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02 21:41:49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일본어 버전}}}에 대한 내용은 [[MOVE AGAIN (Japan Edition)]]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MOVE AGAIN (Japan Edition)#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MOVE AGAIN (Japan Edition)#|]]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일본어 버전: }}}[[MOVE AGAIN (Japan Edition)]]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MOVE AGAIN (Japan Edition)#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MOVE AGAIN (Japan Edition)#|]]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카라의 음반 미니 7집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 #D0CBB6; font-size: 0.865em; color: #fff; letter-spacing: -0.2px" → MOVE AGAIN 2022. 11. 29. → 선공개 싱글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 #7AAFF1; font-size: 0.865em; color: #fff; letter-spacing: -0.2px"
<colbgcolor=#fff><colcolor=#000> MOVE AGAIN 발매일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5]]}}}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5]]}}}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5]]}}}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022년 11월 29일 아티스트 카라 러닝타임 13:29 장르 댄스 , 발라드 , 딥 하우스 레이블 RBW 발매사 드림어스컴퍼니 곡 수 4곡 타이틀곡 #!if 앵커 == null
[[WHEN I MOVE|{{{#!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7px 2px 9px; border: 0.3px solid none; border-radius: 3px 15px; background-color: #00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transparent, transparent), linear-gradient(to right, transparent, transparent), linear-gradient(to right, transparent, transparent); background-origin: border-box; font-size: .82em; color: #fff; font-weight: bold;"
{{{#!if 제목 == null
WHEN I MOVE{{{-1 ,,|02,,}}}
}}}{{{#!if 제목 != null
타이틀곡{{{-1 ,,|02,,}}}
}}}
}}}]]
#!if 앵커 != null
[[WHEN I MOVE#|{{{#!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7px 2px 9px; border: 0.3px solid none; border-radius: 3px 15px; background-color: #00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transparent, transparent), linear-gradient(to right, transparent, transparent), linear-gradient(to right, transparent, transparent); background-origin: border-box; font-size: .82em; color: #fff; font-weight: bold;"
{{{#!if 제목 == null
타이틀곡{{{-1 ,,|02,,}}}
}}}{{{#!if 제목 != null
타이틀곡{{{-1 ,,|02,,}}}
}}}
}}}]]
1 . 개요2 . 음반 소개3 . 프로모션4 . 수록곡5 . 음반 구성6 . 음반 판매량7 . 활동1 . 평가 2 . 매거진3 . 일문일답4 . 여담5 . 둘러보기
카라 의 15주년 기념 앨범.
2. 음반 소개 15th Anniversary Album 《MOVE AGAIN》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 레전드 걸그룹 카라가 15주년을 맞아 15th Anniversary Special Album ‘MOVE AGAIN'을 발표하며 전격 컴백했다.
}}}}}}}}}
3. 프로모션티저 영상과 하이라이트 메들리 영상을 공식 홈페이지에 첫 공개한 뒤
유튜브 공식 아티스트 채널에도 1시간 차이로 업로드하였다.
무빙 포스터만을 위한 새로운 음원을 제작하는 등 심혈을 기울인 컴백을 준비했다.
자세한 내용은
MOVE AGAIN/티저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MOVE AGAIN/티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MOVE AGAIN/티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5주년 기념 앨범 《MOVE AGAIN》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5px" {{{#!folding [ 수록곡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2022. 11. 29. (화요일) 18:00 발매 <rowcolor=#000,#fff> 트랙 제목 작사 작곡 편곡 ♬ 1 Happy Hour 박규리 / 한승연 / 니콜 / 강지영 / 허영지 / HOLLIN(MonoTree ) HOLLIN(MonoTree ) ♬ 2 WHEN I MOVE #!if 앵커 == null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 #00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 font-size: .8em; font-weight: bold; color: #fff; border: 1px solid none"
{{{#!if 제목 == null
타이틀곡
}}}{{{#!if 제목 != null
타이틀곡
}}}
}}}]]
#!if 앵커 != null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 #00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 font-size: .8em; font-weight: bold; color: #fff; border: 1px solid none"
{{{#!if 제목 == null
타이틀곡
}}}{{{#!if 제목 != null
타이틀곡
}}}
}}}]]
Hadar Adora / Anton Goransson / Isabella Siostrand / Brandon "B HAM" Hamlin / Y0UNG / 강지영 / 김보아 / 니콜 Hadar Adora / Anton Goransson / Isabella Siostrand / Brandon "B HAM" Hamlin / 강지영 / 김보아 Hadar Adora / Anton Goransson / Isabella Siostrand / Brandon "B HAM" Hamlin ♬ 3 Shout It Out STEVEN LEE / DearS / Y0UNG / 니콜 STEVEN LEE / Laurell Barker / Joe Lawrence Joe Lawrence / STEVEN LEE ♬ 4 Oxygen 김수빈(AIMING ) / 강지영 김창락((AIMING ) / 김수빈((AIMING ) 김수빈((AIMING ) / 조세희((AIMING )
카라 멤버들이 작사, 작곡, 프로듀싱 작업에 참여했으며 한국어/일본어 두 가지 버전으로 제작된 타이틀곡 〈WHEN I MOVE 〉를 제외하고 한국어 신곡은 3곡, 일본어 신곡은 1곡이 수록되었다. 일본어 음반의 한국어 수록곡(〈Oxygen〉 제외)은 한국어 버전 그대로 실렸다. 허영지 가 FLO 의 〈최애플레이리스트〉 84회에서 원래 싱글 1곡 형태를 염두에 둔 상태에서 타이틀곡 후보 80곡 중에서 추렸는데, 곡들이 너무 좋아서 뺄 수가 없었고 놓치고 싶지 않아서 그 곡들을 모아 실물 음반으로 내게 됐다고 밝혔다.A-JAX 출신 윤영이 Y0UNG이라는 예명으로 작사에 참여했다. 자세한 내용은
Happy Hour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Happy Hour#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Happy Hour#|]]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자세한 내용은
WHEN I MOVE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WHEN I MOVE#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WHEN I MOVE#|]]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카라의 타이틀곡
[ 펼치기 · 접기 ] ||<-4><tablebgcolor=#fff,#1f2023><tablewidth=100%><bgcolor=#fbbea1><color=#000>
정규 앨범 ||
4.3. Shout It Out Track 3 〈Shout It Out〉 {{{#000,#fff "Shout It Out"은 히트곡 메이커 STEVEN LEE, 캐나다 싱어송라이터 Laurell Barker 그리고 영국 프로듀서 Joe Lawrence가 의기투합하며 만든 곡으로, 리드미컬한 베이스 사운드가 매력적인 딥하우스 장르의 팝 댄스 곡이다.
[ 가사 보기 ] ALL 박규리 한승연 니콜 강지영 허영지 색다르게 hello 반짝이는 green light 준비됐다면 ready set go 흩날리는 champagne 색의 confetti 시작해 party tonight Everybody Shout It Out Shout It Shout It Out (Hey!)눈부시게 빛날 오늘 밤을 더 크게 Shout It Out Shout It Shout It Out (Hey!)터질 듯한 심장 소리 so real Turn it up so high high Everybody go Shout It Shout It Out Let's go Shout It Shout It OutFlying to the sky high high 우리들의 never ending tonight Let's go Shout It Out Yeah, Shout It Out girls 따분한 건 no no fun fun 하게 더 원해 attention, tension, level up 내 마음대로 느낌 가는 대로 펼쳐지는 panorama 속 spotlight 화려한 la fiesta Everybody Shout It Out Shout It Shout It Out (Hey!)눈부시게 빛날 오늘 밤을 더 크게 Shout It Out Shout It Shout It Out (Hey!)터질 듯한 심장 소리 so real Let's go Shout It Out 새벽을 넘어 더 빛날 거야 Raise your voice 한 번 더 yeah (yeah yeah yeah yeah yeah yeah) Nothing can hold us down Everybody Shout It Out (Yeah) Shout It Shout It Out (Hey!) (Shout It Out) 눈부시게 빛날 오늘 밤을 (Yeah-ee-Yeah) 더 크게 Shout It Out Shout It Shout It Out (Hey!) (Shout It Out) 터질 듯한 심장 소리 so real Turn it up so high high (Woo Whoa-Woo-Whoa) Everybody go Shout It Shout It Out (Uh) Let's go Shout It Shout It OutFlying to the sky high high 우리들의 never ending tonight Let's go Shout It Out Yeah, Shout It Out girls Let's go Shout It Out [ Credit ] · LYRICS: STEVEN LEE · DearS · Y0UNG · 니콜 · COMPOSED: STEVEN LEE · Laurell Barker · Joe Lawrence · ARRANGEMENT & ADDITIONAL PROGRAMMING: Joe Lawrence · STEVEN LEE · KEYBOARD: Joe Lawrence · CHORUS: 김보아 · Laurell Barker · RECORDING & MIXING: 유상호 at RBW Studio· EDITING: 강로이 at RBW Studio· MASTERING: 권남우 at 82_1 Sound
한승연 이 멜론 스테이션 〈We Spotlight〉에서 첫 녹음곡이었으며 〈STEP〉 이후 처음으로 전 멤버가 모여 신인처럼 녹음하여 추억이 많다고 밝혔다. Track 4 〈Oxygen〉 {{{#000,#fff 카라의 ‘Oxygen'은 살아감에 있어 나에게 없어선 안 될 만큼 소중한 이를 산소(Oxygen)에 비유한 곡이다.
[ 가사 보기 ] ALL 박규리 한승연 니콜 강지영 허영지 나 홀로 헤매던 어두웠던 지난날 이제서야 너에게 말하고 싶어 절벽에 끝에서 아슬하게 서 있어 보이지는 않아도 느낄 수 있으니까 낯선 공기가 내 안에 들어와 네가 없는 난 하루도 살 수가 없는데 Whoo Woo Whoo Woo Whoo Woo 수없이 빛났던 꿈만 같던 시간 속에 말해 주지 않아도 느낄 수 있으니까 낯선 공기가 내 안에 들어와 네가 없는 난 하루도 살 수가 없는데 많 이 힘 들 었 지 괜 찮 아 이 제 내 가 한 걸 음 먼 저 가 네 손 잡 을 게 조금은 기대 숨 쉬어도 돼 내게 그랬듯이 숨을 쉬어 봐 (Woo~) 가득 찬 숨들이 (숨들이) 우리를 휘 감 아 가 슴 속 깊 게 퍼 져 가 네가 없는 난 하루도 살 수가 없는데 Baby, I need your breath 필요해 Baby, I need your breath 필요해 Whoo Woo Whoo Woo Whoo Woo [ Credit ] · LYRICS: 김수빈(AIMING) · 강지영 · COMPOSED: 김창락(AIMING) · 김수빈(AIMING) · ARRANGEMENT: 김수빈(AIMING) · 조세희(AIMING) · GUITAR: 곽무호(AIMING) · BASS & DRUM & PIANO: 김수빈(AIMING) · CHORUS: 김나연 · RECORDING: 조은주 at RBW Studio· EDITING: 김수빈 · 안지수 at AIMING· MIXING: 유상호 at RBW Studio· MASTERING: 권남우 at 82_1 Sound
허영지가 AIMING 과 작업하고 싶어 받아온 곡으로 강지영 은 듣자마자 이 멜로디에 하고 싶은 말들이 떠올랐다고 자신이 작사해보고 싶다고 의견을 밝혔다고 한다. 이를 니콜 에게 말했더니 "당연히 네가 해주면 너무 좋지."라고 응원했다며 고마워했다. 녹음 당시 박규리와 한승연의 듀엣 구간을 듣고 강지영 과 허영지 가 눈물을 흘렸으며 그 와중에도 둘의 녹음에 방해가 될까봐 서로 "지영(영지)아, 안 된다."라고 떨리는 목소리로 이야기를 나누며 추스리기 위해 노력했다고 한다. 강지영 이 멜론 스테이션 〈We Spotlight〉에서 없어서는 안 될 존재를 산소로 비유하였으며 멤버들에게 하고 싶었던 말을 조금씩 더하기도 했다(그래서 멤버들이 이 가사에 더 끌리지 않았을까 한다고)고 밝혔다.강지영 과 허영지가 〈코스모폴리탄〉 2023년 2월호 인터뷰에서 작사 당시 작은 마찰이 있었다고 밝혔다. 원래 멜로디가 다섯 음절이었는데, 강지영이 가사를 여섯 음절로 써왔길래 허영지가 바꾸길 권유했으나 강지영이 고집을 부렸다고. 그 가사는 마지막 부분의 "많이 힘들었지" 부분으로, 강지영은 당시 "'내가 너무 고집부리나?' 싶긴 했는데, 그렇다고 가사를 바꾸긴 싫었다. 제게 "많이 힘들었지"라는 말은 너무나 큰 위로다. 그건 옆에서 날 봐왔던 사람이 해줄 수 있는 말이니까."라며 고집했던 사연을 밝혔다. 그래서 허영지에게 장문의 카카오톡을 보내 '이런 메시지를 전하고 싶고, 그래서 꼭 이 가사를 쓰고 싶다'고 전하니 허영지가 '지영이 네가 그렇게 생각하면 그게 맞다'며 답장했다고 한다. 그리고 허영지는 "사실 그때까지도 이해가 잘 안 됐었다. 하지만 지금은 그 파트만 들으면 운다."며 "이 단어로밖에는 표현이 안 되는 가사였다. 지영이가 이 말을 왜 하고 싶어 했는지도 너무 느껴진다."며 사과했다.강지영 은 "조금은 기대 숨 쉬어도 돼 내게 그랬듯이 너의 아픔도 안아줄게" 부분이 자신이 표현하려 했던 주된 메시지라며 자신이 받았던 위로를 돌려주고 싶은 마음과 멤버들에게 제일 해주고 싶었던 말이라 마음에 남는다고 인터뷰했다.5. 음반 구성 PREVIEW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6. 음반 판매량 《MOVE AGAIN》 초동 판매량 <rowcolor=#000,#fff> 날짜 일간 판매량 누적 판매량 비고 11월 29일(1일차) 2,4**장 발매 시작 11월 30일(2일차) 6**장 3,1**장 12월 1일(3일차) 7**장 3,8**장 12월 2일(4일차) 1**장 4,0**장 12월 3일(5일차) 3*장 4,0**장 12월 4일(6일차) 1*장 4,0**장 12월 5일(7일차) 2,1**장 6,1**장 초동 판매량 6,1**장
컴백 활동 영상들이 유튜브 인기 급상승 차트에 올랐으며 〈
WHEN I MOVE 〉 뮤직비디오,
〈DM Killing Voice〉 , 〈
2022 MAMA AWARDS 〉 무대, 〈
문명특급 〉은 1위, 2022년 12월 2일에는 1위부터 3위까지가 카라였다. 네이버 TOP100에서도 〈
2022 MAMA AWARDS 〉 무대가 1, 2위에 올랐다.
===# TV #===
===# 시상식 #===
====# 멤버 채널 #====
====# 외부 채널 #====
<rowcolor=#000,#fff> 날짜 음원 사이트 프로그램 비고 2022. 11. 29. We Spotlight 2022. 12. 6. 최애플레이리스트 84회 (풀버전) 2022. 12. 13. 최애플레이리스트 85회 (풀버전)
자세한 내용은
MOVE AGAIN/평가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MOVE AGAIN/평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MOVE AGAIN/평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일문일답원년 멤버 박규리 , 한승연 , 2008년 합류한 구하라 의 전속계약 만료 후 무려 7년 만의 컴백이자 RBW 의 DSP미디어 인수 후 처음으로 발매한 음반이다. RBW는 2022년 1월 DSP를 인수했는데, 당시 카라를 비롯한 기존 DSP 아티스트들의 IP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겠다 밝혔고 이후 카라의 컴백이 점점 구체화되는 동시에 컴백 음반 역시 RBW에서 직접 제작한 것으로 보이는데, 실제로 총괄 프로듀싱을 RBW 대표 프로듀서인 김도훈 과 김진우가 맡았다. 이번 활동부터 기존 카라 활동에서 접점이 없던 니콜 , 강지영 과 허영지 가 같이 활동하면서 새로운 조합을 기대하는 반응이 있었다. 특히 강지영 과 허영지 가 1994년생 동갑내기에 이름도 비슷해 지영지 조합으로 불린다. 허영지 역시 강지영과 본인을 묶어서 지영지, 영지영이라고 언급했다. 준비 기간에 스케줄 끝나고 집에서 보는 방송 프로그램이 같았다든지 팔 등 비슷한 자리에 점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어 놀라는 순간이 많아서 공통점을 발견할 때마다 자주 '데스티니'라고 노래했다고 한다. 멜론 스테이션에서 카라 멤버들이 팬들에게 주는 선물이라는 의미로 제작된 앨범이라고 전했다. 그래서 팬송인 〈Happy Hour 〉가 첫번째 트랙이 되도록 적극적으로 의견을 냈다고 한다. 각종 포털 사이트 등에서 구하라 의 활동에 이 음반을 등재하며 카라는 항상 6인조임을 표현하였다. 카라 멤버들이 곡 선정과 작사, 작곡부터 마스터링과 로고까지 오랜 시간을 들여 제작 과정에 참여했다. 한승연이 본인의 개인 유튜브에서 이번 로고는 멤버들의 의견을 반영해서 데뷔 앨범이었던 정규 1집 로고를 리뉴얼해서 만들었다고 밝혔다. 미래소년 이 2022년 12월 5일에 타이틀곡 을 포함한 역대 히트곡 댄스 커버 영상을 유튜브 공식 아티스트 채널에 공개했다.5. 둘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