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7 02:30:47

NC 다이노스/2024년/6월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NC 다이노스/2024년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2024 신한 SOL Bank KBO 리그/순위 경쟁
,
,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320><tablebordercolor=#315288><tablebgcolor=#315288> 파일:NC 다이노스 홈 엠블럼.svg NC 다이노스
2024 시즌별 경기
}}} ||
스토브리그 시범경기 3~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2024년도 팀 캐치프레이즈
거침없이 가자, THE ROAD TO GREATNESS
파일:NC2024캐치프레이즈.jpg
6월 7일 기준 성적
순위 승률 승차
6 / 10 28 1 32 0.467 8.0
6월 성적 1 0 4 0.200 마진
-3
시리즈 전적 우세 0 / 동률 0 / 열세 2
시리즈 스윕 승리 0 / 패배 1
최다 연승 1
최다 연패 4
달력 작성용 색깔 모음
홈경기 취소
원정경기
NC 다이노스 6월 일정 및 결과
◀ 5월 1 2
파일:롯데 자이언츠 심볼.svg
롯데
4-2
파일:롯데 자이언츠 심볼.svg
롯데
4-13
3 4 5 6 7 8 9
휴식 파일:두산 베어스 원정 심볼.svg
두산
4-1
파일:두산 베어스 원정 심볼.svg
두산
4-3
파일:두산 베어스 원정 심볼.svg
두산
8-4
파일:한화 이글스 심볼.svg
한화
0-0
파일:한화 이글스 심볼.svg
한화
0-0
파일:한화 이글스 심볼.svg
한화
0-0
10 11 12 13 14 15 16
휴식 파일:kt wiz 심볼.svg
kt
0-0
파일:kt wiz 심볼.svg
kt
0-0
파일:kt wiz 심볼.svg
kt
0-0
파일:삼성 라이온즈 심볼.svg
삼성
0-0
파일:삼성 라이온즈 심볼.svg
삼성
0-0
파일:삼성 라이온즈 심볼.svg
삼성
0-0
17 18 19 20 21 22 23
휴식 파일:두산 베어스 홈 심볼.svg
두산
0-0
파일:두산 베어스 홈 심볼.svg
두산
0-0
파일:두산 베어스 홈 심볼.svg
두산
0-0
파일:SSG 랜더스 심볼.svg
SSG
0-0
파일:SSG 랜더스 심볼.svg
SSG
0-0
파일:SSG 랜더스 심볼.svg
SSG
0-0
24 25 26 27 28 29 30
휴식 파일:키움 히어로즈 베이직 심볼.svg
키움
0-0
파일:키움 히어로즈 베이직 심볼.svg
키움
0-0
파일:키움 히어로즈 베이직 심볼.svg
키움
0-0
파일:LG 트윈스 심볼.svg
LG
0-0
파일:LG 트윈스 심볼.svg
LG
0-0
파일:LG 트윈스 심볼.svg
LG
0-0
▶ 7월

1. 개요2. 5월 31일 ~ 6월 2일 VS 롯데 자이언츠 (사직) : 루징 시리즈
2.1. 6월 1일2.2. 6월 2일
3. 6월 4일 ~ 6월 6일 VS 두산 베어스 (창원) : 피스윕
3.1. 6월 4일3.2. 6월 5일3.3. 6월 6일
4. 6월 7일 ~ 6월 9일 VS 한화 이글스 (대전) :
4.1. 6월 7일4.2. 6월 8일4.3. 6월 9일
5. 6월 11일 ~ 6월 13일 VS kt wiz (창원) :
5.1. 6월 11일5.2. 6월 12일5.3. 6월 13일
6. 6월 14일 ~ 6월 16일 VS 삼성 라이온즈 (창원) :
6.1. 6월 14일6.2. 6월 15일6.3. 6월 16일
7. 6월 18일 ~ 6월 20일 VS 두산 베어스 (잠실) :
7.1. 6월 18일7.2. 6월 19일7.3. 6월 20일
8. 6월 21일 ~ 6월 23일 VS SSG 랜더스 (문학) :
8.1. 6월 21일8.2. 6월 22일8.3. 6월 23일
9. 6월 25일 ~ 6월 27일 VS 키움 히어로즈 (고척) :
9.1. 6월 25일9.2. 6월 26일9.3. 6월 27일
10. 6월 28일 ~ 6월 30일 VS LG 트윈스 (창원) :
10.1. 6월 28일10.2. 6월 29일10.3. 6월 30일
11. 총평

1. 개요

NC 다이노스의 6월 일정은 사직[1]-창원-대전-창원-창원-잠실-문학-고척-창원 순으로 6월 첫째주 일정은 사직 롯데와의 원정 2경기가 있으며, 6월 둘째주 일정은 두산과의 홈 3경기와 대전 한화와의 원정 3경기가 있으며, 6월 셋째주 일정은 kt와 삼성과의 홈 6경기가 있으며, 6월 넷째주 일정은 잠실 두산과 문학 SSG와의 원정 6경기가 있으며, 6월 다섯째주 일정은 고척 키움과의 원정 3경기와 LG와의 홈 3경기가 있으며, 총 26경기 중 12경기가 창원 NC 파크에서 14경기는 원정에서 열린다.

2. 5월 31일 ~ 6월 2일 VS 롯데 자이언츠 (사직) : 루징 시리즈

5월 31일 경기는 5월 문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이 경기부터 일요일 경기는 17시에 진행된다.

2.1. 6월 1일

1군 엔트리 등록ㆍ말소 현황(6월 1일자)
등록 배재환
말소 최성영
NC 다이노스 라인업
1 2 3 4 5 6 7 8 9 SP
2루수 좌익수 지명타자 1루수 우익수 유격수 중견수 포수 3루수 카스타노
박민우 권희동 박건우 데이비슨 손아섭 김휘집 김성욱 김형준 서호철
6월 1일, 17:02 ~ 20:23 (3시간 21분), 사직 야구장 22,758명 (매진) / 취소 경기 누적 횟수 : 4회
선발 1회 2회 3회 4회 5회 6회 7회 8회 9회 R H E B
NC 카스타노 0 1 0 0 0 0 0 2 1 4 10 0 3
롯데 이민석 0 0 0 0 2 0 0 0 0 2 7 2 2
주요기록
결승타 손아섭(8회 1사 3루서 좌익수 희생플라이)
승리 한재승
패배 전미르
홀드 김상수
세이브 김영규
홈런 데이비슨(2회 1점 이민석)
2루타 김민성(2회), 박건우(8회)
실책 최항(2회), 전미르(8회)
도루 황성빈(3회)
도루자 황성빈(3회)
주루사 최항(5회), 고승민(5회)
견제사 레이예스(9회)
병살타 권희동(3회)

경기 하이라이트

2회 데이비슨의 홈런이 있었지만 역전을 허용한 후 타선이 답답한 모습을 보여주며 팬들에게 9연패가 다가왔다는 절망감을 안겨주었었다. 그러나 8회 선두 타자의 출루와 견제 실책으로 무사 2루가 된 상황에서 박건우가 2루타를 때려내며 균형을 맞췄고, 이어 손아섭의 희생플라이로 역전한 후, 9회 말 밀어내기 볼넷으로 1점을 더 얻었다. 이후 김영규가 멀티 이닝 세이브를 성공하며 지긋지긋한 8연패를 탈출했다. 5할 승률 복귀는 덤.

마침내 경기 다운 경기가 나왔었다. 비록 타선은 8회 동점 적시타가 나오기 전까지 아쉬운 모습을 보였지만, 오랜만에 득점권에서 장타를 때려내주었다. 선발인 카스타노는 5이닝 2실점으로 호투를 하였고, 이후 등판한 김재열-한재승-김영규가 4이닝 무실점을 합작해내며 승리를 가져갔다.

작년 엔씨는 5월에 부진했다가 6월에 반등하고 정확히 승률 5할을 기록하는 이른바 '5할수비대'야구를 했었는데, 올해도 6월이 되자마자 귀신같이 선발이 살아나며 연패를 끊고 5할 승률을 지켜내었다.

다만 최근 여러모로 아쉬운 모습을 보이는 권희동과 김형준은 큰 걱정거리이다.

2.2. 6월 2일

1군 엔트리 등록ㆍ말소 현황(6월 2일자)
등록 이용찬
말소 신영우
NC 다이노스 라인업
1 2 3 4 5 6 7 8 9 SP
2루수 좌익수 지명타자 1루수 우익수 중견수 포수 유격수 3루수 신민혁
박민우 권희동 박건우 데이비슨 손아섭 김성욱 김형준 김주원 서호철
6월 2일, 17:01 ~ 20:28 (3시간 27분), 사직 야구장 21,896명 / 취소 경기 누적 횟수 : 4회
선발 1회 2회 3회 4회 5회 6회 7회 8회 9회 R H E B
NC 신민혁 0 2 1 0 1 0 0 0 0 4 10 0 3
롯데 박세웅 0 0 0 2 0 7 3 1 - 13 13 1 5
주요기록
결승타 김민석(6회 2사 만루서 중견수 2루타)
승리 최이준
패배 임정호
홀드 송명기
홈런 고승민(6회 4점 류진욱), 손성빈(7회 3점 배재환)
2루타 데이비슨(2회), 손호영2(4회, 7회), 나승엽(4회), 박건우(5회), 손아섭(5회), 김민석(6회), 박승욱(8회)
실책 손호영(3회)
도루 박민우(6회)
주루사 권희동(3회)
폭투 전사민(8회)
보크 전사민(8회)

경기 하이라이트

5월 31일 경기에서 0이닝 5실점 제로퀵 호러쇼를 선보인 신영우가 말소되었고 이용찬이 등록되었다.

8연패가 선발 투수진의 집단 난조로 손 쓸 새도 없이 무너진 패배였다면 이번 경기야말로 순수 감독 수준 차이로 대역전패를 당하며 연승도, 위닝 시리즈도 달성하지 못했다. 경기 초부터 타자들은 박세웅을 무너뜨리지는 못해도 꾸준하게 득점에 성공하며 결국 박세웅을 4.1이닝 4실점으로 강판시켰고, 신민혁도 경기 초반은 잘 막다가 3회에 연속 4안타를 허용하며 결국 3.1이닝 2실점으로 마운드를 내려가며 양 팀 모두 불펜데이가 되었다.

그러나 여기서부터 양 팀 감독의 수준 차이가 확 드러났는데, 김태형은 전날 단 3구만으로 0.1이닝을 정리한 최이준을 박세웅 뒤에 붙여 2.1이닝 무실점으로 승리 투수가 된 반면, 강인권은 한재승과 임정호가 무너진 상황에서 롯데 상대로 잘하는 것도, 최근에 페이스가 좋은 것도 아닌 류진욱을 올렸고 결국 류진욱이 1할대 대타 김민석에게 역전 싹쓸이 3타점 2루타를 맞고 만루를 채웠음에도 그대로 마운드에 방치했고[2]결국 고승민에게 쐐기 만루포를 얻어맞고 6회에만 7실점, 4:2인 경기를 순식간에 4:9로 터트리는 대역적 짓을 저질렀다. 이후 올라온 패전조들 역시 족족 털리며 4:13으로 금요일 경기와 비슷한 스코어가 되었다.

이날 역전패로 순위가 6위로 떨어졌고 5할 승률도 다시 무너졌다.

3. 6월 4일 ~ 6월 6일 VS 두산 베어스 (창원) : 피스윕

두산 6·7·8차전 (창원)
파일:두산 베어스 원정 심볼.svg 파일:NC 다이노스 홈 심볼.svg
선발 투수
최준호 6차전 하트
곽빈 7차전 김시훈
브랜든 8차전 임상현
경기장소
창원 NC 파크
중계방송사
6차전 파일:KBS N SPORTS 로고.svg
7차전
8차전
파일:KBS N SPORTS 로고.svg (현장중계)
파일:SPOTV2 로고.svg

직전 KIA-롯데전을 1승 5패라는 막장 성적으로 마무리하고[3] 창원에서 두산을 상대한다. 비록 롯데와의 시리즈에서 1승을 거두며 8연패를 끊어냈고, 두산이 잘 나가다가 직전 시리즈에서 잠실 라이벌 LG에게 스윕패로 대차게 깨지며 분위기가 안 좋은 것은 사실이지만 NC가 2위를 지키던 4월~5월 초에도 두산에게 동률-루징 시리즈를 거둘 정도로 두산 상대로도 쉽지 않은 경기를 하고 있는 상황이다.

객관적으로 볼 때 선발 매치업에서 유리한 건 6차전인 하트 vs 최준호 뿐이며, 나머지 2경기는 타선이 터져줘야 이길까 말까한데 현재 3주째 개점 휴업 중인 NC의 타선 상태를 볼 때 어림도 없는 상황이다. 바꿔 말하면 1선발 하트를 내고도 첫 경기를 진다면 또 다시 스윕패를 걱정해야 할지도 모른다.

3.1. 6월 4일

1군 엔트리 등록ㆍ말소 현황(6월 3일, 4일자)
등록 김태현
말소 임정호
NC 다이노스 라인업
1 2 3 4 5 6 7 8 9 SP
2루수 중견수 지명타자 1루수 우익수 3루수 좌익수 포수 유격수 하트
박민우 최정원 박건우 데이비슨 손아섭 서호철 김성욱 김형준 김주원
6월 4일, 18:30 ~ 22:45 (4시간 15분), 창원 NC 파크 5,448명 / 취소 경기 누적 횟수 : 4회
선발 1회 2회 3회 4회 5회 6회 7회 8회 9회 10회 R H E B
두산 최준호 0 0 0 0 0 0 1 0 0 3 4 12 0 6
NC 하트 0 0 0 0 0 0 0 0 1 0 1 6 2 9
주요기록
결승타 김재호(10회 1사 1,3루서 3루수 안타)
승리 홍건희
패배 류진욱
홀드 이병헌, 김강률
세이브 이영하
2루타 양석환(2회), 박민우(3회), 라모스(6회), 이유찬(7회), 전민재(10회), 김기연(10회)
실책 최정원(2회), 김형준(7회)
도루 김주원(5회), 최정원(6회), 이유찬(7회), 조수행(9회), 정수빈(9회)
도루자 이유찬(9회)
주루사 김재호(10회)
병살타 라모스(3회)
폭투 이용찬(9회), 홍건희(9회), 김태현(10회)

경기 하이라이트

우려하던 대로 하트를 내고도 5선발 최준호에게 또 다시 가로막히며 연패에 다시 빠지고 말았다. 심지어 하트는 7이닝 무자책으로 완벽투를 했으나 서호철의 포구 실책으로 1점을 내주며 억울한 패전을 뒤집어 쓸 뻔 했으나, 9회말 타선이 동점을 만들어내며 다행히 패전은 벗어나게 되었다. 그러나 거기까지, 1사 만루라는 상황에서 대주자로 들어간 한석현이 삼진, 이 날 타선에서 5타수 무안타, 수비에서는 3번의 본헤드 플레이로 상대에게 창조 3타점을 제공해준 서호철이 또 다시 범타로 물러나며 끝내기 찬스를 놓치고 말았다.

그러나 10회초 이해할 수 없는 상황이 나왔는데, 하트-김재열-이용찬 이후로 등판한 투수가 방어율 6점대에 바로 직전 경기 롯데전에서 0.1이닝 4실점에 만루홈런까지 맞은 류진욱이었던 것. 상대였던 두산은 이미 6회부터 필승조를 셀프로 갈아대며 연장전에 돌입했기에 투수가 없어서 못 올렸다 쳐도 사실 이건 이거대로 문제다 고작 김재열과 이용찬만 소모했고, 필승조 한재승이나 좌투 김영규, 하다못해 최근 성적이 좋았던 송명기도 아닌 불펜진에서 낼 수 있는 가장 최악의 카드를 냈고 류진욱이 결국 3자책으로 무너지며 다시 역전을 허용하게 되었다. 이후 10회말 3년만의 세이브에 도전하는 이영하를 상대로 김성욱-박세혁은 어이없는 볼에 삼진으로 돌아섰고 김휘집은 잘 쳤으나 누구와는 다르게 3루수 허경민의 환상적인 호수비로 경기가 끝났다.

지난 8연패가 전형적인 안 풀리는 연패팀의 스테레오 타입을 보이며 감독에게도 어느 정도 면죄부가 주어졌던 반면 직전 롯데전과 오늘의 패배는 감독 강인권을 넘어 인간 강인권에 대해서도 회의감이 느껴지는 경기였다. 롯데전 김수경 코치 도리도리 패싱부터 시작하여 상대 주루방해 해놓고 비판 걸어서 아웃 판정으로 번복시키기,[4] 무사 1-2루 두 번과 1사 만루를 날리면서도 대타 안 쓰기, 10회초 연장전에 2점대 한재승 거르고 6점대 류진욱 올려서 경기 터트리기 등 그간 끽해야 투교나 라인업 쓸놈쓸로 욕 먹던 것과는 차원이 다른 전방위적인 감독에 대한 비판 의견들이 속속 나타나고 있다. 특히 가장 이해가 안 되는 류진욱 10회초 등판의 경우, 정황상 직전 롯데전에서 영상 박제 당하며 조리돌림당한 일명 도리도리짤[5]의 명예회복을 위해 굳이 류진욱을 등판시켰다는 의구심이 매우 강하게 드는 상황이다. 특히 강인권이 당장 저저번주에 데이비슨을 언론에 공개 저격한 것을 감안하면, 류진욱이 오늘 경기를 무실점으로 막을 경우 롯데전에도 류진욱의 기량에 관한 문제는 없었다.[6]와 같은 언플을 했을 가능성이 매우 농후하다. 심지어 류진욱이 0.2이닝 3실점으로 오늘도 털리고, 9회초 이유찬 도루 비판 시비까지 수면 위로 드러나며 오히려 얌전히 9회에 패하는 것보다 더한 역효과가 일어났다.

이 날 선두 KIA가 롯데 윌커슨에게 완봉승을 대주며 패하고, 5위 SSG와 7위 kt가 모두 패하며 기적적으로 1위-5위-7위와의 승차가 모두 유지되었으나 현재 경기력으로 보면 말 그대로 상처뿐인 호재이며, 이 경기력이 지속될 경우 어차피 각 팀과의 맞대결에서 모두 패해 내려갈 일만 남았다.

3.2. 6월 5일

NC 다이노스 라인업
1 2 3 4 5 6 7 8 9 SP
2루수 중견수 우익수 1루수 좌익수 3루수 지명타자 포수 유격수 김시훈
박민우 권희동 박건우 데이비슨 손아섭 김휘집 서호철 김형준 김주원
6월 5일, 18:30 ~ 22:41 (4시간 11분), 창원 NC 파크 9,892명 / 취소 경기 누적 횟수 : 4회
선발 1회 2회 3회 4회 5회 6회 7회 8회 9회 10회 11회 R H E B
두산 곽빈 0 0 0 0 1 1 0 0 0 1 1 4 10 0 5
NC 김시훈 0 1 1 0 0 0 0 0 0 1 0 3 8 1 5
주요기록
결승타 강승호(11회 1사 1,2루서 좌전 안타)
승리 이영하
패배 송명기
홈런 박건우(3회 1점 곽빈)
3루타 조수행(10회)
2루타 데이비슨(3회), 양의지2(4회, 6회), 정수빈(7회), 허경민(10회)
실책 김주원(11회)
도루 전민재(5회), 권희동(10회), 박민우(10회)
도루자 전민재(5회)
주루사 김태근(8회), 전민재(11회)
견제사 정수빈(7회)
포일 양의지(10회)
폭투 곽빈(2회), 한재승(6회)

경기 하이라이트

실질적으로 홍건희의 폭투가 아니었으면 10회에 끝났을 경기. 10회말 무사 만루의 기회가 왔음에도 다음 타자들이 모조리 삼진당하며 그 기회를 살리지 못했다.

3.3. 6월 6일

1군 엔트리 등록ㆍ말소 현황(6월 6일자)
등록 임상현, 최우석
말소 류진욱, 박한결
NC 다이노스 라인업
1 2 3 4 5 6 7 8 9 SP
2루수 좌익수 우익수 1루수 지명타자 유격수 3루수 포수 중견수 임상현
박민우 권희동 박건우 데이비슨 손아섭 김휘집 서호철 김형준 김성욱
6월 6일, 17:01 ~ 19:58 (2시간 57분), 창원 NC 파크 14,517명 / 취소 경기 누적 횟수 : 4회
선발 1회 2회 3회 4회 5회 6회 7회 8회 9회 R H E B
두산 브랜든 3 0 2 0 0 0 3 0 0 8 14 0 3
NC 임상현 2 0 0 0 0 1 1 0 0 4 9 0 4
주요기록
결승타 양의지(1회 2사 2루서 중전 안타)
승리 브랜든
패배 임상현
세이브 이영하
홈런 데이비슨(1회 2점 브랜든), 김재환(7회 3점 김태현)
2루타 김재환(1회), 허경민(3회), 라모스(3회), 박건우(7회)
도루 정수빈2 (1회, 4회)
도루자 조수행(2회), 김태근(9회)
포일 양의지(7회)
폭투 이영하(9회)

경기 하이라이트

오늘 두산 선발이 브랜든이라 승리의 희망이 없어 보인다.

기대에 충족하듯 역시나 패하며 두산전 2019년 6월 20일 이후 1813일 만에 및 2013년 4월 28일 이후 4057일 만에 창원, 엔팍 개장 첫 피스윕을 당했다. 8연패-1승-4연패라는 놀라운 행보를 기록하는 중이며 아직 가을야구를 기대하는 팬들이 있으면 마음을 접으라는 듯이 경기를 펼치고 있다.

4. 6월 7일 ~ 6월 9일 VS 한화 이글스 (대전) :

한화 6·7·8차전 (대전)
파일:NC 다이노스 원정 심볼.svg 파일:한화 이글스 심볼.svg
선발 투수
카스타노 6차전 산체스
신민혁 7차전 문동주
하트 8차전
경기장소
대전 한화생명 이글스파크
중계방송사
파일:SBS Sports 로고.svg

이번 3연전까지 더 이상의 우천취소가 없다면, 2024 시즌의 마지막 대전 원정이자 KBO 리그 정규시즌 마지막 대전 한화생명 이글스파크 원정 시리즈가 된다.[7]

6월 2일 경기 종료 후 김경문이 한화 감독으로 정식 취임하게 되면서, NC의 창단 감독을 상대팀 수장으로 맞이하게 된다. 그리고, 한화에게 위닝 및 스윕을 성공하면 5위권까지 다시 노릴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고, 루징 또는 피스윕 당하면 패배의 수렁에서 벗어나기 힘들다.

4.1. 6월 7일

NC 다이노스 라인업
1 2 3 4 5 6 7 8 9 SP
카스타노
6월 7일, 18:30, 대전 한화생명 이글스파크 명 / 취소 경기 누적 횟수 : 4회
선발 1회 2회 3회 4회 5회 6회 7회 8회 9회 R H E B
NC 카스타노 0 0 0 0 0 0 0 0 0 0 0 0 0
한화 산체스 0 0 0 0 0 0 0 0 0 0 0 0 0

4.2. 6월 8일

NC 다이노스 라인업
1 2 3 4 5 6 7 8 9 SP
신민혁
6월 8일, 17:00, 대전 한화생명 이글스파크 명 / 취소 경기 누적 횟수 : 4회
선발 1회 2회 3회 4회 5회 6회 7회 8회 9회 R H E B
NC 신민혁 0 0 0 0 0 0 0 0 0 0 0 0 0
한화 문동주 0 0 0 0 0 0 0 0 0 0 0 0 0

4.3. 6월 9일

NC 다이노스 라인업
1 2 3 4 5 6 7 8 9 SP
하트
6월 9일, 17:00, 대전 한화생명 이글스파크 명 / 취소 경기 누적 횟수 : 4회
선발 1회 2회 3회 4회 5회 6회 7회 8회 9회 R H E B
NC 하트 0 0 0 0 0 0 0 0 0 0 0 0 0
한화 0 0 0 0 0 0 0 0 0 0 0 0 0

5. 6월 11일 ~ 6월 13일 VS kt wiz (창원) :

kt 6·7·8차전 (창원)
파일:kt wiz 심볼.svg 파일:NC 다이노스 홈 심볼.svg
선발 투수
한차현 6차전 김시훈
엄상백 7차전 이재학
육청명 8차전 카스타노
경기장소
창원 NC 파크
중계방송사

5.1. 6월 11일

NC 다이노스 라인업
1 2 3 4 5 6 7 8 9 SP
김시훈
6월 11일, 18:30, 창원 NC 파크 명 / 취소 경기 누적 횟수 : 4회
선발 1회 2회 3회 4회 5회 6회 7회 8회 9회 R H E B
KT 한차현 0 0 0 0 0 0 0 0 0 0 0 0 0
NC 김시훈 0 0 0 0 0 0 0 0 0 0 0 0 0

5.2. 6월 12일

NC 다이노스 라인업
1 2 3 4 5 6 7 8 9 SP
이재학
6월 12일, 18:30, 창원 NC 파크 명 / 취소 경기 누적 횟수 : 4회
선발 1회 2회 3회 4회 5회 6회 7회 8회 9회 R H E B
KT 엄상백 0 0 0 0 0 0 0 0 0 0 0 0 0
NC 이재학 0 0 0 0 0 0 0 0 0 0 0 0 0

5.3. 6월 13일

NC 다이노스 라인업
1 2 3 4 5 6 7 8 9 SP
카스타노
6월 13일, 18:30, 창원 NC 파크 명 / 취소 경기 누적 횟수 : 4회
선발 1회 2회 3회 4회 5회 6회 7회 8회 9회 R H E B
KT 육청명 0 0 0 0 0 0 0 0 0 0 0 0 0
NC 카스타노 0 0 0 0 0 0 0 0 0 0 0 0 0

6. 6월 14일 ~ 6월 16일 VS 삼성 라이온즈 (창원) :

삼성 7·8·9차전 (창원)
파일:삼성 라이온즈 심볼.svg 파일:NC 다이노스 홈 심볼.svg
선발 투수
7차전
8차전
9차전
경기장소
창원 NC 파크
중계방송사
파일:SBS Sports 로고.svg

6.1. 6월 14일

NC 다이노스 라인업
1 2 3 4 5 6 7 8 9 SP
6월 14일, 18:30, 창원 NC 파크 명 / 취소 경기 누적 횟수 : 4회
선발 1회 2회 3회 4회 5회 6회 7회 8회 9회 R H E B
삼성 0 0 0 0 0 0 0 0 0 0 0 0 0
NC 0 0 0 0 0 0 0 0 0 0 0 0 0

6.2. 6월 15일

NC 다이노스 라인업
1 2 3 4 5 6 7 8 9 SP
6월 15일, 17:00, 창원 NC 파크 명 / 취소 경기 누적 횟수 : 4회]
선발 1회 2회 3회 4회 5회 6회 7회 8회 9회 R H E B
삼성 0 0 0 0 0 0 0 0 0 0 0 0 0
NC 0 0 0 0 0 0 0 0 0 0 0 0 0

6.3. 6월 16일

NC 다이노스 라인업
1 2 3 4 5 6 7 8 9 SP
6월 16일, 17:00, 창원 NC 파크 명 / 취소 경기 누적 횟수 : 4회
선발 1회 2회 3회 4회 5회 6회 7회 8회 9회 R H E B
삼성 0 0 0 0 0 0 0 0 0 0 0 0 0
NC 0 0 0 0 0 0 0 0 0 0 0 0 0

7. 6월 18일 ~ 6월 20일 VS 두산 베어스 (잠실) :

두산 9·10·11차전 (잠실)
파일:NC 다이노스 원정 심볼.svg 파일:두산 베어스 홈 심볼.svg
선발 투수
9차전
10차전
11차전
경기장소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중계방송사

6월 18일부터 6월 27일까지 수도권 9연전이 진행된다.

7.1. 6월 18일

NC 다이노스 라인업
1 2 3 4 5 6 7 8 9 SP
6월 18일, 18:30,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명 / 취소 경기 누적 횟수 : 4회
선발 1회 2회 3회 4회 5회 6회 7회 8회 9회 R H E B
NC 0 0 0 0 0 0 0 0 0 0 0 0 0
두산 0 0 0 0 0 0 0 0 0 0 0 0 0

7.2. 6월 19일

NC 다이노스 라인업
1 2 3 4 5 6 7 8 9 SP
6월 19일, 18:30,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명 / 취소 경기 누적 횟수 : 4회
선발 1회 2회 3회 4회 5회 6회 7회 8회 9회 R H E B
NC 0 0 0 0 0 0 0 0 0 0 0 0 0
두산 0 0 0 0 0 0 0 0 0 0 0 0 0

7.3. 6월 20일

NC 다이노스 라인업
1 2 3 4 5 6 7 8 9 SP
6월 20일, 18:30,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명 / 취소 경기 누적 횟수 : 4회
선발 1회 2회 3회 4회 5회 6회 7회 8회 9회 R H E B
NC 0 0 0 0 0 0 0 0 0 0 0 0 0
두산 0 0 0 0 0 0 0 0 0 0 0 0 0

8. 6월 21일 ~ 6월 23일 VS SSG 랜더스 (문학) :

SSG 6·7·8차전 (문학)
파일:NC 다이노스 원정 심볼.svg 파일:SSG 랜더스 심볼.svg
선발 투수
6차전
7차전
8차전
경기장소
인천 SSG 랜더스필드
중계방송사

8.1. 6월 21일

NC 다이노스 라인업
1 2 3 4 5 6 7 8 9 SP
6월 21일, 18:30, 인천 SSG 랜더스필드 명 / 취소 경기 누적 횟수 : 4회
선발 1회 2회 3회 4회 5회 6회 7회 8회 9회 R H E B
NC 0 0 0 0 0 0 0 0 0 0 0 0 0
SSG 0 0 0 0 0 0 0 0 0 0 0 0 0

8.2. 6월 22일

NC 다이노스 라인업
1 2 3 4 5 6 7 8 9 SP
6월 22일, 17:00, 인천 SSG 랜더스필드 명 / 취소 경기 누적 횟수 : 4회
선발 1회 2회 3회 4회 5회 6회 7회 8회 9회 R H E B
NC 0 0 0 0 0 0 0 0 0 0 0 0 0
SSG 0 0 0 0 0 0 0 0 0 0 0 0 0

8.3. 6월 23일

NC 다이노스 라인업
1 2 3 4 5 6 7 8 9 SP
6월 23일, 17:00, 인천 SSG 랜더스필드 명 / 취소 경기 누적 횟수 : 4회
선발 1회 2회 3회 4회 5회 6회 7회 8회 9회 R H E B
NC 0 0 0 0 0 0 0 0 0 0 0 0 0
SSG 0 0 0 0 0 0 0 0 0 0 0 0 0

9. 6월 25일 ~ 6월 27일 VS 키움 히어로즈 (고척) :

키움 6·7·8차전 (고척)
파일:NC 다이노스 원정 심볼.svg 파일:키움 히어로즈 심볼.svg
선발 투수
6차전
7차전
8차전
경기장소
고척 스카이돔
중계방송사

9.1. 6월 25일

NC 다이노스 라인업
1 2 3 4 5 6 7 8 9 SP
6월 25일, 18:30, 고척 스카이돔 명 / 취소 경기 누적 횟수 : 4회
선발 1회 2회 3회 4회 5회 6회 7회 8회 9회 R H E B
NC 0 0 0 0 0 0 0 0 0 0 0 0 0
키움 0 0 0 0 0 0 0 0 0 0 0 0 0

9.2. 6월 26일

NC 다이노스 라인업
1 2 3 4 5 6 7 8 9 SP
6월 26일, 18:30, 고척 스카이돔 명 / 취소 경기 누적 횟수 : 4회
선발 1회 2회 3회 4회 5회 6회 7회 8회 9회 R H E B
NC 0 0 0 0 0 0 0 0 0 0 0 0 0
키움 0 0 0 0 0 0 0 0 0 0 0 0 0

9.3. 6월 27일

NC 다이노스 라인업
1 2 3 4 5 6 7 8 9 SP
6월 27일, 18:30, 고척 스카이돔 명 / 취소 경기 누적 횟수 : 4회
선발 1회 2회 3회 4회 5회 6회 7회 8회 9회 R H E B
NC 0 0 0 0 0 0 0 0 0 0 0 0 0
키움 0 0 0 0 0 0 0 0 0 0 0 0 0

10. 6월 28일 ~ 6월 30일 VS LG 트윈스 (창원) :

LG 10·11·12차전 (창원)
파일:LG 트윈스 심볼.svg 파일:NC 다이노스 홈 심볼.svg
선발 투수
10차전
11차전
12차전
경기장소
창원 NC 파크
중계방송사

10.1. 6월 28일

NC 다이노스 라인업
1 2 3 4 5 6 7 8 9 SP
6월 28일, 18:30, 창원 NC 파크 명 / 취소 경기 누적 횟수 : 4회
선발 1회 2회 3회 4회 5회 6회 7회 8회 9회 R H E B
LG 0 0 0 0 0 0 0 0 0 0 0 0 0
NC 0 0 0 0 0 0 0 0 0 0 0 0 0

10.2. 6월 29일

NC 다이노스 라인업
1 2 3 4 5 6 7 8 9 SP
6월 29일, 17:00, 창원 NC 파크 명 / 취소 경기 누적 횟수 : 4회
선발 1회 2회 3회 4회 5회 6회 7회 8회 9회 R H E B
LG 0 0 0 0 0 0 0 0 0 0 0 0 0
NC 0 0 0 0 0 0 0 0 0 0 0 0 0

10.3. 6월 30일

NC 다이노스 라인업
1 2 3 4 5 6 7 8 9 SP
6월 30일, 17:00, 창원 NC 파크 명 / 취소 경기 누적 횟수 : 4회
선발 1회 2회 3회 4회 5회 6회 7회 8회 9회 R H E B
LG 0 0 0 0 0 0 0 0 0 0 0 0 0
NC 0 0 0 0 0 0 0 0 0 0 0 0 0

11. 총평


[1] 주말 3연전 중 2차전부터 6월 일정[2] 심지어 이 과정에서 김수경 투수코치가 류진욱이 컨디션이 안좋으니 내리자고 옆에서 애걸하는데도 도리도리로 일관하는 모습이 카메라에 고스란히 잡혔고, 롯데 편파 중계를 하는 이광길 캐스터의 개인방송부터 9시 스포츠 뉴스에까지 등판하며 사방팔방으로 조리돌림 당했다.[3] 여담으로 NC의 DTD가 시작된 5월 중순부터 주간 성적이 2승 3패-2승 1무 3패-2승 4패-1승 5패로 점점 우하향 중이다.[4] 이것은 사실 아웃으로 정정한 심판진에게도 문제가 있지만, 지난주 토요일 롯데전에서도 황성빈의 3루 도루 과정에서 서호철이 비슷한 행동을 했다가 시비가 걸린 것을 감안하면 굳이 비판을 걸어서 아웃을 따낼 필요가 있었는지는 의문이다. 심지어 그 때 황성빈은 부상이라도 안 당했지, 이번 상황에서 이유찬은 결국 손가락 부상으로 중도 교체당했다.[5] 단순히 디씨나 펨코같은 야구 커뮤에서 욕 먹고 끝난 게 아니라 상대팀 편파 중계 담당인 이광길 캐스터가 개인방송에서 공개 저격한 것도 모자라서 9시 뉴스까지 탔다.[6] = 내가 류진욱을 계속 놔둔 게 패배 원흉이 아니다.[7] 남은 8월 20일 ~ 8월 22일 시리즈는 제2홈구장인 청주종합운동장 야구장에서 열리며, 2025 시즌부터 한화 이글스는 홈구장을 베이스볼 드림파크로 이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