퍼졌고 해당 가짜 모드 영상에 낚인 잼민이들이 제작자한테 공포 버전은 어떻게 하냐 같은 되도 않는 질문 폭격을 해서 제작자가 고생하기도 했다. 또한 앞선 공포 버전같은 가짜 모드들이 판을 치면서 제작자가 코크레아에 있던 링크를 삭제한 뒤 itch.io에 재업로드했으나 2025년 2월에 SB3 파일이 유출되자 itch.io에서도 삭제되어 현재는 플레이할 방법이 없다.[31]
4.18. 기타 모드
별도의 시리즈화가 되어 있지 않은 단편 모드들을 다룬다.- Bit By Bit - 호러 기반의 8비트 모드 음성과 폴로는 물론이고 인터페이스까지 전부 8비트화 되어있다.,
- Hijinks - 서커스단을 테마로 하고 있는 모드, 보너스까지 있는 등 완성도가 꽤나 높다. 폴로들에 대한 로어도 있는데, 게임의 분위기에 비해 스토리가 상당히 어둡다.
- Lomando[32] - 팬시 아일랜드를 테마로 한 호러 모드, 음악의 완성도가 높고 등장하는 폴로들도 원작에서 등장하는 귀신들이 모티브이며 홈페이지에서 낚시용으로 나오는 네코미미 캐릭터도 폴로로 등장한다.
- Melophobia - 연구실같으면서도 목숨을 거는 게임의 테마를 하고 있는 모드. 특히 보너스도 거의 고퀄이고 일렉트로 멜로디랑 보이스가 음악에 조화를 내준다.
- Deadline - 아티스트 Bop!이 제작하여 itch.io에 업로드한 모드, 스크래치나 Gandi IDE로 제작하지 않고 제작자가 인터페이스 등을 직접 수제로 제작했는지 음악이나 애니메이션 등의 퀄리티가 매우 높고 등장하는 폴로들도 개성이 매우 높은 편이다. 또한 스프런키처럼 전용 위키아가 있다. 참고로 타이틀 제목이 incredibox가 아니라 incredibop인데 제작자가 자신의 닉네임을 사용해서 만든 말장난
- FSCore - 제작자는 Sprunked의 제작자인 draker, 스프런키 팬덤 디스코드 서버인 Sprunki FS를 바탕으로 제작하였으며 Sprunked 원작에서 그레이가 내던 이펙트를 기준으로 곡을 전체적으로 리믹스했다. 이쪽도 분위기가 상당히 병맛인데 농구공을 미친듯이 튀기는 실사 영상이 폴로로 나오질 않나, 사진의 배경 삭제를 대충해서 폴로의 사진에 계단 현상이 대놓고 보이는 등 일부러 대충 만들면서 병맛도 최대한으로 살린 작품
- Kematian - 공포 모드인데 분위기가 괴기하다 못해 징그러운 수준이다. 마치 내장을 연상시키게 하는 배경에 하는 노이즈가 심하게 껴있으며 폴로들도 원작의 그 모습이 아닌 괴기한 사진을 크게 한 뒤 가져다 붙였다.[33] 다만 노래가 좋다 못해 매우 흥겨워서 전반적인 평가는 상당히 높다.
4.18.1. SPRUNKI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SPRUNKI#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SPRUNKI#|]][[SPRUNKI#|]]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18.2. Mustard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Mustard(인크레디박스)#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Mustard(인크레디박스)#|]][[Mustard(인크레디박스)#|]]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18.3. FiddleBops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FiddleBops#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FiddleBops#|]][[FiddleBops#|]]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 자바 스크립트를 사용한 모드들은 대부분 원작의 애플리케이션 기준으로 제작이 되기 때문에 인터페이스가 원작과 완전히 같지만 스크래치 계열의 모드들은 대부분 상술한 incredibox_demo가 공유한 템플릿을 기준으로 제작이 되었기 때문에 이 두 모드 간의 차이는 꽤 확실하다.[2] 유일한 스크래치 모드이다.[3] 데이브의 클론이라 0살이다..[4] orin ayo 멜로디 5의 인물.[5] 대부분 데이브의 실험체들이 데이브랑 이름이 똑같은 경우가 많다. 진짜 데이브를 제외하면 총 5명이다.[6] voice 5에 이스터에그가 있다. voice 5 아이콘으로 계속 깨우면 voice 5가 검정화면을 뒤덮어 갑툭튀를 시킨다.[7] Sepbox시리즈 중 가장 큰 인기를 자랑하는 모드이며, 이에 새로 리메이크 된 시리즈도 나왔다.#[8] 이때부터 퀄리티가 눈에 띄게 늘었으며, 테마 또한 기존과 완전히 대조되는 판타지 스타일의 테마로 이루어진게 특징이다. 특이사항으로 게임 중에 anarchy를 입력하면 해금되는 히든 폴로가 있다(뜻은 난세이다...).[9] orin ayo effect5[10] 아마 void의 이펙트3번 패러디인듯[11] orin ayo,INTO the STUPIVER,Breakthrough[12] 악셀은 v2까지는 정상적으로 나오다가 v3에서는 처음 배치하면 정상적으로 등장하나 싶더니 마우스를 내려 퇴장시키면 갑자기 종소리와 함께 돌연사한다.(...) 이후 아이콘과 폴로가 비석으로 바뀌며 다시 배치시키면 폴 워커의 추모곡인 See You Again의 배속된 버전이 재생된다. 비석에 '애니맨 스튜니오의 엑셀, 항상 할렘의 전망을 좋아했었음'이라고 쓰여 있는 건 덤(...), v4에서는 v3에서 죽은 걸 암시했는지 아예 천사로 등장(...)[13] 번역하면 '갈증해소 맨' 정도가 된다. 오너캐도 히어로 복장을 입고 있는 근육질의 물방울인데, 유튜브 채널 설명에 따르면 인터넷에서 목이 마른 멍청이들에게 물을 공급해 준다고(...)[14] 정확히는 미스터 비스트가 팔을 벌리는 장면으로 유명한 미스터 비스트 vs 오징어 게임 랩 배틀 영상에서 나온 랩을 배속한 음성이 나오며 폴로의 생김새를 자세히 보면 진짜 미스터 비스트가 아니라 해당 랩 배틀 영상에서 미스터 비스트를 연기한 사람의 외형을 따왔다.[15] 제목에서 말하는 조는 세계관이 같은 Trillybox 시리즈의 V2 버전인 Bupkis에서 등장하는 4번째 보이스 폴로의 이름이다. 후술할 외전인 The Night with the Scatposters의 엔딩에서 배경이 되는 주유소를 불태우다가 도리토스 로드와 대치하며, 전작의 3번째 보너스에서도 사건을 해결한 폴로들을 뉴스로 지켜보는 등 흑막이라는 느낌을 물씬 풍긴다.[16] Baggerhead 채널의 장본인이다.[17] 제작자가 공식적으로 1티어로 꼽은 모드이다.[18] 응, 아니야 정도로 보면 된다.[19] 심지어 천왕성의 히든 캐릭터는 인크레디박스 리뷰 유튜버인NeesterHere을 그대로 박제시켰다.[20] 현재 리메이크 작도 나왔다.[21] 살인마라고 볼수도 있다[22] 또한 괴물 버전의 케신과 인간 케신은 다른 존재이다. 아마도 그러한 스토리가 있을 듯.[23] v3땐 인간 케신이 좀 나이를 먹어서 주름졌다.[24] 현재 이 문서의 챕터 1은 리메이크되었고 리메이크 전엔 이랬다.[25] 이전 버전때는 위티의 발리스틱과 비슷하다는 평이 많았다.[26] 영상의 버전은 업데이트 이전 버전으로 현재 버전과 달리 일부 폴로의 움직임이 없으며 4개의 보너스 폴로가 없다.[27] 후술할 머스타드 모드에서 레몬 데몬의 목소리를 맡았다.[28] 원래 그래비티 폴즈에 등장했던 일애니풍의 단역 캐릭터인데 FNF에서 모드로 나오면서 이쪽으로도 인기를 끌었다. 참고로 해당 캐릭터는 그래피티 폴즈의 국내판에서 '미소'라는 이름으로 로컬라이징되었는데 국내에서는 원판의 이름을 음역한 '기파니'로 자주 부르는 편이다.[29] 테마가 테마이기에 마크 히스클리프도 폴로로 등장한다. 위 영상 썸네일에서 오른쪽에 보이는 눈을 붕대로 감은 폴로가 바로 마크[30] 대표작으론 Russian alphabet Lore reloaded, 줄이면 RALR. 하지만 RALR은 현재는 다른 사람이 제작자가 되었으며 이조차도 현재는 취소되었다.[31] 사실 코크레아에 경우는 비공개만 된것이라서 링크가 있다면 언제든 플레이할 수 있다. 단, Cool as Ice는 코크레아의 업로드된 게임이 itch.io로 재업로드 되었음을 알리는 것으로 대체되어서 플레이할 수 없다.[32] 해당 버전은 코크레아에 올라온 복원판이며 원작은 스크래치에 올라와 있었으나 상술한 저작권 신고 때 삭제되었다가 아직도 복구되지 않았다.[33] 하도 괴기하다 보니 NeesterHere는 이걸 플레이하고 <어거스트 언더그라운드>랑 <학살된 구토 인형들>이랑 비교했는데 고어물 등급표 최하층에 위치한 그 영화들 맞다. 그 만큼 괴기하다는 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