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SPRUNKI/모드|SPRUNKI/모드]]
1. 개요
SPRUNKI의 모드들 중 리스킨 모드들을 서술한 문서.모든 리스킨 모드들은 애당초 다른 모드를 그대로 가져와 이름만 바꾸고 나오기에 스프런키 팬덤 중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 팬덤 모두, 심지어 SPRUNKI 원작자도 리스킨 모드를 좋아하지 않는다.
1.1. Sprunkstard(머스타드 모드)
링크
Colorbox 패러디 모드 Mustard가 원작인 모드이다. 캐릭터들이 전부 머스타드 색으로 변하고 소리도 바뀌었다. 갤러리에 따르면 핑키의 생일파티에 쓸 머스타드를 찾던 중, 브러드가 머스타드 '같은 것'을 가져와서 모두가 맛을 보고 다 먹어버린 것 같다. 핑키는 머스타드 때문에 자신의 생일파티가 망해서 빡친 것으로 보인다. 컬러박스 머스타드 모드의 사운드는 그대로고 단지 외형만 스프런키에 대입한 것. 여담으로 SPRUNKED 모드와 비슷하게 미스터 썬이 초기화 버튼을 누르면 안 내려갈 때도 있다.
원작 머스타드의 '올 스타즈' 폴로들은 스프런키가 아닌 다른 외형으로 나오는데 전부 모드 제작자가 패러디를 목적으로 넣은 폴로들이다.
- 엉클 샘소나이트로 등장하는 폴로는 헤드폰을 끼고 있는 얼굴이 일그러진 원작의 폴로인데 해당 폴로는 병맛 모드인 Trillybox V3 'Pollywog'에 나오는 보이스 2번 폴로를 그대로 가져온 것이다.
- 바트맨으로 등장하는 폴로는 Friday Night Funkin'의 모드인 literally every fnf mod ever (Vs bob Week)에 등장하는 메인 캐릭터인 밥(bob)으로 해당 모드에서는 정장과 중절모를 착용하고 있다. 바트맨을 배치한 후 외형이 바뀌는 폴로들의 외형은 오피밥.[1]
- 웹드라이버 토르소로 등장하는 폴로는 해당 모드를 제작한 Ploybin5 본인의 오너캐이다. 캐릭터의 일러스트가 깨진 것이 특징
- 플래시 모노리스로 등장하는 폴로는 원작 V1 오리지널에 등장했던 초기형 폴로에 해상도를 낮춘 것이다.
- 테런스와 필립 폴로는 외형 자체를 스프런키로 바꾼 것 외에는 큰 차이는 없다
1.2. Sprunki Ketchup 2.0(케첩 모드2)
- 모드 썸네일 (열람 주의) [펼치기 · 접기]
링크
원작은 Solarbox V4 Mars. 어찌 보면 공포인 모드로[2], 게임에 들어가면 경고문이 나온다.
스프런키들의 대부분이 이상한 모습으로 변했고, 그 중 웬다의 상태가 가장 심각하다. 원조 스프런키들 중에서는 클루커, 더플, 블랙이 제일 정상이다.
- [ 캐릭터 목록 펼치기 · 접기 ]
- 케첩 모드에서 먼저 나오는 순서대로가 아닌, 원작에서 먼저 나오는 순서대로 캐릭터들의 상태를 적었다.[케첩모드에서의_캐릭터_구성]
오렌 - 한쪽 눈이 사각형 모양으로 뚫렸고, 그 뚫린 구멍에서 투명한 액체가 흘러나온다. 겁에 질린 모습으로 두 눈을 왔다갔다, 입을 오므렸다 벌렸다 하면서 연주하는데, 연주 시 구멍 안에서 빨간 불빛이 나타난다.
레디 - 양쪽 눈이 다 이상하게 변했다. 눈동자가 하얗게 빛나고 있다. 입을 벌리면서 연주를 하는데, 오렌의 소리와 비슷하지만 박자는 다르다.
클루커 - 몸이 케첩과 비슷한 색으로 변했다. 심벌즈를 왔다갔다 하면서 연주한다. 다만 소리는 심벌즈가 아니다.
펀 봇 - 한쪽 눈과 입이 사라졌다. 남아있는 한쪽 눈을 왔다갔다 하면서 웅장한 북소리를 낸다.
비네리아 - 머리카락이 검은색으로 변했다. 연주 시 입을 쩍 벌리는데, 입 안에 눈이 들어있다. 연주 시엔 그 눈이 양쪽으로 움직이면서 펀 봇보다 조금 더 빠른 박자로 북소리를 낸다.[4]
그레이- 눈이 무언가로 가려졌다. 연주 시 홀로그램 처럼 몸이 이상해 진다. 눈을 재외하면 정상이다. 상태는 생존으로 추정된다.
브러드 - 다른 스프런키들과 다르게 몸이 회색이고, 머리에 빨간 원통이 있다. 연주 시 드럼 같은 큰 소리를 내며 눈이 돌아가고 머리에 있는 빨간 원통이 밝아지면서 위로 살짝 올라간다.
가놀드 - 고글이 깨져서 눈 하나가 드러났다. 불안한 표정으로 얼굴을 왔다갔다 하며 연주한다.
오왁크스 - 몸이 빨간색으로 뒤덮였다. 바람 빠지는 소리로 1차, 입 안에서 눈이 나오면서 2차로 연주를 한다.
스카이 - 눈을 감고 있는 건지 눈이 사라진 건지 눈 색이 검은색이다. 기타 소리를 내며 연주하는데, 연주시 오른쪽 눈에서 기타 관련된 하얀색 그림들이 나타난다.
미스터 썬 - 놀란 표정을 짓고 있다. 얼굴을 왔다갔다 하며 연주를 하는데, 이때 눈이 흘러내리는 걸 볼 수 있다.
더플 - 뿔 사이에 줄을 메달고 있으며, 그 줄을 튕기면서 기타소리 같은 걸 연주한다. 사실 기타 소리를 내는 건 스카이와 똑같다. 하지만 스카이는 멜로디를 크게 연주하고 더플은 반주 느낌으로 조용히 연주한다는 게 차이점이다.
미스터 트리 - 얼굴에 구멍이 뚫려있다. 구멍 안에 입이 있으며, 눈도 달려있다. 입을 흔들면서 연주한다.
사이먼 - 눈이 흰색 액체로 변해서 녹아내리고 있다. 바이올린 같은 걸 연주하는데, 연주 시 눈이 빨간색으로 깜빡거린다.
터너 - 오른쪽 눈의 눈동자가 빨간색으로 빛난다. 눈을 굴리고 얼굴을 왔다갔다 하면서 웃는 얼굴로 연주한다.
미스터 펀 컴퓨터 - 화면이 꺼져있다. 몸을 이리저리 움직이고, 눈과 관련된 하얀색 그림들을 화면에 띄우면서 연주한다. 소리는 고장난 기계음 소리.
웬다 - 꺼내자마자 모자이크 처리가 되어 있으며, 눈에서 피눈물이 나고 눈 색은 검은색으로 변했다. 연주 시 몸을 뒤틀면서 웃음소리 같은 것을 낸다.
핑키 - 얼굴이 검은색 그림자로 가려져 있어 입과 몸통만 제대로 볼 수 있다. 입을 움직이면서 높은 목소리로 노래를 하는데, 원작의 핑키처럼 박자에 맞춰 끊어 부른다.
제빈 - 얼굴에 눈알이 하나 박혀있다. 눈알을 굴리면서 높은 목소리로 노래를 한다.
블랙 - 넥타이가 빨간색이 된 것 이외에는 해피 버전 블랙 상상도의 모습과 달라진 게 없다. 눈알을 굴리며 높은 목소리로 노래를 한다.
이름 불명의 엑스트라 캐릭터가 한 명 있다. 아이콘은 화면 상단에 위치해 있다. 머리 한쪽에 모니터를 달고 있고, 눈 한쪽을 붕대로 감고 있다. 위에 나오는 제빈, 핑키, 블랙처럼 높은 목소리로 노래를 한다.
1.3. Sprunki_GREENCORE EDITION(그린코어 모드)
링크원작은 colorbox yellow. 이 모드는 특이하게 호러 모드가 없고 대신 위에 캐릭터 2명이있다. 또한 배경이 초록빛인 모드다. 대부분은 생존했지만 그레이는 입에 테이프가 붙어있고, 사이먼은 몸통과 눈에 파이프가 찔려 죽었다.[5]
위의 케첩처럼 폴로들의 이름까지 싹다 바꿔서 가져왔다(...)
1.4. Sprunki corruptbox (스프런키 감염박스)
감염박스 2 링크감염박스 3 링크
아이콘 순서가 다르다. Sprunki corruptbox 2는 모습이 아예 똑같다(...) 생존자는 스카이, 그레이, 웬다, 터너, 오왁크스다. 사망한 캐릭터는 사이먼,[6]브러드,[7]레디, 클루커, 비네리아, 더플, 미스터 썬,[8]미스터 트리다. 부상 입었지만 생존한 캐릭터나 죽기 직전인 캐릭터는 펀 봇(추정), 가놀드, 핑키다. 비정상으로 변하거나 감염된 캐릭터는 오렌, 미스터 펀 컴퓨터, 블랙, 제빈이다. Sprunki corruptbox 3에 생존자가 많다. Sprunki corruptbox 3에 생존자는 펀 봇, 클루커, 그레이, 웬다, 제빈, 리테이크 사이먼, 미스터 펀 컴퓨터, 리테이크 핑키, 더플, 하얀 기타드는 캐릭터, 사용되지않는 캐릭터 나온 눈에 붕대를 감은 캐릭터다. 부상을 입었으나 죽기직전인 캐릭터는 스카이, 터너, 가놀드(추정)다. 사망한 캐릭터는 사이먼, 레디, 오렌, 비네리아, 오왁크스, 브러드다. 감염된 캐릭터는 블랙, 핑키, 미스터 트리, 미스터 썬이다.
여담으로 감염박스 4가없고 5가 있는데 원래 스프런키 호러와 감염박스 3를 합친 혼종이다.
1.5. Sprunksomnia(스프런크썸니아)
링크원작은 Alex Sans 의 Incredibox : insomnia. 스프런키들이 불면증에 걸린 리스킨 모드이다.
1.6. 쿨 애즈 아이스/콜드 애즈 프로스트 모드[9] (스프런키 )
기존에 있던 다른 캐릭터들을 스프런키 모드 바꿔 만든 것이다.얼음과 같은 연하늘 색만으로 색이 대체되어 있다.
1.7. Sprunkilairity (스프런킬래리티)
플레이 링크많은 스프런키들이 잔인하게 죽거나 살해한 모드이니 플레이 주의
- [ 캐릭터 목록 펼치기 · 접기 ]
- [10]
-오렌: 오른쪽 눈동자가 이상한 모양으로 바뀌었다. 생존 추정.
-레디: 얼굴이 녹아내린다. 사망 추정.
-클루커: 왼쪽 눈이 감염됬다. 생존 추정.
-펀 봇: 화면에 별표 모양이 뜬다. 감염 추정.
-비네리아: 목걸이?를 걸고있고 한쪽 눈엔 돌이 박혀있다. 사망 추정.
-그레이: 그레이를 연주하게 만든 다음, 아이콘이 있었던 자리에 wood라고 쓰여있는것을 보아,얼굴에 원통 모양 주황색 나무 판자가 박혀있는것 같다. 생존 추정.
-브러드: 얼굴이 꺼매졌고, 사시가 아니다! 감염 추정.
-가놀드: 노래할때 엄청나게 움직이고, 슈트 왼쪽에 검은 눈이 생겼고, 입에서는 검은 엑체를 토한다. 감염 추정.
-오왁크스: 전기톱을 들고 피가 묻어 있다. 생존 추정.
-스카이: 몸이 두개로 나뉘었다. 왼쪽과 오른쪽의 몸이 다른 폴로로 되어있다. 한쪽은 썩었다. 각각 사망, 감염 추정.
-미스터 썬: 어떨때는 생존이고, 어떨때는 감염이다. 생존일때는 놀란 표정에 입꼬리가 내려가 있고 감염일때는 검은 외눈 박이다. 생존+감염 추정.
-더플: 눈이 페이즈 3 스카이처럼 가려졌다. 가끔씩 웃는다. 감염 추정.
-미스터 트리: 누구한테 몸이 베인것 같다.(호러사이먼?)감염+사망 추정.
-사이먼: 호러 버전 레디처럼 교수형을 당했다. 사망 추정.
-터너: 완벽히 감염되었다. 이 모드의 살인마다.[11] 감염 추정.
-미스터 펀 컴퓨터: 화면이 기괴한 눈으로 도배되었다. 감염 추정.
-웬다: 몸에 줄이 걸려있고 눈이 3개가 되었다. 이상한 말을 하나 해석은 불가능 하다 봐야한다. 감염 추정.
-핑키: 머리 윗쪽과 몸이 잘렸다. 사망 추정.
-제빈: 흑백 계열로 바꿨다. 눈이 발광한다. 생존 추정.
-블랙: 없다.[12]
[1] 휴먼은 마드(외형이 바뀌는 폴로도 동일)[2] 애초에 해당 모드가 공포 컨셉과 연관 되니 당연지사.[케첩모드에서의_캐릭터_구성] (윗줄부터)
오렌-레디-클루커-펀봇-비네리아-그레이-가놀드-스카이-오왁크스-터너-미스터 트리-미스터 썬-더플-사이먼-웬다-제빈-핑키-블랙-미스터 펀 컴퓨터[4] 여담으로 비네리아의 소리의 원본은 보너스 캐릭터인 닥터 시어도어다.[5] 사이먼은 마지막 부분쯤에 파이프에 찔리지않은 한 쪽눈으로 눈물을 흘린다.[6] 이상한 까만것이 있는데 감염 가능성이 높다. 짐승이 포효하는 듯한 소리를 낸다.[7] 누군가 꽁꽁 얼려 사망했다.[8] 전기로 사망했다.[9] 팬이 제작한 호러 모드이다.[10] 캐릭터 순서가 다르다 오렌, 비네리아, 클루커,펀 봇,레디,그레이, 오왁크스, 브러드, 핑키, 가놀드, 미스터 트리, 터너, 더플, 미스터 썬, 사이먼, 스카이(오른쪽, 왼쪽), 웬다, 미스터 펀 컴퓨터, 제빈순 이다.캐릭터 목록은 원작의 순서대로 서술한다[11] 죽이거나 감염시킨 스프런키는 레디, 펀 봇, 비네리아, 브러드, 가놀드, 스카이, 미스터 썬, 더플, 미스터 트리, 사이먼, 미스터 펀 컴퓨터, 웬다, 핑키와 자기 자신인 터너 까지 15명이고 (스카이는 2명이어서) 외상을 입은 스프런키는 오렌, 클루커, 그레이로 3명이다.[12] 스카이가 2개로 나눠져서 블랙 자리가 사라졌다
오렌-레디-클루커-펀봇-비네리아-그레이-가놀드-스카이-오왁크스-터너-미스터 트리-미스터 썬-더플-사이먼-웬다-제빈-핑키-블랙-미스터 펀 컴퓨터[4] 여담으로 비네리아의 소리의 원본은 보너스 캐릭터인 닥터 시어도어다.[5] 사이먼은 마지막 부분쯤에 파이프에 찔리지않은 한 쪽눈으로 눈물을 흘린다.[6] 이상한 까만것이 있는데 감염 가능성이 높다. 짐승이 포효하는 듯한 소리를 낸다.[7] 누군가 꽁꽁 얼려 사망했다.[8] 전기로 사망했다.[9] 팬이 제작한 호러 모드이다.[10] 캐릭터 순서가 다르다 오렌, 비네리아, 클루커,펀 봇,레디,그레이, 오왁크스, 브러드, 핑키, 가놀드, 미스터 트리, 터너, 더플, 미스터 썬, 사이먼, 스카이(오른쪽, 왼쪽), 웬다, 미스터 펀 컴퓨터, 제빈순 이다.캐릭터 목록은 원작의 순서대로 서술한다[11] 죽이거나 감염시킨 스프런키는 레디, 펀 봇, 비네리아, 브러드, 가놀드, 스카이, 미스터 썬, 더플, 미스터 트리, 사이먼, 미스터 펀 컴퓨터, 웬다, 핑키와 자기 자신인 터너 까지 15명이고 (스카이는 2명이어서) 외상을 입은 스프런키는 오렌, 클루커, 그레이로 3명이다.[12] 스카이가 2개로 나눠져서 블랙 자리가 사라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