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PBC CSKA 모스크바 | |
ПБК ЦСКА Москва P.B.C. C.S.K.A. Moscow | |
<colbgcolor=#213f9a> 정식 명칭 | Профессиональный Баскетбольный клуб ЦСКА Москва(프로 농구단 체스카 모스크바)[1] |
애칭 | Кони/Koni(말), Красно-синие/Krasno-sinie(적청), Армейцы/Armeytsy(군인) |
창단 | 1923년 4월 29일 |
소속 리그 | VTB 유나이티드 리그(Единая лига ВТБ/VTB United League) |
연고지 | 러시아 모스크바 |
홈 구장 | 메가스포츠 아레나(Megasport Arena, 13,344명 수용)[2] |
회장 | 안드레이 바투틴(Andrey Vatutin) |
감독 | 디미트리오스 이토우디스(Dimitrios Itoudis) |
주장 | 카일 하인스(Kyle Hines) |
링크 | |
우승 기록 | |
유로리그 (8회) | 1960-61, 1962-63, 1968-69, 1970-71, 2005-06, 2007-08, 2015-16, 2018-19 |
소련 농구 리그(1부) (24회/최다 우승) | 1944-45, 1959-60, 1960-61, 1961-62, 1963-64, 1964-65, 1965-66, 1968-69, 1969-70, 1970-71, 1971-72, 1972-73, 1973-74, 1975-76, 1976-77, 1977-78, 1978-79, 1979-80, 1980-81, 1981-82, 1982-83, 1983-84, 1987-88, 1989-90 |
러시아 농구 리그(1부) (26회/최다 우승) | 1992, 1992-93, 1993-94, 1994-95, 1995-96, 1996-97, 1997-98, 1998-99, 1999-00, 2002-03, 2003-04, 2004-05, 2005-06, 2006-07, 2007-08, 2008-09, 2009-10, 2010-11, 2011-12, 2012-13, 2013-14, 2014-15, 2015-16, 2016-17, 2017-18, 2018-19 |
VTB 유나이티드 리그(1부) (10회/최다 우승) | 2008, 2009-10, 2011-12, 2012-13, 2013-14, 2014-15, 2015-16, 2016-17, 2017-18, 2018-19 |
소련 농구 컵 (3회/최다 우승) | 1971-72, 1972-73, 1981-82 |
러시아 농구 컵 (4회/최다 우승) | 2004-05, 2005-06, 2006-07, 2009-10 |
CSKA 모스크바 팀 목록 | ||
축구 | 풋살 | 비치사커 |
농구(남) | 농구(여) | 핸드볼 |
배구(남) | 배구(여) | 밴디 |
수구 | 아이스하키 | 피겨 스케이팅 |
1. 개요
러시아의 종합 스포츠 클럽 CSKA 모스크바의 산하 프로 농구 클럽이다. VTB 유나이티드 리그 소속이며, 유로 리그에도 소속되어 있었다. 그러나 2022년 2월 28일, 유로 리그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해 모든 러시아 팀의 출전을 정지시켰다.CSKA는 유럽의 주요 클럽 대회인 유로리그에서 2006년부터 2008년까지, 그리고 2016년부터 2019년까지 두 차례의 우승을 획득했으며, 이 기간 동안 모든 시즌에 결승에 진출했을 뿐만 아니라 21세기 들어 총 18번 유로리그 파이널 포에 진출했다. CSKA는 VTB 유나이티드 리그에서 지배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지금까지 3번을 제외한 모든 타이틀을 획득했다. 유로리그 챔피언십 8회, NEBL 챔피언십 1회, 국내 리그 챔피언십 53회, 국내 컵 7회, 국내 슈퍼컵 2회, 그리고 VTB 유나이티드 리그 타이틀 12회 우승을 모두 이뤄냈던 러시아(구 소련)에서 가장 성공적인 농구팀이었으며, 유럽에서도 가장 성공적인 농구팀 중 하나였었다.
소비에트 연방 시절부터 러시아 농구의 독보적인 강팀으로 군림하고 있다. 소련 리그에서는 1923-24 시즌부터 1991-92 시즌까지 24번 우승했고(2위 잘기리스 5회 우승), 알렉산드르 고멜스키(1928~2005)[3] 같은 명장들과 알렉산더 벨로프, 세르게이 벨로프, 안드레이 키릴렌코 등 유명 선수들도 이 팀을 거쳤다.
유럽 유로리그에서도 8회 우승, 6회 준우승을 기록해 레알 마드리드(11회 우승)에 이어 2번째로 많은 우승을 차지하였으며, 2001년 대회 개편 이후엔 가장 좋은 누적 기록을 보유하고 있었다.
그러나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기존 선수들이 대거 이탈하고 유로리그에서 추방을 당해 현재는 구단의 존립이 불투명한 상황에 놓였다.
2. 역사
1923년 4월 29일에 창단된 CSKA는 초기에는 OPPV(러시아어: Опытно-показательная военно-спортивная площадка всевобуча)라는 이름으로 알려졌다. 이 명칭은 소련군 최초의 중앙 스포츠 부서를 의미하며, 창립 당시에는 모스크바 시 내 군인들과 스포츠맨들이 축구 경기에서 1위를 놓고 경쟁하는 형태였다. CSKA의 뿌리는 혁명 이전의 '아마추어 스키어 공동체'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이러한 배경 속에서 클럽은 군대와 밀접한 연관을 가지고 성장했다.농구부의 첫 성공은 1924년 소련 리그 챔피언십에서 이루어졌는데, 이 당시 경기는 클럽 간이 아닌 도시 간의 경쟁 형태였다. 이후 1928년과 1935년에 추가 우승을 거두며 점차 명성을 쌓아갔다. 1938년부터는 소련 리그 챔피언십이 클럽 간 경기로 전환되었으며, CSKA는 당시 CDKA(Центральный дом Красной Армии, 붉은 군대 중앙 본부)라는 이름으로 데뷔했다. 이 시기에 스탈린의 아들 바실리가 설립한 VVS MVO(Военно-Воздушные Силы Московского Военного Округа) 클럽과 합병하면서 팀의 규모와 영향력을 확대했다. 제2차 세계대전(대조국전쟁) 종전 무렵, CSKA는 소련 내에서 가장 존경받는 농구팀 중 하나로 자리잡았다.
1953년과 1954년 사이에는 클럽 이름이 CDSA(Центральный дом Советской Армии, 소련군 중앙 의회)로 변경되었고, 1955년부터 1960년까지는 CSK MO라는 이름을 사용했다. 1960년에 이르러 현재의 이름인 CSKA(Центральный спортивный клуб Армии, 육군 중앙 스포츠 클럽)를 공식적으로 사용하기 시작했다.
CSKA는 1961년, 1963년, 1969년, 1971년에 FIBA 유럽 챔피언스컵(현재의 유로리그)에서 우승을 차지하며 유럽 농구 무대에서 강력한 존재감을 과시했다. 또한 소련 리그 챔피언십에서도 1945년부터 1990년까지 총 24차례 우승을 기록하며 국내 최강팀의 위치를 공고히 했다.
1992년부터 2000년까지, 그리고 2003년부터 2008년까지 CSKA는 매년 러시아 리그 챔피언십 타이틀을 차지하는 등 압도적인 국내 성적을 유지했다. 이 시기 동안 CSKA는 유로리그에서도 꾸준히 강력한 모습을 보여, 1996년, 2001년, 2003년, 2004년, 2005년 유로리그 파이널 포에 진출했고, 2006년에는 마침내 유로리그 챔피언십 우승을 차지하는 영광을 누렸다.
2004-05 시즌에는 스페인 리그의 강호 타우 세라미카와의 유로리그 준결승에서 패배했고, 파나티나이코스와의 3·4위전에서도 패하며 3위에 머물렀다. 그 해 러시아 리그 결승전에서도 한 경기를 패배했으나 최종적으로는 러시아 리그 우승을 차지했다.
2006년 시즌, CSKA는 유로리그 정규 시즌과 톱 16 그룹에서 각각 3위를 기록하며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2006년 유로리그 파이널 포에서는 터키의 강팀 에페스 필센을 꺾고 8강 시리즈에서 전승(스윕)을 기록한 유일한 팀으로 준결승에 진출했으며, 준결승에서 FC 바르셀로나를 이긴 뒤, 4월 30일 결승전에서는 이스라엘의 마카비 텔아비브를 상대로 승리하며 챔피언 자리에 올랐다. 특히 마카비와의 상대 전적이 마카비에게 유리했음에도 불구하고 이뤄낸 쾌거였다.
다음 해인 2007년에는 그리스 아테네에 위치한 OAKA 실내 체육관에서 열린 유로리그 파이널 포 결승에서 파나티나이코스와 맞붙었으나 패배했으며, 2008년에는 다시 한 번 유로리그 파이널 포에서 우승을 차지하며 유럽 최상위 리그 타이틀을 단독 2위로 올렸다.
2008년 10월 14일에는 NBA 팀인 토론토 랩터스와 토론토 에어 캐나다 센터에서 프리시즌 경기를 치르며 국제 무대에서도 존재감을 과시했다.
CSKA는 2009년부터 2018년까지 매년 러시아 리그 우승을 차지하며, 2003년부터 이어온 러시아 리그 우승 기록을 계속 유지했다. 2008년 VTB 유나이티드 리그가 출범한 이후, CSKA는 이 리그를 장악하며 2008년 리그 승격컵 우승을 제외하고 첫 11시즌 중 10시즌(2010년, 2012년부터 2019년, 2021년)에서 우승을 거두었다.
그러나 유로리그에서의 성공은 CSKA에게 쉽지 않았다. 2009년부터 2011년을 제외하고는 매년 유로리그 파이널 포에 진출했지만, 여러 차례 좌절을 겪었다. 특히 2012년 결승에서는 올림피아코스와의 경기에서 고전했고, 2013년과 2015년에는 조기 탈락했다. 2014년에는 마카비 텔아비브에게 충격적인 패배를 당했다. CSKA는 2010년, 2013년, 2015년에 각각 3위를 차지했다.
2015-16 시즌에 CSKA는 7번째 유로리그 챔피언십 우승을 차지했다. 베를린에서 열린 파이널 포 결승전에서 CSKA 모스크바는 연장전 끝에 페네르바흐체를 101-96으로 이겼다. CSKA의 스타 선수 난도 데 콜로는 시즌 유로리그 MVP와 파이널 포 MVP로 선정되었다. 2016-17 시즌에는 CSKA가 다시 파이널 포에 진출했지만, 준결승에서 올림피아코스에게 패했다. CSKA는 레알 마드리드를 이기고 3위를 차지했다.
2017-18 시즌에는 24승 6패라는 좋은 성적을 거두며 시즌을 마감했다. 그러나 파이널 포에서는 준결승에서 레알 마드리드에게 패했고, 3위 결정전에서 BC 잘기리스에게도 패하며 아쉬운 결과를 남겼다. VTB 유나이티드 리그에서는 2018 파이널 포에서 힘키를 95-84로 꺾고 9번째 우승을 차지했다.
다음 시즌인 2018-19 시즌에는 정규 시즌 준우승을 차지하며 21세기 들어 17번째 파이널 포 진출을 확정했다. 비토리아-가스테이스에서 열린 준결승에서는 레알 마드리드를 상대로 역전승을 거두었고, 결승에서는 아나돌루 에페스를 꺾으며 구단 역사상 8번째 유로리그 우승을 차지했다. 또한 VTB 유나이티드 리그에서도 결승전에서 힘키를 3-0으로 완파하며 우승을 거머쥐었다.
2019-20 시즌에는 변화가 있었다. 디펜딩 챔피언 CSKA 모스크바는 11월까지 안정적인 경기력을 유지했으나, 4연패를 당하며 최악의 경우 6위까지 떨어졌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CSKA를 비롯한 모든 팀은 28라운드 이후 경기가 중단되었고, 승자는 발표되지 않았다. 시즌 중단 당시 CSKA는 VTB 리그 순위에서 힘키에 뒤처져 있었다. 토너먼트 또한 승자가 발표되지 않은 채 중단되었다.
2020-21 시즌에는 CSKA가 유로리그에서 시즌 대부분 동안 선두를 달렸지만, 팀 내 이투디스, 경영진, 그리고 마이크 제임스와의 반복적인 갈등으로 인해 팀 리더였던 제임스가 3월에 팀을 떠났다. CSKA는 이후 순위에서 FC 바르셀로나에 1위를 내주었지만 유로리그 파이널 포까지 진출했다. 그러나 준결승에서 에페스에 패했고, 3위 결정전에서 EA7 엠포리오 아르마니 밀란에게 패하며 4위로 시즌을 마감했다. VTB 유나이티드 리그에서는 정규 시즌을 4위로 마쳤으나, 8강전에서 니즈니 노브고로드를 2-1로, 준결승에서 정규 시즌 우승팀인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를 3-1로, 결승에서 UNICS 카잔을 3-0으로 꺾으며 다시 한번 VTB 유나이티드 리그 우승을 차지했다.
2022년 초,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발발하자 조지아 출신의 토르니케 쉔겔리아가 클럽을 떠났다. 그는 "모두가 어렵거나 큰 결정이었다고 말하지만 그렇지 않았다. 전쟁이 모스크바에서 일어나지 않았음에도 가족이 위협받고 있다고 느꼈다. 전쟁에서는 무슨 일이 일어날지 알 수 없고, 1초면 무슨 일이 일어날 수 있다. 내가 가장 먼저 하고 싶었던 것은 가족을 안전하게 보내는 것이었고, 그래서 나도 떠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독일 출신의 요하네스 보이트만도 "나는 러시아 팀에서 뛰는 것을 받아들일 수 없다. 러시아 대통령은 잔혹한 전쟁에 책임이 있으며, 그로 인해 우크라이나에서 무고한 사람들이 죽고 있다. 수백만 명의 사람들이 집을 떠나야 했고, 특히 어린이들이 집을 잃거나 목숨을 잃고 있다. 나는 러시아에 머물면서 아무 일도 없었던 것처럼 계속 살아갈 수 없었다"고 말했다. 덴마크 출신의 가브리엘 룬드버그, 리투아니아 출신의 마리우스 그리곤, 이탈리아계 미국인 다니엘 핵킷과 러시아계 미국인 조엘 볼롬보이도 모두 팀을 떠났다. 전쟁 시작 하루 전에 CSKA와 계약한 캐나다-슬로베니아인 케빈 팡고스는 팀에 합류하지 않았다. 팀은 이탈이 계약 위반을 의미한다고 모두에게 알렸으며, 2022년 여름에 CSKA 계약이 만료되자 FIBA로부터 올림피아코스 피레우스와 계약하도록 승인서를 받은 조엘 볼롬보이를 제외한 모든 선수와 계약을 종료하기로 합의했다. CSKA는 볼롬보이가 이전에 CSKA 계약을 위반했다며 그를 고소할 의향이 있다고 알렸다.
2022년 2월 28일, 유로리그 농구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해 CSKA를 포함한 러시아 팀들의 출전을 정지시켰다. 2022년 3월 22일, CSKA 모스크바, UNICS 카잔,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는 유로리그에서 실격 처리되었다. 2022년 10월, CSKA 모스크바 회장 안드레이 바투틴은 "구단주와 스폰서들이 위기에 처해 있으며 VTB 리그 참가를 위해 막대한 자금을 지출할 생각이 없다. 따라서 예산이 삭감되었다. 우리는 국제 무대를 떠났고, 따라서 세계 농구에서 CSKA의 역할이 줄어들고 있다"고 밝혔다.
VTB 유나이티드 리그에서 CSKA는 다시 한번 결승에 진출했다. 결승전에서 3-1로 앞서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CSKA는 마지막 세 경기를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연이어 패했고, 제니트가 4-3으로 승리하며 VTB 타이틀을 차지했다. 이는 2010-2011 시즌 이후 처음으로 CSKA가 우승하지 못한 시즌이었다. 그리스 출신의 디미트리오스 이투디스 감독은 제니트와의 마지막 경기에서 패한 직후인 2022년 6월, 계약 기간이 1년 남은 상황에서 팀을 떠났다.
3. 주요 선수
CSKA 모스크바에서 활약했던 스타 선수로는 안드레이 키릴렌코, 테오 파팔루카스, 빅터 크리아파, 네나드 크르스티치, 소니 윔스, 밀로스 테오도시치, 난도 드 콜로, 코리 히긴스, 카일 하인스, 세르히오 로드리게스 등이 있다.4. 경기장
CSKA는 1979년부터 2015년까지 국내 리그 경기와 유럽 리그 경기를 포함한 모든 홈 경기를 5,500석 규모의 Universal Sports Hall CSKA에서 치렀다. 또한 2008년 1월 23일에는 13,344석 규모의 Megasport Arena에서 홈 EuroLeague 경기를 개최했다. 2015-16 시즌부터 CSKA는 VTB 유나이티드 리그 경기에서는 CSKA Universal Sports Hall에서 경기를 치르는 한편, Megasport Arena에서는 정기적으로 홈 EuroLeague 경기를 개최하기 시작했다. 한편 칼리닌그라드에 위치한 Yantarny Sports Palace는 2019-20 EuroLeague 시즌 동안 16강과 17강 홈 경기를 대체 경기장으로 사용되었다.5. 수상 기록
- 국내 대회
- 소련 농구 리그
- 우승: 24(최다)
1944-45, 1959-60, 1960-61, 1961-62, 1963-64, 1964-65, 1965-66, 1968-69, 1969-70, 1970-71, 1971-72, 1972-73, 1973-74, 1975-76, 1976-77, 1977-78, 1978-79, 1979-80, 1980-81, 1981-82, 1982-83, 1983-84, 1987-88, 1989-90 - 준우승: 11
1945-46, 1950-51, 1952-53, 1953-54, 1954-55, 1956-57, 1957-58, 1974-75, 1984-85, 1985-86, 1986-87 - 러시아 농구 리그
- 우승: 27(최다)
1992, 1992-93, 1993-94, 1994-95, 1995-96, 1996-97, 1997-98, 1998-99, 1999-00, 2002-03, 2003-04, 2004-05, 2005-06, 2006-07, 2007-08, 2008-09, 2009-10, 2010-11, 2011-12, 2012-13, 2013-14, 2014-15, 2015-16, 2016-17, 2017-18, 2018-19, 2020-21 - 준우승: 1
2021-22 - VTB 유나이티드 리그(Единая лига ВТБ/VTB United League)
- 우승: 11(최다)
2008, 2009-10, 2011-12, 2012-13, 2013-14, 2014-15, 2015-16, 2016-17, 2017-18, 2018-19, 2020-21 - 준우승: 2
2010-11, 2021-22 - 소련 농구 컵(Кубок СССР по баскетболу)
- 우승: 3(최다)
1971-72, 1972-73, 1981-82 - 러시아 농구 컵(Кубок России по баскетболу)
- 우승: 4(최다)
2004-05, 2005-06, 2006-07, 2009-10 - 준우승: 3(최다)
2002-03, 2003-04, 2007-08 - VTB 유나이티드 리그 슈퍼컵(VTB United League Supercup)
- 우승: 1(최다)
2021 - 준우승: 1(최다)
2022
- 국제 대회
- 유로리그(Euroleague)
- 우승: 8
1960-61, 1962-63, 1968-69, 1970-71, 2005-06, 2007-08, 2015-16, 2018-19 - 준우승: 6
1964-65, 1969-70, 1972-73, 2006-07, 2008-09, 2011-12
- 지역 대회
- 노스 유러피언 바스켓볼 리그(North European Basketball League)
- 우승: 1
1999-00
- 기타 대회
- FIBA 인터내셔널 크리스마스 토너먼트(FIBA International Christmas Tournament)
- 우승: 1
1998 - 고멜스키 컵(Gomelsky Cup)
- 우승: 9(최다)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8, 2019 - 준우승: 2
2009, 2017 - 글로리아 컵(Gloria Cup)
- 우승: 1
2019 - 준우승: 1
2018
[1] ЦСКА(CSKA)는 '체스카'라고 읽는다. 'Центральный спортивный клуб армии(육군 중앙 스포츠 클럽)'의 머리글자다.[2] HC 스파르타크 모스크바와 공용으로 사용한다.[3] 1961~1970, 1977~1983, 1987~1988년까지 각각 3번 소련 국가대표팀을 지휘했으며, 1988 서울 올림픽 결승전에서 미국을 꺾어 금메달을 땄다. 1995년 네이스미스 농구 명예의 전당 및 2007년 FIBA 명예의 전당 헌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