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정규 앨범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tablecolor=#9b9b9b><width=25%><nopad>
||<width=25%><nopad>
||<width=25%><nopad>
||<width=25%><nopad>
||
'{{{-1 [[The Fame|{{{#000,#abcad1 The Fame''}}}]]}}}1집'''
2008. 08. 19.'{{{-1 [[The Fame Monster|{{{#313131,#fff The Fame Monster''}}}]]}}}1집 확장반'''
2009. 11. 18.'{{{-1 [[Born This Way|{{{#000,#f0f0f0 Born This Way''}}}]]}}}3집'''
2011. 05. 23.'{{{-1 [[ARTPOP|{{{#e72798 ARTPOP''}}}]]}}}4집'''
2013. 11. 06.'{{{-1 [[Joanne|{{{#bf939c Joanne''}}}]]}}}5집'''
2016. 10. 21.'{{{-1 [[Chromatica|{{{#bf5969 Chromatica''}}}]]}}}6집'''
2020. 05. 29.'{{{-1 [[MAYHEM(레이디 가가)|{{{#fe5d36 MAYHEM''}}}]]}}}7집'''
2025. 03. 07.{{{#!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참고 사항 ]
The Fame Monster는 1집의 확장판 앨범이기 때문에 정규 앨범으로 취급되지 않으나, 공식 홈페이지에서 이를 LG2로, Born This Way와 ARTPOP을 각각 3집, 4집으로 표기한 바 있다.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기타 음반 ]
- ||<-4><width=1000><bgcolor=#333><color=#fe5d36> EP||
- [ 싱글 목록 ]
- ||<-5><tablewidth=100%><width=1000><tablebgcolor=#333><tablecolor=#fe5d36> ※ 나무위키에 문서가 존재하는 레이디 가가의 노래||
<colbgcolor=#fff,#1c1d1f> Just Dance • Poker Face • LoveGame • Paparazzi Bad Romance • Telephone • Alejandro Born This Way • Judas • The Edge of Glory • Yoü And I • Marry The Night • Bloody Mary Applause • G.U.Y. • Do What U Want 파일:GGjoannelogo.png Perfect Illusion • Million Reasons • Joanne Shallow • Always Remember Us This Way • I'll Never Love Again Stupid Love • Rain On Me • 911 • Sour Candy • Free Woman Disease • Abracadabra • How Bad Do U Want Me Others Til It Happens To You • Hold My Hand • The Cure • Die With A Smile
- [ 출연 작품 ]
- ||<-4><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tablecolor=#000,#fff><bgcolor=#333><color=#fe5d36> 영화||
마세티 킬즈
라 카말리온
(2013)씬 시티: 다크히어로의 부활
버사
(2014)스타 이즈 본
앨리 캄파나
(2018)하우스 오브 구찌
파트리치아 레지아니
(2021)조커: 폴리 아 되
리 퀸젤
(2024)드라마아메리칸 호러 스토리 시즌5 : 호텔 (2015) 아메리칸 호러 스토리 시즌6 : 로어노크 (2016)
- [ 관련 문서 ]
- ||<|2><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width=1000> 음반 ||<width=50%> 논란 및 사건 사고 ||
레이디 가가의 음반 | ||
← | 7집 MAYHEM (2025) | → |
컴패니언 앨범 Harlequin (2024) | 미정 |
<colbgcolor=#333><colcolor=#fe5d36> The 7th Studio Album MAYHEM | ||||||||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익스클루시브 커버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 | ||||||
아티스트 | 레이디 가가 | |||||||
발매일 | 2025년 3월 7일 | |||||||
장르 | 신스팝[a] | |||||||
길이 | 53:04 | |||||||
레이블 | 스트림라인 레코드, 인터스코프 레코드 | |||||||
프로듀서 | 서쿳, 디마일, 게사펠슈타인, 레이디 가가, 브루노 마스, 앤드류 와트 | |||||||
발매 싱글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Disease | 2024. 10. 25. | ♫ | ||||
Abracadabra | 2025. 02. 02. | ♫ | ||||||
How Bad Do U Want Me | 2025. 04. 18. | ♫ | }}}}}}}}} | |||||
전곡 듣기 | | | | | |
1. 개요2. 발매 과정3. 평가4. 성적5. 싱글6. 수록곡
6.1. Disease6.2. Abracadabra6.3. Garden Of Eden6.4. Perfect Celebrity6.5. Vanish Into You6.6. Killah (feat. Gesaffelstein)6.7. Zombieboy6.8. LoveDrug6.9. How Bad Do U Want Me6.10. Don't Call Tonight6.11. Shadow Of A Man6.12. The Beast6.13. Blade Of Grass6.14. Die With A Smile
7. 여담1. 개요
|
You're so tortured when you sleep 잠잘 때 너는 지독한 고통을 느껴 Plagued with all your memories 너의 모든 기억들에 사로잡혀 - Disease - |
2. 발매 과정
- 2024년 8월 16일, 가가는 브루노 마스와 함께한 콜라보 싱글 "Die With A Smile"을 발매하였다. 발매 이후 엄청난 인기를 누렸고 빌보드 핫 100 1위까지 기록하게 된다.
- "Die With A Smile"의 좋은 반응 덕분에 이번 앨범 트랙리스트에 특별히 수록되었다.[3]
- 2025년 1월, 공식 홈페이지에서 1월 17일까지 카운트다운을 했다.[4] 또한, 이전 앨범들인 The Fame, The Fame Monster, Born This Way, ARTPOP, Joanne, Chromatica, Harlequin에서 영감을 받은 예술 작품을 보여주기도 했다.
- 2월 2일, 제67회 그래미 어워드에 참여할 예정이며, 동시에 앨범의 두 번째 싱글의 뮤직비디오 일부를 중간 광고 형식으로 공개할 예정이라고 한다.[5]
- 2월 2일 드디어 새로운 싱글 "Abracadabra"를 발매하였다. 싱글 커버는 따로 공개되지 않았으며, 발매 직후 뮤직비디오 조회수는 인기 급상승 동영상에도 등재되는 등 대중들 사이에서 전작 "Disease" 보다 더 뜨거운 반응을 얻고 있다.
- 3월 3일, 유튜브에 앨범의 유출본이 올라왔다. 그러나 수록곡 전부 오래전에 공개된 가가의 미발매 곡들이였으며, 이번 앨범과는 전혀 관련이 없다는 게 밝혀진 뒤에는 그냥 해프닝으로 끝났다.
- 3월 7일, 자정에 앨범이 공개되었다.
3. 평가
| |
메타스코어 84 / 100 | 유저 스코어 평점 없음 / 10 |
상세 내용 |
|
4 / 5 |
|
8.0 / 10.0 |
|
3.33 / 5.00 |
MAYHEM 기타 평가 | ||
<rowcolor=#333> 소스 | 점수 | 출처 |
AnyDecentMusic? | 7.6/10 | [6] |
Clash | 8/10 | [7] |
The Daily Telegraph | 4/5 | [8] |
The Guardian | 4/5 | [9] |
The Independent | 5/5 | [10] |
The Line of Best Fit | 7/10 | [11] |
NME | 4/5 | [12] |
Rolling Stone | 4/5 | [13] |
Slant Magazine | 3/5 | [a] |
The Times | 4/5 | [15] |
- 메타크리틱 첫 점수는 79점으로 출발하였으나 어느 정도 표본이 쌓이면서 84점에 안착, 커리어 하이를 달성하였다.
- 피치포크에서는 8.0을 부여하면서 호평했다. 이는 레이디 가가의 앨범 중 가장 높은 점수.
4. 성적
빌보드 200 역대 1위 음반 | ||
← | MAYHEM Lady Gaga (1주) | → |
GNX Kendrick Lamar | MUSIC Playboi Carti |
| ||
오피셜 앨범 차트 역대 1위 음반 | ||
← | MAYHEM Lady Gaga (1주) | → |
Short n' Sweet Sabrina Carpenter | MUSIC Playboi Carti |
||<-4><tablewidth=100%><tablebordercolor=#333><tablebgcolor=#fff,#1c1d1f><bgcolor=#333><color=#fe5d36> MAYHEM
차트 기록 ||
차트 기록 ||
<rowcolor=#333> 차트 | 국가 | 순위 | 출처 |
|
| 1위 | # |
| # | ||
|
| # | |
| # | ||
| # |
- 발매 이후 전세계 아이튠즈 앨범 차트 1위를 달성하였다. 또한 발매 첫 날 스포티파이 스트리밍 45,306,655회를 기록하며 2025년 역대 여가수 앨범 1위 타이틀을 얻고, 전 세계 월간 청취자수 2위를 달성했다.
5. 싱글
| ||
| | |
6. 수록곡
"제게 Lady Gaga란 이런 사람이에요" Lady Gaga가 Apple Music의 Zane Lowe에게 말합니다. "다른 사람들은 '고기 드레스'나 제가 했던 행동들로 저를 기억할 수도 있겠죠 하지만 전 상상 진정한 아티스트이자 관심과 배려를 가진 사람으로 기억되고 싶어요." 같은 맥락에서, Gaga 자신도 "오랜만에 가장 좋아하는 앨범"이라 부르는 이번 앨범은 예전과 다른 독보적인 면모를 보여줍니다. "'ARTPOP'은 바이브가 중요했어요. 'Joanne'은 사운드고요. 'Chromatica'도 나름의 사운드가 있었어요. 모두 달랐죠. 'The Fame Monster'는 좀 더 혼란스어웠고, 'The Fame'은 연극적인 팝 앨범이었어요. 'Born This Way'는 제가 느끼기에 좀 더 뉴욕의 메탈/일렉트로닉 분위기 같아요." Lady Gaga는 설명합니다. "실제로 'MAYHEM'을 만들 땐 그런 걸 하지 않으려고 노력했어요. 재 음악에 특정한 옷을 입히지 않고, 대신 모든 것에서 영향을 받으려고 했죠." 확실히 'MAYHEM'은 '마더 몬스터'라 불리는 Gaga의 커리어 속 다양한 풍미의 음악을 넘나들고, 때로는 이를 융합합니다. 이 앨범은 초기 디스코 사운드부터 싱어송라이터 시기를 거져 다시 이전 스타일로 회귀한 Gaga의 모든 시기를 망라합니다. 오프닝 트랙으로 배치한 'Disease'와 'Abracadabra'는 신나는 팡파르를 울리며 그의 댄스 플로어 음악 시절을 소환합니다. 경쾌한 'Garden Of Eden'은 Lady Gaga가 "2000년으로의 회귀"라 부르는 트렌드를 따릅니다. 또 활기찬 신스풍의 'LoveDrug'은 예전에 불렀던 'LoveGame'보다 더 밝고 빛나는 언니 같은 느낌입니다. Gaga는 이번 작품에서 특히 일렉트로 그런지에 영향을 받았다고 말합니다. 이런 경향은 'Perfect Celebrity, 'Vanish Into You, 'The Beast' 같은 곡에서 더욱 분명하게 드러납니다. 그 중 'The Beast'는 'Joanne'의 느낌도 있죠. 하지만 'Blade Of Grass, 또 Bruno Mars와의 듀엣곡 'Die With A Smile'에서는, 이전의 포크 팝 록 페르소나를 제대로 보여줍니다. 또한 이번 작품은 Lady Gaga에게 매우 개인적인 의미가 있습니다. 그는 전합니다. "이 앨범은 연속되는 고딕풍 꿈과 같아요. 저를 괴롭히는 과거의 이미지라고나 할까요? 어찌 되었든, 그런 것들이 지금의 제가 되는데 일조했죠." 아래에서, Lady Gaga가 직접 전하는 앨범 주요 수록곡에 관한 이야기를 확인해보세요.
- Apple Music 앨범 소개 |
||<-4><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333><rowbgcolor=#333><rowcolor=#fe5d36> 트랙리스트 ||
<rowcolor=#333> # | 제목 | 송라이터 | 프로듀서 |
1 | Lady Gaga / Andrew Watt / Cirkut / Michael Polansky | Lady Gaga / Andrew Watt / Cirkut | |
2 | Lady Gaga / Andrew Watt / Henry Russell Walter / Susan Janet Ballion / Steven Severin / John McGeoch / Peter Edward Clarke | ||
3 | Garden Of Eden | Andrew Watt / Lady Gaga / Mike Levy | Lady Gaga / Gesaffelstein / Andrew Watt / Cirkut |
4 | Perfect Celebrity | Lady Gaga / Andrew Watt / Cirkut | |
5 | Vanish Into You | Andrew Watt / Michael Polansky / Lady Gaga | Lady Gaga / Andrew Watt / Cirkut |
6 | Killah (feat. Gesaffelstein) | Andrew Watt / Lady Gaga / Mike Levy | Lady Gaga / Gesaffelstein / Andrew Watt / Circut |
7 | Zombieboy | Andrew Watt / James Fauntleroy / Lady Gaga | Lady Gaga / Andrew Watt / Circut |
8 | LoveDrug | Andrew Watt / Michael Polansky / Lady Gaga | |
9 | How Bad Do U Want Me | ||
10 | Don't Call Tonight | ||
11 | Shadow Of A Man | Andrew Watt / Lady Gaga | |
12 | The Beast | Andrew Watt / Michael Polansky / Lady Gaga | |
13 | Blade Of Grass | Lady Gaga / Andrew Watt / Michael Polansky / Mike Levy | Lady Gaga / Andrew Watt / Gesaffelstein |
14 | Die With A Smile | Bruno Mars, Lady Gaga, D'Emile, James Fauntleroy, Andrew Watt | Bruno Mars, Lady Gaga, D'Emile , Andrew Watt |
|
6.1. Disease
'''Disease 01 3:49 ''' |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Disease#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Disease#|]][[Disease#|]] 부분을
참고하십시오.6.2. Abracadabra
'''Abracadabra 02 3:45 ''' |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Abracadabra(레이디 가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Abracadabra(레이디 가가)#|]][[Abracadabra(레이디 가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6.3. Garden Of Eden
'''Garden Of Eden 03 4:00 ''' |
|
6.4. Perfect Celebrity
'''Perfect Celebrity 04 4:39 ''' |
|
- 7집의 이름이 MAYHEM으로 정해지기 전에는 "Perfect Celebrity"를 가제목으로 사용했다고 한다.[17]
6.5. Vanish Into You
'''Vanish Into You 05 4:06 ''' |
|
6.6. Killah (feat. Gesaffelstein)
'''Killah (feat. Gesaffelstein) 06 3:31 ''' |
|
6.7. Zombieboy
'''Zombieboy 07 3:35 ''' |
|
- 리드 싱글 "Disease"의 뮤직비디오에서 일부 장면이 선공개되었다.
6.8. LoveDrug
'''LoveDrug 08 3:14 ''' |
|
6.9. How Bad Do U Want Me
'''How Bad Do U Want Me 09 3:59 ''' |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How Bad Do U Want Me#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How Bad Do U Want Me#|]][[How Bad Do U Want Me#|]] 부분을
참고하십시오.6.10. Don't Call Tonight
'''Don't Call Tonight 10 3:47 ''' |
|
6.11. Shadow Of A Man
'''Shadow Of A Man 11 3:20 ''' |
|
- 많은 팬들이 마이클 잭슨 느낌이 난다고 평하는 곡이다.
6.12. The Beast
'''The Beast 12 3:56 ''' |
|
6.13. Blade Of Grass
'''Blade Of Grass 13 4:18 ''' |
|
6.14. Die With A Smile
'''Die With A Smile 14 4:11 ''' |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Die With A Smile#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Die With A Smile#|]][[Die With A Smile#|]] 부분을
참고하십시오.7. 여담
- 지금까지 가가는 앨범의 표제와 이름이 같거나 연상되는 곡을 수록해 왔는데 이번 앨범에서는 MAYHEM이 연상되는 곡이 수록되지 않았다. 상술되었듯, 본래 앨범의 가제는 4번 트랙과 동일한 "Perfect Celebrity"였다.[20][21] 메이헴(Mayhem)은 영어로 개판, 아수라장, 난장판 등을 뜻한다.
- 이 앨범이 발매되기 전 가가가 이를 'LG7'이라 언급함으로써 앨범 카운팅에 관해 논쟁이 생겼다.[22] 가가측의 카운팅을 간단히 정리하자면, 콜라보 앨범과 스타 이즈 본 사운드트랙을 제외하고 EP The Fame Monster를 "LG2"로 취급하는 것으로 보인다. #
- 위 기사에 따르면, The Fame Monster는 정규 1집 The Fame의 '확장반'으로 형식상 정규 앨범이 될 수 없다. 다만 새로운 수록곡 8곡이 추가되어 대부분의 사람들이 새로운 앨범이라 칭한다. TFM 문서에서도 서술되어 있듯이, The Fame의 연장선이라기엔 제목 빼고는 컨셉부터 음악까지 전부 새로운 데다 워낙 독보적이던 인기 탓에 비공식적으로는 독자적인 앨범이라고 칭하는 사람이 많은 편이다. 한편, 토니 베넷과 함께 발매한 두 콜라보 앨범 Cheek To Cheek과 Love For Sale은 본인의 앨범 카운팅에 넣지 않았고[23], TFM를 LG2로, Born This Way와 ARTPOP을 각각 3, 4집으로 여기고 있다.[24] 다만 경우에 따라 MAYHEM을 LG6[25], LG8[26]이라 여기기도 한다.
- "Die With A Smile"이 앨범의 리드 싱글 인지 의견이 갈리고 있다. 다만 가가가 W Magazine에서 "Disease"를 "first single"이라 칭해 앨범의 리드 싱글로 여겨지고 있다.[27] 비슷한 가장 대표적인 사례로 케이티 페리의 "Never Really Over"가 있다.
- 전작인 Chromatica와 트랙 구성도 상반된다. Chromatica와 다르게 인털루드 트랙 자체가 없고, 곡도 3분 미만으로 내려가지 않는데다 4분에 육박하는 곡들이 상당수 차지하고 있다. 비슷한 트랙 수를 가지고 있지만, 거의 60분에 가까워 LP도 2LP로 발매될 수준.
[a] Slant Magazine[2] 공식 홈페이지에 따르면 EP인 "The Fame Monster"를 정규 2집으로 보고, 2개의 합작 앨범 "Cheek To Cheek", "Love For Sale"은 정규 앨범으로 취급하지 않는다. 즉, "The Fame" 1집, "The Fame Monster" 2집, "Born This Way" 3집, "ARTPOP" 4집, "Joanne" 5집, "Chromatica" 6집, 그리고 이 앨범을 7집으로 본다.[3] 다만 리드 싱글은 "Disease"이기에 "Die With A Smile"은 그저 수록 싱글로만 간주된다.[4] #[5] #[6] #[7] #[8] #[9] #[10] #[11] #[12] #[13] #[a] [15] #[16] #[17] #[18] 처음 공개한 곡이 "Abracadabra", 그 다음 공개한 곡이 "Perfect Celebrity"다.[19] #[20] 사실상 2집으로 취급받는 The Fame Monster에서도 표제가 연상되는 "Monster"라는 곡이 수록되었다.[21] Chromatica에는 곡 제목 대신 인털루드가 Chromatica I, II, III로 되어 있다.[22] Vulture 기사 - "The Lady Gaga Math Does Not Add Up"[23] 이런 경우는 흔한 편이다. 에드 시런이나 칸예 웨스트도 자신의 콜라보 앨범을 카운트하지 않았다.[24] 이는 가가의 팬덤의 의견을 따른 듯 하다.[25] TFM, CTC, LFS 모두 빼고 계산하면 MAYHEM은 6집이된다.[26] TFM만 빼고 모두 카운팅. 위키피디아가 이렇게 계산하나 이쪽에서도 논쟁이 일어난것으로 보인다. #[27] #